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08B1 -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08B1
KR101602708B1 KR1020140168776A KR20140168776A KR101602708B1 KR 101602708 B1 KR101602708 B1 KR 101602708B1 KR 1020140168776 A KR1020140168776 A KR 1020140168776A KR 20140168776 A KR20140168776 A KR 20140168776A KR 101602708 B1 KR101602708 B1 KR 10160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ray
signal
generator
disp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신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준 filed Critical 신동준
Priority to KR102014016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lurality of source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은, 엑스레이 시스템의 제너레이터로부터 방사되는 엑스레이를 받아서 엑스레이 화상을 생성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와, 레디 신호 및 샷 신호를 출력하여 제너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있고, 레디 신호 및 샷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촬영하는 컨트롤러 인식장치와, 컨트롤러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컨트롤러가 제너레이터로 출력하는 레디 신호 및 샷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인식하고,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엑스레이 검출기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컨트롤러 인식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커버하여 외부 빛을 차단하는 차폐수단과, 차폐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디스플레이 수단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Auto Exposure Sensing System of digital radiography system for x-ray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의료영상(DR: digital radiography)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서 또는 카메라 등과 같은 센싱수단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동작을 인식 처리하는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진단용 장비로서 방사선 관련 장비 분야가 급성장하였으며, 대부분의 환자에게 있어 방사선학적 검사는 이미 보편화된 진단방식이 되었다. 방사선 관련 장비로써 일반적으로 대중화된 진단장비로는 엑스레이 시스템이 있는데, 엑스레이 시스템은 해부학적 구조를 가시화하고 병리현상, 질병 또는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의 존재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시스템은 제너레이터(10) 및 컨트롤러(30)를 포함하고, 해당 엑스레이 시스템으로부터 엑스레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은 엑스레이 검출기(20), 모니터링 장치(40) 및 브리지장치(50)를 포함한다.
제너레이터(10)는 X-선, 즉 엑스레이를 방사하고, 엑스레이 검출기(20)는 제너레이터(10)로부터 방사되는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수신하여 엑스레이 화상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제너레이터(10)는 엑스레이를 생성하는 본체부(11)와 엑스레이를 방사하는 방사부(14)를 포함하고, 본체부(11)와 방사부(14)는 엑스레이가 지나가는 튜브(tube, 12)를 통해 연결된다.
컨트롤러(30)는 제너레이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신호로는 레디(ready) 신호와 샷(shot) 신호가 있다.
제너레이터(10)는 레디 신호가 입력되면 엑스레이를 방사하기 위한 준비(엑스레이 발생 등)를 시작하고, 샷 신호가 입력되면 준비된 엑스레이를 방사하는 것이다.
엑스레이 검출기(20)가 제너레이터(10)로부터 방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한 엑스레이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 상기한 제어신호는, 엑스레이 검출기(20)로도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40)가 엑스레이 검출기(20)로부터 엑스레이 화상을 통신케이블(24)를 통해 수신하기 위해서 모니터링 장치(40)로도 상기한 제어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에서는 컨트롤러(30)와 제너레이터(10)간의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연결되는 커넥터(16)에 구비된 브리지장치(50)에 의해 해당 제어신호가 엑스레이 검출기(20) 및 모니터링 장치(40)로 각각의 케이블(22, 42)을 통해 전송된다.
