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85A - 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 - Google Patents

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385A
KR20190038385A KR1020180114817A KR20180114817A KR20190038385A KR 20190038385 A KR20190038385 A KR 20190038385A KR 1020180114817 A KR1020180114817 A KR 1020180114817A KR 20180114817 A KR20180114817 A KR 20180114817A KR 20190038385 A KR20190038385 A KR 2019003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discharge
circu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7769B1 (en
Inventor
사토루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09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36Interface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80Calibration
    • G01J5/808Calibration using linearising circuits
    • G01J2005/006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increas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a product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table driving of a shutt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ble to reduce the risk of component failure. A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2A)] comprises resistances (R1 to R8) and transistors (Q1, Q2). In the voltage appliance circuit (2A),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 are connected between an input line (L1) of DC 370 V and an anode electrode (1a) of a UV sensor (1), wherein the emitter is toward the anode electrode (1a).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are connected among the input line (L1) of DC 370 V, a connection line (L2) of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a ground line (GND), wherein the emitter is toward the ground line (GND).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potential of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 from DC 370 V to DC 55 V by turning the transistor (Q2) on after a discharge detection or when a discharge is not monitored.

Description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0001] 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 [0002]

본 발명은 화염의 발생에 따라 생기는 자외선을 받아 방전하는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ircuit of a flame sensor which discharges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generation of a flame.

종래부터, 화염의 유무를 검출하는 화염 센서로서, 화염의 발생에 따라 생기는 자외선을 받아 방전하는 자외선 센서(UV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as a flam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lame, an ultraviolet sensor (UV sensor) for discharging ultraviolet rays caused by the generation of a flame is used.

이 UV 센서에서는, 센서의 자기 체크에 셔터를 이용하고 있다. 셔터를 폐쇄하여, 화염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하였을 때, UV 센서에 방전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자기 방전의 체크를 행한다.In this UV sensor, a shutter is used for self-checking of the sensor. When the shutter is closed and the flame is not visible, the self-discharge is checked with no discharge occurring in the UV sensor.

이 UV 센서는, 플랜트 등의 화염 감시에 사용되어,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고전압(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압)과 저전압(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는 구동 회로가 마련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의 도 1, 도 2 참조).This UV sensor is used in a flame monitoring system of a plant or the like and is provided with a drive circuit for alternately applying a high voltage (voltage capable of discharging) and a low voltage (voltage for disabling discharge)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See Figs. 1 and 2 of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도 4에, 특허문헌 1에 나타낸 회로를 기초로 하여 구성된 UV 센서의 구동 회로(종래의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이 구동 회로(200)는,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DC 370 V와 DC 55 V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압 인가 회로(2)와,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과 캐소드 전극(1b) 사이에 방전이 생긴 것을 검출하는 방전 검출 회로(3)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와,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와, R-S 플립플롭 회로(6)와, 출력 회로(7)를 구비하고 있다.Fig. 4 shows a driving circuit (conventional driving circuit) of a UV sensor constructed based on the circuit shown in Patent Document 1. Fig. The driving circuit 200 includes a voltage applying circuit 2 for selectively applying DC 370 V and DC 55 V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nd a voltage applying circuit 2 for applying a DC 370 V and a DC 55 V to the anode electrode 1a A unstable multivibrator 4, an unstable multivibrator 5, an RS flip-flop circuit 6, and a discharging detection circuit 4 for detecting that a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1b and the cathode electrode 1b. And an output circuit (7).

이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 전압 인가 회로(2)는, 저항(R11∼R16)과, 콘덴서(C11)와, 트랜지스터(Q11, Q12)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R11(30 ㏀)과 R12(47 ㏀)]은, DC 370 V의 입력 라인(L11)과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In this driving circuit 200,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includes resistors R11 to R16, a capacitor C11, and transistors Q11 and Q12. The resistors R11 (30 k?) And R12 (47 k?)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L11 of DC 370 V and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저항[R13(12 ㏀)]은, 저항(R12)과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의 접속 라인(L12)과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1)의 이미터는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Q12)의 이미터는 접지 라인(GND)에 접속되어 있다.The resistor R13 (12 k?)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R12 and the connection line L12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1.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1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2,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2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GND.

저항[R14(150 ㏀)]은, DC 370 V의 입력 라인(L11)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R14)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의 접속 라인(L13)에는, 접지 라인(GND)과의 사이에, 콘덴서[C11(390 pF)]와 저항[R15(150 ㏀)]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는, 접지 라인(GND)과의 사이에 저항[R16(520 Ω)]이 접속되어 있다.The resistor R14 (150 k?)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line L11 of DC 370 V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1, and the resistor R14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1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L13 A capacitor C11 (390 pF) and a resistor R15 (150 k?)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apacitor C11 and the ground line GND. A resistor R16 (520 OMEGA) is connected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2 and the ground line GND.

