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766A -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766A
KR20190038766A KR1020190023422A KR20190023422A KR20190038766A KR 20190038766 A KR20190038766 A KR 20190038766A KR 1020190023422 A KR1020190023422 A KR 1020190023422A KR 20190023422 A KR20190023422 A KR 20190023422A KR 20190038766 A KR20190038766 A KR 2019003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ilding
shared
ti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724B1 (ko
Inventor
장홍석
Original Assignee
장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홍석 filed Critical 장홍석
Priority to KR102019002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7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차량 사용자가 차량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거주 또는 업무용 빌딩(아파트단지 등)내 주차장에 적정수준의 공유차량주차장 및 공유차량을 배치하고, 빌딩별로 독자적 운영체계로 운영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인터넷을 통하여 빌딩 공유 차량 시스템에 접속하여, 공유차량 주차장의 차량예약정보를 요청받으면 기 저장된 예약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공유차량 주차장의 예약정보(주차,운행,예약 등)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을 예약하면 선택한 차량에 대한 예약내역을 생성하여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하고, 차량공유 주차장에서 예약된 차량을 예약정보에 따라 운행 및 반납시, 차량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선택차량의 사용대가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정보에 전송한다.
또한, 빌딩별로 공유차량을 운영하여 공유차량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전예약시스템 도입, 사용자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픽업, 카풀, 물품공유, 차량관리(점검, 수리, 청소 등)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시 내의 각 아파트단지, 공용청사, 사무용 빌딩과 연결하고 이를 전국도시와 연결하여 공유차량 사용자는 주변의 공유차량 주차장과 공유차량 정보(차량종류, 주차대수 등)를 확인하고 예약하여,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별도의 절차없이 자가용처럼 편리하게 원하는 공유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 A car sharing system for buidings }
본 발명은 차량공유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공유차량을 자가용처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거주 또는 업무용 빌딩 내의 주차장에서 공유차량 주차장 및 공유 차량을 배치하고, 각 빌딩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합 관리하는,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시별 단위의 아파트 단지, 청사, 대형 건물 등에 공유차량 및 그 주차장을 배치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빌딩 내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 공유를 전국으로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 공용 청사, 사무실 건물 등 빌딩의 주차장에는 자가용 승용차의 증가로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주차난이 심각하나, 실제로, 자가용 승용차의 30%정도는 하루종일 운행되지 않은 상태로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다. 또한 운행하는 자가용 승용차도 하루 2시간 정도만 사용되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다. 즉, 차량의 사용 시간에 비해 그 유지비용은 차량 구입비, 보험료, 등록세, 수리비 등으로 과다하게 지출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 등 빌딩 내에 공유차량 주차장 및 공유 차량을 배치하여,자가용 승용차 처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운영한다면, 자가용 승용차의 비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공유차량 사용자가 증가하면 자가용 승용차는 자연스럽게 감소되고, 각 승용차의 이용률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 등 빌딩 내의 심각한 주차난도 해소될 수 있으며, 자가용 승용차의 소유에 따른 지출비용도 줄어들 수 있다.
한편, 기존 운영되고 있는 공유차량 및 렌트카 시스템은 중앙운영체제로 구성되어, 전국 지점의 공유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각 지점 내에 소량의 차량(예를 들어, 20~30대)을 관리하는데 적합하고, 아파트 단지 등 빌딩과 같이 대규모 공유 차량(예를 들어, 100대 이상)을 관리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즉, 기존 차량공유 체계는 공유차량의 사용료를 산출하기 위하여, 출발점에서 운행하여 도착점에서 반납할 때, 맵 등을 이용하여 주행거리를 산정한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 등 빌딩의 공유차량 주차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목적지를 경유하여 결국 출발 지점에 반납하므로, 기존 차량공유 체계의 주행거리 산정 방식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기존 렌터카를 이용하는 경우, 렌터카는 보통 장기 렌트 된다. 이때, 이용 사용자는 렌터카 사업장까지 방문해야 하므로, 접근성에서 불편하다. 또한, 운행전 차량 점검, 연료 점검, 렌터카 계약서 작성, 반납시 차량 점검, 보험료 지불 등 렌트를 위한 부수 작업을 차량 렌트시 마다 반복 수행해야 하므로, 매우 번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통상, 자가용 승용차의 53% 정도가 출퇴근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81% 정도가 나홀로 출퇴근에 이용되고 있다. 공유 차량은 이러한 출퇴근 시간의 차량 집중과 나홀로 출퇴근을 줄일 수 있으며, 일상생활의 편의를 위한 이동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유차량 사용자에 대한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측면을 고려할 때, 기존 공유 차량 및 렌터카 서비스 방식은 아파트 단지 등 빌딩 내의 공유 차량 운영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3773호(2015.08.11.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차량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아파트 단지, 청사, 사무용 대형 건물 등 빌딩 내의 주차장에 적정 수준의 공유차량 주차장과 공유 차량을 배치하여, 이용이 편리성을 제고하고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단위 빌딩(예를 들어, 1,00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 내에 공유 주차장이 구비되고 많은 공유차량(예를 들어, 100대 이상의 차량)이 배치됨에 따라, 대규모 공유차량의 공유관리를 위한 공유차량의 주차위치 확인, 차량예약, 차량점검, 차량대여 등이 무인시스템으로 실시간 이루어지는,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빌딩 내에 공유차량 주차장이 구비되고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에 공유차량이 배치되고, 상기 빌딩 내의 공유차량의 공유를 관리하는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에 설치되는 각종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유·무선인터넷으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 접속하여 이용가능한 공유차량을 선택하여 예약하고, 예약시간에 맞추어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예약된 사용자만 이용가능한 차량키박스에 있는 차량키를 사용하여, 별도의 절차나 시간에 구애없이 공유차량을 쉽게 사용할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서브와 컴퓨터시스템, 저장장치(DATA BASE)로 구성되어 각 빌딩의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영하고,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각 빌딩별 공유차량을 운영하는 운영센터에 설치되, 상기 통합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저장장치를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차량공유를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정보DB는 사용자가 전국 어디서나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이 설치된 공유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각 빌딩별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통합관리되고, 그 이외의 저장장치는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빌딩별로 설치되고, 지역 