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111A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111A
KR20190037111A KR1020180109457A KR20180109457A KR20190037111A KR 20190037111 A KR20190037111 A KR 20190037111A KR 1020180109457 A KR1020180109457 A KR 1020180109457A KR 20180109457 A KR20180109457 A KR 20180109457A KR 20190037111 A KR20190037111 A KR 20190037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unit
temperatur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154B1 (ko
Inventor
야스히로 마츠다
무네히코 오가와
칸다이 카와하라
하루히코 후쿠모토
타로 타니이
료타 니시에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8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6274594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8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173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8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173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13815A external-priority patent/JP6677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138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671642B2/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or viscos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부품이 고장 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보호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 진단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상기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부 등에 의해 가열된 물(온수)을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吐水)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있다. 가열된 물을 토수함으로써 물이 차다는 불쾌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억제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기 위함이나 토수 중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가열된 고온의 물이 토수되지 않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의 부품, 특히 세정계(노즐로부터의 토수에 관련되는 각 부재 및 각 장치 등)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온의 물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가열부나 그 통전 제어용의 소자의 고장(1차 고장)이 발생하면 물이 의도하지 않고 과도하게 가열되어 고온의 물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에는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전자 회로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보호 전자 회로는, 예를 들면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를 갖고, 측정된 온도가 고온이었을 경우에는 유로를 폐쇄하여 토수를 정지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술한 1차 고장에 추가하여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2차 고장)이 발생하는 다중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온의 물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부품이 고장 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보호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 진단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상기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유로 스위칭부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상태 스위칭부의 설명도이다.
제 1 발명은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부품이 고장 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보호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 진단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상기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의 공급의 차단을 더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전력의 공급의 차단에 의해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급수 제어부에 의해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물을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상기 물의 반송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반송부에 의한 노즐로의 물의 반송이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와, 상기 노즐 이외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유로 스위칭부에 의한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한 상기 물의 가열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가열부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와,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스위칭하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 상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토수구의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한 노출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노즐 상태 스위칭부에 의해 토수구의 인체 국부로의 노출이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기 상태는 상기 노즐이 진출한 상태이며,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상태는 상기 노즐이 후퇴한 상태인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노즐 상태 스위칭부에 의해 노즐이 진출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급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급수 제어부에 의한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됨으로써 다중 고장이 발생해도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수온에 의거하여 급수 제어부에 의한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상기 노즐로의 급수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외란의 노이즈 등에 의해 고장의 오검지가 발생해도 다시 고장 진단을 행하여 토수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4 발명은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를 금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수온이 고온이 되면 노즐에 의한 토수가 금지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 15 발명은 제 1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고온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전원이 재투입될 때까지 금지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도면 중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장치(200)는 서양식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변기」라고 칭한다)(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변기(800)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식」이어도 좋고, 화장실의 벽면이나 라이닝에 설치되는 「벽걸이식」이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300)와, 변기 덮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변좌(300)와 변기 덮개는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 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3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세정을 실현하는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노즐」이라고 칭한다)(473)을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진출시켜서 토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보울(801) 내로 진출한 상태를 일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으며,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하여 케이싱(400) 내에 수납된 상태를 실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토수구(31)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토수구(31)로부터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토수구(31)는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토수구(31)로서 비데 세정 토수구(31a), 엉덩이 세정 토수구(31b) 등이 형성된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형성된 비데 세정 토수구(31a)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3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형성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31b)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3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온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위생 세정 장치(100)는 토수부로서 상술한 노즐(473)(세정 노즐)에 추가하여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을 갖는다. 또한,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은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 내에 배치된 급수로(20)를 갖는다. 급수로(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 등에 공급한다.
급수로(20)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급수 제어부(431), 조압부(432), 개방식 탱크(434), 반송부(436), 가열부(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외의 급수로(20)에는 역지 밸브, 유량 센서, 전해조, 버큠 브레이커 등이 적당히 설치되어도 좋다.
급수로(20)의 상류측에는 급수 제어부(431)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제어부(431)는 하류로의 급수, 즉 노즐(473) 등으로의 급수를 제어한다. 급수 제어부(431)는, 예를 들면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꿔 말하면 급수 제어부(431)는 급수로(20)를 개폐한다. 급수 제어부(431)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하류측으로 흐른다.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하류측으로의 급수가 정지된다. 예를 들면, 급수 제어부(431)는 제어부(405)의 일부(제 1 기능부(405a))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제 1 기능부(405a)란 제어부(405) 중 위생 세정 장치(100)의 통상 동작(후술하는 고온 토수 회피 및 고장 진단 이외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급수 제어부(431)의 하류에는 조압부(432)가 설치되어 있다. 조압부(432)는, 예를 들면 급수압이 높을 경우에 급수로(20) 내의 압력을 미리 정한 압력 범위로 조정하는 조압 밸브이다.
조압부(432)의 하류에는 개방식 탱크(434)(역류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식 탱크(434)는 급수로(20)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조압부(432)를 통해 유입한 물을 내부에 저류한다. 또한, 개방식 탱크(434)는 내부에 에어 갭을 형성함으로써 급수로(20)에 있어서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는 물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바꿔 말하면 개방식 탱크(434)는 급수로(20)의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의 부분과 상류측의 부분을 절연한다. 이에 따라 개방식 탱크(434)는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모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한다.
개방식 탱크(434)의 하류에는 반송부(436)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부(436)는, 예를 들면 기어 펌프이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유출시킨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퍼낸다. 이에 따라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의 노즐(473) 등에 반송한다. 반송부(436)는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반송부(436)의 구동 및 구동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펌프이면 좋다.
반송부(436)의 하류에는 가열부(440)(열교환기 유닛)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부(440)는 히터를 갖고, 급수 제어부(431), 개방식 탱크(434), 조압부(432), 및 반송부(436)를 통해 공급된 물을 가열하고, 예를 들면 규정 온도까지 승온시킨다. 즉, 가열부(440)는 온수를 생성한다.
가열부(440)는,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교환기이며, 온수 저장 탱크를 사용한 온수 저장 가열식 열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물을 규정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부(440)는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온수 저장 가열식의 열교환기이어도 좋다. 또한, 가열부는 열교환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가열부(440)는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가열부(440)를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시킨다.
가열부(440)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실(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하는 스위칭 밸브이다. 이 예에서는 유로 스위칭부(472)는 유량의 조정을 행하는 유량 조정부로서도 기능한다. 단, 유량 조정부 및 유로 스위칭부는 각각의 유닛이어도 좋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세정 유로(21)가 설치되고, 세정 유로(21)의 하류에 노즐(473)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 유로(21)는 급수로(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의 토수구(31)로 유도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바이패스 유로(24)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유로(24)의 하류에 노즐 세정실(478)이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유로(24)는 급수로(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 세정실(478)의 토수구(32)로 유도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고, 분무용 유로(25)의 하류에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분무용 유로(25)는 급수로(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무 노즐(479)의 토수구(33)로 유도한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 설치된 유로(예를 들면, 세정 유로(21), 바이패스 유로(24), 분무용 유로(25))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해 선택된 유로에 물이 공급된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세정 유로(21))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와, 노즐(473) 이외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노즐(473) 이외란, 예를 들면 노즐 세정실(478)(바이패스 유로(24))이나 분무 노즐(479)(분무용 유로(25)), 보울(801)에 물을 흘리는 유로이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는 그 상류로부터 공급된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止水)해도 좋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진출하거나 후퇴하거나 한다. 즉, 노즐 모터(476)는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473)을 진퇴시킨다.