이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는, 펄스 신호를 반복 생성하여, 이 펄스 신호를 발진 출력으로 하여 제1 출력 단자(5-1) 및 제2 출력 단자(5-2)로부터 출력한다. 제1 출력 단자(5-1)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출력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와 저항(R16)의 접속 라인(L14)에 부여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12)가 ON/OFF된다.In the driving circuit 200,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repeatedly generates a pulse signal and outputs the pulse signal as an oscillation output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5-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5- 2). The oscillation output outputted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5-1 is given to the connection line L14 of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2 and the resistor R16. Thus, the transistor Q12 is turned ON / OFF.

트랜지스터(Q12)가 OFF로 되어 있는 경우, 입력 라인(L11)으로부터의 DC 370 V가 저항(R11, R12)을 통하여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12)가 ON이 되면, 저항(R11, R12, R13), 트랜지스터(Q11, Q12)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저항(R12)과 저항(R13)의 접속점의 전압이 저하하고, 이 저하한 전압(DC 55 V)이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인가된다.When the transistor Q12 is turned off, DC 370 V from the input line L11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through the resistors R11 and R12. When the transistor Q12 is turned on, current flows to the paths of the resistors R11, R12, and R13 and the transistors Q11 and Q12, and the voltage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ors R12 and R13 decreases. A voltage (DC 55 V)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이에 의해, 화염이 없고, UV 센서(1)가 방전하지 않을 때는,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DC 370 V와 DC 55 V가, 일정 주기로 교대로 인가되게 된다[도 5의 (b) 참조]. 즉, 전압 인가 회로(2)의 UV 센서(1)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가,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전압[고전압(DC 370 V)]을 인가하는 제1 모드와, 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제2 전압[저전압(DC 55 V)]을 인가하는 제2 모드로, 일정 주기로 교대로 전환되게 된다.Thereby, when there is no flame and the UV sensor 1 is not discharged, DC 370 V and DC 55 V are alternately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t regular intervals (b)]. That is, a mode in which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 applies the voltage to the UV sensor 1 is a first mode for applying a first voltage (high voltage (DC 370 V)) enabling discharge, And a second mode in which a second voltage (low voltage (DC 55 V)) is applied.

이 경우,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DC 370 V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T1)이 방전 감시 기간이 되고, DC 55 V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T2)이 방전 감시 정지 기간이 된다[도 5의 (a) 참조]. 이 방전 감시 기간(T1)과 방전 감시 정지 기간(T2)의 시간 폭은, 감도 조절에 의해,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바꿈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 period T1 during which DC 370 V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is a discharge monitoring period, and a period T2 during which DC 55 V is applied is a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See Fig. 5 (a)). The time width of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and the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T2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이 방전 감시 기간(T1)과 방전 감시 정지 기간(T2)을 교대로 전환한 방전 감시 중, 방전 감시 기간(T1)에 있어서 UV 센서(1)에 방전이 생기면, 이 UV 센서(1)에 생긴 방전을 방전 검출 회로(3)가 검출한다[도 6의 (c)에 나타내는 t1, t2, t3, t4점).When a discharge occurs in the UV sensor 1 in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in which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and the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T2 are alternately switched, Discharge is detected by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3 (t1, t2, t3, and t4 points shown in (c) of Fig. 6).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는, 방전 검출 회로(3)에 의해 UV 센서(1)에 방전이 생긴 것이 검출되면, 원샷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도 6의 (d)에 나타내는 t1, t2, t3, t4점].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가 생성하는 원샷 신호는, R-S 플립플롭 회로(6)에 부여된다. 또한, 이 원샷 펄스 신호에 의해, 출력 회로(7)에 화염이 검출된 것이 알려지게 된다.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generates a one-shot pulse signal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UV sensor 1 by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3 (t1, t2, t3 shown in Fig. 6 (d) , t4 points]. The one-shot signal generated by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is given to the R-S flip-flop circuit 6. It is also known that the flame is detected in the output circuit 7 by the one-shot pulse signal.

R-S 플립플롭 회로(6)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로부터의 원샷 신호에 의해서 셋트되어, 트랜지스터(Q12)를 ON으로 한다. 이에 의해,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의 인가 전압이 DC 370 V에서 DC 55 V로 전환된다[도 6의 (b)에 나타내는 t1, t2, t3, t4점].The R-S flip-flop circuit 6 is set by a one-shot signal from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to turn on the transistor Q12. There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is switched from DC 370 V to DC 55 V (points t1, t2, t3, and t4 shown in FIG. 6 (b)).

