KR20190041433A -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 Google Patents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433A
KR20190041433A KR1020180149887A KR20180149887A KR20190041433A KR 20190041433 A KR20190041433 A KR 20190041433A KR 1020180149887 A KR1020180149887 A KR 1020180149887A KR 20180149887 A KR20180149887 A KR 20180149887A KR 20190041433 A KR20190041433 A KR 2019004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tepped
assembly
individu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339B1 (ko
Inventor
손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가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2829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414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가대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가대표
Priority to KR102018014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3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다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다각형의 변 전체 구간에 걸쳐 측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한 홈 및 돌기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두께 방향 기준 아래쪽에 설치되며, 돌기의 위를 바라보는 상면에는 변을 따라 길게 뻗는 단차홈이 설치되고, 홈의 아래를 바라보는 대응면에는 단차홈에 맞게 끼워지는 단차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들 조립용 개별 매트를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조립식 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매트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질적 틈새 깊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설치 후 조립 연결부 단차로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틈새로 아이들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들어가 골절이나 삐는 안전사고 문제를 줄일 수 있고, 물기나 먼지가 조립 연결부 틈새로 들어가 바닥을 상하게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장소의 온도의 변화에 의한 제품의 수축으로 인해 설치된 매트 간의 틈이 벌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element mat for assembly and assembled ma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바닥에 깔아서 어린이들이 넘어져도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거나 아파트 등과 같은 복층건물에서는 층간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와 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과 키즈카페나 요양원과 같은 다용도 시설 등에 낙상방지, 층간소음 방지, 주방 등의 장소에서 근골격계 질환 방지 및 피로 완화의 목적으로 쿠션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쿠션 매트는 필요에 따라 설치와 제거가 용이하도록 작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개별 매트의 주변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간단히 조립되어 넓은 면적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예를 나타낸다. 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정사각형의 판상의 몸체(1) 4 변에 각 양 측변(2)이 사선으로 되는 결합홈(3)과 돌출부(4)를 일정간격으로 하나 걸러 하나씩 교대로 형성하여 실내바닥의 면적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돌출부를 결합하여 사방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다수를 조립하여 깔아주게 된다.
이런 경우, 결합홈과 돌출부들의 연결부분이 지그재그의 복잡한 선으로 되어 보고 있으면 눈이 쉽게 피로하게 되었음은 물론 연결부분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먼지와 같은 이물이 끼이게 되는 틈이 많아져 청소 등 유지관리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힘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도2는 다른 종래의 예를 나타낸다. 역시 정사각형 몸체 4 변에 결합홈과 돌출부가 형성되나 결합홈과 돌출부는 몸체 전체 두께에 형성되지 않고 아래쪽 절반 정도 두께에만 형성되고, 변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 개별 매트를 결합한 뒤 위쪽에서는 결합홈과 돌출부가 보이지 않아 좀 더 안정된 외관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들 조립식 매트는 모두 자체 목적상 대개 폴리우레탄 폼(foam)으로 만들어져 부드럽고 신축성을 가지므로 조립 연결부에 압력이나 힘이 가해지면 틈새가 벌어지기 쉽고, 매트 위에 물이나 음료수가 떨어지면 틈새로 스며들어 물기가 아래쪽의 마루를 썩거나 변형되게 하는 등 훼손의 염려가 있다. 먼지도 틈새로 들어갈 수 있고 이런 먼지가 이용자가 활동중에 매트와 바닥의 들뜬 공간을 밟으면 압축된 공기가 틈새로 나오면서 먼지를 내뿜을 수 있다.
또한, 두께 전체에 걸쳐 틈새가 형성되어 인접된 두 개별 매트의 조립 연결부의 한쪽만 눌러지면 단차가 발생하여 발걸림 현상이 생길 수 있고, 어른은 큰 문제가 없지만 아이의 손가락, 발가락이 틈새로 끼어 걸려 넘어지거나 심한 경우 손가락 발가락의 골절이 유발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폴재로 구성된 매트의 특성 상 온도에 따른 수축 및 팽창 계수가 큰 편인데, 매트 간의 연결을 잡아주는 충분한 힘이 없는 구조인 경우, 외력이 없더라도 온도에 따라 매트 간의 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조립 연결부 및 바닥을 접착성 물질로 처리하면 조립식 매트의 이점을 잃고 설치 및 제거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바닥도 상할 수 있다.