노즐(473)은 케이싱(400)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출한 상태로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되어 유로 스위칭부(472)로부터 공급된 물을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하여 세정을 행한다.
노즐 세정실(478)은 유로 스위칭부(472)로부터 공급된 물을 그 내부에 형성된 토수구(32)로부터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분무 노즐(479)은 유로 스위칭부(472)로부터 공급된 물을 그 선단에 형성된 토수구(33)로부터 미스트상으로 하여 보울(801)에 분무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세정 유로(21), 바이패스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 등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를 통해 공급 전원(3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급수 제어부(431)나, 가열부(440)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모터(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3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서 온풍을 블로잉하여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기능」이나 「변좌 난방 기능」이나 「실내 난방 기능」 등이 적당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단, 이들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는 노즐 덮개 모터(492) 및 덮개(493)가 설치되어도 좋다. 덮개(493)는 노즐(473)의 토수구(31)의 덮개이며, 토수구(31)를 덮음으로써 토수구(31)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할 수 있다. 노즐 덮개 모터(492)는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 덮개 모터(492)를 움직인다. 이에 따라 노즐 덮개 모터(492)는 덮개(493)가 토수구(31)를 덮은 상태와, 토수구(31)를 덮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노즐 모터(476), 노즐 회전 모터(491), 및 노즐 덮개 모터(492)는 각각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로서 기능한다.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는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이하 「제 1 상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와,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하 「제 2 상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스위칭한다(도 10을 참조).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제 1 상태)는 토수구(31)와 인체 국부 사이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제 1 상태는 노즐(473)이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 가능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상태는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출되어 있으며, 또한 토수구(31)가 덮개(493)에 덮이지 않고 상방을 향한 상태이다. 제 1 상태에서는 노즐(473)은 상방을 향해서 물을 토수할 수 있다.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제 2 상태)는, 예를 들면 토수구(31)와 인체 국부 사이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는 상태이다. 즉, 제 2 상태는 노즐(473)이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할 수 없는 상태이다. 제 2 상태는 토수구(31)로부터 물이 토수되지 않는 상태뿐만 아니라 물이 토수구(31)로부터 토수되어 있어도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2 상태는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이 케이싱(400) 내로 후퇴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토수구(31)와 인체 국부 사이에 케이싱(400)이 위치하기 때문에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토수구(31)로부터 물이 상방으로 토수되어도 인체 국부에는 물이 토수되지 않는다.
또는, 제 2 상태는 노즐 회전 모터(491)에 의해 토수구(31)가 하방을 향한 상태이다. 이 경우, 토수구(31)와 인체 국부 사이에 노즐(473)의 본체가 위치하기 때문에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출되어 있으며, 또한 토수구(31)로부터 물이 토수되어 있어도 물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지 않는다.
또는, 제 2 상태는 노즐 덮개 모터(492)에 의해 덮개(493)가 토수구(31)를 덮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출되어 있으며, 또한 세정 유로(21)가 개방되어 있어도 덮개(493)에 의해 물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회전 모터(491), 노즐 덮개 모터(492), 및 덮개(493)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이때 제 1 상태는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이 진출된 상태이며, 제 2 상태는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이 후퇴된 상태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는 상술한 제 1 기능부(405a)와, 제 2 기능부(405b)를 포함한다. 제 2 기능부(405b)는 이하에 설명하는 고온 토수 회피나 위생 세정 장치(100)의 부품의 고장 진단에 관한 기능 블록이다. 또한, 제 1 기능부(405a) 및 제 2 기능부(405b)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405)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제 1 온도 센서(41)를 갖는다. 제 1 온도 센서(41)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가열부(440)의 하류측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제 1 온도 센서(41)에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가 사용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제 1 온도 센서(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 1 온도 센서(41)가 검지한 온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제 1 온도 센서(41)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가열부(440)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부(440)의 하류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정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또한 보호 전자 회로(480)를 갖는다.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부품이 고장 나면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회로이다. 예를 들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세정계에 고장이 발생하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한다. 또는,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세정계에 고장이 발생하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한다. 또는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세정계에 고장이 발생하면 노즐(473)로부터의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를 금지한다. 예를 들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노즐(473)의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세정계란 노즐(473)로부터의 토수에 관련되는 각 부재나 각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세정계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급수로(20)에 설치된 각 부재나 각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계에는 급수 제어부(431), 조압부(432), 개방식 탱크(434), 반송부(436), 가열부(440), 유로 스위칭부(472), 노즐(473), 및 보호 전자 회로(480) 등의 부품이 포함된다. 세정계의 고장이라는 범위는 고온 토수로 이어지는 고장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보호 전자 회로(480)는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보호 전자 회로(480)는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를 갖는다. 또는 보호 전자 회로(480)는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이어도 좋다.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로부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제 2 온도 센서(42), 제 2 기능부(405b)의 일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온도 센서(42)는 제 1 온도 센서(41)의 하류에 설치되어 가열부(440)의 하류측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 및 노즐(473)은 제 2 온도 센서(42)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온도 센서(42)에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가 사용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이면, 예를 들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동작의 「금지」란 상기 동작의 정지를 유지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어떤 동작의 「금지」란 상기 동작이 실행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동작이 실행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검지 결과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또는 미리 정한 온도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초과하면 노즐(473)에 의한 인체 국부로의 토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가열부(440)에 의해 물이 과도하게 가열되어도 고온의 물이 인체에 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금지로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노즐 모터(476)를 제어해서 노즐(473)을 후퇴시켜 수납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노즐(473)의 토수구(31)에 물을 공급하는 세정 유로(21)를 폐쇄한다. 이때 고온의 물은 노즐(473) 이외로 공급되어 배출된다. 또는 고온의 물은 유로 스위칭부(472)에서 지수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의 하류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후술하는 반송부(436)를 제어하여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을 금지한다. 또한, 상기 금지 시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해서 물의 가열을 금지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의 공급의 차단에 의해 노즐(473)에 의한 토수를 금지해도 좋다.
금지로서 제어부(405)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노즐 모터(476)를 제어해서 노즐(473)을 후퇴시켜 수납한다. 또는 제어부(405)는 노즐 회전 모터(491)를 제어해서 토수구(31)를 하방을 향한다. 또는 제어부(405)는 노즐 덮개 모터(492)를 제어해서 토수구(31)에 덮개를 덮는다.
또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검지 결과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또는 미리 정한 온도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초과하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해서 물의 가열을 금지한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물이 토수되어도 고온의 물이 인체에 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에 의거하여 노즐(473)로의 급수 또는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한다. 또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에 의거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고온」이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온도 이상의 온도이며, 「고온」의 범위는 적당히 정해진다. 「고온」이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미리 정한 온도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수의 금지를 행하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도 적당히 미리 정할 수 있다.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제어하는 트라이액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등에 물의 온도가 고온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부(482)(고장 진단 회로)를 더 갖는다. 고장 진단부(482)는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회로이다.
노즐(473)로부터의 토수의 개시 전에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예를 들면, 고장이 검지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에 의해 급수 제어부(431) 또는 반송부(436)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급수 제어부(431) 또는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급수)이 금지된다. 예를 들면, 급수 제어부(431)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또는 반송부(436)는 동작을 정지한 상태, 즉 개방식 탱크(434)로부터 물을 퍼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고장이 검지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에 의해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즉, 유로 스위칭부(472)는 세정 유로(21) 이외의 유로를 선택한 상태 또는 상류로부터의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한다.
