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171A - 컨스트럭션 셋 엘레멘트 - Google Patents

컨스트럭션 셋 엘레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171A
KR20190037171A KR1020180115834A KR20180115834A KR20190037171A KR 20190037171 A KR20190037171 A KR 20190037171A KR 1020180115834 A KR1020180115834 A KR 1020180115834A KR 20180115834 A KR20180115834 A KR 20180115834A KR 20190037171 A KR20190037171 A KR 2019003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quot
protrusions
coordinate gri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미트리 안드레비치 소콜로프
Original Assignee
드미트리 안드레비치 소콜로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미트리 안드레비치 소콜로프 filed Critical 드미트리 안드레비치 소콜로프
Publication of KR2019003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4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어린이용 키트와 퍼즐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립 세트가 개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조립 세트는 베이스와 연동 조인트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평평하고 측면이 "a"의 배수인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연동 조인트는 베이스 상에 네 가지 유형의 돌출부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조립 세트 요소는 상기한 네 가지 그룹의 돌출부 중 세 가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 실시형태는 서로 다른 돌출부의 돌출부 가장자리 사이에 브릿지를 구비하여 조립 세트 요소를 연결하는 힘을 촉진한다.

Description

조립 세트 요소{CONSTRUCTION-SET ELEMEN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손가락과 손의 작은 운동 기술(미취학 연령의 어린이에게 적합함)의 발달을 위한 장난감 조립 세트 및 퍼즐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립 세트 요소(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한 가지 공지된 유사물은 저자 Sokolov D.의 조립 세트 요소이다(러시아 특허 제 2525782호, 우선일 2013년 6월 7일).
조립 세트 요소는 평평한 직사각형 베이스와 연결 조립체를 포함한다. 연결 조립체는 베이스 상에 구비된 네 개 그룹의 돌출부(네 가지 유형의 돌출부)로 형성된다. 제 1 그룹의 돌출부는 십자형 단면을 갖는다. 제 2 그룹의 돌출부는 정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이다. 제 3 그룹의 돌출부는 이의 짧은 측면을 따라 장벽을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이고, 장벽들은 갭의 형성과 함께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제 4 그룹에서, 돌출부는 베이스의 모서리에 위치하고 L-자형 요소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의 측면은 베이스의 평면에 수직이다.
청구된 기술적 해결수단과 공지된 유사물의 공통적인 특징은 조립 세트 요소의 양 실시형태에 대한 조립 요소의 구성이다. 두 개의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인 평평한 베이스가 있고, 베이스의 가장자리는 <<a>>의 배수인 길이를 갖는다. 연동 조인트(interlocking joint)는 베이스 상에 네 가지 유형의 돌출부를 하나의 단위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돌출 유형은 십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다. 제 2 돌출 유형은 정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으로 형성된다. 제 3 돌출 유형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짧은 측면을 따라 렛지(ledge)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다. 렛지는 이들의 렛지 단부 사이에 형성된 갭을 갖고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제 4 돌출 유형은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고 베이스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서 베이스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쉘프(shelf)를 갖는다. 제 1 돌출 유형의 돌출부는 좌표 격자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제 2 돌출 유형의 돌출부는 좌표 격자 셀의 대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제 3 돌출 유형의 돌출부는 베이스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서 제 1 돌출 유형의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며, 제 4 돌출 유형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요소는 네 가지 유형의 돌출부 중 세 가지 유형(제 1, 제 2 및 제 3 돌출 유형)만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조립 세트 요소의 단점은 더 어린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며, 손과 손가락의 골화(ossification) 과정이 학교 교육이 시작하기 이전에 완전히 끝나지 않고, 따라서 어린이가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충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있을 때 조립 세트 요소의 가장자리(예를 들어, 상기 종래 기술의 요소의 일부 돌출부의 모서리의 쉘프인 가장자리)에서 손가락을 누를 때 손가락과 손의 작고 정확한 움직임이 어렵고 지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청구된 발명의 목적은 조립 세트 요소를 조립(결합)할 때 이들을 누르는 과정에서 손가락에 대한 힘을 감소시켜 다양한 연령대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쉽게 하는 조립 요소를 만드는 것이다.