단위 또는 전국 단위를 통합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이 통합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현황 정보는 각 공유차량에 대한 현황 정보로서, 주차중인지 운행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차/운행 여부, 예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예약 여부, 예약된 차량 운행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종료 예상 시점)을 나타내는 예약 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공유차량의 사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 대가는 정기·수시요금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대가산정은 주행거리, 주행시간에 따라 요금을 합리적으로 산정하고, 정기회원은 등록된 계좌에 의한 이체하여 결제하고, 수시회원은 카드결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풀 요청 또는 카풀 신청을 받으면, 이를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카풀 요청 또는 카풀 신청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응답하는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픽업 요청을 받으면 이를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고, 운영자는 픽업요청에 응답하고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픽업하도록 요청하는 장치; 및, 공유물품의 내역을 상기 시스템에 저장·관리하고, 공유물품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 공유물품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공유차량의 차량운행장치로부터 상기 공유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공유차량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도착시간을 예측하고, 해당 공유차량의 다음 예약정보와 예측된 도착 시간과 비교하여, 다음 예약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예약시간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 예약 정보에 따른 다음 사용자의 예약 시간에 해당 공유차량이 도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 예약 정보에 대하여 해당 공유차량을 예약이용 불가능으로 설정하고, 예약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사용자에게 해당 공유차량의 도착가능 시간을 전송하고, 도착 가능 시간 이후의 시간으로 예약 시간을 수정할 것을 알림으로 권고하거나, 다른 차로 교체하거나, 불 가능 시 주변 빌딩 공유차량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이용을 지원하거나, 렌트카 협력업체에게 렌트카를 예약하여, 공유차량이 원활하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무인주차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예약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며,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공유차량이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 예약정보를 확인하여 공유차량 출입을 통제하고, 공유차량 이외의 차량은 공유차량 주차장에 출입을 제한하고, 무인주차시스템은 차량이 통과하는 시점(출발·도착)에 이를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와 영상장치를 통하여 차량운행정보, 사진촬영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운행정보를 산정할 때, 차량을 운행하여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 무인주차시스템은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정보(차량등록번호, 출발시간)를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로부터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요청받아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고, 공유차량 운행후 공유차량주차장에 차량을 반납하기 위하여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 무인주차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에 통과하는 차량정보(차랑등록번호, 도착시간)를 전송하면 상기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로부터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요청받아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고, 해당차량의 상기 시스템에 저장된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을 비교하여 운행정보(주행거리, 주행시간)을 산출하고 이용료를 계산하여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고, 운행정보(주행거리, 주행시간, 이용료)를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차량운행장치로부터 장애발생으로 도착시점의 주행거리를 전송받지 못할 경우 사용자 단말로 해당 사용자에게 도착시점의 차량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직접 입력하게 하고, 차량운행장치 이용에 따른 통신비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차량이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에만 활성화 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이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을 통과시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에 차량의 전·후·좌·우의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고,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의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이상이 발견시 운영자에게 전송하고, 운영자는 차량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영상을 검색하여 차량이상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차량수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공유차량 사용 전·후 반복하여 차량 내·외부를 점검하는 불편함을 최소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은 주차장 내에서 "열"을 알파벳순으로 "행"을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되고, 주차위치를 알파벳과 아리비아 숫자로 결합되어 생성하고 공유차량은 지정된 위치에 주차하여 공유차량을 쉽게 찾을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공유차량을 대여한 내용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분석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 패턴이 분석되면, 해당 사용 패턴의 이용 시간에 차량 예약 안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자동으로 예약하고 예약결과 안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분석 패턴은 공유차량을 예약하여 이용한 시간(이하 이용시간)을 수집하고, 주기별로 주기 내의 시간으로 변환하고, 각 주기별로 최근 N 주기 동안 M회 이상 유사한 이용시간이 있으면 해당 이용시간을 사용패턴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단지, 공용청사, 사무실 대형 건물 등 빌딩 내의 주차장에 공유차량 주차장을 설치하고 공유차량을 배치하고, 공유차량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중앙 운영체제가 아닌 빌딩별로 독립적으로 공유차량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빌딩별 공유차량을 운영하는 차량 공유 시스템을 설치하고 각 빌딩별로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데이터베이스)를 할당받아 빌딩별로 분산처리하고, 도시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전국으로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단지 별로 공유차량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예약시스템 도입, 사용자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픽업, 카풀, 차량관리(점검,수리,청소 등), 물품공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예약한 공유차량을 쉽게 찾기 위하여 공유차량을 종류별 구분하고, 공유차량의 주차 위치를 지정하여 주차하고, 예약된 차량의 사용자만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차량 키박스를 설치하여 차량키를 보관하고, 사용자의 공유차량 예약시간 전에 사용자 단말로 차량위치 번호와 차량키박스 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빌딩별로 독자적 운영체계로,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고,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차량 주차장의 차량예약 정보를 요청받으면 기 저장된 예약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공유차량 주차장의 