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112A - 스프링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프링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112A
KR20190039112A KR1020197003359A KR20197003359A KR20190039112A KR 20190039112 A KR20190039112 A KR 20190039112A KR 1020197003359 A KR1020197003359 A KR 1020197003359A KR 20197003359 A KR20197003359 A KR 20197003359A KR 20190039112 A KR20190039112 A KR 2019003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element
section
hold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761B1 (ko
Inventor
프란츠 바우어
요제프 하저 프란츠
필립 세일러
패트릭 예커
Original Assignee
프란츠 바우어
라멜로 악티엔게젤샤프트
요제프 하저 프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츠 바우어, 라멜로 악티엔게젤샤프트, 요제프 하저 프란츠 filed Critical 프란츠 바우어
Publication of KR2019003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6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nap-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55Biscuits including formed staples or the like
    • A47B2230/0062Connectors for adjacent furniture parts, the mouths of the grooves for said connectors being on the join lines of said furnitur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이며 높은 스프링력 및 긴 스프링 경로를 달성할 수 있는 스프링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변형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 및 스프링 요소의 편향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가 접합될 수 있는 접합 요소를 포함하며, 스프링 요소의 적어도 한쪽 단부는 스프링 요소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스프링 요소는 그 초기 상태에서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의 방향으로 접합 요소로부터 증가된 거리를 가지는, 스프링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스프링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
본 발명은 특히 2개의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일 수 있는 스프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특히 가구 또는 기계 구성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EP 1 990 549 A1 또는 DE 10 2013 203 289 A9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며 높은 스프링력 및 긴 스프링 경로를 달성할 수 있는 스프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스프링 디바이스로서,
탄성 변형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 및
상기 스프링 요소의 편향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요소가 접합될 수 있는 접합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요소의 적어도 한쪽 단부는 상기 스프링 요소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그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스프링 요소의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상기 접합 요소로부터 증가된 거리를 가지는, 스프링 디바이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스프링 요소와 접합 요소의 조합의 결과로서, 스프링 요소의 최적의 탄성 변형은 바람직하게 특히 높은 스프링력과 긴 스프링 경로를 궁극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이에 의해 특히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스프링 요소의 제1 단부는 특히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 반대편에 배열된다.
스프링 요소의 제1 단부 상의 스프링 요소가 접합 요소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특히 접합 요소에 대해 고정된 스프링 요소의 단부이다.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는 특히 스프링 요소의 제2 단부이다.
스프링 요소는 특히 최대로 편향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접합 요소에 접합되거나 또는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그 초기 상태에서,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의 방향으로 접합 요소로부터 일정하게 증가 및/또는 연속적으로 증가 및/또는 과비례하여(over-proportionally) 증가하는 거리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접합 요소가 스프링 요소에 접합되기 위한 접합 표면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접합 표면은 곡선 구성이다. 특히, 접합 표면이 원형의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곡선화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합 요소 및/또는 상기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 각각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특히 2개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다.
또한, 접합 요소 또는 초기 상태에서의 스프링 요소가 비곡선 및/또는 선형 구성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접합 표면은 바람직하게 접합 표면에 접합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의 표면보다 큰 곡률(stronger curvature)을 가지는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접합 표면에 접합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의 표면이 접합 표면보다 큰 곡률을 가지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사양은 특히 스프링 디바이스의 초기 상태와 관련된다.
스프링 요소의 편향된 상태에서, 특히 스프링 요소의 최대로 편향된 상태에서, 접합 표면 및 접합 표면에 접합되는 스프링 요소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의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의 곡률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법선 벡터들이 각각 공통 교차점 또는 공통 교선을 가지는 방식으로, 접합 표면에 접합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의 표면 또는 접합 표면 자체가 각각 곡선화된다는 점에서,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의 곡률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와 접합 요소가 서로 원피스로서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 및 접합 요소는 특히 하나의 단일 구성 요소이고 및/또는 하나의 공통 제조 단계 또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제조 가능하다.
스프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프링 디바이스가 시트 금속 형상 제품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 디바이스가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 및/또는 시트 금속 형상 제품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가 시트 금속 형상 제품인 반면에, 접합 요소가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어 연결 요소의 베이스 바디의 스프링 리셉터클(spring receptacle)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또는 삽입되거나 또는 접속 가능하거나(pluggable) 또는 접속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접합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스프링 요소가 접합 요소에 접촉하는 영역에 접합될 수 있으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이 증가하는 스프링 요소가 확장 접촉 표면에서 접합 요소에 직접, 특히 방해받지 않고 접합 요소에 접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자유로운 및/또는 접합 요소에 지지되지 않는 스프링 요소의 섹션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요소의 편향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한다. 특히, 그러므로, 스프링 요소의 자유 스프링 길이는 바람직하게 편향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된다. 자유로운 및/또는 접합 요소에 지지되지 않는 스프링 요소의 섹션의 길이의 감소는 특히 스프링력에서의 증가로 이어진다.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 편향이 증가함에 따라 접합 요소에서 감김이 풀린다(unwound).
접촉 표면은 특히 스프링 요소와 접합 요소가 서로 접촉하는 표면이다.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 초기 상태에서 최소, 특히 0이다.
초기 상태로부터의 스프링 요소의 편향이 시작될 때, 이러한 것은 바람직하게 스프링 요소의 제1 단부의 영역에서 접촉 표면을 유발한다.
스프링 요소의 편향이 증가함에 따라서,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 특히 스프링 요소의 제1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의 방향으로 접합 표면을 따라서 확장한다.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의 연속적이고 및/또는 간단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특히 접합 요소에 대한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있는 접합과 동시에 스프링 요소의 효율적인 인장이 가능하다. 특히, 지점에서 또는 선의 형태를 하는 스프링 요소의 불필요한 부하 또는 과부하 또는 과부하가 바람직하게 결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와 접합 요소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 표면을 따르는 모든 위치에서, 편향된 상태에서의 스프링 요소의 국부적 탄성 변형이 적어도 거의 동일하면 유익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와 접합 요소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 표면을 따른 모든 위치에서, 편향된 상태에서의 스프링 요소의 국부적 곡률이 적어도 거의 동일하면 더욱 유익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요소와 접합 요소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 표면을 따르는 모든 위치에서, 편향된 상태에서의 스프링 요소의 국부적 굽힘 모멘트가 적어도 거의 동일하면 유익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 및 접합 요소는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및/또는 전술한 거리 및/또는 전술한 변형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거의 동일"은 최대 약 30%, 예를 들어 최대 약 20%, 특히 최대 약 10%의 변형도(degree of deformation)에서의 편차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스프링 요소의 단지 부분적인 이완시에, 특히 스프링 디바이스의 구속 상태(arresting state), 록킹 상태 및/또는 래칭 상태(latching state)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접합 요소에 여전히 접합되어 있다. 스프링 요소의 자유 스프링 길이는 바람직하게 특히 완전히 이완된 초기 상태에서의 자유 스프링 길이와 비교하여, 스프링 디바이스의 구속 상태, 록킹 상태, 및/또는 래칭 상태에서 더욱 짧은 구성이다.
