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210A - 재기화 터미널 및 그러한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재기화 터미널 및 그러한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210A
KR20190040210A KR1020197005209A KR20197005209A KR20190040210A KR 20190040210 A KR20190040210 A KR 20190040210A KR 1020197005209 A KR1020197005209 A KR 1020197005209A KR 20197005209 A KR20197005209 A KR 20197005209A KR 20190040210 A KR20190040210 A KR 2019004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lng
pressure
gas stream
pressu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레스 파블로 안토니오 베가
덴 베르흐 메스 히데 판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4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07Single phase
    • F17C2225/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5High pressure, i.e. between 10 and 80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6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the sam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1Ai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6Water heating
    • F17C2227/0318Water heating using sea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3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the sam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on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6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7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press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8Distribution pipeli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6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화 터미널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로부터 LNG의 재-가스 스트림 (10)을 얻는 단계로서,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은 8-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인, 단계, b)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을 냉각 스트림 (11) 및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 (10')로 분할하는 단계, c)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을 제 2 압력에서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압력은 2 bara 초과인, 단계, d1) 상기 공급 스트림 (40)을 냉각 스트림 (11)에 대해 냉각시키는 단계, 및 d2) 상기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제 1 압력으로 팽창시켜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얻는 단계, e)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f) 적어도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 (10')를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Description

재기화 터미널 및 그러한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재기화 터미널 및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가스는 유용한 연료원이다. 그러나, 그것은 종종 멀리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생산한다. 그러한 경우에 천연 가스 스트림의 공급원 또는 그 근방의 LNG 플랜트에서 천연 가스를 액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LNG의 형태로 천연 가스는 더 작은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가스 형태보다 장거리에서 더 쉽게 저장되고 운반될 수 있다.
LNG는 적절한 LNG 캐리어에 의해 재기화 터미널 (재증발 터미널 또는 수입 터미널이라고도 함)로 운반되며, 재증발 터미널에서는 가스 그리드로 공급되기 전에 재증발된다. 재기화 터미널에서, LNG의 냉기는 일반적으로 냉각 공기 또는 냉각수를 통해 대기로 전달된다.
LNG를 증발시키기 위해 LNG에 열을 추가할 수 있다. 열을 추가하기 전, LNG는 가스 그리드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종종 가압된다. 전형적으로, 가스 그리드는 60 bara 초과, 전형적으로 65 내지 135 bara, 예를 들면 80 bara의 압력이다. 증발된 천연 가스 생성물은 그 다음, 가스 그리드를 통해 적절하게, 고객에게 판매 될 수 있다.
재기화 터미널 및 LNG를 재기화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 출원 공보 US2010/0000233, US2006/0242969에 기술되어 있다.
WO2008012286, WO2013186271, WO2013186277 및 WO2013186275는 액화된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들 문서는 특히 열 전달 유체를 회로를 통해 제 1 열 전달 영역에서 제 2 열 전달 영역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주변으로부터 액화된 스트림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 교환기에 초점을 맞춘다.
LNG는 서로 다른 압력과 온도로 생산, 운반 및 저장될 수 있다. 천연 가스가 액화하는 온도(비등점)와 압력의 정확한 조합은 천연 가스의 정확한 조성에 달려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기 LNG는, 따라서 -162 ℃ 부근의 온도에서, 대기압에 가까운 압력에서 생성된다. 대기 LNG는 상대적으로 높은 냉각 노력이 필요하지만 LNG를 대기압 하에서 운송하고 저장할 수 있어서 안전 위험을 최소화하고 운송 및 보관에 사용되는 저장 탱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가압된 LNG (또한 냉동 압축된 LNG (ccLNG)라 함)은 대기압 초과 압력에서 그리고 천연 가스의 비점과 동일한 온도에서 생산되고, 정확한 값은 천연 가스의 조성에 의존한다. 가압된 LNG의 압력은 2 bara 초과 또는 적어도 5 bara 초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된 LNG는 대략 -115 ℃의 온도에서 15 - 17 bara의 압력으로 생산될 수 있다. 가압된 LNG는 냉각 노력이 덜 필요하므로 생산의 에너지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EP2442056은 가압된 액화 천연 가스 (PLNG)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을 설명한다.
그러나, 탱크가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압된 LNG의 운송 및 저장은 추가적인 안전 장치 그리고 저장 탱크 (가압된 용기)를 제조하기에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비용이 필요하다. CA2550469는 가압된 및 액화 천연 가스를 유지하기 위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 압력 용기의 일례를 제공한다.
이로써 현재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출원 번호 15174303.6을 갖는 유럽 특허 출원이 참조된다. 본 출원의 출원 당시, 15174303.6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므로 현 특허 출원의 신규성 평가에만 관련이 있으며 진보성 평가 단계와 관련이 없다.