예약정보(주차,운행,예약)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예약가능한 차량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을 예약하면 선택한 차량에 대한 예약 내역을 생성하여 예약정보로 전송하고 저장 및 관리하며,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예약된 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하고 차량키박스을 오픈하여 차량키를 사용하여 차량을 대여하며, 예약정보에 따라 운행 및 반납하고, 차량운행정보에 따라 사용대가를 산정하고 선택차량의 사용요금에 대한 결제처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정보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공유차량에 대한 사전 예약에 대하여 빌딩 내에 공유차량이 부족할 경우 또는 필요에 의하여 근처 빌딩의 차량공유 시스템에 접속하여 공유차량을 예약할 수 있고, 복수의 빌딩의 공유차량 예약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날(예를 들어, 구정, 추석 등 명절)에는 특별 예약제를 도입하고, 공유차량이 부족할 경우 렌트카 협력업체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렌트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공유차량 사용자에 대한 사용요금은 정기 요금제 또는 수시 요금제로 운영하고, 요금 산정은 주행거리, 주행시간에 따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정기회원에 대해서 등록된 계좌에 의한 이체를 사용하고, 수시회원에 대하여 카드결제를 사용하고, 정기회원에 대해서 차량 예약에 시간제한을 두지않고, 수시 회원에 대하여 예약시간의 제한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풀신청 또는 요청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저장 관리하는 것을 더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픽업요청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 관리하고, 이들 정보를 운영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요청자에게 응답하고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픽업하는 것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빌딩 내에 공유차량의 물품공유센터를 운영하여 공유물품을 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아파트 단지내의 공유차량 사용자의 편리성 제공 및 물품구매에 따른 비용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공유차량 주차장의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차량공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 공유 방법으로서, (a) 공유 차량에 대한 차량예약 정보를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b)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차량의 예약 요청 받는 단계; (c) 공유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하고 차량키 박스를 오픈하여 차량키를 사용하여 차량을 대여하는 단계; (d) 예약된 선택차량을 운행하고 반납하는 단계; (e)선택차량의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처리단계; (f) 사용자로부터 카풀의 신청 및 요청, 픽업 요청을 받는 단계; (g) 물품공유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 단지 등 빌딩 별로 주차장에 차량공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차량 주차장 및 공유차량을 배치하고, 도시별 단위의 아파트 단지, 청사, 대형 건물 등 빌딩을 연결하고, 이를 전국으로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의하면, 공유차량 사용자를 위한 공유차량이 사전예약을 통하여 공유차량 주차장의 공유차량을 최적의 상태로 운영하되, 각 차량별 주차, 예약, 운행 등의 전반적인 사항들을 통합운영하여, 사용자가 공유 차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의하면, 아파트 단지별, 공공청사, 사무실 대형 건물 내에, 각 빌딩별 공유차량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공유차량 주차장과 차량을 배치하고, 각 빌딩별로 차량공유 시스템을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Date Base)를 할당받아 공유차량을 분산처리함으로써, 빌딩별 차량공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의하면, 빌딩별 공유차량 운영센터를 두고 차량을 관리(청소, 점검, 수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가까운 지역(정류장, 지하철 역, 마켓)이동을 위한 픽업시스템을 운영하고, 사용자 간의 카풀서비스 신청 또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의하면,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공유차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유차량 사용자 증가로 자가용 승용차 감소에 따른 빌딩 내에 주차난을 해소하고, 출퇴근시간 차량정체 해소 및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회간접비를 절약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및 빌딩별 상기시스템을 통합관리하는 통합 빌딩 차량 공유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의 차량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예약 현황을 나타낸 예시 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약 취소가 가능한 공유차량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공유차량 이용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2,104),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 및, 사용자 단말(102,104)과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400)로 구성된다. 또한, 빌딩 내에는 공유 차량(310)이 주차되는 공유차량 주차장(300)이 배치되고, 공유차량 주차장(300) 내 공유 차량(320)을 배치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2,104)은 차량공유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스마트폰, 태플릿PC, DMB폰 등이다. 사용자 단말(102,104)은 PC나 노트북 등 컴퓨터 단말(102)이나 스마트폰 등 이동 단말(104)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외 사용자 단말(102,104)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2,104)은 유무선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 등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400)를 통해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공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2,104)을 통해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공유 차량(320)을 조회하거나 예약한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작업은 사용자 단말(102,104)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공유차량 주차장(300)은 빌딩의 주차장 내에 배치된다. 공유 차량(320)은 공유차량 주차장(300) 내에 주차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유차량 주차장(300)은 운영센터(390)에 의해 관리되고 통제된다. 공유차량을 운영하기 위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는 차량키박스 시스템과 무인주차시스템을 제어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운영센터(390)라 하고 운영자를 두고 관리한다.
공유주차장(300)에 설치된 각종 시스템(무인주차시스템, 차량운행장치 등)은 컴퓨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포트가 설치되고 이들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장치로 구성된다. 통신모듈은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제어장치는 상기 시스템 또는 기기에 설치할수 있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운영센터(390)를 통해 차량키의 제공이나 반납 등을 제어하며, 운영관리자에 의해 수행되거나 무인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차량키 박스 시스템은 키오스크 등 통상의 무인 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운영센터(390)를 통해 예약된 공유 차량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면 해당 공유 차량(320)의 차량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차량공유 사용자로부터 차량키를 반납 수령하면 해당 공유 차량(320)의 반납 사실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차량공유 사용자는 공유 차량(320)을 이용할 때 공유차량 주차장(300)에 방문하여 차량키박스(380)로부터 공유 차량(320)의 차량키를 수령하고, 차량키로 공유 차량(320)을 이용한다. 또한, 사용자는 공유 차량(320)을 반납하는 경우, 공유 차량(320)을 공유차량 주차장(300)에 주차시키고, 차량키를 차량키박스(380)에 반납한다.
