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363A - 관상호 내부연결구 - Google Patents

관상호 내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363A
KR20190039363A KR1020170128483A KR20170128483A KR20190039363A KR 20190039363 A KR20190039363 A KR 20190039363A KR 1020170128483 A KR1020170128483 A KR 1020170128483A KR 20170128483 A KR20170128483 A KR 20170128483A KR 20190039363 A KR20190039363 A KR 20190039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connection
prese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17012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9363A/ko
Publication of KR2019003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18Abutm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관상호 내부연결구의 관 상호 강제끼움 방식의 2인 가에끼움의 많은 시간허비 및 빠짐의 조심성 및 시공의 고비용을 등을 가압축소,확대 및 고정으로 1인이 간단히 1~3터치식 해결할 수 있는 도 2~ 도 4처럼 돌기(11b,12b)를 가압함으로서 삽입 및 고장함으로써 관(500) 고정 및 또한 후퇴방지가 자동적으로 되어 종래 2인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비용으로 수배~수십배 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관상호 내부연결구{Pipe interconnection Internal insertion Connector}
본 발명은 관상호를 내부에서 연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소하여 양측관 내부에 삽입하고 확대 및 고정하여 관상호를 간단히 연결고정하여 공기,노임 절감 및 유지할 수 있는 관상호 내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5 종래의 보온닥트 사용 및 보온주름관 사시도. 도 5 종래의 유체관 및 보온닥트들의 일중연결의 등록특허들 및 이중연결의 등록특허들의 사시 및 단면도. 도 7은 출원자의 출원1020160129134 및 종래등록특허100891152,100886905들의 유체관 및 보온닥트들의 일중연결 또는 이중연결을 일측식을 각각압착고정하는 고정벨트들의 사시 및 단면도.
일반적으로 도 5의 공조 닥트 및 관맞연결은 도 5 등록특허101377578, 100927218의 41,50,51 파이프와 파이프를 맞대어 볼트로 고정 또는 닥트를 여러부분 조각내어 홀짝을 접고 맞물림 고정 상기 내부파이프 상호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졌으며, 관끼움연결은 도 7 등록특허101729160,101591943,100927218의 30,31, 32 파이프를 상호 끼워 삽입겹침연결로 양측을 각각의 연결고정구로 압착고정 상기 내부파이프 상호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조의 조인트들은 출원과 별개인 파이프외부를 연결하는 것들로 내부사용이 아님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이들은 연결, 보수시의 분리가 복잡하고 시공의 인건비가 많이드는 불편의 문자 있다.
도 4의 종래 관(500)상호 내부연결구(100)는 관(500)상호 내부에 밀착되게 원으로 구비되어 관(500)상호에 강제삽입이 많은 시간과 노임이 소비된다. 또한 관의 흔들림, 충격 쉼게 빠저 많은 시간과 신경이 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두개의 관(500)내부에 삽입 및 관상호 연결되며, 관(500)을 보온제를 감싸고(도 4)외부를 철판밀폐 또는 테이프 마감하는 관 내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통상의 길이를 따라 절단: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이 상호 맞물리는 고정부(11a,12a);
상기 연결구가 통상의 와류 및 통상의 축소/확대하는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11b,12b)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호 내부연결구(10)를 구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는 또한 통상의 원주에 관(500)의 후퇴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역방사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의 일 예시예에 따른, 두개의 관(500)내부에 삽입 및 관상호 연결되며, 관(500)을 보온제를 감싸고(도 4)외부를 철판밀폐 또는 테이프 마감하는 관 내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통상의 길이를 따라 절단: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이 상호 맞물리는 고정부(11a,12a); 상기 연결구가 통상의 와류 및 통상의 축소/확대하는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11b,12b)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호 내부연결구(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는 또한 통상의 원주에 관(500)의 후퇴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역방사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절개일측인 선단(11)과 절개 타측인 타단(12)은 서로고정 또는 맞물리는 고정부(11a,12a)를 구비할 수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1a)가 내측 고정부(12a)가 외측에 위치시커 선단(11)과 타단(12)을 통상의 외압 통상의 와류확대/축소되게 구비할 수있다.
