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283A - 원심 분리기의 제어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기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283A
KR20190040283A KR1020197008013A KR20197008013A KR20190040283A KR 20190040283 A KR20190040283 A KR 20190040283A KR 1020197008013 A KR1020197008013 A KR 1020197008013A KR 20197008013 A KR20197008013 A KR 20197008013A KR 20190040283 A KR20190040283 A KR 20190040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gas
different
centrifuge
internal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트스 에케로트
마그누스 비데
Original Assignee
알프덱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덱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프덱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9004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8Centrifuge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gaseous m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2Centrifuges in which rotors other than bowls generate centrifugal effects in stationary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02Electric m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10Control of the drive; Speed regu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2Centrifuges in which rotors other than bowls generate centrifugal effects in stationary containers
    • B04B2005/125Centrifuges in which rotors other than bowls generate centrifugal effects in stationary containers the rotors comprising separatin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22Separating oil and gas with a centrifu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1)를 제공한다. 원심 분리기(1)는, 가스 유동이 허용된 분리 공간(3)을 에워싸는 고정 케이싱(2), 고정 케이싱(2)을 통해 연장되고 세정될 가스의 공급을 허용하는 가스 유입구(17), 상기 분리 공간(3)에 배열된 복수의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회전 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회전 부재(7), 세정된 가스의 배출을 허용하고 고정 케이싱(2)의 벽을 통하는 유출구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스 유출구(30), 세정될 가스로부터 분리되는 액체 불순물의 배출을 허용하는 배수구(29) 및 회전 부재(7)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23)를 포함한다. 원심 분리기(1)는, 전기 모터(23)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기 모터(23)를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로 구동하고, 적어도, 전기 모터(23)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추가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28)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심 분리기의 제어
본 발명은, 액체 불순물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일 입자로부터 연소 기관의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세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밀도를 갖는 유체의 혼합물은 원심 분리기의 사용을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분리기의 하나의 구체적인 용도는, 내연 기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배기된 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것이다.
분리기의 이러한 구체적인 용도와 관련하여,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서 발견되는 고압 가스가, 연관된 피스톤 링을 지나 엔진의 크랭크케이스 내로 누설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크랭크케이스 내로의 가스의 이러한 지속적인 누출은, 크랭크케이스 내의 압력의 바람직하지 않은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케이싱으로부터 가스를 배기할 필요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배기된 그러한 가스는 전형적으로, 소정의 양의 엔진 오일을 (액적 또는 미세 증기 상태로) 운반하는데, 이는 크랭크케이스에 보유된 오일의 저장조로부터 픽업된다.
배기된 가스가, 원치 않는 오일을 또한 도입하지 않고 유입구 시스템 내로(특히, 압축기의 효율이 오일의 존재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터보차징 시스템 내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가스가 유입구 시스템 내로 도입되기 전에, 배기된 가스를 세정(즉, 가스에 의해 운반된 오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세정 프로세스는 원심 분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 원심 분리기는 크랭크케이스 상에, 또는 크랭크케이스에 인접하여 장착되며, 세정된 가스를 유입구 시스템 내로 유도하고 분리된 오일을 크랭크케이스로 돌려보낸다. 그러한 분리기의 예는, 예를 들어, US 8,657,908에 개시되어 있다. 원심 분리기는, 예를 들어, 연소 기관의 윤활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일 분사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 휠에 의해,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트럭의 디젤 엔진은 가변 작업부하, 즉, 정지 시의 공회전 엔진과 가득 적재된 상태로 언덕을 오를 때의 최대 토크 사이의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의 작동을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엔진의 요구에 적응시킬 수 있는 편의 장치가 관련 기술분야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단순화된 작동 제어를 갖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으로서,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가 제공되고, 이 원심 분리기는,
가스 유동이 허용되는 분리 공간을 에워싸는 고정 케이싱,
고정 케이싱을 통해 연장되고 세정될 가스의 공급을 허용하는 가스 유입구,
분리 공간에 배열된 복수의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회전 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회전 부재,
세정된 가스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고정 케이싱의 벽을 통하는 유출구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스 유출구,
세정될 가스로부터 분리되는 액체 불순물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수구;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원심 분리기는,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기 모터를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로 구동하고, 적어도,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추가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다.
