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39U - 조립식 매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39U
KR20160001539U KR2020140008850U KR20140008850U KR20160001539U KR 20160001539 U KR20160001539 U KR 20160001539U KR 2020140008850 U KR2020140008850 U KR 2020140008850U KR 20140008850 U KR20140008850 U KR 20140008850U KR 20160001539 U KR20160001539 U KR 20160001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layer
buffering
mat
sound absorbing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주) 새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새한테크 filed Critical (주) 새한테크
Publication of KR20160001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reinforced with sheet-like or rigid elements, e.g. profiled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는 매트 블럭에 있어서, 테두리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완충흡음층과 상기 제1완충흡음층의 하부에 결합되고, 테두리에는 인접한 매트 블럭과 결합되도록 돌출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완충흡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매트{Assemblying-type mat}
본 고안은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철부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완충효과와 흡음효과가 있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 유치원, 놀이방 등 유아가 상주하는 장소에는 어린아이가 넘어지더라도 다치지 않도록 하고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쿠션 효과를 주는 안전 매트를 설치하곤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95940호(2002.11.08) 완구용 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조각의 4방의 테두리에 요철부가 형성토록 되어 서로 다른 조각끼리 맞물리면서 크기가 연장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연장되어진 테두리의 요철부에 맞물리도록 요철부를 갖는 마감재를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 종래의 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가 외부로 드러나 미관이 좋지 않으며, 특히 매트 요철부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유아의 발이 끼일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요철부 사이에 각질과 같은 인체 노폐물이나 실내 먼지 등에 의한 오염물질이 끼어 청소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요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미관이 수려하고, 테두리 부분 요철의 노출로 인해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가 간편한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기초로 한다.
본 고안은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는 매트 블럭에 있어서, 상층에 형성되는 제1완충흡음층과, 상기 제1완충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테두리에는 인접한 매트 블럭과 결합되도록 돌출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완충흡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완충흡음층의 테두리에는 돌출부와 홈부의 개수가 같은 비율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완충흡음층의 테두리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인접한 매트블럭의 홈부에 삽입되어 인접한 매트블럭을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원형 음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완충흡음층은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되며, 상층에는 밀도가 높은 저발포 성형체로 형성되고, 중간층에는 밀도가 낮은 고발포 성형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은 제2완충흡음층의 조립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조립되면서, 제1완충흡음층이 형성됨에 따라 조립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조립이 끝난후 테두리 부분에는 매트블럭이 결합부재로 연결됨에 따라 테두리 부분에도 조립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조립구조의 요철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청소를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트블럭이 결합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트블럭이 결합된 저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트블럭이 결합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결합된 저면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트블럭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는 매트 블럭에 있어서, 상층에 형성되는 제1완충흡음층(10)과 상기 제1완충흡음층(10)의 하부에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인접한 매트 블럭과 결합되도록 돌출부(22) 또는 상기 돌출부(22)가 삽입되는 홈부(24)가 형성되는 제2완충흡음층(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흡음층(10)은 외부에 노출되는 층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두리가 직선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매트블럭(1)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완충흡음층(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성형체로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상단면은 엠보가공하여 쿠션력을 높인다.
상기 제2완충흡음층(20)은 상기 제1완충흡음층(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완충흡음층(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완충흡츰층(10)의 하면에 접착결합되거나, 제2완충흡음(10)층의 하면에 열융착 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완충흡음층(10) 하면에 접착 결합된다. 이 제2완충흡음층(20)은 인접된 매트블럭(1)을 연결하는 조립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이 조립구조는 요철이 형성되어 요와 철 간의 삽입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흡음과 완충작용이 뛰어난 발포성형체로 이루어 지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제1 실시예(1)에 따르면 4방의 테두리 중 2방의 테두리에는 각각 원형의 돌출부(22)가 형성되고, 또 다른 2방의 테두리에는 각각 원형의 홈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홈부(24)에 삽입되면서 인접된 매트블럭(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원형의 돌출부(22)와 홈부(24)는 완벽한 원형이 아닌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이 잘린 원형으로 형성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원형으로 표현 하겠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2)에 따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완충흡음층(20)은 4방의 테두리에 각각 홈부(24)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2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인접한 매트블럭(2)과 연결시 복수개의 홈부(24)가 대략 '8'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홈부(24)에는 결합부재(30)가 삽입되어 인접한 매트를 연결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홈부(2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홈부(24)의 형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억지끼움결합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2)에 따르면, 매트블럭(2)을 조립하여 완성하더라도 테두리 부분에 조립구조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조립구조의 요철에 의해 미관을 해치거나, 유아의 발이 끼어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완충흡음층(10) 하단면에 돌출부(22)와 홈부(24)가 형성된 제2완충흡음층(20)이 형성된 제1실시예(1)와, 제1완충흡음층(10) 하단면에 홈부(24)만이 형성된 제2완충흡음층(20)이 형성된 제2실시예(2)는 각각 따로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제1실시예(1)와 제2실시예(2)를 섞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1실시예(1)의 매트 블럭를 먼저 결합한 후, 결합된 다수개의 제1실시예의 매트블럭 테두리부분을 제2실시예(2)의 매트블럭으로 결합하면, 테두리에 조립구조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흡음층(10)은 직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재단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흡음층(10)은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층에는 고밀도의 저발포 성형체(12)가 위치하며 중간층 또는 하층에는 저밀도의 고발포 성형체(14)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사람이 밟게되는 상층(12)은 고밀도로 형성되어 잘 마모되지 않고, 중층 또는 하층(14)은 저밀도로 형성되어 뛰어난 쿠션감을 갖게 되므로 내구성과 쿠션감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완충흡음층(10)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제2완충흡음층(20)은 내구성을 위해 고밀도의 발포성형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제2완충흡음층(20)의 조립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조립되면서, 제1완충흡음층(10)의 테두리가 직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립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조립이 끝난후 테두리 부분에는 매트블럭(2)이 결합부재(30)로 연결됨에 따라 테두리 부분에도 조립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조립구조의 요철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청소를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 : 제1실시예에 따른 매트블럭
2 : 제2실시예에 따른 매트블럭
10 : 제1완충흡음층
12 : 고밀도 발포성형체
14 : 저밀도 발포성형체
20 : 제2완충흡음층
22 : 돌출부
24 : 홈부
30 : 결합부재