고정부(11a,12a)는 상호 맞물리어 축소를 방지할 수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요철,장치,형상중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할 수있다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는 통상의 원주가 통상의 와류 확대/축소되게 통상의 선단(11)과 타단(12)에 적어도 하나이상 통상의 돌기(11b,12b)를 구비할 수있다.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는 고정부(11a,12a) 및 돌기(11b,12b)를 구비햐여 돌기(11b,12b)외압에 와류확대/축소 및 고정되게 구비되어 축소하여 양관에,이 삽입 및 확대하여 고정부(11a,12a)에 맞물리어 간단히 고정함으로서 종래 관에 강제로 끼우는 관내부연결구의 2인의 장시간연결의 고노임에 비해 혼자서 간단히 약10~20배이상의 시간 및 노임단축 및 유지보수가 1~3터치로 이루어지는 장점의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역방지 돌기가 관의 후퇴를 방지하여 작업의 신뢰성이 보다 높은 장점의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상호 내부연결구의 사용 사시도.
도 2 도 1의 이해를 돕기위한 (a),(b),(c)선단(11) 및 타단(12)의 돌기(11a,12a)를 가압수축하여 일측 및 타측관(500) 내부에 삽입 및 (d)돌기(11a,12a)를 반대로 가압확대 하여 고정부(11a,12a)에 맞물리(미도시)는 돌기(11a,12a) 및 고정부(11a,12a)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도 1,도 2의 보다더 이해를 돕기위한 (a),(b),(e),(f)고정부(11a,12a) 상호 맞물린 사용상태, 고정부(11a,12a) 및 벌림의 이해를 돕기위한 상기 (a),(b),(g)의 벌림상태의 고정부(11a,12a)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도 1~도 3의 보다더 이해를 돕기위한 (a),(b)관상호 내부연결구(10)와 종래 관상호 내부연결구(100)의 대기상태 및 (c)관상호 내부연결구(10)의 돌기(11a,12a)를 가압 묵어 와류축소의 이해를 돕기위한 관상호 내부연결구(100)에 위치시킨 관상호 내부연결구(10)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종래의 보온닥트 사용 및 보온주름관 사시도.
도 6 종래의 유체관 및 보온닥트들의 일중연결의 등록특허들 및 이중연결의 등록특허들의 사시 및 단면도.
도 7 출원자의 출원 및 종래등록특허들의 유체관 및 보온닥트들의 일중연결 또는 이중연결을 일측식을 각각압착고정하는 고정벨트들의 사시 및 단면도
먼저, 관상호 내부연결구의 도 4(a,b) 및 관상호 외부연결구의 도 5~ 도 7등록특허들을 참조하여 관 몸체,(12)에 돌기,(12a)와 고정부,(16a)구비의 고정체,(16)가 구비된 맞댄관, 삽입겹침관의 연결고정이 참조되어 상기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가능하다는 것이 선 통상의 기술자가 인지하는 것으로 인정하고 각부품, 구성, 기능을 상기를 참조로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상호 내부연결구(10)의 사용 사시도.
도 2 도 1의 이해를 돕기위한 (a),(b),(c)선단(11) 및 타단(12)의 돌기(11a,12a)를 가압수축하여 일측 및 타측관(500) 내부에 삽입 및 (d)돌기(11a,12a)를 반대로 가압확대 하여 고정부(11a,12a)에 맞물리(미도시)는 돌기(11a,12a) 및 고정부(11a,12a)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도 1,도 2의 보다더 이해를 돕기위한 (a),(b),(e),(f)고정부(11a,12a) 상호 맞물린 사용상태, 고정부(11a,12a) 및 벌림의 이해를 돕기위한 상기 (a),(b),(g)의 벌림상태의 고정부(11a,12a)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도 1~도 3의 보다더 이해를 돕기위한 (a),(b)관상호 내부연결구(10)와 종래 관상호 내부연결구(100)의 대기상태 및 (c)관상호 내부연결구(10)의 돌기(11a,12a)를 가압 묵어 와류축소의 이해를 돕기위한 관상호 내부연결구(100)에 위치시킨 관상호 내부연결구(10)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관상호 내부연결구(10)의 일예시예에 따르면,
두개의 관(500)내부에 삽입 및 관상호 연결되며, 관(500)을 보온제를 감싸고(도 4)외부를 철판밀폐 또는 테이프 마감하는 관 내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통상의 길이를 따라 절단: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이 상호 맞물리는 고정부(11a,12a); 상기 연결구가 통상의 와류 및 통상의 축소/확대하는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11b,12b)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호 내부연결구(10)를 구비한다.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는 원주가 통상의 와류 축소되게 선단(11)과 타단(12)의 돌기(11b,12b)를 가압축소(도 2(a,b,c)하고 양측관(500) 내부에 삽입하고 다시 (도 2(d)돌기(11b,12b)를 가압확대 및 고정부(11a,12a)에 고정이때 양측관(500) 내부에 관상호 내부연결구(10)의 외측이 밀착할 수있다.
본 발명 관상호 내부연결구(10)는 또한 원주외측에 관(500)의 후퇴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역방사 돌기를 구비하여 관(5000)의 내측에 밀착되어 관(500)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특허문헌 1) KR 출원특허1020160129134,
(특허문헌 2~6) KR 등록특허100891152,100886905,101377578,100927218,
101729160,101591943