가스 내의 오염물질은 액체 불순물, 예컨대, 오일, 및 그을음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심 분리기는 액체 불순물, 예컨대, 오일을 가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가스는 연소 기관의 크랭크케이스 가스일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는 디젤 엔진, 예컨대, 트럭의 디젤 엔진으로부터의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세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분리기는 엔진, 예컨대, 디젤 엔진 상에 피팅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그러나, 원심 분리기는 또한, 다른 공급원, 예를 들어, 오일 액적 또는 유증기 형태의 다량의 액체 불순물을 빈번하게 함유하는 기계 공구의 환경으로부터의 가스를 세정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원심 분리기의 고정 케이싱은, 분리 공간을 에워싸는, 주위 측벽, 및 제1 및 제2 단부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싱은, 회전 축(X)으로부터 주위 측벽까지의 반경(R)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반경(R)은, 적어도, 주위 측벽의 원주의 대부분에 대해 일정할 수 있다. 고정 케이싱은 또한, 약간 원뿔형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부 벽은, 원통형 형상의 케이싱의 상단부 벽 및 하단부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원심 분리기의 가스 유입구는, 제1 단부 벽을 통해, 또는 제1 단부 벽에 가까운 주변 측벽을 통해, 따라서 분리기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로써, 가스 유입구를 통해 진입하는 가스는 분리 공간으로 유도된다. 배수구는 제2 단부 벽에, 예를 들어, 분리기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는, 단부 벽에 또는 단부 벽을 통하여 유입구가 배열된 그러한 단부 벽의 반대쪽의 단부 벽의 중심에 배열될 수 있다. 원심 분리기의 배수구는, 고정 케이싱의 다수의 스폿 형상 관통 구멍에 의해 또는 단일 배수 통로에 의해 더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는 회전 축에 배열되거나 회전 축 상에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배수구는 또한, 고정 케이싱의 내측 단부 벽에서 환형 수집 홈에 있을 수 있다. 가스 유출구는 고정 케이싱의 주위 측벽에 배열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단부 벽, 예컨대, 단부 벽에 또는 단부 벽을 통하여 가스 유입구가 배열된 그러한 단부 벽의 반대쪽의 단부 벽에 배열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전기 모터 의한 작동 동안의 회전을 위해 배열된다. 회전 부재는, 분리 공간에 배열된 복수의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의 분리 부재는, 가스로부터 오염물질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표면-확장 인서트의 예이다. 따라서, 분리 부재는 분리 공간의 침강 영역을 증가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10개 초과, 예컨대, 20개 초과, 예컨대, 50개 초과, 예컨대, 100개 초과의 분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부재는, 2개의 인접한 분리 부재가 10 mm 미만, 예컨대, 5 mm 미만, 예컨대, 2 mm 미만, 예컨대, 1 mm 미만의 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분리 부재는 분리 디스크의 적층체일 수 있다. 적층체의 분리 디스크는 원뿔대형일 수 있다. 원뿔대형 디스크는 회전 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되는 평면형 부분, 및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원뿔대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평면형 부분은 원뿔대형 부분보다 회전 축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추가로, 적층체의 디스크는 방사상 디스크일 수 있고, 여기서, 실질적으로 전체 디스크는 회전 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된다.
또한, 분리 부재, 예컨대, 분리 디스크가 반드시 적층체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분리 공간은, 예를 들어, 축방향 디스크, 또는 회전 축 주위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는 평면형일 수 있는데, 즉, 회전 축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축방향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는 또한, 약간 또는 상당히 만곡된 형상, 예컨대, 방사상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아치형 또는 나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동 동안, 세정될 가스는 복수의 분리 부재를 통해 중심으로, 예컨대, 분리 디스크의 적층체를 통해 중심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러한 설정에서, 회전 부재는 각각의 분리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 중심 공간을 더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 공간은 가스 유입구에 연결되고, 세정될 가스를 가스 유입구로부터 분리 부재들 사이의 갭들로, 예컨대, 분리 디스크의 적층체의 디스크들 사이의 갭들 사이에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분리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분리 디스크는, 회전 축에 대해 수직인, 본질적으로 편평한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은 중심 공간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는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가스 유입구로부터 회전 부재의 중심 부분 내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크랭크케이스 가스는,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 부재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분리 디스크의 적층체의 분리 디스크 간의 사이공간 내로 "펌핑"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는, 가스가 디스크 적층체에서 방사상 내측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외측 부분으로 유동하는 병류 원칙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는데, 이는, 가스가 회전자의 주연부에서 원심 회전자 내로 안내되고 회전자의 중심부를 향해서 유도되는 향류 원칙에 따라서 작동하는 분리기와 반대되는 것이다.
전기 모터는 주로, 임의의 적합한 종류, 예를 들어, 직류 모터 또는 교류 모터(동기 모터 또는 비동기 모터)일 수 있다. 예로서, 전기 모터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회전자를 갖는 동기 모터, 예컨대,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일 수 있다.
전기 모터는 고정 케이싱 내에 또는 고정 케이싱 외부에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모터의 회전자의 저널링을 위한 별개의 베어링을 갖지 않는 전기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 부분을 위한 이미 존재하고 필요한 베어링이 이러한 저널링을 위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전기 모터는, 고정 케이싱에 의해 지지된 고정자, 및 원심 분리기의 회전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베어링만을 통해 고정자에 대해 저널링된 회전자를 갖고, 고정 케이싱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WO 2004/001201로서 공개된 국제 특허 출원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원심 분리기는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프로세서, 및 전기 모터와 통신하기 위한, 그리고, 예를 들어, 분리기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예컨대, 분리기 상에 배열된 센서로부터, 그리고/또는 원심 분리기가 연결되거나 장착된 엔진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작동 요청을 전기 모터에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엔진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작동 요청을 전기 모터에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가 분리기를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로 구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전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작동 모드는 서로 상이하고, 제어 유닛은, 원심 분리기를 적어도 2개, 예컨대, 적어도 3개, 예컨대, 적어도 4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로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비는 전기 모터를 상이한 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고정 케이싱 내에 또는 고정 케이싱 외부에 배열될 수 있는 전기 모터와 동일한 유닛 내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유닛은 또한, 전기 모터와 별개의 유닛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고정 케이싱 외부에 배열된 별개의 유닛일 수 있고, 반면에 전기 모터는 고정 케이싱 내에 배열되거나, 대안으로서, 전기 모터 및 제어 유닛 둘 모두는 상이한 유닛으로서 고정 케이싱 외부에 배열된다.
제어 유닛은 또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파라미터"는 전기 모터의 실제 작동과 관련되고, 전기 모터의 작동 동안에 시간상 변할 수 있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를 제1 작동 모드로 구동하고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된 파라미터의 값이 작동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경우, 예를 들어, 측정된 값이 특정 임계치 초과 또는 미만이거나 특정 간격 내에 있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를 또 다른 작동 모드로 구동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유닛은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즉시 전환하지 않고, 대신에, 측정된 파라미터의 시간적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값이 작동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 유닛은 특정 기간, 예컨대, 5 내지 30 초, 예컨대, 5 내지 15 초를 대기할 수 있고,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값이 여전히 전환을 나타내는 경우, 그러면 제어 유닛은 또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원심 분리기가 상이한 모드로 작동되는 동안의 시간은 변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른다.
