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839A -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839A
KR20190040839A KR1020170131673A KR20170131673A KR20190040839A KR 20190040839 A KR20190040839 A KR 20190040839A KR 1020170131673 A KR1020170131673 A KR 1020170131673A KR 20170131673 A KR20170131673 A KR 20170131673A KR 20190040839 A KR20190040839 A KR 20190040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sm
sensor chip
fix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634B1 (ko
Inventor
이문근
정순우
이경균
배남호
이태재
이석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3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634B1/ko
Priority to PCT/KR2017/011273 priority patent/WO2019074140A1/ko
Publication of KR2019004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01N21/211Ellips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01N21/211Ellipsometry
    • G01N2021/212Arrangement with total internal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133Refractometers, e.g. differential
    • G01N2021/414Correcting temperature effect in refract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유체채널의 기밀성이 우수하고, 센서칩유닛이 쉽게 분리되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타겟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유체채널이 형성된 필름형유닛; 상기 필름형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광학 프리즘으로 이루어진 프리즘유닛; 상기 필름형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표면에 상기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반응물질이 고정된 센서칩유닛;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프리즘유닛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프리즘고정유닛; 및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센서칩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고정유닛 및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은 상기 필름형유닛, 상기 프리즘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이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MULTI-CHANNEL MICROCHANNEL MEASUR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PLACE SENSOR CHIP UNIT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유체채널의 기밀성이 우수하고, 센서칩유닛이 쉽게 분리되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사율 측정법(Reflectometry)과 타원계측법(Ellipsometry)은 시료의 표면에서 반사한 반사광의 반사율 변화 또는 편광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분석함으로써 시료의 두께나 광학적 물성을 찾아내는 광분석기술이다.
이를 이용한 계측장비로서 반사율 측정기(Reflectometer)와 타원계측기(Ellipsometer)가 있다. 이들은 반도체산업의 나노 박막 제조공정에서 다양한 나노수준의 박막 두께와 물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산업으로 그 활용범위를 넓혀 단백질, DNA, 바이러스, 신약물질 등과 같은 바이오물질의 계면 분석에 응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센서 분야에서는, 프리즘과 실리콘 센서칩 사이에 미세유로를 형성하는 어셈블리의 개발도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셈블리는 미세유체 채널의 기밀성 확보를 위해, 프리즘, 실리콘 센서칩 사이에 접착제로 실링을 하여 일체화시켰다. 따라서, 종래의 어셈블리는 실리콘 칩과 프리즘이 분리가 어려워 실험 후에, 실리콘 센서칩과 프리즘을 모두 교체해야만 했다.
따라서, 기밀성이 우수하되, 실리콘 센서칩과 프리즘이 쉽게 분리되어 실리콘 센서칩만 선택해서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인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5328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유체채널의 기밀성이 우수하고, 센서칩유닛이 쉽게 분리되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타겟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유체채널이 형성된 필름형유닛; 상기 필름형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광학 프리즘으로 이루어진 프리즘유닛; 상기 필름형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표면에 상기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반응물질이 고정된 센서칩유닛;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프리즘유닛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프리즘고정유닛; 및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센서칩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고정유닛 및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은 상기 필름형유닛, 상기 프리즘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이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유닛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미세유체필름; 및 상기 미세유체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 미세유체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며, 광학 프리즘으로 형성된 프리즘본체; 상기 프리즘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입사면; 및 상기 프리즘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광이 들어오고, 상기 반사면으로 반사광이 나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및 상기 반사면은, 25도 내지 35도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유닛은, 상기 프리즘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입사면의 하측에 형성된 시료주입구; 및 상기 프리즘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면의 하측에 형성된 시료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료주입구 및 상기 시료배출구는, 상기 미세유체채널과 연결되도록 상기 프리즘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은, 상기 프리즘유닛이 안착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되게 위치하며, 상기 프리즘유닛이 안착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리즘유닛을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프리즘유닛의 일측면과 밀착되도록 마련된 제1고정체; 상기 프리즘유닛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제1 고정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연장체; 및 상기 프리즘유닛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1 고정체의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1 안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입사면을 향해 내리막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제1 광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시료주입구와 연결된 제1 이송유로; 및 상기 제1 연장체에 삽입되어 일측은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이송유로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제1 튜브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프리즘유닛의 타측면과 밀착되도록 마련된 제2고정체; 상기 프리즘유닛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제2 고정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연장체; 