하지만, 엑스레이 시스템과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을 이용하는 병원 등에서는 통상적으로 컨트롤러(30)와 모니터링 장치(40)가 제너레이터(10)와 엑스레이 검출기(20)가 위치한 곳과는 분리된 곳에 위치하게 된다. 방사선 치료를 하는 병원을 예로 들자면, 통상적으로 제너레이터(10)와 엑스레이 검출기(20)는 환자가 위치한 곳에 설치되며, 컨트롤러(30)와 모니터링 장치(40)는 병원관계자가 위치한 별도의 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컨트롤러(30)가 제너레이터(10)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엑스레이 검출기(20) 및/또는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하기 위한 해당 케이블(22, 42)의 설치가 쉽지 않게 된다. 더욱이, 엑스레이 시스템과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을 생산 또는 납품하는 업체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많아, 별도의 브리지 장치 및 해당 케이블(22, 42)의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각 제조사별 엑스레이 시스템마다 서로 사용하는 제어신호 등의 종류가 상이하여 해당 엑스레이 시스템에 적합한 DR(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쉬운 일이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22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트롤러와의 케이블 연결 없이도, 컨트롤러의 외부 영상을 취득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와 엑스레이 검출기가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취득할 수 있는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신호 세기가 약하더라도,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직접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컨트롤러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인식하여 제어신호를 파악함으로써, 컨트롤러의 제조사와 상관없이 그 제어신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은, 엑스레이 시스템의 제너레이터로부터 방사되는 엑스레이를 받아서 엑스레이 화상을 생성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와, 레디 신호 및 샷 신호를 출력하여 제너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있고, 레디 신호 및 샷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작동 여부를 인식하는 컨트롤러 인식장치와, 컨트롤러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컨트롤러가 제너레이터로 출력하는 레디 신호 및 샷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인식하고,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엑스레이 검출기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컨트롤러 인식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커버하여 외부 빛을 차단하는 차폐수단과, 차폐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디스플레이 수단의 변화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의 차폐수단 외부에는, 레디 신호 및 샷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작동하는 외부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레이 시스템의 컨트롤러 인식장치는, 레디 신호 및 샷 신호를 출력하여 제너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엑스레이 시스템의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있고,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레디 신호 및 샷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커버하여 외부 빛을 차단하는 차폐수단과, 차폐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디스플레이 수단의 변화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를 이용한 컨트롤러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인식하여 제너레이터의 제어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와 엑스레이 검출기가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직접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러에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신호 세기가 약하더라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직접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컨트롤러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인식함으로써, 컨트롤러의 제조사와 상관없이 그 제어신호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엑스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엑스레이 시스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컨트롤러의 램프 부분에 컨트롤러 인식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인식장치의 정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인식장치의 후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엑스레이 시스템의 컨트롤러(22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은 엑스레이 검출기(230), 모니터링 장치(240) 및 컨트롤러 인식장치(30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인식장치(300)는, 컨트롤러(2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인 컨트롤러 램프(223, 225)를 커버하여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수단(340)과, 차폐수단(34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컨트롤러 램프(223, 225)를 촬영하여 그 작동 유무를 판단하는 센싱수단(310)과, 차폐수단(340)의 외부에 배치되어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작동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외부표시수단(320)을 포함한다.
컨트롤러(220)의 일측에는 레디 신호 및 샷 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입력 수단(222, 224)이 구비된다. 상기한 입력 수단은 일반적으로 버튼 방식 또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하며, 레디 신호의 입력을 위한 버튼은 [레디 버튼](222), 샷 신호의 입력을 위한 버튼은 [샷 버튼](224)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20)의 일측에는 레디 버튼(222) 또는 샷 버튼(224)이 조작될 경우 컨트롤러(2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 램프(223, 225)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컨트롤러(220)는 제너레이터(210)에서 방사되는 엑스레이에 대한 강도, 방사량, 방사시간 등에 대한 엑스레이 방사 정보를 제너레이터(210)로부터 취득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227, 228, 229)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40)는 컨트롤러 인식장치(300)의 센싱수단(310)과 데이터케이블(244)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모니터링 장치(240)는 센싱수단(310)과 무선에 의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니터링 장치(240)는 센싱수단(310)이 인식한 정보 즉, 디스플레이 수단인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작동 유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모니터링 장치(240)는 실시간으로 센싱수단(310)로부터 컨트롤러(2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인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표시 여부를 인식함으로써, 컨트롤러(220)로부터 레디 신호 또는 샷 신호에 대한 제어신호의 출력이 있는지 여부 및 그 신호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장치(240)는 센싱수단(31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점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컨트롤러(220)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출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며, 어떤 램프가 점등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제어신호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촬영 영상 획득을 통한 이미지 분석 또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램프가 점등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감별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램프(223, 225)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컨트롤러 램프(223, 225)가 점등된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컨트롤러 램프(223, 225)가 점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램프(223, 225)가 점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링 장치(240)는 센싱수단(31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레디 램프(223)가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엔 컨트롤러(220)가 제너레이터(210)로 레디 신호를 전송하였거나 전송중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샷 램프(225)가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엔 컨트롤러(220)가 제너레이터(210)로 샷 신호를 전송하였거나 전송중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40)는 자체 구비되거나 연결된 화면 출력 장치(예를 들어 LCD 등), 인쇄물 출력 장치(예를 들어 프린터(printer) 등)를 통해 상기한 엑스레이 방사 정보 및/또는 컨트롤러(220)의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장치(240)가 일반 컴퓨터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컴퓨터일 필요는 없으며 센싱수단(31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 모니터링 장치(240)는 분석된 제어신호 및 엑스레이 방사정보 등을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 및/또는 엑스레이 검출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40)는 상술한 컨트롤러(220)의 제어신호를 통신케이블(260)을 통해 연결된 엑스레이 검출기(230)로 제공한다. 이후, 엑스레이 검출기(230)는 제너레이터(210)로부터 방사된 엑스레이에 의한 엑스레이 화상을 생성한 경우, 생성된 엑스레이 화상을 모니터링 장치(240)로 전송한다.
