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177A - 가스홀더 - Google Patents

가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177A
KR20190041177A KR1020170132337A KR20170132337A KR20190041177A KR 20190041177 A KR20190041177 A KR 20190041177A KR 1020170132337 A KR1020170132337 A KR 1020170132337A KR 20170132337 A KR20170132337 A KR 20170132337A KR 20190041177 A KR20190041177 A KR 2019004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ston
holder
press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1016B1 (ko
Inventor
성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3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0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2Details
    • F17B1/04Sealing devices for sliding parts
    • F17B1/06Sealing devices for sliding parts using seal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2Details
    • F17B1/10Guiding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가스홀더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는 홀더몸체와, 상술한 홀더몸체내부에서 유입 가스에 대응하여 승, 하강하고, 상술한 홀더몸체의 측벽과의 접촉영역에 오일이 저장되는 피스톤유구가 마련된 피스톤과, 상술한 피스톤의 무게를 변동시켜 홀더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술한 피스톤의 상부에 안착되는 웨이트와, 상술한 홀더몸체에 배치되며, 상술한 웨이트에 의해 조정되는 상술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술한 피스톤유구에 오일을 보충하는 예비유탱크와, 상술한 홀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피스톤유구에서 월류하는 오일을 저장하는 저부유구 및 상술한 홀더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술한 저부유구에 저장된 오일을 상술한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는 펌프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술한 펌프스테이션은, 상술한 웨이트에 의해 조정되는 상술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수두압을 조정하는 수두압조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홀더{GAS HOLDER}
본 발명은 간편하게 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가스홀더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가스공급에 필수적인 설비인 가스홀더는 코크스나 용선을 생산하는 고로에서 부생적으로 발생한 가스를 수급하여, 가스의 압력 균형을 유지하여 사용공장에 안정적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소이다.
이 때, BFG. COG와 같은 부생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홀더의 압력은 피스톤 상부에 가해지는 무게에 비례될 수 있도록 설계 되어 있다.
종래의 가스홀더 시스템에 있어서, 홀더의 압력은 오직 설계시에만 설정이 가능하며 일단 설정된 압력은 영구적으로 변동이 불가능하므로, 부생가스 종류에 따른 압력이 설정된 홀더를 각각 마련하여 운전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가스홀더는 피스톤 상부에 일정한 콘크리트를 피스톤 주위에 압력에 상승하는 무게만큼의 콘크리트를 적치, 설치함으로써 피스톤의 전체 무게로 압력을 설정하며, 부생가스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설정압력을 가진 홀더를 설치하고 운용하고 있다.
한편, 홀더의 장기운용 및 고장등으로 인하여 정기수리 및 점검시에는 해당 홀더의 운전을 정지하게 되는데, 이 때 제철소 내 가스 홀더가 각 1대씩만 설치되어 있다면 제철소 전체 설비의 가동이 중지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홀더의 운전이 정지될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용 가스홀더를 구비한 최소 2대 이상의 홀더가 설치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아울러, 추가 증설된 홀더들을 운용하기에는 과다한 예산이 소요 되며, 설치 후에도 그에 따른 홀더 관리비 및 운용비가 지속적으로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홀더의 압력을 간편하게 변동시킬 수 있는 가스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력조정이 가능한 시스템 하에 부생가스 종류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가스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동된 홀더 압력에 대응하여 수두압을 조정하는 가스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 내부에서 유입 가스에 대응하여 승, 하강하고, 상기 홀더몸체의 측벽과의 접촉영역에 오일이 저장되는 피스톤유구가 마련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무게를 변동시켜 홀더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안착되는 웨이트, 상기 홀더몸체에 배치되며, 상기 조정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피스톤유구에 오일을 보충하는 예비유탱크, 상기 홀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유구에서 월류하는 오일을 저장하는 저부유구 및 상기 홀더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부유구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는 펌프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스테이션은, 상기 조정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수두압을 조정하는 수두압조정장치를 포함하는 가스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홀더몸체의 루프부에 설치된 윈치에 상시 체결한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윈치에 연결된 체인을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무게를 변동시키는 가스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펌프스테이션은, 상기 저부유구에 저장된 오일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는 유분리실과, 상기 유분리실에 저장된 오일이 이동하여 저장되는 정치실과, 상기 