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352A -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352A
KR20220015352A KR1020210099860A KR20210099860A KR20220015352A KR 20220015352 A KR20220015352 A KR 20220015352A KR 1020210099860 A KR1020210099860 A KR 1020210099860A KR 20210099860 A KR20210099860 A KR 20210099860A KR 20220015352 A KR20220015352 A KR 2022001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urface
information
vehicle
parking
un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환효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PCT/KR2021/0099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2570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집된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한 결과인 주차면의 미할당 상태 정보를 복수의 차량 제공자에게 공유하고 사용자에게 사용 예약할 수 있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제한된 차량 위치 장소에서 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여 차량 제공자 및 장소 제공자의 수익을 향상시키는 운송 서비스 서버 및 주차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TRANSPORTATION SERVICE SYSTEM THAT EFFICIENTLY PROVIDES VEHICLE USING PARKING AREA MANAGEMEN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주차면 관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유 경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소수의 차량을 다수의 이용자가 이용함으로써 차량 구입과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렌트 또는 차량 공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차량 공유는 단순히 비용 절감을 위해 이용되는 것에서 나아가, 환경 보호 등의 이유로 인해 정책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과거에 지어진 상가건물, 아파트 등은 현재와 같은 많은 차량의 이용을 예측하지 못하여 차량대수 대비 주차시설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고, 업무빌딩이 많이 몰려 있는 도심부나 오래된 건물은 주차공간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3505호 (2010.07.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집된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한 결과인 주차면의 미할당 상태 정보를 복수의 차량 제공자에게 공유하고 사용자에게 사용 예약할 수 있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제한된 차량 위치 장소에서 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여 차량 제공자 및 장소 제공자의 수익을 향상시키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운송 서비스 서버에 의한 주차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차량 위치 장소의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차량 제공자 단말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배차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배차 승인에 해당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i)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 (ii)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 (iii)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요 예측 정보는 운송 서비스 고객군 정보 또는 고객군을 예상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배차에 관한 취소 여부,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취소 여부, 상기 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변경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관리 방법은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관리 방법은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관리 방법은 상기 차량의 사용 여부에 따라 장소 제공자 단말로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관리 방법은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는 (i) 상기 차량의 배차 승인 여부 상태, (ii) 상기 차량의 주차 완료 여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은 미할당 예상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미할당 예상 모델은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는 수요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는 요금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요금 예측 모델은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요인 정보는 계절, 주야, 날씨, 휴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을 통해 복수의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배차 승인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의 사정이 변경된 상황에서 다른 주차면을 제안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을 통해 전체 주차면을 주요 주차면과 예비 주차면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주요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1 비율과 상기 예비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2 비율 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은, 상기 주요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상기 예비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상황에 따라 상기 주요 주차면 또는 상기 예비 주차면에 선정하는 주차면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관리 방법은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체크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 장소에서 상기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는 주차면 할당 방식 및 주차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면 할당 방식은 지상 주차면, 지하 주차면, 주차면 크기, 천장 유무, 벽 유무, 옆차 유무, 외제차 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주차 방식은 기계식 주차, 전면 주차, 후면 주차, 평행 주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운송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차량 위치 장소의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차량 제공자 단말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배차 승인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배차 승인에 해당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집된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한 결과인 주차면의 미할당 상태 정보를 복수의 차량 제공자에게 공유하고 사용자에게 사용 예약할 수 있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제한된 차량 위치 장소에서 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여 차량 제공자 및 장소 제공자의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송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서비스 서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서비스 