한편, 공유 차량(320)에는 차량운행장치(370)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운행장치(370)는 이동통신 등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운행장치(370)는 위성항법장치(GPS) 등 위치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공유차량(310) 또는 차량운행장치(37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운행장치(370)는 위치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차량운행장치(370)는 공유차량(310)의 실시간 위치를 실시간으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아파트 단지, 청사, 대형 건물 등 빌딩 내에 공유 차량을 관리하고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102,104) 또는 무인주차시스템(360)과 차량운행장치(370)와 네트워크(400)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공유 차량(320)의 현황 정보를 차량공유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102,104)에 제공하고, 공유 차량(320)에 대한 예약 서비스 및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예약 정보을 통하여 예약된 사용자에게 차량키를 제공하거나 반납받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각 빌딩별로 설치되고, 지역 단위 또는 전국 단위를 통합하는 통합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500)으로 구성된다. 통합 빌딩차량시스템(500)은 서브와 컴퓨터시스템, 저장장치로 구성되어 각 빌딩을 통합하여 운영한다.
즉, 도 2와 같이, 아파트 단지별, 공공청사, 사무실 빌딩 내에 각 빌딩별로 공유차량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공유차량 주차장과 차량을 배치하고, 각 빌딩별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이 설치될 수 있다. 각 빌딩의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각 빌딩별로 분산 처리할 수 있다. 즉, 각 빌딩별로 로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데이터베이스)를 할당받아 분산 처리하여 독립적으로 차량공유 시스템을 운영한다. 일례로서, 각 빌딩별 할당받은 정보저장 장치는 세종특별시 빌딩별(예 세종0001)로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서, 바람직하게는, 유무선 인터넷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의 기능을 설명한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유·무선 인터넷으로 통합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500)과 연결된다. 상기 통합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500)에 설치된 저장장치인 차량정보DB, 사용자정보DB, 예약관리DB, 결재관리DB, 공유물품DB를 각 빌딩별로 할당 또는 식별번호를 부여받아 독립적으로 운영관리된다. 예를 들어 A빌딩은 차량정보a, 사용자정보a, 예약관리a, 결재관리a, 공유물품a으로, B빌딩은 차량정보b, 사용자정보b, 예약관리b, 결재관리b, 공유물품b 로 저장장치를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사용자정보DB는 사용자가 전국 어디서나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이 설치된 공유주차장의 공유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각 빌딩별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통합관리되고, 그 이외의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의 DB(DATA BASE)를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서 수행하는 실시예를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유·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공유차량 이용을 위한 다양한 업무처리를 지원하고 있다. 즉 사용자관리 ⇒ 예약조회 ⇒ 차량예약 ⇒ 차량대여 ⇒ 차량운행 ⇒ 차량반납 ⇒ 결재처리를 포함하여 카풀, 픽업, 물품대여 서비스 등의 업무처리를 지원한다.
(1) 사용자관리…사용자의 정보(운전면허증, 회원번호, 패스워드 등)를 등록관리
(2) 예약관리… 차량을 선택하고 예약시간을 입력하여 공유차량을 예약
(3) 대여관리… 차량주차위치를 확인하고 차랑키를 사용하여 차량을 운행
(4) 운행관리… 차량을 운행하고 운행정보(주행시간, 주행거리, 위치확인)를 기록
(5) 반납관리… 공유주차장에 차량을 반납하고 차량키를 차량키박스(380)에 보관
(6) 결재관리…운행정보와 요금기준에 따라 이용료를 계산
(7) 차량관리… 차량정보, 영상촬영, 블랙박스 등의 정보를 확득하여 기록관리
(8) 카풀관리…사용자로 부터 카풀 요청?신청을 받아 관리
(9) 픽업관리…사용자로 부터 픽업요청·신청을 받아 처리
(10) 물품관리…사용자에게 공유물품 대여및 반납을 관리
(11) 사용분석…사용자가 공유차량을 대여한 내용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차량 운영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유차량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차량예약현황(차량종류, 대여가능시간, 주차위치, 단위비용 등)을 조회하여 이용가능한 차량을 선택하고 예약시간을 입력하여 차량을 예약한다. 사용자가 예약된 공유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차량 사용시간 전에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예약된 공유차량 정보("차량주차위치" ,"키박스번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제공된 차량주차위치(A7)정보로 예약된 공유차량의 주차위치에 도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차량주차위치(A7) 부근에 설치된 차량키박스(380)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차량키박스(380)를 오픈하여 차량키를 사용할 수 있다.
차량키를 사용하여 차량을 운행한 후, 출발지 공유차량주차장에 차량을 반납하기 위하여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하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차량주차위치"와 "차량키 반납"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사용자는 운행한 공유차량을 지정된 주차위치에 주차하고, 차량 도어를 잠근 후 차량키를 차량키박스(380)에 보관하여 차량 사용을 완료한다.
상기 차량예약현황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유차량(310)의 실시간 현황 또는 실시간 예약현항을 사용자 단말(102,104)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한다. 즉 각 공유차량(310)의 실시간 주차, 운행, 예약상황 등 실시간 현황을 수집한다. 실시간 현황 정보는 공유차량(310)에 대한 현황 정보로서, 주차중인지, 운행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차/운행 여부, 예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예약 여부, 예약된 차량 운행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종료 예상 시점)을 나타내는 예약 시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 종류, 시간 등의 필터링 변수에 따른 필터링 기능(또는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차량 종류나 예약 시간 등으로 자신이 원하는 공유차량을 손쉽게 검색하도록 한다.
또한, 저장된 공유차량의 실시간 현황 데이터로부터 예약 가능한 공유차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예약 가능한 공유차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102,104)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공된 예약가능 공유차량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을 해당 사용자의 예약 차량으로 등록한다.
한편 상기 시스템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 패턴이 분석되면, 해당 사용 패턴의 이용 시간에 차량 예약 안내를 사용자 단말(102,104)로 전송하거나, 자동으로 예약하고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안내는 메시지 등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 패턴의 이용 시간 내에 이용 가능한 공유 차량이 있는 여부를 확인하고, 이용 가능한 차량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차량 예약을 하거나 차량예약을 안내한다.