제어 유닛은, 그러한 내부 파라미터 중 오직 하나에만 또는 여러 개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외부 파라미터", 즉, 원심 분리기의 다른 부분들 또는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과 관련될 수 있는 파라미터와 조합된 그러한 내부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기는 상이한 작동 모드로 작동하고, 모드들 사이의 전환은 적어도, 전기 모터의 내부 파라미터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처리를 위한 분리기가 2개 이상의 작동 모드로, 예컨대, 2개 이상의 미리 결정된 속도 또는 2개 이상의 미리 결정된 토크 수준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통찰에 기초한다. 분리기가, 예를 들어, 자신의 속도 또는 토크를 공칭 수준으로부터, 예를 들어, 하나 더 낮고/거나 하나 더 높은 수준으로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 분리기의 작업 부하는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엔진의 요구에 상당히 잘 적응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자는, 분리기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내부 파라미터를 측정함으로써, 분리기가 공칭 작동 모델로 작동하는 것을 유지해야 하는지 또는 상이한 모드로 작동하는 것으로 변경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기 모터의 내부 파라미터는 쉽게 접근가능하기 때문에, 즉, 전기 모터는, 분리기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 또는 분리기의 다른 부분에 대한 연결, 배선 및/또는 외부 센서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해 전기 모터의 내부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는, 전기 모터의 회전 속도 또는 토크가 상이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전기 모터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이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제1 일정한 속도 또는 토크 수준 사이에서 전환하고 전기 모터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일정한 속도 또는 토크 수준, 예컨대, 제2 속도 또는 토크 수준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여러 개의 상이한 일정한 속도 또는 토크 수준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예컨대, 2개, 3개, 4개 또는 5개 이상의 일정한 속도 또는 토크 수준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회전 속도가 상이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속도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속도 수준은 10%를 초과하여, 예컨대, 20%를 초과하여, 예컨대, 30%를 초과하여, 예컨대, 50%를 초과하여 상이한 일정한 수준일 수 있다.
상이한 속도 수준은 2000 rpm을 초과하여, 예컨대, 3000 rpm을 초과하여, 예컨대, 4000 rpm을 초과하여 상이한 일정한 수준일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제1 일정한 회전 속도의 제1 속도 수준 및 제2 일정한 회전 속도의 제2 속도 수준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일정한 회전 속도는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더 높고,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가, 제1 속도 수준으로 작동할 때 가스를 세정하는 것에 대해 더 높은 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2 속도 수준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는 원심 분리기의 공칭 속도일 수 있고, 반면에 제2 회전 속도는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증가된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되는 더 높은 속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는, 회전 부재를 7.500 내지 12.00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일정한 회전 속도는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10%를 초과하여 더 높은, 예컨대,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2000 rpm을 초과하여 더 높은 속도일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드가, 복수의 상이한 속도 수준, 예컨대, 3개 초과의 상이한 속도 수준, 예컨대, 5개 초과의 상이한 속도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제3 일정한 회전 속도의 제3 속도 수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3 일정한 회전 속도는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더 낮고,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가, 제1 속도 수준으로 작동할 때 가스를 세정하는 것에 대해 더 낮은 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3 속도 수준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제3 일정한 회전 속도는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2000 rpm을 초과하여 더 낮은 속도일 수 있고, 따라서,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감소된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감소된 필요성은, 예를 들어, 원심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이 정지 상태일 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전기 모터의 토크가 상이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토크 수준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고정된 토크 수준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반면에 회전 속도는 상이한 구동 모드에서 변할 수 있다. 위에서 상이한 속도 수준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제1 토크 수준, 즉, 정상 구동 동안 사용되는 공칭 토크 수준,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증가된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고 제1 수준보다 더 높은 제2 토크 수준, 및 선택적으로 또한,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감소된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되고 제1 토크 수준보다 더 낮은 제3 토크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드가, 복수의 상이한 토크 수준, 예컨대, 3개 초과의 상이한 토크 수준, 예컨대, 5개 초과의 상이한 토크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전기 모터의 전력 소비 또는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이다.
따라서, 내부 파라미터는 전력 소비, 예를 들어, 단위 시간당 절대 전력 소비의 정보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파라미터는 또한,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일 수 있고, 따라서 이는 전력 소비에 연관된다. 전류는, 예를 들어, 시간 단위 당 전류의 절대량일 수 있다.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 및 전력 소비는,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더 높은 요구가 있을 때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의 시간적 변동이다.
전류의 시간적 변동은,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에서 "리플"일 수 있고, 1초 미만으로 발생하는 측정된 변동일 수 있다. 시간적 변동은 전류의 작은 주기적 변화일 수 있다.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높은 요구가 존재할 때와 비교하여,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낮은 요구가 존재할 때, 전류의 시간적 변동이 상이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전기 모터의 온도이다.