또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의 개시에 있어서,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 예를 들면, 고장이 검지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에 의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가 금지된다. 즉,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는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는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해서 물의 가열을 금지해도 좋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해도 좋다. 전력의 공급의 차단에 의해 세정계의 부품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여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관해서 설명한 전원 회로(401)에 있어서의 접속을 오프로 하여 공급 전원(30)으로부터 전원 회로(401)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고장 진단부(482)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회로이다.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각 부(예를 들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 제 2 온도 센서(42), 및 후술하는 고온 검지부(481) 각각)에 대해서 고장의 진단이 행해진다. 그리고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급수 제어부(431) 또는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또는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진단부(482)를 설치함으로써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예를 들면,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고,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고온 토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즐(473)로의 급수의 개시 후에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따라 급수가 제어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품의 고장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 또는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토수를 개시하기 전에 이상의 전조(부품 고장)를 검지하여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회로(예를 들면, 구동부(51))의 구성은 비교적 심플하다. 예를 들면,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회로의 부품 점수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하는 회로의 부품 점수나 노즐 모터(476)를 구동하는 회로의 부품 점수보다 적다. 이 때문에 급수 제어부(431)에 전자 밸브를 사용하여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회로의 고장 진단을 행할 경우에는 진단에 걸리는 시간이 짧게 완료된다.
또한, 가열부(44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급수 제어부(431)에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가열부(440)로의 통수(通水)를 금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440)에 고장이 발생하여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이 만일 계속돼도 가열부(440)에 있어서 물이 계속해서 비등하는 것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440)의 탱크의 파손이나 누수를 회피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는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유로 스위칭부(472)가 제어되어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즉, 유로 스위칭부(472)는 세정 유로(21) 이외의 유로를 선택한 상태 또는 상류로부터의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를 제어함으로써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가열부(440)보다 하류이며, 또한 급수로(20) 상에 있어서 노즐(47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류측에 위치하는 유로 스위칭부(472)에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인체를 향해서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의 탱크 등의 열수축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새는 것 같은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 시의 소비 전력은 전자 밸브나 기어 펌프의 동작 시의 소비 전력에 비해서 낮다. 이 때문에 유로 스위칭부(472)에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급수로(20)의 경로 상에 개방식 탱크(434) 및 반송부(436)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식 탱크(434)(역류 방지 기구)는, 예를 들면 도 2에 관해서 설명한 조압부(432)의 하류에 설치된다. 개방식 탱크(434)는 조압부(432)를 통해 유입한 물을 내부에 저류한다. 또한, 개방식 탱크(434)는 내부에 에어 갭을 형성함으로써 급수로(20)에 있어서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는 물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바꿔 말하면 개방식 탱크(434)는 급수로(20)의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의 부분과 상류측의 부분을 절연한다. 이에 따라 개방식 탱크(434)는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모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한다.
개방식 탱크(434)의 하류에는 반송부(436)가 설치되고, 반송부(436)의 하류에 가열부(440)가 설치된다. 반송부(436)는, 예를 들면 기어 펌프이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유출시킨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퍼낸다. 이에 따라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의 노즐(473) 등으로 반송한다. 반송부(436)는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반송부(436)의 구동 및 구동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펌프이면 좋다.
이 예에서는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반송부(436)가 제어되어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이 금지된다. 즉, 반송부(436)는 동작을 정지한 상태, 즉 개방식 탱크(434)로부터 물을 퍼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을 금지한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해도 좋다. 단, 급수 제어부(431)가 폐쇄 상태이어도 반송부(436)가 구동되어 있으면 개방식 탱크(434) 내에 남은 물이 노즐(473)에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개방식 탱크(434) 및 반송부(436)가 설치된 경우에는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반송부(436)에 의한 물의 반송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방식 탱크(434) 내에 물이 남아있어도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 반송부(436), 유로 스위칭부(4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 대신에 반송부(436)나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고장 진단부(482)가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고장을 진단하는 회로일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해서 보호 전자 회로(48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보호 전자 회로(480)는 급수 제어부(431)를 구동하는 구동부(51)를 갖는다. 구동부(51)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이며, 구동부(51)에 의해 급수 제어부(431)의 동작(개폐)이 제어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구동부(51)는 급수 제어부(431)를 구동하는 회로이지만, 가열부(440), 유로 스위칭부(472), 및 반송부(436)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구동부(51)에 의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의 온/오프나, 유로 스위칭부(472)의 유로의 스위칭이나, 반송부의 동작의 개시/정지 등이 제어되어도 좋다.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부(482)는 제 2 기능부(405b)의 일부와 감시부(50)를 갖는다. 감시부(50)는, 예를 들면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회로이며,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나 구동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부(50)는 제어부(405)의 고장을 진단하고, 제어부(405)가 고장 나 있으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및 노즐(473)로부터의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감시부(50)는 제어부(405)가 고장 나 있다고 판단하면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가열부(440)의 히터를 오프로 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반송부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반송)를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감시부(50)의 고장을 진단하고, 감시부(50)가 고장 나 있으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및 노즐(473)로부터의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감시부(50)가 고장 나 있다고 판단하면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가열부(440)의 히터를 오프로 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반송부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반송)를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보호 전자 회로(480)의 제어부(405) 또는 감시부(50)에 고장이 발생하면 물의 가열 및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부(440) 및 보호 전자 회로(480)의 양쪽이 고장 나는 다중 고장이 발생해도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고장을 진단하여 구동부(51)가 고장 나 있다고 판단하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 및 노즐(473)로부터의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일부가 고장 나 있다고 판단하면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별도의 일례로서 구동부(51)에 의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 국부에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지시하는 신호(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에는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된다(스텝 S101). 그러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개시하기 전에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102).
스텝 S1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103~S110이 실행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111).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473)로의 급수의 개시 전(직전)에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이 행해진다. 또한, 급수의 개시 전(직전)이란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지시하는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노즐(473)로의 급수가 개시될 때까지 동안이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스텝 S101과 스텝 S103 사이에 있어서 스텝 S102가 실시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103에 있어서 급수 제어부(431)가 개방된다. 그 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물의 유로가 스위칭되어 노즐(473)에 급수하는 유로(세정 유로(21))가 개방된다(스텝 S104). 그리고 노즐(473)의 토수구(31)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토수가 행해진다.
제어부(405)는 토수 중에 제 1 온도 센서(41)의 검지 결과 및 제 2 온도 센서(42)의 검지 결과를 취득한다. 제 1 온도 센서(41) 및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 아니었을 경우(스텝 S105: 없음),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계속된다(스텝 S106).
제 1 온도 센서(41) 또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었을 경우(스텝 S105: 있음),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고장이 상정된다. 그래서 제어부(405)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한다(스텝 S107). 또한, 제어부(405) 또는 고온 검지부(481)는 급수 제어부(431)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한다(스텝 S108). 또한,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노즐(473)에 급수하는 유로를 폐쇄한다(스텝 S109).