서버에 적용되는 학습 모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면 관리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송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송 서비스 시스템은 운송 서비스 서버(100) 및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200), 하나 이상의 차량 제공자 단말(400), 하나 이상의 장소 제공자 단말(500), 하나 이상의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200), 하나 이상의 차량 제공자 단말(400), 하나 이상의 장소 제공자 단말(500), 하나 이상의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와 연결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운송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해당 운송 서비스(transportation service)의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운송 서비스 요청을 기반으로 특정 시간에 대한 차량의 이용 권한을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는 차량 자체를 클라이언트에게 대여하는 차량 대여 서비스, 차량과 드라이버를 함께 클라이언트에게 대여하는 차량 운송 서비스 등일 수 있다. 차량은 운송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운송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제공 업체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차량,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업체가 보유한 차량, 차량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업체나 개인이 보유한 차량, 특정 시간에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한 개인이 보유한 차량 등일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독립 요금 서비스를 기반으로 운송 서비스 요청에 대한 운송 서비스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독립 요금 서비스는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과는 독립적으로 운송 서비스의 요금 청구 대상을 결정하는 요금 부과 서비스이다. 독립 요금 서비스는 운송 서비스의 이용 대상과 운송 서비스에 대한 요금 청구 대상을 분리하여 운송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청구하는 것을 말한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해 운송 서비스 예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송 서비스 예약을 위한 웹 사이트(web site)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가 운송 서비스 예약을 이용할 수 있는 운송 서비스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배포하거나 앱 마켓(app market)을 통해 배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보유한 단말로서,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의해 통신망(300)을 통해 운송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운송 서비스의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민간 기업, 정부 기관, 공공 기관 등과 같은 단체에 소속된 임직원이나, 학교 등과 같은 단체에 소속된 교직원과 학생이나, 공동주택 등과 같은 단체에 소속된 입주민등이나, 개인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에 운송 서비스 서버(100)가 배포한 운송 서비스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00)에 설치된 운송 서비스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운송 서비스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운송 서비스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한 웹 사이트를 통해 운송 서비스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차량 제공자 단말(400)은 차량을 제공하려는 주체가 보유한 단말로서, 차량 제공자의 조작에 의해 통신망(300)을 통해 운송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 제공자는 차량을 제공하는 법인, 단체, 개인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렌트 사업자, 공유차 사업자 등이 있다.
장소 제공자 단말(500)은 차량 주차 가능한 장소를 제공하려는 주체가 보유한 단말로서, 장소 제공자의 조작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의해 통신망(300)을 통해 운송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장소 제공자는 장소를 제공하는 법인, 단체, 개인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클라이언트 단말(200), 차량 제공자 단말(400), 장소 제공자 단말(500)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망(3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는 차량이 위치할 장소 또는 차량이 위치한 장소에서 주차 또는 이동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거나 다수의 차량에 탑재되어 주차 또는 이동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거나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 등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센서 등을 설치하여 이동체를 구분하고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장치가 위치 정보 또는 주차장 비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예약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예약은 구독권 사용 방식, 일반 예약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 또는 사용자에 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고유 식별 정보는 아이디(ID) 등과 같이 클라이언트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와 패스워드(password) 등과 같이 정당한 클라이언트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독권은 미리 지정된 예약 가능 시간(워킹 타임, 주중, 주말, 모든 시간 등) 내에 차량을 예약할 수 있는 권한을 클라이언트에게 부여한 권리를 말한다. 구독권은 미리 지정된 기간(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등) 단위로 자동으로 갱신되거나, 미리 지정된 기간이 종료될 때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구독권을 이용하는 경우, 운송 서비스 요금을 구성하는 항목은 구독 요금, 예약 시간에 따른 차량별 기본 요금 및 실제 주행 거리에 따른 차량별 주행 요금일 수 있다. 구독 요금은 구독권의 유형(단체 일반 구독권, 단체 전용 구독권, 개인 전용 구독권), 구독 대상인 차량의 개수, 구독 대상인 차량의 종류, 구독 대상인 차량의 연식, 차량의 연료 타입 등을 기반으로 책정되며, 미리 지정된 기간(예컨대,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등) 단위로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차량별 기본 요금 및 차량별 주행 요금은 차량의 종류, 차량의 연식, 차량의 연료 타입 등을 기반으로 책정되며, 해당 차량의 예약 시에 기본 요금이 부과되고 해당 차량의 반납 시에 주행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차량별 기본 요금 및 차량별 주행 요금은 구독권의 이용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요금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독권의 유형(단체 일반 구독권, 단체 전용 구독권, 개인 전용 구독권)에 따라 서로 다른 요금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별 기본 요금 및 차량별 주행 요금은 주중, 주말, 공휴일에 따라 서로 다른 요금 체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간대별로 요금 체계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름 휴가 기간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구간과 이외의 구간의 요금 체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 예약 방식의 경우, 운송 서비스 요금을 구성하는 항목은 예약 시간에 따른 차량별 기본 요금 및 실제 주행 거리에 따른 차량별 주행 요금일 수 있다.