가압된 LNG를 재기화 터미널과 통합 개선하여, 가압된 LNG 가치 사슬과 관련된 안전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a)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로부터 LNG의 재-가스 스트림 (10)을 얻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 (1)은 0.8 - 1.5 bara 범위의 제 1 압력이고, 재-가스 스트림 (10)은 8 - 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에 있는, 단계,
b) 재-가스 스트림 (10)을 냉각 스트림 (11) 및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로 분할하는 단계,
c)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을 제 2 압력에서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압력은 2 bara 초과인, 단계,
d1) 공급 스트림 (40)을 냉각 스트림 (11)에 대해 냉각시켜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 및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얻는 단계, 및
d2) 상기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제 1 압력으로 팽창시켜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얻는 단계,
e)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f) 적어도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를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제 1 압력은 1.05 내지 1.25 bara 범위일 수 있다.
도 1은 재기화 터미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는 중간 압력에서 재기화 유닛의 재-가스 스트림 상류의 나머지와 조합될 수 있거나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와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는 재기화 유닛을 통해 별도로 통과될 수 있고 가스 그리드 압력 (제 3 압력)과 같거나 가까운 압력에서 재기화기 유닛의 하류에 조합될 수 있다.
재-가스 스트림은 제 1 압력에서 LNG의 비등점과 동일한 온도를 갖는다.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은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비등점과 동일한 온도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LNG는 두 단계에 원하는 가스 그리드 압력으로 펌핑될 것이다. 제 1 단계는 중간 압력으로 재-가스 스트림 (10)을 생성하는 인-탱크 펌프일 수 있고, 제 2 단계는 배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차압 (전형적으로 65 내지 135 bara)를 제공할 고압 펌프일 수 있다. 고압 스트림이 아닌 중간 압력인 재-가스 스트림으로부터 냉각 스트림을 얻음으로써, 냉각 스트림은 상대적으로 저온에 있게 되고, 이는 공급 스트림의 개선된 냉각을 가져오고, 냉각된 공급 스트림은 LNG 저장 포화 압력에 더 가까워져서, 플래싱 손실을 최소화한다.
상기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제 1 압력으로 팽창하기 (단계 (d2)) 앞서 공급 스트림 (40)을 냉각 스트림 (11)에 대해 냉각시킴으로써 (단계 (d1))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단계 (d1)에서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열 교환기의 하류에서 플래싱이 일어날 것이고, 이는 단지 가스 - 액체 혼합된 유동 대신 단상 유동을 처리하기에 적합한 소형 열 교환기를 허용한다. 둘째,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이 단계 (d2)에서 팽창될 때까지 비교적 차가워서 플래싱에 의해 생성되는 증발 가스의 양이 감소된다.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압력은 3 bara 초과, 바람직하게는 5 bara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bara 초과이다.
가압된 LNG (또는 ccLNG)라는 용어는 압력이 2 bara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bara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bara 초과인 고압으로 유지되는 액체 천연 가스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예에 따르면, 가압된 LNG는 15 - 17 bara 범위의 압력일 수 있다. 가압된 LNG의 온도는 주어진 압력에 대해 비등 온도이며, 이는 천연 가스의 조성에 의존한다.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LNG 저장 탱크는 LNG 유입구 (42)를 포함하고, d2)는 관련 LNG 유입구 (42)에 가까이, 바람직하게는 관련 LNG 유입구 (42)에서 50 미터 미만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밸브 혹은 팽창기 (41)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의 팽창은 플래시 가스 그리고 따라서 액체 및 증기를 포함하는 혼합된 유동 체제를 생성시킬 것이다. 거리를 50 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미터 미만으로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 라인을 통한 혼합된 유동 체제 (액체 증기 혼합물) 및 다중상-흐름 유도된 진동과 같은 관련 어려움을 전달할 필요성은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거리는 파이프 라인을 통해 중심선을 따라 측정된다.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LNG 저장 탱크는 LNG 유입구 (42)를 포함하고, d2)는 관련 LNG 유입구 (42)에서 또는 그 위의 수준에, 바람직하게는 관련 LNG 유입구 (42)의 탱크 상부 플랫폼에 위치하는 밸브 혹은 팽창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높이 차이가 10 미터 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5 미터 미만임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서 사용된다.