및 상기 프리즘유닛의 타측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2 고정체의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2 안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반사면을 향해 내리막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제2 광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시료배출구와 연결된 제2 이송유로; 및 상기 제2 연장체에 삽입되어 일측은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이송유로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제2 튜브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상부고정체; 및 한 쌍의 상기 제1 상부 고정체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2 상부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고정체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상부고정체는 상기 프리즘유닛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센서칩고정체; 및 상기 센서칩고정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이 안착되는 센서칩돌출체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을 상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돌출체,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의 제1 안착체 및 제2 안착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칩돌출체,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의 두께는 상기 제1 안착체 및 상기 제2 안착체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유닛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편광검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검출유닛은, 상기 프리즘유닛의 입사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편광시키는 편광자;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편광자에 평행광을 제공하는 렌즈부; 상기 프리즘유닛의 반사면을 통과한 상기 반사광을 편광시키는 검광자; 편광된 상기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를 적용한 바이오 센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필름형유닛에 시료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에 포함된 타겟물질과 상기 센서칩유닛에 고정된 반응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프리즘유닛에 광을 조사하여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필름형유닛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을 분리하여 상기 센서칩유닛을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센서칩고정유닛과 프리즘고정유닛은,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마련되어 기밀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칩고정유닛의 밀착을 해제하면, 센서칩유닛을 즉시 분리해낼 수 있어, 실험 후,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종래에는 실험 후, 센서칩유닛과 프리즘유닛을 동시에 교체해야만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 후, 센서칩유닛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광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유닛, 프리즘유닛 및 센서칩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1000)는 필름형유닛(1100), 프리즘유닛(1200), 센서칩유닛(1300), 프리즘고정유닛(1400), 센서칩고정유닛(1500) 및 편광검출유닛(16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1000)는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 및 상기 센서칩고정유닛(1500)은 상기 필름형유닛(1100), 상기 프리즘유닛(1200) 및 상기 센서칩유닛(1300)이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유닛(1100)은 미세유체필름(1110) 및 미세유체채널(1120)을 포함하며, 상기 타겟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세유체필름(111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유체필름(1110)은 연질의 폴리머(polymer),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유체필름(1110)의 두께는 1mm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은 타겟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미세유체필름(1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은 주입된 상기 시료용액이 상기 센서칩유닛(1300)의 표면에 고정된 반응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유닛(1200)은 상기 필름형유닛(1100)의 상부에 마련되며, 광학 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게하게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은 프리즘본체(1210), 입사면(1220), 반사면(1230), 시료주입구(1240) 및 시료배출구(12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즘본체(1210)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몸체를 형성하며, 광학 프리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즘본체(1210)는 유리 등의 광학특성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1220)은 상기 프리즘본체(12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230)은 상기 프리즘본체(12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입사면(1220)은 입사광이 들어오고, 상기 반사면(1230)은 반사광이 나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사면(1220) 및 상기 반사면(1230)은, 25도 내지 35도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시료주입구(1240)는 상기 프리즘본체(121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입사면(12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배출구(1250)는 상기 프리즘본체(1210)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면(12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시료주입구(1240) 및 상기 시료배출구(1250)는,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과 연결되도록 상기 프리즘본체(12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료주입구(1240) 및 상기 시료배출구(1250)는 각각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칩유닛(1300)은 상기 필름형유닛(1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표면에 상기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반응물질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물질은 바이오물질 또는 화학물질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은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및 상기 프리즘유닛(1200)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되며, 제1 고정부(1410), 제2 고정부(1420) 및 상부고정부(1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1410)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제1 고정체(1411), 제1 연장체(1412), 제1 안착체(1413), 제1 광안내면(1414), 제1 이송유로(1415), 제1 튜브연결구(1416), 제1 나사홀(141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체(1411)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일측면과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연장체(1412)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고정체(14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제1 연장체(1412)는 상기 