스프링 디바이스가 다수의 스프링 요소 및/또는 다수의 접합 요소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디바이스가 단지 하나의 단일 스프링 요소 및/또는 단지 하나의 단일 접합 요소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 및 접합 요소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유닛을 형성한다.
스프링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다수의 이러한 스프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디바이스가 다수의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 요소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반대로 변형 가능하고, 특히 편향 가능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 요소들이 동일한 편향의 방향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디바이스가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편향의 방향으로 앞뒤로, 또는 차례로 쌓여 접합 요소에 접합될 수 있는 다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앞뒤로 배열된 다수의 스프링 요소는 특히 스프링 팩(spring pack)으로서 구성된다.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가 래칭 요소 및/또는 후크 요소를 가지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접합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단부의 구부러진 및/또는 곡선화된 및/또는 경사진 단부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의 L-자 형상을 가진다.
특히, 스프링 요소의 결합 섹션은 래칭 요소 및/또는 후크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섹션에 의해, 스프링 디바이스를 연결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디바이스는 특히 연결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특히 가구 또는 기계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연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디바이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디바이스를 가지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 디바이스의 접합 요소는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연결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에 의해, 또는 서로 연결될 물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원피스형 베이스 바디를 가지는 연결 요소를 포함하면 바람직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가 연결 상태 및/또는 앵커링 상태(anchoring state)에서 물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종방향 단면에서 원호 형상인 곡선 지지면을 각각 가지는 하나 이상의 비-자체 절단 홀딩 돌출부(non-self-cutting holding projection)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홀딩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종방향 단면에서 원호 형상인 곡선 언더컷 표면을 구비하는, 물체들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된 그루브 내로 삽입 가능하다.
그루브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섹션, 및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 섹션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홀딩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연결 상태 및/또는 앵커링 상태에서 그루브의 하나 이상의 언더컷 섹션 내로 결합된다.
연결 디바이스가 제1 물체 상에 및/또는 제1 물체에 배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 및/또는 제2 물체 상에 및/또는 제2 물체에 배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면 바람직할 수 있다.
물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제1 물체 상에 및/또는 제1 물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제2 물체, 특히 제2 물체 상에 및/또는 제2 물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요소가 제1 물체 상에 및/또는 제1 물체에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제2 물체 상에 및/또는 제2 물체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연결 요소도 제2 물체 상에 제공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제2 물체에 대한 제1 연결 요소의 직접적인 고정이 그런 다음 제공된다. 제2 연결 요소는 그런 다음 바람직하게 소모될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스프링 디바이스, 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를 가진다. 제2 물체의 제2 연결 요소는 그런 다음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의 하나 이상의 제2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 섹션 또는 수용 요소를 가진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은 바람직하게 2개의 물체 사이, 특히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 사이 또는 제1 연결 요소와 제2 물체 사이의 홀딩력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스프링 요소는 특히 홀딩 요소이다.
연결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위한 홀딩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및/또는 홀딩 요소의 홀딩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저장 디바이스는 특히 편향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를 구속하기기 위한 구속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에서의 스프링력은 저장 디바이스의 구속 요소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전에, 홀딩 에너지는 바람직하게 특히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를 바이어싱(biasing)/편향시키는 것에 의해 저장 디바이스로 공급 가능하다.
공급된 홀딩 에너지는 바람직하게 연결을 만들 때까지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가능하다. 특히, 이에 의해, 에너지의 저장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에서 발생한다.
저장 디바이스가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시에 및/또는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위해 작동 가능하면 바람직할 수 있다.
홀딩 요소는 이러한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 홀딩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홀딩 위치로 보내질 수 있다. 특히, 홀딩 요소가 스프링 요소로서 구성되고, 편향된 상태로부터 적어도 덜 멀리 편향된 상태로 또는 초기 상태로 이완되고, 이에 의해 특히 2개의 물체 사이에 강제 끼워맞춤(force-fitting)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 연결(form-fitting connection)이 만들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체에 연결 요소를 설치하기 전에, 동안 및/또는 후에, 홀딩 에너지가 저장 디바이스, 특히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는 특히 2개의 물체를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물체, 특히 가구 또는 기계 부품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
연결 디바이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물체들 중 하나에 연결 요소를 배열하거나 또는 상기 물체들 중 하나 내로 연결 요소를 도입하는 단계;
상기 연결 요소를 추가의 물체에, 특히 추가의 물체 상에 및/또는 추가의 물체에 배열된 추가의 연결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연결 디바이스의 스프링 디바이스는 연결 요소를 추가의 물체에 연결하기 위해 작동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프링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연결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목적은 스프링 디바이스 및/또는 연결 디바이스를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우수한 스프링 특성이 또한 바람직하게 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스프링 디바이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U-자 형상 재료 오목부, 특히 펀칭(punching)에 의해 둘러싸인 중간 섹션, 및 상기 U-자 형상 재료 오목부, 특히 펀칭을 둘러싸는 시트 금속 스트립(sheet metal strip)의 웨브 섹션(web section)이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U-자 형상 재료 오목부, 특히 펀칭을 가지는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스프링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
스프링 요소로부터 측 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되는, 특히 종방향 단면에서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인 1개 또는 2개의 홀딩 돌출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웨브 섹션을 소성으로 형상화하는 단계(shaping); 및/또는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단부가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다시 구부러지고, 특히 천이 섹션(transition section)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소성으로 형상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천이 섹션은 상기 중간 섹션을 웨브 섹션에 연결하는, 상기 형상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이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되는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의 형상화된 단부의 일부는 바람직하게 곡선 구성이다.
중간 섹션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요소에 접합되기 위한 접합 요소는 바람직하게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단부는 특히 중간 섹션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시트 금속 스트립의 웨브 섹션에 형성된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하고 및/또는 개구에 고정 가능하다.
웨브 섹션, 특히 웨브 섹션에 있는 개구가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칭 요소들 및/또는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하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칭 요소 또는 클램핑 요소는 개구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게 구부러지거나 경사진다. 특히, 스프링 요소의 결합 섹션은 바람직하게 이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결합 섹션은 특히 래칭 요소 또는 후크 요소이다.
시트 금속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횡방향 중심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고, 특히 2개의 스프링 요소와 2개의 접합 요소가 궁극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2개의 U-자 형상 재료 오목부, 특히 펀칭, 및 2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는 특히 편향의 반대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시트 금속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0.5 mm 및/또는 최대 약 1.5 mm의 적어도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시트 금속 스트립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의 0.8 mm이다.
