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87A -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87A
KR20190037487A KR1020170126899A KR20170126899A KR20190037487A KR 20190037487 A KR20190037487 A KR 20190037487A KR 1020170126899 A KR1020170126899 A KR 1020170126899A KR 20170126899 A KR20170126899 A KR 20170126899A KR 20190037487 A KR20190037487 A KR 2019003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ray
image
detectors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487A/ko
Priority to US16/650,088 priority patent/US20200229781A1/en
Priority to PCT/KR2018/010224 priority patent/WO20190662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66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08Imaging display on moni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이 개시된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입력부, 피사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조사 동작 수행에 응하여 각각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텍터,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G OF INSTALL LOCATION OF DETECTOR}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에 엑스선을 조사하여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엑스선사, 환자 또는 보안 관련자 등)이 피사체 내부의 조직, 구조 또는 피사체 내부의 물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피사체는, 예를 들어, 인체, 동식물 또는 수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이 피사체 내부의 물질의 특성, 예를 들어 밀도에 따라서 물질에 흡수되거나 또는 투과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엑스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과한 엑스선을 수신한 후, 수신한 엑스선을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엑스선 촬영 장치로는, 예를 들어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DR, Digital Radiography), 유방 촬영 장치(Mammography)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T, Computed Tomograph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의료 보건 산업, 보안 시스템 산업 또는 건설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러 위치에 배치 가능한 복수의 디텍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에서,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엑스선 촬영 시에 촬영 위치에 배치된 디텍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피사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조사 동작 수행에 응하여 각각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텍터,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 디텍터를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방향이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사용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승인 명령 및 불승인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불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대신에 상기 복수의 영상 중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결정된 디텍터를 상기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텍터는, 엑스선의 입사 여부를 감지하고 엑스선의 입사 감지에 응하여 엑스선의 검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에 동작 준비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텍터는, 상기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동작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엑스선의 검출을 준비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엑스선 소스가 피사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단계, 복수의 디텍터가 상기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조사 동작 수행에 응하여 각각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 디텍터를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방향이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사용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표시된 영상에 대한 승인 명령 및 불승인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상기 불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가 출력한 영상 대신에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된 디텍터를 상기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가 엑스선의 입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선의 입사 감지에 응하여 엑스선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에 동작 준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텍터는, 상기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동작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엑스선의 검출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에 따르면, 여러 위치에 배치 가능한 복수의 디텍터를 이용 가능한 엑스선 영상 장치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이용 가능한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어느 디텍터가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에 따르면, 추가적인 장치 없이 촬영 위치에 장착된 디텍터를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장치 설계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에 따르면, 촬영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디텍터의 동작에 따른 엑스선의 오조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반복 촬영에 기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복수의 디텍터가 각각 촬영 테이블 및 스탠드에 장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피사체가 촬영 테이블에 거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탠드 및 테이블 없이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엑스선 촬영 장치와 디텍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각각의 디텍터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각각의 디텍터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자동적으로 선택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디텍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이나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이 순차적인 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엑스선 촬영 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선(예를 들어, 엑스선)을 외부로 방출하는 엑스선 소스(70)와, 외부에서 입사되는 엑스선을 수광하고 수광된 엑스선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디텍터(100; 110, 120, 130)과, 엑스선 촬영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공하고, 아울러 사용자에게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제공하는 워크 스테이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 디텍터(100) 및 워크 스테이션(400) 중 적어도 둘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축 가능하며, 케이블은, 예를 들어,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캔(CAN)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 표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표준은, 예를 들어, 진화성 고속 패킷 접속(HPDA+)나 롱텀에볼루션(LTE) 등과 같은 3GPP 계열의 무선 통신 기술, 최적화된 에볼루션-데이터(EV-Do)와 같은 3GPP2 계열의 무선 통신 기술 또는 와이브로 에볼루션과 같은 와이맥스 계열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이 채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 및 디텍터(100)는 엑스선 촬영실 내부에 설치되고, 워크 스테이션(400)은, 차폐벽(B)을 통해 엑스선 촬영실과 격리되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엑스선 촬영 장치(1)의 조작자가 엑스선 촬영 시 발생하는 엑스선으로부터 피폭되지 않고 피사체(99)에 대한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엑스선 촬영 장치(1)의 조작자는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엑스선사 또는 보안 관련자 등과 같이 엑스선 촬영 장치(1)를 조작할 수 있거나 조작할 권한을 가진 다양한 사람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워크 스테이션(40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인가되는 관전압 및 관전류에 대응하는 엑스선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세기는 관전압에 대응하고, 엑스선의 선량은 관전류와 시간의 곱에 대응한다. 관전압 및 관전류는 별도로 마련된 전원(미도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피사체(도 3 내지 도 5의 9)로 적절하게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엑스선 조사 위치 및 엑스선 조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9)는, 예를 들어, 인체, 동식물, 수화물 또는 건축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엑스선에 의해 내부가 촬영 가능한 다양한 생물 또는 무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엑스선 촬영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소스(70)의 위치 및 엑스선 방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0), 이동 캐리지(40) 및 포스트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제2 가이드 레일(32) 및 이동 케리지(40) 각각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90; 91 내지 9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부(90)는 롤러 및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액츄에이터 등과 같이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구동부(190)는 제어부(도 6, 도 11 및 도 14의 45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구동을 개시하며, 구동부(90)에 연결된 부품에 소정의 방향의 회전력을 인가하여 엑스선 소스(7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엑스선 촬영실 내부의 일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엑스선 촬영실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서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마련된 제1 가이드 레일(31)과 제2 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가이드 레일(31)과 제2 가이드 레일(32)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31)은 검사실의 천장의 저면에 직접 설치되고, 제2 가이드 레일(32)은 제1 가이드 레일(31)의 하측에 제1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소정의 방향(d1)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 레일(31)과 제2 가이드 레일(32) 사이에는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1, 94)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91, 94)에 마련된 롤러 등의 회전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32)은 제1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캐리지(40)는 제2 가이드 레일(3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 레일(32)을 따라 소정의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캐리지(40)에는 제2 가이드 레일(32)을 따라 회전하며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2, 9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캐리지(40)는 제2 가이드 레일(32)의 이동 가능 방향(d1)과 상이한 방향(d2)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이한 방향(d2)은 제2 가이드 레일(32)의 이동 가능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프레임(50)은, 일 말단이 이동 캐리지(4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포스트 프레임(50)은 이동 캐리지(40)에 고정된 채로 단축 및/또는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엑스선 소스(70)는 상 방향 및 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엑스선 소스(70)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포스트 프레임(50)이 단축되는 경우, 엑스선 검사실의 천장 방향으로 엑스선 소스(70)가 이동하게 되고, 포스트 프레임(50)이 연장되는 경우, 엑스선 소스(70)가 엑스선 검사실의 바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포스트 프레임(50)의 타 말단에는 회전 조인트(60)가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조인트(60)는 엑스선 소스(70)를 포스트 프레임(50)에 결합시키면서, 엑스선 소스(70)의 전면이 소정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향(d4)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소정의 방향은, 포스트 프레임(50)에 의해 엑스선 소스(70)가 이동 가능한 방향(d3)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하단에 배치된 포스트(51)의 말단과 회전 조인트(60) 사이에는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조인트(60)는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된다. 