기술적 효과는 사용 편리성의 증가로 인한 조립 세트 요소의 기능적 가능성의 확대, 특히 어린이 교육의 교정 개발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한, 조립 세트 요소의 각각의 부분 사이의 브릿지(bridge) 상에서 조립 세트 요소의 가장자리로부터 조립 세트 요소를 사용하는 어린이 및 모든 사람의 손가락 끝으로 주 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증가되어 어린이의 손가락과 손바닥의 근육의 피로가 줄어드는 상태에서 손 운동 기능의 개발과 손 및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의 형성을 위해, 이러한 조립 세트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편안한 어린이의 나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모든 연령대의 어린이들에 대한 조립 세트의 적용 가능성의 확대를 포함한다. 또한, 브릿지의 존재로 인해 건축 세트 요소를 서로 "부정확하게" 연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다. "부정확한" 연결의 경우, 조립 세트 요소가 서로에 대해 잘못된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고, 이는 조립 세트 요소가 더 이상 결합되어 않게 하고 단일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조립 세트 요소의 제 1 실시형태의 기술적 효과는 베이스와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조립 세트 요소에 브릿지가 있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베이스는 (양면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미리 정의된 값을 갖는 <<a>>의 배수로 형성된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연동 조인트는 네 개 그룹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베이스 상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모든 돌출부는 베이스 가장자리와 평행한 상호 수직인 선들의 가상 직교 좌표 격자에 따라 베이스 상에 위치하며, 인접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2a>>이다. 베이스 가장자리(단부)와 인접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0.5a>>이다. 베이스 상의 돌출부는 베이스와 함께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된다.
제 1 그룹의 돌출부는 십자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a>>인 십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 베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한다. 돌출부 기초의 십자선(crosshair)은 격자 선의 십자선과 일치한다. 제 1 그룹의 돌출부의 높이는 <<0.5a>>를 초과하지만 <<a>> 이하이다.
제 2 그룹은 베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한 돌출부를 가지며, 이들은 튜브형 돌출부의 채널의 측면 길이가 <<a>>인 정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으로 형성된다. 이들은 튜브형 돌출부의 정사각형 내부의 측면이 가상 격자의 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돌출부의 정사각형 내부의 대각선의 교차점은 이 돌출부가 위치하는 격자 셀의 대각선의 교차점과 일치한다. 제 2 그룹의 돌출부의 높이는 <<0.5a>>이다.
제 3 그룹에서, 제 1 유형의 인접한 돌출부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의 단부 상에 정중선과 함께 위치하고, 이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으며, 짧은 측면을 따라 <<a>>인 폭을 갖고 베이스 단부부터 <<0.5a>> 이하로 돌출하는 렛지를 갖는다(즉, 플레이트의 긴 측면은 베이스와 평행하고 짧은 측면은 베이스에 수직이며, 각각의 플레이트와 베이스의 가장자리와의 연결선은 길이가 <<a>>인 짧은 측면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따른다). 렛지는 이들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을 갖고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제 4 그룹의 돌출부는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인접한 단부에서 베이스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이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쉘프를 갖는다. 쉘프는 길이가 <<a>>이고 폭이 <<0.5a>> 이하이다. 이들 돌출부는 베이스 모서리 상에 위치한다.
제 3 그룹의 인접한 돌출부의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는 브릿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 4 그룹의 돌출부에도 브릿지가 구비되어 베이스에 수직인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을 연결하고 이들 돌출부의 모서리의 쉘프(베이스에 수직이고 베이스를 넘어 돌출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를 제 3 그룹의 돌출부의 인접한 렛지(5)에 연결한다.
제 2 조립 세트 요소의 실시형태의 기술적 효과는 베이스와 연동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립 세트 요소가 브릿지를 갖기 때문에 달성된다. 베이스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미리 정의된 값을 갖는 <<a>>이고, 다른 하나의 측면은 <<a>>의 배수인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연동 조인트는 세 개 그룹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베이스 상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베이스 상의 돌출부는 베이스와 함께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된다.
제 1 그룹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위치하고 십자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a>>인 십자형 단면을 갖는다. 제 1 그룹의 돌출부의 높이는 <<0.5a>>를 초과하지만 <<a>> 이하이다.
