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088B1 - 조립용 개별 매트 - Google Patents
조립용 개별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2088B1 KR102342088B1 KR1020200014751A KR20200014751A KR102342088B1 KR 102342088 B1 KR102342088 B1 KR 102342088B1 KR 1020200014751 A KR1020200014751 A KR 1020200014751A KR 20200014751 A KR20200014751 A KR 20200014751A KR 102342088 B1 KR102342088 B1 KR 102342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ividual
- stepped
- mat
- mats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s alternating transvers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anel, e.g. multiple tongue and grooves oriented parallel to each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다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용 개별 매트에 있어서, 다각형의 변에 해당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하여 홈과 돌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설치되며, 홈이나 돌기의 결합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의 측면의 돌기나 홈의 결합면과 서로 정합되는 형태를 가진 단차홈 혹은 단차돌기가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자른 수직 단면인 측방 단면에서 볼 때 단차홈 및 단차돌기는 좌우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져, 단차홈 혹은 단차돌기는, 매트 설치 평면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근접시켜 체결할 때에 인접한 개별 매트에서 서로 체결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이 서로 상대적으로 쉽게, 상대적으로 적은 측방 힘으로 체결되고,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이격시켜 해체할 때에 서로 체결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상대적으로 큰 측방 힘을 가해야 해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개별 쿠션 매트를 조립하여 전체 쿠션 매트를 설치할 때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과정에서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설치 후 측방으로의 외력에 의해 개별 매트 사이의 연결이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개별 쿠션 매트를 조립하여 전체 쿠션 매트를 설치할 때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과정에서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설치 후 측방으로의 외력에 의해 개별 매트 사이의 연결이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바닥에 깔아서 어린이들이 넘어져도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거나 아파트 등과 같은 복층건물에서는 층간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조립식 매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조립용 개별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과 키즈카페나 요양원과 같은 다용도 시설 등에 낙상방지, 층간소음 방지, 주방 등의 장소에서 근골격계 질환 방지 및 피로 완화의 목적으로 쿠션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쿠션 매트는 필요에 따라 설치와 제거가 용이하도록 작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개별 매트의 주변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간단히 조립되어 넓은 면적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예를 나타낸다. 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정사각형의 판상의 몸체(1) 4 변에 각 양 측변(2)이 사선으로 되는 결합홈(3)과 돌출부(4)를 일정간격으로 하나 걸러 하나씩 교대로 형성하여 실내바닥의 면적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돌출부를 결합하여 사방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다수를 조립하여 깔아주게 된다.
이런 경우, 결합홈과 돌출부들의 연결부분이 지그재그의 복잡한 선으로 되어 보고 있으면 눈이 쉽게 피로하게 되었음은 물론 연결부분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먼지와 같은 이물이 끼이게 되는 틈이 많아져 청소 등 유지관리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힘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도2는 다른 종래의 예를 나타낸다. 역시 정사각형 몸체 4 변에 결합홈과 돌출부가 형성되나 결합홈과 돌출부는 몸체 전체 두께에 형성되지 않고 아래쪽 절반 정도 두께에만 형성되고, 변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 개별 매트를 결합한 뒤 위쪽에서는 결합홈과 돌출부가 보이지 않아 좀 더 안정된 외관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들 조립식 매트는 모두 자체 목적상 대개 폴리우레탄 폼(foam)으로 만들어져 부드럽고 신축성을 가지므로 조립 연결부에 압력이나 힘이 가해지면 틈새가 벌어지기 쉽고, 매트 위에 물이나 음료수가 떨어지면 틈새로 스며들어 물기가 아래쪽의 마루를 썩거나 변형되게 하는 등 훼손의 염려가 있다. 먼지도 틈새로 들어갈 수 있고 이런 먼지가 이용자가 활동중에 매트와 바닥의 들뜬 공간을 밟으면 압축된 공기가 틈새로 나오면서 먼지를 내뿜을 수 있다.