회전 조인트(60)의 회전에 따라 엑스선 소스(70) 역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d4)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조인트(60)의 일 방향에는 엑스선 소스(70)가 부착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제2 가이드 레일(32) 및/또는 이동 캐리지(40)의 이동이나, 포스트 프레임(50)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서 다양한 방향(d1 내지 d3)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회전 조인트(60)의 소정 방향(d1 및 d4)으로의 회전에 따라서 패닝(panning)될 수도 있고, 틸트(tilt)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엑스선 소스(70)는 다양한 위치에서 및/또는 다양한 방향으로 엑스선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엑스선 소스(70)는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엑스선을 생성하여 방출하는 엑스선 튜브(71), 방출된 엑스선의 조사 범위 및/또는 엑스선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콜리메이터(72) 및 엑스선 조사와 관련된 각종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는 각종 회로 기판이나 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튜브(71), 콜리메이터(72) 및 기판이나 도선은 엑스선 소스(70)를 구현하기 위한 하우징 내부에 장착 및 설치된다. 엑스선 소스(70)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전달되는 케이블 등이 내장되는 커버(7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엑스선 소스(70)의 외장 하우징의 측면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80)에는, 엑스선 소스(70)의 동작과 관련된 소정의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보조 입력부(미도시, 예를 들어 버튼, 노브, 트랙볼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보조 디스플레이부(8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텍터(1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디텍터(100)는 포터블 디텍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디텍터(100)는, 테이블(10) 및 스탠드(20) 등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되, 테이블(10) 및/또는 스탠드(20) 등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디텍터(100)는, 그 전면에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이 입사되는 입사면(101)이 형성되고, 디텍터(100)의 내부에는 입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감지 패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 패널은, 디텍터(100) 내부의 입사면(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디텍터(100)의 상단 중앙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손잡이(111)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디텍터(100)의 내부에는 감지 패널(120) 등과 같이 디텍터(100)에 마련된 각종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도 5의 100a)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감지 패널은, 실시예에 따라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직접 변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간접 변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직접 변환 방식이 채용된 감지 패널의 경우, 예를 들어, 입사된 엑스선에 대응하는 전자-정공 쌍의 이동을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간접 변환 방식이 채용된 감지 패널의 경우, 엑스선을 신틸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시 광선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시 광선을 포토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감지 패널은, 실시예에 따라서, 전하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누적방식(Charge Integration Mode)을 채용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단일 엑스선 광자에 의해 임계치 이상의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계수하는 광자계수방식(Photon Counting Mode)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복수의 디텍터가 각각 촬영 테이블 및 스탠드에 장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피사체가 촬영 테이블에 거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스탠드 및 테이블 없이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테이블(10)은, 피사체(9)의 전부 또는 일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바닥면(또는 지면)에 대해 대략 수평하게 마련된 거치면(11)과, 거치면(11)의 상단, 중단 또는 하단에 디텍터(100)가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 장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장착부(15)는, 예를 들어, 바닥면과 수평한 상태 즉,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수평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미도시)이나 가이드 홈(미도시) 등을 통해 디텍터(100)가 내측에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엑스선 디텍터(110, 이하 제1 디텍터)는 바닥면과 수평하게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디텍터(110)가 장착된 테이블 장착부(15)는, 거치면(11)의 길이 방향(D8)으로 이동 가능하게 테이블(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이블(10)에 거치된 대상체의 전부 또는 대상체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촬영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9, 일례로 환자)는, 예를 들어, 테이블(10)의 거치면(11)에 거치되고, 엑스선 소스(70)는 거치면(11)의 방향(예를 들어, 지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엑스선을 조사한다. 피사체(9)를 투과한 엑스선은 테이블 장착부(15)에 삽입 및 장착된 제1 디텍터(110)에 의해 수광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스탠드(20)는, 바닥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22)와, 본체(22)의 적어도 일 면에 본체(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 홈(23)과, 일 말단은 이동 홈(23)을 따라 상하 방향(d6)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홈(23)에 삽입되어 마련되고 타 말단에는 스탠드 장착부(25)가 결합되는 지지부(24)와, 디텍터(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탠드 장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와 스탠드 장착부(25) 사이에는 회동 축 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스탠드 장착부(25)가 소정의 회전 방향(d7)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스탠드 장착부(25)는, 대략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즉, 입사면이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피사체(9)의 전부 또는 일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22)의 길이 방향(d6)으로 이동하거나 및/또는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d7)으로 틸트될 수 있다. 스탠드(20)는, 실시예에 따라, 엑스선 촬영실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엑스선 촬영실의 측벽은 본체(22)로 기능하게 된다.
스탠드 장착부(25)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미도시)이나 가이드 홈(미도시) 등을 통해 엑스선 디텍터(120, 이하 제2 디텍터)가 스탠드 장착부(25)의 내부로부터 인출되거나 및/또는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9)는 스탠드(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포스트 프레임(50) 등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엑스선 소스(70)는 피사체(9)로 엑스선을 조사한다. 스탠드(20)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된 제2 디텍터(120)는 피사체(9)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엑스선 디텍터(130, 이하 제3 디텍터)는, 테이블(10)나 스탠드(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엑스선 촬영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디텍터(130)는 테이블 장착부(15)나 스탠드 장착부(25)에 고정 장착되지 않고, 테이블(10) 및 스탠드(20)의 외부에서 조사된 엑스선의 검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피사체(9)가 엑스선 디텍터(100)를 파지하도록 하거나, 피사체(9)의 일부에 엑스선 디텍터(100)를 거치하거나, 또는 의자(미도시), 테이블(10) 또는 휠체어(미도시)의 등받이와 피사체(9) 사이에 제3 디텍터(130)를 배치시키고, 배치된 제3 디텍터(130)의 입사면(101)을 향하도록 엑스선 소스(70)의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 방향 및 각도에서 피사체(9)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사체(9)의 상태에 대응하여 맞춤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디텍터(130)를 테이블(10)나 스탠드(20)에 장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제3 디텍터(130)에는 그리드가 더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엑스선 소스(70) 및 디텍터(100) 등 엑스선 촬영 장치(1) 내의 각종 부품 및 장치들을 제어하고, 디텍터(1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각종 데이터의 연산 및 제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와 유선으로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411)와, 디텍터(100)가 감지한 엑스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 예를 들어, 엑스선 촬영 장치(1)의 구동 명령이나, 엑스선 소스(70)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에 대한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11)는, 엑스선 소스(70)가 테이블(10)에 대한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스탠드(20)에 대한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411)는, 예를 들어, 물리 버튼(예를 들어, 물리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 장치, 트랙볼, 트랙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노브, 조그 셔틀, 조작 스틱, 터치 센서 및/또는 동작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171),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SATA 단자, 또는 썬더볼트 단자 등과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용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412)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디스플레이부(321)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워크 스테이션(400)은, 스피커나 이어폰 등과 같은 사운드 출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복수의 디텍터(110, 120, 130)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텍터(110, 120, 130)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장착된 디텍터(110, 120, 130)를 판단하는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디텍터(이하 제1 디텍터 및 제2 디텍터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오직 두 개의 디텍터(110, 120)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셋 이상의 디텍터(110, 120, 130 등)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6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7은 엑스선 촬영 장치와 디텍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엑스선 소스(70)와, 제1 디텍터(110)와, 제2 디텍터(120)와, 워크 스테이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 상술한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를 통해 상호 명령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방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411)를 조작하여 엑스선 소스(70)의 위치 및 조사 방향을 피사체(9) 방향으로 설정하면, 엑스선 소스(70)에서 방출된 엑스선은 피사체(9)에 입사되고, 입사된 엑스선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피사체(9) 내부의 물질의 감쇠 계수에 따라 피사체(9) 내부의 물질(예를 들어, 뼈)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가 흡수되거나 또는 피사체(9)를 투과하게 된다. 엑스선 소스(7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동작 준비 나 개시에 대한 제어 신호 및 엑스선 조사와 관련된 각종 파라미터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정의 엑스선의 방출을 준비 또는 개시할 수 있다.