스텝 S107~S109에 의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 그리고 노즐(473)로부터 토수를 행하기 위한 회로가 래치된다(스텝 S110). 즉, 스텝 S110 후에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제어부(405)에 통수 명령이 다시 입력되어도 스텝 S102~S111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아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래치 상태는, 예를 들면 제어부(405)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다시 개시함(전원 재투입)으로써 해제된다. 즉,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인 것에 의해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 상태는 제어부(405)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11 후에는 스텝 S110과 같이 회로는 래치되지 않는다. 즉, 스텝 S111 후에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제어부(405)에 통수 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스텝 S102가 다시 실행된다. 그리고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103~S110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감시부(50)는 다시 제어부(405)의 고장을 진단하고, 제어부(405)는 다시 감시부(50)의 고장을 진단한다. 제어부(405)의 고장 또는 감시부(50)의 고장에 의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 상태는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고,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된다. 이와 같이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이나 노즐(473)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고장 진단부(482)의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제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외란의 노이즈 등에 의해 고장의 오검지가 발생해도 다시 고장 진단을 행하여 토수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111에 의해 토수가 금지되었을 경우에도 위생 세정 장치(100)의 토수에 상관없는 기능(예를 들면, 온풍 건조, 탈취, 변좌 난방 등)은 유효인 채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111에 있어서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되었을 경우, 상태 표시부에 의해 고장이 검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상태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LED, 액정, 유기 EL 등 임의의 통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는, 예를 들면 조작부(500) 또는 케이싱(400) 등에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낸 스텝 S101, S102, 및 S111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에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되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을 개시한다(스텝 S201).
고장 진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우선 감시부(50)에 의해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202).
제어부(405)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03: N), 감시부(50)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스텝 S204). 이에 따라 노즐(473)에 물이 공급되지 않고,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205).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203: Y), 제어부(405)에 의해 감시부(50)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206).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07: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스텝 S208).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205).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207: Y), 제어부(405)에 의해 구동부(51)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209).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10: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스텝 S211).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205).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210: Y),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허가된다(스텝 S212).
이와 같이 제어부(405)와 감시부(50)는 서로 고장 진단을 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 및 감시부(50)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즉시 토수를 금지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202)은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206) 후에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405)에 의한 구동부(51)의 고장 진단(스텝 S209)은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202) 및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206) 후에 행해진다. 이 순서로 각 부의 고장 진단을 행함으로써 제어부(405)에 고장이 없는 것이 확인된 후에 제어부(405)가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고, 효율적인 고장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스텝 S212 후에 도 6에 나타내는 스텝 S103~S110이 실행된다. 또한, 제어부(405) 및 감시부(50)에 의한 상호의 고장 진단은 토수의 개시 전뿐만 아니라 토수 중에도 행해져도 좋다. 토수 중에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도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 및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부(50)는, 예를 들면 집적 회로(로직 IC)(50a)를 포함한다. 제어부(405)로부터 감시부(50)에 제 1 신호(Sig1)가 출력된다. 제 1 신호(Sig1)는, 예를 들면 High 및 Low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이다. 예를 들면,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가 High이면 제어부(405)가 정상(고장 없음)으로 진단하고, 제 1 신호(Sig1)가 Low이면 제어부(405)가 이상(고장 있음)으로 진단한다.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Sig2)로 변환하여 구동부(51)에 출력한다. 제어부(405)의 이상 시(고장 시)에는 제 2 신호(Sig2)에 따라 구동부(51)가 제어되어 급수 제어부(431)가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Sig2)와 마찬가지로 제 3 신호(Sig3)로 변환하여 제어부(405)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감시부(50)의 고장이 진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405)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 1 신호(Sig1)가 이상 시의 신호가 되면 감시부(50)는 바로 구동부(51)를 제어해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구동부(51)의 구성, 동작, 및 고장 진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51)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를 갖는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에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급수 제어부(431),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스위치(51a)는 급수 제어부(431)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스위치(51b)는 제 1 스위치(51a) 및 그라운드(GND)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일 때 급수 제어부(4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이와 같이 직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한쪽의 스위치가 고장 난 경우에도 다른 쪽의 스위치를 오프로 함으로써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스위치(51a)의 온오프의 스위칭 및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는 제 2 스위치(51b)와 접속되어 있다. 감시부(50)는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감시부(50)는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를 스위칭하지만,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시부(50)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오프를 스위칭할 수 있으면 좋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고장 진단에 의해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면 적어도 제 1 스위치(51a)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급수 제어부(4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감시부(50)는 고장 진단에 의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 2 스위치(51b)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51a)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급수 제어부(4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가 제 2 스위치(51b)를 온으로 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있어도 감시부(50)에 의한 제 2 스위치(51b)를 오프로 하는 제어가 우선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는 구동부(51)와 급수 제어부(431) 사이의 전위차에 따른 신호(SigB)가 입력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 시에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을 온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부(51)와 급수 제어부(431) 사이의 전위가 변화되어 신호(SigB)가 변화된다. 신호(SigB)에 의거하여 구동부(51)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예에 비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에 고온 검지부(481)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온 검지부(481)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고온 검지부(481)는, 예를 들면 콤퍼레이터를 포함하는 회로이며,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고온 검지부(481)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이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한다. 예를 들면,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했을 경우, 고온 검지부(481)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는 고온 검지부(481)로부터 고온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 신호에 따라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수납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스위칭부)(53)를 갖는다. 도 11을 참조하여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에 의한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 진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 및 온도 검출부(검출 저항)(R7)가 전원 전압(Vcc)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의 제 2 기능부(405b)나 고온 검지부(481)에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과 온도 검출부(검출 저항)(R7)에 의해 구성된 분압 회로의 출력 전압(V1)이 입력된다. 제어부(405)나 고온 검지부(481)는 출력 전압(V1)에 의거하여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칭 소자의 일단은 전원 전압(Vcc)과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 사이에 접속되고, 스위칭 소자의 타단은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과 온도 검출부(검출 저항)(R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 진단에 있어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의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하여 출력 전압(V1)을 실질적으로 전원 전압(Vcc)과 동일하게 한다. 이에 따라 의사적으로 고온 상태가 제작된다. 즉, 제 2 온도 센서(42)가 고온을 검지했을 때와 마찬가지의 출력 전압(V1)이 고온 검지부(481)에 입력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이때의 고온 검지부(481)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고온 검지부(481)에 의한 급수 제어부(431)의 제어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고온 검지부(481)를 설치함으로써 제어부(405)나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에 만일 문제가 발생해도 고온 검지부(481)에 의해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개시하기 전(예를 들면, 도 5에 관해서 설명한 스텝 S207 후이며 또한 스텝 S212 전)에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에 의해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을 진단한다.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한다.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온도 센서(42)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올바른 온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고온이 되어도 노즐(473)의 토수의 금지가 실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 결과 및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 2 온도 센서(42)가 고장 났을 우려가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고, 고온의 물이 토수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는」이라는 범위에는 측정 편차 정도의 범위 내에서 온도가 변동되어 있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값 이하일 경우에는 온도는 변동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값은 측정 편차 등을 고려해서 적당히 미리 정해지지만, 예를 들면 ±1℃ 정도이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여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해도 좋다. 이 경우, 유로 스위칭부(472)는 세정 유로(21) 이외의 유로를 선택한 상태 또는 상류로부터의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한다. 또는 후술하는 개방식 탱크(434) 및 반송부(436)가 설치된 경우, 제어부(405)는 반송부(436)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이 검지되면 상술한 금지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노즐(473)로부터 인체를 향해서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의 판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우선 위생 세정 장치(10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301). 이 고장 진단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스텝 S202, S206, S209 등이다.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허가된다.
