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29A -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29A
KR20190037429A KR1020170126735A KR20170126735A KR20190037429A KR 20190037429 A KR20190037429 A KR 20190037429A KR 1020170126735 A KR1020170126735 A KR 1020170126735A KR 20170126735 A KR20170126735 A KR 20170126735A KR 20190037429 A KR20190037429 A KR 2019003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pring
cam spring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130B1 (ko
Inventor
홍종목
오창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2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4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캠스프링이 공급되는 캠스프링공급부와, 캠이 공급되는 캠공급부와, 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지그부와, 캠스프링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캠스프링을 감지하는 캠스프링감지부와, 캠스프링감지부를 통해 수신된 캠스프링의 정보를 이용하여 캠스프링을 지그부로 이동시키는 정렬로봇부와, 캠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캠과 지그부에 안착된 캠스프링을 가조립하는 조립로봇부와, 캠스프링이 장착된 캠을 추후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캠과 캠스프링이 자동화 공정에 의해 가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AUTO ASSEMBLY DEVICE OF DOOR LA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의 캠 및 캠스프링 간의 조립이 비전과 로봇을 통해 자동화가 구현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낮추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부품들이 자동화 공정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고 한다. 다수의 부품 중 자동차 도어는 차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승객의 탑승과 하차를 위해 차체 측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한편, 자동차 도어 중에서 도어 래치는 도어와 차체 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부품이며, 신호 인가에 따른 모터의 구동시 기어가 회전되면, 기어와 연동되는 캠이 회전되고, 캠 회전시 록레버가 회전되어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캠과 캠에 장착되는 캠스프링은 형상이 복잡하고 부피가 작아 자동화 공정이 이루어지지지 못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부품 불량률이 높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0288호(2011.08.10. 공개, 발명의 명칭 : 로봇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내지 필름 이송 및 타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래치의 캠 및 캠스프링 간의 조립이 비전과 로봇을 통해 자동화가 구현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낮추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캠스프링이 공급되는 캠스프링공급부; 캠이 공급되는 캠공급부; 상기 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지그부; 상기 캠스프링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캠스프링을 감지하는 캠스프링감지부; 상기 캠스프링감지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캠스프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캠스프링을 상기 지그부로 이동시키는 정렬로봇부; 상기 캠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캠과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상기 캠스프링을 가조립하는 조립로봇부; 및 상기 캠스프링이 장착된 상기 캠을 추후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스프링공급부는 상기 캠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캠스프링공급이동부; 상기 캠스프링공급이동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캠스프링을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캠스프링공급회전부; 및 상기 캠스프링공급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캠스프링공급회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캠스프링을 목적지로 안내하는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공급부는 상기 캠이 투입되는 캠공급호퍼부; 상기 캠공급호퍼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캠을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캠공급회전부; 및 상기 캠공급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캠공급회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캠을 안내하는 캠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캠스프링이 안착되는 지그판부; 및 상기 지그판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스프링을 관통하는 지그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지그판부에 부착되고, 상기 캠스프링과의 접촉 충격을 완화하는 지그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스프링감지부는 상기 캠스프링공급부의 단부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캠스프링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캠스프링이 가조립된 상기 캠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부; 상기 이송벨트부에 형성되어 상기 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가이드부; 및 상기 이송벨트부의 단부에 도달한 상기 캠을 파지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이송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캠과 캠스프링이 가조립됨으로써, 수작업에 비해 조립 불량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캠스프링감지부가 캠스프링의 위치와 형상 정보를 정렬로봇부에 전송하므로, 정렬로봇부에 의한 캠스프링의 흡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정렬로봇부가 캠스프링을 지그부에 안착시켜 줌으로써, 캠스프링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여 추후 조립로봇부에 의한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되는 캠과 캠스프링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중에서 캠과 캠스프링을 가조립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캠스프링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캠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지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캠스프링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서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중에서 가조립된 캠과 캠스프링을 조립 완료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조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조립오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서 적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되는 캠과 캠스프링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캠(3)과 캠스프링(4)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별 부품인 캠(3)과 캠스프링(4)이 가조립되면, 가조립된 캠(3)과 캠스프링(4)을 냉각 융착으로 결합한다. 가조립된 캠(3)과 캠스프링(4)이 냉각 융착되면, 방수용 오링(5)을 캠(3)에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캠(3)은 래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캠몸체부(3a)와, 캠몸체부(501)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캠축부(3b)와, 캠몸체부(3a)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웃한 부품과 걸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캠돌기부(3c)와, 캠몸체부(3a)에 형성되고 캠스프링(4)이 장착되는 캠장착부(3d)를 포함할 수 있다.