상기 차량예약은 공유차량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예약시스템을 운영하고, 사용자를 정기·수시 이용자로 구분하여 공유차량이용의 다양성을 제공한다. 정기이용 사용자는 렌트카와 같이 차량을 장기로 이용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와 공유차량 사용자로 구분하고, 장기로 이용하는 사용자는 공유차량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에는 공유차량으로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유차량을 예약한 사용자만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차량키박스(380)를 설치하고, 예약된 사용자에게 차량키번호를 전송하여 차량키를 사용하도록하여 무인으로 차량을 대여하고 반납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간에 제약없이 공유차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 등을 이용하여 차량문 오픈, 시동제어 등에 따른 시스템 오류 등으로 발생하는 불편사항을 최소화 시킬수 있다.
상기 공유차량을 예약한 후 카풀신청을 선택하여 출발·도착 정보(시간, 장소)를 입력하여 카풀신청을 하고, 사용자로부터 카풀요청시 이에 응답하며, 필요할 경우 카풀 요청자와 메시지 또는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행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산정하여 카풀 요청·신청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카풀요청에 대하여는 사용자의 카풀이력을 검토하여 이용가능 사용자에게 메세지 등을 활용하여 공지함으로써 카풀서비스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예약 취소가 가능한 공유차량 운영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차량예약정보를 조회하면 사용자정보(정기·수시 이용자)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공유차량을 대여한 내용으로부터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정기이용자인 경우 월정액(소형, 중형, 대형)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는 차량예약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월정액을 "중형차량"으로 계약한 경우에는 예약가능한 중형차량에 대한 차량예약정보를 상기와 같이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차량을 선택하고 예약시간을 입력하면 선택된 차량이 예약된다. 수시이용자인 경우에는 공유차량을 구분(소형, 중형,대형)하여 차량예약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예약시간에 맞추어 공유주차장에서 선택차량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차량운행전에 예약을 취소할 수 있고, 동일한 시간대에 사용자가 중복예약을 신청하였는지를 체크하여 중복예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실시간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위치확인장치(위성항법장치(GPS), 모바일)를 이용하여 운행중인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여 도착시간을 예측한다. 도착지는 해당차량을 대여한 공유차량 주차장(300)의 위치로 설정한다. 즉, 출발점은 공유차량의 현재 위치로, 도착점은 공유차량 주차장의 위치로 설정되어, 출발점에서 도착점 까지의 이용 시간을 추정하여 도착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해당 공유차량의 다음 예약정보(가장 가까운 시간에 예약된 정보)와 예측된 도착 시간과 비교하여, 다음 예약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예약시간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측된 도착시간이 다음 예약정보의 예약 시간 보다 이르면 도착가능하고, 늦으면 도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다음 예약정보에 따른 다음 사용자의 예약시간에 해당 공유차량이 도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 예약정보에 대하여 해당 공유차량을 예약이용 불가능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예약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사용자에게 해당 공유차량의 도착가능 시간을 전송하고, 도착 가능 시간 이후의 시간으로 예약 시간을 수정할 것을 알림으로 권고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지 등을 통해 알림을 전송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운영자에게 해당 차량의 도착 지연 등의 문제를 전송한다. 운영자는 공유차량의 다음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여, 차량예약정보를 수정하거나, 다른 차량을 교체한다. 이때, 공유차량 주차장(300) 내에 공유차량(310)이 없는 경우, 주변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차량이용을 지원 또는 렌트카 협력업체에게 랜트카를 예약하여 공유차량이 원활하게 사용되도록 한다. 운영자는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을 통하여 운행중인 차량 중 도착지연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장거리 운행차량의 도착예정시간과 위치확인정보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조치할수 있다
또는, 다음 예약정보에 따른 예약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동종의 공유차량으로 변경 안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 의한 승인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예약현황과 사용자정보의 데이터 이력을 축적하고 통계기법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차량을 파악하고, 해당 아파트 단지내 공유주차장의 적정한 공유차량의 종류와 대수를 산출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공유차량을 대여한 내용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
먼저, 공유차량을 예약하여 이용한 시간(이하 이용시간)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용 시간을 주기 내의 시간으로 변환한다. 주기는 1일, 1주일, 1개월 단위로 설정한다.
주기가 1일 이면, 주기 내의 이용 시간은 24시 내의 시간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13일 오전 8시 30분이면, 주기 내의 시간, 즉, 24시간 내의 시간인 오전 8시 30분으로 변환하여 표현된다.
또한, 주기가 1주일 이면, 주기 내의 이용 시간은 1주일 내의 시간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13일 (수요일) 오전 8시 30분이면, 1주일 내의 시간, 즉, 수요일 오전 8시 30분으로 변환하여 표현된다. 요일은 날짜로 인해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주기가 1개월 이면, 주기 내의 이용시간은 1개월의 시간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13일 오전 8시 30분이면, 1개월 내의 시간, 즉, 2월 13일 오전 8시 30분으로 변환하여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주기별로 이용시간을 구성한다. 즉, 1일, 1주일, 1개월 주기로 각각 이용시간을 구성한다. 앞서 2019년 2월 13일 (수요일) 오전 8시 30분에 공유차량을 이용하였다면, 1일 주기에 "오전 8시 30분", 1주일 주기에 "수요일 오전 8시 30분", 1개월 주기에 "2월 13일 오전 8시 30분"으로 각각 설정된다. 사용자가 N번 차량을 이용하면, 각 주기별로 N개의 주기별 이용시간이 만들어진다.
최근 N 주기 동안 M회 유사한 이용시간이 있다면 해당 이용시간을 사용 패턴으로 분석한다. 바람직하게는 N은 1, 2, 또는 3 주기로 설정한다. M은 N이 1일 때 1로, N이 2일 때 1 또는 2로, N이 3일 때 2 또는 3으로 설정한다. 주기별로 전체 기간은 달라진다. N이 2인 경우, 1일 주기일 때는 2일 간의 이용시간을 분석하고, 1주일 주기일 때는 2주일 간의 이용시간을 분석하고, 1개월 주기일 때는 2개월 간의 이용시간을 분석한다.