그 후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2). 스텝 S302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A라고 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3). 스텝 S303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B라고 한다.
그 후 급수 제어부(431) 등이 개방 상태가 되어 노즐(473)로의 급수가 개시된다(스텝 S304). 이에 따라 제어부(405)는 타이머에 의해 미리 정한 시간(Tc1)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S305). 시간(Tc1)은, 예를 들면 1초 정도이다. 또한, 이때 가열부(440)에 의한 물의 가열이 행해져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다시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6). 스텝 S306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C라고 한다.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이상일 경우(스텝 S307: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스텝 S308). 미리 정한 값(Tp1)은, 예를 들면 1℃ 정도이다.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일 경우(스텝 S307: No), 시간(Tc1)의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 S306 및 스텝 S307이 반복된다(스텝 S309: No). 시간(Tc1)의 카운트 중에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이상이 되면(스텝 S307: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스텝 S308).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인 채이며, 시간(Tc1)의 카운트가 종료되면(스텝 S309: Yes),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10). 스텝 S310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D라고 한다.
B와 D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2) 이하일 경우(스텝 S311: No), 제어부(405)는 시간(Tc1)의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 S312),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13). B의 값은 스텝 S313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로 갱신된다. 또한, 미리 정한 값(Tp2)은 미리 정한 값(Tp1)보다 크고,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스텝 S313 후에 스텝 S306~S311이 반복된다. 이 반복의 처리는 B와 D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2)보다 커질 때까지 반복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 결과가 시간(Tc1) 동안에 미리 정한 값(Tp2)보다 크게 변화될 때까지 스텝 S306~S311이 반복된다. 또한, 스텝 S311에서는 절대값이 아니라 (D-B)>Tp2를 판정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온도의 상승을 판정해도 좋다.
B와 D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2)보다 커지면(스텝 S311: Yes), 제어부(405)는 미리 정한 시간(Tc2)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S314). 시간(Tc2)은, 예를 들면 10초 정도이다.
시간(Tc2)의 카운트가 종료되어 있지 않을 경우(스텝 S315: No),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16). 스텝 S316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E라고 한다.
E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이상일 경우(스텝 S317: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스텝 S318). E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일 경우(스텝 S317: No), 시간(Tc2)의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 S316 및 S317이 반복된다.
E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인 채 시간(Tc2)의 카운트가 종료되면(스텝 S315: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스텝 S319).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제어하여 폐쇄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값(Tp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스텝 S307)을 실시하고, 제 1 판정 후에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값(Tp2)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스텝 S311)을 실시하고, 제 2 판정 후에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값(Tp1)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스텝 S317)을 실시한다. 즉, 스텝 S307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가 판정된 후에 다시 스텝 S317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가 판정된다. 이때 스텝 S311의 판정에 의해 제 1 온도 센서(41)의 온도는 비교적 크게 변동되어 있다. 즉, 스텝 S317에서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온도가 변동되어 있음에도 상관없이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는다는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미리 정한 값(Tp2)이 미리 정한 값(Tp1)보다 큰 것에 의해 오검지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제 1 값(값(Tp2))보다 크고, 또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제 2 값(값(Tp1))보다 작을 경우,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토수될 우려가 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307, S308과 같이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에 의하지 않고,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제 2 값(값(Tp1)) 이상일 경우, 제 2 온도 센서(42)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이상의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짧게 하거나 제어부(405)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온도의 변화를 기다리지 않고 판정을 종료할 수 있다.
스텝 S317, S318에 있어서도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면, 즉시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의 판정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이상의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짧게 하거나 제어부(405)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이 아니라 제 1 온도 센서(41)의 이상을 검지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어 있으며, 또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온도 센서(41)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해도 좋다.
또한, 노즐(473)의 통수 개시 후 세정의 정지 등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로 할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이상의 판정의 플로우는 도중이어도 중지가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지시하는 신호(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에는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된다(스텝 S401).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되면 스텝 S403에 있어서 급수 제어부(431)가 개방된다. 그 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물의 유로가 스위칭되어 노즐(473)에 급수하는 유로(세정 유로(21))가 개방된다(스텝 S404). 이때 가열부(440)의 히터는 필요에 따라 통전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473)의 토수구(31)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토수가 행해진다.
제어부(405)는 토수 중에 제 1 온도 센서(41)의 검지 결과 및 제 2 온도 센서(42)의 검지 결과를 취득한다. 제 1 온도 센서(41) 및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 아니었을 경우(스텝 S405: 없음),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계속된다(스텝 S406).
제 1 온도 센서(41) 또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었을 경우(스텝 S405: 있음),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고장이 상정된다. 거기에서 제어부(405)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한다(스텝 S407). 또한, 제어부(405) 또는 고온 검지부(481)는 급수 제어부(431)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한다(스텝 S408). 또한,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노즐(473)에 급수하는 유로를 폐쇄한다(스텝 S409).
스텝 S407~S409에 의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 그리고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 토수를 행하기 위한 회로가 래치된다(스텝 S410). 즉, 스텝 S410 후에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제어부(405)에 통수 명령이 다시 입력되어도 스텝 S403~S410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아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래치 상태는, 예를 들면 제어부(405)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다시 개시함(전원 재투입)으로써 해제된다.
또한, 스텝 S407~S410에 있어서는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만을 금지하고, 노즐(473)로의 급수는 금지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노즐(473)은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이면 토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제어부(405)가 신호를 접수한 후,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402). 스텝 S4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402: 있음),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스텝 S411). 스텝 S4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402: 없음),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되지 않은 상태(히터가 통전 가능한 상태)가 유지된다(스텝 S412).
스텝 S402에 있어서의 고장 진단은, 예를 들면 스텝 S403에 있어서 급수가 개시되기 전이나 스텝 S403~S410이 실행되어 있는 사이에 있어서 반복되어 주기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411 후에는 스텝 S410과 같이 회로는 래치되지 않는다. 즉, 스텝 S411 후에 있어서도 스텝 S402가 반복되어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면, 감시부(50)는 다시 제어부(405)의 고장을 진단하고, 제어부(405)는 다시 감시부(50)의 고장을 진단한다. 제어부(405)의 고장 또는 감시부(50)의 고장에 의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 상태는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고,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된다.
스텝 S402의 고장 진단은 스텝 S401 전에 있어서도 반복되어 주기적으로 실행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가열부(440)에 온수 저장식을 사용했을 경우이어도 온수 저장 탱크 내의 물이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하여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411에 있어서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되었을 경우, 상태 표시부에 의해 고장이 검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상태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LED, 액정, 유기 EL 등 임의의 통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는, 예를 들면 조작부(500) 또는 케이싱(400) 등에 설치된다.
도 13에 나타낸 스텝 S401, S402, 및 S411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에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되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을 개시한다(스텝 S501).
고장 진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우선 감시부(50)에 의해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502).
제어부(405)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503: N), 감시부(50)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오프로 유지한다(스텝 S504). 이에 따라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스텝 S505).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503: Y), 제어부(405)에 의해 감시부(50)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506).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507: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오프로 유지한다(스텝 S508). 이에 따라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스텝 S505).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507: Y), 제어부(405)에 의해 구동부(51)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509).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510: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오프로 유지한다(스텝 S511). 이에 따라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스텝 S505).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510: Y),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이 허가된다(스텝 S512).