또한, 두께 전체에 걸쳐 틈새가 형성되어 인접된 두 개별 매트의 조립 연결부의 한쪽만 눌러지면 단차가 발생하여 발걸림 현상이 생길 수 있고, 어른은 큰 문제가 없지만 아이의 손가락, 발가락이 틈새로 끼어 걸려 넘어지거나 심한 경우 손가락 발가락의 골절이 유발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폼 재로 구성된 매트의 특성상 온도에 따른 수축 및 팽창 계수가 큰 편인데, 매트 간의 연결을 잡아주는 충분한 힘이 없는 구조인 경우, 외력이 없더라도 온도에 따라 매트 간의 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조립 연결부 및 바닥을 접착성 물질로 처리하면 조립식 매트의 이점을 잃고 설치 및 제거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바닥도 상할 수 있다.
한편, 이런 조립식 쿠션 매트는 조립하기가 쉽고 반대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사용중이 외력에 의해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조립이 쉬우면 해체도 쉽고 해체가 쉽지 않게 하려면 조립 작업도 어렵게 된다.
가령, 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의 조립 연결부를 3차원 적으로 어느 방향에서 당겨도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방향별로 다중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잡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 결합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끼워지는 방향으로 해야 조립 상태에서 수평력이 작용해도 쉽게 해체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립을 일일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넣는 방향으로 해야하므로 조립 시간과 수고가 많이 들게 되며, 바닥재를 깔 때 일반적으로 시공하는 방식인 측방에서 연속적으로 갖다 붙이는 방식으로는 하기가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과정에서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매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조립용 개별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 후 특히 측방으로의 외력에 의해 개별 매트 사이의 연결이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조립용 개별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용 개별 매트는 다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용 개별 매트에 있어서, 다각형의 변에 해당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하여 홈과 돌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설치되며, 홈이나 돌기의 결합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의 측면의 돌기나 홈의 결합면과 서로 정합되는 형태를 가진 단차홈 혹은 단차돌기가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자른 수직 단면인 측방 단면에서 볼 때 단차홈 및 단차돌기는 좌우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져, 단차홈 혹은 단차돌기는, 매트 설치 평면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근접시켜 체결할 때에 인접한 개별 매트에서 서로 체결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이 서로 상대적으로 쉽게, 상대적으로 적은 측방 힘으로 체결되고,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이격시켜 해체할 때에 서로 체결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상대적으로 큰 측방 힘을 가해야 해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차홈 및 단차돌기가 좌우 비대칭 형태를 이루기 위해 개별 매트의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단차돌기 외측 부분은 완경사 구간을, 중앙에서 가까운 단차돌기의 내측은 급경사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에 결합될 대응 단차홈은 당연히 개별 매트 중앙에서 볼 때 외측 부분은 급경사 구간을 내측 부분은 완경사 부분을 가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차돌기와 단차홈은 좌우 비대칭 형태로서 톱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톱날의 정상부를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부와 급한 경사부는 단순한 직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급한 경사부는 경사도가 점증하는 곡선 형태로 완만한 경사부는 경사도가 점감하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통상적으로 조립용 개별 매트는 직사각형이고, 전체 주변부를 따라 가면서(in case of circumnavigation) 홈과 돌기가 번갈아 설치되는 것일 수 있고, 특히 한 변에 홈과 돌기가 절반 구간씩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 홈 또는 돌기는 같은 위상 혹은 같은 평면적 회전 상태로 바닥에 놓인 인접한 동일 조립용 개별 매트의 서로 인접한 변의 돌기 혹은 홈과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립용 개별 매트의 단차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턱이 설치되고, 단차돌기에는 상기 돌출턱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턱홈이 설치되어, 조립용 개별 매트는 인접한 두 개별 매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두 개별 매트 사이에 변방향으로 이동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개별 쿠션 매트를 조립하여 전체 쿠션 매트를 설치할 때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과정에서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설치 후 특히 측방으로의 외력에 의해 개별 매트 사이의 연결이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일 예에서 개별 매트 두 개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다른 예를 이루는 개별 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개략적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별 매트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두 인접한 개별 매트가 결합할 때의 서로 정합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을 부분적으로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개념적 단면도들,