이용시간의 유사 여부는 오차 범위를 설정하고, 이용시간이 오차 범위 내이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각 주기별로 사용 패턴이 분석한다. 그리고 주기별 사용패턴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짧은 주기의 사용패턴만을 확정하고, 나머지 주기의 사용패턴을 삭제한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13일 (수요일) 오전 8시 30분의 이용시간이 있으면, 1일 주기의 "오전 8시 30분"만 사용패턴으로 확정하고, 나머지 사용패턴, 즉, 1주일 주기의 "수요일 오전 8시 30분", 1개월 주기의 "2월 13일 오전 8시 30분"의 사용패턴은 삭제(제외)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차량 주차장의 공유차량 이용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유차량 주차장에는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과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된 무인주차시스템, 영상촬영시스템, 차량키박스시스템, 차량운행장치시스템 등이 설치되어 차량대여, 차량탑승, 차량반납, 차량출입통제, 차량점검을 무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공유차량 사용자는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언제나 예약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으며, 픽업 및 공유물품서비스 등의 업무처리를 원활하게 지원한다.
공유차량주차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파트 단지 내에 공유차량희망자를 모집하고, 희망자의 승용차를 매각 등 방법으로 외부에 반출하고 이들 반출된 차량의 주차면적의 일부(50%정도)를 공유주차장으로 확보하는 방안으로 해당 아파트단지의 동대표나 관리자와 협상함으로서 쉽게 협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차량은 희망자의 차량 일부를 매입하고 나머지는 매각하는 방법으로 아파트단지 주차장에서 반출하고,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차량 일부를 구입하여 공유차량을 배치하고, 아파트 단지 주민 소유의 차량도 희망하는 경우 위탁하여 공유차량으로 대여할 수 있다. 공유주차장의 공유차량은 전부 렌트카로 구입하여 배치한다.
공유차량은 사용자의 선호차량을 조사하여 승합차(310), 승용차(320), 전기차(330), 밴(350), 픽업트럭(360) 등으로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유차량주차장은 사용자가 예약된 차량의 주차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열"을 알파벳순으로 "행"을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된다. 따라서 차량 310인 경우 'A7'으로 표시하여 지정된 장소에 공유차량을 주차한다.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예약된 공유차량 사용시점에 사용자 단말로 주차위치번호(예 "A7") 및 차량키박스(380) 번호("0001")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는 전송된 공유차량 주차위치번호로 예약된 공유차량위치를 확인하고 주변에 설치된 차량키박스(380)에 차량키번호를 입력하면 차량키박스(380)가 오픈되어 차량키를 사용하여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차량키박스 시스템은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서 숫자 네자리를 랜덤하게 난수(RND함수)를 발생시켜 이를 각 공유차량의 차량정보에 보관하고, 이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차량키박스(38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공유차량 사용자에게 차량 이용시간에 맞추어 사용자 단말로 차량키번호를 전송하여 차량키박스(380)를 오픈할 수 있게 하여 차량키를 사용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키박스(380)는 번호, RFID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차량키번호를 교체할 수 있다.
차량키박스(380)는 마스타키를 별도로 두어 공유주차장 운영자가 소지하여 비상시 모든 차량을 항상 오픈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은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공유차량 예약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공유주차장에서 공유차량이 무인주차 시스템을 통과시 예약정보를 확인하여 공유차량 출입을 통제하고, 공유차량 이외의 차량은 공유차량 주차장에 출입을 제한한다. 또한 무인주차 시스템은 차량이 통과하는 시점(출발·도착)에 이를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전송하면,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와 영상장치를 통하여 차량운행정보, 사진촬영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한다.
차량을 운행하여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에 무인주차시스템은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정보(차량등록번호, 통과시간)를 빌딩 공유 차량 시스템에 전송하면, 빌딩 공유 차량 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370)로부터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요청받아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각각 저장한다. 해당 차량의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저장된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을 비교하여 운행정보(주행거리, 주행시간)을 산출하고 이용료를 계산하여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저장하고, 운행정보(주행거리, 주행시간, 이용료)를 사용자 단말로 “주행 50km, 운행 2시간, 요금 25,000원” 등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차량운행장치로부터 장애발생으로 도착시점의 주행거리를 전송받지 못할 경우 사용자 단말로 해당 사용자에게 도착시점의 차량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직접입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운행장치 이용에 따른 통신비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차량이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에만 활성화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무인주차관리시스템(360)을 차량이 통과시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에 차량의 전·후·좌·우의 사진을 촬영하여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저장하고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의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이상이 발견시 운영자에게 전송한다. 운영자는 차량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영상을 검색하여 차량이상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차량수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이를 통해, 공유차량 사용 전·후 반복하여 차량 내·외부를 점검하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은 차량운행장치(370)로부터 도착시점에 차량운행정보와 함께 전자제어유닉(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차량상태(타이어 공기압, 유류, 밧데리 상태 등)의 점검결과를 전송받아 이상이 발견시 운영자에게 전송하여 수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픽업서비스는 주로 출·퇴근시 아파트단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가까운 지역(정류장, 지하철역, 마켓)을 이동하기 위한 픽업서비스를 운영하고, 또한 버스 정류장 등으로부터 아파트 단지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픽업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200)에 유·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픽업요청을 선택하여 픽업정보(출발지,출발시간, 도착지, 픽업인원 등)를 입력하면 운영자는 픽업요청에 응답하고 운전자에게 통보하여 사용자를 픽업하고, 운행정보에 따라 사용료를 계산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공유물품 서비스는 공유물품을 구매·수집하여 공유물품 정보를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에 저장한다. 공유물품은 체인, 청소도구 쿠션, 차양, 박스 등 차량에 필요한 물품 뿐만 아니라, 아파트 생활에 필요한 제사용품, 이불(손님용), 생활공구 및 도구 등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가끔 사용하며 보관하는데 부피가 큰 용품위주로 준비한다. 사용자로부터 공유물품 사용을 요청 받아 공유물품 대여 및 반납을 기록·관리하고 공유물품의 거래내역에 따라 사용료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결재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공유물품을 대여하는 사용자 이력을 분석하여 공유물품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메세지 등으로 홍보할수 있다.
