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883A -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 Google Patents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883A
KR20190036883A KR1020170126326A KR20170126326A KR20190036883A KR 20190036883 A KR20190036883 A KR 20190036883A KR 1020170126326 A KR1020170126326 A KR 1020170126326A KR 20170126326 A KR20170126326 A KR 20170126326A KR 20190036883 A KR20190036883 A KR 2019003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ervical spine
protector
air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505B1 (ko
Inventor
황인규
김현태
정덕남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7012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16Inflatable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는, 환자의 목에 씌워 경추를 보호하기 위한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로서, 환자의 턱밑에 위치하는 턱 보호부와, 상기 턱 보호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환자의 기도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U자형 앞목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방 보호대; 환자의 뒷목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지지대; 및 일단이 각각 상기 경추 지지대의 양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전방 보호대의 상기 앞목 보호부에 고정된 둘레 조절 장치에 체결되어, 상기 경추 지지대와 상기 전방 보호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결 타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타이의 타단에는 래크부가 형성되고, 각 체결 타이의 타단은 상기 둘레 조절 장치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둘레 조절 장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피니언 결합부에 상기 래크부가 기어 결합되며, 상기 둘레 조절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피니언 결합부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체결 타이가 상기 둘레 조절 장치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앞목 보호부와 상기 경추 지지대 사이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한다.

Description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PATIENT ADAPTABLE CERVICAL COLLAR}
본 발명은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로 경추가 손상된 환자에 대하여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둘레 사이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 보호대는 교통사고, 추락 등과 같은 각종 사고로 인해 경추 부위에 손상을 입은 응급환자를 이송하거나 의식불명의 환자에 대하여 경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추를 고정시켜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어 사고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경추 안으로 나 있는 척수강은 척수와 경추신경이 통과하는데, 뇌에서 사지로 전달되는 운동신경과 사지 및 몸통의 각 기관에서 뇌로 전달되는 감각신경들이 척수로 연결되어 경추강을 통과한다. 또 심장 박동과 호흡을 조절하고 소화를 하게 하는 자율신경이 경추 전면 주위로 지나가는데 이러한 경추에 골절이나 탈구가 일어날 경우에는 사망하거나 사지가 마비될 수 있으므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경추 보호대는 응급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구조대가 언제든지 환자의 경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의료 보조기구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428호(2013년 4월 17일 공고) "견인기능을 지는 경추보호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경추 보호대는 경추에 고정하여 경추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 기존에는 응급 처치용 경추 보호대가 환자의 목에 맞게 착용될 수 있도록, 목 둘레 길이의 조절 기능이 구비된 경추 보호대가 나와 있었다. 또, 환자의 목 길이에 맞게 선택 사용하도록 목 길이를 기준으로 상중하의 크기로 제품이 구분되어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응급 사고시에 구조 대원은 환자의 경추를 타이트하게 고정시키는 것과 함께, 환자에게 경추 보호대를 신속하게 착용시키는 것도 중요한데, 환자마다 신체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출동시에 다양한 사이즈의 경추 보호대를 준비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경우, 경추 보호대를 환자에게 착용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목 길이를 목측 및 손가락으로 대략적으로 측정한 후, 적절한 사이즈의 경추 보호대를 선택하여야 한다. 만일 보호대가 목 길이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라면 다시 다른 경추 보호대로 바꾸어서 착용시켜야 하는 등, 응급 처치의 효율성과 신속한 조치를 저해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보호대를 환자에게 착용 시에도 환자의 목과 경추 보호대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존재하여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경추 보호대를 착용시키는 과정에서 시간을 허비하게 하여 결과적으로는 응급 구조의 골든 타임을 놓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의 경추 사이즈와 상관없이 환자 맞춤식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경추 보호대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 보호대의 둘레 사이즈 및 높이를 신속하게 조절 가능한 경추 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마다 경추의 크기나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단일의 장비만으로 개별 환자의 경추 치수에 정밀하게 