Claims (1)

  1. 두개의 관(500)내부에 삽입 및 관상호 연결되며, 관(500)을 보온제를 감싸고(도 4)외부를 철판밀폐 또는 테이프 마감하는 관 내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통상의 길이를 따라 절단: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이 상호 맞물리는 고정부(11a,12a);
    상기 연결구가 통상의 와류 및 통상의 축소/확대하는
    상기 절단의 선단(11) 및 타단(12)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상의 돌기(11b,12b)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호 내부연결구.
KR1020170128483A 2017-10-02 2017-10-02 관상호 내부연결구 KR20190039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483A KR20190039363A (ko) 2017-10-02 2017-10-02 관상호 내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483A KR20190039363A (ko) 2017-10-02 2017-10-02 관상호 내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363A true KR20190039363A (ko) 2019-04-11

Family

ID=6616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483A KR20190039363A (ko) 2017-10-02 2017-10-02 관상호 내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93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901351A2 (pt) métod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ngueira flexìvel a um soquete e arranjo de conexã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gueira flexìvel a um soquete
US7481464B2 (en) Coupling, particularly pipe coupling for high-pressure pipes or hoses
US9651177B2 (en) Coupling connection for corrugated pipes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CN104136824B (zh) 用于将连接接头连接到隔热导管上的方法及连接接头和隔热导管装置
ES2250445T3 (es) Conjunto de obturacion.
EP3521675B1 (en) Pipe fitting connecting method
US11123126B2 (en) Universal adaptor for gas scavenging systems
KR101865460B1 (ko)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US20210324987A1 (en) Pipe fittings
KR20190039363A (ko) 관상호 내부연결구
ATE311566T1 (de) Rohrverbindungsvorrichtung
CN112689727B (zh) 波纹管道组件及其套筒
KR20140098967A (ko) 가압식 패킹부재를 이용한 배관 커플러
KR20180133289A (ko) 맞댄관 및 삽입겹침관 겸용 원터치 고정연결구
CN105135116A (zh) 一种软管连接装置
KR101452439B1 (ko) 보강 부재가 구비된 이탈방지 파이프 결합 구조
KR20190014441A (ko) 맞댄관 및 삽입겹침관 겸용 원터치 고정연결구.
KR102516942B1 (ko) 관 및 박스연결구
CN216813267U (zh) 一种管道连接套
CN203477714U (zh) 气密接头
CN215275414U (zh) 一种导管与导管密封锁定的连接结构
KR20180133025A (ko) 맞댄관 및 삽입겹침관 겸용 원터치 고정연결구
JP3573136B2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