조립 연결부에 틈새가 뜨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시공중 매트를 인접 매트에 밀착시키기 위해 측방으로 힘을 주면 몸체 변형이 일어나면서 바닥과의 사이가 뜰 수 있고, 외관이 불량하게 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03416호: 조립식 매트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247026호: 조인트 매트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과정이나 설치 후에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 후 조립 연결부 단차로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틈새로 아이들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들어가 골절이나 삐는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 후 물기나 먼지가 조립 연결부 틈새로 들어가 바닥을 상하게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고, 물기나 먼지를 쉽게 발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용 개별 매트는
다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용 개별 매트에 있어서, 다각형의 변 전반(전체 구간)에 걸쳐 조립용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한 홈 및 돌기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두께 방향 기준 아래쪽에 설치되며, 돌기의 위를 바라보는 상면에는 변을 따라 길게 뻗는 단차홈이 설치되고, 홈의 아래를 바라보는 대응면에는 단차홈에 맞게 끼워지는 단차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조립용 개별 매트의 각 변의 홈 또는 돌기는 같은 위상으로 바닥에 놓인 동일한 조립용 개별 매트의 상기 각 변에 인접한 변의 돌기 혹은 홈과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때 가령, 각 변의 절반 구간에는 하나의 돌기가 나머지 절반 구간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턱이 설치되고, 단차돌기에는 돌출턱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턱홈이 설치되어 변이 서로 결합된 개별 매트 사이에 변방향으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턱은 단차홈의 양단에 설치되어 단차홈은 물이나 먼지가 담길 수 있는 작은 용기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립용 개별 매트의 본체는 흡음 및 진동 방지 작용을 돕기 위해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다공성 폼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운 재질로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조립용 개별 매트 상면은 폴리우레탄폼에 비해 단단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는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와 같은 폴리우레탄 피막 등 다른 특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립용 개별 매트 하면에는 부직포층, 점착층 등이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립용 개별 매트의 단차부의 돌기 두께 혹은 홈 깊이는 개별 매트 두께의 1/4 내지 3/4 범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부를 포함하는 개별 매트 측면은 적어도 일부 표면이 코팅막 혹은 피막 처리를 통해 발수처리되거나 방수처리되거나 미세먼지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흡착을 위해서는 점성물질층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홈 입구는 단차홈의 최대폭 구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대응되는 형태의 단차돌기와 결합할 때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이격시킬 때에는 걸림턱으로 작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매트는 본 발명의 조립용 개별 매트 둘 이상이 다각형의 변 부분에서 홈과 돌기가 서로 결합되어 측방으로 연결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시 별도의 측방 힘을 주변서 조립할 필요가 없어 조립식 매트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설치과정이나 설치 후에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주변에 걸쳐 하부 두께에 홈 및 돌기가 설치되어 실질적 틈새 깊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설치 후 조립 연결부 단차로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틈새로 아이들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들어가 골절이나 삐는 안전사고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주변에 걸쳐 하부 두께에 홈 및 돌기가 설치되고 물이나 먼지가 변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돌기의 상면 홈에 의해 차단될 가능성이 크므로 물기나 먼지가 조립 연결부 틈새로 들어가 바닥을 상하게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고, 물기나 먼지를 쉽게 발견하여 제거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일 예에서 개별 매트 두 개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다른 예를 이루는 개별 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별 매트가 결합을 위해 인접하게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별 매트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조립 연결부에 대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조립 연결부에 대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매트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매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근접 상태의 사시도, 결합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가 개시된다.