이와 같이 제어부(405)와 감시부(50)는 서로 고장 진단을 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 및 감시부(50)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즉시 가열을 금지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502)은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506) 후에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405)에 의한 구동부(51)의 고장 진단(스텝 S509)은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502) 및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506) 후에 행해진다. 이 순서로 각 부의 고장 진단을 행함으로써 제어부(405)에 고장이 없는 것이 확인된 후에 제어부(405)가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고, 효율적인 고장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예는 구동부(51)가 가열부(440)와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도 8에 나타낸 예와 상이하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어부(405)의 이상 시(고장 시)에 제 2 신호(Sig2)에 따라 구동부(51)가 제어되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이 오프가 된다.
또한,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Sig2)와 마찬가지로 제 3 신호(Sig3)로 변환하여 제어부(405)에 출력한다. 제어부(405)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 1 신호(Sig1)가 이상 시의 신호가 되면, 감시부(50)는 바로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할 수 있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예는 구동부(51)가 가열부(440)와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도 9에 나타낸 예와 상이하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류 전원, 가열부(440)의 히터,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일 때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이 오프가 된다. 즉,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직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한쪽의 스위치가 고장 난 경우에도 다른 쪽의 스위치를 오프로 함으로써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고장 진단에 의해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면 적어도 제 1 스위치(51a)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이 오프가 된다.
감시부(50)에는 구동부(51)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신호(SigB)가 입력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 및 감시부(50)는 신호(SigB)에 의거하여 구동부(51)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부(440)가 물을 가열하지 않는 오프일 때에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은 오프이다. 이 경우, 구동부(51)의 고장 진단에 있어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을 온오프시킨다.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부(51)에 전류가 흘러 신호(SigB)가 변화된다. 제어부(405) 및 감시부(50)는 신호(SigB)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가열부(440)가 오프일 때에는, 예를 들면 제어부(405)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클럭 주기마다 상기 고장 진단을 행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51)의 고장을 바로 검출할 수 있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시(위생 세정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제어부(405)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저소비 전력의 슬립 모드가 되어 고장 진단의 기능을 정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슬립 모드 중에 구동부(51)에 고장이 발생하여 신호(SigB)가 변화되면 감시부(50)는 신호(SigB)에 의거한 신호를 제어부(405)에 보낸다. 제어부(405)는 그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고장 진단을 바로 행한다. 그리고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
한편, 가열부(440)가 온일 때에는 히터에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가 온이 된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가 가열을 위해 온일 때에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를 온오프시키는 고장 진단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가열부(440)가 온일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출력에 따라 고장 진단을 행한다. 이것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7(a)~도 17(e)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7(a)는 가열부(440)의 히터와 접속된 교류 전원의 전위(V)를 나타낸다. 교류 전원은, 예를 들면 50㎐ 또는 60㎐의 전원이 사용된다.
도 17(b)는 가열부(440)의 히터가 제 1 출력으로 구동될 경우의 가열부(440)의 히터의 전력(W)을 나타낸다.
도 17(c)는 도 17(b)의 경우에 있어서의 고장의 진단이 실행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7(d)는 가열부(440)의 히터가 제 2 출력으로 구동될 경우의 가열부(440)의 히터의 전력(W)을 나타낸다. 또한, 제 2 출력은 제 1 출력보다 크다.
도 17(e)는 도 17(d)의 경우에 있어서의 고장의 진단이 실행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7(b) 및 도 1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40)의 히터는 패턴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패턴 제어는 교류 전원의 반파를 1단위로 한 제어이며, 반파단위로 히터의 통전과 비통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교류 전원의 16반파를 1주기로 하여 1반파마다 히터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도 17(b)에 있어서는 2반파의 온과 2반파의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는 패턴 제어가 실행되어 있다. 도 17(d)에 있어서는 6반파의 온과 2반파의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는 패턴 제어가 실행되어 있다. 반파가 온일 때에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는 온이며, 반파가 오프일 때에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는 오프이다.
이와 같이 가열부(440)의 히터의 패턴 제어에 있어서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가 오프가 되는 기간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그래서 도 17(c) 및 도 1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가 오프가 되는 기간에 상술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즉, 히터의 출력에 따른 반파가 오프가 되는 주기로 고장 진단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가열부(440)의 히터의 출력이 커지면 반파가 오프가 되는 빈도가 낮아진다. 그 때문에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고장 진단의 주기(P)가 길어진다. 단, 주기(P)는 가열부(440)가 미리 정한 통상 온도(Tn)로부터 미리 정한 고온(Th)까지 물을 가열하는데에 요하는 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이 고온이 되기 전에 고장을 검지하기 쉬워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온도(Tn)는 통상 시(고장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 가열부(440)가 가열을 개시하는 물의 온도의 최대값에 의거하여 적당히 정해진다. 고온(Th)은 통상 온도(Tn)보다 높은 온도이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온도나 화상이 발생하는 온도에 의거하여 적당히 정해진다.
예를 들면, 가열부(440)가 온수 저장식일 경우, 통상 시의 온수 저장 탱크 내의 수온의 최대값은 40℃ 정도이기 때문에 통상 온도(Tn)를 40℃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고온(Th)을 60℃, 온수 저장 탱크 내의 물의 양을 600cc, 가열부(440)의 히터의 출력을 450W로 한다. 이때 가열부(440)가 온수 저장 탱크 내의 물을 통상 온도(Tn)로부터 고온(Th)까지 가열하는데에 요하는 시간은 4.2×(온수 저장 탱크 내의 물의 무게(g))×(ΔT(℃))/(히터의 출력(W))=4.2×600×20/450에 의해 약 112초로 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고장 진단의 주기(P)는 112초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ΔT는 고온(Th)과 통상 온도(Tn)의 차(=60-40)이며, 1칼로리(cal)=4.2줄(J)이다.
가열부(440)가 통상 온도(Tn)로부터 고온(Th)까지 물을 가열하는데에 요하는 시간이 패턴 제어에 있어서의 반파가 오프가 되는 주기보다 짧을 경우에는 적당히 반파를 오프로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그 기간에 고장 진단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b) 및 도 17(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각(T1)에 있어서 가열부(440)가 오프로부터 온이 되어 패턴 제어가 개시된다. 이때 도 17(c) 및 도 1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T1)의 직전에 있어서 고장 진단을 실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가열부(440)에 있어서 물이 고온이 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에는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된다(스텝 S601).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602). 스텝 S6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603~S610, S612, S613이 실행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스텝 S611). 예를 들면,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보울(801) 내로 진출하는 것이 금지된다. 스텝 S601과 스텝 S603 사이에 있어서 스텝 S602가 실시됨으로써 고온의 물이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603에 있어서 급수 제어부(431)가 개방된다. 그 후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에 의해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가 된다(스텝 S604). 예를 들면,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보울(801) 내로 진출한다. 그리고 노즐(473)의 토수구(31)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토수가 행해진다.
제 1 온도 센서(41) 및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 아니었을 경우(스텝 S605: 없음),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계속된다(스텝 S606). 토수의 계속 중(스텝 S606)에 있어서도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612). 스텝 S61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612: 없음), 토수가 계속된다(스텝 S606).
스텝 S61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612: 있음),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스텝 S613). 예를 들면,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을 케이싱(400) 내로 후퇴시킨다. 그 후 위생 세정 장치(100)는 스텝 S601로 되돌아온다.