이와 같이 하여, 방전 감시 기간(T1)에 있어서, 방전이 검출되면,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의 인가 전압이 DC 55 V로 저하하여, 방전이 정지한다. 그 후, R-S 플립플롭 회로(6)는,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제2 출력 단자(5-2)로부터의 발진 출력에 의해, 즉 다음에 보내오는 펄스 신호에 의해, 리셋된다. 이에 의해, 다음 방전 감시가 개시된다.Thus, when a discharge is detected in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drops to DC 55 V, and the discharge stops. Thereafter, the R-S flip-flop circuit 6 is reset by the oscillation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terminal 5-2 of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that is, by the pulse signal sent next. Thereby, the next discharge monitoring is started.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4047038B호 명세서Patent Document 1: U.S. Patent No. 4047038B

UV 센서는 플랜트 등의 화염 감시에 이용되고, 그 사용 환경은, 직사 일광을 받거나, 연소부로부터의 열을 받거나 하기 때문에, 고온이 된다. 한편, 제품의 구조로서 방적·방폭 구조가 요구되기 때문에, 내부 기판은 밀봉된 상태에 있어, 통풍에 의해 냉각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품의 내부 온도가 상승한다.The UV sensor is used for flame monitoring of plants and the like, and its use environment becomes high temperature because it receives direct sunlight or receives heat from the combustion part. On the other hand, since a spinning / explosion-proof structure is required as a structure of a product, the inner substrate is in a sealed state and can not be cooled by ventilation. As a resul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rises.

도 4에 나타낸 구동 회로(200)에서는,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에 UV 센서(1)에의 인가 전압을 DC 55 V로 저하시키고 있다. 그러나, UV 센서(1)에의 인가 전압을 DC 55 V로 저하시키면, 소비 전력이 커져, 제품의 내부 온도가 더욱 상승한다. 이 내부 온도의 상승에 의해, 자기 체크용의 셔터가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부품 고장이 발생할 리스크가 높아진다.In the driving circuit 200 shown in Fig. 4, the voltage applied to the UV sensor 1 is lowered to DC 55 V after the discharge is detected or when the discharge is not monitored. However, if the voltage applied to the UV sensor 1 is lowered to DC 55 V,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further rises. The ris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increases the risk that the self-checking shutter will not operate or a component failure will occur.

도 7에 방전 감시 중에 방전이 생기지 않을 때의 전압 인가 회로(2)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12)가 OFF가 되기 때문에, 저항(R14, R15)의 경로에서만 전류가 흐르고, 이때의 전류는 1.2 ㎃가 된다. 이에 의해, 전압 인가 회로(2)에서는, 370 V×1.2 ㎃=0.44 W의 전력이 소비된다.Fig. 7 shows the path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when no discharge occurs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In this case, since the transistor Q12 is turned OFF, current flows only in the path of the resistors R14 and R15, and the current at this time becomes 1.2 mA. Thus,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power of 370 V x 1.2 mA = 0.44 W is consumed.