U-자 형상 재료 오목부의 영역에서, 그러므로 중간 섹션 및 웨브 섹션의 영역에서 시트 금속 스트립의 폭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8 mm, 예를 들어 약 10 mm이다.
시트 금속 스트립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5 mm 및/또는 최대 약 8 mm, 예를 들어 약 6.8 mm의 폭을 가진다.
시트 금속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한쪽 또는 양쪽 단부의 영역에서보다 1개 또는 2개의 U-자 형상 재료 오목부 영역에서 더 넓다.
1개 또는 2개의 중간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한쪽 또는 양쪽 스프링 요소의 폭은 바람직하게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서의 시트 금속 스트립의 폭에 적어도 거의 일치한다.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다른 폭의 결과로서, 특히 하나 이상의 홀딩 돌출부는 대응하는 그루브에서 스프링 디바이스 및/또는 연결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를 앵커링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 및/또는 이점은 후속하는 설명 및 실시예의 예시적인 설명의 요지이다.
도 1은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언더컷 섹션을 구비한 2개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2개의 구성 요소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로부터의 구성 요소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묘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로부터의 구성 요소들 중 하나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구성 요소의 개략 부분적으로 투명한 측면도;
도 5는 구성 요소의 분리된 상태에서, 2개의 구성 요소 및 2개의 구성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공지된 연결 디바이스의 2개의 구성 요소를 통한 개략 종방향 단면도;
도 6은 분리된 상태와 연결된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에서, 도 5로부터의 구성 요소 및 연결 디바이스의 도 5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
도 7은 구성 요소와 연결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의 연결된 상태에서 도 5로부터의 구성 요소 및 연결 디바이스의 도 5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5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제1 연결 요소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도 5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제2 연결 요소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2개의 접합 요소에 접합될 수 있는 2개의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고, 스프링 요소가 초기 상태에 있는, 연결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
도 11은 스프링 요소가 약간 편향된 도 10으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도 10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2는 스프링 요소들이 도 11에서보다 약간 더 편향된 도 10으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도 10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3은 스프링 요소가 최대로 편향된 위치에 배열된 도 10으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도 10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4는 시트 금속 형상 제품으로서 구성된 연결 요소가 제공되는 연결 디바이스의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개략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서의 화살표(16)의 방향으로 시야 방향을 가지는 도 15로부터의 연결 요소의 추가의 개략 측면도;
도 17은 도 15의 화살표(17)의 방향으로 시야 방향을 가지는 도 15로부터의 연결 요소의 위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 및
도 18은 도 14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트 금속 스트립의 개략 평면도.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등가물인 요소들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도면 부호 100으로 전체적으로 지시된 연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제1의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인 구성 요소(102)를 제2의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형상인 구성 요소(104)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도 1 내지 도 4 참조).
2개의 구성 요소(102 및 104)는 예를 들어 목재 또는 합판으로 이루어지지만, 임의의 다른 재료,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플렉시글래스)로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구성 요소(102) 및 제2 구성 요소(104)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구성 요소(102 및 104)의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구성 요소(102)의 좁은 측면을 형성하는 제1 구성 요소(102)의 접촉 표면(106)은 제2 구성 요소(104)의 메인 면(main face)을 형성하는 제2 구성 요소(104)의 접촉 표면(108)에 접합된다.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구성 요소(102 및 104)에 형성되고, 원형의 원통형 세그먼트 또는 원형의 원통형 단면 형상의 베이스 섹션(112) 및 두께 방향(116)으로 베이스 섹션(112)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2개의 언더컷 섹션(114)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루브(110)는 각각의 접촉 표면(106, 108)에서 개방된다.
아치형 그루브 베이스 표면(118)이 각각의 접촉 표면(106, 108)과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베이스 섹션(112)의 곡률 반경은 그루브 깊이(T)(도 4 참조)보다 크다.
그루브(110)의 베이스 섹션(112)은 두께 방향(116)으로 예를 들어 약 8 mm의 폭(B)을 가진다.
그루브(110)의 언더컷 섹션(114)들의 각각은 베이스 표면(120)에 의해 각각의 접촉 표면(106 및 108)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 측면 상에서 경계가 한정되며, 상기 베이스 표면은 그루브 베이스 표면(118)과 동일 평면이고 원형의 원통형 셸(shell) 단면 형상이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섹션(112)의 그루브 베이스 표면(118)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접촉 표면(106 및 108)을 각각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언더컷 섹션(114)은 유사한 원형의 원통형 쉘 단면 형상 언더컷 표면(122)에 의해 경계가 한정되고, 상기 언더컷 표면은 베이스 표면(120)과 동심으로 형성되고 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다.
각각의 언더컷 섹션(114)은 각각의 접촉 표면(106 및 108)에 직각으로 진행하는 측 방향 경계 한정 표면(124)에 의해 측 방향으로 경계가 한정된다.
폭(b), 즉 두께 방향(116)으로의 범위는 예를 들어 언더컷 섹션(114)들의 각각에 대해 약 1 mm이다.
높이(h), 즉 베이스 표면(120)과 언더컷 표면(122)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언더컷 섹션(114)들의 각각에 대해 약 2 mm이다.
각각의 그루브(110)의 베이스 섹션(112)은 측 방향 경계 한정 벽(126)들에 의해 경계가 한정되고, 측 방향 경계 한정 벽은 각각의 접촉 표면(106 및 108)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진행하고 그루브 폭(B)의 서로로부터의 거리를 가진다.
구성 요소(102 및 104) 상에 전술한 그루브(110)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EP 1 990 549 A1에 기술된 그루브 밀링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구성 요소(102 및 10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그루브(110), 특히 전술한 종류의 그루브(110)가 각각의 구성 요소(102 및 104)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 요소(102, 104) 중 단지 하나만이 하나 이상의 그루브(110), 특히 전술한 종류의 그루브(110)를 구비할 수 있는 반면에, 추가의 구성 요소(104, 102)가 전술한 종류의 그루브(110), 다른 구성의 그루브(110), 하나 이상의 보어, 하나 이상의 오목부,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컷아웃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가공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 요소(102, 104)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100)의 다른 실시예가 다음에 설명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 부호 100으로 전체적으로 지시된 연결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DE 10 2013 203 289 A9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구성 요소(102, 10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디바이스는 제1 연결 요소(130) 및 제2 연결 요소(1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결 요소(130, 132)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 세그먼트 형상 또는 원형의 원통형 단면 형상의 구성인 베이스 바디(134)를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134)는 특히 그루브(110)의 베이스 섹션(1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 적어도 거의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연결 요소(130, 132)는 베이스 섹션(112)에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베이스 바디(134)의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두께 방향(116)으로 연장되는 2개의 홀딩 돌출부(136)를 추가로 포함한다.