엑스레이 검출기(230)가 컨트롤러(220)로부터 직접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케이블(도 1의 도면부호 22 참조)을 연결해야 하는 종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240)가 컨트롤러(220)의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엑스레이 검출기(230)로 전송함으로써 엑스레이 검출기(230)와 컨트롤러(220)간의 케이블(22)을 연결해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DR(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모니터링 장치(240)와 엑스레이 검출기(230) 간에는 엑스레이 화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케이블(260)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해당 통신케이블(260)을 이용하여 상기한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어 별도의 추가 케이블 설치가 필요 없어 적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물론, 모니터링 장치(240)는 센싱수단(310)에 의해 인식된 컨트롤러(220)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엑스레이 방사 정보를 필요에 따라 엑스레이 검출기(230)로도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에서 센싱수단(310)은 모니터링 장치(240)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한 컨트롤러(220)의 영상을 송수신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컨트롤러(220)의 컨트롤러 램프(223, 225) 부분에 컨트롤러 인식장치(30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인식장치(300)의 정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컨트롤러 인식장치(300)의 후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컨트롤러(220)는 레디 버튼(222) 및 샷 버튼(224)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컨트롤러 램프)에 해당하는 레디 램프(223) 및 샷 램프(225)를 구비한다. 레디 램프(223) 및 샷 램프(225)를 통해서 사용자는 컨트롤러(220)가 레디 상태 또는 샷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레디 램프(223) 및 샷 램프(225)에서 출력되는 빛의 세기가 약하거나 또는 외부의 원인(예를 들면, 실내의 조명등 등)에 의해서 제대로 식별될 수 없는 경우, 외부카메라(도시하지 않음)가 이를 촬영하여 레디 신호 및 샷 신호에 대한 제어신호의 출력이 있는지 여부 및 그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은, 컨트롤러 인식장치(300)의 차폐수단(340)을 이용하여 컨트롤러 램프(223, 225)를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빛을 차단하고, 차폐수단(34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센싱수단(310)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점등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은 컨트롤러 인식장치(300)의 차폐수단(340)에 의해서 외부의 빛이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밝기가 약하거나 또는 다른 외부의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센싱수단(310)에 의해서 제어신호의 출력이 있었는지 여부 및 그 신호의 종류를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컨트롤러 인식장치(300)는, 컨트롤러(220)에 구비된 컨트롤러 램프(223, 225)를 커버하여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수단(340)과, 차폐수단(34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작동 유무를 판단하는 센싱수단(310)과, 차폐수단(340)의 외부에 배치되어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작동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외부표시수단(320)을 포함한다.
차폐수단(34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은 차폐수단(340)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으며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전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차폐수단(340)은 각각의 컨트롤러 램프(223, 225)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차폐수단(340)의 내부에는 센싱수단(310)이 구비되어 있다. 센싱수단(310)은 차폐수단(340)에 의해서 외부의 빛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점등 여부를 인식하여 레디 램프(223) 또는 샷 램프(225)가 점등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센싱수단(310)이 촬영한 컨트롤러 램프(223, 225)의 작동 여부에 대한 정보는 모니터링 장치(240)로 전송되고, 모니터링 장치(240)에 의해서 제어신호의 출력이 있었는지 여부 및 그 신호의 종류가 파악된다. 센싱수단(310)은 모니터링 장치(240)와 케이블(244)에 의해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무선 연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차폐수단(340)의 외부 전면에는 외부표시수단(320)이 구비되어 있다. 외부표시수단(320, 도4에서 좌측에 위치함)은 차폐수단(340)의 내부에 위치하는 레디 램프(223)에 대응하는 것으로, 레디 램프(223)가 점등한 경우 작동하여서 외부에서 레디 램프(223)가 작동하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외부표시수단(320, 도4에서 우측에 위치함)은 차폐수단(34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샷 램프(22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샷 램프(225)가 점등한 경우 작동하여서 외부에서 레디 램프(223)가 작동하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외부표시수단(320)은 램프 이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표시수단(320)의 작동은 컨트롤러 인식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별도의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는 센싱수단(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컨트롤러 램프(223 또는 225)가 점등한 것으로 파악한 경우, 대응하는 외부표시수단(320)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표시수단(320)의 작동은 모니터링 장치(24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장치(240)는 센싱수단(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컨트롤러 램프(223 또는 225)가 점등한 것으로 파악한 경우, 대응하는 외부표시수단(320)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의 컨트롤러 인식장치(300)는 컨트롤러 램프(223, 225)에 대응하는 각각의 차폐수단(340)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컨트롤러 램프(223, 225)를 커버하는 차폐수단의 구조 및 개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인식장치는, 컨트롤러 램프(223, 225)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하나의 차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센싱수단은 두 개 이상의 컨트롤러 램프의 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인식장치는 하나의 차폐수단을 구비하고 내부에 구비된 칸막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컨트롤러 램프(223, 225)에 대응하여 그 내부가 구분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센싱수단은 구분된 내부 공간에 별개로 구비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제너레이터 220: 컨트롤러