제 2 그룹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베이스의 단부 상에 정중선과 함께 위치하고, 이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으며, 베이스 단부로부터 <<0.5a>> 이하로 돌출하는 짧은 측면을 따라 폭이 <<a>>인 렛지를 갖는다. 렛지는 이들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을 갖고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제 3 그룹의 돌출부는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인접한 단부 상의 베이스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한 쉘프를 가지며, 이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쉘프는 길이가 <<a>>이고 폭이 <<0.5a>> 이하이다.
모든 돌출부는 베이스 가장자리와 평행한 상호 수직인 선들의 좌표 격자에 따라 베이스 상에 위치한다. 인접한 좌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2a>>이다. 베이스 가장자리에 인접한 좌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0.5a>>이다.
제 1 그룹의 돌출부는 격자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 2 그룹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제 1 그룹의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제 3 그룹의 돌출부는 베이스 모서리에 위치한다.
제 2 그룹의 인접한 돌출부의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는 브릿지뿐만 아니라 베이스에 수직인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 및 이들에 인접한 제 2 그룹의 돌출부의 렛지를 연결하는 제 3 그룹의 브릿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브릿지는 모양과 폭이 다를 수 있다.
도 1은 제 1 그룹(2)의 9 개의 돌출부, 제 2 그룹(3)의 4 개의 돌출부, 제 3 그룹(4)의 8 개의 돌출부, 제 4 그룹(6)의 4 개의 돌출부 및 크기가 <<5a>>x<<5a>>인 베이스를 갖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제 3 그룹(4)의 인접한 돌출부의 가장 가까운 렛지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9)를 볼 수 있다. 제 4 그룹(6)의 돌출부의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 사이에 브릿지(9)가 있고 제 3 그룹(4)의 돌출부의 렛지(5)와 인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 세트 요소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1 그룹의 3 개의 돌출부, 제 2 그룹(4)의 4 개의 돌출부, 제 3 그룹(6)의 4 개의 돌출부 및 크기가 <<5a>>x<<5a>>인 베이스를 갖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 세트 요소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연결 전의 도 4에 도시된 두 개의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연결 후의 도 4에 도시된 두 개의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조립 세트 요소가 브릿지를 갖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 전후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9는 제 1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와 제 2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를 연결하기 전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10은 연결 후의 도 9에 도시된 동일한 요소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와 유사한 조립 세트 요소가 브릿지를 갖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 전후의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13은 조립 세트 요소들의 "부정확한" 연결을 시도하기 전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유사하게 구현되었지만 브릿지가 없는 하나의 조립 세트 요소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제 2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유사하게 구현되었지만 브릿지가 없는 하나의 조립 세트 요소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제 2 조립 세트 요소의 성공하지 못한 "부정확한" 연결을 도시한다.
도 15는 조립 세트 요소들의 "부정확한" 연결을 시도하기 전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하나의 조립 세트 요소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제 2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하나의 조립 세트 요소와 제 1 실시형태에 구현된 제 2 조립 세트 요소의 "부정확한" 연결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브릿지를 갖는 조립 요소를 설명한다(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13 내지 도 16의 하부 조립 세트 요소 참조).
제 1 실시형태(도 1, 도 2, 도 13 내지 도 16)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 요소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미리 정의된 값을 갖는 <<a>>의 배수로 형성된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베이스(1) 및 네 개 그룹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베이스 상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연동 조인트를 포함한다. 베이스 상의 돌출부는 베이스와 함께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된다.