이것은 LNG 레이서 라인에서 혼합된 유동 체제를 방지하고 그러므로 수직 흐름 경로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다중상 유동 유도된 진동을 최소화한다. 또한, 냉각기 교환기의 크기와 복잡성이 모방된다.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와 조합시켜 조합된 스트림 (10")를 얻고 조합된 스트림 (10")를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또는
-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 및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를 개별적으로 재기화되는 별개의 평행 스트림으로서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이 마지막 옵션에 따라, 2 스트림을 가압 및 가온한 후에 스트림을 조합한다. 따라서, 본 방법은, 제 1 압축기 및 제 1 재-기화기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가압 및 가온시켜, 제 1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얻는 단계 그리고, 동시에, 제 2 압축기 및 제 2 재-기화기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를 가압 및 가온시켜, 제 2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증발 가스 스트림 (70)을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는 단계, 증발 가스 스트림 (70)을 가압하여 이로써 상기 중간 압력에서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2)를 얻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압된 증발-가스 스트림 (73)의 적어도 일부를 재응축기 (16)에 통과시켜 재응축되고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와 조합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의 적어도 일부를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에 첨가함으로써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은 재액화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은 이들 스트림의 혼합을 허용하는 중간 압력이다. 실제로 작은 압력 차가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 (101)을 포함하는 재응축기 (16)에 액체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
- 증기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재응축기 (16)에 공급하는 단계;
- 적어도 상기 액체 및 증기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포함하는 재응축기 (16)으로부터 재응축 스트림 (18)을 얻는 단계 및
- 조합된 스트림 (10")의 일부로서 재응축된 스트림 (18)을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와 그리고 선택적으로 증발 가스 스트림(의 일부)와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의 조합은 존재한다면 재응축기 (16)의 하류 및 재기화기 유닛 (20)의 상류, 특히 재기화기 유닛의 일부인 고압 펌프의 상류로 실시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f)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f1) 가압 재-가스 스트림 (13)을 획득하기 위해 제 3 압력에 조합된 스트림 (10")를 가압시키는 단계,
f2)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 (13)을, 예를 들면 주변 스트림 (22)에 대하여,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에서, 가온시켜 이로써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 (30)을 얻는 단계.
F1은 전형적으로 고압 압축기에 의해 수행된다.
제 3 압력은 60 bara 초과, 전형적으로 65 - 135 의 범위, 예를 들면 80 bara일 수 있고 가스 그리드 (31)에서 적어도 압력과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공급 스트림 (40)은 바람직하게는 가압 LNG를 포함하도록 적합한/배열된 하나 이상의 가압된 LNG 저장 탱크 (61)을 포함하는 캐리어 용기 (60)으로부터 얻어진다.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압력으로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의 유속은 2,000 m3/시간 미만, 예컨대 1,500 m3/시간 미만 또는 1,000 m3/시간 미만이다.
표시 값 미만으로 공급 스트림의 유속을 유지함으로써,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은 비교적으로 저온에 도달하도록 되어, 따라서 단계 (d2)에서 플래싱을 감소시킨다.
구현예에 있어서 냉각 스트림 (11)의 질량 유동은 다음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상기 공급 스트림 (40)의 질량 유량, 공급 스트림의 온도, 공급 스트림의 압력, 냉각 스트림의 온도, 냉각 스트림의 압력,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의 온도 및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의 온도.
냉각 스트림 (11)의 질량 유량은 공급 스트림 (40)의 질량 유량과 동일하도록 선택될 수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기를 포함하는, LNG를 재기화시키기 위한 재기화 터미널이 제공된다:
-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 (1)은 제 1 압력하에 있고, 상기 제 1 압력은 0.8 - 1.5 bara 범위임,
- 8 - 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에서 LNG의 재-가스 스트림 (10)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구, 그리고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 (30)을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하는 재기화기 유닛 (20),
- 열교환 유닛 (50) 및 팽창 장치 (41)을 포함하는 처리 유닛 (5), 여기서 열교환 유닛 (50)은 제 2 압력에서, 제 2 압력은 2 bara 초과임,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된 LNG 유입구 (51), 그리고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배출하기 위한 가압된 LNG 유출구 (52)를 포함하고, 가압된 LNG 유출구 (52)는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상기 팽창 장치 (41)에 통과시키기 위해 팽창 장치 (41)의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며, 팽창 장치는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에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함,
여기서 열교환 유닛 (50)은 공급 스트림 (40)을 냉각시키기 위해 8 - 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에서 냉각 스트림 (11)을 수용하기 위한 냉각 유입구 (53)을 추가로 포함하고, 냉각 스트림 (11)은 재-가스 스트림 (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열교환 유닛 (50)은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 유출구 (54)를 추가로 포함하고, 냉각 유출구 (54)는 중간 압력에서 재-가스 스트림 (10)과 유체 연통되어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와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조합시킨다.
용어 '와 유체 연통되는'은 유체가 유체 연통되는 부분에서 유동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그와 같은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존재하는 물리적 연결, 예컨대 도관 또는 파이프를 의미한다. 용어 '탈착가능한 유체 연통'은 커플러를 포함하는 연결과 같이 연결 및 해제에 적합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한다.
냉각 유출구 (54)는 따라서 재기화기 유닛 (20)의 상류 재기화기 유닛 (20)에 재-가스 스트림을 전달하는 도관과 유체 연통된다.