제1 디텍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테이블(10)의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되거나, 스탠드(20)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되거나, 및/또는 테이블(10)이나 스탠드(20)와는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제1 디텍터(110)가 엑스선 소스(70)에서 방출된 엑스선의 방사 경로 상에 위치한다면, 제1 디텍터(110)에는 엑스선 소스(70)에서 방출된 엑스선이 입사면으로 입사되며, 제1 디텍터(110)는 입사된 엑스선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텍터(110)와 엑스선 소스(70) 사이에 피사체(9)가 위치하고 있다면, 제1 디텍터(110)에 입사되는 엑스선은 피사체(9)를 투과한 엑스선일 수 있다.
제1 디텍터(110)는 엑스선이 거의 입사되지 않은 경우에도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텍터(110)의 독출 회로(106)는 엑스선이 입사되지 않은 경우에도 수광 소자(104)로부터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미세한 크기의 신호일 수 있다)를 독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디텍터(110)에는 엑스선이 전혀 입사되지 않거나 또는 극히 소량만이 입사되기 때문에, 엑스선 촬영 장치(1)는 대체적으로 동일하면서도 밝은 화소 값(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109)의 RGB 값 및/또는 명암 값 등을 포함 가능하다)을 갖는 화소들로만 이루어진 영상(도 8의 220)을 획득하게 된다. 만약 피사체(9)가 제1 디텍터(110)와 엑스선 소스(70) 사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라면, 영상(220)은 오직 동일한 화소 값의 화소들로만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제1 디텍터(11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 제어부(114)는 제1 디텍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터 제어부(114)는, 검출 패널(130)에 의해 수행되는 엑스선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의 독출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디텍터 통신부(115)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이나, 디텍터 저장부(116)의 데이터 저장 동작 등과 같은 각각의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디텍터 제어부(114)는, 집적 회로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칩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디텍터 통신부(115)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에 접속하여 접속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400)과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디텍터(110)의 디텍터 통신부(115)는, 케이블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 허브(510)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허브(510)는 케이블 등을 통해 워크 스테이션(410)의 통신부(46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디텍터 통신부(115)와 워크 스테이션(410)의 통신부(460)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유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허브(510)를 이용하여 상술한 통신 네트워크(500)를 구축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나, 통신 네트워크(5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디텍터 통신부(115)와 워크 스테이션(410)의 통신부(460)는, 무선 공유기 등을 이용하여 구축된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텍터 통신부(115)는 독출한 전기적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워크 스테이션(400)이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엑스선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어느 하나의 디텍터(110 또는 120)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텍터 통신부(115)는,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제1 디텍터(11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서 워크 스테이션(400)에 제1 디텍터(110)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워크스테이션(4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디텍터 통신부(115)는,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엑스선의 수신 및 전기적 신호의 독출에 대한 준비 명령(이하 동작 준비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텍터 제어부(114)는 수신된 동작 준비 명령에 응하여 엑스선의 검출 동작을 준비한다. 또한, 디텍터 통신부(115)는,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 및/또는 엑스선 검출 동작 준비 완료에 응하여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대응하는 신호(이하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디텍터 통신부(115)는, 실시예에 따라서,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개시에 관한 정보(즉, 엑스선 촬영 개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텍터 저장부(116)는, 제1 디텍터(1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텍터 저장부(116)는 제1 디텍터(110)에 할당된 식별 정보 또는 갱신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로콜 주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디텍터 저장부(116)는, 예를 들어,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억장치는 롬(ROM) 및/또는 램(RAM)과 같은 반도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롬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롬, 이프롬(EPROM), 이이프롬(EEPROM) 및/또는 마스크롬(MASK-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램은 예를 들어, 디램(DRAM) 및/또는 에스램(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Secure Digital)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 자기 드럼, 컴팩트 디스크(CD), 디브이디(DVD) 또는 레이저 디스크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자기 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디텍터(120)는, 제1 디텍터(1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된다.
제2 디텍터(12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및 디텍터 저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디텍터(120)의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및 디텍터 저장부(126)는, 각각 제1 디텍터(110)의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터 통신부(125)는, 독출한 전기적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전송하거나,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제2 디텍터(120)에 대한 동작 준비 명령을 수신하거나,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 및/또는 엑스선 검출 동작 준비 완료에 응하여 워크 스테이션(400)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개시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디텍터 통신부(125)는, 상술한 네트워크 허브(510)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400)의 통신부(46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디텍터(110)의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에 대해선 기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와 동일한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및 디텍터 저장부(126)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및 디텍터 저장부(126)는, 제1 디텍터(110)의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를 일부 변형하여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워크 스테이션(4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제어부(450), 통신부(4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및/또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예를 들어, 입력부(411) 및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1) 및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선 이미 상세히 언급한 바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450)는, 엑스선 촬영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과 관련하여 필요한 연산 처리 및/또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엑스선 소스(70)를 제어하여 소정 세기의 엑스선이 소정의 선량으로 피사체(9)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저장부(47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미리 정의된 연산, 판단, 처리 및/또는 제어 동작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47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작성되어 저장부(47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엑스선 촬영 장치(1)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획득 또는 갱신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450)는, 엑스선 소스(70)의 동작에 관련된 제어 신호 및/또는 엑스선 조사와 관련된 각종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엑스선 소스(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에 대한 동작 준비 명령을 생성하고,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로부터 동작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전달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이들(110, 120)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지 및/또는 이들(110, 120)이 엑스선을 수신할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엑스선 소스(70)의 동작 및 제1 디텍터(110)와 제2 디텍터(120)의 동작이 서로 동기화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신호의 전송은, 입력부(411)를 통한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디스플레이부(412)가 획득된 엑스선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의 검출 패널(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사람이 시청할 수 있는 형태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5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영상은 디스플레이부(412)가 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필요에 따라서, 생성된 엑스선 영상에 대한 각종 영상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생성된 엑스선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에 샤프니스(sharpness) 효과를 부가시킬 수도 있고,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에 블러(blur) 효과를 부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생성된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기초로 입체 영상을 생성하거나,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생성된 엑스선 영상에 색상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45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영상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제1 디텍터(110)의 동작에 따라 획득된 영상(이하 제1 영상) 및 제2 디텍터(120)의 동작에 따라 획득된 영상(이하 제2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래 의도한 방향에 위치하는 디텍터(110, 120)가 무엇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50)는 엑스선 소스(70)의 엑스선 조사 동작에 따라서,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어느 하나의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45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어느 하나의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후술한다.