도8a 내지 도8c는 돌기의 선단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태로 처리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이 평면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그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9a 내지 도9c는 돌기의 선단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태로 처리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이 평면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그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10a 내지 도10c는 돌기의 양측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처리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이 평면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그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11은 기존에 결합된 개별 매트들에 개별 매트를 추가하여 조립하는 방식, 방향을 나타내며, 돌기의 양쪽 측변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나타내는 평면적 개념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매트의 평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매트의 사시도,
도14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접한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이루는 돌기의 다양한 평면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2는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다른 예를 이루는 개별 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개략적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별 매트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두 인접한 개별 매트가 결합할 때의 서로 정합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을 부분적으로 단순화하여 나타내는 개념적 단면도들,
도8a 내지 도8c는 돌기의 선단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태로 처리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이 평면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그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9a 내지 도9c는 돌기의 선단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태로 처리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이 평면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그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10a 내지 도10c는 돌기의 양측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처리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이 평면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그 일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11은 기존에 결합된 개별 매트들에 개별 매트를 추가하여 조립하는 방식, 방향을 나타내며, 돌기의 양쪽 측변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나타내는 평면적 개념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매트의 평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매트의 사시도,
도14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접한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이루는 돌기의 다양한 평면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및 도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결합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가 개시된다.
여기서 개별 매트(10, 20)는 모두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같은 위상에서, 즉, 상하면 위치 및 회전상 위치가 같은 상태에서 인접된 개별 매트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사각형의 본체부의 4 변에 해당하는 각 측면에는 변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절반 구간씩에 결합부를 이루는 돌기(11))와 홈(17)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돌기(11)와 홈(17)은 변을 이루는 측면 전체에 형성된 것은 아니고 개별 매트 두께 방향으로 볼 때 위쪽 절반 혹은 아래쪽 절반 두께에 해당하는 단차부에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단차부의 돌기(11)는 정사각형의 각 변이 평면도상 위쪽에 놓일 때 우측 절반 구간에 대략 돌출된 판의 형태로, 홈(17)은 좌측 절반 구간에 다른 개별 매트의 돌기(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태의 오목한 공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동일한 개별 매트(10, 20) 두 개를 바닥에 좌우로 인접하게 놓고 측방에서 힘을 가하면 인접한 한 개별 매트(10)의 인접한 변의 돌기(11)는 다른 인접한 개별 매트(20)의 서로 인접한 변의 홈 공간을 채우면서 돌기(11) 및 홈의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 혹은 결합면은 정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가령, 두 개별 매트의 서로 인접한 변에서 우측 개별 매트(10)의 돌기(11)는 좌측 개별 매트(20)의 홈에 좌측 개별 매트(20)의 돌기는 우측 개별 매트(10)의 홈(17)에 결합된다.
돌기(11)의 상면에는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차홈(13)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다른 개별 매트(20)의 홈의 대응면(상면에 대응하는 면)에는 단차홈(13)에 대응하는 단차돌기(29)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돌기(29)는 돌기(11)의 상면 단차홈(13)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된다.