실제 운송 서비스 요금은 클라이언트가 예약한 차량에 대응되는 기본 요금 및 주행 요금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가 예약한 타임 슬롯(time slot)에 대응되는 요율(rate)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슬롯은 차량을 예약할 수 있는 최소 시간 단위(예컨대, 10분, 30분, 1시간 등)를 나타내는 차량 예약 단위를 말하며, 각각의 타임 슬롯별로 요율이 설정될 수 있다.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는 대응되는 차량들 중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선택된 차량의 이용 시간을 예약할 수 있는 정보로서,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기간(예컨대, 7일 등)을 1일 단위로 복수개의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캘린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에 요율이 매칭될 수 있다. 요율은 시간/공간에 따라 변경 가능한 요금 가중치이다. 상황에 맞게 요율을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요금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함께 예약 요청 시간/장소를 제공받으면, 대응되는 차량들 중에서 예약 요청 시간에 예약이 가능한 차량에 대한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의 각 타임 슬롯은 유휴 상태(idle state), 예약 상태(reservation state), 불가능 상태(disabled state) 중 하나의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휴 상태는 해당 타임 슬롯의 예약이 현재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약 상태는 해당 타임 슬롯의 예약이 이미 완료되어 예약이 현재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불가능 상태는 차량 정비 등의 이유로 인해 예약이 현재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각 타임 슬롯의 상태를 클라이언트가 바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임 슬롯의 상태별로 타임 슬롯의 색상, 크기, 배경, 모양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 상태인 타임 슬롯의 배경은 흰색으로 표시하고, 예약 상태인 타임 슬롯의 배경은 회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관련 정보 및 기타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예약 기간을 획득하고, 획득한 추천 예약 기간을 포함하는 차량 예약 캘린더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관련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고유 식별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등),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고유 식별 정보 등)를 기반으로 획득한 정보(클라이언트의 과거 운송 서비스 이용 이력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정보는 클라이언트와 직접 관련이 없는 정보로,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의 과거 운송 서비스 이용 이력을 수집하여 획득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전에 학습되어 구축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의 과거 운송 서비스 이용 이력을 수집하여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의 개별 데이터는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날씨 정보, 고유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운송 서비스 이용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클라이언트)는 예약한 차량을 픽업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 방문해야 한다. 특정 장소는 차량 위치 장소(미래에 차량이 위치할 장소 또는 현재 차량이 위치한 장소)이며 일종의 거점이나 주차 스테이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거점은 지역이나 존(zone)과 같이 지도 상의 도형 형태로 인식 가능한 장소이다.
거점이나 주차 스테이션에서 요율 등이 변경되는 상황에서 차량 제공자는 요율이 높은 장소에 차량을 재배차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운송 서비스 서버는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집된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한 결과인 주차면의 미할당 상태 정보를 복수의 차량 제공자에게 공유하고 사용자에게 사용 예약할 수 있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서비스 서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 및 통신 버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운송 서비스 서버(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31)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31)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운송 서비스 서버(100)로 하여금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프로그램(131)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운송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50)는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를 포함하여 운송 서비스 서버(10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통신 버스(15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운송 서비스 서버(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로부터 차량 위치 장소의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는 주차면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변경된 정보가 발생할 때 송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i)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 (ii)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 (iii)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요 예측 정보는 운송 서비스 고객군 정보 또는 고객군을 예상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이 속한 거점/스테이션의 예상 고객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피스 건물, 학교 캠퍼스, 경복궁 주차장, 아파트, 공항등 거점/스테이션의 타입, 위치, 입주 기업/단체에 따라 고객군이 달라지므로 예상고객군 정보를 제공하여야 적절한 차종의 차량을 배차 요청할 수 있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차량의 배차에 관한 취소 여부,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취소 여부, 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변경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주차면이 할당된 차량의 제공자에게 할당을 취소(차량을 회수 요청) 정보, 사용자에 의한 취소 정보, 차량 자체 등의 문제로 인한 정상적인 주행이 곤란한 상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주차면 상황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다시 처리한다.