따라서,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높은 요구가 존재할 때와 비교하여,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해 낮은 요구가 존재할 때, 전기 모터의 온도는 상이할 수 있고, 따라서, 분리기가 작동되어야 하는 작동 모드를 조절하기 위해 전기 모터의 내부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전기 모터의 시동으로부터의 시간이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의 작동 시간을 기록하고, 분리기가 작동되어야 하는 작동 모드를 조절하기 위해 이러한 파라미터를 사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로서,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의 시동으로부터의 기간 동안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세정하는 것에 대한 낮은 요구와 관련된 작동 모드로 분리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은,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의 시동으로부터의 기간, 즉, 엔진이 공회전하고 있는 동안의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적어도,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그리고 전기 모터와 관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더 적응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기 모터의 내부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및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외부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양쪽 모두에 기초하여 상이한 작동 모드로 분리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파라미터는, 전기 모터의 실제 구동과 관련되지 않는 파라미터, 예컨대, 실제 분리기와 또는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는 그러한 외부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파라미터에 관하여 제어 유닛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분리기의 가스 유입구 및/또는 가스 유출구에서의 압력을 기록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는 가스 유입구에서의 압력 또는 가스 유입구의 온도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는 압력 센서 및/또는 온도 센서를 가스 유입구에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가스 유입구에서의 가스 압력 및/또는 온도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파라미터 및 가스 유입구에서의 가스 압력 및/또는 온도에 관한 수신된 정보에 따라 분리기를 상이한 작동 모드로 구동하는 것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는 또한,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의 연령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오래된 엔진이 보통, 더 많은 크랭크케이스 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원심 분리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의 시간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를 조절할 때 엔진의 연령을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예를 들어, 엔진이 새 것인 경우와 비교하여 엔진이 오래된 경우에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증가된 세정을 나타내는 작동 모드로 전기 모터가 구동된다. 예로서, 작동 모드가 상이한 일정한 속도 수준의 구동 모드인 경우, 제어 유닛이 엔진이 특정 연령을 초과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러한 일정한 속도 수준은 더 높은 일정한 회전 속도 수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유닛이 오직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만 따라서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으로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 위의 제1 양상에 따른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단계,
- 전기 모터를 제1 작동 모드로 구동함으로써 원심 분리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 적어도,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전기 모터를 제2 작동 모드로 구동하도록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과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및 정의는 위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다.
원심 분리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원심 분리기의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원심 분리기의 가스 유입구 내로 도입하는 단계; 및
- 세정된 가스를 원심 분리기의 가스 유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원심 분리기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의 실시예에서, 방법은,
- 적어도,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구동하는 것으로 다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원심 분리기의 작동 동안, 즉, 분리기가 장착된 엔진의 작동 동안, 분리기는, 위의 제1 양상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세정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후로, 예컨대, 상이한 속도 수준들 사이에서 전후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의 실시예에서, 또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또한, 전기 모터와 관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른다.
따라서, 위의 제1 양상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작동 모드들 사이의 전환 단계는 전기 모터의 내부 파라미터 및 외부 파라미터, 예컨대, 원심 분리기의 가스 유입구에서의 가스 압력 및/또는 온도 양쪽 모두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로서, 분리기 제어 유닛은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원심 분리기의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원심 분리기의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a-3d는 원심 분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유형의 분리 부재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원심 분리기 및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 예시될 것이다.
도 1은 분리기 장치의 원심 분리기(1)의 단면을 도시한다. 원심 분리기(1)는, 연소 기관(개시되지 않음), 특히, 디젤 엔진의 적합한 위치에, 예컨대, 연소 엔진의 최상부 상에 또는 연소 엔진의 측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고정 케이싱(2)을 포함한다.
원심 분리기(1)가 또한, 연소 기관과 다른 공급원, 예를 들어, 오일 액적 또는 유증기 형태의 다량의 액체 불순물을 종종 함유하는, 기계 공구의 환경으로부터의 가스를 세정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고정 케이싱(2)은 가스 유동이 허용되는 분리 공간(3)을 에워싼다. 고정 케이싱(2)은 주위 측벽(4), 제1 단부 벽(5)(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단부 벽) 및 제2 단부 벽(6)(개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단부 벽)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벽에 의해 형성된다.
원심 분리기는 회전 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된 회전 부재(7)를 포함한다. 고정 케이싱(2)이 회전 부재(7)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고정 케이싱이 장착될 수 있는 연소 기관에 대해 고정적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고정 케이싱(2)은 회전 축(x)으로부터 주위 측벽(4)까지의 반경을 갖고, 이 반경은 적어도, 주위 측벽(4)의 원주의 대부분에 대해 일정하다. 따라서, 주위 측벽(4)은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회전 부재(7)는 스핀들(8) 및 스핀들(8)에 부착된 분리 디스크(9)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적층체(9)의 모든 분리 디스크는 제1 단부 플레이트(10)(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단부 플레이트)와 제2 단부 플레이트(11)(개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단부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된다.
스핀들(8) 및 그에 따른 회전 부재(7)는, 제1 베어링(12)(실시예에서 상부 베어링으로 개시됨) 및 제2 베어링(13)(실시예에서 하부 베어링으로 개시됨)에 의해 고정 케이싱(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은 분리 디스크(9)의 적층체의 각각의 측 상에 하나씩 배열된다. 상부 베어링(12)은, 원심 회전자 샤프트, 즉, 스핀들(8)의 상단 부분을 원통형 부분에 의해 둘러싸는 캡(19)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 부분은 축방향으로 상부 베어링(12) 위에 위치된다. 캡(19)은 또한, 환형 평탄 부분(20)을 갖고, 이 환형 평탄 부분을 통해 캡이 고정 케이싱(2)의 격벽(21)에 의해 지지된다. 캡(19)의 평탄한 환형 부분(20)에 관통 구멍(22)이 제공되며, 이 관통 구멍을 통해 유입구 도관(18)이 중심 공간(15)과 연통한다.
축방향으로 상부 베어링(12) 위에서, 캡(19)은 캡의 내부 상에, 스핀들(8)의 단부 부분 주위에, 전기 모터(23)에 속하는 고정자(24)를 지지한다. 이러한 전기 모터(23)에 속하는 회전자(25)는 원심 회전자 샤프트, 즉, 스핀들(8)의 단부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좁은 환형 슬롯(26)이 모터 고정자(24)와 모터 회전자(25) 사이에 형성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전기 모터(23)는, 모터의 회전자(25)가 모터의 고정자(24)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링될, 모터 자체의 베어링을 갖지 않는다. 대신에, 회전 부재(7)가 고정 케이싱(2)에 저널링되는 2개의 베어링(12 및 13)이, 전기 모터(23)의 회전자(25)의 저널링을 위해 활용된다.