공유차량 운영자는 공유차량 주차장의 공유차량에 대한 주기적으로 차량점검 및 차량청소를 실시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로 차량을 유지·관리하고, 아파트 단지내 차량 소유자가 희망하는 차량도 차량관리(차량점검, 차량청소 등)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은 도시 내 각 빌딩별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를 전국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뿐만 아니라 전국의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이 설치된 모든 빌딩(아파트 단지 등)에 접속하여 공유차량이용, 픽업요청, 카풀서비스 요청 등을 쉽고 편리하게 균일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2,104 : 사용자 단말 200 :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
300 : 공유차량 주차장 310 : 공유차량
360 : 무인 주차 시스템 370 : 차량 운행 장치
380 : 차량키 박스시스템 500 : 통합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

Claims (20)

  1. 빌딩 내에 공유차량 주차장이 구비되고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에 공유차량이 배치되고, 상기 빌딩 내의 공유차량의 공유를 관리하는 빌딩 내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운행장치;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에 구비되는 공유차량을 지원하는 무인주차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과 차량운행장치와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빌딩 차량 공유시스템를 포함하고,
    상기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은, 상기 공유차량에 대한 예약, 대여, 운행, 반납, 및 결제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처리하고,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에 설치되는 운영센터를 이용하여, 고객의 요청에 따라 카풀·픽업, 물품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은,
    서브와 컴퓨터시스템,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통합관리하는 통합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각 빌딩별로 설치되고, 지역단위 또는 전국 단위의 설치된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은 상기 통합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으로부터 저장장치를 할당받아,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고객정보DB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객정보DB의 고객정보는 상기 통합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 의해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통합관리되고,
    고객이 속하는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 외의 다른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유차량 주차장에서 공유차량에 대해서도 고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 종류, 차량 이력, 점검 및 수리 이력, 보험료, 단위 요금, 차량운행 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현황 정보는 각 공유차량에 대한 현황 정보로서, 주차중인지 운행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차/운행 여부, 예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예약 여부, 예약된 차량 운행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종료 예상 시점)을 나타내는 예약 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예약된 공유차량의 사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금은 정기, 수시 사용자로 구분하고 정기 사용자는 월정요금, 수시 사용자는 사용량에 따라 부과하고, 이용료 주행거리, 주행시간, 유류비를 고려하여 산정하고, 매월 사용자의 등록된 계좌에서 자동이체, 또는 카드결제로 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풀 요청 또는 카풀 신청을 받아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카풀 요청 또는 카풀 신청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응답하는 카풀관리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픽업 요청을 받으면 이를 저장하고, 운영자에 의해 픽업요청에 응답하여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픽업하도록 요청하는 픽업관리장치; 및,
    공유물품의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하고, 공유물품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 공유물품의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상기 공유차량의 차량운행장치로부터 상기 공유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공유차량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도착시간을 예측하고, 해당 공유차량의 다음 예약정보와 예측된 도착 시간과 비교하여, 다음 예약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예약시간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 예약 정보에 따른 다음 사용자의 예약 시간에 해당 공유차량이 도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 예약 정보에 대하여 해당 공유차량을 예약이용 불가능으로 설정하고, 예약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사용자에게 해당 공유차량의 도착가능 시간을 전송하고, 도착 가능 시간 이후의 시간으로 예약 시간을 수정할 것을 알림으로 권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상기 공유차량의 이용이 불가능시 주변 빌딩 공유차량 운영시스템에 이용가능한 차량을 예약하여 차량이용을 지원 또는 랜트카 협력업체에게 랜트가를 예약하여 공유차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공유차량을 대여한 내용으로부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분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 패턴이 분석되면, 해당 사용 패턴의 이용 시간에 차량 예약 안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자동으로 예약하고 예약결과 안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공유차량을 예약하여 이용한 시간(이하 이용시간)을 수집하고, 주기별로 주기 내의 시간으로 변환하고, 각 주기별로 최근 N 주기 동안 M회 이상 유사한 이용시간이 있으면 해당 이용시간을 사용패턴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을 운행하여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을 통과시,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에서,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이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정보(차량등록번호, 통과시간)를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 전송하면,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차량운행장치로부터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요청받아 저장하고,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출발시점과 도착시점을 비교하여 운행정보(주행거리, 주행시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상기 차량운행장치로부터 장애발생으로 도착시점의 주행거리를 전송받지 못할 경우, 사용자 단말로 해당 사용자에게 도착시점의 차량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직접 입력하게 하여 운행정보(주행거리, 주행시간)를 산출하고, 차량운행장치 이용에 따른 통신비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차량이 무인주차시스템을 통과시에 만 활성화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고객의 고객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회원에 대하여 차량등록번호, 예약일시, 차종을 포함한 입력데이타를 기초로 이용가능한 차량을 선택하여 예약하는 단계; 상기 고객에게 주차위치정보, 차량키박스(380) 정보를 송신하여 고객은 예약된 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하고 주변의 차량키박스(38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차량키를 사용하여 차량을 대여하는 단계; 상기 대여차량의 운행정보를 차량운행장치를 통하여 시간의 기록, 주행거리의 기록을 포함한 기록을 하는 운행관리단계; 상기 대여 차량이 반납되었을 때 상기 운행기록을 기초로 소정의 이용료산정의 규칙에 따라 이용 요금을 계산하고 결제하는 단계; 상기 고객에게 대여기간 동안 차량상태를 점검한 기록을 하는 차량관리단계; 상기 회원의 번호, 패스워드, 운전면허증 등을 포함한 회원의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회원등록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은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에 설치된 영상촬영시스템 및, 차량키박스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은 상기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과 유·무선 인터넷으로 데이타 통신하여 차량대여, 차량운행, 차량반납, 차량출입통제, 차량점검 서비스를 무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차량 주차장은 주차장 내에서 "열"을 알파벳순으로 "행"을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되고, 주차위치를 알파벳과 아리비아 숫자로 결합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은 숫자 네자리를 랜덤하게 난수를 발생시켜 이를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의 각 공유차량마다 차량정보에 보관하고, 이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차량키박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공유차량 사용자에게 차량이용시간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키박스 비밀번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비밀번호로 차량키박스를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키박스의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주차 시스템은,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의 예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예약된 공유차량 이외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고, 외부차량의 공유주차장 출입을 제한하며, 상기 빌딩 차량공유 시스템과 연동하여 공유차량 주차장의 공유차량 주차정보, 공유차량의 운행정보, 사진촬영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유를 위한 시스템.