제 1 온도 센서(41) 또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었을 경우(스텝 S605: 있음),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고장이 상정된다. 그래서 제어부(405)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한다(스텝 S607). 또한, 제어부(405) 또는 고온 검지부(481)는 급수 제어부(431)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한다(스텝 S608). 또한, 제어부(405)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한다(스텝 S609).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노즐 모터(476)를 제어하여 노즐(473)을 케이싱(400) 내로 후퇴시킨다.
스텝 S607~S609에 의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 그리고 노즐(473)로부터 토수를 행하기 위한 회로가 래치된다(스텝 S610).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인 것에 의해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 및 토수구(31)의 인체 국부로의 노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 상태는 제어부(405)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스텝 S611 후에는 스텝 S610과 같이 회로는 래치되지 않는다.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603~S610, S612, S613이 실행된다. 제어부(405)의 고장또는 감시부(50)의 고장에 의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토수구(31)의 인체 국부로의 노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 상태는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고,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된다.
또한, 스텝 S611에 있어서 토수구(31)의 인체 국부로의 노출이 금지되었을 경우 상태 표시부에 의해 고장이 검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상태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LED, 액정, 유기 EL 등 임의의 통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는, 예를 들면 조작부(500) 또는 케이싱(400) 등에 설치된다.
도 18에 나타낸 스텝 S601, S602, 및 S611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에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되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을 개시한다(스텝 S701).
고장 진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우선 감시부(50)에 의해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702).
제어부(405)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703: N), 감시부(50)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스텝 S704). 이에 따라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스텝 S705). 예를 들면, 노즐(473)이 케이싱(400) 내로부터 진출하는 것이 금지된다.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03: Y), 제어부(405)에 의해 감시부(50)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706).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707: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스텝 S708). 이에 따라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스텝 S705).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07: Y), 제어부(405)에 의해 구동부(51)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709).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710: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스텝 S711). 이에 따라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스텝 S705).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710: Y),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허가된다(스텝 S712). 예를 들면, 노즐(473)이 케이싱(400) 내로부터 진출하는 것이 허가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5)와 감시부(50)는 서로 고장 진단을 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 및 감시부(50)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를 금지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702)은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706) 후에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405)에 의한 구동부(51)의 고장 진단(스텝 S709)은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702) 및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706) 후에 행해진다. 이 순서로 각 부의 고장 진단을 행함으로써 제어부(405)에 고장이 없는 것이 확인된 후에 제어부(405)가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고, 효율적인 고장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스텝 S712 후에 도 18에 나타내는 스텝 S603~S610, S612, S613이 실행된다. 또한, 제어부(405) 및 감시부(50)에 의한 상호의 고장 진단은 토수의 개시 전 뿐만 아니라 토수 중에도 행해져도 좋다(스텝 S612). 토수 중에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도 노즐(473)로부터의 인체 국부를 향한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613).
도 2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예는 구동부(51)가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와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도 8에 나타낸 예와 상이하다. 도 20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어부(405)의 이상 시(고장 시)에는 제 2 신호(Sig2)에 따라 구동부(51)가 제어된다. 구동부(51)에 의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가 제어되어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Sig2)와 마찬가지로 제 3 신호(Sig3)로 변환하여 제어부(405)에 출력한다. 제어부(405)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 1 신호(Sig1)가 이상 시의 신호가 되면 감시부(50)는 바로 구동부(51) 및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를 제어해서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51)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를 갖는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에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스위치(51a)는 전원 전압(Vcc) 및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스위치(51b)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 및 그라운드(GND)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일 때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의 동작이 금지되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에 의해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직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한쪽의 스위치가 고장 난 경우에도 다른 쪽의 스위치를 오프로 함으로써 토수구(31)의 인체 국부로의 노출을 금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 국부로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고장 진단에 의해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면 적어도 제 1 스위치(51a)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의 동작이 금지된다.
감시부(50)는 고장 진단에 의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 2 스위치(51b)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51a)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의 동작이 금지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와 제 2 스위치(51b) 사이의 전위차에 따른 신호(SigB)가 입력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에 있어서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각각을 온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와 제 2 스위치(51b) 사이의 전위가 변화되어 신호(SigB)가 변화된다. 신호(SigB)에 의거하여 구동부(51)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도 2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고온 검지부(481)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이면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을 금지한다. 예를 들면,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한 경우, 고온 검지부(481)는 구동부(51)에 의해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를 제어하여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는 고온 검지부(481)로부터 고온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 신호에 따라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도 2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유로 스위칭부의 설명도이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고정 디스크(스테이터)(80)와, 가동 디스크(로터)(82)와, 하우징(84)을 갖는다.
고정 디스크(80)는, 예를 들면 원판형상이며, 앞면(80a)(상류측을 향하는 면)과, 앞면(80a)의 반대측의 배면(80b)(하류측을 향하는 면)을 갖는다. 고정 디스크(80)는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의 유로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포트(개구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세정 유로(21)와 연통하는 포트, 바이패스 유로(24)와 연통하는 포트, 및 분무용 유로(25)와 연통하는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디스크(82)는, 예를 들면 고정 디스크(80)와 같은 정도의 지름을 갖는 원판형상이다. 가동 디스크(82)는 고정 디스크(80)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가동 디스크(82)는 고정 디스크(80)의 앞면(80a)에 접촉한다. 가동 디스크(82)는 앞면(80a)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이하, 회전축(RA)이라고 칭한다)으로 앞면(80a)상에서 슬라이딩 회전한다. 가동 디스크(82)는 고정 디스크(80)의 1개의 포트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가동 디스크(82)의 개구부가 고정 디스크(80)의 1개의 포트와 겹치면 고정 디스크(80)의 다른 포트가 가동 디스크(82)에 의해 폐색된다. 이에 따라 가동 디스크(82)의 개구부와 겹친 1개의 포트에만 통수가 가능해진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수 가능해지는 포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선택하는 포트에 따라 세정 유로(21), 바이패스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 중 어느 하나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하우징(84)은, 예를 들면 통형상이며, 내부의 공간에 고정 디스크(80) 및 가동 디스크(82)를 수용한다. 하우징(84)은 가동 디스크(8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84)의 가동 디스크(82)보다 상류측의 내부 공간은 유로 스위칭부(472)의 상류측의 급수로(20)와 접속되어 있다. 상류측의 급수로(20)를 통해 공급된 물은 하우징(84)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가동 디스크(82) 및 고정 디스크(80)를 통해 각 부에 공급된다.
도 23의 예에 있어서 구동부(51)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전동기를 갖고, 가동 디스크(82)에 대하여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킨다. 구동부(51)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405)의 제어에 의거하여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킨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를 구동해서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켜 고정 디스크(80)의 각 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물의 행선지를 스위칭한다.
또한, 구동부(51)는 누수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기구이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 스위칭부(472)는 고정 디스크나 가동 디스크를 갖는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를 스위칭할 수 있는 임의의 기구이면 좋다. 예를 들면, 유로 스위칭부(472)에 3방 밸브 등을 이용해도 좋다.
도 24(a)~도 24(d)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상태 스위칭부의 설명도이다.
도 24(a)는 제 1 상태(노즐(473)의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4(b)~도 24(d)는 제 2 상태(노즐(473)의 토수구(31)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상태는 노즐(473)이 전방으로 진출하여 토수구(31)로부터 상방을 향한 토수가 가능한 상태이다.