도 8에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에 전압 인가 회로(2)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12)가 ON이 되기 때문에, 저항(R11, R12, R13), 트랜지스터(Q11, Q12)의 경로에서 4.1 ㎃의 전류가 흐른다. 또한,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2.5 ㎃의 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해, 전압 인가 회로(2)에서는, 370 V×(4.1 ㎃+2.5 ㎃)=2.44 W의 전력이 소비된다.8 shows a path of a current flowing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after discharge detection or when no discharge monitoring is performed. In this case, since the transistor Q12 is turned ON, a current of 4.1 mA flows in the path of the resistors R11, R12, and R13 and the transistors Q11 and Q12. Further, a current of 2.5 mA flows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1. Thus,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power of 370 V x (4.1 mA + 2.5 mA) = 2.44 W is consumed.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비 전력을 작게 하여, 제품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셔터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 고장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suppress the ris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risk of occurrence of the flame sens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염의 발생에 따라 생기는 자외선을 받아 방전하도록 구성된 화염 센서(1)와,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1a)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로서,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모드와, 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제2 전압을 인가하는 제2 모드를 구비하는 전압 인가 회로(2A)와, 전압 인가 회로에 있어서의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를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교대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1 모드 전환 회로(5)와, 화염 센서에 방전이 생긴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방전 검출 회로(3)와, 방전 검출 회로에 의해 화염 센서에 방전이 생긴 것이 검출된 경우, 전압 인가 회로에 있어서의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2 모드 전환 회로(4, 6)를 구비한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로서, 전압 인가 회로는, 제1 전압의 입력 라인(L1)과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 사이에 그 콜렉터와 이미터가 이미터를 애노드 전극측으로 하여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1 전압의 입력 라인과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접속 라인(L2)과 접지 라인(GND) 사이에 그 콜렉터와 이미터가 이미터를 접지 라인측으로 하여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하고, 제1 모드 전환 회로 및 제2 모드 전환 회로는, 제2 트랜지스터를 ON으로 함으로써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의 전위를 제1 전압으로부터 제2 전압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flame sensor (1) configured to discharg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generation of a flame; A voltage applying circuit (2A) having a first mode for applying a first voltage and a second mode for applying a second voltage for disabling discharge and a second mode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A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5) configured to alternately switch the application mode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a discharge detection circuit (3) configured to detect that a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flame sensor; A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configured to switch a voltage application mo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a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sensor (4) and (6), where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has a collector and an emitter between the input line (L1)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and the emitter is on the anode electrode side And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Q1 are connected between the input line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connection line L2 of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ground line GND, And the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switch the potential of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by turning on the second transistor .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모드 전환 회로 및 제2 모드 전환 회로는, 제2 트랜지스터를 ON으로 함으로써,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의 전위를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전압(예컨대, DC 370 V)에서 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제2 전압(예컨대, DC 55 V)으로 전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irst voltage (for example, DC 370 V) for discharging the potential of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by turning on the second transistor, To a second voltage (e.g., DC 55 V) that disables discharging at the second node.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트랜지스터가 OFF가 되어 있는 경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의 사이의 PN 접속을 통하여, 제1 전압의 입력 라인으로부터의 제1 전압이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된다. 이 경우, 전압의 인가만으로, 전류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인가 회로에서는 전력은 소비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ransistor is OFF, a first voltage from the input line of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through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emitter do. In this case, since the current does not flow only by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no power is consumed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트랜지스터가 ON이 되면,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이미터 사이에 전류가 흘러,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한다. 이 저하한 전압이 제2 전압으로서,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PN 접속을 통하여,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된다. 이 경우,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이미터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작아(예컨대, 0.2 ㎃), 전압 인가 회로에서의 소비 전력은 작아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ransistor is turned ON, a current flows between the collector emitters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drops. This lowered voltage is applied as a second voltage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through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emitter. In this case,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collector emitter of the second transistor is small (for example, 0.2 mA), and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is small.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도면상의 구성 요소를, 괄호를 단 참조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elements in the drawings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nvention are indicated by parentheses by reference numeral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를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측에 접속하고, 제2 트랜지스터를 ON으로 함으로써,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의 전위를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전압으로부터 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제2 전압으로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작게 하여, 제품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셔터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부품 고장이 발생할 리스크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비 전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이 도모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to the anode electrode side of the flame sensor and turning on the second transistor, the potential of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can be discharged 1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that disables the dischar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suppress the ris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As a result, the shutter can be stably driven, and the risk of component failure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energy saving is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염 센서(UV 센서)의 구동 회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동 회로에서 방전 감시 중에 방전이 생기지 않을 때의 UV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구동 회로에서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에 전압 인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구동 회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방전 감시 기간(T1)과 방전 감시 정지 기간(T2)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이다.
도 6은 방전 감시 기간(T1)에 있어서 방전이 생긴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구동 회로에 있어서 방전 감시 중에 방전이 생기지 않을 때의 전압 인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낸 구동 회로에 있어서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에 전압 인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drive circuit of a flame sensor (UV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voltage applying path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UV sensor when no discharge occurs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in the driving circuit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ath of a current flowing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after the discharge detection or the discharge monitoring in the drive circuit shown in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driving circuit.
5 is a time chart showing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and the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T2).
6 is a time chart showing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a discharge occurs in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path of a current flowing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when no discharge occurs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in the driving circuit shown in Fig. 4;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path of a current flowing in a voltage applying circuit after discharge detection or when no discharge monitoring is performed in the drive circui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도 4와 동일 부호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drive circuit of a flam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4 denote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 전압 인가 회로(2) 이외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구동 회로(200)와 동일하다. 즉, 방전 검출 회로(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 R-S 플립플롭 회로(6) 및 출력 회로(7)는, 도 4에 나타낸 구동 회로(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driving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is the same as that of the driving circuit 200 shown in Fig. That is,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3,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the RS flip-flop circuit 6 and the output circuit 7 are connected to the drive circuit 200 shown in Fig.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이하, 도 4에 나타낸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와 구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를 2A로 하고,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를 2B로 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 from the drive circuit 200 shown in Fig. 4,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 in the drive circu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sumed to be 2A,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 in the conventional drive circuit 200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 전압 인가 회로(2)는, 저항(R1∼R8)과, 트랜지스터(Q1, Q2)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R1(24 ㏀)과 R2(27 ㏀)]은, DC 370 V의 입력 라인(L1)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In the driving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 includes resistors R1 to R8 and transistors Q1 and Q2. The resistors R1 (24 k?) And R2 (27 k?)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DC 370 V input line L1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저항[R3(27 ㏀)]은,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와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 사이에 접속되고, 저항[R4(510 ㏀), R5(510 ㏀) 및 R6(510 ㏀)]은, DC 370 V의 입력 라인(L1)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resistor R3 (27 k?) Is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nd the resistors R4 (510 k?), R5 (510 k?) And R6 510 k?)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L1 of DC 370 V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저항[R7(270 ㏀)]은, 저항(R6)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의 접속 라인(L2)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사이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접지 라인(GND)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8(620 Ω)]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접지 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The resistor R7 (270 k?)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R6 and the connection line L2 of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GND . The resistor [R8 (620 [Omega]) is connected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ground line GND.