제 1 그룹의 돌출부(2)는 베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한다. 제 1 그룹의 돌출부(2)(도 1 참조)의 높이 <<H1>>는 <<0.5a>>를 초과하지만 <<a>> 이하이다. 제 1 그룹의 돌출부(2)는 십자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a>>인 십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그룹의 돌출부(3)는 또한 베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한다. 돌출부(3)의 높이는 <<0.5a>>이다. 돌출부(3)는 튜브형 돌출부(3)의 채널의 측면 길이가 <<a>>인 정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으로 형성된다. 제 3 그룹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부(4)(도 1 및 도 2 참조)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1)의 단부 상에 가장 긴 정중선과 함께 위치하며, 이들의 짧은 측면을 따라 렛지(5)를 갖는다. 폭 <<a>>를 갖는 렛지(5)는 베이스 단부로부터 <<0.5a>> 이하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이들은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을 갖고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렛지(5)는 이들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 <<.델타.>>를 갖고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4 그룹의 돌출부(6)는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인접한 단부에서 베이스(1)의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이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쉘프를 갖는다. 쉘프 길이는 <<a>이고 폭은 <<0.5a>> 이하이다. 즉, 이들 쉘프는 실제로 베이스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수직이고 베이스의 모서리를 통과하는(이를 너머 돌출되는) 두 개의 직사각형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2면각(dihedral angle)의 면이고, 따라서 2면각의 내측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평면은 평행한 플레이트의 베이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고, 베이스에 수직인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의 길이는 <<a>>이고, 2면각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의 중심점은 베이스의 모서리에 있으며, 베이스에 수직인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의 길이는 <<0.5a>>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돌출부(2, 3, 4, 6)는 베이스(1)의 가장자리와 평행한 상호 수직인 선들의 좌표 격자(7)(도 1 참조)에 따라 베이스(1) 상에 위치한다. 좌표 격자(7)의 인접한 선 사이의 거리는 <<2a>>이고, 베이스(1) 가장자리와 좌표 격자(7) 상의 인접한 선 사이의 거리는 <<0.5a>>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그룹에서, 돌출부(2)는 좌표 격자(7)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그룹에서, 돌출부(3)는 좌표 격자(7)의 셀의 대각선(8)(도 1 참조)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그룹의 돌출부(4)는 베이스(1)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제 1 그룹의 인접한 돌출부(2)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4 그룹에서, 돌출부(6)는 베이스(1)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청구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 3 그룹의 돌출부(4)는 인접한 돌출부(4)의 가장 가까운 렛지(5)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한다. 제 4 그룹의 돌출부(6)도 이들 돌출부의 모서리의 쉘프와 제 3 그룹의 돌출부(4)의 인접한 렛지(5)를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한다. 이들 브릿지(9)는 렛지(5)의 폭과 일치하거나 심지어 다소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릿지(9)는 평평하거나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하게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 2 실시형태(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조립 세트 요소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 세트 요소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미리 정의된 값을 갖는 <<a>>이고 다른 하나의 측면은 <<a>>의 배수인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베이스(1) 및 세 개 그룹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베이스 상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연동 조인트를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그룹의 돌출부(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부(2)와 유사하다. 이들은 베이스(1)의 적어도 한 측면에 위치한다. 돌출부(2)의 높이는 <<0.5a>>를 초과하지만 <<a>> 이하이다. 돌출부(2)는 십자가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a>>인 십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그룹에서, 돌출부(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그룹의 돌출부(4)와 유사하고,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1)의 단부 상에 긴 정중선과 함께 위치하며, 짧은 측면을 따라 렛지(5)를 갖고, 베이스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a>>의 폭 길이를 갖는 렛지(5)(도 3 참조)는 베이스 단부로부터 <<0.5a>> 이하의 길이만큼 돌출된다(도 3 참조). 렛지(5)는 이들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 <<.델타.>>를 갖고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그룹의 돌출부(6)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4 그룹의 돌출부(6)와 유사하다. 이들 돌출부는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인접한 단부에서 베이스(1)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베이스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있으며, 길이가 <<a>이고 폭이 <<0.5a>> 이하인 쉘프를 갖는다. 돌출부(2, 4 및 6)는 베이스(1)의 가장자리와 평행한 상호 수직인 선들의 좌표 격자(7)에 따라 베이스(1) 상에 위치하고, 좌표 격자(7)의 인접한 선들 사이의 거리는 <<2a>>이고, 베이스(1)의 가장자리와 좌표 격자(7) 상의 인접한 선 사이의 거리는 <<0.5a>>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그룹의 돌출부(2)는 좌표 격자(7)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그룹의 돌출부(4)는 베이스(1)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그룹의 인접한 돌출부(2)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그룹의 돌출부(6)는 베이스(1)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청구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 2 그룹의 돌출부(4)는 인접한 돌출부(4)의 가장 가까운 렛지(5)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하며, 제 3 그룹의 돌출부(6)는 이들 돌출부(6)의 모서리의 쉘프와 제 2 그룹의 돌출부(4)의 인접한 렛지(5)를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한다. 이들 브릿지(9)는 렛지(5)의 폭과 일치하거나 심지어 다소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릿지(9)는 평평하거나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하게 만들 수 있다.