캠축부(3b)에는 방수용 오링(5)이 장착되고, 캠장착부(3d)는 캠몸체부(3a)와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판부(3f)와, 장착판부(3f)에서 돌출되는 2개의 장착돌기부(3g)를 포함할 수 있다.
캠스프링(4)은 장착판부(3f)에 안착되는 스프링몸체부(4a)와, 스프링몸체부(4a)에서 연장되고 터미널과 맞물려 락 또는 언락 접점을 확인하는 스프링돌기부(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몸체부(4a)에는 스프링홀부(4c)가 형성되어 장착돌기부(3g)가 관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중에서 캠과 캠스프링을 가조립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에서 캠(3)과 캠스프링(4)을 가조립하는 장치(1)는 캠스프링공급부(10)와, 캠공급부(20)와, 지그부(30)와, 캠스프링감지부(40)와, 정렬로봇부(50)와, 조립로봇부(60)와, 이송부(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제1베이스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캠스프링공급부(10)는 캠스프링(4)을 공급한다. 일 예로, 캠스프링공급부(10)는 제1베이스부(1-1)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복수개의 캠스프링(4)이 정렬되거나 비정렬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캠공급부(20)는 캠(3)을 공급한다. 일 예로, 캠공급부(20)는 제1베이스부(1-1)에 캠스프링공급부(10)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캠공급부(20)는 캠(3)을 정렬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지그부(30)는 캠(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지그부(30)는 제1베이스부(1-1)에 설치되고, 캠스프링공급부(10)와 캠공급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캠스프링감지부(40)는 캠스프링공급부(10)를 통해 제공되는 캠스프링(4)을 감지한다. 일 예로, 캠스프링감지부(40)는 제1베이스부(1-1)에 장착되고, 각종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하여 캠스프링(4)을 감지할 수 있다.
정렬로봇부(50)는 캠스프링감지부(40)를 통해 수신된 캠스프링(4)의 정보를 이용하여 캠스프링(4)을 지그부(30)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정렬로봇부(50)는 캠스프링감지부(4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되어 목적하는 캠스프링(4)을 흡착한 후 지그부(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지그부(30)에 안착된 캠스프링(4)은 특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정렬로봇부(50)는 캠스프링감지부(40)의 정보 외에 자체적으로 카메라와 센서를 구비하여 캠스프링(4)을 지그부(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립로봇부(60)는 캠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캠(3)과 지그부(30)에 안착된 캠스프링(4)을 가조립한다. 일 예로, 조립로봇부(60)는 캠스프링(4)을 파지한 후, 장착돌기부(3g)가 스프링홀부(4c)를 관통하도록 가조립할 수 있다. 조립로봇부(6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각종 카메라와 센서를 포함하여 캠(3)과 캠스프링(4)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조립을 실시할 수 있다.
이송부(70)는 캠스프링(4)이 장착된 캠(3)을 추후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이송부(70)에 의해 가조립된 캠(3)과 캠스프링(4)은 서로 융착되어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캠스프링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스프링공급부(10)는 캠스프링공급이동부(11)와,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와,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13)를 포함한다.