제어부(45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om, Micro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ling Unit) 및/또는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50)는,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워크 스테이션(400)의 본체에 내장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및/또는 엑스선 소스(10) 또는 엑스선 소스(10)에 장착된 보조 사용자 인터페이스(80)에 마련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46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에 접속하여, 워크 스테이션(400)이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의 디텍터 통신부(115) 및/또는 제2 디텍터(120)의 디텍터 통신부(125)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60)는 제어부(450)에서 생성된 각종 제어 신호(예를 들어, 동작 준비 명령, 엑스선 촬영 개시 명령 또는 이에 관한 정보 등)을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및/또는 제2 디텍터(120)로 전송하거나, 제1 디텍터(110) 및/또는 제2 디텍터(12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엑스선 촬영 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제어부(450)에서 획득된 영상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470)는, 각각의 디텍터(110, 120)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예를 들어, 각각의 디텍터(110, 120)에 할당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저장할 수도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필요에 따라서, 저장부(470) 또는 디텍터 저장부(116)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텍터(110, 120)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워크 스테이션(400)은 각각의 디텍터(110, 120)가 무엇인지는 식별 가능하다. 그러나, 식별 정보만으로는 각각의 디텍터(110, 120)가 현재 어느 위치에서 이용되고 있는지, 예를 들어, 테이블(10)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는지, 스탠드(20)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는지 및/또는 독립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래 의도하던 바와 다른 위치에 디텍터(110, 120)가 장착된 경우(예를 들어, 통상 스탠드(20)에 장착되던 디텍터(110, 120)가 테이블(10)에 장착된 경우 등)에는, 엑스선을 검출할 디텍터(110, 120)의 결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저장부(470)는, 예를 들어, 각각의 디텍터(110, 120)에 대한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70)는 각각의 디텍터(110, 120)가 기존에 장착되었던 위치에 대한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70)는 디텍터(110, 120)의 장착 위치에 대한 통계적 정보, 디텍터(110, 120)의 직전 장착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이외 디텍터(110, 120)의 사용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저장부(470)는, 제1 디텍터(110)는 주로 또는 바로 직전 시점에 테이블(10)의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되고, 제2 디텍터(120)는 주로 또는 바로 직전 시점에 스탠드(20)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제어부(450)의 동작에 따른 각각의 디텍터(110, 120)에 대한 위치 인식 결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470)는, 실시예에 따라서,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및 반도체 저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저장 장치는, 이외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저장부(470)가 워크 스테이션(400)의 본체(310) 내부에 마련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저장부(47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470)는 엑스선 촬영 장치(1)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70)는 방사선 촬영실 내부에 설치된 장치(들)에 내장된 보드에 장착된 메모리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저장부(470)는, 엑스선 소스(70)의 이송을 위해 마련된 이동 캐리지(40), 엑스선 소스(70)에 장착된 보조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80), 테이블(10) 및 스탠드(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장착된 보드에 설치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선 촬영실 내부에 설치된 장치(들)에 마련된 경우, 저장부(470)는, 예를 들어, 각각의 디텍터(110, 120)에 대한 히스토리 및/또는 각각의 디텍터(110, 120)에 대한 위치 인식 결과만을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이외의 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워크 스테이션(400)의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워크 스테이션(400)과 별도로 마련된 저장 장치는, 워크 스테이션(400)와 케이블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제어부(450)가,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어느 하나의 디텍터(110, 120)를 결정하는 결정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각각의 디텍터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각각의 디텍터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1 디텍터(110)는 테이블(10)의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되고, 제2 디텍터(120)는 스탠드(20)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허브(510)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400)과 연결된다.
피사체(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의 거치면(11)에 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방사선 촬영 기사 등)는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부(411)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테이블(10)에 피사체(9)가 위치한다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입력된 촬영 위치, 즉 테이블(10)에 대한 엑스선 촬영을 준비 및 개시한다.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엑스선 소스(70)는 상술한 가이드레일(32), 이동 캐리지(40) 및 포스트 프레임(5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및/또는 연장에 의해 테이블(10)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 조인트(60)의 동작에 따라 그 조사 방향이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된 제1 디텍터(110)를 향하도록 제어된다.
이전에, 이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워크 스테이션(400)은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에 동작 준비 명령을 전송하고,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은,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에 응하여, 엑스선 검출 동작을 준비한다. 순차적으로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은 동작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전송한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에 따라서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가 각각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한다.
순차적으로, 워크 스테이션(400)는 엑스선 소스(70)에 엑스선 조사 명령을 전달하고, 엑스선 소스(70)는 이에 응하여 엑스선을 방출하게 된다. 이 경우, 워크 스테이션(400)은, 필요에 따라서, 엑스선 촬영이 개시되었음을 알리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지시를 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 개시 정보(또는 명령)을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에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엑스선 소스(70)로부터 엑스선이 조사되면,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수광 소자(104)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독출하고 독출된 신호, 즉 제1 영상(210)에 관한 전기적 신호 및 제2 영상(220)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엑스선 소스(70)의 위치 및 조사 방향에 기인하여,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된 제1 디텍터(110)는 엑스선을 수광하는 반면에,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된 제2 디텍터(120)는 엑스선을 전혀 또는 거의 수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디텍터(110)에 의해 독출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영상(210)에는,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이 투과된 피사체(9)가 나타나게 되는 반면에, 제2 디텍터(120)에는 엑스선이 전혀 또는 거의 입사되지 않았으므로,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텍터(120)에 의해 독출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영상(220)에는 피사체(9)가 전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제어부(45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412)가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의 일 구역(441)에 복수의 디텍터(110, 120)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210, 220)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12)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디텍터(110, 120)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210, 220)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만약 셋 이상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영상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라면, 제어부(450)는 일 구역(441)에 각각의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230, 240)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12)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411)을 조작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의 일 구역(441)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210 내지 240) 중에서, 가장 적절한 영상(즉,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디텍터에서 검출된 영상을 의미하며, 이는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판단되는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의 영상(210 내지 240) 중에서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9a)가 표시되는 제1 영상(210)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하여, 제1 영상(210)에 대응하는 디텍터, 즉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된 제1 디텍터(110)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디텍터라고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의 편의성을 위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의 다른 일 구역(442)에는 아이콘 등과 같은 가이드 화상(443)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어부(450)는, 선택된 영상, 일례로 제1 영상(210)에 대응하는 디텍터, 일례로 제1 디텍터(110)를, 촬영 위치, 일례로 테이블(10)에 대응하는 디텍터로 결정 및 인식한다. 결정 및 인식 결과는 저장부(470)에 저장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 종료 이후 테이블(10)을 촬영 위치로 하는 다른 촬영이 더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450)는 인식된 디텍터, 일례로 제1 디텍터(110)만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디텍터(110)에 의해 획득된 제1 영상(210)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다른 디텍터(120)에 의해 획득된 제2 영상(220)보다 선행하여 디스플레이부(412)가 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선택된 제1 영상(210)만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디텍터(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220)은 디스플레이부(412)에 표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450)는 다른 디텍터(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220)을 저장부(470), 예를 들어 주 기억 장치에서 소거할 수 있다.