제1고정체(141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일측면과 이웃하고 있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체(1413)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일측면이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 고정체(1411)의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착체(1413)는 상부에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일측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체(1411)로부터 상기 제2 고정부(14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착체(1413)는 상기 제1 고정체(1411)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안내면(1414)은 상기 제1 고정체(141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입사면(1220)을 향해 내리막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광안내면(1414)은 상기 입사면(1220)을 향해 광이 조사되어 광이 입사될 때, 조사된 광이 상기 제1 고정체(1411)에 의해 상기 입사면(1220)에 도달하기 전에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유로(1415)는 상기 제1 고정체(14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시료주입구(12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유로(1415)와 상기 시료주입구(1240) 사이에는 씰링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씰링체는 고무링을 포함하며, 상기 씰링체는 상기 시료주입구(1240)와 상기 이송유로(1415) 사이에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연결구(1416)는 상기 제1 연장체(1412)에 삽입되어 일측은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이송유로(1415)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연결구(14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1 연장체(1412)에 연결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홀(1417)은 상기 제1 연장체(141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420)는 상기 제1 고정부(1410)와 대향되게 위치하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이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1420)는 제2 고정체(1421), 제2 연장체(1422), 제2 안착체, 제2 광안내면(1424), 제2 이송유로(1425), 제2 튜브연결구(1426), 제2 나사홀(1427)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체(1421)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타측면과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연장체(1422)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고정체(142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제2 연장체(1422)는 상기 제2고정체(142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타측면과 이웃하고 있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체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타측면이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2 고정체(1421)의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안착체는 상부에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타측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체(1421)로부터 상기 제1 고정부(1410)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안착체는 상기 제2 고정체(1421)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안내면(1424)은 상기 제2 고정체(142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반사면(1230)을 향해 내리막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2 광안내면(1424)은 상기 반사면(1230)을 통해 반사되는 광이, 상기 제2 고정체(1421)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유로(1425)는 상기 제2 고정체(142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시료배출구(12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유로(1425)와 상기 시료배출구(1250) 사이에는 씰링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씰링체는 고무링을 포함하며, 상기 씰링체는 상기 시료배출구(1250)와 상기 이송유로(1425) 사이에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연결구(1426)는 상기 제2 연장체(1422)에 삽입되어 일측은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이송유로(1425)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튜브연결구(14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2 연장체(1422)에 연결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홀(1427)은 상기 제2 연장체(142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1430)는 상기 제1고정부(1410) 및 상기 제2 고정부(14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리즘유닛(1200)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며, 제1 상부고정체(1431), 제2 상부고정체(14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는 상기 제1 고정부(1410)와 상기 제2 고정부(142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는 상기 제1 고정부(1410)의 상기 제1 연장체(1412)와 이에 대향된 상기 제2 고정부(1420)의 제2 연장체(1412)의 상부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의 양단측에는 상기 제1 나사홀(1417) 및 상기 제2 나사홀(1427)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나사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는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제1 연장체(1412) 및 상기 제2 연장체(1412)의 상부에 마련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고정체(1432)는 한 쌍의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고정체(1432)는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가 상기 제1 고정부(1410) 및 상기 제2 고정부(1420)에 결합될 때, 상기 프리즘유닛(1200)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부고정체(1431)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나사연결홀에는 상부고정나사(143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나사(1433)는 상기 나사연결홀과 상기 제1 나사홀(1417), 그리고, 상기 나사연결홀과 상기 제2 나사홀(1427)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나사(1433)가 상기 제1 나사홀(1417) 및 상기 제2 나사홀(1427)에 삽입되어 조여질수록, 상기 제2 상부고정체(1432)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프리즘유닛(1200)을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고정나사(1433)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프리즘유닛(1200)과 상기 필름형유닛(1100) 사이의 밀착도가 변화하며, 이에 따라, 기밀성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형유닛(1100)과 상기 프리즘유닛(1200) 사이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상부고정나사(1433)를 더욱 조여 간편하게 누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칩고정유닛(1500)은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및 상기 센서칩유닛(1300)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되며, 센서칩고정체(1510) 및 