적층체(9)의 분리 디스크는 원뿔대형이고 스핀들(8)로부터 외측 및 상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분리 디스크는 회전 축(X)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부분(9a), 및 편평한 부분(9a)으로부터 외측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뿔형 부분(9b)을 포함한다.
분리 디스크가 또한, 외측 및 하방으로 또는 심지어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적층체(9)의 분리 디스크는, 인접한 분리 디스크들(9) 사이의 갭(14), 즉, 인접한 분리 디스크들(9)의 각각의 쌍 사이의 갭(14)을 형성하기 위해, 거리 부재(개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제공된다. 각각의 갭(14)의 축방향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1-2 mm일 수 있다.
적층체(9)의 분리 디스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층체(9)의 분리 디스크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것보다 더 높고, 예를 들어, 원심 분리기의 크기에 따라 50 내지 100개의 분리 디스크(9)일 수 있다.
회전 부재(7)는 중심 공간(15)을 한정한다. 중심 공간(15)은 각각의 분리 디스크(9)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중심 공간(15)은 복수의 관통 구멍(16)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 구멍은 제1 단부 플레이트(10)를 통해 그리고 각각의 분리 디스크(9)를 통해 연장되지만, 제2 단부 플레이트(11)를 통하지는 않는다. 관통 구멍은 분리 디스크의 편평한 부분(9a)에 배열된다.
원심 분리기(1)는 세정될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유입구(17)를 포함한다. 가스 유입구(17)는 고정 케이싱(2)를 통해, 더 정확하게는 제1 단부 벽(5)을 통해 연장된다. 가스 유입구(17)는, 세정될 가스가 유입구(17)로부터 중심 공간(15)을 통해 분리 디스크(9)의 적층체의 갭(14)까지 운반되도록, 중심 공간(15)과 연통한다. 가스 유입구(17)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로부터 가스 유입구(17)로 그리고 추가로 중심 공간(15) 및 갭(14)으로의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공급을 허용하는 유입구 도관(18)을 통해, 연소 기관의 크랭크케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공급원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원심 분리기는, 가스로부터 분리된 액체 불순물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수구(29) 및 세정된 가스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가스 유출구(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배수구는 도관으로서 제2 단부 벽(6)에 배열되지만, 배수구(29)는 또한, 분리된 액체 불순물이, 분리 공간(3)으로부터 배수될 때 제2 베어링(13)을 통해 유동하도록, 하단부 벽(6)에 배열된 관통 구멍의 형태일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스 유출구(30)는 제2 단부 벽(6)에, 배수구(2)까지의 방사상 거리보다 더 짧은 방사상 거리에 배열되지만, 가스 유출구는 또한, 예를 들어, 주위 측벽(4)에 배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8)에 의해, 회전 속도 및 이에 의해 원심 분리기의 세정 효율이, 공급된 가스의 요구된 세정이 얻어지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27)에 의해서 달성되고, 이 연결부는 케이싱(1) 내로 그리고 추가로 캡(14)을 통해 모터의 고정자(18) 내로 연장된다. 이 연결부(27)는 또한, 전류로 전기 모터(23)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30)은 전기 모터(23)를 상이한 속도로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터(직류 및 교류 모터 둘 모두)의 속도 조절을 위한 상이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잘 알려져 있다. 직류 모터의 경우, 전압 제어를 위한 간단한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교류 모터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 제어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28)은 통신 인터페이스(31), 예컨대, 송신기/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 및 다양한 센서 또는 분리기가 연결된 엔진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추가로 데이터를 전기 모터(23)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점선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입구(17)에서의 압력 센서(32)로부터 측정된 압력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23)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8)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기 모터(28)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28)은, 예를 들어, 메모리(34) 상에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코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33), 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34)는 그러한 컴퓨터 코드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형성할 수 있다. 처리 유닛(33)은 대안적으로, 하드웨어 구성 요소, 예컨대,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28)은 원심 분리기(1)와 별개의 유닛이다. 그러나, 제어 유닛은 또한, 분리기의 일부일 수 있는데, 예컨대, 전기 모터(2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기능을 갖는 제어 유닛이 전기 모터에 배열될 수 있는데, 예컨대, 캡(19)에 의해 지지된 고정자(24)에 연결된다.
작동 동안, 회전 부재(17)는 전기 모터(23)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회전이 유지되고, 오염된 가스,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크랭크케이스로부터의 크랭크케이스 가스는 도관(18)을 통해 가스 유입구(17)에 공급된다. 이러한 가스는 중심 공간(15) 내로, 그리고 그로부터, 적층체(9)의 분리 디스크들 사이의 사이공간(14) 내로 그리고 사이공간을 통해 더 안내된다. 회전 부재(7)의 회전의 결과로서, 가스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스는 갭 또는 사이공간(14)을 통해 방사상 외측으로 더 펌핑된다.