정치실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가스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펌프스테이션은, 상기 피스톤유구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피스톤유구 유량센서와, 피스톤유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피스톤유구 유량센서로부터 오일의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피스톤유구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이 기준치보다 많은 경우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피스톤유구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이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정치실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가스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예비유탱크는, 상기 홀더몸체와 연통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을 차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상기 조정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피스톤유구의 오일레벨이 상승되도록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가스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부유구는, 저장된 오일의 하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저부유구에 저장된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물 측정센서 및 저부유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부유구 제어부는, 상기 물 측정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부유구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물 공급배관을 제어할 수 있는 가스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두압조정장치는, 상부에 캡이 마련된 높이조정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정나사부는, 수두압이 상기 예비유탱크에 의해 보충된 상기 피스톤유구의 오일 레벨압력과 일치되도록 수위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가스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는 홀더의 압력을 간편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는 피스톤으로부터의 가스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는 설정압력이 중도에 변동되더라도 펌프스테이션의 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웨이트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펌프스테이션과 펌프스테이션에서 수두압조절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피스톤유구에 오일이 공급되는 제1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피스톤유구에 오일이 공급되는 제2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웨이트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펌프스테이션과 펌프스테이션에서 수두압(H)조절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피스톤유구에 오일이 공급되는 제1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에서 피스톤유구에 오일이 공급되는 제2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홀더는 홀더몸체(100)와,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측벽(110)과의 접촉영역에 오일(O)이 저장되는 피스톤유구(210)가 마련된 피스톤(200)과, 상술한 피스톤(200)의 무게를 변동시켜 홀더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술한 피스톤(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웨이트(201)와, 상술한 홀더몸체(100)에 배치되며, 상술한 웨이트(201)에 의해 조정되는 상술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 오일을 보충하는 예비유탱크(300)와,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서 월류하는 오일(O)을 저장하는 저부유구(130) 및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술한 저부유구(130)에 저장된 오일(O)을 상술한 예비유탱크(300)로 공급하는 펌프스테이션(400)을 포함한다. 이 때, 상술한 펌프스테이션(400)은, 상술한 웨이트(201)에 의해 조정되는 상술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수두압(H)을 조정하는 수두압조정장치(401)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해보면, 상술한 홀더몸체(100)는 원통 형태로 마련되고, 하측면에 외부와 연결되어 가스(G)가 유동하는 가스 유동관(120)이 연결된다.
피스톤(200)은 원판 형태로 마련되며, 홀더몸체(100)의 측벽(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G)에 대응하여 승강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200)에는 홀더몸체(100)의 측벽(110)과 접촉하는 영역에 오일(O)이 저장되는 피스톤유구(210)가 마련된다.
피스톤유구(210)는 피스톤(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측벽(110)과 함께 오일(O)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유구(210)에는 홀더몸체(100)의 측벽(110)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와,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 설치되고 상술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측벽(110)에 밀착 시키는 탄성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와 탄성부(230)는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피스톤(200)은 홀더몸체(100)의 측벽(110)에 밀착되는 상술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홀더몸체(100)의 측벽(110)과 상술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사이로 피스톤유구(2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O)이 유출됨으로써 상술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와 상술한 측벽(110) 사이의 마찰력을 제거하여 피스톤(200)이 상술한 홀더몸체(100) 내부에서 보다 유연하게 승강 이동하도록 한다.