캠스프링공급이동부(11)는 캠스프핑(4)을 이동시킨다. 일 예로, 복수개의 캠스프링(4)은 캠스프링공급이동부(11)에서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이동되어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로 낙하될 수 있다.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는 캠스프링공급이동부(11)에서 낙하되는 캠스프링(4)을 일방향으로 유도한다. 일 예로,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는 원심력에 의해 캠스프링(4)을 가장자리로 유도할 수 있다.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13)는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와 연결되어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에서 배출되는 캠스프링(4)을 목적지로 안내한다. 일 예로,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13)는 캠스프링공급회전부(12)의 가장자리와 연통되고, 제1베이스부(1-1)로 캠스프링(4)을 안내할 수 있다. 그 외,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13)의 단부에서 캠스프링(4)이 노출된 상태로 일시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캠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공급부(20)는 캠공급호퍼부(21)와, 캠공급회전부(22)와, 캠공급가이드부(23)를 포함한다.
캠공급호퍼부(21)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여 캠(3)이 투입된다. 일 예로, 캠공급호퍼부(21)는 제1베이스부(1-1)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캠스프링공급이동부(11)는 제1베이스부(1-1)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캠공급회전부(22)는 캠공급호퍼부(21)에서 낙하되는 캠(3)을 일방향으로 유도한다. 일 예로, 캠공급회전부(22)는 원심력에 의해 캠(3)을 가장자리로 유도할 수 있다.
캠공급가이드부(23)는 캠공급회전부(22)와 연결되어 캠공급회전부(22)에서 배출되는 캠(3)을 안내한다. 일 예로, 캠공급가이드부(23)는 캠공급회전부(22)의 가장자리와 연통되고, 캠(3)을 안내할 수 있다. 캠공급가이드부(23)를 통해 캠(3)은 일렬로 줄지어 배출될 수 있다. 캠(3)은 캠공급가이드부(23)의 단부에서 조립을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지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부(30)는 지그판부(31)와, 지그돌기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그부(30)는 캠(3)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그판부(31)는 제1베이스부(1-1)에 장착되고, 캠스프링(4)이 안착된다. 일 예로, 지그판부(31)는 스프링몸체부(4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그돌기부(32)는 지그판부(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캠스프링(4)을 관통한다. 일 예로, 지그판부(31)가 스프링몸체부(4a)에 안착될 때, 한 쌍의 지그돌기부(32)는 스프링홀부(4c)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부(30)는 지그패드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패드부(33)는 지그판부(31)에 부착되고, 캠스프링(4)과의 접촉 충격을 완화한다. 일 예로, 지그패드부(33)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그판부(31)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지그패드부(33)가 지그판부(31)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캠스프링(4)과 지그판부(31) 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그패드부(33)가 지그판부(31)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양면접착제에 의해 지그패드부(33)가 제1베이스부(1-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지그판부(3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캠스프링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스프링감지부(40)는 캠스프링공급부(10)의 단부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캠스프링(4)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한다.
일 예로, 캠스프링감지부(40)는 캠스프링감지고정부(41)와 캠스프링감지비전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캠스프링감지고정부(41)는 제1베이스부(1-1)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13)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캠스프링감지비전부(42)는 하방에 배치되는 캠스프링(4)을 촬영하여 캠스프링(4)의 위치 정보를 정렬로봇부(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캠스프링(4)의 위치 정보에는 소형 부품인 캠스프링(4)의 뒤집힘 여부, 스프링돌기부(4b)가 배치되는 방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서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70)는 이송벨트부(71)와, 이송가이드부(72)와, 이송파지부(73)를 포함한다.
이송벨트부(71)는 캠스프링(4)이 가조립된 캠(3)을 이동시킨다. 일 예로, 조립로봇부(60)가 캠스프링(4)을 캠(3)에 가조립한 후, 캠(3)을 파지하여 이송벨트부(71)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벨트부(7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벨트가 이동되면서 캠(3)을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가이드부(72)는 이송벨트부(71)에 형성되어 캠(3)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예로, 이송가이드부(72)는 각각의 이송벨트부(71)의 상부에 위치되어 캠(3)을 일렬로 안내할 수 있다.