브릿지가 있거나 없는 조립 세트 요소의 경우, 브릿지가 없으면 돌출부 요소의 모서리를 다루어야 하므로(도 7 및 도 8 참조), 유용성에서 큰 차이를 볼 수 있다(도 5 내지 도 10 참조). 조립 세트 요소에 브릿지가 없는 경우,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눌러야 하는 수많은 날카로운 가장자리(돌출부의 갈빗대)를 볼 수 있다.
또한, 도 9는 하나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연결(결합) 전의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결합(연결)은 조립 세트 요소의 상부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와 하부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에 의해 발생하며, 도 10은 연결된 후의 동일한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서로 연결하는 동안 조립 요소의 더욱 정확한 위치 설정을 위해 연동 조인트의 돌출부는 둥글거나 경사진 사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1)는 또한 재료를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 상에 연동 조인트의 위치 설정이 특히 도 2, 도 4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의 형태 및 베이스(1) 상의 조립 세트 요소의 확실한 위치 설정으로 인해, 서로 다른 조립 세트 요소의 돌출부들이 서로 연동하게 된다. 연동은 마찰력을 기반으로하며, 밀접하게 접촉할 때 돌출부 사이에서 및/또는 돌출부가 다른 돌출부 사이에 위치할 때 발생하고, 브릿지가 있는 경우, 양쪽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조립 세트 요소를 힘들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잡한 3D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브릿지가 있으면 부정확한 연결이 방지된다. 이는 도 11 및 도 12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여기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조립 세트 요소와 유사한, 연결 전후의 두 개의 조립 세트 요소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 2 실시형태와 유사한 조립 세트 요소에 브릿지가 없는 경우,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눌러야 하는 수많은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볼 수 있고, 설계자의 요소들의 연결 중 하나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이루어지지만, 브릿지(9)가 없는 경우, 다른 하나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이루어지고, 연결은 제 1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3)과 제 2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을 결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4) 중 5 개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3)에 들어가지 않는 부정확한 연결 상태가 있을 수 있지만, 돌출부 사이에서, 제 2 실시형태에서 조립 세트 요소의 동일한 연결을 시도할 때(상부 조립 세트 요소), 브릿지(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하부 조립 세트 요소의 제 2 그룹의 돌출부(3)의 렛지(5)에 기대고, 따라서 잘못된 방식으로 조립 세트 요소가 연결되지 않는다.
도 13은 잘못된(부정확한) 연결을 시도하기 전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유사하게 구현되었지만 브릿지가 없는 조립 세트 요소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 요소의 예시이고, 도 14는 잘못된 연결 자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부정확한 연결을 시도하기 전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 요소 및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현된 조립 세트 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동일한 조립 세트 요소에 대한 잘못된 연결의 성공하지 못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는 브릿지의 존재가 조립 세트 요소의 정밀한(정확하고 강력한) 연결에 기여하고, 이는 조립 세트 요소의 유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Claims (10)

  1. 두 개의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평한 베이스(1)로서, 베이스의 가장자리는 미리 정의된 값을 갖는 <<a>>의 배수인 길이를 갖는, 베이스(1)와 베이스(1) 상에 네 가지 유형의 돌출부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고 베이스(1)와 함께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되는 연동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립 세트 요소로서,
    제 1 돌출 유형(2)은 베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하고, <<0.5a>>를 초과하지만 <<a>> 이하의 높이를 갖고, 십자형 단면의 대향 단부들의 거리가 <<a>>인 십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되고,
    제 2 돌출 유형(3)은 베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하고, <<0.5a>>의 높이를 갖고, <<a>>인 측면을 갖는 정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으로 형성되고,
    제 3 돌출 유형(4)은 렛지와 긴 정중선을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긴 정준선은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위치하고, 렛지(5)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짧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렛지(5)는 폭이 <<a>>인 렛지 단부를 갖고,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0.5a>> 이하로 돌출하고, 렛지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을 갖고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제 4 돌출 유형(6)은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고 베이스(1)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길이가 <<a>>이고 폭이 <<0.5a>> 이하인 쉘프를 갖고,