도 24(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로서 노즐 모터(476)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이 후퇴한다. 이에 따라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24(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덮개(493)와,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로서의 노즐 덮개 모터(492)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덮개 모터(492)는 토수구(31) 상으로 덮개(493)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24(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로서 노즐 회전 모터(491)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회전 모터(491)는 노즐(473)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토수구(31)를 하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 의하면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10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위생 세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서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로의 급수를 포함한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의 공급의 차단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이 금지된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부(440)에 의한 물의 가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가열부(440)에 의한 물의 가열이 금지된다.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에 의한 토수구(31)의 인체 국부를 향한 노출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고장 검지 시에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470)에 의한 토수구(31)의 인체 국부를 향한 노출이 금지된다.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1)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부품이 고장 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보호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 진단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상기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
구성 2에 있어서,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 공급의 차단을 더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4)
구성 2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5)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 물을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상기 물의 반송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6)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와, 상기 노즐 이외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7)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한 상기 물의 가열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8)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와,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스위칭하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 상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토수구의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한 노출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9)
구성 8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기 상태는 상기 노즐이 진출한 상태이며,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상태는 상기 노즐이 후퇴한 상태인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0)
구성 4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급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1)
구성 10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2)
구성 2 내지 4, 10 및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상기 노즐로의 급수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3)
구성 2 내지 4 및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4)
구성 11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5)
구성 14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6)
구성 5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상기 물의 반송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7)
구성 16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노즐로의 상기 물의 반송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8)
구성 5, 16, 또는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상기 노즐로의 급수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19)
구성 5 및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노즐로의 상기 물의 반송이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0)
구성 17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1)
구성 20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2)
구성 6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유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3)
구성 22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4)
구성 6, 22, 또는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상기 노즐로의 급수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5)
구성 6 및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6)
구성 23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7)
구성 26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8)
구성 7에 있어서,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가열부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29)
구성 28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부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0)
구성 7, 28, 또는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가열부가 미리 정한 통상 온도로부터 미리 정한 고온까지 물을 가열하는데에 요하는 시간보다 짧은 주기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1)
구성 7 및 28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가열부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2)
구성 29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가열부에 있어서의 가열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3)
구성 32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가열부에 있어서의 가열이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4)
구성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5)
구성 34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6)
구성 8, 9, 34, 또는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상기 노즐로의 급수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7)
구성 8, 9, 및 34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8)
구성 35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구성 39)
구성 38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는 것이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가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부품이 고장 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보호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 진단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상기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금지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로의 전력 공급의 차단을 더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물을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상기 물의 반송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와, 상기 노즐 이외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한 상기 물의 가열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태와,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스위칭하는 노즐 상태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수에 관한 동작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 상태 스위칭부에 의한 상기 토수구의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한 노출을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된 상기 상태는 상기 노즐이 진출한 상태이며,
    상기 토수구가 상기 인체 국부를 향해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상태는 상기 노즐이 후퇴한 상태인 위생 세정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의 상기 물이 상기 노즐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를 갖고,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급수 제어부에 의한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전자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갖고,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은 상기 노즐로의 급수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상기 노즐로의 급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고장 진단부를 사용한 진단을 다시 행하여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토수 회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를 금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온도가 미리 정한 상기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노즐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상기 보호 전자 회로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80109457A 2017-09-28 2018-09-13 위생 세정 장치 KR102100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8896A JP6274594B1 (ja) 2017-09-28 2017-09-28 衛生洗浄装置
JPJP-P-2017-188896 2017-09-28
JPJP-P-2017-188893 2017-09-28
JP2017188892A JP6281732B1 (ja) 2017-09-28 2017-09-28 衛生洗浄装置
JPJP-P-2017-188892 2017-09-28
JP2017188893A JP6281733B1 (ja) 2017-09-28 2017-09-28 衛生洗浄装置
JPJP-P-2018-013814 2018-01-30
JP2018013815A JP6677933B2 (ja) 2018-01-30 2018-01-30 衛生洗浄装置
JP2018013814A JP6671642B2 (ja) 2018-01-30 2018-01-30 衛生洗浄装置
JPJP-P-2018-013815 201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111A true KR20190037111A (ko) 2019-04-05
KR102100154B1 KR102100154B1 (ko) 2020-04-13

Family

ID=6364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457A KR102100154B1 (ko) 2017-09-28 2018-09-13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7333B2 (ko)
EP (1) EP3461962A1 (ko)
KR (1) KR102100154B1 (ko)
CN (1) CN109577440B (ko)
MY (1) MY191949A (ko)
TW (1) TWI736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223292B2 (ja) * 2020-12-17 2023-02-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23031550A (ja) * 2021-08-25 2023-03-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N216739902U (zh) * 2021-12-29 2022-06-14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坐便器电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508A (ja) * 1993-12-29 1995-08-01 Toto Ltd トイレ用洗浄装置
JP2003268843A (ja) * 2002-03-14 2003-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560A (en) * 1978-12-28 1980-12-09 Rusco Industries, Inc. Bidet system and water tank therein
US4370764A (en) * 1981-03-31 1983-02-01 Toto, Ltd. Topical washing device
WO1997030619A1 (fr) * 1996-02-26 1997-08-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douche-bain et diffuseur
TW373047B (en) * 1997-04-02 1999-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washing human private
JP3859153B2 (ja) * 2003-04-07 2006-12-20 勲 武永 便器用の身体洗浄ユニット
JP4474867B2 (ja) * 2003-08-05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とそれを備えたトイレ装置
EP1669688B1 (en) * 2003-08-05 2015-09-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luid heat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WO2010013488A1 (ja) * 2008-08-01 2010-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TW201008538A (en) * 2008-08-19 2010-03-01 Duan Yao Control device of computer toilet seat
JP5289192B2 (ja) * 2009-05-28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故障検出方法
RU2013122775A (ru) * 2010-10-19 2014-11-27 Пресано Аг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огревания воды для унитаза-биде
US20180038089A1 (en) * 2014-12-19 2018-02-08 Jabil Circuit,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monitoring and controlling bodily waste receptacles
CN106869274A (zh) * 2017-03-24 2017-06-20 中山市美图塑料工业有限公司 一种具有人体血压检测功能的马桶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165242A (zh) * 2017-07-13 2017-09-15 黄贤斌 一种智能坐便器清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508A (ja) * 1993-12-29 1995-08-01 Toto Ltd トイレ用洗浄装置
JP2003268843A (ja) * 2002-03-14 2003-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36795B (zh) 2021-08-21
KR102100154B1 (ko) 2020-04-13
US10907333B2 (en) 2021-02-02
US20190093330A1 (en) 2019-03-28
TW201920816A (zh) 2019-06-01
MY191949A (en) 2022-07-20
CN109577440A (zh) 2019-04-05
CN109577440B (zh) 2021-07-27
EP3461962A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35B1 (ko) 위생 세정 장치
KR20190037111A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961634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274594B1 (ja) 衛生洗浄装置
JP6677933B2 (ja) 衛生洗浄装置
JP6281732B1 (ja) 衛生洗浄装置
JP6671642B2 (ja) 衛生洗浄装置
JP6281733B1 (ja) 衛生洗浄装置
JP7223291B2 (ja) 衛生洗浄装置
JP7223290B2 (ja) 衛生洗浄装置
EP4124697A1 (en) Toilet device
KR20200086441A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CN116892238A (zh) 卫生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