홀더의 압력은 상술한 피스톤(200) 전체 무게, 즉 피스톤(200) 상부에 웨이트(201) 무게가 가해지면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웨이트(201) 무게를 제거할 경우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 도 2를 참조하면, 웨이트(201)는, 홀더몸체(100)의 루프부에 설치된 윈치(202)에 상시 체결한 상태로 마련되며, 상술한 윈치(202)에 연결된 체인을 작동시켜 피스톤(200)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피스톤(200)의 무게를 변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 압력을 상승시킬 때에는 윈치(202)에 걸려 있는 웨이트(201)를 피스톤(200) 상부에 안착시켜 홀더 압력을 상승시키고, 반대로 압력을 낮출 때에는 웨이트(201)를 취외시켜 홀더 압력이 감소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서 흘러내리는 오일(O)은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원주 방향의 측벽(110)을 따라 흘러내려 상술한 홀더몸체(100)에 저장된 가스(G)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비유탱크(300)는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비유탱크(3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정량의 오일(O)이 저장되어 있으며, 공급되는 오일(O)을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피스톤유구(210)는, 예비유탱크(300)의 수량에 대응하여 내부에 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분리하는 격벽(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유구(210)가 격벽에 의하여 4등분 되면, 예비유탱크(300)는 4개가 마련되어 상술한 분리된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의 영역에 오일(O)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부유구(130)는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하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피스톤유구(210)에서 흘러내리는 오일(O)이 저장된다.
펌프스테이션(400)은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저부유구(130)에 저장된 오일(O)을 예비유탱크(300)로 공급한다.
따라서, 예비유탱크(300)의 수량에 대응하여 펌프스테이션(400)이 상술한 예비유탱크(300) 각각과 연결되도록 상술한 예비유탱크(300)와 동일한 수량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펌프스테이션(400)은 웨이트(201)에 의해 조정되는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수두압(H)을 조정하는 수두압조정장치(401)를 구비한다.
이 때, 수두압조정장치(401)는, 상부에 캡이 마련된 높이조정나사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두압(H)이 예비유탱크(300)에 의해 보충된 피스톤유구(210)의 오일 레벨압력과 일치되도록, 높이조정나사부(402)를 조절하여 수위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스톤(200) 상부에 웨이트(201)를 취부하여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압력만큼 피스톤유구(210) 오일 레벨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압력차이로 인해 펌프스테이션(400)은 그 기능을 상실한다.
이를 보완하여 펌프스테이션(400)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수두압(H)을 상승시켜주어야 하는데, 이 때, 홀더 압력만큼 높이조정나사부(402)를 조절하여 수두압(H) 및 오일 레벨압력을 일치시킴으로써 펌프스테이션(400)의 운전을 정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펌프스테이션(400)은 저부유구(130)와 연결되어 오일(O)이 이동하고 오일(O)에 혼합된 물이 분리되는 유분리실(410)과, 상술한 유분리실(410)과 연결되고 상술한 유분리실(410)에 저장된 오일(O)이 이동하여 저장되는 정치실(420) 및 정치실(420)에 저장된 오일(O)을 상술한 예비유탱크(300)로 공급하는 펌프(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분리실(410)은 상술한 홀더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술한 저부유구(13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O)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유구(130)와 유분리실(410)에는 일정량의 물(W)이 저장되어 있다. 오일(O)과 물(W)은 밀도 차이에 의하여 물(W)이 하층, 오일(O)이 상층으로 자동으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저부유구(130)와 유분리실(410)에 물(W)을 공급하는 것은 홀더에 공급되어 이동하는 오일(O)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저부유구(130)는 저장된 오일(O)의 하부에 일정량의 물(W)이 채워지도록 물(W)을 공급하는 물 공급배관(510)과, 저부유구(130)에 저장된 물(W)의 유량을 측정하는 물 측정센서(520)와, 저부유구 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저부유구 제어부는 상술한 물 측정센서(5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술한 저부유구(130)에 일정량의 물(W)이 채워질 수 있도록 상술한 물 공급배관(510)을 제어할 수 있다.