단차홈(13)의 변 방향 양단은 단차홈턱 혹은 돌출턱(15)에 의해 막혀있다. 따라서, 단차돌기(27)가 단차홈(13)에 끼워지면 돌출턱(15)에 막혀 변 방향으로 단차홈(13)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단차홈(13)은 결합된 두 개별 매트의 조립 연결부 틈새로 음료수나 먼지가 유입될 때 음료수나 먼지가 바닥에 닿기 위해 지나는 경로에 있으며, 양단의 돌출턱(15)은 단차홈(13)을 물체를 담을 수 있는 일종의 용기로 만들어, 단차홈(13)의 바닥과 단차돌기(23)의 끝단 사이에 작은 공간 혹은 틈이 있다면 실질적으로 조립 연결부 틈새를 통해 개별 매트 사이로 유입되는 음료수나 먼지는 이 단차홈을 지나지 못하고 이 곳에 모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정사각형 개별 매트의 4 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로서의 돌기 및 홈은 각 변의 전체 길이(전반)에 걸쳐 절반 구간씩에 형성되지만 실질적 의미로 볼 때 각 변 전반에 걸쳐 형성된다는 의미는 인접 개별 매트의 조립시 편리를 위해 각 변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는 가령 전체 구간의 10% 이하 구간에서 돌기 및 홈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될 수 있고, 형태를 위에서 볼 때 라운드처리하여 인접 개별 매트와의 상충을 피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개별 매트는 조립식 매트가 주로 소음 방지 및 완충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특성상 외력에 의해 신축이 용이하고 탄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많이 사용하며, 여기서는 개별 매트로 폴리우레탄 폼의 상면에 TPU와 같은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입힌 것을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폼은 요구되는 기능과 폼의 특성에 의해 신축성이 좋고 부드럽지만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흡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좀 더 경도가 있고 매끈한 외관을 주는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사용한 것이다. 이런 형태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몰드에 먼저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배치하고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재료를 몰드 내에 주입하여 폼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접된 개별 매트의 돌기와 홈의 형태를 좀 더 상세히 보여주는 이격 상태의 단면도이다.
한 개별 매트(10)의 돌기(11)의 상면인 결합면은 인접한 개별 매트(20)의 홈(27)을 이루는 결합면과 결합 상태에서 정합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돌기의 단차홈(13)에서 그 폭은 저점을 기준으로 완경사 부분(t11)과 급경사 부분(t12)이 나누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다른 개별 매트(20)의 홈(27) 공간의 단차돌기(29)도 그 폭은 정점을 기준으로 완경사 부분(t21)과 급경사 부분(t22)이 나누어져 서로의 완경사 부분 및 급경사 부분도 정합을 이루게 되다.
단차돌기의 완경사 부분은 개별 매트의 중심 혹은 본체부를 기준으로 볼 때 단차돌기의 급경사 부분에 비해 멀리 외측에 있으며, 단차홈의 완경사 부분은 개별 매트의 중심 혹은 본체부를 기준으로 볼 때 단차홈의 급경사 부분에 비해 가까이 내측에 있다.
측방으로 힘이 작용하여 두 개별 매트의 인접한 두 변이 접근하면 한 개별 매트(10)의 돌기(11)가 다른 개별 매트(20)의 홈(27) 공간으로 인입되면서 돌기(11)의 선단부(14)가 홈(27)의 단차돌기(29)의 완경사 부분의 최외측 시작 부분과 닿게 된다. 그러나 완경사 부분은 완만한 경사로 인하여 선단부(14)에서 걸리는 것이 아니고 개별 매트들의 자체 탄성에 의해 결합부가 부분적으로 변형되면서 단차돌기(29)는 선단부(14)를 타고 넘어 더 측방으로 이동하고, 단차홈(13) 속으로 들어가 두 개별 매트는 결합 상태를 이루게 되고, 결합부의 결합면은 정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대로 두 개별 매트에 측방으로 반대의 힘을 작용시켜 두 개별 매트를 이격시키는 경우, 단차돌기(29)의 급경사 부분과 단차홈(13)의 급경사 부분은 서로에게 정합된 상태로 서로에 대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쉽게 이격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이격에 대항하는 마찰력을 극복하고 이격시키려면 두 개별 매트를 근접시키는 측방 힘(수평력)에 비해 매우 큰 힘을 작용시키거나, 측방으로의 힘이 아닌 수직 방향의 힘이 작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개별 매트를 결합시키는 데 필요한 측방 힘의 절대값은 이들 두 개별 매트를 이격시키는 데 필요한 측방 힘의 절대값보다 작게 되고, 결합시키는 것은 용이하고, 이격시키는 것은 어렵게 된다.