도 11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12는 자동적으로 선택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엑스선 소스(70)와, 제1 디텍터(110)와, 제2 디텍터(120)와, 워크 스테이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상호 명령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디텍터(110)는,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를 포함하고, 제2 디텍터(120)는,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및 디텍터 저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411) 및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와, 제어부(450)와, 통신부(460)와, 저장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 설명된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제2 디텍터(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와, 통신부(460)와, 저장부(470)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동작은 이하 생략한다.
제어부(4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분석부(451) 및 디텍터 결정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451) 및 디텍터 결정부(452)는 상호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영상 분석부(451)는, 복수의 영상(210, 220)을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또는 120)에 대응하는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451)는, 실제로 피사체(9)가 존재하는 영상, 즉 피사체(9)를 투과한 엑스선을 수광한 디텍터(110 또는 120)로부터 획득된 영상(210 또는 22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451)는, 제1 디텍터(110)로부터 제1 영상(210)이 수신되고, 제2 디텍터(120)으로부터 제2 영상(220)이 수신되면,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을 각각 분석하거나 또는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을 상호 비교하여,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 중에서 피사체(9)가 존재하는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분석부(451)는, 제1 영상(210)에 포함되는 각 화소의 화소 값, 예를 들어 RGB 값이나 명암 값을 획득하고, 각 화소의 화소 값이 미리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나, 및/또는 각 화소의 화소 값이 서로 상당히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영상(210) 내에 피사체(9)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210) 내의 상당히 넓은 구역은 밝고, 이외의 부분은 어둡다면, 영상 분석부(451)는 밝은 부분에는 뼈와 같은 피사체(9)의 내부 구조가 나타나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영상(210)은 피사체(9)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영상 분석부(451)는, 예를 들어, 제1 영상(210) 내의 상당히 넓은 구역의 RGB 값은 대략 (FFFFFF)이거나 또는 이에 근사하고, 이외 다른 구역의 RGB 값은 대략 (000000)이거나 또는 이에 근사하다면, 대략 (FFFFFF)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피사체(9)의 내부 구조가 나타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451)는, 제2 영상(220)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2 영상(220)이 피사체(9)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분석부(451)는,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 중에서 피사체(9)가 나타난 영상(210 또는 220)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분석부(451)는, 제1 영상(210) 및 제2 영상(220)을 상호 직접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이 더 많은 영상(210 또는 220)을 피사체(9)가 나타난 영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분석 결과에 응하여, 제어부(450)는 디스플레이부(412)를 제어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2)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의 일 구역(441)에 영상 분석부(451)의 분석 결과에 따른 소정의 영상, 예를 들어 제1 영상(210)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구역(441)에는 피사체(9a)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는 영상(21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표시된 제1 영상(210)이 적절한 영상인지 여부에 대한 승인(확인 또는 응답)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50)는, 디스플레이부(412)가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451a)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승인 명령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 화상(453)을 더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시지(451a)는 표시된 영상(210)이 적절한 영상인지를 승인하는 질의나 또는 표시된 영상(210) 이외의 다른 영상(220)을 볼지 여부를 승인하기 위한 질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451a)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50)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실시에에 따라서 팝업 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가이드 화상(453)은,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50)의 일 구역(452)에 표시될 수 있으며, 승인과 관련된 화상(453a)과, 거절에 관련된 화상(453b)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화상(453a, 453b)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표시된 영상(210)이 적절한 영상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워크 스테이션(400)에 입력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표시된 제1 영상(210)이 적절한 영상이라는 승인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450)는 이에 응하여 제1 영상(210)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반대로 만약 사용자가 표시된 제1 영상(210)이 적절한 영상이 아니라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450)는 이에 응하여 디스플레이부(412)가 제1 영상(210)과 상이한 다른 영상, 일례로 제2 영상(220)을, 제1 영상(210)과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된 방법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2 영상(220)이 표시된 이후, 제어부(45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412)가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451a)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승인 명령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 화상(453)을 더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에 따라서 제2 영상(220)이 적절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표시된 제1 영상(210) 또는 제2 영상(220)이 적절한 영상이라는 승인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450)의 디텍터 결정부(452)는, 제1 영상(210)에 대응하는 디텍터, 즉 제1 디텍터(110) 또는 제2 영상(220)에 대응하는 디텍터, 즉 제2 디텍터(120)를 원하는 촬영 위치, 즉 테이블(10)에 장착된 디텍터로 결정 및 인식하고, 결정 및 인식 결과를 저장부(4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110, 120)의 결정이 가능해진다.
이외 기 설명된 바와 중복되는 제어부(450)의 다른 동작이나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엑스선 소스(70)와, 제1 디텍터(110)와, 제2 디텍터(120)와, 워크 스테이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상호 명령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디텍터(110)는,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향 센서(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텍터(120) 역시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디텍터 저장부(126) 및 방향 센서(127)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411) 및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와, 제어부(450)와, 통신부(460)와, 저장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센서(117, 127)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가 향하는 방향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가 향하는 방향은, 엑스선 촬영 시에 통상 엑스선이 입사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입사면(101)의 법선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센서(117, 127)는 엑스선 디텍터(100)의 후면이나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고, 엑스선 디텍터(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엑스선의 검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방향 센서(117, 127)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방향 센서(117, 127)는, 예를 들어,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및/또는 기울기 센서(Til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방향 센서(117, 127)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디텍터(100)의 입사면(101)이 향하는 방향의 측정 또는 감지가 가능한 다른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기 센서는, 자계 또는 자기장의 유무, 방향, 세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자기 센서는, 선형 자기 센서(Linear Magnetic Sensor)와 비선형 자기 센서(Nonlinear Magnetic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자기 센서는 예를 들어, 홀센서(Hall Sensor)와 같이 자계의 세기에 대응된 값을 선형적으로 출력하는 자기 센서를 의미한다. 비선형 자기 센서는, 예를 들어, 홀IC(Hall Integrater Circuit)와 같이 자계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 되는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를 의미한다.
자기 센서는, 엑스선 디텍터(110, 120)가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되는지,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되는지, 또는 독립적으로 이용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자계의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디텍터 통신부(115, 125), 네트워크(500) 및 워크 스테이션(400)의 통신부(460)를 통하여 제어부(450)로 전달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는, 중력 방향에 대해 물체가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중력 가속도와 평행한 정도를 측정하여 기울기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또는 움직임에 따른 회전 방향이나 회전각을 측정하여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센서(117, 127)는, 엑스선 디텍터(110, 12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 및 측정하고, 감지 및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센서(117, 127)는, 제1 디텍터(110)는 그 입사면의 법선이 바닥면과 대략 수직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것에 대응하는 신호나, 제2 디텍터(120)는 그 입사면의 법선이 대략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디텍터 통신부(115, 125), 네트워크(500) 및 워크 스테이션(400)의 통신부(460)를 통하여 제어부(450)로 전송될 수 있다.