정치실(420)은 상술한 유분리실(410)의 일부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술한 유분리실(4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O)이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펌프스테이션(400)은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 저장된 오일(O)의 유량을 측정하는 피스톤유구 유량센서(211) 및 피스톤유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상술한 피스톤유구 유량센서(211)로부터 오일(O)의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피스톤유구(210)에 저장된 오일(O)의 유량이 기준치보다 많은 경우 상술한 펌프(44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예비유탱크(300)로 오일(O)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 저장된 오일(O)의 유량이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 상술한 펌프(440)를 작동시킴으로써, 정치실(420)에 저장된 오일(O)을 상술한 예비유탱크(300)로 공급하고 항시 피스톤유구(210)에 기준치로 오일(O)이 저장될 수 있도록 피스톤유구(210)에 오일(O)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예비유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오일(O)은 홀더몸체(100)의 측벽(110)을 따라 흘러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에 저장되어, 피스톤유구(210)에 부족한 오일(O)을 보충하게 된다.
한편, 웨이트(201)를 피스톤(200)상부에 안착시킬 경우 그에 상응하는 만큼 홀더 자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피스톤유구(210)로부터 홀더 내 저장되어있는 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피스톤유구(210)에 다량의 오일(O)을 신속히 공급하여야 한다. 즉, 변동된 홀더의 압력만큼 피스톤유구(210)의 오일 레벨을 상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탱크(300)는 홀더몸체(100)와 연통되는 배관(310)과 상술한 배관(310)을 차폐하여 피스톤유구(210)로의 오일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술한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상기 밸브(320)를 작동시킴으로써, 웨이트(201)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술한 예비유탱크(300)에 저장된 오일(O)을 상술한 피스톤 유구(21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예비유탱크(300)와 홀더몸체(100) 간을 연결하는 배관(310)을 개방하여, 예비유탱크(300)에 저장되어 있던 오일(O)을 피스톤유구(210)에 공급함으로써 상술한 피스톤유구(210)의 오일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의 압력 조정을 위해서는 펌프스테이션(400) 내 수두압(H)조정장치(201)를 이용한 홀더의 설정압력 조정 및 피스톤유구(210)의 유위 조정이 선행된다.
이후, 체인을 이용하여 윈치(202)와 웨이트 안착부 고정핀(201a)을 연결한 후, 웨이트(201)를 피스톤(200) 상부의 안착대(203) 안착시키고, 이로써 홀더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웨이트(201)를 정위치에 안착시킨 후 설정하고자 하는 압력이 운전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압력계를 통해 확인하고, 설정하고자 하는 압력으로 압력이 상승되었다면 압력조정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압력 조정작업을 통해, 1대의 가스홀더 만으로도, 서로 다른 종류의 부생가스에 대해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O: 오일 G: 가스
W: 물 H: 수두압 설정 구간
100: 홀더몸체
110: 측벽
120: 가스 유동관
130: 저 부유구
200: 피스톤
201: 웨이트
202: 윈치
203: 안착대
210: 피스톤 유구
220: 슬라이드 플레이트
230: 탄성부
300: 예비유 탱크
310: 배관
320: 밸브
400: 실 오일 공급수단
401: 수두압조정장치
402: 높이조정나사부
410: 유분리실
420: 정치실
510: 물 공급배관
520: 물 측정센서

Claims (7)

  1.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의 측벽과의 접촉영역에 오일이 저장되는 피스톤유구가 마련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무게를 변동시켜 홀더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안착되는 웨이트;
    상기 조정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피스톤유구에 오일을 보충하는 예비유탱크;
    상기 홀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유구에서 월류하는 오일을 저장하는 저부유구; 및
    상기 홀더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유구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는 펌프스테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스테이션은
    상기 조정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수두압을 조정하는 수두압조정장치를 포함하는 가스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홀더몸체의 천장부에 설치된 윈치에 상시 체결한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윈치에 연결된 체인을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무게를 변동시키는 가스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스테이션은
    상기 저부유구에 저장된 오일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는 유분리실과, 상기 유분리실에 저장된 오일이 이동하여 저장되는 정치실 및 상기 정치실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가스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스테이션은
    상기 피스톤유구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피스톤유구 유량센서와, 피스톤유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피스톤유구 유량센서로부터 오일의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피스톤유구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이 기준치보다 많은 경우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피스톤유구에 저장된 오일의 유량이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정치실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예비유탱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가스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유탱크는
    상기 홀더몸체와 연통되어 상기 예비유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피스톤유구에 공급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을 차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유구 제어부는
    상기 조정된 홀더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피스톤유구의 오일레벨이 상승되도록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가스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유구는
    저장된 오일의 하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저부유구에 저장된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물 측정센서 및 저부유구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부유구 제어부는
    상기 물 측정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부유구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물 공급배관을 제어하는 가스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두압조정장치는
    상부에 캡이 마련된 높이조정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정나사부는
    상기 예비유탱크에 의해 보충된 상기 피스톤유구의 오일 레벨과 수두압이 일치하도록 수위 레벨을 조정하는 가스홀더.