도6 및 도7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도 단차돌기와 단차홈의 단면 형태가, 인접한 두 개별 매트를 결합시키는 데 필요한 측방 힘의 절대값은 이들 두 개별 매트를 이격시키는 데 필요한 측방 힘의 절대값보다 작게 되고, 결합시키는 것은 용이하고, 이격시키는 것은 어렵게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6의 실시예에서는 완경사 부분(t21, t11)이 단차돌기(29') 및 단차홈(13')의 폭 전체를 차지하고, 급경사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5의 실시예에서는 완경사 부분(t11, t21)과 급경사 부분(t12, t22)이 곡선을 이루면서 정점을 향해 점감하는 경사와 점증하는 경사를 가지지만, 도7의 실시예에서는 단차홈(13")과 단차돌기(29")의 완경사 부분(t11, t21)과 급경사 부분(t12, t22) 모두가 경사도가 일정한 직선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홈과 단차돌기의 완경사 부분과 급경사 부분의 구성은 측방 힘이 작용하여 결합을 시킬 때의 힘이 이격, 해체를 할 때 힘보다 더 작게 되는 한도에서 다른 어떤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8a 내지 도8c와 도9a 내지 도9c는 앞선 도5 내지 도7의 각각의 실시예의 돌기 선단부(14)의 모서리 부분을 각진 모서리 대신에 모따기 형태(141)로 처리를 하여 인접한 두 패드가 결합될 때 각진 모서리 부분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결합을 방해하는 일이 더욱 없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물론 이런 다른 실시예들에서 결합을 위한 돌기의 모따기 형태(141)로 처리된 선단 부분은 실시예에 따라 라운드 형태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런 처리된 선단 부분에 맞게 인접한 개별 패드의 대응되는 홈에는 도8c와 같이 원래의 돌기의 선단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코너 부분이 모따기 형태(141)나 라운드 형태에 맞는 모따기 정합부(291) 혹은 라운드 정합부로 형성될 수 있고, 도9c와 같이 그대로 각진 코너부를 이룰 수도 있다.
도8b, 도9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별 매트의 돌기 선단을 모따기 형태나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서로 인접된 개별 매트를 같은 바닥면에 놓고 조립할 때 혹은 결합시킬 때 바닥 평면상에서 살짝 밀어주기만 해도 제품이 모따기나 라운드 부분의 경사를 따라서 단차 돌기를 쉽게 넘어가 걸리는 일이 없이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즉, 도11과 같이 시공할 때 개별 매트 4장이 4각 형상으로 조립되는 부분에서 이미 결합된 3장의 개별 매트에 대해 하나의 개별 매트를 추가로 결합할 때 하나의 개별 매트에 직접 닿는 인접한 2개의 개별 매트를 바닥에 고정해 놓은 상태에서도 조립이 수월하게 된다.
한편, 개별 매트 선단의 모서리를 라운드 형태나 모따기 형태로 만드는 경우, 금형에서 개별 매트 제품이 성형될 때 원료의 흐름이 라운드나 모따기가 이루는 경사진 금형 면을 따라서 흐르므로 원료의 흐름성이 좋아 성형이 잘되고 성형 과정에서의 불량이 적어지며, 제품을 금형에서 꺼낼때에 경사된 형상들 때문에 금형에서 탈형이 쉽게 되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한편, 3장의 매트에 새로 추가 결합되는 한 장의 매트는 도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바닥 평면에서 대략 45도 방향으로 접근하여 결합되는 것이므로, 도8b, 도9b, 도10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별 매트에서 평면도 상의 돌기 부분의 양쪽 모서리 혹은 측변(둥근 원으로 표시된 부분)도 45도 각도로 경사나 라운드를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돌기에 정합되는 홈도 평면도 상에서 양쪽 측변이 45도 경사나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모난 부분이 서로 걸려 조립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2 및 도13은 앞선 실시예의 개별 매트와 다른 형태의 홈(37) 및 돌기(31)를 가지는 개별 매트(30)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위쪽 변과 좌측 변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전체 변 구간에 걸쳐 돌기(31)가, 아래쪽 변과 우측 변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전체 변 구간에 걸쳐 홈(37)이 설치되어 있다. 돌기(31)와 돌기(31)에 형성된 단차홈(33), 단차홈턱 또는 돌출턱(35)과, 홈(37)과 홈(37)에 형성된 단차돌기(39)의 형태 특성에는 실질적인 차이는 없고, 같은 형태의 개별 매트를 결합시켜 전체 조립식 매트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별다른 차이는 없다.