Claims (7)

  1.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는 매트 블럭에 있어서,
    상층에 형성되는 제1완충흡음층;
    상기 제1완충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테두리에는 인접한 매트 블럭과 결합되도록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가능한 홈부가 형성되는 제2완충흡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홈부의 개수는 같은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3.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는 매트 블럭에 있어서,
    상층에 형성되는 제1완충흡음층;
    상기 제1완충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테두리에는 인접한 매트블록과 연결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완충흡음층;
    상기 홈부와 인접한 매트블럭의 홈부에 삽입되어 인접한 매트블럭을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흡음층의 테두리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흡음층과 제2완충흡음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원형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7.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흡음층은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되며, 상층에는 밀도가 높은 저발포 성형체로 형성되고, 중간층에는 밀도가 낮은 고발포 성형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KR2020140008850U 2014-10-30 2014-12-02 조립식 매트 KR2016000153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909 2014-10-30
KR2020140007909 2014-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39U true KR20160001539U (ko) 2016-05-11

Family

ID=5602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850U KR20160001539U (ko) 2014-10-30 2014-12-02 조립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53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433A (ko) * 2018-11-28 2019-04-22 주식회사 국가대표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KR20190002637U (ko) 2018-06-28 2019-10-22 주식회사 샤인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KR102230294B1 (ko) * 2019-09-17 2021-03-18 이두찬 무동력 회전 브러시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매트
KR20230040751A (ko) * 2021-09-16 2023-03-23 (주)다오코리아 결합부재가 적용된 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37U (ko) 2018-06-28 2019-10-22 주식회사 샤인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KR20190041433A (ko) * 2018-11-28 2019-04-22 주식회사 국가대표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KR102230294B1 (ko) * 2019-09-17 2021-03-18 이두찬 무동력 회전 브러시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매트
KR20230040751A (ko) * 2021-09-16 2023-03-23 (주)다오코리아 결합부재가 적용된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539U (ko) 조립식 매트
US8806822B1 (en) Mat with puzzle function
KR20150103416A (ko) 조립식 매트
KR20110076911A (ko) 플라스틱 바닥 매트
JP2016518539A (ja) 連結式衝撃緩和用タイル張りシステム
KR20210116985A (ko) 조립식 안전매트
KR200491913Y1 (ko)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KR200463114Y1 (ko)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쿠션 쇼파
USD610958S1 (en) Automobile floor mat
JP3215450U (ja) ジョイントマットユニット及びジョイントマット
JP3207590U (ja) ジョイントマット
KR200363988Y1 (ko) 다용도 조립식 발판
KR100364364B1 (ko)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
KR200334908Y1 (ko) 쿠션용 바닥재
CN201099969Y (zh) 气垫地板
CN2328736Y (zh) 一种组拼式橡胶地板
KR200295940Y1 (ko) 완구용 매트
KR102463526B1 (ko) 조립식 매트블록
KR200469725Y1 (ko) 튜브
KR200378437Y1 (ko) 가구용 프레임 구조
KR200333940Y1 (ko) 조립식 고무 바닥재 유닛
JP3219465U (ja) 椅子の肘掛け
JP2018019992A (ja) 飯台
JP3008852U (ja) 嵌合タイル
KR200220067Y1 (ko)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