사이공간에서의 가스의 회전 동안, 가스에 부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 입자가 가스로부터 분리된다. 입자는 분리 디스크의 원뿔형 부분(9b)의 내부에 내려앉고 그 후에 그 위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미끄러지거나 이동한다. 입자 및/또는 액적이 분리 디스크의 외측 에지에 도달했을 때, 이들은 회전자로부터 떨어져서 고정 케이싱(2)의 주위 벽(4)의 내측 표면과 충돌한다. 입자는 이 벽을 따라 하방으로 계속 이동하여 배수구(29)를 통해 분리 공간(3)을 떠나고, 반면에 입자가 제거되고 분리 디스크(9)의 적층체로부터 빠져나오는 가스는 가스 유출구(30)를 통해 케이싱(1)을 떠난다. 원심 분리기(1)를 통하는 가스의 경로는 도 1에서 화살표 "C"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23)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회전 부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를 3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 7.500 내지 12.000 rpm의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를 갖고 분리기의 공칭 속도를 나타내는 제1 구동 모드,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를 약 2000 rpm 초과하는 제2 일정한 회전 속도를 갖는 제2 구동 모드 및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약 2000 rpm 미만인 제3 일정한 회전 속도를 갖는 제3 구동 모드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의 예는, 원심 분리기(1)가 트럭의 디젤 엔진에 연결될 때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측정된 전류에 따라 3개의 구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후로 전환함으로써 원심 분리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예시한다:
1) 엔진을 시동하여 엔진을 공회전시킴
트럭 엔진이 시동될 때,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23)를 제1 구동 모드로 구동하는데, 즉, 전기 모터는 공칭 속도까지 가속된다. 트럭 엔진이 공회전하고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양이 낮을 때,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전류는 더 낮은데, 예컨대,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이다.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23)를 시동할 때부터 시간의 추가적인 정보를 갖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모터를 제3 구동 모드로, 즉, 더 낮은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하도록 조절하는데, 이는 크랭크케이스 가스 생성의 양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2) 트럭이 이동하기 시작함
트럭이 이동하기 시작할 때,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양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실제 제3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전류가 증가한다.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증가된 전류의 정보를 얻을 때,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가 제1 구동 모드로 작동하도록, 즉, 전기 모터가 제1 일정한 속도 수준의 공칭 속도로 회전하도록, 전기 모터(23)를 조절한다.
3) 언덕 주행
트럭이 언덕의 기슭에 진입하여 올라가기 시작하면, 엔진의 토크가 증가한다. 이는 차례로,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양이 증가함을 의미하며, 이는 제1 일정한 속도 수준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전력 소비 및 따라서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더 높은 전류로 이어진다. 이러한 경우,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증가된 전류에 관한 일정한 정보를 수신하며, 전류의 증가의 시작이 검출된 후에 특정 기간, 예컨대, 10 초 이후에도 전류가 여전히 증가된 경우에,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가 제2 구동 모드로 작동하도록, 즉, 전기 모터가, 공칭 속도를 초과하는 제2 일정한 속도 수준으로 회전하도록, 전기 모터(23)를 조절한다.
4) 다시 정상 주행
트럭은 이제 언덕을 다 올라왔고, 크랭크케이스 가스의 양은 다시 정상이다. 그러므로, 전기 모터를 통하는 측정된 전류는 감소되고,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가 또 다시 제1 구동 모드로 작동하도록, 즉, 전기 모터가 제1 일정한 속도 수준의 공칭 속도로 회전하도록, 전기 모터(23)를 조절한다.
5) 다시 공회전
트럭이 정지하고 있을 때, 제어 유닛은, 제1 일정한 속도 수준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감소된 전류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수신한다. 전류의 감소의 시작이 검출된 후에 특정 기간, 예컨대, 10 초 이후에도, 측정된 전류가 여전히 감소된 경우에,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가 다시 제3 구동 모드로 작동하도록, 즉, 전기 모터가, 공칭 속도 미만의 제3 일정한 속도 수준으로 회전하도록, 전기 모터(23)를 조절한다.
위의 예에서, 상이한 속도 수준들 사이의 전환은 오직 전기 모터(23)의 내부 파라미터, 즉,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에만 기초하지만, 제어 유닛(28)은 또한, 속도 수준이 전환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센서(32)로부터의 정보, 즉, 가스 유입구(17)에서의 가스 압력으로부터의 정보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 유닛은, 전기 모터(23)를 통하는 측정된 전류 및 가스 유입구에서의 가스 압력이 증가하면 더 높은 속도 수준으로 전환할 수 있고, 전기 모터를 통하는 측정된 전류 및 가스 유입구에서의 가스 압력이 감소하면 더 낮은 속도 수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류의 전기 모터(23)는 대안적으로, 하부 베어링(13) 아래의 스핀들(8)의 연장부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상부 베어링(12)과 제1 단부 플레이트(10) 사이의 또는 축방향으로 하부 베어링(13)과 제2 단부 플레이트(11) 사이의 공간에 모터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크로 형성된 원형 회전자, 및 축방향으로 회전자의 양쪽 측 모두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고정자를 갖는 전기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전기 모터(23)가 축방향으로 고정 케이싱(2)의 상부 벽(5) 위의 스핀들(8)의 연장부 상에 배열된 원심 분리기의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대안으로서, 전기 모터(23)는 또한, 축방향으로 고정 케이싱(2)의 하단부 벽(6) 아래의 스핀들(8)의 연장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23)의 고정자 및 회전자는 고정 케이싱(2) 외부에 배열된다. 추가로, 제어 유닛(28)은 전기 모터(23)의 일부로서 배열되지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 모든 다른 기능들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것과 동일한데, 즉,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스 세정을 위한 회전 부재(7)에는 통상적인 종류의 원뿔형 분리 디스크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확하게 이러한 종류의 회전 부재 또는 원심 회전자로 제한되지 않고, 가스에서 가스 안에 부유하는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원심 회전자와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a-3d는 본 개시내용의 원심 분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분리 디스크의 몇몇 예를 도시한다. 명확성의 이유로, 단지 몇 개의 디스크만이 예시되며, 실제로는 디스크들 사이의 거리가 훨씬 더 작도록 더 많은 개수의 디스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3a는 평면형 부분(9a) 및 원뿔대형 부분(9b)을 갖는 원뿔대형 디스크(35)의 예를 도시한다. 평면형 부분(9a)은 회전 축(X)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되고, 원뿔대형 부분(9b)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평면형 부분(9a)은 원뿔대형 부분(9b)보다 회전 축에 더 가깝다. 평면형 부분(9a) 및/또는 원뿔대형 부분(9b)은 가스를 위한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평면형 부분(9a) 및 원뿔대형 부분(9b)을 갖는 원뿔대형 디스크(35)의 예를 도시한다. 평면형 부분(9a)은 회전 축(X)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되고, 원뿔대형 부분(9b)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평면형 부분(9a)은 원뿔대형 부분(9b)보다 회전 축에 더 가깝다. 평면형 부분(9a) 및/또는 원뿔대형 부분(9b)은 가스를 위한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모든 디스크(36)가 평면형인, 즉, 모든 디스크(36)가 회전 축(X)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되는 디스크 적층체의 예를 도시한다. 디스크(36)는 가스를 위한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는 축방향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7)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플레이트(37)는 약간 만곡되는데, 즉, 이들은 방사상 평면에서 볼 때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이들은 회전 축(X)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볼 때 만곡된다. 축방향 디스크(37)는 가스를 위한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아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회전 축(X)의 배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원심 분리기"라는 용어는 또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 회전 축을 갖는 원심 분리기를 포함한다.