단, 여기서는 단차홈(33)의 양단뿐 아니라 중간에도 돌출턱(35)이 형성되고 단차돌기(39)의 길이 방향 중간에 돌출턱(35)에 대응하는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다는 형태적 차이가 있다.
여기서도 단차홈(33) 및 단차돌기(39)는 개별 매트를 좌우 방향으로 자른 수직 단면인 측방 단면에서 볼 때 도7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좌우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져, 매트 설치 평면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근접시켜 체결할 때에 인접한 개별 매트에서 서로 체결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이 서로 상대적으로 쉽게 체결되고,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이격시켜 해체할 때에 서로 체결되는 단차돌기 및 단차홈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해체되도록 이루어진다.
돌기(31)의 단차홈(33)에서, 도7과 같은 단면도에서의 저점은 도12 및 도13에서는 단차홈(33) 내의 단차홈 길이 방향과 평행한 하나의 선으로 표시되며, 단차홈의 전체 폭은 이 선을 기준으로 볼 때 완경사 부분은 넓은 폭을, 급경사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단차돌기(39)의 도7과 같은 단면도에서의 정점은 도12 및 도13에서는 단차돌기(39) 내의 단차돌기 길이 방향과 평행한 하나의 선으로 표시되며, 단차돌기의 전체 폭은 이 선을 기준으로 볼 때 완경사 부분은 넓은 폭을, 급경사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 표시된다.
도14 내지 도20은 앞서 설명한 도3과 같은 실시예에서의 사각형 본체부의 한 변에서의 돌기(11)를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개별 매트의 다양한 돌기들(41, 51, 61, 71, 81, 91, 101)을 나타내는 부분적 평면도이다.
비록 도시되지 않지만 이 한 변에서 돌기들(41, 51, 61, 71, 81, 91, 101)의 우측 옆에는 도3에서의 홈(17)과 같은 위치에 형태상으로 이 홈(17)을 대체하여 돌기들(41, 51, 61, 71, 81, 91, 101)의 형태와 정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 홈들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돌기(41, 51, 61, 71, 81, 91, 101) 각각에 있어서도 인접한 두 개별 매트 조립시의 수평방향으로의 이격, 해체를 어렵게 하는 단차홈(43, 53, 63, 73, 83, 93, 103)이 형성된다. 단차홈은 도16이나 도18과 같은 단순한 선형 혹은 긴 직사각형 형태의 단차홈(63, 83)이 될 수도 있지만, 도14, 도17, 도19와 같이 단차홈(43, 73, 93)의 길이 방향으로 돌기 내에서 인접한 개별 매트의 홈 공간에 설치되는 단차돌기의 움직임을 어렵게 할 수 있는 단차홈턱(45, 75, 95)이 설치된 단차홈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단차홈은 단순한 선형 혹은 직사각형이 아니고 도15와 같은 원형이나 도20과 같은 삼각형 혹은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평면을 가진 단차홈에서도 홈 저면은 완경사 부분과 급경사 부분을 가지고, 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져 정합되는 단차돌기에서도 완경사 부분과 급경사 부분을 가져 인접한 두 개별 매트의 수평방향으로의 결합은 용이하고, 수평방향으로의 이격, 해체는 어렵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개별 매트에서 재질은 폴리우레탄 폼이 주로 사용되지만 다른 합성수지 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내구성과 단가, 인체유해물질의 포함 여부 등이 재질상의 고려 요소가 될 것이다. 가령,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선 실시예에서 본체의 상면에는 폴리우레탄 폼을 커버하는 보다 단단하면서도 신축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코팅막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체를 다른 재질의 폼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른 재질의 폼과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로 된 신축성 코팅막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코팅막으로 신축성이 필요한 이유는 폴리우레탄 폼이 변형될 때 표면이 같이 변형될 수 있어야 쿠션 매트의 역할을 잘 할 수 있고, 변형되지 않으면 찢어지는 등의 자체 손상을 막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바닥면에 결합되는 코팅막이나 필름, 플레이트의 경우는 신축성이 없는 것도 가능하다.