홀딩 돌출부(136)들은 아치형으로 곡선화되고, 그루브(110)의 언더컷 섹션(114)에 적어도 거의 실질적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홀딩 돌출부(136)에 의해, 연결 요소(130, 132)는 적어도 연결 방향(138)에 대하여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구성 요소(102, 104), 특히 구성 요소(102, 104)의 그루브(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결 요소(130, 132)는 언더컷 섹션(114)을 따라서 구성 요소(102, 104)의 그루브(110) 내로 삽입 가능하다.
특히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요소(130)는 베이스 바디(134), 홀딩 돌출부(136), 및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140)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140)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이다.
각각의 스프링 요소(140)는 베이스 바디(134)를 향하는 제1 단부(142) 및 베이스 바디(134)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단부(144)를 가진다.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단부(142)가 베이스 바디(134)를 향하는 것으로, 스프링 요소(140)는 베이스 바디(134) 상에 배열되고, 특히 베이스 바디(134)에 원피스로서 연결된다.
베이스 바디(134)로부터 멀리 떨어진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단부(144)는 연결 방향(138)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 편향(146)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프링 요소(140)는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 연결 요소(130)의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30, 132)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 요소(132)의 수용 요소(계속해서 기술될)와 직접 접촉하는 2개의 스프링 요소(140)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프링 요소(140)는 메인 스프링 요소(148)이다.
추가의 스프링 요소(140)는 연결 요소(130, 132)를 연결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즉 메인 스프링 요소(148)에 의해 연결 요소(132)의 수용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보조 스프링 요소(150)이다.
보조 스프링 요소(150)는 메인 스프링 요소(148)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베이스 바디(134)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조 스프링 요소(150)의 단부(144)에 있는 접합 섹션(152)들을 가지며, 접합 섹션(152)들에 의해, 보조 스프링 요소(150)는 메인 스프링 요소(148)에서 작용할 수 있기 위하여 메인 스프링 요소(148)에 접합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34)로부터 멀리 떨어진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단부(144)에 있는 메인 스프링 요소(148)는 결합 섹션(154)들을 각각 포함하며, 메인 스프링 요소(148)는 결합 섹션을 이용하여 연결 요소(132, 132)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 요소의 수용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은 제2 연결 요소(132)의 수용 요소와 결합되기 위하여 편향(146)의 방향으로 편향 가능하다.
보조 스프링 요소(150)는 결합 섹션(15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측면들 상에 배열된다.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은 편향(146)의 반대 방향으로 횡방향 중심 평면(156)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바디(134)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조 스프링 요소(150)의 단부(144)들이 대응하는 편향(146)의 방향으로 유사하게 편향되는 것이 유발된다.
편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스프링력이 적어도 거의 메인 스프링 요소(148)와 관련된 보조 스프링 요소(150)의 스프링력의 합임에 따라서, 편향에 요구되는 힘은 보조 스프링 요소(150)의 추가적인 편향에 의해 상당히 증가된다.
그러므로, 보조 스프링 요소(150)는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스프링력의 스프링 작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요소(158)를 형성한다.
제2 연결 요소(132)는 마찬가지로 구성 요소(102, 104)의 그루브(1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적어도 거의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베이스 바디(134)를 포함한다.
제2 연결 요소(132)는, 아치 구성이며 그루브(110)의 언더컷 섹션(114)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2개의 홀딩 돌출부(136)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2 연결 요소(132) 역시 그루브(11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그루브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 요소(132)는 바람직하게 수용 요소(168)를 포함하며, 제2 연결 요소(132)는 수용 요소에 의해 제1 연결 요소(130), 특히 제1 연결 요소(130)의 스프링 요소(140)와 결합될 있다.
수용 요소(168)는 연결 평면(166)(특히 도 5, 도 7 및 도 9 참조)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수용 요소(168)의 단부(170)에서 베이스 바디(134) 상에 배열, 특히 고정된다.
수용 요소(168)는 제2 연결 요소(132)의 베이스 바디(134)의 2개의 측벽(172) 사이에 배열된다.
컷아웃(174)들, 특히 개구(176)들은, 측벽(172)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용 요소(168)가 이러한 컷아웃(174)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그러므로 이러한 영역에서 측벽(172)에 연결되지 않는, 그러므로 베이스 바디(134)에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측벽(172)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러한 컷아웃(174)은 연속적인 측벽(172)이 제공되도록 또한 소모될 수 있다.
수용 요소(168)는 바람직하게 2개의 수용 돌출부(178)를 포함한다.
수용 요소(168)의 수용 돌출부(178)는 특히 구부러짐 가능하거나 또는 강성 구성이다.
수용 요소(168)는 특히 제2 연결 요소(132)의 중간에 배열되고, 제2 연결 요소(132)의 횡방향 중심 평면(156)에 대하여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특히, 수용 요소(168)의 수용 돌출부(178)는 서로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며, 횡방향 중심 평면(156)에 대하여 서로 거울 대칭으로 배열된다.
수용 요소(168)의 외부 표면(182)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의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여기에서, x-축은 연결 평면(166)에서 진행하고, y-축은 횡방향 중심 평면(156)에서 진행한다(특히 도 7 참조).
메인 스프링 요소(148), 특히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은 연결 요소(130, 132)를 서로 연결할 때 수용 요소(168)의 상기 표면(182)을 따라서 이동된다. 표면(182)의 포물선 형상으로 인해, 이에 의해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편향 시에 먼저 힘에 있어서 큰 증가가 일어나고 그런 다음 작은 증가가 일어난다.
스프링 요소(140), 특히 메인 스프링 요소(148)는 수용 요소(168)의 표면(182)이 수용 요소(168)의 인장 섹션(184)을 형성하도록 수용 요소(168)의 표면(182)을 따르는 이동시에 인장된다.
특히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상태에서의 메인 스프링 요소(148)들의 결합 섹션(154)과 수용 요소(168)는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경사면(188)들과 서로 접합된다.
상기 경사면(188)들에 의해, 한편으로, 연결 요소(130, 132)의 연결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연결 요소(130, 132)에 가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서로를 향하여 연결 요소(130, 132)를 당긴다. 다른 한편으로, 바람직하게 연결 요소(130, 132)가 손상되지 않고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경사면(188)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경사면(188)으로 인하여, 제1 연결 요소(130)의 메인 스프링 요소(148)는 바람직하게 수용 요소(168)의 경사면(188)을 따라서 연결 방향(138)에 대항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은 수용 요소(168)의 수용 돌출부(178)와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실시예(도시되지 않은)에서,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메인 스프링 요소(148) 및/또는 보조 스프링 요소(15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이 서로 멀어지게 향하여 배열되고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편향을 위해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 스프링 요소(148)가 형성되고 배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응하는 제2 연결 요소(132)는 그런 다음 바람직하게 2개의 수용 요소(168)를 포함하며, 수용 요소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연결 요소(130, 132)의 연결 상태에서, 횡방향 중심 평면(156)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측면들 상에 배열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먼저, 구성 요소(102, 104)는 구성 요소(102, 104)의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여 위치된 위치에 있는 그루브(110)를 구비한다. 특히, 그루브(110)는 예를 들어, EP 1 990 549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특수 공구를 이용하여 구성 요소(102, 104) 내로 밀링 가공된다.