적어도 하나의 LNG 저장 탱크는 LNG 유입구 (42)를 포함하고 팽창 장치 (41)은 유출구를 포함하고, LNG 유입구 (42) 및 팽창 장치 (41)의 유출구는 서로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50 미터 미만 거리에서 배치된다. 거리는 파이프 라인을 통해 중심선을 따라 측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LNG 저장 탱크는 LNG 유입구 (42)를 포함하고 팽창 장치 (41)은 유출구를 포함하고, 팽창 장치 (41)의 유출구는 실질적으로 관련 LNG 유입구 (42)의 동일한 높이 또는 그 위에 있다. 팽창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관련 LNG 유입구 (42)의 탱크 상부 플랫폼에 있다. 여기에서 용어 실질적으로는 10 미터 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5 미터 미만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여 그리고 예를 사용하여, 이하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단일 참조 번호는 도관 또는 선과 해당 선에 의해 전달되는 스트림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현재, 가압된 LNG 캐리어로부터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이 대기압 또는 그것에 가까운 압력으로 재기화되도록 저장되고 설계된, 대기 재기화 터미널에서 수용되는 방법 및 재기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재기화 터미널에서 재기화 중에 방출되는 냉열은 낭비되지 않지만, 가압된 LNG를 대기 재기화 터미널에 있는 LNG 저장 탱크에 저장될 수 있는 대기 LNG로 냉각시키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재기화 공정으로부터 냉열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열역학적으로 균형 잡힌 공정 및 잠재적으로 더 높은 재기화율은 얻어질 수 있다.
대기 LNG라는 용어는 대기압 또는 대기압에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약간 높게 유지되는 액체 천연 가스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압력은 전형적으로 0.8 - 1.5 bara 또는 1.0 - 1.3 bara 범위이다. 저장 탱크 (1) 내의 제 1 압력은 50 - 200 mbarg 또는 100 - 200 mbarg 범위일 수 있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bara 용어는 절대 압력을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에서 barg 용어는 (대기압에 대해 제로 지칭된) 바 게이지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대기 LNG의 압력이 펌핑될 때 증가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은 대기 LNG로 변환된 후 LNG 저장 탱크에 저장된다. LNG 저장 탱크는 대기 LNG 저장에 적합한 저장 탱크일 수 있으며 고압에 견디도록 설계할 필요가 없다. 재기화 터미널은 따라서 가압된 LNG 저장 탱크가 필요없이 가압된 LNG를 받아 처리할 수 있다.
LNG의 재가스-스트림은 LNG 저장 탱크에서 취득되고 재기화기 유닛으로 보내져서 재기화된 천연 가스를 가스 그리드에 공급하기에 적합한 압력에서 천연 가스를 생산한다.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은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이 열 교환기의 재가스-스트림과 열을 교환하고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을 대기압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대기 LNG로 변환되어, 이로써 냉각 효과를 달성한다.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이 없을 때, 예를 들어 가압된 LNG 캐리어가 재기화 터미널에 계류되어 있지 않고 가압된 LNG를 하역하기에 바쁠 때, LNG 저장 탱크로부터 LNG의 재가스-스트림은, 예를 들면 다음의 특허 문헌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당한 재기화기 유닛에서 재기화될 수 있다: WO2008012286, WO2013186271, WO2013186277 및 WO2013186275.
가압된 LNG 캐리어가 있고 하역이 바쁠 때, 저장 탱크로부터 LNG의 재가스-스트림, 또는 그의 사이드-스트림은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에 대해 가온되는 열교환 장치를 통해 재-유도되어, 이로써 가온된 재-가스 스트림을 얻을 수 있고, 이는 재기화기 유닛에 통과된다. 가온된 재-가스 스트림은 선택적으로 재기화기 유닛의 상류의 재가스 스트림 상류의 나머지와 재결합된다.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은 열 교환기 유닛에 공급되어 재-가스 스트림 (의 사이드-스트림)에 대해 냉각되고 대기압으로 팽창되어 LNG를 포함하는 처리된 공급 스트림을 얻는다. 처리된 공급 스트림은 (대기) LNG 저장 탱크에 직접 통과될 수 있거나 또는 LNG 저장 탱크에 통과되는 액체 스트림 및 재-액화 유닛을 통해 재액화될 수 있는 가스성 스트림을 얻기 위해 가스-액체 분리기에 통과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재-액화 유닛을 통해 LNG 저장 탱크에 통과될 수 있거나 재응축기를 통해 재액화될 수 있다.
팽창은 열 교환기 유닛의 하류에서 발생한다.
제안된 방법 및 재가스 터미널은, 가압된 LNG의 압력이 제 1 압력으로 감소될 때까지 파이프 이외의, 추가적인 안전 대책이나 가압된 LNG를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강화된 하드웨어가 필요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재-가스 터미널은 현재 대기 LNG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면서 동시에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가압된 LNG를 받을 수 있다. 대기 LNG 저장 탱크가 있는 기존의 재-가스 터미널은 최소한의 추가 장비 및 플랜트 설계 변경으로 가압 LNG 가치 사슬과 통합될 수 있다. 대기 LNG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기존의 재-가스 터미널은 가압된 LNG를 수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도록 최소한의 하드웨어 투자로 수정될 수 있다.
구현예는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재기화 터미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재기화 터미널은 LNG를 포함하는 제 1 압력에서 저장 탱크 (1)을 포함한다. 재-가스 스트림 (10)은 적절한 펌프 (2)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재-가스 스트림 (10)은 따라서 제 1 압력보다 높은 중간 압력을 가질 것이다.