코팅막은 상면뿐 아니라 하면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의 코팅막을 별도 특성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면에는 바닥과의 접착 점성을 높이기 위해 점성이 있는 코팅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합성수지 코팅막 외에 완충성과 소음방지 역할 강화를 위해 부직포를 개별 매트 하면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홈과 돌기가 형성되는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조립식 매트의 필요에 따라 발수성 혹은 방수성이 있는 재료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구성에서는 코팅막은 개별 매트 조립 연결부의 틈새로 음료수가 들어가는 경우, 단차홈 등에서 장시간 음료수가 측면에 닿아 본체 내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음료수를 제거할 때 쉽게 닦일 수 있도록 한다.
발수성이나 방수성 코팅막 외에 개별 매트 측면에 점성 코팅막이나 흡착성 코팅막을 사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개별 매트 사이의 결합력을 좀 더 높일 수 있으며, 작은 먼지 입자들이 개별 매트들 사이의 조립 연결부 틈새로 유입될 때 먼지 입자를 흡착, 부착시켜 먼지 입자들이 아이들 활동에 의해 다시 공기중에 퍼지고 실내 공기를 나쁘게 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가령, 실시예는 평면이 정사각형인 개별 매트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다각형으로서 평면이 정삼각형 정육각형이거나 정팔각형인 개별 매트 경우도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20, 30: 개별 매트
1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돌기
13, 23, 33, 43, 53, 63, 73, 83, 93, 103: 단차홈
14: 선단부(돌기의 선단부)
15, 35, 45, 75, 95, 105: 돌출턱
17, 27, 37: 홈 19, 29, 39: 단차돌기
1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돌기
13, 23, 33, 43, 53, 63, 73, 83, 93, 103: 단차홈
14: 선단부(돌기의 선단부)
15, 35, 45, 75, 95, 105: 돌출턱
17, 27, 37: 홈 19, 29, 39: 단차돌기
Claims (8)
- 다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용 개별 매트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의 변에 해당하는 상기 조립용 개별 매트의 측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와의 결합을 위하여 홈과 돌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설치되며,
상기 홈이나 돌기의 결합면에는 인접 개별 매트의 측면의 돌기나 홈의 결합면과 서로 정합되는 형태를 가진 단차홈 혹은 단차돌기가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자른 수직 단면인 측방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단차홈 및 단차돌기는 좌우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져 개별 매트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단차돌기의 외측은 완경사 구간을 상기 중앙에서 가까운 상기 단차돌기의 내측은 급경사 구간을 가지고,
상기 돌기의 선단(14)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141) 형태나 라운드 형태로 처리하여 인접한 두 조립용 개별 매트를 평면에서 이동시켜 결합시킬 때 상기 홈의 상기 단차돌기(29, 29', 29") 부분에 걸려 걸림턱과 같은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매트 설치 평면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근접시켜 체결할 때에 상기 단차돌기 혹은 상기 단차홈과 상대적으로 쉽게 체결되고, 상기 두 개별 매트를 측방으로 서로 이격시켜 해체할 때에 상기 단차돌기 혹은 상기 단차홈과 상대적으로 어렵게 해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개별 매트는 직사각형이고, 전체 주변부를 따라 가면서(in case of circumnavigation) 상기 홈과 상기 돌기가 번갈아 설치되며,
상기 홈 또는 상기 돌기는 같은 위상으로 바닥에 놓인 동일한 조립용 개별 매트의 상기 각 변에 인접한 변의 돌기 혹은 홈과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 제 2 항에 있어서,
각 변의 절반 구간에는 홈, 나머지 절반 구간에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 구간은 상기 단차돌기의 정점을 향해 점증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상기 변과 수직한 단면에서 곡선을 이루며,