프로세서(110)는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는 (i) 차량의 배차 승인 여부 상태, (ii) 차량의 주차 완료 여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주차면 상황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다시 처리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차량 제공자 단말(400)로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차량 제공자 단말(400)로부터 차량의 배차 승인을 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배차 승인에 해당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재전송한다. 차량 제공자 단말(400)은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변경된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배차 승인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클라이언트 단말(400)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차량의 사용 여부에 따라 장소 제공자 단말(500)로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차량의 사용 여부는 차량 인도 여부 등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서비스 서버에 적용되는 학습 모델을 예시한 도면이다.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학습 모델을 적용한다. 학습 모델은 미할당 예상 모델(111), 수요 예측 모델(112), 요금 예측 모델(113),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114),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11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은 미할당 예상 모델을 통해 산출된다.
미할당 예상 모델(111)은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을 출력할 수 있다. 미할당 예상 모델(111)은 계절, 주야, 날씨, 휴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될 수 있다.
미할당 예상 모델(111)은 특징을 추출하고 특징을 데이터 가공 처리한다. 미할당 예상 모델(111)은 다수의 레이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레이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의 파라미터는 학습가능한 필터 집합을 포함한다. 파라미터는 노드 간의 가중치 및/또는 바이어스를 포함한다.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는 수요 예측 모델(112)을 통해 산출된다.
수요 예측 모델(112)은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수요 예측 정보는 운송 서비스 고객군 정보 또는 고객군을 예상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요 예측 모델(112)은 계절, 주야, 날씨, 휴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될 수 있다.
수요 예측 모델(112)은 특징을 추출하고 특징을 데이터 가공 처리한다. 수요 예측 모델(112)은 다수의 레이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레이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의 파라미터는 학습가능한 필터 집합을 포함한다. 파라미터는 노드 간의 가중치 및/또는 바이어스를 포함한다.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는 요금 예측 모델(113)을 통해 산출된다.
요금 예측 모델(113)은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수요 요금 예측 모델(113)은 계절, 주야, 날씨, 휴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될 수 있다.
요금 예측 모델(113)은 특징을 추출하고 특징을 데이터 가공 처리한다. 요금 예측 모델(113)은 다수의 레이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레이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의 파라미터는 학습가능한 필터 집합을 포함한다. 파라미터는 노드 간의 가중치 및/또는 바이어스를 포함한다.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114)은 복수의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배차 승인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의 사정이 변경된 상황에서 다른 주차면을 제안한다.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114)은 주차면 상황 정보,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선호도가 높거나 유사도가 높은 주차면을 출력할 수 있다. 주차면 상황 정보는 지상 주차면, 지하 주차면, 주차면 크기, 천장 유무, 벽 유무, 옆차 유무, 외제차 유무, 기계식 주차, 전면 주차, 후면 주차, 평행 주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차량의 배차에 관한 취소 여부,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취소 여부, 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변경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도 및 유사도는 통계적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요 요금 예측 모델(113)은 계절, 주야, 날씨, 휴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될 수 있다.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114)은 특징을 추출하고 특징을 데이터 가공 처리한다.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114)은 다수의 레이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레이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의 파라미터는 학습가능한 필터 집합을 포함한다. 파라미터는 노드 간의 가중치 및/또는 바이어스를 포함한다.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115)은 전체 주차면을 주요 주차면과 예비 주차면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주요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1 비율과 상기 예비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2 비율 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115)은 주요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예비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상황에 따라 주요 주차면 또는 예비 주차면에 선정하는 주차면을 관리할 수 있다.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115)은 주차면 상황 정보,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주요 주차면 및 예비 주차면을 출력할 수 있다. 주차면 상황 정보는 지상 주차면, 지하 주차면, 주차면 크기, 천장 유무, 벽 유무, 옆차 유무, 외제차 유무, 기계식 주차, 전면 주차, 후면 주차, 평행 주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차량의 배차에 관한 취소 여부,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취소 여부, 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변경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요 요금 예측 모델(113)은 계절, 주야, 날씨, 휴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될 수 있다.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115)은 특징을 추출하고 특징을 데이터 가공 처리한다.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115)은 다수의 레이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레이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의 파라미터는 학습가능한 필터 집합을 포함한다. 파라미터는 노드 간의 가중치 및/또는 바이어스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면 관리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운송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차량 위치 장소의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0), 차량 제공자 단말로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0),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배차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S40), 클라이언트 단말로 배차 승인에 해당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i)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 (ii)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 (iii)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배차에 관한 취소 여부,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취소 여부, 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변경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차량의 사용 여부에 따라 장소 제공자 단말로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는 (i) 차량의 배차 승인 여부 상태, (ii) 차량의 주차 완료 여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은 미할당 예상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미할당 예상 모델은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을 출력할 수 있다.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는 수요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수요 예측 모델은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는 요금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요금 예측 모델은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을 통해 복수의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배차 승인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의 사정이 변경된 상황에서 다른 주차면을 제안할 수 있다.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을 통해 전체 주차면을 주요 주차면과 예비 주차면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주요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1 비율과 상기 예비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2 비율 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은, 주요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예비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상황에 따라 주요 주차면 또는 예비 주차면에 선정하는 주차면을 관리할 수 있다.