KR1020190023422A 2019-02-27 2019-02-27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KR10213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22A KR102139724B1 (ko) 2019-02-27 2019-02-27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22A KR102139724B1 (ko) 2019-02-27 2019-02-27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766A true KR20190038766A (ko) 2019-04-09
KR102139724B1 KR102139724B1 (ko) 2020-07-30

Family

ID=6616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22A KR102139724B1 (ko) 2019-02-27 2019-02-27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7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0214A (zh) * 2019-11-20 2020-03-2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社区共享车辆的共享方法及装置
CN111815991A (zh) * 2019-05-30 2020-10-2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共享汽车停车管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116117A (zh) * 2020-09-30 2020-12-22 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共享的方法及存储介质
CN112561106A (zh) * 2020-12-22 2021-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共享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48212A (ko) * 2019-10-23 2021-05-03 최완석 물품 공유 서비스 방법 및 물품 공유 서비스 시스템
KR20210114212A (ko) * 2020-03-10 2021-09-23 최성식 공동주택에서의 전기차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36499A (ko) * 2020-05-08 2021-11-17 아트원 주식회사 개조된 차량을 이용한 대여 및 판매 비즈니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76A (ja) * 2006-11-01 2008-05-22 Toyota Motor Corp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JP2012018456A (ja) * 2010-07-06 2012-01-26 Nec Corp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カーシェアリング提供方法
JP2014137766A (ja) * 2013-01-18 2014-07-28 Nissan Motor Co Ltd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1543773B1 (ko) 2015-02-09 2015-08-11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1051A (ko) * 2016-11-08 2018-05-16 김우진 아파트 단지와 제휴하여 차량을 대여하는 차량 대여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76A (ja) * 2006-11-01 2008-05-22 Toyota Motor Corp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JP2012018456A (ja) * 2010-07-06 2012-01-26 Nec Corp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カーシェアリング提供方法
JP2014137766A (ja) * 2013-01-18 2014-07-28 Nissan Motor Co Ltd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1543773B1 (ko) 2015-02-09 2015-08-11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1051A (ko) * 2016-11-08 2018-05-16 김우진 아파트 단지와 제휴하여 차량을 대여하는 차량 대여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5991A (zh) * 2019-05-30 2020-10-2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共享汽车停车管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48212A (ko) * 2019-10-23 2021-05-03 최완석 물품 공유 서비스 방법 및 물품 공유 서비스 시스템
CN110910214A (zh) * 2019-11-20 2020-03-2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社区共享车辆的共享方法及装置
CN110910214B (zh) * 2019-11-20 2024-04-02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社区共享车辆的共享方法及装置
KR20210114212A (ko) * 2020-03-10 2021-09-23 최성식 공동주택에서의 전기차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36499A (ko) * 2020-05-08 2021-11-17 아트원 주식회사 개조된 차량을 이용한 대여 및 판매 비즈니스 방법
CN112116117A (zh) * 2020-09-30 2020-12-22 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共享的方法及存储介质
CN112561106A (zh) * 2020-12-22 2021-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共享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724B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766A (ko)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US20170140586A1 (en) Vehicle parking system and method
CA2733365C (en) Key control and related fleet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JP2017194968A (ja) 駐車管理システムと方法
US20020186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US102236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fleet
JP2001067581A (ja) 車両の貯蔵エネルギー量をトラッキングできる車両共用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1060293A (ja) 充電状態の1番高い或いは2番目に高い車両を割当てる車両共用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1043478A (ja) 駐車モード検出機能を備えた車両共用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3167014B2 (ja) 車両共用システムおよび車両共用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時間検出方法
JP2004533058A (ja) 企業体間で共用できる資産の利用可能性を決定する自動化交換
JP2003162576A (ja) 貸出車両管理システム
JP3206803B2 (ja) 共用車両管理システム
Shimi et al.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echnology based on user preferences
KR20220015352A (ko)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Barth et al. Intelligent transportation technology elements and operational methodologies for shared-use vehicle systems
JP2000172747A (ja) 自転車レンタルシステム
JP2021026273A (ja) デリバリー型カーシェアリング支援装置及びデリバリー型カーシェアリング支援方法
US20220058761A1 (en) Method of returning a moving object for a fleet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US2022005889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intaining Moving Object, and Moving Object
US20220057810A1 (en) Method for interlinking heterogeneous fleet systems, device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20110090306A (ko) 이종데이터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모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JPH10261199A (ja) 車両共用システムにおける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2001338238A (ja) 自転車レンタ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