맞춤 고정이 가능한 경추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는 환자의 목에 씌워 경추를 보호하기 위한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로서, 환자의 턱밑에 위치하는 턱 보호부와, 상기 턱 보호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환자의 기도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U자형 앞목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방 보호대; 환자의 뒷목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지지대; 및 일단이 각각 상기 경추 지지대의 양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전방 보호대의 상기 앞목 보호부에 고정된 둘레 조절 장치에 체결되어, 상기 경추 지지대와 상기 전방 보호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결 타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타이의 타단에는 래크부가 형성되고, 각 체결 타이의 타단은 상기 둘레 조절 장치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둘레 조절 장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피니언 결합부에 상기 래크부가 기어 결합되며, 상기 둘레 조절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피니언 결합부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체결 타이가 상기 둘레 조절 장치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앞목 보호부와 상기 경추 지지대 사이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추 지지대의 내측에 구비되고, 공기 주입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는 에어 튜브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튜브 벨트는 신축성 커버 부재 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에어백이 복수 개 구비되어 구성되고, 이웃하는 에어백끼리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공기 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최하방의 제1단의 에어백부터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에어백은 수축상태에서는 상기 신축성 커버 부재의 조임에 의해 연쇄적으로 중첩되어 서로 포개어지고, 제1단의 에어백에 공기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종방향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상방의 에어백에 유입되면서 제2단의 에어백에서부터 최상방의 에어백까지 순차적으로 팽창하며, 상기 팽창에 의해 상기 에어 튜브 벨트는 상방으로 높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튜브 벨트에는 상측 및 하측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의 풀리와 하측의 풀리에 교차하도록 와이어가 걸리며, 상기 에어 튜브 벨트의 양측에서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상기 에어 튜브 벨트가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경추 보호대에 따르면, 경추 보호대의 높이 및 둘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단일의 장비로도 신체 조건이 다른 환자에 대한 맞춤 고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응급 구조를 위해 각기 다른 사이즈의 경추 보호 장비를 모두 휴대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또한, 경추 보호대의 높이 및 둘레 길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응급처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추 보호대 내부에 공기주입식 에어 튜브 벨트가 내장되어 있어, 환자의 경추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경추를 확실히 보호함으로써, 환자의 2차 손상 방지와 소생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만곡 조절 장치(117)를 회전 조작하여 에어 튜브 벨트(170)의 만곡도를 조절함으로써, 에어 튜브 벨트(170)가 환자의 후두부에 보다 타이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에어 튜브 벨트의 수축 상태 및 팽창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에어 튜브 벨트를 구성하는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체결 타이의 래크부와 둘레 조절 장치의 피니언 결합부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둘레 조절 장치 내부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부분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정면도, 도 2는 경추 보호대의 사시도, 도 3은 경추 보호대의 측면도, 도 4는 경추 보호대의 분해도, 도 5는 경추 보호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에어 튜브 벨트의 수축 상태 및 팽창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에어 튜브 벨트를 구성하는 에어백의 사시도, 도 8은 체결 타이의 래크부와 둘레 조절 장치의 피니언 결합부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둘레 조절 장치 내부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목에 씌워 경추를 보호하기 위한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100)로서, 전방 보호대(110), 경추 지지대(130), 체결 타이(150)를 포함한다.
전방 보호대(110)는 환자의 턱밑에 위치하는 턱 보호부(111)와, 턱 보호부(111)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환자의 기도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U자형 앞목 보호부(113)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턱 보호부(111)는 환자의 턱밑을 감싸도록 외형이 만곡된 구조이고, 내측으로 충격 완충용 쿠션부(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앞목 보호부(113)는 턱 보호부(111)에 고정되고 예컨대 쇄골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된다.
경추 지지대(130)는 환자의 뒷목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경추를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뒷목을 되도록 넓은 영역에서 감싸도록 외형이 만곡된 구조이고, 내측으로 후술하는 에어 튜브 벨트(170)를 구비한다.