연결 요소(130 및 132)는 그런 다음 단순히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그루브(100) 내로 각각 도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요소(130, 132)의 홀딩 돌출부(136)가 이러한 슬라이딩 동작 동안 그루브(110)의 언더컷 섹션(114)과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 요소(130, 132)는 적어도 연결 방향(138)으로 연결 요소(130, 132)의 이동에 대하여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구성 요소(102, 104)에 고정된다.
제1 연결 요소(130)는 이에 의해 제1 구성 요소(102)에 고정된다.
이러한 것은 특히 제1 구성 요소(102)가 그 좁은 측면 또는 면 측면(face side)에 의해 제2 구성 요소(104)의 주 측면에 연결되는 구성 요소(102, 104)이면 적절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 형상 구성 요소(102, 104)의 좁은 측면 및 면 측면 상에 그루브(110), 그러므로 연결 요소(130, 132)를 각각 배열할 때, 제1 연결 요소(130)의 부분, 특히 메인 스프링 요소(148) 및/또는 보조 스프링 요소(150)가 구성 요소(102, 104)의 표면, 특히 구성 요소(102, 104)가 서로 접합하는 접촉 표면(106) 위로 돌출하면 이러한 것은 전형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제2 연결 요소(132)는 바람직하게 제2 구성 요소(104)의 메인 면에 배열된 그루브(110)에 배열되며, 제2 연결 요소(132)는 바람직하게 메인 면, 특히 접촉 표면(106)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 연결 요소(132)가 이미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구성 요소(104)는 구성 요소(102, 104) 또는 제2 연결 요소(132)를 손상시키는 것에 대한 우려없이 메인 면에 의해 추가로, 특히 플레이트 형상 구성 요소(102, 104)에 적층될 수 있다.
연결 요소(130, 132), 그러므로 구성 요소(102 및 10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그 안에 배열된 연결 요소(130, 132)와 함께 구성 요소(102 및 104)는 바람직하게 연결 평면(166)에 직각인 연결 방향(138)을 따라서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특히 도 5 내지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메인 스프링 요소(148)는 수용 요소(168), 특히 수용 요소(168)의 인장 섹션(184)과 결합된다.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은 그 이동시에 편향(146)의 방향으로 수용 요소(168)의 인장 섹션(184)을 따라서 횡방향 중심 평면(156)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다. 이에 의해 메인 스프링 요소(148)는 편향되고, 그러므로 인장된다.
보조 스프링 요소(150)는 또한 메인 스프링 요소(148)들의 편향의 결과로서 편향된다.
보조 스프링 요소(150)로 인하여, 메인 스프링 요소(148)를 편향시키는데 요구되는 힘, 그러므로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스프링력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보강 요소(158)로서 작용하는 보조 스프링 요소(150)없이 메인 스프링 요소(148)가 제공되는 경우보다 연결 요소(130, 13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당히 큰 힘이 가해져야만 한다.
수용 요소(168)의 표면(182)의 포물선 형상으로 인하여, 이러한 것은 제1 연결 요소(130)를 제2 연결 요소(132) 상으로 가압할 때 먼저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더욱 빠르고 그런 다음 더욱 느린 편향을 초래한다.
특히, 연결 요소(130, 132), 그러므로 구성 요소(102, 104)를 서로 단단히 연결하기 위해 높은 스프링 장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동시에 연결 요소(130, 132)를 연결하기 위한 최대의 힘이 감소된다.
연결 요소(130, 132)를 서로 연결하는 것은 또한, 수용 요소(168)의 수용 돌출부(178)가 탄력적으로, 특히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최적화된다. 이에 의해, 메인 스프링 요소(148)의 결합 섹션(154)은 수용 요소(168)의 수용 돌출부(178)를 지나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는 연결 디바이스(100)가 상이한 배열의 스프링 요소(14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다르다.
연결 디바이스(100)는 이에 의해 2개의 스프링 유닛(202)을 포함하는 스프링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 유닛(202)은 스프링 요소(140) 및 접합 요소(204)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140)의 스프링력은 또한 접합 요소(204)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에서, 특히 보조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지 않는다.
접합 요소(204)는 특히 강성 및 비탄력적인 구성이다.
특히 도 10 내지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디바이스(200)는 특히 연결 디바이스(100)의 제1 연결 요소(13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200)는 2개의 물체, 특히 구성 요소(102, 10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연결 요소(132)의 수용 요소(168)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요소(130)가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206)으로서 구성된 원피스형 베이스 바디((134)를 포함하도록 특히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 바디(134)는 특히 2개의 접합 요소(204) 및 2개의 스프링 요소(140)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스프링 요소(140)의 초기 상태에서, 후자는 각각의 대응하는 접합 요소(204)로부터의 거리(A)가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제1 단부(142)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제2 단부(144)의 방향으로 과비례하여 증가하는 방식으로 접합 요소(204)에 대해 배열 및/또는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스프링 요소(140)를 향하는 각각의 하나의 접합 요소(204)의 측면에서, 각각의 스프링 요소(140)를 편향시킬 때 스프링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접합 표면(208)이 형성된다.
접합 표면(208)은 이에 의해 특히 원형의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곡선화되도록 구성된다.
초기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40)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직선 및/또는 비곡선화되도록 구성된다.
제2 단부(144)의 영역에서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단지 하나의 단부 영역만이 비틀어지거나 경사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구부러질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 요소(140)가 추가의 연결 요소(132)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 섹션(154)을 각각 가지는 것이 특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결합 섹션(154)은 특히 래칭 요소(210) 또는 후크 요소(211)이다.
도 10 내지 도 13의 비교에 의해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140)는 횡방향 중심 평면(156)으로부터 멀어지게 바깥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140)는 이에 의해 특히 접합 요소(204)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원칙적으로, 스프링 요소(140)의 편향시에, 국부적으로 매우 다른 부하가 일어나고, 이는 국부적으로 매우 다른 변형도로 이어진다.
접합 요소(204)를 사용함이 없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요소(140)의 경우에, 이러한 것은, 특히 강하게 부하를 받고 각각의 제1 단부(142)의 영역에서 대응하게 변형되는 스프링 요소(140)를 유도한다.
이러한 것은 특히 제2 단부(144)의 영역에서 실제로 변형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거동은 스프링 요소(140)의 국부적인 소성 변형 또는 다른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인가될 수 있는 단지 작은 스프링력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접합 요소(20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최적화된 탄성 변형은 특히 높은 스프링력을 궁극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프링 요소(140)는 접합 요소(204) 상에서 감김이 풀려지고, 이에 의해 각각의 접합 요소(204)의 접합 표면(208)의 형상을 실질적으로 채택한다.