LNG 저장 탱크 (1)은 재-가스 스트림 도관을 통해 재기화기 유닛 (20)과 유체 연결된다. 재기화기 유닛 (20)은 재-가스 스트림을 수용하고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 (30)을 생성 및 방출하고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참조 번호 (31)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스 그리드에 통과시키도록 배열된다.
구현예에 따르면 재-기화기 유닛 (20)은 하기하도록 배열된다:
-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 (13)을 획득하기 위해 제 3 압력으로 재-가스 스트림 (10)를 가압,
-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에서 주변 스트림 (22)에 대해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 (13)의 적어도 일부를 가온.
도 1은 재-가스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유입구 및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 (13)을 배출하는 유출구를 갖는 압축기 (12)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압축기 (12)의 유출구는 (하나 이상의)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의 유입구와 도관 (13)을 통해 유체 연통된다. 재-기화기 열 교환기는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의 유입구와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의 유출구 사이의 제 1 유로 그리고 주변 유입구와 주변 유출구 사이의 제 2 유로를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유로가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주변 스트림은 주변 공기를 포함하는 스트림 또는 해수와 같은 물을 포함하는 스트림이 될 수 있다.
가압은 바람직하게는 주변 스트림에 대한 가온이 보다 높은 압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의 상류에서 수행된다.
제 3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 (30)의 필요한 출력 압력, 예컨대 가스 그리드 압력, 전형적으로 60 bara 초과, 예를 들면 80 bara와 적어도 동일하다.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의 유출구는 가스 그리드 (31)과 유체 연통한다.
도 1은 가압된 LNG를 포함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가압된 LNG 저장 탱크 (61)을 포함하는 캐리어 용기 (60)을 추가로 도시한다. 캐리어 용기 (60)은 재기화 터미널의 일부가 아니다.
캐리어 용기 (60)으로부터 얻어진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은 250ppm 미만 CO2,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ppm 미만 CO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ppm 미만 CO2 (ppm = 백만분율)을 포함한다.
재기화 터미널은 열교환 유닛 (50) 및 팽창 장치 (41)을 포함하는 처리 유닛 (5)를 포함한다. 팽창 장치 (41)은 공급 스트림 (40)의 유동 방향에 대해 열교환 유닛 (50)의 하류에 위치된다.
열교환 유닛 (50)은 플레이트 열 교환기, 쉘 및 튜브 열 교환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열 교환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간접 열 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 유닛 (50)은 하나 이상의 (직렬/병렬)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유닛 (50)은 제 2 압력에서, 상기 제 2 압력은 2 bara 초과임,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된 LNG 유입구 (51)을 포함한다. 가압된 LNG 유입구는, 예를 들어 캐리어 용기 (60)에서, 가압된 LNG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된 LNG 저장 탱크 (61)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열교환 유닛 (50)은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배출하기 위한 가압된 LNG 유출구 (52)를 추가로 포함한다.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은 배관 및 열교환 유닛 (50)을 통과하는 유동으로 인한 최소의, 의도되지 않은 압력 강하를 제외하고, 여전히 제 2 압력에 있다.
가압된 LNG 유출구 (52)는 팽창 장치 (41)에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통과시키기 위한 팽창 장치 (41)의 유입구와 유체 연통된다. 팽창 장치는 JT 밸브 또는 팽창기일 수 있고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생성한다. 열교환 유닛 (50)은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에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JT 밸브 또는 팽창기 (42)에서 팽창 후,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는 부분적으로 플래싱 오프함으로써 가스 및 액체의 혼합된 흐름을 창출할 것이다. 혼합된 흐름은 배관 작업에 손상/문제를 줄 수 있는 진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특히 높이 차이를 연결하는 배관 작업의 경우이다.
따라서, JT 밸브 혹은 팽창기는 LNG 유입구 (42)에 가까이, 바람직하게는 LNG 유입구 (42)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팽창 장치 (41)부터 LNG 유입구 (42)까지 10 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터 미만으로 유동할 때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에 의해 포함되도록 높이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용어가 사용된다.
열교환 유닛 (50)은 공급 스트림 (40)을 냉각하기 위해 8 - 16 bara의 범위의 중간 압력에서 냉각 스트림 (11)을 수용하기 위한 냉각 유입구 (53)을 추가로 포함한다. 냉각 스트림 (11)은 중간 압력에서 재-가스 스트림 (10) (의 사이드 스트림)이다.