디텍터 제어부(114, 124)는, 워크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방향 센서(117, 127)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방향 센서(117, 127)로부터 감지 및/또는 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감지 및/또는 측정 결과가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50)의 제어부(45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 결정부(453) 및 디텍터 결정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결정부(453) 및 디텍터 결정부(454)는 상호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방향 결정부(453)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이 기울어진 정도(기울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위치에 배치된 소정의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향 결정부(453)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각각의 입사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디텍터(110, 120)가 어디에 장착되었는지 또는 독립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9)가 테이블(10)의 거치면(11) 위에 위치하고, 적절히 이동된 엑스선 소스(70)가 피사체(9)로 엑스선을 조사한다면, 테이블(10)의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된 제1 디텍터(110)가 피사체(9)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장착부(15)는 대략 바닥면에 대해 수평하므로, 제1 디텍터(110) 역시 바닥면에 대해 대략 수평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디텍터(110)의 기울기가 대략 바닥면과 수평하면(예를 들어, 기울기가 대략 0이거나 0에 근사하다고 판단되면), 제1 디텍터(110)는 테이블 장착부(15)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피사체(9)가 스탠드(20)의 전면에 위치하고, 아울러 포스트 프레임(50) 등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엑스선 소스(70)가 피사체(9)로 엑스선을 조사하는 경우라면, 스탠드(20)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된 제1 디텍터(110)가 피사체(9)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 장착부(25)는 대략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므로, 제1 디텍터(110) 역시 바닥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디텍터(110)의 기울기가 대략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것으로 판단되면(즉, 기울기가 대략 90도 또는 이에 근사한 값으로 판단되면), 제1 디텍터(110)는 스탠드(20)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텍터(110)가 테이블 장착부(15)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되지 않고 이용되는 경우, 디텍터, 일례로 제2 디텍터(120)는, 바닥면의 법선과 소정의 각(θ)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θ)은 0도 또는 90도와 근사하지 않은 다른 각도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0도 또는 90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디텍터(120)의 기울기가 대략 0도 또는 90도와는 상당히 상이한 다른 각도를 갖는 경우라면, 제2 디텍터(120)가 분리되어 이용되는 경우라고 판단될 수도 있다.
방향 결정부(4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텍터(110, 120)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디텍터(110, 120)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각각의 디텍터(110, 120)의 기울기를 기반으로 각각의 디텍터(110, 120)가 테이블 장착부(15)나 스탠드 장착부(25)에 장착되었는지 또는 독립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엑스선 촬영의 개시 시점에 입력부(411)를 조작하여 촬영 위치에 관한 명령을 워크 스테이션(400)에 입력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이를 기반으로 엑스선 소스(70)의 조사 위치 및/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디텍터 결정부(454)는 이와 같이 입력된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엑스선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디텍터(110 또는 120) 또는 디텍터(110 또는 120)에 대응하는 영상(210 또는 220)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텍터(110, 120) 각각에 대한 기울기가 결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디텍터(110, 120) 각각의 위치가 결정되면, 디텍터 결정부(454)는 이를 촬영 위치와 비교하고,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그 위치가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110 또는 120)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텍터(110 또는 120)를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로 결정할 수 있다.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또는 120)가 결정되면,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표시하되, 일 구역(441)에 추정된 디텍터(110 또는 120)에 대응하는 영상(210 또는 220)을 표시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의 일 구역(441)에는, 디텍터(110 또는 120)의 기울기를 기반으로 피사체(9a)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는 영상(210 또는 220)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412)는,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451a)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승인 명령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 화상(453)을 더 표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450)는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12)가 표시되는 영상(210 또는 220)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2)가 다른 영상을 표시한 이후에도 제어부(450)는 사용자의 승인 여부를 입력부(411)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도, 제어부(450)는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에 대한 동작 준비 명령을 생성하고,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로부터 전달되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를 기반으로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이들(110, 120)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지 및/또는 이들(110, 120)이 엑스선을 수신할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상 디텍터(110, 120)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120)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제어부(450)는 필요에 따라 디텍터(110, 120)의 기울기 이외의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저장부(470)에 저장된 디텍터(110, 120)에 대한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특정한 디텍터(110, 120)가 주로 장착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특정 디텍터(110, 120)가 직전의 촬영 과정에서 장착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120)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외 기 설명된 바와 중복되는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제2 디텍터(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와, 통신부(460)와, 제어부(450)와, 저장부(470) 의 다른 동작이나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15는 디텍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1)는, 엑스선 소스(70)와, 제1 디텍터(110)와, 제2 디텍터(120)와, 워크 스테이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 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상호 명령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디텍터(110) 및 제2 디텍터(120)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디텍터(110)는, 디텍터 제어부(114), 디텍터 통신부(115) 및 디텍터 저장부(116)를 포함하며, 또한 디텍터 감지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텍터(120)도 동일하게 디텍터 제어부(124), 디텍터 통신부(125), 디텍터 저장부(126) 및 디텍터 감지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411) 및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와, 제어부(450)와, 통신부(460)와, 저장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텍터 감지부(118, 128)는 엑스선의 노출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디텍터(110, 120)가 엑스선 수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디텍터 감지부(118, 128)는, 엑스선의 선량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디텍터 제어부(114)로 전달하고, 디텍터 제어부(114)는, 엑스선 선량의 감지 결과와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엑스선의 선량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자동으로 디텍터(110, 120)이 엑스선의 수광, 독출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텍터(110, 120)는 자동 노출 검출(AED, Auto Exposure dete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디텍터 감지부(118)는, 예를 들어, 수광 소자(104) 또는 반산란그리드(미도시)와 입사면(10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디텍터 감지부(118)는 복수의 엑스선 감지부, 일례로 제1 엑스선 감지부 내지 제3 디텍터 감지부(118a 내지 118c)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디텍터 감지부(118a 내지 118c)는 독립적으로 엑스선의 선량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각각의 디텍터 감지부(118a 내지 118c)는 입사면(101)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면(101)의 상단에는 두 개의 디텍터 감지부(118a, 118b)가 설치되고, 두 개의 디텍터 감지부(118a, 207b)의 하단에는 하나의 디텍터 감지부(118c)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사면(101)에는 이들 감지부(118a 내지 118c)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마커(118a1, 118b1, 118c1)가 더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텍터 감지부(118, 128)가 마련된 경우, 디텍터(110, 120)로 동작 준비 명령 등의 전송 없이도 디텍터(110, 12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적절하게 수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엑스선 소스(70)의 동작 및 각각의 디텍터(110, 120)의 동작의 동기화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디텍터(110, 120)와 엑스선 소스(70) 간의 통신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디텍터(110, 120)는 적절한 시점에 엑스선의 수광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각의 디텍터(110, 120)의 디텍터 감지부(118, 128)는, 엑스선 소스(70)에서 방사된 엑스선이 직접 입사되지 않은 경우에도 산란이나 반사 등의 원인으로 방사된 엑스선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상황에 따라서 디텍터 감지부(118, 128)에는, 감지에 필요한 임계치 이상의 엑스선이 입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엑스선 검사실 내의 복수의 디텍터(110, 120) 중에서 일부의 디텍터는 엑스선이 피사체를 투과하여 입사되지 않음에도 일부 엑스선의 검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디텍터 감지부(118, 128)가 마련된 디텍터(110, 12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영상(210, 220)을 워크 스테이션(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노출 검출 동작을 수행한 디텍터(110 또는 120)뿐만 아니라, 자동 노출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디텍터도, 영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워크 스테이션(400)은 수신된 각각의 영상(210, 220)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영상(210 또는 220)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수신된 영상(210, 220)을 각각 분석하여 피사체(9)가 존재하는 영상(210 또는 220)을 결정하거나, 및/또는 디텍터(110, 120)의 기울기를 기반으로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110 또는 120)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텍터(110 또는 120)에 대응하는 영상(210 또는 220)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크 스테이션(400)는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110 또는 120)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영상(210 또는 220)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순차적으로 워크 스테이션(400)의 표시부(412)는 결정된 영상(210 또는 220)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 받아, 결정된 영상(210 또는 220)의 표시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승인에 응하여 추정된 영상(210 또는 220)에 대응하는 디텍터(110 또는 120)를 현재 이용되고 있는 디텍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외 기 설명된 바와 중복되는 엑스선 소스(70), 제1 디텍터(110), 제2 디텍터(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0)와, 통신부(460)와, 제어부(450)와, 저장부(470) 의 다른 동작이나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엑스선 검출 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디텍터(모든 디텍터일 수도 있다)가 워크 스테이션의 제어 또는 엑스선의 감지에 따라서 엑스선의 검출을 준비한다(1000).