여기서 개별 매트(10, 20)는 모두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같은 위상에서, 즉, 상하면 위치 및 회전상 위치가 같은 상태에서 인접된 개별 매트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사각형의 본체부의 4 변에 해당하는 각 측면에는 변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절반 구간씩 돌기(11))와 홈(17)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돌기(11)와 홈(17)은 변을 이루는 측면 전체에 형성된 것은 아니고 개별 매트 두께 방향으로 볼 때 아래쪽 절반 두께에 해당하는 단차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단차부의 돌기(11)는 정사각형의 각 변이 평면도상 위쪽에 놓일 때 우측 절반 구간에 대략 돌출된 판의 형태로, 홈(17)은 좌측 절반 구간에 다른 개별 매트의 돌기(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태의 오목한 공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동일한 개별 매트(10, 20) 두 개를 바닥에 좌우로 인접하게 놓고 개별 매트의 탄성 및 신축성을 이용하여 힘을 주어 변형시키면서 서로 마주보는 변에서 우측 개별 매트(10)의 돌기(11)는 좌측 개별 매트(20)의 홈(27)에 좌측 개별 매트(20)의 돌기(21)는 우측 개별 매트(10)의 홈(17)에 결합되도록 한다.
돌기(11)의 상면에는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차홈(13)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홈(27)의 대응면(상면에 대응하는 면)에는 단차홈(13)에 대응하는 단차돌기(29)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돌기(29)는 돌기(11)의 상면 단차홈(13)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된다.
단차홈(13)의 변 방향 양단은 단차홈턱 혹은 돌출턱(15)에 의해 막혀있다. 따라서, 단차돌기(27)가 단차홈(13)에 끼워지면 돌출턱(15)에 막혀 변 방향으로 단차홈(13)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단차홈(13)은 결합된 두 개별 매트의 조립 연결부 틈새로 음료수나 먼지가 유입될 때 음료수나 먼지가 바닥에 닿기 위해 지나는 경로에 있으며, 양단의 돌출턱(15)은 단차홈(13)을 물체를 담을 수 있는 일종의 용기로 만들어, 단차홈(13)의 바닥과 단차돌기(23)의 끝단 사이에 작은 공간 혹은 틈이 있다면 실질적으로 조립 연결부 틈새를 통해 개별 매트 사이로 유입되는 음료수나 먼지는 이 단차홈을 지나지 못하고 이 곳에 모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정사각형 개별 매트의 4 변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 및 홈은 각 변의 전체 길이(전반)에 걸쳐 형성되지만 실질적 의미로 볼 때 각 변 전반에 걸쳐 형성된다는 의미는 인접 개별 매트의 조립시 편리를 위해 각 변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는 가령 전체 구간의 10% 이하 구간에서 돌기 및 홈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될 수 있고, 형태를 위에서 볼 때 라운드처리하여 인접 개별 매트와의 상충을 피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돌기나 홈이 생략된 4각형의 모서리 부분은 전체에 비해 작은 부분이며, 이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음료수나 먼지는 제한된 양이며, 이 부분으로만 음료수가 유입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매트 사용자가 쉽게 흘린 음료수 등을 발견하여 닦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고, 의심스러운 경우 쉽게 이 부분을 해체하고 물기를 닦는 등의 조치를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개별 매트는 조립식 매트가 주로 소음 방지 및 완충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특성상 외력에 의해 신축이 용이하고 탄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많이 사용하며, 여기서는 개별 매트로 폴리우레탄 폼의 상면에 TPU와 같은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입힌 것을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폼은 요구되는 기능과 폼의 특성에 의해 신축성이 좋고 부드럽지만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흡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좀 더 경도가 있고 매끈한 외관을 주는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사용한 것이다. 이런 형태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몰드에 먼저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배치하고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재료를 몰드 내에 주입하여 폼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도6은 인접된 개별 매트의 돌기와 홈의 결합 형태를 좀 더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한 개별 매트(10)의 돌기(11)의 단차홈(13)이 본체부와 이격된 거리(t11)는 인접한 개별 매트(20)의 홈(27)의 단차돌기(29)가 본체부와 이격된 거리(t21)와 같고, 단차홈(13)의 폭(t12)은 단차돌기(29)의 폭(t22)과 같은 것이 통상의 경우가 되지만, 돌기(11)의 단차홈(13)이 본체부와 이격된 거리(t11)가 인접한 개별 매트(20)의 홈(27)의 단차돌기(29)가 본체부와 이격된 거리(t21)보다 다소 작게 하면 단차홈과 단차돌기가 틈이 없이 결합되도록 하면, 결합될 때 조립 연결부에서는 인접한 개별 매트(20)의 본체부가 다소 압축된 상태로 한 개별 매트(10)와 결합되어 두 개별 매트(10, 20)의 조립 연결부의 틈새는 쉽게 벌어지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차홈(13)의 폭(t12)을 단차돌기(29)의 폭(t22)보다 다소 작게 하면 단차돌기가 압축되면서 단차홈에 끼워져 단차홈과 단차돌기의 결합력이 좀 더 강하게 될 수 있다.