Claims (15)

  1.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로서,
    가스 유동이 허용되는 분리 공간을 에워싸는 고정 케이싱,
    상기 고정 케이싱을 통해 연장되고 세정될 가스의 공급을 허용하는 가스 유입구,
    상기 분리 공간에 배열된 복수의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회전 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회전 부재,
    세정된 가스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케이싱의 벽을 통하는 유출구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스 유출구,
    세정될 가스로부터 분리되는 액체 불순물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수구, 및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분리기는, 상기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 모터를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로 구동하고, 적어도,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추가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는, 상기 전기 모터의 회전 속도 또는 토크가 상이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인,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회전 속도가 상이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속도 수준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제1 일정한 회전 속도의 제1 속도 수준 및 제2 일정한 회전 속도의 제2 속도 수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일정한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더 높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속도 수준으로 작동할 때 가스를 세정하는 것에 대해 더 높은 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2 속도 수준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제3 일정한 회전 속도의 제3 속도 수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일정한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더 낮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가, 상기 제1 속도 수준으로 작동할 때 가스를 세정하는 것에 대해 더 낮은 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3 속도 수준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동 모드는, 상기 전기 모터의 토크가 상이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토크 수준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모터의 전력 소비 또는 상기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인,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모터를 통하는 전류의 시간적 변동인,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모터의 온도인,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모터의 시동으로부터의 시간인,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그리고 상기 전기 모터와 관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더 적응된,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는 상기 가스 유입구에서의 압력 또는 상기 가스 유입구의 온도로부터 선택되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13.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전기 모터를 제1 작동 모드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원심 분리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 적어도, 상기 전기 모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 모터를 제2 작동 모드로 구동하도록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 적어도, 상기 전기 모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내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작동 모드로 구동하는 것으로 다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또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전기 모터와 관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파라미터의 정보에 따르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08013A 2016-08-25 2017-08-17 원심 분리기의 제어 KR20190040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5689.3 2016-08-25
EP16185689.3A EP3287193B1 (en) 2016-08-25 2016-08-25 Control of a centrifugal separator
PCT/EP2017/070864 WO2018036906A1 (en) 2016-08-25 2017-08-17 Control of a centrifugal sepa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283A true KR20190040283A (ko) 2019-04-17

Family

ID=5680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013A KR20190040283A (ko) 2016-08-25 2017-08-17 원심 분리기의 제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13262B2 (ko)
EP (1) EP3287193B1 (ko)
JP (1) JP7149931B2 (ko)
KR (1) KR20190040283A (ko)
CN (1) CN109562392B (ko)
BR (1) BR112019001548B1 (ko)
RU (1) RU2720375C1 (ko)
WO (1) WO2018036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1080B4 (de) * 2018-07-05 2020-06-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triebsverfahren und Steuereinheit für einen aktiven Ölabscheider, aktiver Ölabscheider und Arbeitsvorrichtung
CN111140313B (zh) * 2019-12-20 2021-04-1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多模式驱动油气分离器控制系统及控制方法
EP4001600B1 (en) * 2020-11-20 2024-05-22 Volvo Truck Corporation A method for diagnosing a part of a crank case ventilation system
WO2023034015A1 (en) * 2021-08-31 2023-03-09 Cummins Filtration Inc. Crankcase ventilation systems including integrated sensors and controller
CN114468886B (zh) * 2021-12-13 2023-04-07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湿式表面清洁设备的控制方法及湿式表面清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513A (en) 1978-09-15 1981-01-13 Coulter Corporation Centrifuge unit
US4515582A (en) 1982-02-22 1985-05-07 Hoccum Developments Limited Method of initiating an operation
GB2116752B (en) 1982-02-22 1985-08-14 Hoccom Developments Limited Method of initiating an operation
CN85105765A (zh) 1985-07-29 1987-01-28 艾尔费拉瓦尔分离技术公司 离心分离器控制系统
US4791942A (en) 1986-08-01 1988-12-20 The American Tobacco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expansion of tobacco