이송파지부(73)는 이송벨트부(71)의 단부에 도달한 캠(3)을 파지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이송파지부(73)는 별도의 센서 및 카메라를 통해 각각의 이송벨트부(71)를 통해 이송되는 캠(3)을 인지하고, 이송벨트부(71)의 단부에 도달한 캠(3)을 파지하여 목적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중에서 캠과 캠스프링의 가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스프링공급부(10)를 통해 캠스프링(4)이 공급되고, 캠스프링감지부(40)는 캠스프링공급부(10)를 통해 배출되는 캠스프링(4)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정렬로봇부(50)에 전송한다.
정렬로봇부(50)는 캠스프링감지부(40)의 정보를 수신한 후,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캠스프링(4)을 흡착하여 지그부(30)에 안착시킨다. 지그부(30)에 안착된 캠스프링(4)은 항상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캠스프링(4)에 대한 정렬이 가능하다.
한편, 캠공급부(20)를 통해 캠(3)이 공급되고, 조립로봇부(60)는 지그부(30)에 안착된 캠스프링(4)을 캠(3)에 가결합시킨다. 그리고, 조립로봇부(60)는 가결합된 캠스프링(4)과 캠(3)을 이송부(70)에 안착시킨다.
캠스프링(4)이 캠(3)에 가결합되어 이송부(70)에 안착되면, 이송부(70)의 작동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후공정은 가결합된 캠스프링(4)을 캡(3)에 융착하는 공정이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중에서 가조립된 캠과 캠스프링을 조립 완료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에서 캠(3)과 캠스프링(4)을 조립 완료하는 장치(2)는 이송부(70)와, 조립부(80)와, 적재부(9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제2베이스부(2-1)에 장착될 수 있다.
이송부(70)는 캠스프링(4)이 가조립된 캠(3)을 이동시킨다. 일 예로, 이송부(70)는 도 7과 같이 조립로봇부(60)를 통해 가조립된 캠(3)과 캠스프링(4)을 조립부(80)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립부(80)는 이송부(70)에 의해 안착된 캠(3)을 회전시키면서, 캠(3)과 캠스프링(4)을 결합한다. 일 예로, 조립부(80)는 차례대로 회전되는 캠(3)과 캠스프링(4)을 냉각 융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적재부(90)는 조립부(80)에 의해 결합 완료된 캠(3)을 적재한다. 일 예로, 차량용 우측도어와 좌측도어에 따라 적용되는 캠(3)의 형상이 다르고, 이를 구별하기 위해 캠(3)은 적용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90)는 우측도어용 또는 좌측도어용 캠(3)을 선별하고 서로 구분하여 적재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조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80)는 조립회전부(81)와, 조립융착부(82)와, 조립융착확인부(83)를 포함한다.
조립회전부(81)는 이송부(70)에 의해 안착된 캠(3)을 차례대로 회전시킨다. 일 예로, 이송부(70)에 의해 한 쌍의 캠(3)이 동시에 조립회전부(81)에 안착되고, 일정 간격으로 안착된 캠(3)을 회전시켜 조립 공정이 순차로 실시될 수 있다.
조립융착부(82)는 캠스프링(4)과 캠(3)을 융착한다. 일 예로, 조립융착부(82)는 조립회전부(81) 또는 제2베이스부(2-1)에 장착되고, 캠(3)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캠(3)과 캠스프링(4)을 가압하면서 이들을 냉각 융착 시킬 수 있다.