도7은 도6과 비슷한 돌기 및 홈을 보여주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단차홈 및 단차돌기가 라운드 처리로 완만한 곡선(실제로는 곡면)을 형성하게 되었고, 단차홈에는 입구에 턱이 형성되며, 단차돌기의 중간 일부는 목부보다 큰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에서는 걸림턱 작용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별 매트가 평면적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뿐 아니라 두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어렵고, 조립식 매트 설치시 외력에 의해 매트가 개별 매트로 분해되는 것이 어려워 전체적 매트의 형태를 유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단차홈 및 단차돌기는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도6의 단면도에서 단차홈의 입구 양쪽에서 단차평면과 단차홈의 측벽은 직각을 이루고 있지만 입구 양쪽에서 예각을 이루어 걸림턱을 가진 역쐐기형이 되거나, 입구 양쪽에서 둔각을 이루어 V자형을 이룰 수 있고, 입구 한쪽은 직각 다른 한쪽은 예각이나 둔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차홈 단면은 U자형, 반원이나 반타원형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W자 형태의 이중 단차홈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경우의 단차돌기는 단차홈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8 및 도9는 앞선 실시예의 개별 매트와 다른 형태의 홈(37) 및 돌기(31)를 가지는 개별 매트(30)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위쪽 변과 좌측 변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전체 변 구간에 걸쳐 돌기(31)가, 아래쪽 변과 우측 변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전체 변 구간에 걸쳐 홈(37)이 설치되어 있다. 돌기(31)와 돌기(31)에 형성된 단차홈(33), 단차홈턱 또는 돌출턱(35)과, 홈(37)과 홈(37)에 형성된 단차돌기(39)의 형태 특성에는 실질적인 차이는 없고, 같은 형태의 개별 매트를 결합시켜 전체 조립식 매트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별다른 차이는 없다.
단, 여기서는 단차홈(33)의 양단뿐 아니라 중간에도 돌출턱(35)이 형성되고 단차돌기(39)의 길이 방향 중간에 돌출턱(35)에 대응하는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다는 형태적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별 매트에서 재질은 폴리우레탄 폼이 주로 사용되지만 다른 합성수지 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내구성과 단가, 인체유해물질의 포함 여부 등이 재질상의 고려 요소가 될 것이다. 가령,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선 실시예에서 본체의 상면에는 폴리우레탄 폼을 커버하는 보다 단단하면서도 신축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체를 다른 재질의 폼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른 재질의 폼과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로 된 신축성 코팅막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코팅막으로 신축성이 필요한 이유는 폴리우레탄 폼이 변형될 때 표면이 같이 변형될 수 있어야 쿠션 매트의 역할을 잘 할 수 있고, 변형되지 않으면 찢어지는 등의 자체 손상을 막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바닥면에 결합되는 코팅막이나 필름, 플레이트의 경우는 신축성이 없는 것도 가능하다.