KR1020170132337A 2017-10-12 2017-10-12 가스홀더 KR10199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37A KR101991016B1 (ko) 2017-10-12 2017-10-12 가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37A KR101991016B1 (ko) 2017-10-12 2017-10-12 가스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77A true KR20190041177A (ko) 2019-04-22
KR101991016B1 KR101991016B1 (ko) 2019-06-19

Family

ID=6628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337A KR101991016B1 (ko) 2017-10-12 2017-10-12 가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3161A1 (en) 2019-04-09 2020-10-1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eparator, lithium metal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having solid superacid coating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00B1 (ko) 2020-10-28 2021-03-25 주식회사 서정개발 가스팩에 의한 가스 차단 방식의 가스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377A (ja) * 2005-01-14 2006-07-27 Toyo Tire & Rubber Co Ltd 球形ガスホルダー
JP2010196787A (ja) * 2009-02-25 2010-09-09 Nippon Steel Corp シール油劣化防止方法及びガスホルダー装置
KR20160078811A (ko)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홀더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377A (ja) * 2005-01-14 2006-07-27 Toyo Tire & Rubber Co Ltd 球形ガスホルダー
JP2010196787A (ja) * 2009-02-25 2010-09-09 Nippon Steel Corp シール油劣化防止方法及びガスホルダー装置
KR20160078811A (ko) *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홀더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3161A1 (en) 2019-04-09 2020-10-1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eparator, lithium metal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having solid superacid coating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016B1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392A (en) Air regulation system for hydropneumatic reservoir
KR101647232B1 (ko) 가스홀더 및 그 제어방법
KR101991016B1 (ko) 가스홀더
US4304526A (en) Well system and flow control tank
EP0477811B1 (en) Liquid delivery system
US20070205214A1 (en) Liquid dispense system
KR101033847B1 (ko) 비례제어식 팽창수자동밸브를 이용한 팽창탱크시스템
US5868280A (en) Bladderless precharged pressurized liquid delivery system
KR100820362B1 (ko) 약액 공급장치
KR101940044B1 (ko) 감세조 밸브 시스템
US4301824A (en) Sump level maintenance system
KR102303610B1 (ko) 케미컬 공급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00032709A (ko) 자동정압밸브
KR100673683B1 (ko) 부력체를 이용한 자동 액체 공급 장치
CN116449878A (zh) 流量控制装置和自动补液系统
KR20050007256A (ko) 배수수조
US4960152A (en) Device for compensating by supplying a measured amount of fluid and its application for replenishing a hydraulic circuit
JP2010013174A (ja) タンク排気のシールポット構造
CN107023053B (zh) 一种具有双液位进补水功能的控制水箱
JPS63230419A (ja) 立形ハイドロホイストの運転方法
KR20100055576A (ko) 자동정압밸브
KR200158178Y1 (ko) 배터리액 보충장치
US2016229A (en) Boiler feed water regulator and like apparatus for regulating liquid levels
KR102043238B1 (ko) 액체 공급 장치
JP4533699B2 (ja) 液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