조립융착확인부(83)는 캠스프링(4)과 캠(3)의 융착 상태를 검사한다. 일 예로, 조립융착확인부(83)는 조립회전부(81)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되면서 조립융착부(82)에 의해 융착된 캠(3)과 캠스프링(4)의 융착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조립융착확인부(83)는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캠(3)과 캠스프링(4)의 융착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80)는 조립통전검사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통전검사부(84)는 캠스프링(4)의 통전 여부를 측정한다. 일 예로, 조립통전검사부(84)는 조립회전부(81)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되면서 한 쌍의 스프링돌기부(4b)와 접촉되어 이들의 통전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80)는 조립오링부(85)와, 조립오링확인부(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오링부(85)는 캠(3)에 오링(5)을 장착한다. 일 예로, 조립오링부(85)는 오링(5)을 캠축부(3b)에 장착하여 방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조립오링확인부(86)는 캠(3)에 오링(5)이 설계안대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일 예로 조립오링확인부(86)는 조립회전부(81)에 장착되고,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조립오링확인부(86)는 오링(5)이 캠(3)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위치 센서 및 거리 센서를 통해 조립오링확인부(86)는 캠(3)과 오링(5) 간의 연결관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회전부(81)는 회전모터부(811)와, 회전판부(812)와, 회전안착부(813)를 포함한다.
회전모터부(811)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판부(812)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킨다. 회전안착부(813)는 회전판부(812)의 가장자리에 복수개가 장착되고, 캠(3)이 안착된다.
일 예로, 회전모터부(811)는 제2베이스부(2-1)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판부(812)와 축결합되거나, 기어 결합되어 회전판부(8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부(811)에 의해 회전판부(812)가 1회 회전되면, 회전안착부(813)에 안착된 캠(3)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조립회전부(81)는 회전판부(812)를 지지하여 회전판부(812)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롤러부(8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롤러부(815)는 제2베이스부(2-1)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 외, 조립회전부(81)는 회전판부(812)의 상방에 배치되고, 캠(3)과 캠스프링(4)을 결합하기 위한 장치들이 장착되는 회전상판부(8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상판부(816)는 회전판부(81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회전지지부(817)에 의해 회전판부(812)의 상방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상판부(816)의 둘레를 따라 조립융착부(82)와, 조립융착확인부(83)와, 조립통전검사부(84)와, 조립오링부(85)와, 조립오링확인부(8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조립오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오링부(85)는 오링공급부(851)와, 오링장착부(852)를 포함한다.
오링공급부(851)는 오링(5)을 공급한다. 그리고, 오링장착부(852)는 오링공급부(851)에서 오링(5)을 파지하여 캠(3)에 장착한다.
일 예로, 오링공급부(851)는 회전되면서 저장된 오링(5)을 일렬로 목적지로 안내하고, 오링장착부(852)는 오링공급부(851)의 단부에 위치되는 오링(5)을 파지하여 캠축부(3b)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에서 적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90)는 적재로봇부(91)와 적재함부(92)를 포함한다.
적재로봇부(91)는 조립 완료된 캠(3)을 색상별도 구분하여 파지한다. 일 예로, 적재로봇부(91)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캠스프링(4)과 오링(5)이 장착된 캠(3)의 위치와 색상을 감지하고, 캠(3)을 색상별로 파지하거나, 캠(3)을 색상별로 적재할 수 있다. 적재로봇부(91)는 조립회전부(81)의 회전안착부(813)에 안착된 캠(3)을 파지하여 적재함부(92)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외, 별도의 이송수단을 통해 조립 완료된 캠(3)이 회전안착부(813)에 인출되면, 적재로봇부(91)가 캠(3)을 파지하여 적재함부(9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적재함부(92)는 적재로봇부(91)에 의해 캠(3)이 색상별로 적재된다. 일 예로, 적재함부(92)는 적재로봇부(91)에 의해 캠(3)이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함틀부(921)와, 함틀부(921)를 이동시키는 함이송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중에서 캠과 캠스프링을 조립 완료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부(70)를 통해 가조립된 캠(3)과 캠스프링(4)이 조립회전부(81)의 회전안착부(813)에 안착되면, 회전모터부(811)의 구동으로 회전판부(812)가 소정각도 회전된다.
회전판부(812)의 회전으로 캠(3)이 1차 이동되면, 조립융착부(82)가 구동되어 캠(3)과 캠스프링(4)을 융착한다.