이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제1 출력 단자(5-1)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출력(반복 생성되는 펄스 신호)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저항(R8)의 접속 라인(L3)에 부여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ON/OFF된다. 이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모드 전환 회로에 상당한다.In the driving circuit 100, the oscillation output (repetitiv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5-1 of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is su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resistor R8 The connection line L3 of FIG. As a result,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 OFF. This unstable multivibrator 5 corresponds to the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트랜지스터(Q2)가 OFF가 되어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PN 접속을 통하여, 입력 라인(L1)으로부터의 DC 370 V가 저항(R4, R5, R6, R3)의 경로로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인가된다.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DC 370 V from the input line L1 flows through the path of the resistors R4, R5, R6, and R3 through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emitter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s shown in Fig.

트랜지스터(Q2)가 ON이 되면, 저항(R4, R5, R6, R7), 트랜지스터(Q2)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저항(R6)과 저항(R7)의 접속점의 전압이 저하하고, 이 저하한 전압(DC 55 V)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PN 접속을 통하여,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인가된다.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current flows to the paths of the resistors R4, R5, R6, and R7 and the transistor Q2, and the voltage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ors R6 and R7 decreases. A voltage (DC 55 V)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through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emitter.

이에 의해, 화염이 없고, UV 센서(1)가 방전하지 않을 때는,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DC 370 V와 DC 55 V가, 일정 주기로 교대로 인가되게 된다[도 5의 (b) 참조]. 즉, 전압 인가 회로(2)의 UV 센서(1)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가,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전압[고전압(DC 370 V)]을 인가하는 제1 모드와, 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제2 전압[저전압(DC 55 V)]을 인가하는 제2 모드와, 일정 주기로 교대로 전환되게 된다.Thereby, when there is no flame and the UV sensor 1 is not discharged, DC 370 V and DC 55 V are alternately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t regular intervals (b)]. That is, a mode in which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 applies the voltage to the UV sensor 1 is a first mode in which a first voltage (high voltage (DC 370 V)) for enabling discharge is applied, And the second mode in which the second voltage (low voltage (DC 55 V)) is applied.

이 경우,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DC 370 V가 인가되는 기간(T1)이 방전 감시 기간이 되고, DC 55 V가 인가되는 기간(T2)이 방전 감시 정지 기간이 된다[도 5의 (a) 참조]. 이 방전 감시 기간(T1)과 방전 감시 정지 기간(T2)의 시간 폭은, 감도 조절에 의해,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바꿈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period T1 during which DC 370 V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is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and the period T2 during which DC 55 V is applied is the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5 (a)]. The time width of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and the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T2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이 방전 감시 기간(T1)과 방전 감시 정지 기간(T2)을 교대로 전환한 방전 감시 중, 방전 감시 기간(T1)에 있어서 UV 센서(1)에 방전이 생기면, 이 UV 센서(1)에 생긴 방전을 방전 검출 회로(3)가 검출한다[도 6의 (c)에 나타내는 t1, t2, t3, t4점].When a discharge occurs in the UV sensor 1 in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in which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and the discharge monitoring stop period T2 are alternately switched, The discharge is detected by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3 (points t1, t2, t3, and t4 shown in FIG. 6 (c)).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는, 방전 검출 회로(3)에 의해 UV 센서(1)에 방전이 생긴 것이 검출되면, 원샷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도 6의 (d)에 나타내는 t1, t2, t3, t 4점].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가 생성하는 원샷 신호는, R-S 플립플롭 회로(6)에 부여된다. 또한, 이 원샷 펄스 신호에 의해, 출력 회로(7)에 화염이 검출된 것이 알려지게 한다.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generates a one-shot pulse signal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UV sensor 1 by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3 (t1, t2, t3 shown in Fig. 6 (d) , t 4 points]. The one-shot signal generated by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is given to the R-S flip-flop circuit 6. The one-shot pulse signal causes the output circuit 7 to be notified that the flame has been detected.