그러므로, 스프링 요소(140)는 특히 실질적으로 원형-세그먼트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특히 도 11 내지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은 스프링 요소(140)와 접합 요소(204)가 서로 접촉하는 면인 접촉 표면(212)을 초래한다.
이러한 접촉 표면(212)은 스프링 요소(140)의 편향이 증가함에 따라 확장되고, 이에 의해 스프링 요소(140)의 제1 단부(142)로부터 스프링 요소의 제2 단부(144)의 방향으로 접합 요소(204)의 접합 표면(208)을 따라서 확장된다.
접촉 표면(212)은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 특히 접합 요소(204)에 대해 접촉하는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140)의 균일한 접합이 존재하도록 방해받지 않고 연속적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은 궁극적으로 가능한 거의 소성 변형 한계까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스프링 요소(140)를 균일하게 탄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요소(140)의 균일한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부터 초래되는 복원력은 그런 다음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필요한 높은 스프링력을 초래한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디바이스(100)가 홀딩력, 특히 스프링력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디바이스(214)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214)는 특히 구속 요소(216)를 포함하며, 홀딩 요소(218)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140)는 구속 요소에 의해 편향된 상태에서 구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요소(130)의 스프링 요소(140)의 바이어싱은 저장 디바이스(214), 특히 구속 요소(216)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2개의 연결 요소(130, 132)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힘은 특히 구성 요소(102, 104)의 조립 동안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구속 요소(216)가 스프링 요소(140)를 해제하기 위해 추가의 연결 요소(132)에 의해 작동되도록, 바람직하게 제거되거나 파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140)는 그런 다음 특히 추가의 연결 요소(132)의 수용 요소(168) 주위에 결합되고, 그러므로 2개의 연결 요소(132) 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방식으로 이완된다.
다른 모든 점에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는 이에 관하여 설명이 참조되도록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대응한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다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제1 연결 요소(130)의 베이스 바디(134)가 시트 금속 형상 제품(220)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연결 요소(130)는 특히 시트 금속 스트립(222)(도 18 참조)으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시트 재료 스트립(222)은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약 0.8 mm의 재료 두께(M)(두께)를 가진다.
시트 금속 스트립(222)은 횡방향 중심 평면(156)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양쪽 단부(224)에서, 시트 금속 스트립(222)은 바람직하게 2개의 단부(224) 사이에 배열된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중앙 섹션(226)에서의 폭(BZ)보다 작은 폭(BE)을 가진다.
중앙 섹션(226)은 특히 하나 이상의 U-자 형상 재료 오목부(228), 특히 펀칭(230)을 포함한다.
상기 U-자 형상 재료 오목부(228)에 의해, 특히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중간 섹션(232) 및 중간 섹션(232)을 둘러싸는 하나의 웨브 섹션(234)이 형성된다.
중간 섹션(232)들은 특히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중간 섹션(232)은 그런 다음 특히 스프링 요소(140)를 형성한다.
천이 섹션(236)에서, 중간 섹션(232)은 웨브 섹션(234)에 연결되어 있다.
천이 섹션(236)은 그런 다음 특히 각각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40)의 제1 단부(142)이다.
스프링 요소(140)의 제2 단부(144)는 예를 들어 궁극적으로 결합 섹션(154)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경사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구부러진다.
웨브 섹션(234)은 특히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그런 다음 종방향 단면에서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인 돌출부(136)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웨브 섹션(234)에 의해 형성되는 이러한 돌출부(136)에 의해, 연결 요소(130)는 특히 구성 요소(102, 104)에 있는 그루브(110)에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접합 요소(204)는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단부(224)들을 형상화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단부(224)들은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중앙 섹션(226)으로 다시 구부러지며, 특히 각각의 하나의 접합 요소(204)의 접합 표면(208)을 형성하는 각각의 하나의 단부(224)의 곡선화된 섹션이 형성된다.
단부(224)들은 특히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개구(238)들에 특히 접속되거나 클램핑된된다. 상기 개구(238)들은 중앙 섹션(226)으로부터 밖으로 중간 섹션(232)을 구부리는 것으로부터 야기된다.
예를 들어, 웨브 섹션(234)의 영역에 형성되고 개구(238)들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240)에 의해, 클램핑 방식으로 각각의 단부(224)의 신뢰성있는 고정이 보장될 수 있다.
연결 요소(130), 특히 연결 요소(130)의 스프링 요소(140)들을 금속 재료, 특히 시트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 스프링 요소(140)가 장기간에 걸쳐서 스프링력을 얻고, 그러므로 2개의 연결 요소(130, 132) 사이의 신뢰성있는 연결이 지속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낮은 재료 및 비용 지출과 동시에, 매우 높은 스프링력이 스프링 요소(140)와 접합 요소(204)의 조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모든 점에서,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연결 디바이스(100)의 실시예는 이에 관하여 그 이전의 설명에 대해 참조하도록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응한다.
연결 디바이스(100)의 추가의 실시예(도시되지 않은)에서, 전술한 연결 디바이스의 개별 또는 다수의 특징 및/또는 이점은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100 연결 디바이스
102 구성 요소
104 구성 요소
106 접촉 표면
108 접촉 표면
110 그루브
112 베이스 섹션
114 언더컷 섹션
116 두께 방향
118 그루브 베이스 표면
120 베이스 표면
122 언더컷 표면
124 경계 한정 표면
126 경계 한정 벽
130 연결 요소
132 연결 요소
134 베이스 바디
136 홀딩 돌출부
138 연결 방향
140 스프링 요소
142 단부
144 단부
146 편향 방향
148 메인 스프링 요소
150 보조 스프링 요소
152 접합 섹션
154 결합 섹션
156 횡방향 중심 평면
158 보강 요소
166 연결 평면
168 수용 요소
170 단부
172 측벽
174 컷아웃
176 개구
178 수용 돌출부
182 표면
184 인장 섹션
188 경사면
200 스프링 디바이스
202 스프링 유닛
204 접합 요소
206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
208 접합 표면
210 래칭 요소
211 후크 요소
212 접촉 표면
214 저장 디바이스
216 구속 요소
218 홀딩 요소
220 시트 금속 형상 제품
222 시트 금속 스트립
224 단부
226 중앙 섹션
228 재료 오목부
230 펀칭
232 중간 섹션
234 웨브 섹션
236 천이 섹션
238 개구
240 돌출부
A 거리
B 그루브 폭
b 폭
h 높이
M 재료 두께

Claims (17)

  1. 스프링 디바이스(200)로서,
    - 탄성 변형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는 스프링 요소(140); 및
    -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편향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요소(140)가 접합될 수 있는 접합 요소(24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적어도 한쪽 단부(144)는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접합 요소(204)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 요소(140)는 그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접합 요소(204)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상기 단부(144)의 방향으로 상기 접합 요소(204)로부터 증가된 거리(A)를 가지는, 스프링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40)는 그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접합 요소(204)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상기 단부(144)의 방향으로 상기 접합 요소(204)로부터 과비례하여 증가하는 거리(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요소(204)는 상기 스프링 요소(140)에 접합되기 위한 접합 표면(208)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 표면(208)은 곡선화, 특히 적어도 거의 원형의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곡선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40) 및 상기 접합 요소(204)는 서로 원피스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20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206) 및/또는 시트 금속 형상 제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이 증가하는 상기 스프링 요소(140)는 확장 접촉 표면(106, 108)에서 상기 접합 요소(204)에 직접 접합될 수 있거나 또는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국부적 탄성 변형은 상기 편향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요소(140) 및 상기 접합 요소(204)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 표면(212)을 따르는 모든 위치에서 적어도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요소(204)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스프링 요소(140)의 상기 단부(144)는 래칭 요소(210) 및/또는 후크 요소(2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디바이스.