순차적으로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의 방출을 개시하고, 방출된 엑스선은 복수의 디텍터 중 어느 하나의 디텍터에 입사된다(1002).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디텍터에 입사되는 엑스선은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텍터 각각은 전기적 신호의 독출을 수행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디텍터는 입사된 엑스선에 대응하는 신호를 독출하나, 다른 디텍터는 엑스선이 입사되지 않았으므로 엑스선과 무관하거나 거의 관련되지 않은 신호를 독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1004).
워크 스테이션은 워크 스테이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영상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1006).
순차적으로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된 모든 영상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상 중에서 엑스선의 입사에 대응하여 획득된 영상(즉, 피사체가 나타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면(1008의 예), 선택된 영상이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 또는 판단되는 디텍터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 판단되고, 워크 스테이션의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만을 표시하고 다른 영상들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1010). 또한, 워크 스테이션은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디텍터(즉,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 또는 판단된 디텍터)를 엑스선이 조사되는 위치에 장착된 디텍터로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인식 결과는, 추후의 엑스선 조사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7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 장치의 워크 스테이션에 마련된 입력부를 조작하여 촬영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1020). 이 경우, 촬영 위치는, 예를 들어, 스탠드일 수도 있고, 또한 테이블일 수도 있다. 또한, 촬영 위치는 스탠드 및 테이블 이외의 다른 위치일 수도 있다.
촬영 위치가 입력되면, 엑스선 촬영 장치의 엑스선 소스는 입력된 촬영 위치에 따라서 조사 위치 및/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되고, 이와 더불어 워크 스테이션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장치의 복수의 디텍터(모든 디텍터일 수도 있다)에 촬영 준비 신호가 전송된다(1022).
복수의 디텍터는 촬영 준비 신호를 수신하고, 촬영 준비 신호에 응하여 엑스선을 검출할 준비 상태에 진입한다(1024). 이와 더불어 복수의 디텍터는 촬영 준비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워크 스테이션은 복수의 디텍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모든 디텍터가 엑스선을 수광 및 검출할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판단에 응하여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 이후에 엑스선 소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엑스선 소스는 엑스선 조사를 개시한다(1026). 이 경우, 워크 스테이션은, 미리 정의된 조건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디텍터 중 일부의 디텍터로부터 응답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도 엑스선 소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복수의 디텍터는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 조사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응하여, 각각 전기적 신호의 독출 동작을 수행한다(1028). 이에 따라 복수의 영상의 획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복수의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은 조사된 엑스선의 수광에 대응하여 획득된 영상일 수 있으나, 다른 영상은 엑스선의 수광 없이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은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디텍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고, 복수의 디텍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을 각각 분석하거나 또는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영상 중에서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검출하여 획득한다(1030). 예를 들어, 워크 스테이션은 각각의 영상의 화소의 화소 값(예를 들어, RGB 값)을 이용하여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복수의 영상 중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은,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게 된다.
순차적으로 워크 스테이션은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1032).
사용자는 획득된 영상의 표시에 응하여 획득된 영상이 의도한 영상(즉, 피사체의 내부 구조에 대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34).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인 경우라면(1034의 예), 사용자는 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워크 스테이션은 획득한 영상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촬영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된 디텍터로 결정한다(1036). 아울러,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영상을 계속해서 표시한다.
반대로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이 아닌 경우라면(1034의 아니오), 사용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워크 스테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존에 표시된 영상이 아닌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한다(1038). 사용자는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확인하고,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인 경우라면(1034의 예) 사용자는 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다. 이에 응하여 워크 스테이션은 다른 디텍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촬영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된 디텍터로 결정한다(1036). 만약 사용자가 불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 워크 스테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또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1038).
도 18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엑스선 촬영 장치에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1040).
촬영 위치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여 엑스선 촬영 장치의 엑스선 소스는 조사 위치 및/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되고, 워크 스테이션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장치의 복수의 디텍터(모든 디텍터일 수도 있다)에 촬영 준비 신호가 전송된다(1042).
복수의 디텍터는 촬영 준비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하여 촬영 준비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및/또는 엑스선을 검출할 준비를 한다(1044).
워크 스테이션이 복수의 디텍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 엑스선 소스는 엑스선을 방출한다(1046).
복수의 디텍터는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 조사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응하여, 각각 전기적 신호의 독출 동작을 수행하고, 독출된 전기적 신호를 워크 스테이션에 전송하여 워크 스테이션이 복수의 디텍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1048).
한편, 상술한 단계 1040 내지 1050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디텍터는, 각각의 디텍터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워크 스테이션으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은,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텍터의 장착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디텍터의 기울기가 0도인 경우에는, 워크 스테이션은 어느 하나의 디텍터는 테이블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디텍터의 기울기가 90도인 경우에는, 워크 스테이션은 어느 하나의 디텍터가 스탠드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은, 기 입력된 촬영 위치와 기울기를 기반으로 판단된 디텍터의 장착 위치를 비교하고, 기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엑스선이 수광된 디텍터로 판단한다. 순차적으로 워크 스테이션은 기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한다(1050). 다시 말해서,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사용자는 획득된 영상의 표시에 응하여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이 의도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52).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의도한 영상인 경우라면(1052의 예), 사용자는 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워크 스테이션은 승인 명령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한 디텍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촬영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된 디텍터로 결정한다(1054).