JPH02152566A (ja) * 1988-12-02 1990-06-12 Hitachi Koki Co Ltd Over speed検知機能を有する遠心機
JP2973458B2 (ja) * 1990-04-06 1999-11-0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遠心分離機の制御方法
JPH10128158A (ja) 1996-11-01 1998-05-19 Trinity Ind Corp 遠心分離機
SE510541C2 (sv) 1997-09-29 1999-05-31 Alfa Laval Ab Regleranordning för centrifugalseparator
EP1092144A1 (de) 1998-06-29 2001-04-18 Evotec BioSystem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anipulation von partikeln in mikrosystemen
US6676382B2 (en) * 1999-11-19 2004-01-13 Campbell Hausfeld/Scott Fetzer Company Sump pump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3995377B2 (ja) * 1999-12-27 2007-10-24 株式会社東芝 冷凍サイクルの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DE10002242A1 (de) * 2000-01-20 2001-08-02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m Schutz eines Elektromotors vor thermischer Überlastung
JP3879360B2 (ja) * 2000-03-17 2007-02-14 日立工機株式会社 遠心機
SE522473C2 (sv) * 2002-06-20 2004-02-10 Alfa Laval Corp Ab Ett sätt och en anordning för rening av vevhusgas
SE0201982D0 (sv) 2002-06-24 2002-06-24 Alfa Laval Corp Ab Sätt att rena vevhusgas samt en gasreningsseparator
SE525432C2 (sv) 2003-02-17 2005-02-22 Alfa Laval Corp Ab Sätt att behandla luft ombord på ett fordon och en anordning för användning vid genomförande av sättet
GB2401564A (en) 2003-05-15 2004-11-17 Mann & Hummel Gmbh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nd rotor
US6943509B2 (en) * 2003-07-09 2005-09-13 Kendro Laboratory Products, Lp Rotor sp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050087336A1 (en) * 2003-10-24 2005-04-28 Surjaatmadja Jim B. Orbital downhole separator
SE528701C2 (sv) 2005-06-08 2007-01-30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för rening av en gas
SE529609C2 (sv) 2006-02-13 2007-10-0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SE529610C2 (sv) 2006-02-13 2007-10-0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SE529611C2 (sv) 2006-02-13 2007-10-0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SE532274C2 (sv) 2008-04-07 2009-12-01 3Nine Ab Förfarande för rengöring av en rotor hos en centrifugalseparator, samt gassepareringsanläggningar med sådana rengöringsbara centrifugalseparatorer
SE532500C2 (sv) 2008-07-16 2010-02-09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 separator
CN103357518B (zh) 2009-07-10 2016-06-01 阿尔法拉瓦尔股份有限公司 气体净化分离器
KR101431921B1 (ko) 2009-07-10 2014-08-19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기체 세정 분리장치
US8657908B2 (en) * 2009-07-10 2014-02-25 Alfa Laval Corporate Ab Gas cleaning separator
CN201493176U (zh) 2009-09-03 2010-06-02 高震宇 高精细油液净化机
SE534386C2 (sv) 2009-10-29 2011-08-0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samt metod för separering av fasta partiklar
US8807097B2 (en) 2010-01-27 2014-08-19 Cummins Filtration Ip Inc. Closed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SE534773C2 (sv) 2010-04-09 2011-12-13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anordnad inuti en förbränningsmotor
EP2431583A1 (en) * 2010-09-15 2012-03-21 Alfa Laval Corporate AB A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crankcase gas
JP5541118B2 (ja) 2010-11-26 2014-07-09 日立工機株式会社 遠心分離機
EP2584160A1 (en) 2011-10-20 2013-04-24 Alfa Laval Corporate AB A crankcase gas separator
DE112012004612B4 (de) * 2011-11-04 2022-05-25 Cummins Filtration Ip, Inc. Rotierender Abscheider mit Gehäuse zur Verhinderung des Mitreissens von abgeschiedener Flüssigkeit
RU2522834C2 (ru) 2012-02-21 2014-07-20 Альфа Лаваль Корпорейт Аб Газоочистной сепаратор
EP2664386B1 (en) 2012-05-18 2015-06-24 Alfa Laval Corporate AB A centrifugal separator
EP2980373B1 (en) 2013-03-28 2020-07-29 Tokyo Roki Co., Ltd. Oil separator
EP2799146B1 (en) 2013-05-02 2019-11-06 Alfa Laval Corporate AB Ejection of solid particles from a centrifugal separator
CN103301957B (zh) 2013-05-17 2014-12-10 金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粘连颗粒分离设备
EP2883947B1 (en) 2013-12-10 2019-08-07 Alfa Laval Corporate AB Continuous purification of motor oils using a three-phase separator
JP6345932B2 (ja) 2013-12-27 2018-06-20 株式会社クボタ ガス処理設備、ガス処理設備の制御装置、及びガス処理設備の運転方法
EP2939747B1 (en) 2014-04-30 2016-08-03 Alfa Laval Corporate AB A centrifugal separator
EP2939746B1 (en) 2014-04-30 2016-09-07 Alfa Laval Corporate AB A centrifugal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1548B1 (pt) 2022-08-30
JP7149931B2 (ja) 2022-10-07
BR112019001548A2 (pt) 2019-05-14
RU2720375C1 (ru) 2020-04-29
WO2018036906A1 (en) 2018-03-01
US11313262B2 (en) 2022-04-26
EP3287193B1 (en) 2021-05-26
US20190162089A1 (en) 2019-05-30
JP2019531878A (ja) 2019-11-07
EP3287193A1 (en) 2018-02-28
CN109562392B (zh) 2022-02-08
CN109562392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283A (ko) 원심 분리기의 제어
KR100943127B1 (ko) 크랭크실 가스의 정화 방법 및 장치
JP2016006324A (ja) クランクケース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179219B1 (ko) 원심 분리기의 고속 세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2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202

Effective date: 202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