열교환 유닛 (50)은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조합된 스트림 (10")를 형성하는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와 재조합시키기 위해 중간 압력에서 재-가스 스트림 (10)으로 역 공급되도록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 유출구 (5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가스 스트림 (10)은 LNG 저장 탱크 (1)로부터 획득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 (의 적어도 일부)를 재응축시키기 위해 재응축기 (16)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다. 재응축기 (16)은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 (101)를 포함하는 액체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 그리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증기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이들 2 개의 스트림은 재응축된 스트림 (18)로 조합하며, 나머지 재-가스 스트림 (102)와 재조합되어, 조합된 스트림 (10")의 일부로서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된다.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응축기 (16)의 하류 또는 재응축기 (16)의 상류 중 조합된 스트림에, 예를 들어 재응축된 스트림 (18)과 재조합되기 전 재-가스 스트림 (102)의 나머지에, 그러나 재-기화기 유닛 (20)의 상류에 또한 첨가된다.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는 중간 압력이고 중간 압력의 스트림에 첨가된다.
냉각 스트림 (11) 그리고 가압된 LNG 의 공급 스트림 (40) 또는 팽창된 공급 스트림 (42)는 열교환 유닛 (50)에서 열을 교환할 수 있다. 냉각 스트림 (11)이 전형적으로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경우, 냉각 스트림 (11)은 가온될 것이고 공급 스트림 (40)은 냉각될 것이다.
냉각 유출구 (54)에서 얻어진,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는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된다.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가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에 관하여 가온함에 따라, 재기화기 유닛 (20)의 그 출력 속도 또는 유사한 출력 속도 유지가 유사한 가온 작용과 함께 증가될 수 있으면서 재기화기 유닛 (20)의 가온 작용은 감소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냉각 스트림 (11)은 중간 압력에서 재-가스 스트림 (10)의 사이드-스트림으로서 생성되고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는 중간 압력에서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와 재조합되어, 따라서 재기화기 유닛의 상류에 위치한다.
냉각 스트림 (11)의 유속은, 다른 요인 가운데,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의 유속,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의 온도 및 압력, 냉각 스트림 (11)에 대한 공급 스트림 (40)의 냉각의 효율 등에 의존할 수 있다. 냉각 스트림 (11)의 질량 유속은 재-가스 스트림 (10)의 질량 유속의 적어도 10%, 재-가스 스트림의 질량 유속의 적어도 25%, 재-가스 스트림의 질량 유속의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냉각 스트림 (11)은 재-가스 스트림의 질량 유속의 95% 초과 또는 심지어 재-가스 스트림의 질량 유속의 100%의 질량 유속을 갖는다. 본 방법은 이들 인자 중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냉각 스트림의 질량 유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질량 유속은 kg/s로서 표현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재-가스 스트림 (10')의 나머지와 재-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통과될 수 있다. 직접적으로라는 용어는 분리 단계, 압력 변경 단계 또는 온도 변경 단계와 같은 추가의 실질적인 처리 단계가 그 사이에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서 사용된다.
도 1은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증발 가스 스트림 (70)을 추가로 도시한다. 또한, 상기 중간 압력에서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2)을 얻기 위해 증발 가스 스트림 (70)을 수용하고 증발 가스 스트림을 가압하도록 배열된, 제 1 증발 가스 압축기 (71)이 포함된다.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으로서 재응축기 (16)에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다.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2)는 적어도 제 3 압력과 동일한 압력에서 추가의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을 얻기 위해 제 2 증발 가스 압축기 (75)에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비 냉각된 증발 가스 스트림 (72) 전체는 재응축기 (16)에 또는 제 2 증발 가스 압축기 (75)에 통과된다.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이 이용가능한 경우 b) - f)를 실행하는 단계 및
-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b) - f)를 중단시키는 단계.
B) - f)는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공급이 이용가능한 경우 실행될 수 있고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공급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 중단될 수 있다. 가압된 LNG의 공급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재-가스 스트림 (10)은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된다.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은 캐리어 용기 (60)으로부터 수용될 수 있다. B) - f)는 적재된 캐리어 용기가 존재하고 재기화 터미널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된다. 캐리어 용기가 연결되지 않거나, 제 2 압력에서 임의의 가압된 LNG를 포함하지 않거나 캐리어 용기가 없는 경우에 b) - f)는 중단된다.
단계 b) - f)가 중단되는 경우, 재기화 터미널은 a)를 실행하고 f) 대신 f')를 실행하면서 하기에 의해 작동된다:
f') 재-가스 스트림 (10')를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구현예에 따르면 a)는 하기에 의해 재-가스 스트림 (10)의 유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b) - f)가 실행될 때 제 1 유속 수준에서 재-가스 스트림 (10)의 유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
- b) - f)가 중단될 때 제 2 유속 수준에서 재-가스 스트림 (10)의 유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속 수준은 상기 제 2 유속 수준보다 높음.
따라서,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이 수용될 때, 가압된 LNG로부터 가온 작용의 일부가 얻어지기 때문에, 재기화되는 LNG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하기에 의해 재기화기 유닛의 가온 작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b) - f)가 실행될 때 제 1 수준에서 재기화기 유닛의 가온 작용을 설정하는 단계 및
- b) - f)가 중단될 때 제 2 수준에서 재기화기 유닛의 가온 작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수준은 상기 제 1 수준보다 낮음.