센서칩돌출체(152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는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는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의 하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면 테두리부분이 상기 제1 안착체(1413) 및 상기 제2 안착체(1423)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의 하면과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의 하면은 단차가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에는 복수의 센서칩나사홀(15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칩나사홀(1530)에는 하부고정나사(1540)가 삽입되어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에는 미리 상기 센서칩나사홀(15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센서칩돌출체(1520)는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및 상기 센서칩유닛(1300)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칩돌출체(1520)는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및 상기 센서칩유닛(1300)을 상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칩돌출체(1520),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및 상기 센서칩유닛(1300)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의 상기 제1 안착체(1413) 및 제2 안착체(1423)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칩돌출체(1520), 상기 필름형유닛(1100) 및 상기 센서칩유닛(1300)의 두께는 상기 제1 안착체(1413) 및 상기 제2 안착체(1423)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센서칩돌출체(1520)는 상기 하부고정나사(1540)가 상기 센서칩고정체(1510)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에 마련된 나사홀에 삽입되어 조여질수록 상기 센서칩유닛(1300) 및 상기 필름형유닛(1100)을 가압하여 상기 센서칩유닛(1300) 및 상기 필름형유닛(1100)을 상기 프리즘유닛(12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나사(1433) 및 상기 하부고정나사(1540)를 조이는 것으로 상기 필름형유닛(1110), 상기 프리즘유닛(1200), 상기 센서칩유닛(1300) 사이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실험 후, 상기 센서칩유닛(1300)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상기 하부곶어나사(1540)를 풀어서, 상기 센서칩고정유닛(1500)을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센서칩유닛(130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1300)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광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편광검출유닛(1600)은 상기 프리즘유닛(1200)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편광검출유닛(1600)은 광원부(1610), 상기 렌즈부(1620), 상기 편광자(1630), 상기 검광자(1640) 및 상기 광검출부(165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610)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입사면(1220)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렌즈부(1620)는 상기 광원부(1610)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편광자(1620)에 평행광을 제공하도록 상기 광원부(1610)와 상기 편광자(16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1630)는 상기 광원부(1610)로부터 조사된 광을 편광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검광자(1640)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반사면(1230)을 통과한 상기 반사광을 편광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검출부(1650)는 편광된 상기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기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1000)는 신약 개발을 위한 실험 장비인 바이오 센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1000)의 측정방법은, 먼저, 상기 필름형유닛에 시료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에 포함된 타겟물질과 상기 센서칩유닛에 고정된 반응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유닛에 시료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에 포함된 타겟물질과 상기 센서칩유닛에 고정된 반응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S110)에서, 상기 제1 튜브연결구(1416)에 튜브(미도시)가 연결되어 시료용액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튜브연결구(1416)에 주입된 시료용액은 상기 제1 이송유로(1415), 상기 시료주입구(1240)를 통과하여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로 이송된 상기 시료용액에 포함된 상기 타겟물질은 은 상기 센서칩유닛(1300)에 고정된 상기 반응물질과 반응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유닛에 시료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에 포함된 타겟물질과 상기 센서칩유닛에 고정된 반응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S110) 이후에는, 상기 프리즘유닛에 광을 조사하여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유닛에 광을 조사하여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편광검출유닛(1600)의 상기 광원부(1610)는 상기 프리즘유닛(1200)의 입사면(1220)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조사된 광은 상기 렌즈부(1620)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변화하며, 상기 평행광은 상기 편광자(1630)를 통과하여 편광될 수 있다. 이처럼 편광된 광은 상기 입사면(1220)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즘고정유닛(1400)에는 제1 광안내면(1414)이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1220)에 입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사면(1220)을 통해 입사된 입사광은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에 위치한 유체에 반사되며, 상기 유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은 상기 반사면(1230)을 통해 상기 검광자(1640)로 이동하여 편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광자(1640)에서 편광된 반사광은 상기 광검출부(1650)에서 편광변화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광검출부(1650)는 상기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여 광학데이터를 얻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검출부(1650)에는 반사율 측정법 및 타원계측법을 이용하여 해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광학데이터를 추출 및 해석하여 시료용액의 흡착농도, 흡착층의 두께, 흡착상수, 해리상수, 굴절률 등과 같은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유닛에 광을 조사하여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단계(S120) 이후에는, 상기 필름형유닛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을 배출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유닛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을 배출하는 단계(S130)에서, 상기 제1 튜브연결구(1416)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튜브연결구(1416)에 주입된 공기는 상기 제1 이송유로(1415), 상기 시료주입구(1240)를 통과하여 상기 미세유체채널(1120)에 위치한 상기 시료용액을 상기 시료배출구(1250), 상기 제2 이송유로(1425), 상기 제2 튜브연결구(1426)로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형유닛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을 배출하는 단계(S130) 이후에는,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을 분리하여 상기 센서칩유닛을 교체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을 분리하여 상기 센서칩유닛을 교체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을 분리하여 반응이 완료된 반응물질이 고정된 상기 센서칩유닛(1300)을 제거하고, 반응물질이 고정된 새로운 센서칩유닛(1300)을 상기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1000)에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100: 필름형유닛 1110: 미세유체필름