    모든 돌출부는 좌표 격자 선(7)에 따라 베이스(1) 상에 위치하고, 좌표 격자 상의 인접한 평행 좌표 격자 선(7) 사이의 거리는 <<2a>>이고, 베이스(1)의 가장자리와 좌표 격자 상의 인접한 평행 좌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0.5a>>이며, 교차하는 평행한 인접 좌표 격자 선들의 쌍에 의해 좌표 격자의 셀이 형성되고, 이들 상호 수직인 격자 선(7)은 베이스의 가장자리와 평행하고,
    제 1 돌출 유형(2)의 돌출부는 좌표 격자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제 2 돌출 유형(3)의 돌출부는 좌표 격자 셀의 대각선(7)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제 3 돌출 유형(4)의 돌출부는 제 1 돌출 유형(2)의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베이스(1)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조립 세트 요소에 있어서,
    제 3 그룹(4)의 돌출부는 인접한 돌출부(4)의 가장 가까운 렛지(5)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하고,
    제 4 그룹(6)의 돌출부는, 베이스에 수직이고 베이스를 넘어 돌출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측면인, 이들 돌출부의 모서리의 쉘프와 제 3 그룹(4)의 돌출부의 인접한 렛지(5)를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브릿지(9)의 폭은 렛지(5)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브릿지(9)는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브릿지(9)는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5. 제 1 항에 있어서,
    브릿지(9)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6. 두 개의 측면을 갖고, 미리 정의된 값을 갖는 <<a>>인 제 1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가장자리와 <<a>>의 배수인 제 2 길이를 갖는 다른 하나의 베이스 가장자리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평한 베이스(1)와 베이스(1) 상에 세 가지 유형의 돌출부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고 베이스(1)와 함께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되는 연동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립 세트 요소로서,
    제 1 돌출 유형(2)은 베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하고, <<0.5a>>를 초과하지만 <<a>> 이하인 높이를 갖고, 십자형 단면의 대향 단부들의 거리가 <<a>>인 십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되고,
    제 2 돌출 유형(4)은 렛지와 긴 정중선을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긴 정준선은 제 2 길이의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위치하고, 렛지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짧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렛지는 베이스(1)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서 폭이 <<a>>인 렛지 단부를 갖고, 제 2 길이의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0.5a>> 이하로 돌출하고, 렛지 단부 사이에 형성된 <<a>> 이하의 갭을 갖고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제 3 돌출 유형(6)은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고 베이스(1)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서 베이스(1)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길이가 <<a>>이고 폭이 <<0.5a>> 이하인 쉘프를 갖고,
    모든 돌출부는 좌표 격자 선에 따라 베이스(1) 상에 위치하고, 좌표 격자 상의 인접한 평행 좌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2a>>이고, 베이스의 가장자리와 좌표 격자 상의 인접한 평행 좌표 격자 선 사이의 거리는 <<0.5a>>이며,
    제 1 돌출 유형(2)의 돌출부는 좌표 격자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제 2 돌출 유형(4)의 돌출부는 베이스(1)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서 제 1 돌출 유형의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제 3 돌출 유형(6)의 돌출부는 베이스(1)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조립 세트 요소에 있어서,
    제 2 그룹(4)의 돌출부는 인접한 돌출부(4)의 가장 가까운 렛지(5)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하고,
    제 3 그룹(6)의 돌출부는, 이들 돌출부의 모서리의 쉘프와 제 2 그룹(4)의 돌출부의 인접한 렛지(5)를 연결하는 브릿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7. 제 6 항에 있어서,
    브릿지(9)의 폭은 렛지(5)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8. 제 6 항에 있어서,
    브릿지(9)는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9. 제 6 항에 있어서,
    브릿지(9)는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10. 제 6 항에 있어서,
    브릿지(9)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 요소.