상기 급경사 구간은 상기 단차돌기의 정점을 향해 점감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상기 변과 수직한 단면에서 곡선을 이루거나 수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단차홈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턱이 설치되고, 상기 단차돌기에는 상기 돌출턱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턱홈이 설치되어 인접한 두 개별 매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두 개별 매트가 서로 간에 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은 평면도상(위에서 볼 때)에서 상기 돌기 내에서 상기 변의 방향과 같은 선형, 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돌기는 상기 단차홈에 정합하는 형태의 선형, 원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개별 매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4751A KR102342088B1 (ko) | 2020-02-07 | 2020-02-07 | 조립용 개별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4751A KR102342088B1 (ko) | 2020-02-07 | 2020-02-07 | 조립용 개별 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0863A KR20210100863A (ko) | 2021-08-18 |
KR102342088B1 true KR102342088B1 (ko) | 2021-12-22 |
Family
ID=7746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4751A KR102342088B1 (ko) | 2020-02-07 | 2020-02-07 | 조립용 개별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20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3134B1 (ko) * | 2022-03-29 | 2023-01-02 | 주식회사 광성인더스트리 | 조립용 매트 |
KR102681764B1 (ko) * | 2022-07-29 | 2024-07-05 | 이상숙 | 조립식 매트블럭 |
KR102498058B1 (ko) * | 2022-09-07 | 2023-02-10 | 배대경 | 조립식 매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696B1 (ko) * | 2000-03-31 | 2008-06-10 | 페르고 (유럽) 에이비 |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시트형상 바닥부재로 이루어진 바닥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7026A (ja) | 2010-05-28 | 2011-12-08 | Onizawa Nobuyuki | ジョイントマット |
KR20150103416A (ko) | 2014-03-03 | 2015-09-11 |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 조립식 매트 |
KR102168339B1 (ko) * | 2018-11-28 | 2020-10-22 | 주식회사 국가대표 |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
-
2020
- 2020-02-07 KR KR1020200014751A patent/KR102342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696B1 (ko) * | 2000-03-31 | 2008-06-10 | 페르고 (유럽) 에이비 |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시트형상 바닥부재로 이루어진 바닥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0863A (ko) | 2021-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2088B1 (ko) | 조립용 개별 매트 | |
KR102168339B1 (ko) | 조립용 개별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 |
JP7350774B2 (ja) | パネル | |
KR102559702B1 (ko) | 플로어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 |
JP3850292B2 (ja) | パネルエレメント | |
US4468910A (en) | Mat module with ramp strip | |
JP2010524576A (ja) | フロアマット用のベース | |
KR20140041813A (ko) | 플로어 패널들을 위한 기계적 잠금 시스템 | |
JP7189885B2 (ja) | パネルおよびカバーリング | |
KR102278312B1 (ko) | 조립용 쿠션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 |
KR20150103416A (ko) | 조립식 매트 | |
KR20210116985A (ko) | 조립식 안전매트 | |
EP3612679A1 (en) | Fall protecting flooring element primarily for covering playgrounds and flooring composed therefrom | |
JP2015017494A (ja) | 床タイル拡張ジョイント | |
KR200497905Y1 (ko) | 조립식 타일 | |
KR20100098852A (ko) |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 |
KR20200137603A (ko) | 조립식 퍼즐 매트 | |
KR200491913Y1 (ko) |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 |
KR102541893B1 (ko) | 패널 및 커버링 | |
KR102413049B1 (ko) | 조립용 개별 매트 | |
KR102413042B1 (ko) | 조립용 개별 매트 | |
KR20160001539U (ko) | 조립식 매트 | |
KR200406670Y1 (ko) | 이중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고무 바닥재유닛 | |
CN216822705U (zh) | 一种隐藏式拼接地垫 | |
JP3092531U (ja) | ジョイントマットの端縁連結部材およびコーナー連結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