  9. 2개의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특히 가구 또는 기계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100)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00)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디바이스(200)를 가지는, 연결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원피스형 베이스 바디(134)를 가지는 연결 요소(130, 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00)는 연결 상태 및/또는 앵커링 상태에서 물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130, 132)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30, 132)는 종방향 단면에서 원호 형상인 곡선 지지면을 각각 가지는 하나 이상의 비-자체 절단 홀딩 돌출부(136)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 돌출부(136)는, 물체들 중 하나에 제공되는 그루브(110)로서, 종방향 단면에서 원호 형상인 곡선 언더컷 표면(122)을 구비하는 상기 그루브 내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그루브는 베이스 섹션(112), 및 두께 방향(116)으로 상기 베이스 섹션(112)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 섹션(114)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 돌출부(136)는 상기 연결 상태 및/또는 상기 앵커링 상태에서 상기 그루브(110)의 상기 하나 이상의 언더컷 섹션(114) 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200)는 제1 물체 상에 및/또는 제1 물체에 배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130, 132) 및/또는 제2 물체 상에 및/또는 제2 물체에 배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130, 132)를 포함하며, 상기 물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물체 상에 및/또는 상기 제1 물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30, 312)는 상기 제2 물체, 특히 상기 제2 물체 상에 및/또는 상기 제2 물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30, 132)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100)는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위한 홀딩 요소(218)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30, 132), 및 상기 홀딩 요소(218)의 홀딩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홀딩 에너지는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전에 상기 저장 디바이스(214)로 공급 가능하며, 공급된 홀딩 에너지는 연결을 만들 때까지 상기 저장 디바이스(214)에 의해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디바이스(214)는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시에 및/또는 2개의 물체 사이의 연결을 만들기 위해 작동 가능하여서, 상기 홀딩 요소(218)는 상기 홀딩 에너지를 사용하여 홀딩 위치로 보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16. 2개의 물체, 특히 가구 또는 기계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100)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물체들 중 하나에 연결 요소(130, 132)를 배열하거나 또는 상기 물체들 중 하나 내로 상기 연결 요소(130, 132)를 도입하는 단계; 및
    - 상기 연결 요소(130, 132)를 추가의 물체에, 특히 추가의 물체 상에 및/또는 추가의 물체에 배열된 추가의 연결 요소(130, 132)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스프링 디바이스(200), 특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프링 디바이스(2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U-자 형상 재료 오목부(228), 특히 펀칭(230)에 의해 둘러싸인 중간 섹션(232), 및 상기 U-자 형상 재료 오목부(288), 특히 펀칭(230)을 둘러싸는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웨브 섹션(234)이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U-자 형상 재료 오목부(228), 특히 펀칭(230)을 가지는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222)을 제공하는 단계;
    - 스프링 요소(14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섹션(232)을 구부리는 단계;
    - 스프링 요소(140)로부터 측 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되는, 특히 종방향 단면에서 원형의 세그먼트 형상인 1개 또는 2개의 홀딩 돌출부(136)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웨브 섹션(234)을 소성으로 형상화하는 단계; 및
    -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단부(224)가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222)으로 다시 구부러지고, 특히 천이 섹션(236)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상기 단부(224)를 소성으로 형상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천이 섹션(236)이 상기 중간 섹션(232)을 상기 웨브 섹션(234)에 연결하고, 상기 천이 섹션(236)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되는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222)의 형상화된 단부(224)의 일부가 곡선 구성인, 상기 형상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03359A 2016-08-11 2017-07-10 스프링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 KR102471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5037.5 2016-08-11
DE102016215037.5A DE102016215037A1 (de) 2016-08-11 2016-08-11 Federvorrichtung und Verbindungsvorrichtung
PCT/EP2017/067311 WO2018028911A1 (de) 2016-08-11 2017-07-10 Federvorrichtung und verbind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112A true KR20190039112A (ko) 2019-04-10
KR102471761B1 KR102471761B1 (ko) 2022-11-29

Family

ID=5931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359A KR102471761B1 (ko) 2016-08-11 2017-07-10 스프링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1209034B2 (ko)
EP (1) EP3497339B1 (ko)
JP (1) JP7029453B2 (ko)
KR (1) KR102471761B1 (ko)
CN (1) CN109477505A (ko)
AU (1) AU2017308705B2 (ko)
BR (1) BR112019000900B1 (ko)
CA (1) CA3033414A1 (ko)
DE (1) DE102016215037A1 (ko)
DK (1) DK3497339T3 (ko)
ES (1) ES2964591T3 (ko)
HR (1) HRP20231401T1 (ko)
IL (1) IL263974B2 (ko)
LT (1) LT3497339T (ko)
MX (1) MX2019001656A (ko)
PL (1) PL3497339T3 (ko)
PT (1) PT3497339T (ko)
RS (1) RS64822B1 (ko)
WO (1) WO2018028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5037A1 (de) * 2016-08-11 2018-02-15 Franz Baur Federvorrichtung und Verbindungsvorrichtung
NL2021485B1 (en) 2018-08-20 2020-02-26 Smeets Realisatie Holding B V Improved wood joint for furniture
USD912501S1 (en) * 2019-05-03 2021-03-09 Lamello Ag Connecting device for parts of furniture or parts of machines
DE102019206427A1 (de) * 2019-05-03 2020-11-05 Franz Baur Verbindungsvorrichtung und Möbel
SE545540C2 (en) * 2020-08-18 2023-10-17 Saab Ab Spring arrangement for countermeasure magazine comprising it
CN112901626A (zh) * 2021-02-27 2021-06-04 广东精诺五金实业有限公司 一种连接组件
CN113027887B (zh) * 2021-02-27 2022-12-23 广东精诺五金实业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及其固定结构
US20220275821A1 (en) * 2021-03-01 2022-09-01 Välinge Innovation AB Mechanical connection arrangement for panels
DE202021002983U1 (de) 2021-09-17 2021-10-04 Thorsten Schulze Niehues Selbstspannende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mindestens zwei Fügeteil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704U (ko) * 1978-05-06 1979-11-19
US5333822A (en) * 1992-04-30 1994-08-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Attachment system
US20050076484A1 (en) * 2003-10-14 2005-04-14 Rainer Sussenbach Snap-in coupling comprising a spring clamp
WO2012095454A1 (en) * 2011-01-14 2012-07-19 Sean Phillips Connector assembly for an article of furniture
DE202015100252U1 (de) * 2014-01-30 2015-05-15 Franz Baur Verbindungsmittel
KR20150119937A (ko) * 2013-02-27 2015-10-26 라멜로 악티엔게젤샤프트 연결 수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8776A (en) * 1950-10-23 1952-06-03 Tinnerman Products Inc Clip for attaching trim objects
ATE15254T1 (de) 1980-12-17 1985-09-15 Salice Arturo Spa Verbindungsbeschlag.