반대로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이 아닌 경우라면(1052의 아니오), 사용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워크 스테이션은 불승인 명령의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한 디텍터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아닌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1056).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1052), 이에 따라 워크 스테이션의 디스플레이부는 기 표시되던 영상을 유지하거나(1054) 또는 또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1056).
도 19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 장치의 워크 스테이션에 마련된 입력부를 조작하여 촬영 위치를 입력하고(1060), 촬영 위치에 대응하여 엑스선 소스는 적절한 조사 위치로 이동하거나, 및/또는 조사 방향을 적절하게 변경하고, 아울러 워크 스테이션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장치의 복수의 디텍터(모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에 촬영 준비 신호가 전송된다(1062).
복수의 디텍터는, 촬영 준비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자동 노출 검출 동작을 활성화시킨다(1064). 즉, 복수의 디텍터 각각에 마련된 디텍터 감지부가 활성화되고, 엑스선의 수광을 자동적으로 감지한다.
엑스선 소스는, 엑스선의 조사를 개시하고(1066), 복수의 디텍터는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 조사 동작을 개시하면, 이에 응하여, 각각 전기적 신호의 독출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워크 스테이션은,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1068).
워크 스테이션은, 복수의 디텍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을 각각 분석하거나 또는 상호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영상 중에서 피사체가 나타나는 영상을 검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1070).
피사체가 나타나는 영상이 획득되면, 이에 응하여 워크 스테이션은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1072).
사용자는 획득된 영상의 표시에 응하여 획득된 영상이 적절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74).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인 경우라면(1074의 예), 사용자는 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워크 스테이션은 승인 명령에 응하여 획득한 영상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촬영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된 디텍터로 결정하도록 한다(1076). 선택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에 계속 표시된다.
반대로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이 아닌 경우라면(1074의 아니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워크 스테이션의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1078).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1074), 승인 명령 또는 불승인 명령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계속해서 표시할 수도 있고(1076) 또는 또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1078).
도 20은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촬영 위치를 입력하고(1080), 엑스선 소스의 조사 위치 및/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되고, 아울러 복수의 디텍터에 촬영 준비 신호가 전송된다(1082).
촬영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디텍터는, 촬영 준비 신호의 수신에 응하여 자동 노출 검출 동작을 활성화시킨다(1084).
엑스선의 조사가 개시된 이후(1086), 복수의 디텍터는 각각 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워크 스테이션으로 전달한다(1088).
상술한 단계 1080 내지 1088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디텍터 각각은 각각의 디텍터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워크 스테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복수의 디텍터의 장착 위치를 판단하고,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의 영상을 우선적으로 표시한다(1090).
사용자는 획득된 영상의 표시에 응하여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이 의도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92).
사용자는,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의도한 영상인 경우라면(1092의 예), 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반대로 만약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이 아닌 경우라면(1052의 아니오), 사용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은 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아울러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한 디텍터를 사용자가 입력한 촬영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된 디텍터로 결정할 수 있다(1094).
또한, 워크 스테이션은, 불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입력된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한 디텍터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아닌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1096).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승인 또는 불승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1092), 이에 따라 워크 스테이션은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의 표시를 유지하거나(1094) 또는 또 다른 디텍터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1096).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컴퓨터 장치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콤팩트 디스크나 디브이디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엑스선 촬영 장치 또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역시 상술한 장치 및 방법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또는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70: 엑스선 소스 100: 디텍터
110: 제1 디텍터 120: 제2 디텍터
130: 제3 디텍터 400: 워크 스테이션
410: 사용자 인터페이스 450: 제어부
460: 통신부 470: 저장부

Claims (20)

  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피사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조사 동작 수행에 응하여 각각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텍터;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 디텍터를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로 추정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방향이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로 추정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사용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를 추정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승인 명령 및 불승인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엑스선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불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대신에 상기 복수의 영상 중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결정된 디텍터를 상기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로 인식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는, 엑스선의 입사 여부를 감지하고 엑스선의 입사 감지에 응하여 엑스선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에 동작 준비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텍터는, 상기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동작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엑스선의 검출을 준비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1. 엑스선 소스가 피사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단계;
    복수의 디텍터가 상기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조사 동작 수행에 응하여 각각 복수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각각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 디텍터를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방향이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텍터 각각의 사용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 중에서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디텍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표시된 영상에 대한 승인 명령 및 불승인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디텍터가 출력한 영상 대신에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의 촬영 위치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승인 명령의 입력에 응하여, 상기 엑스선이 입사된 것으로 추정된 디텍터를 상기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디텍터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가 엑스선의 입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선의 입사 감지에 응하여 엑스선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텍터에 동작 준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텍터는, 상기 동작 준비 명령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동작 준비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엑스선의 검출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텍터의 위치 판단 방법.
KR1020170126899A 2017-09-29 2017-09-29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KR20190037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99A KR20190037487A (ko) 2017-09-29 2017-09-29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US16/650,088 US20200229781A1 (en) 2017-09-29 2018-09-03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stall location of detector
PCT/KR2018/010224 WO2019066277A1 (ko) 2017-09-29 2018-09-03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99A KR20190037487A (ko) 2017-09-29 2017-09-29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87A true KR20190037487A (ko) 2019-04-08

Family

ID=6590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99A KR20190037487A (ko) 2017-09-29 2017-09-29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29781A1 (ko)
KR (1) KR20190037487A (ko)
WO (1) WO20190662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221A1 (ko) * 2021-06-30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엑스레이 디텍터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0495B2 (en) * 2011-05-04 2016-04-12 Oy Ajat Ltd. Photon/energy identifying X-ray and gamma ray imaging device (“PID”) with a two dimensional array of pixels and system therefrom
KR101934836B1 (ko) * 2015-08-25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0354B1 (ko) * 2014-10-17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엑스선 영상 시스템
EP3393362B1 (en) * 2015-12-22 2020-07-08 Carestream Health, Inc.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using asymmetric pixel binning
KR20170074435A (ko) * 2015-12-22 2017-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엑스선 디텍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221A1 (ko) * 2021-06-30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엑스레이 디텍터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9781A1 (en) 2020-07-23
WO2019066277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589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3244B1 (ko)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737427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EP2865332A1 (en) Radiographic image system & console
US10285664B2 (en) X-ray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X-ray detector
KR20170115018A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
KR20160063074A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
KR20170083338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33809B2 (en) X-ray detector, mobile device and host device
US10398400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68707B2 (en) Mobile radiatio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00229786A1 (en) X-ray detector, mobile device and host device
JP5296431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101710354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엑스선 영상 시스템
US10966673B2 (en) X-ray imaging device,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system
KR20190037487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US10281599B2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29732A (ko)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00411A1 (en)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JP2015191555A (ja) 携帯型コンソール、携帯型コンソールの制御方法、携帯型コンソー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スキル分析システム
KR102272055B1 (ko)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0012060A (ja) 可搬型放射線画像検出器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20150305704A1 (en) System and apparatus of digital medical image for x-ray system
KR101602708B1 (ko)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JP2008006130A (ja) マンモ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