캠(3)과 캠스프링(4)이 융착되도록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회전모터부(811)가 구동되어 캠(3)이 2차 이동되고, 조립융착확인부(83)가 캠(3)과 캠스프링(4)의 융착 상태를 검사한다. 만일 캠(3)과 캠스프링(4)의 융착 불량이 감지되면, 적재로봇부(91)가 불량 캠(3)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조립융착확인부(83)를 통해 캠(3)과 캠스프링(4)의 융착 상태가 검사된 후, 회전모터부(811)의 구동으로 캠(3)이 3차 이동되고, 조립통전검사부(84)가 캠스프링(4)의 통전을 검사한다. 만일 캠스프링(4)의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적재로봇부(91)가 불량 캠(3)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조립통전검사부(84)를 통해 캠스프링(4)의 통전 검사가 완료되면, 회전모터부(811)의 구동으로 캠(3)이 4차 이동되고, 조립오링부(85)가 오링(5)을 캠(3)에 설치한다.
조립오링부(85)를 통해 캠(3)에 오링(5)이 장착되면, 회전모터부(811)의 구동으로 캠(3)이 5차 이동되고, 조립오링확인부(86)가 캠(3)과 오링(5)의 장착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캠(3)과 오링(5)의 조립 불량이 감지되면, 적재로봇부(91)가 불량 캠(3)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조립오링확인부(86)를 통해 캠(3)과 오링(5)의 결합 상태가 검사된 후, 회전모터부(811)의 구동으로 캠(3)이 6차 이동되고, 적재로봇부(91)는 6차 이동된 캠(3)을 인출하여 적재함부(92)에 저장한다.
이때, 회전판부(812)는 균일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송부(70)가 지속적으로 캠(3)을 회전안착부(813)에 공급하여, 캠(3)의 연속적인 조립 공정이 실시된다. 그리고, 적재로봇부(91)는 캠(3)의 색상을 인지하여 함틀부(921)에 색상 별로 구분하여 적재한다.
한편, 적재로봇부(81)는 조립 불량이 발생한 캠(3)이 인출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면 불량 캠(3)을 처리하고, 캠(3)의 조립 불량이 발생하면 추후 조립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캠(3)과 캠스프링(4)이 가조립됨으로써, 수작업에 비해 조립 불량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캠스프링감지부(40)가 캠스프링(4)의 위치와 형상 정보를 정렬로봇부(50)에 전송하므로, 정렬로봇부(50)에 의한 캠스프링(4)의 흡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는 정렬로봇부(50)가 캠스프링(4)을 지그부(30)에 안착시켜 줌으로써, 캠스프링(4)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여 추후 조립로봇부(60)에 의한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 : 캠 4 : 캠스프링
5 : 오링 10 : 캠스프링공급부
20 : 캠공급부 30 : 지그부
40 : 캠스프링감지부 50 : 정렬로봇부
60 : 조립로봇부 70 : 이송부
80 : 조립부 81 : 조립회전부
82 : 조립융착부 83 : 조립융착확인부
84 : 조립통전검사부 85 : 조립오링부
86 : 조립오링확인부 90 : 적재부

Claims (7)

  1. 캠스프링이 공급되는 캠스프링공급부;
    캠이 공급되는 캠공급부;
    상기 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지그부;
    상기 캠스프링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캠스프링을 감지하는 캠스프링감지부;
    상기 캠스프링감지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캠스프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캠스프링을 상기 지그부로 이동시키는 정렬로봇부;
    상기 캠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캠과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상기 캠스프링을 가조립하는 조립로봇부; 및
    상기 캠스프링이 장착된 상기 캠을 추후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스프링공급부는
    상기 캠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캠스프링공급이동부;
    상기 캠스프링공급이동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캠스프링을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캠스프링공급회전부; 및
    상기 캠스프링공급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캠스프링공급회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캠스프링을 목적지로 안내하는 캠스프링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공급부는
    상기 캠이 투입되는 캠공급호퍼부;
    상기 캠공급호퍼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캠을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캠공급회전부; 및
    상기 캠공급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캠공급회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캠을 안내하는 캠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캠스프링이 안착되는 지그판부; 및
    상기 지그판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스프링을 관통하는 지그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지그판부에 부착되고, 상기 캠스프링과의 접촉 충격을 완화하는 지그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스프링감지부는
    상기 캠스프링공급부의 단부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캠스프링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캠스프링이 가조립된 상기 캠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부;
    상기 이송벨트부에 형성되어 상기 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가이드부; 및
    상기 이송벨트부의 단부에 도달한 상기 캠을 파지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이송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자동 조립장치.