가온 작용은 예를 들어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의 주변 스트림 (22)의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이 수용될 때, 가압된 LNG로부터 가온 작업의 일부가 얻어지기 때문에, 재기화기 유닛은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가온 작업은 낮아질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2)

  1. 재기화 터미널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a)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로부터 LNG의 재-가스 스트림 (10)을 얻는 단계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 (1)은 0.8 - 1.5 bara 범위의 제 1 압력이고,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은 8 - 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에 있는, 단계,
    b)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을 냉각 스트림 (11) 및 상기 재-가스 스트림 의 나머지(10')로 분할하는 단계,
    c)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을 제 2 압력에서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압력은 2 bara 초과인, 단계,
    d1) 상기 공급 스트림 (40)을 상기 냉각 스트림 (11)에 대해 냉각시켜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 및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얻는 단계, 및
    d2) 상기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상기 제 1 압력으로 팽창시켜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얻는 단계,
    e) 상기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상기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에 통과시키는 단계 그리고
    f) 적어도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 (10')를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력이 3 bara 초과, 바람직하게는 5 bara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bara 초과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NG 저장 탱크가 LNG 유입구 (42)를 포함하고, d2)가 관련 LNG 유입구 (42)에 가까이, 바람직하게는 관련 LNG 유입구 (42)로부터 50 미터 미만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밸브 또는 팽창기 (41)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NG 저장 탱크가 LNG 유입구 (42)를 포함하고, d2)가 관련 LNG 유입구 (42)에 또는 그 위의 레벨에, 바람직하게는 관련 LNG 유입구 (42)의 탱크 상부 플랫폼에 위치하는 밸브 또는 팽창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와 조합시켜 조합된 스트림 (10")를 얻고 조합된 스트림 (10")를 상기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 또는
    - 상기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 및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를 개별적으로 재기화되는 별개의 평행 스트림으로서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가스 스트림 (70)을 상기 LNG 저장 탱크 (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는 단계, 상기 증발 가스 스트림 (70)을 가압시켜 상기 중간 압력에서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2)를 얻는 단계 및 상기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의 적어도 일부를 재응축기 (16)에 통과시켜 재응축시키고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 (10')와 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 (10')의 적어도 일부 (101)을 포함하는 상기 재응축기 (16)에 액체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
    - 상기 가압된 증발 가스 스트림 (7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재응축기 (16)에 증기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
    - 적어도 상기 액체 및 증기 재응축기 공급 스트림을 포함하는 상기 재응축기 (16)으로부터 재응축된 스트림 (18)을 얻는 단계 및
    - 상기 재응축된 스트림 (18)을 상기 조합된 스트림 (10")의 일부로서 상기 재기화기 유닛 (20)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f1) 제 3 압력에 상기 조합된 스트림 (10")를 가압시켜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 (13)을 얻는 단계,
    f2) 재-기화기 열 교환기 (21)에서, 예를 들어 주변 스트림 (22)에 대해 상기 가압된 재-가스 스트림 (13)을 가온시켜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 (30)을 얻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상기 공급 스트림 (40)의 유속이 2,000 m3/시간 미만, 예컨대 1,500 m3/시간 미만 또는 1000 m3/시간 미만인,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스트림 (11)의 질량 유량이 다음 파라미터: 상기 공급 스트림 (40)의 질량 유량,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상기 공급 스트림의 압력, 상기 냉각 스트림의 온도, 상기 냉각 스트림의 압력, 상기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의 온도 및 상기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의 온도 중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방법.
  11. LNG를 재기화하는 재기화 터미널로서,
    -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은 제 1 압력하에 있고, 상기 제 1 압력은 0.8 - 1.5 bara 범위인, 상기 LNG 저장 탱크 (1),
    - 8 - 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에서 LNG의 재-가스 스트림 (10)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구, 및 재기화된 천연 가스 스트림 (30)을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하는 재기화기 유닛 (20),
    - 열교환 유닛 (50) 및 팽창 장치 (41)을 포함하는 처리 유닛 (5)으로서, 상기 열교환 유닛 (50)은 2 bara 초과인 제 2 압력에서, 가압된 LNG의 공급 스트림 (40)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압된 LNG 저장 탱크 (61)과 분리가능하게(releasable) 유체 연통되는 가압된 LNG 유입구 (51), 및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배출하기 위한 가압된 LNG 유출구 (52)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된 LNG 유출구 (52)는 상기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을 상기 팽창 장치 (41)에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팽창 장치 (41)의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팽창 장치는 팽창 냉각된 공급 스트림 (43')를 상기 하나 이상의 LNG 저장 탱크 (1)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 (1)과 유체 연통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 유닛 (5)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 유닛 (50)은 상기 공급 스트림 (40)을 냉각시키기 위해 8 - 16 bara 범위의 중간 압력에서 냉각 스트림 (11)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과 유체 연통되는 냉각 유입구 (53)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 스트림 (11)은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유닛 (50)은 상기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 유출구 (5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출구 (54)는 상기 중간 압력에서 상기 재-가스 스트림 (10)과 유체 연통되어 상기 재-가스 스트림의 나머지와 상기 가온된 냉각 스트림 (14)를 조합시키는, 재기화 터미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가압된 LNG의 상기 공급 스트림 (40)은 0.5 초과, 바람직하게는 0.85 초과의 메탄 몰분율을 갖는, 재기화 터미널.