R-S 플립플롭 회로(6)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로부터의 원샷 신호에 의해 셋트되어, 트랜지스터(Q2)를 ON으로 한다. 이에 의해,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의 인가 전압이 DC 370 V에서 DC 55 V로 전환된다[도 6의 (b)에 나타내는 t1, t2, t3, t 4점].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와 R-S 플립플롭 회로(6)의 조합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모드 전환 회로에 상당한다.The R-S flip-flop circuit 6 is set by the one-shot signal from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to turn on the transistor Q2. There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is switched from DC 370 V to DC 55 V (t1, t2, t3, t4 points shown in Fig. 6 (b)). The combination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 and the R-S flip-flop circuit 6 corresponds to the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하여, 방전 감시 기간(T1)에 있어서, 방전이 검출되면,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의 인가 전압이 DC 55 V로 저하하여, 방전이 정지한다. 그 후, R-S 플립플롭 회로(6)는,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제2 출력 단자(5-2)로부터의 발진 출력에 의해, 즉 다음에 보내오는 펄스 신호에 의해, 리셋된다. 이에 의해, 다음 방전 감시가 개시된다.Thus, when a discharge is detected in the discharge monitoring period T1,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drops to DC 55 V, and the discharge stops. Thereafter, the R-S flip-flop circuit 6 is reset by the oscillation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terminal 5-2 of the unstable multivibrator 5, that is, by the pulse signal sent next. Thereby, the next discharge monitoring is started.

또한, UV 센서(1)가 방전하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1)가 ON이 되어, 저항(R1, R2, R3)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방전이 유지된다.When the UV sensor 1 is discharg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turning on the transistor Q1, and current flows to the path of the resistors R1, R2, and R3, and the discharge is maintained .

도 2에 방전 감시 중에 방전이 생기지 않을 때의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의 전압의 인가 경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2)가 OFF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PN 접속을 통하여, 입력 라인(L1)으로부터의 DC 370 V가 저항(R4, R5, R6, R3)의 경로로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인가된다. 또한, 도 2에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PN 접속을 다이오드(D1)로 하여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전압의 인가만으로, 전류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인가 회로(2A)에서는 전력은 소비되지 않는다.Fig. 2 shows the application path of the voltage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when no discharge occurs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In this case, since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the DC 370 V from the input line L1 flows through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emitter of the resistors R4, R5, R6, and R3 And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as a path. In Fig. 2,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emitter is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as a diode D1. In this case, since no current flows only by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power is not consumed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A.

도 3에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에 전압 인가 회로(2A)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2)가 ON이 됨으로써, 저항(R4, R5, R6, R7), 트랜지스터(Q2)의 경로로 0.2 ㎃의 전류가 흘러, 저항(R6)과 저항(R7)의 접속점에 DC 55 V의 전압이 생기고, 이 DC 55 V의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PN 접속을 통하여, UV 센서(1)의 애노드 전극(1a)에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전압 인가 회로(2A)에서는, 370 V×0.2 ㎃=0.047 W의 전력이 소비된다.Fig. 3 shows the path of the current flowing to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A after detection of discharge or during no discharge monitoring. In this case, 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a current of 0.2 mA flows to the paths of the resistors R4, R5, R6, and R7 and the transistor Q2, and DC is suppli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R6 and the resistor R7. A voltage of 55 V is generated and this DC 55 V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1a of the UV sensor 1 through the PN connection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emitter. Thus, in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A, power of 370 V x 0.2 mA = 0.047 W is consumed.

즉,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서는, 전압 인가 회로(2A)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Q1)를 이미터 팔로어 회로로 함으로써,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에 전압 인가 회로(2A)에 0.2 ㎃밖에 흐르지 않도록 하여,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That is, in the driving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istor Q1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A is made to be an emitter follower circuit, and when the voltage is not monitored after discharge detection, So that power saving is achieved.

또한, 이 구동 회로(100)에서는, 도 1에는 그 회로 구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전압 인가 회로(2A)란 그 외에, 전원 차단 시에 조속히 전압을 내려 감전을 방지하는 회로(감전 방지 회로)가 마련되어 있고, 이 감전 방지 회로에 0.164 ㎃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구동 회로(200)에서는, 저항(R14, R15)이 감전 방지 회로로서 기능하고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A is provided with a circuit (an electric shock prevention circuit) for rapidly reducing the voltage at the time of power interruption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a current of 0.164 mA is allowed to flow through the electric shock prevention circuit. In the conventional driving circuit 200 shown in Fig. 4, the resistors R14 and R15 function as an electric shock prevention circuit.

여기서, 종래의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B)와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A)를,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도 포함시켜 그 소비 전력을 비교해 본다.Here,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B of the conventional drive circuit 200 and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A of the drive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current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Compare power.

방전 감시 중에 방전이 생기지 않을 때, 종래의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B)에서는, 370 V×1.2 ㎃=0.44 W의 전력이 소비되고 있었다(도 7 참조).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A)에서는, 전압 인가 회로(2A) 내에는 전류는 흐르지 않지만(도 2 참조),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도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 경우, 370 V×0.164 ㎃=0.061 W가 되어, 소비 전력이 약 1/7로 저하한다.When no discharge occurs during the discharge monitoring,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B in the conventional drive circuit 200 consumes 370 V x 1.2 mA = 0.44 W (see Fig. 7). In contrast,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A of the drive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no current flows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A (see FIG. 2), a current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is also included 370 V x 0.164 mA = 0.061 W,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o about 1/7.