KR1020170126735A 2017-09-29 2017-09-29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KR10201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35A KR102015130B1 (ko) 2017-09-29 2017-09-29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35A KR102015130B1 (ko) 2017-09-29 2017-09-29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29A true KR20190037429A (ko) 2019-04-08
KR102015130B1 KR102015130B1 (ko) 2019-08-27

Family

ID=6616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35A KR102015130B1 (ko) 2017-09-29 2017-09-29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741A (zh) * 2020-02-24 2020-05-22 绍兴简效自动化科技有限公司 直角阳接头装配机
KR102222548B1 (ko) * 2020-12-10 2021-03-04 주식회사 네오넌트 벨트그라인더용 소재 자동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01B1 (ko) * 2020-11-23 2022-07-21 삼우공업(주) 냉장고 도어힌지 조립장치
KR102482070B1 (ko) * 2020-12-08 2022-12-29 삼우공업(주) 냉장고 도어힌지의 힌지축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46B1 (ko) * 2000-12-11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캠 캡 조립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90606B1 (ko) * 2008-02-26 2009-03-27 (주)삼원오토텍 인사이드 핸들 조립시스템
KR20110098542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화신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46B1 (ko) * 2000-12-11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캠 캡 조립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90606B1 (ko) * 2008-02-26 2009-03-27 (주)삼원오토텍 인사이드 핸들 조립시스템
KR20110098542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화신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741A (zh) * 2020-02-24 2020-05-22 绍兴简效自动化科技有限公司 直角阳接头装配机
CN111185741B (zh) * 2020-02-24 2021-04-20 绍兴简效自动化科技有限公司 直角阳接头装配机
KR102222548B1 (ko) * 2020-12-10 2021-03-04 주식회사 네오넌트 벨트그라인더용 소재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130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429A (ko) 로봇을 이용한 자동 공급장치
KR101241182B1 (ko) 워크검사반송장치
CN102077705B (zh) 部件安装相关工作装置
CN104271478A (zh) 将不同结构型态大面积板材平齐转移至运输载具方法及装置
CN109604180B (zh) 一种子弹壳检测机
KR20190037430A (ko) 로봇을 이용한 자동 적재장치
CN112284315A (zh) 检测机
US20230051556A1 (en) Article transport system
CN108318804A (zh) 一种pcb自动检测方法及系统
CN109500591B (zh) 基于视觉定位的装配系统及装配方法和生产线
WO2008065859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contrôle de fermeture de portière pour automobile
CN116803224A (zh) 物品交接系统及方法
CN109986352B (zh) 油路板装配生产线及其装配工艺
KR101189776B1 (ko) 고무 호스의 마킹 및 클램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380496A (zh) 安装座检测机
KR101590455B1 (ko) 렌즈 표면 검사 장치와, 렌즈 센터 검사 장치와, 렌즈 이물질 및 스크래치 검사 장치 및 이를 갖는 렌즈 검사 시스템
CN108430206B (zh) 部件搭载装置以及部件搭载方法
CN203732554U (zh) 一种传动装置及具有该传动装置的aoi检测设备
KR20200013882A (ko) 볼케이지 정렬 공급장치
KR102297520B1 (ko) 전기 및 내연기관 자동차용 금속가공품의 이종 너트 용접 자동화 시스템
KR101330028B1 (ko) 리클라이너 조립 장치 및 방법
CN211876990U (zh) 安装座检测机
CN115055384A (zh) 质检系统
KR101980100B1 (ko) Led 하우징 테이핑 및 인서트 장치
CN115465628A (zh) 自动加工生产线和自动加工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