1120: 미세유체채널 1200: 프리즘유닛
1210: 프리즘본체 1220: 입사면
1230: 반사면 1240: 시료주입구
1250: 시료배출구 1300: 센서칩유닛
1400: 프리즘고정유닛 1410: 제1 고정부
1411: 제1 고정체 1412: 제1 연장체
1413: 제1 안착체 1414: 제1 광안내면
1415: 제1 이송유로 1416: 제1 튜브연결구
1417: 제1 나사홀 1420: 제2 고정부
1421: 제2 고정체 1422: 제2 연장체
1424: 제2 광안내면 1425: 제2 이송유로
1426: 제2 튜브연결구 1427: 제2 나사홀
1430: 상부고정부 1431: 제1 상부고정체
1432: 제2 상부고정체 1433: 상부고정나사
1500: 센서칩고정유닛 1510: 센서칩고정체
1520: 센서칩돌출체 1530: 센서칩나사홀
1540: 하부고정나사 1600: 편광검출유닛
1610: 광원부 1620: 렌즈부
1630: 편광자 1640: 검광자
1650: 광검출부

Claims (20)

  1. 타겟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유체채널이 형성된 필름형유닛;
    상기 필름형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광학 프리즘으로 이루어진 프리즘유닛;
    상기 필름형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표면에 상기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반응물질이 고정된 센서칩유닛;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프리즘유닛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프리즘고정유닛; 및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을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센서칩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고정유닛 및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은 상기 필름형유닛, 상기 프리즘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이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유닛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미세유체필름; 및
    상기 미세유체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 미세유체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며, 광학 프리즘으로 형성된 프리즘본체;
    상기 프리즘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입사면; 및
    상기 프리즘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광이 들어오고, 상기 반사면으로 반사광이 나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및 상기 반사면은, 25도 내지 35도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유닛은,
    상기 프리즘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입사면의 하측에 형성된 시료주입구; 및
    상기 프리즘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면의 하측에 형성된 시료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료주입구 및 상기 시료배출구는, 상기 미세유체채널과 연결되도록 상기 프리즘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은,
    상기 프리즘유닛이 안착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되게 위치하며, 상기 프리즘유닛이 안착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리즘유닛을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프리즘유닛의 일측면과 밀착되도록 마련된 제1고정체;
    상기 프리즘유닛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제1 고정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연장체; 및
    상기 프리즘유닛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1 고정체의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1 안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입사면을 향해 내리막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제1 광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시료주입구와 연결된 제1 이송유로; 및
    상기 제1 연장체에 삽입되어 일측은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이송유로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제1 튜브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프리즘유닛의 타측면과 밀착되도록 마련된 제2고정체;
    상기 프리즘유닛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양측면을 감싸도록 제2 고정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연장체; 및
    상기 프리즘유닛의 타측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2 고정체의 내측 방향으로 단차 형성된 제2 안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반사면을 향해 내리막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 제2 광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유닛의 시료배출구와 연결된 제2 이송유로; 및
    상기 제2 연장체에 삽입되어 일측은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이송유로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제2 튜브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상부고정체; 및
    한 쌍의 상기 제1 상부 고정체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2 상부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고정체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상부고정체는 상기 프리즘유닛을 하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센서칩고정체; 및
    상기 센서칩고정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이 안착되는 센서칩돌출체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을 상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돌출체,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은 상기 프리즘고정유닛의 제1 안착체 및 제2 안착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칩돌출체, 상기 필름형유닛 및 상기 센서칩유닛의 두께는 상기 제1 안착체 및 상기 제2 안착체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유닛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편광검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검출유닛은,
    상기 프리즘유닛의 입사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편광시키는 편광자;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편광자에 평행광을 제공하는 렌즈부;
    상기 프리즘유닛의 반사면을 통과한 상기 반사광을 편광시키는 검광자;
    편광된 상기 반사광의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18. 제 1 항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를 적용한 바이오 센서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따른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필름형유닛에 시료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에 포함된 타겟물질과 상기 센서칩유닛에 고정된 반응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프리즘유닛에 광을 조사하여 편광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필름형유닛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용액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센서칩고정유닛을 분리하여 상기 센서칩유닛을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의 측정방법.