코팅막은 상면뿐 아니라 하면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의 코팅막을 별도 특성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면에는 바닥과의 접착 점성을 높이기 위해 점성이 있는 코팅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합성수지 코팅막 외에 완충성과 소음방지 역할 강화를 위해 부직포를 개별 매트 하면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홈과 돌기가 형성되는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조립식 매트의 필요에 따라 발수성 혹은 방수성이 있는 재료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구성에서는 코팅막은 개별 매트 조립 연결부의 틈새로 음료수가 들어가는 경우, 단차홈 등에서 장시간 음료수가 측면에 닿아 본체 내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음료수를 제거할 때 쉽게 닦일 수 있도록 한다.
발수성이나 방수성 코팅막 외에 개별 매트 측면에 점성 코팅막이나 흡착성 코팅막을 사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개별 매트 사이의 결합력을 좀 더 높일 수 있으며, 작은 먼지 입자들이 개별 매트들 사이의 조립 연결부 틈새로 유입될 때 먼지 입자를 흡착, 부착시켜 먼지 입자들이 아이들 활동에 의해 다시 공기중에 퍼지고 실내 공기를 나쁘게 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조립용 개별 매트의 단차부의 돌기 두께 혹은 홈 깊이는 개별 매트 두께의 1/4 내지 3/4 범위가 될 수 있으며, 두께가 너무 작으면 아이들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깊게 빠지는 것을 예방하기 어렵고, 두께가 너무 크면 홈 부분의 본체 두께가 얇아져 이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가령, 실시예는 평면이 정사각형인 개별 매트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다각형으로서 평면이 정삼각형 정육각형이거나 정팔각형인 개별 매트 경우도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20, 30: 개별 매트 11, 21, 31: 돌기
13, 23, 33: 단차홈 15, 35: 돌출턱
17, 27, 37: 홈 19, 29, 39: 단차돌기

Claims (9)

  1. 다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용 개별 매트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의 변 전반에 걸쳐 상기 조립용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한 홈 및 돌기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두께 방향 기준 아래쪽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의 위를 바라보는 상면에는 변을 따라 길게 뻗는 단차홈이 설치되고, 상기 홈의 아래를 바라보는 대응면에는 상기 단차홈에 맞게 끼워지는 단차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개별 매트의 각 변의 상기 홈 또는 상기 돌기는 같은 위상으로 바닥에 놓인 동일한 조립용 개별 매트의 상기 각 변에 인접한 변의 돌기 혹은 홈과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변의 절반 구간에는 하나의 돌기가 나머지 절반 구간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전체 두께의 1/4 내지 3/4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턱이 설치되고, 상기 단차돌기에는 상기 돌출턱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턱홈이 설치되어 인접한 두 개별 매트가 서로 결합된 상기 두 개별 매트 사이에 변방향으로 이동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상면에 폴리우레탄 코팅막이 설치되고, 하면에 부직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발수성 코팅막, 방수성 코팅막, 점성 코팅막, 미세먼지 흡착성 코팅막 가운데 하나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입구는 단차홈의 최대폭 구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단차돌기와 결합할 때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이격시킬 때에는 걸림턱으로 작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용 개별 매트가 둘 이상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KR1020180149887A 2018-11-28 2018-11-28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KR10216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87A KR102168339B1 (ko) 2018-11-28 2018-11-28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87A KR102168339B1 (ko) 2018-11-28 2018-11-28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433A true KR20190041433A (ko) 2019-04-22
KR102168339B1 KR102168339B1 (ko) 2020-10-22

Family

ID=6628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87A KR102168339B1 (ko) 2018-11-28 2018-11-28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33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05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KR20200137603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조립식 퍼즐 매트
KR20210100863A (ko) * 2020-02-07 2021-08-18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20220015734A (ko) * 2020-07-31 2022-02-08 (주)엘엑스하우시스 매트