주차면 관리 방법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클라이언트 단말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체크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위치 장소에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는 주차면 할당 방식 및 주차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주차면 할당 방식은 지상 주차면, 지하 주차면, 주차면 크기, 천장 유무, 벽 유무, 옆차 유무, 외제차 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주차 방식은 기계식 주차, 전면 주차, 후면 주차, 평행 주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0, S11, S12, S13에서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는 운송 서비스 서버(100)로 주기적으로 또는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 주차면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20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S31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제1 차량 제공자 단말(401)로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2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제2 차량 제공자 단말(402)로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41에서 제1 차량 제공자 단말(401)은 운송 서비스 서버(100)로 제1 차량에 관한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42에서 제2 차량 제공자 단말(402)은 운송 서비스 서버(100)로 제2 차량에 관한 배차 승인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50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제1 차량 및 제2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을 예약할 수 있도록 화면에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S5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 중에서 적합한 차량에 대해서 사용 예약 여부를 전송한다.
단계 S60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의 각 항목을 체크한다. 단계 S6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운송 서비스 서버(100)로 체크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전송한다.
단계 S70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장소 제공자 단말(500)로 사용 수익 정보를 전송한다. 플랫폼 사업자와 스테이션 사업자 간에 수익을 분배한다.
단계 S10, S11, S12, S13에서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600)는 운송 서비스 서버(100)로 주기적으로 또는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 주차면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80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S90에서 운송 서비스 서버(100)는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도 4에 예시된 모델을 학습한다. 단계 S20에서 학습 모델을 통해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집된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한 결과인 주차면의 미할당 상태 정보를 복수의 차량 제공자에게 공유하고 사용자에게 사용 예약할 수 있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제한된 차량 위치 장소에서 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여 차량 제공자 및 장소 제공자의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차량 제공자 단말, 장소 제공자 단말,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운송 서비스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차량 제공자 단말, 장소 제공자 단말,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운송 서비스 서버에 의한 주차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차량 위치 장소의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차량 제공자 단말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배차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배차 승인에 해당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i)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 (ii)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 (iii)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정보는 운송 서비스 고객군 정보 또는 고객군을 예상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배차에 관한 취소 여부,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취소 여부, 상기 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변경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용에 관한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용 여부에 따라 장소 제공자 단말로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는 (i) 상기 차량의 배차 승인 여부 상태, (ii) 상기 차량의 주차 완료 여부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은 미할당 예상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미할당 예상 모델은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주차면의 미할당 예상 기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는 수요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수요 예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는 요금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요금 예측 모델은 상기 주차면 할당 상태 정보 및 외부 요인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되어 상기 미할당 예상 기간 동안의 요금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2. 제9항, 제10항,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요인 정보는 계절, 주야, 날씨, 휴일, 휴가철, 회전율, 주변 교통수단, 사용자 사용 패턴, 구독권, 요금, 요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유사 주차면 추천 모델을 통해 복수의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배차 승인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의 사정이 변경된 상황에서 다른 주차면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을 통해 전체 주차면을 주요 주차면과 예비 주차면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주요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1 비율과 상기 예비 주차면에 해당하는 주차면의 제2 비율 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주차면 관리 모델은,
    상기 주요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상기 예비 주차면에 고정적으로 선정되는 주차면, 상황에 따라 상기 주요 주차면 또는 상기 예비 주차면에 선정하는 주차면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체크된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 장소에서 상기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요구사항 리스트는 주차면 할당 방식 및 주차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면 할당 방식은 지상 주차면, 지하 주차면, 주차면 크기, 천장 유무, 벽 유무, 옆차 유무, 외제차 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주차 방식은 기계식 주차, 전면 주차, 후면 주차, 평행 주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관리 방법.