KR1020197005209A 2016-08-23 2017-08-15 재기화 터미널 및 그러한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 KR20190040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5371.8 2016-08-23
EP16185371 2016-08-23
PCT/EP2017/070678 WO2018036869A1 (en) 2016-08-23 2017-08-15 Regasif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regasif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210A true KR20190040210A (ko) 2019-04-17

Family

ID=5692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209A KR20190040210A (ko) 2016-08-23 2017-08-15 재기화 터미널 및 그러한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504473A1 (ko)
JP (1) JP2019525103A (ko)
KR (1) KR20190040210A (ko)
CN (1) CN109642704A (ko)
MA (1) MA46029A (ko)
PH (1) PH12019500374A1 (ko)
SG (1) SG11201901124PA (ko)
WO (1) WO2018036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330B1 (ko) * 2018-10-18 2022-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방법
FR3112589B1 (fr) * 2020-07-17 2022-07-22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ème de chargement de gaz naturel liquid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2717B (en) * 1979-06-26 1983-08-10 British Gas Corp Storage and transport of liquefiable gases
KR100370910B1 (ko) * 1993-12-10 2003-03-31 트랙테블 엘엔지 노쓰 아메리카 엘엘씨 Lng조합싸이클플랜트시스템및조합싸이클플랜트의용량및효율을향상하기위한방법
US7155931B2 (en) * 2003-09-30 2007-01-02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US7299655B2 (en) * 2003-12-15 2007-11-27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poriz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US20060242969A1 (en) 2005-04-27 2006-11-02 Black & Ve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aporizing cryogenic liquids using a naturally circulating intermediate refrigerant
CA2550469A1 (en) 2005-06-20 2006-12-20 Steven Campbell Method for transporting liquified natural gas
MX2009000686A (es) 2006-07-25 2009-01-30 Shell Int Research Metodo y dispositivo para vaporizar una corriente de liquido.
WO2010093400A1 (en) * 2009-02-11 2010-08-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s and systems of regenerative heat exchange
AU2011236067B2 (en) 2010-10-15 2013-02-07 Cluster LNG Co., Ltd Method for producing pressurized liquefied natural gas and production system therefor
CN103443435A (zh) * 2011-03-11 2013-12-11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用于将燃料供应到具有再液化装置和高压天然气喷射式发动机的海事结构的系统的驱动方法
EP2861926B1 (en) 2012-06-12 2016-04-2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liquefied stream
KR102066309B1 (ko) 2012-06-12 2020-01-14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액화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216067A1 (en) 2012-06-12 2014-08-0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liquefied stream
KR20150080885A (ko) * 2014-01-02 2015-07-10 김유택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재기화 설비에서 발생한 저온해수를 이용한 해양온도차발전 시스템
SG11201606268QA (en) * 2014-02-28 2016-09-29 Jgc Corp Receiving equipment for liquefied natural gas
SG10201911907RA (en) * 2015-06-29 2020-01-30 Shell Int Research Regasif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regasif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4473A1 (en) 2019-07-03
WO2018036869A1 (en) 2018-03-01
JP2019525103A (ja) 2019-09-05
MA46029A (fr) 2019-07-03
CN109642704A (zh) 2019-04-16
PH12019500374A1 (en) 2019-11-25
SG11201901124PA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7563B (zh) 两用lng/lin储存罐的吹扫方法
KR102064167B1 (ko) 액화 천연 가스 생산 시스템 및 온실 가스 제거 방법
KR102064168B1 (ko) 천연 가스 공급 스트림을 사전 냉각시킴으로써 lng 생산 시스템에서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
AU20163024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liquid natural gas stream at a LNG import terminal
KR102082362B1 (ko) 극저온 저장 선박에 있는 보일 오프 가스 속의 잠열의 수집, 이용, 배출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KR101711997B1 (ko) 연료공급시스템
JP6498785B2 (ja) 船舶の蒸発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6986159B2 (ja) 液化ガス再気化システムの蒸発ガス処理装置及び蒸発ガス処理方法
KR20190040210A (ko) 재기화 터미널 및 그러한 재기화 터미널의 작동 방법
KR101763704B1 (ko)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
KR101763696B1 (ko) 재액화 시스템
JP6827964B2 (ja) 再ガス化ターミナル及びそのような再ガス化ターミナルを動作させる方法
NO332123B1 (no) Anlegg for a gjenvinne BOG fra LNG lagret i tanker
KR101763701B1 (ko)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
KR101763699B1 (ko) 이산화탄소 운용시스템
JP2023148216A (ja) タンク設備及び液体水素の払出方法
WO2017095230A1 (en) A plant and method for regasification of lng
NO3390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pressure in an LNG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