KR102380954B1 (ko) *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KR20220067802A (ko) * 2020-11-18 2022-05-25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102465637B1 (ko) 2021-06-10 2022-11-11 (주)비에스디 조립형 매트 성형방법
KR102526972B1 (ko) * 2022-02-07 2023-04-27 이홍석 우레탄 발포 퍼즐매트의 매트제조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8903A (ko) 2022-04-19 2023-10-26 주식회사 폴레드 퍼즐형 매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92Y1 (ko) * 2002-06-28 2002-10-04 김영출 접착홈을 가진 조립식 마루부재
KR200372221Y1 (ko) * 2004-09-23 2005-01-10 조재영 조립식 매트
JP2005127073A (ja) * 2003-10-27 2005-05-19 Kaneka Corp 合成樹脂発泡体製マット
JP2011247026A (ja) 2010-05-28 2011-12-08 Onizawa Nobuyuki ジョイントマット
KR20150103416A (ko)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조립식 매트
KR20160001539U (ko) * 2014-10-30 2016-05-11 (주) 새한테크 조립식 매트
KR101677575B1 (ko) * 2016-02-22 2016-11-18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조립식 매트
KR20160144032A (ko) * 2015-06-08 2016-12-16 이회견 유아용 놀이매트의 원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92Y1 (ko) * 2002-06-28 2002-10-04 김영출 접착홈을 가진 조립식 마루부재
JP2005127073A (ja) * 2003-10-27 2005-05-19 Kaneka Corp 合成樹脂発泡体製マット
KR200372221Y1 (ko) * 2004-09-23 2005-01-10 조재영 조립식 매트
JP2011247026A (ja) 2010-05-28 2011-12-08 Onizawa Nobuyuki ジョイントマット
KR20150103416A (ko)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조립식 매트
KR20160001539U (ko) * 2014-10-30 2016-05-11 (주) 새한테크 조립식 매트
KR20160144032A (ko) * 2015-06-08 2016-12-16 이회견 유아용 놀이매트의 원단
KR101677575B1 (ko) * 2016-02-22 2016-11-18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조립식 매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05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KR20200137603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조립식 퍼즐 매트
KR20210100863A (ko) * 2020-02-07 2021-08-18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20220015734A (ko) * 2020-07-31 2022-02-08 (주)엘엑스하우시스 매트
KR20220067802A (ko) * 2020-11-18 2022-05-25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102380954B1 (ko) *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KR102465637B1 (ko) 2021-06-10 2022-11-11 (주)비에스디 조립형 매트 성형방법
KR102465639B1 (ko) 2021-06-10 2022-11-11 (주)비에스디 조립형 매트 성형방법
KR102526972B1 (ko) * 2022-02-07 2023-04-27 이홍석 우레탄 발포 퍼즐매트의 매트제조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8903A (ko) 2022-04-19 2023-10-26 주식회사 폴레드 퍼즐형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339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1433A (ko)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RU2609270C2 (ru) Напольная панель
AU739690B2 (en) Floor mat
US20160060880A1 (en) Flooring system having assembly clip and related method
KR102342088B1 (ko) 조립용 개별 매트
KR20200030940A (ko) 매트 어셈블리
KR20150103416A (ko) 조립식 매트
KR102203240B1 (ko) 조립식 퍼즐 매트
JP6271479B2 (ja) 清掃用具
JP2016518539A (ja) 連結式衝撃緩和用タイル張りシステム
KR102278312B1 (ko) 조립용 쿠션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KR200497905Y1 (ko) 조립식 타일
CA2446263A1 (en) Spillage control safety floor matting
KR200491913Y1 (ko)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KR102205270B1 (ko) 완충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539U (ko) 조립식 매트
KR102013267B1 (ko)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범퍼 매트
KR101923692B1 (ko) 조립식 매트
KR102413049B1 (ko) 조립용 개별 매트
JP4452352B2 (ja) 床仕上材の連結構造
KR102413042B1 (ko) 조립용 개별 매트
US10548453B2 (en) Floor mop
CN200992799Y (zh) 软木橡塑复合地板
KR20130088655A (ko) 논슬립 조립식 바닥재
KR20090128931A (ko) 바닥보호용 가구 다리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2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123

Effective date: 20230608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500008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0804

Effective date: 2023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