  18. 운송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차량 위치 장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차량 위치 장소의 주차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주차면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차량 제공자 단말로 상기 주차면 미할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제공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배차 승인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배차 승인에 해당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서비스 서버.
KR1020210099860A 2020-07-30 2021-07-29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KR20220015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9975 WO2022025703A1 (ko) 2020-07-30 2021-07-30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5051 2020-07-30
KR1020200095051 2020-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352A true KR20220015352A (ko) 2022-02-08

Family

ID=8025181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52A KR20220015332A (ko) 2020-07-30 2021-07-21 운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98982A KR20220015345A (ko) 2020-07-30 2021-07-28 운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00199A KR20220015357A (ko) 2020-07-30 2021-07-29 수요 예측 기반 공급 분산 처리를 위한 운송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20210099860A KR20220015352A (ko) 2020-07-30 2021-07-29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100075A KR20220015355A (ko) 2020-07-30 2021-07-29 복합 구독권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00198A KR20220015356A (ko) 2020-07-30 2021-07-29 수요 예측 기반 수요 분산 처리를 위한 운송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52A KR20220015332A (ko) 2020-07-30 2021-07-21 운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98982A KR20220015345A (ko) 2020-07-30 2021-07-28 운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00199A KR20220015357A (ko) 2020-07-30 2021-07-29 수요 예측 기반 공급 분산 처리를 위한 운송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75A KR20220015355A (ko) 2020-07-30 2021-07-29 복합 구독권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00198A KR20220015356A (ko) 2020-07-30 2021-07-29 수요 예측 기반 수요 분산 처리를 위한 운송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200153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51B1 (ko) 2023-02-03 2023-10-11 주식회사 주차팅 주차정보 자산화를 위한 구독형 주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58B1 (ko) * 2022-07-27 2023-04-18 주식회사 더블렌드 다중 온라인 구독 서비스 플랫폼 및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05B1 (ko) 2008-07-03 2010-08-10 한국교통연구원 주차장 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05B1 (ko) 2008-07-03 2010-08-10 한국교통연구원 주차장 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51B1 (ko) 2023-02-03 2023-10-11 주식회사 주차팅 주차정보 자산화를 위한 구독형 주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345A (ko) 2022-02-08
KR20220015332A (ko) 2022-02-08
KR20220015356A (ko) 2022-02-08
KR20220015355A (ko) 2022-02-08
KR20220015357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375B1 (en) Lotless storage of vehicle inventory
CN109492801B (zh) 一种停车价格优化方法及其管理系统
Alfian et al. A simulation tool for prioritizing product-service system (PSS) models in a carsharing service
US20150142518A1 (en) System for making available for hire vehicles from a fleet aggregated from a plurality of vehicle fleets
US20110004507A1 (en) Parking Facility Resource Management
US20180374004A1 (en) Parking inventory and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for flexible parking subscriptions
KR102139724B1 (ko)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KR20220015352A (ko)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Thao et al. Integration of ridesharing with public transport in rural Switzerland: Practice and outcomes
Lim et al. Alternative approach for forecasting parking volumes
Baranovski et al. Support for self-service automated parking systems
Shimi et al.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echnology based on user preferences
Jioudi et al. e-parking: Multi-agent smart parking platform for dynamic pricing and reservation sharing service
CN117058911A (zh) 充电车位智能调度系统、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77963B1 (ko) 전기차 충전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Zakharenko Pricing shared vehicles
WO2022025703A1 (ko) 주차면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차량을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CN111798339A (zh) 一种智能化物业管理系统及管理方法
Ntim et al. City Challenge: User Perception on the Governance and Quality of Parking Space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Kumasi, Ghana
KR102515789B1 (ko) 공유 주차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40001421A (ko) 간이 차량 예약 및 배치를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Zhao et al. Multicriteria Model for Shared Parking and Parking Route Recommender Systems
KR20240001419A (ko) 차량의 수요 공급을 고려하여 차량 조기 반납 유도를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시스템
US2022030099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osing of a Shared Moving Object Based on Residual Value Evaluation
Millard-Ball et al. Where ridehail drivers go between trips: Trading off congestion and curb avail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