DE3047642A1 (de) 1980-12-17 1982-10-28 Arturo Salice S.p.A., 22060 Novedrate, Como Verbindungsbeschlag
NO171008C (no) 1990-06-28 1993-01-13 Arne Hansen Profilformet klemmeanordning for sammenfoeyning av objekter
CH689792A5 (de) * 1992-10-08 1999-11-15 Albrecht Bischof Metallisches Bauelement zum Verbinden von Werkstuecken.
DE9404642U1 (de) 1994-03-18 1994-05-19 Knapp Gmbh Friedrich Verbindungselement
DE19607786C2 (de) * 1996-03-01 2002-11-21 Harman Audio Electronic Sys Verbindungselement
US6527471B2 (en) * 2000-01-19 2003-03-04 Termax Corporation Sealing spring fastener with closed cavity
JP2003072508A (ja) 2001-09-03 2003-03-12 Piolax Inc エアバック装置
DE10243196B4 (de) * 2002-09-18 2007-03-22 Kaindl Flooring Gmbh Paneele mit Verbindungsklammer
JP2006513224A (ja) 2002-12-20 2006-04-20 ザ・ボード・オブ・トラスティーズ・オブ・ザ・レランド・スタンフォード・ジュニア・ユニバーシティ エステル局所麻酔薬の組み合わせ
US6969832B1 (en) * 2003-05-19 2005-11-29 Daughtry Sr Timothy Douglas Radiant floor heating and cooling system clip
CN1973137B (zh) * 2004-04-09 2011-01-12 艾利丹尼森公司 插入式紧固件以及具有插入式紧固件的线缆扎带
ITBO20050532A1 (it) * 2005-08-10 2007-02-11 Metal Work Srl Sistema per il bloccaggio di articoli quali mensole
EP1990549A1 (de) 2007-05-08 2008-11-12 Franz Baur Verbindungsmitt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eines ersten Bauteils und eines zweiten Bauteils
DE102010002055A1 (de) * 2010-02-17 2011-08-18 MEKRA Lang GmbH & Co. KG, 90765 Schnapp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DE202014010633U1 (de) * 2014-01-30 2016-02-19 Franz Baur Verbindungsmittel zum Verbinden zweier Bauteile
DE102014109547A1 (de) 2014-07-08 2016-01-14 Lamello Ag Verbindungsmittel und Verfahren zum Festlegen eines Verbindungselements an oder in einem Bauteil
DE102016215037A1 (de) * 2016-08-11 2018-02-15 Franz Baur Federvorrichtung und Verbindungsvorrichtung
US11000137B2 (en) * 2017-08-20 2021-05-11 Sarah C. Barnes Mirror framing k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704U (ko) * 1978-05-06 1979-11-19
US5333822A (en) * 1992-04-30 1994-08-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Attachment system
US20050076484A1 (en) * 2003-10-14 2005-04-14 Rainer Sussenbach Snap-in coupling comprising a spring clamp
WO2012095454A1 (en) * 2011-01-14 2012-07-19 Sean Phillips Connector assembly for an article of furniture
KR20150119937A (ko) * 2013-02-27 2015-10-26 라멜로 악티엔게젤샤프트 연결 수단
DE202015100252U1 (de) * 2014-01-30 2015-05-15 Franz Baur Verbindung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08705A1 (en) 2019-01-24
PT3497339T (pt) 2023-10-27
JP2019528416A (ja) 2019-10-10
LT3497339T (lt) 2024-01-25
KR102471761B1 (ko) 2022-11-29
IL263974A (en) 2019-02-28
EP3497339B1 (de) 2023-08-30
CN109477505A (zh) 2019-03-15
MX2019001656A (es) 2019-06-10
EP3497339A1 (de) 2019-06-19
BR112019000900B1 (pt) 2023-02-14
US11209034B2 (en) 2021-12-28
DE102016215037A1 (de) 2018-02-15
RU2019102710A (ru) 2020-09-14
WO2018028911A1 (de) 2018-02-15
AU2017308705B2 (en) 2023-04-06
RU2019102710A3 (ko) 2020-11-19
PL3497339T3 (pl) 2024-02-19
IL263974B2 (en) 2023-03-01
HRP20231401T1 (hr) 2024-02-16
IL263974B (en) 2022-11-01
RS64822B1 (sr) 2023-12-29
ES2964591T3 (es) 2024-04-08
DK3497339T3 (da) 2023-11-13
JP7029453B2 (ja) 2022-03-03
US20190128300A1 (en) 2019-05-02
BR112019000900A2 (pt) 2019-04-30
CA3033414A1 (en)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112A (ko) 스프링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
RU264314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KR101048732B1 (ko) 고정 디바이스
KR101195054B1 (ko) 캐리어 부품에 2개의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0327128B1 (ko) 시트부재용 고정체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US5779412A (en) Profile frame and connector
US8220762B2 (en) Mounting clip
US7740432B2 (en) Article installation device
KR100364981B1 (ko) 버클
US20100203752A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creased connection object removal force
KR20070091569A (ko) 고정구
US20100284735A1 (en) Connecting element for snap connections
KR101532186B1 (ko) 커넥터
JP6980867B2 (ja) 携行型時計のためのケースミドル部/ホーンの接続デバイス
US20210131527A1 (en) Separator for an energy chain
KR102351769B1 (ko) 플레이트 고정 장치
CN102231461B (zh) 包括具有韧性紧固部件的引导凸起或凹槽的电连接器
KR200466123Y1 (ko) 와이어 이탈방지용 텐션지그
RU277579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8143154A1 (ja) 連結具
CN113767226B (zh) 连接装置和家具
WO2009145367A1 (en)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KR200257011Y1 (ko) 부품 운반상자의 명세표 고정수단
CN110630611A (zh) 紧固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