KR1020180115834A 2017-09-28 2018-09-28 컨스트럭션 셋 엘레멘트 KR201900371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7133658A RU2670021C2 (ru) 2017-09-28 2017-09-28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RU2017133658 2017-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171A true KR20190037171A (ko) 2019-04-05

Family

ID=6204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34A KR20190037171A (ko) 2017-09-28 2018-09-28 컨스트럭션 셋 엘레멘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91597A1 (ko)
EP (1) EP3461544A1 (ko)
JP (1) JP2019063511A (ko)
KR (1) KR20190037171A (ko)
CN (1) CN109568983A (ko)
EA (1) EA034144B1 (ko)
RU (1) RU2670021C2 (ko)
TW (1) TW2019146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94290C1 (ru) * 2019-01-10 2019-07-11 Денис Вячеславович Свистулин Модуль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екл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WO2021020368A1 (ja) * 2019-07-29 2021-02-04 京セラ株式会社 被覆工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切削工具
RU194648U1 (ru) * 2019-10-29 2019-12-18 Константин Григорьевич Первухин Детский конструкто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6840A (en) * 1915-10-29 1917-02-20 Embossing Company Toy building-block.
US1294446A (en) * 1918-04-25 1919-02-18 Alfred G Hoppock Child's building-blocks.
US2493435A (en) * 1946-05-31 1950-01-03 Alcide J Arehambault Building block
GB676469A (en) * 1950-02-24 1952-07-30 Die Casting Machine Too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y building blocks
CH429538A (de) * 1964-12-22 1967-01-31 Eugster Bruno Spielbaukasten
GB2118447B (en) * 1982-04-14 1985-10-23 Kassai Kk Block toy
CA2051905C (en) * 1990-12-11 1998-04-07 Joel I. Glickman Construction toy
US6648715B2 (en) * 2001-10-25 2003-11-18 Benjamin I. Wiens Snap-fit construction system
RU2005130363A (ru) * 2005-09-29 2007-04-10 Геннад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пков (RU) Узел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стержней, образующих сооружение
US9238179B2 (en) * 2010-10-30 2016-01-19 Elizabeth Sharon Carpenter Building block toy with interconnecting edges
RU2468848C1 (ru) * 2011-06-15 2012-12-10 Дмитрий Андреевич Соколов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US8968046B2 (en) * 2011-10-13 2015-03-03 Building Creative Kids, Llc Toy couplers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 retaining channels
WO2014054962A1 (ru) * 2012-10-04 2014-04-10 Sokolov Dmitriy Andreyevich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RU2509590C1 (ru) * 2012-11-22 2014-03-20 Дмитрий Андреевич Соколов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и конструктор
RU2525782C1 (ru) * 2013-06-07 2014-08-20 Дмитрий Андреевич Соколов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RU2535629C1 (ru) * 2013-11-12 2014-12-20 Дмитрий Андреевич Соколов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и конструкто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33658A (ru) 2018-04-23
EA034144B1 (ru) 2020-01-09
EP3461544A1 (en) 2019-04-03
CN109568983A (zh) 2019-04-05
RU2017133658A3 (ko) 2018-09-24
TW201914671A (zh) 2019-04-16
EA201891936A3 (ru) 2019-05-31
JP2019063511A (ja) 2019-04-25
RU2670021C2 (ru) 2018-10-17
US20190091597A1 (en) 2019-03-28
EA201891936A2 (ru)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171A (ko) 컨스트럭션 셋 엘레멘트
CN105263594B (zh) 建造建筑块和建造玩具
US9675900B2 (en) Construction-set elements
US3545123A (en) Cruciform male and female connectors
RU2744062C9 (ru) Состав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из игр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блоков
JP2019524317A (ja) 玩具組立要素
EP3175896B1 (en) Building block and building block unit
RU2509590C1 (ru)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и конструктор
US20190059578A1 (en) Interlocking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and furniture
US11491414B2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toy
US5239803A (en) Single-component-type structural system
CN112272582B (zh) 构造型玩具的立方体元件
CN211653892U (zh) 一种“大”型拼字模块
KR101522282B1 (ko) 조립식 완구용 비대칭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완구 세트
KR101410675B1 (ko)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CN205434988U (zh) 可呈现不同图像的积木
CN211963085U (zh) 一种“人”型拼字模块
JP2019209083A (ja) ドミノ倒し用兼契合式連結長方体玩具
KR20100108972A (ko) 건물 조립용 블럭 셋트
KR20140000959U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30003195U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3197374U (ja) 組立ておもちゃ
KR100472017B1 (ko) 다기능 조립기구
JPH11207025A (ja) レールをもつドミノ倒し。
JP2006017275A (ja) 組立物用接合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