방전 검출 후나 방전 감시하지 않을 때, 종래의 구동 회로(2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B)에서는, 370 V×(4.1 ㎃+2.5 ㎃)=2.44 W의 전력이 소비되고 있었다(도 8 참조).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 회로(2A)에서는,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도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 경우, 370 V×(0.2 ㎃+0.164 ㎃)=0.135 W가 되어(도 3 참조), 소비 전력이 약 1/18로 저하한다.Power consumption of 370 V (4.1 mA + 2.5 mA) = 2.44 W was consumed in the voltage applying circuit 2B of the conventional drive circuit 200 after the discharge detection and the discharge monitoring was not performed ). In contrast, in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2A of the drive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urrent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is also included, 370 V x (0.2 mA + 0.164 mA) = 0.135 W (See Fig. 3),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o about 1/18.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100)에서는, 종래의 구동 회로(200)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작게 하여, 제품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셔터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부품 고장이 발생하는 리스크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비 전력이 작아짐으로써, 에너지 절약이 도모된다.In this manner, in the driving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riving circuit 200, and the ris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can be suppressed. Thereby, the shutter can be stably driven, and the risk of component failur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energy saving is achieved.

또한, 도 1에 나타낸 전압 인가 회로(2A)에서는, DC 370 V의 입력 라인(L1)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사이에 2개의 저항(R1, R2)을 접속하고 있지만, 반드시 2개의 저항을 접속하는 것으로 하지 않아도 좋고, 하나의 저항으로 하는 등 하여도 좋다. 접속 라인(L2) 중 저항(R4, R5, R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저항(R3)을 생략하는 등 하여도 좋다.1, two resistors R1 and R2 are connected between an input line L1 of DC 370 V and a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However, two resistors It may not be connected, and one resistor may be used. The same applies to the resistors R4, R5, and R6 in the connection line L2. Also, the resistor R3 may be omitted.

이 밖에, 셔터를 구동하는 전압을 AC에서 DC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AC 85 V∼AC 121 V의 신호를 받아, 셔터에 DC 24 V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AC 전압에 의존하지 않고, 셔터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저소비 전력의 상태를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D C24 V로 함으로써, 셔터의 소비 전력을 3 W에서 2 W로 저감할 수 있어, 제품의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oltage for driving the shutter may be changed from AC to DC. For example, a signal of AC 85 V to AC 121 V is received, and DC 24 V is outputted to the shutter. Thereby, it is possible to supply a constant electric power to the shutter without depending on the AC voltage, and to continue the state of low power consumption. Further, by setting D C24 V,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hutter can be reduced from 3 W to 2 W, and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can be suppressed.

〔실시형태의 확장〕[Extension of Embodiment]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UV 센서(화염 센서), 1a…애노드 전극, 1b…캐소드 전극, 2(2A)…전압 인가 회로, 3…방전 검출 회로, 4…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5…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6…R-S 플립플롭 회로, 7…출력 회로, Q1, Q2…트랜지스터, R1∼R8…저항, L1…입력 라인, L2, L3…접속 라인, GND…접지 라인, 100…구동 회로.One… UV sensor (flame sensor), 1a ... Anode electrode, 1b ... Cathode electrode, 2 (2A) ... Voltage application circuit, 3 ... Discharge detection circuit, 4 ... Monostable multivibrator, 5 ... Stable multivibrator, 6 ... R-S flip-flop circuit, 7 ... Output circuit, Q1, Q2 ... Transistor, R1 ~ R8 ... Resistance, L1 ... Input line, L2, L3 ... Connection line, GND ... Ground line, 100 ... Drive circuit.

Claims (3)