KR1020170131673A 2017-10-11 2017-10-11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KR10197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673A KR101971634B1 (ko) 2017-10-11 2017-10-11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PCT/KR2017/011273 WO2019074140A1 (ko) 2017-10-11 2017-10-12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673A KR101971634B1 (ko) 2017-10-11 2017-10-11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839A true KR20190040839A (ko) 2019-04-19
KR101971634B1 KR101971634B1 (ko) 2019-04-23

Family

ID=6610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673A KR101971634B1 (ko) 2017-10-11 2017-10-11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1634B1 (ko)
WO (1) WO20190741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21A (ko) * 2019-07-16 2021-01-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28165B1 (ko) * 2021-05-25 2021-11-17 마이크로어낼리시스 (주) 유체 시료 분석을 위한 광학 검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732A (ja) * 1998-08-24 2000-03-03 Nippon Laser Denshi Kk 表面プラズモン共鳴角検出装置及び試料温度制御方法
JP2002214134A (ja) * 2001-01-24 2002-07-31 Hachinohe National College Of Technology Spr測定用試料セルおよびセルホルダ
JP2011196716A (ja) * 2010-03-17 2011-10-06 Omron Corp 流路チップ及び治具
KR101105328B1 (ko) 2009-11-23 2012-01-1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분자 흡착 및 해리 동특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14007134A1 (ja) * 2012-07-05 2014-01-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センサーチップ
KR101383652B1 (ko) * 2012-10-15 2014-04-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분자접합특성 및 완충용액 굴절률 동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732A (ja) * 1998-08-24 2000-03-03 Nippon Laser Denshi Kk 表面プラズモン共鳴角検出装置及び試料温度制御方法
JP2002214134A (ja) * 2001-01-24 2002-07-31 Hachinohe National College Of Technology Spr測定用試料セルおよびセルホルダ
KR101105328B1 (ko) 2009-11-23 2012-01-1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분자 흡착 및 해리 동특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2011196716A (ja) * 2010-03-17 2011-10-06 Omron Corp 流路チップ及び治具
WO2014007134A1 (ja) * 2012-07-05 2014-01-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センサーチップ
KR101383652B1 (ko) * 2012-10-15 2014-04-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분자접합특성 및 완충용액 굴절률 동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21A (ko) * 2019-07-16 2021-01-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28165B1 (ko) * 2021-05-25 2021-11-17 마이크로어낼리시스 (주) 유체 시료 분석을 위한 광학 검출 장치
WO2022250353A1 (ko) * 2021-05-25 2022-12-01 마이크로어낼리시스 (주) 유체 시료 분석을 위한 광학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140A1 (ko) 2019-04-18
KR101971634B1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52B1 (ko) 분자접합특성 및 완충용액 굴절률 동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5764356A (en) Trace liquid detecting and analyzing device
KR101105328B1 (ko) 분자 흡착 및 해리 동특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7515259B2 (en) Flow cell for optical detector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08309785A (ja) 減衰全反射センサー
KR101971634B1 (ko) 센서칩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다채널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KR101884091B1 (ko) 사다리꼴 입사구조 프리즘 입사형 실리콘 기반 액침 미세유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14585883A (zh) 流体中蛋白质浓度的测定
JP6483834B2 (ja) 傾斜入射構造、プリズム入射型、シリコン基盤の液浸微細流路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06194624A (ja) 流路部材及びセンサユニット
KR101992861B1 (ko) 미세유로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4102217A (ja) 測定システム
US20060233667A1 (en) Joint-diagnostic spectroscopic and biosensor apparatus
TWI334925B (ko)
JP4485959B2 (ja) センサユニット
US10996161B2 (en) Sample receptacle for spectrophotometry
US10775307B2 (en) Optical fiber fluorescence detection device
JP6805392B2 (ja) マイクロ流体装置
US202301681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ulti-reflection solution immersed silicon-based microchannel measurement
US20070132241A1 (en) Coupling with layered sealing
JP2006242857A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147952B2 (ja) クロマトグラフ用検出器
WO2020217356A1 (ja) クロマトグラフィ検出器用フローセルおよびクロマトグラフィ検出器
JP2006189398A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試料の測定方法
KR20240056104A (ko) 플로우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