222: 레디 버튼 224: 샷 버튼
230: 엑스레이 검출기 240: 모니터링 장치
300: 컨트롤러 인식장치 310: 센싱수단
320: 외부표시수단 340:차폐수단

Claims (3)

  1. 엑스레이 시스템의 제너레이터로부터 방사되는 엑스레이를 받아서 엑스레이 화상을 생성하는 엑스레이 검출기;
    레디 신호 및 샷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너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디 신호 및 샷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의 작동 여부를 인식하는 컨트롤러 인식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너레이터로 출력하는 상기 레디 신호 및 상기 샷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엑스레이 검출기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인식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커버하여 외부 빛을 차단하는 차폐수단과, 상기 차폐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작동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수단의 외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외부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3. 레디 신호 및 샷 신호를 출력하여 제너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엑스레이 시스템의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며 상기 레디 신호 및 상기 샷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커버하여 외부 빛을 차단하는 차폐수단과,
    상기 차폐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작동 여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는 컨트롤러 인식장치.
KR1020140168776A 2014-11-28 2014-11-28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KR10160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76A KR101602708B1 (ko) 2014-11-28 2014-11-28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76A KR101602708B1 (ko) 2014-11-28 2014-11-28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08B1 true KR101602708B1 (ko) 2016-03-11

Family

ID=5558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776A KR101602708B1 (ko) 2014-11-28 2014-11-28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152A (ko) * 2003-04-09 2004-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KR20090132750A (ko) * 2008-06-23 2009-12-31 양기철 점등시 스위치 버튼에 구조된 인폼램프에 불이 들어오는절전형 인폼 스위치 방식
KR101021917B1 (ko) * 2010-07-16 2011-03-1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엘이디 광원을 구비하는 혀 영상 촬영장치
KR20130039451A (ko) * 2011-10-12 2013-04-22 신동준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152A (ko) * 2003-04-09 2004-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KR20090132750A (ko) * 2008-06-23 2009-12-31 양기철 점등시 스위치 버튼에 구조된 인폼램프에 불이 들어오는절전형 인폼 스위치 방식
KR101021917B1 (ko) * 2010-07-16 2011-03-1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엘이디 광원을 구비하는 혀 영상 촬영장치
KR20130039451A (ko) * 2011-10-12 2013-04-22 신동준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및 장치
KR101295223B1 (ko) 2011-10-12 2013-08-14 신동준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021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476834B2 (en) Diagnosis system including correlating radiographed image data with patient information
US8338786B2 (en) Tomography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persons
CN109381209B (zh) 放射线摄影系统及其工作方法
US7092491B2 (en) Radiation image taking apparatus, radiation image taking system, and radiation image taking method
JP5544147B2 (ja) 可搬型ディジタル画像検出器配置装置
US10327729B2 (en) Radiographic imaging system
JP2005040613A (ja) 医療技術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医療技術の検査および/または治療装置の操作方法
US972051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gesture-controlled setting of setting variables on an X-ray source
JP7106718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70658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US10485504B2 (en) Radiographing system for obtaining a dose index from a generated composition image
US10966673B2 (en) X-ray imaging device,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system
KR101602708B1 (ko)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자동 노출 인식 시스템
US20230301609A1 (en) Imaging systems and methods
US20130208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mage capture for a device having a camera
WO2023183854A1 (en) Improved im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295223B1 (ko) 엑스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의료영상 시스템 및 장치
US20150305704A1 (en) System and apparatus of digital medical image for x-ray system
KR20020008810A (ko) 휴대용 디지털 방사선 진단장치
JP2010012060A (ja) 可搬型放射線画像検出器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190037487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US20210121137A1 (en) Positioning Guidance System For X-ray Exams
JP2021045359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撮影制御装置、放射線撮影方法及び放射線撮影プログラム
KR101084107B1 (ko)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 및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의 자동세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