화염의 발생에 따라 생기는 자외선을 받아 방전하도록 구성된 화염 센서와,
상기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로서, 상기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방전을 불능하게 하는 제2 전압을 인가하는 제2 모드를 구비하는 전압 인가 회로와,
상기 전압 인가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로 교대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1 모드 전환 회로와,
상기 화염 센서에 상기 방전이 생긴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방전 검출 회로와,
상기 방전 검출 회로에 의해 상기 화염 센서에 상기 방전이 생긴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전압 인가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에의 전압의 인가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2 모드 전환 회로를 구비한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로서,
상기 전압 인가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의 입력 라인과 상기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 사이에 그 콜렉터와 이미터가 이미터를 상기 애노드 전극측으로 하여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전압의 입력 라인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접속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그 콜렉터와 이미터가 이미터를 상기 접지 라인측으로 하여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드 전환 회로 및 상기 제2 모드 전환 회로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ON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의 전위를 상기 제1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2 전압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
A flame sensor configured to discharg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generation of a flame,
A first mode in which a first voltage for enabling the discharge is applied as a voltage application mode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and a second mode for applying a second voltage for disabling the discharge, An application circuit,
A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configured to alternately switch the application mode of the voltage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in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 discharge detection circuit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flame sensor;
When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detects that the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flame sensor, switching the application mode of the voltage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in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And a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configured to be turned on,
The voltage applica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input line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the collector being connected to the emitter and the emitter to the anode electrode side;
And a second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an input line of the first voltage and a ground lin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a ground line,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side,
Wherein the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comprise:
And switches the potential of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by turning on the second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전환 회로는,
펄스 신호를 반복 생성하는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모드 전환 회로는,
상기 방전 검출 회로에 의해 상기 화염 센서에 상기 방전이 생긴 것이 검출되었을 때, 원샷 펄스를 생성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생성하는 원샷 펄스에 의해 셋트되어, 상기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반복 생성하는 펄스 신호에 의해 리셋되는 R-S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de switching circuit comprises:
And an unstable multi-vibrator for repeatedly generating a pulse signal,
Wherein the second mode switching circuit comprises:
A monostable multivibrator for generating a one-shot pulse when the discharge detection circuit detects that the discharge has occurred in the flame sensor;
And an RS flip-flop circuit which is set by a one-shot pulse generated by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and is reset by a pulse signal repeatedly generated by the unstable multivibr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의 입력 라인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제1 및 제2 저항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상기 화염 센서의 애노드 전극 사이에 제3 저항이 접속되고,
상기 제1 전압의 입력 라인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제4, 제5 및 제6 저항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6 저항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접속 라인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제7 저항이 접속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제8 저항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센서의 구동 회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resistor and a second resistor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n input line of the first voltage and a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A third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anode electrode of the flame sensor,
Fourth, fifth and sixth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line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 seventh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a connection line of the sixth resistor and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a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an eighth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emitter.
KR1020180114817A 2017-09-29 2018-09-27 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 KR1020677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0065 2017-09-29
JP2017190065A JP6889082B2 (en) 2017-09-29 2017-09-29 Flame sensor drive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85A true KR20190038385A (en) 2019-04-08
KR102067769B1 KR102067769B1 (en) 2020-01-20

Family

ID=6595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817A KR102067769B1 (en) 2017-09-29 2018-09-27 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9082B2 (en)
KR (1) KR102067769B1 (en)
CN (1) CN109600134B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038A (en) 1976-07-23 1977-09-06 Honeywell Inc. U.V. detector
JP2001141559A (en) * 1999-11-12 2001-05-25 Nohmi Bosai Ltd Flame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844A (en) * 1975-03-20 1977-08-02 Electronics Corporation Of America Flame monitoring system
US5955734A (en) * 1997-09-19 1999-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temperature two-wire photocurrent detector circuit
JP2015200575A (en) * 2014-04-08 2015-11-12 アズビル株式会社 flame detection system
US9863990B2 (en) * 2015-05-13 2018-01-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termining failure of an ultraviolet sensor
JP6508772B2 (en) * 2015-05-26 2019-05-08 アズビル株式会社 Flame det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038A (en) 1976-07-23 1977-09-06 Honeywell Inc. U.V. detector
JP2001141559A (en) * 1999-11-12 2001-05-25 Nohmi Bosai Ltd Flam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769B1 (en) 2020-01-20
CN109600134A (en) 2019-04-09
JP2019066071A (en) 2019-04-25
JP6889082B2 (en) 2021-06-18
CN109600134B (en)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5073B (en) Control circuit for suppressing surge voltage and current of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CN109342973B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input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system
KR950030486A (en) Power-on reset circuit
US20160262234A1 (en) Circuit assembly for operating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cascade of leds
EP1126610A3 (en) Semiconductor active fuse operating at high supply voltage employing current oscillation
KR20190038385A (en) Driving circuit for flame sensor
US20150091443A1 (en) Load driving apparatus with current balance function
JP2011152003A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tecting overvoltage
KR101018896B1 (en) Circui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of Smoothing Capacitor
JP3294020B2 (en) Power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system
CN209978979U (en) Measuring instrument accumulative gas amount detection circuit
KR910005463B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N113991603A (en)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lighting device
CN108736877B (en) Driving circuit
EP3310132B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for reducing flicker effect
CN112562574B (en) Switch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1147258B1 (en) A positive direct current source overload cutoff circuit
JP2024057628A (en) Inrush current prevention circuit
KR19990000538A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JP3362666B2 (en) Circuit that controls the output current of the inverter circuit
KR20110031498A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RU2390849C2 (en) Heat fire detector by abushkevich
JP666080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00280034B1 (en) Extra-voltage voltage phase fault circuit
KR100340758B1 (en) Stabl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