전방 보호대(110)와 경추 지지대(130)는 한 쌍의 체결 타이(15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체결 타이(150)는 본 발명의 경추 보호대(10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체결 타이(150)는 일단이 각각 경추 지지대(130)의 양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전방 보호대(110)의 앞목 보호부(113)에 고정된 둘레 조절 장치(115)에 체결된다. 즉, 체결 타이(150)의 일단은 경추 지지대(130)에 위치 고정되고, 타단은 사용자의 조작으로 둘레 조절 장치(115) 안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삽입 또는 배출 조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둘레 조절 장치(115)에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 이외에도, 하나의 체결 타이(150)는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경추 지지대(130)와 둘레 조절 장치(115)에 위치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 타이(150)만 삽입 또는 배출 조절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둘레 조절 장치(115)는 앞목 보호부(113)와 경추 지지대(130) 사이의 내경의 크기, 즉 목 둘레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둘레 조절 장치(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앞목 보호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둘레 조절 장치(115) 내에서는 체결 타이(150)가 후술하는 피니언 결합부(116)에 기어 결합되어 있는데, 체결 타이(150)를 피니언 결합부(116)에 조이거나 풀어서 목 둘레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타이(150)의 타단에는 래크부(151)가 형성되고, 각 체결 타이(150)의 타단은 둘레 조절 장치(115)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삽입된다. 삽입된 래크부(151)는 둘레 조절 장치(115)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피니언 결합부(116)에 기어 결합된다. 도 8은 체결 타이(150)의 래크부(151)와 둘레 조절 장치(115)의 피니언 결합부(116)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둘레 조절 장치(115) 내부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래크부(151)는 피니언 결합부(116)의 반대측에서 기어 결합된다. 즉, 좌측 체결 타이(150)의 래크부(151)는 체결 타이(150)의 상측에 형성되고, 우측 체결 타이(150)의 래크부(151)는 체결 타이(150)의 하측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이들 체결 타이(150)는 피니언 결합부(116)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기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 결합부(11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체결 타이(150)가 동시에 둘레 조절 장치(115)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동시에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피니언 결합부(116)는 둘레 조절 장치(115)의 외부에 설치된 다이얼에 연결되어 있어, 둘레 조절 장치(115)의 외부에서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피니언 결합부(116)가 회전 조작되고, 이에 의해 체결 타이(150)가 둘레 조절 장치(115)에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이와 같이, 목 둘레 사이즈의 조절의 경우, 다이얼을 제1 방향으로 돌리면 플라스틱 소재의 래크 기어가 피니언 결합부(116)에 견인되어 조여지고, 다이얼을 반대의 제2 방향으로 돌리면 견인이 해제되어 서서히 풀어진다. 물론, 하나의 체결 타이(150)는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경추 지지대(130)와 둘레 조절 장치(115)에 위치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 타이(150)만 삽입 또는 배출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피니언 결합부(116)의 외부에는 하나의 다이얼이 피니언 결합부(116)에 부착되어 다이얼의 회전에 방향에 따라 피니언 결합부가 종동하여 회전되는 형태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는, 도 8의 하방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별개의 다이얼이 결합된 형태도 가능하다. 즉, 다이얼 B를 푸시하여 다이얼 B의 핀을 다이얼 A의 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두 개의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맞물린 피니언 결합부가 회전하고, 푸시를 해제하면 다이얼 A와 다이얼 B가 원래대로 결합 해제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100)는 경추 지지대(130)의 내측에 구비되고, 공기 주입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는 에어 튜브 벨트(170)를 더 포함한다. 에어 튜브 벨트(170)는 경추 지지대(1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며, 이하에서는 에어 튜브 벨트(170)의 구조와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100)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 벨트(170)는 신축성 커버 부재(171)와 신축성 커버 부재(171) 내에 안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다단의 에어백(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부재(171)는 신축성을 띠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171)는 에어백(173)을 감싸 보호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평상시에 에어백(173)을 조여주어 에어백(173)에서 공기가 배출될 때, 에어백(173)을 자연스럽게 수축상태로 복귀시킨다.
에어백(17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복수의 에어백(173)이 수직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에어백(173)끼리는 서로 연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100)의 에어 튜브 벨트(170)의 수축 상태 및 팽창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 도 7은 에어 튜브 벨트(170)를 구성하는 에어백(173)의 사시도이다. 도 6의 상측 도면과 같이 다단의 에어백(173)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되면 이웃하는 에어백(173)끼리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최하단의 에어백(173)에 공기를 주입하면, 하단의 에어백(173)에서부터 최상단의 에어백(173)에 이르기까지 에어백(173)이 순차적으로 팽창된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백이 서로 겹쳐진 영역에서는 공기 주입에 의한 팽창량이 상대적으로 커서, 겹쳐진 에어백을 서로 밀어내게 된다. 모든 에어백(173)이 팽창된 상태에서는 도 6의 아래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 밸트(170)가 높이 방향으로 수직 확장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백(173)은 평상시에 신축성 커버 부재(171)에 의해 조임을 받고 있어서, 에어백(173)에 주입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면 스스로 수축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팽창 시에 높이 방향으로 수직 확장된 것과 반대로, 복수의 에어백(173)은 수축 시에는 높이 방향으로 수직 수축한다. 그리하여, 도 6의 상측 도면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쇄적으로 중첩되어 서로 포개어진다. 또한, 복수의 에어백(173)은 이웃하는 에어백(173)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공기 유로(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경추 보호대(100)에는 에어 튜브 벨트(170)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 장치(190)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 장치(190)와 연결관은 앞목 보호부(113)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주입 장치(190)는 연결관이 에어백(173)과 연결되는데, 공기의 주입은 최하방에 위치한 제1단의 에어백(173)부터 이루어진다. 반복 펌핑으로 최하방의 제1단의 에어백(173)에 공기의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가 상방에 위치한 인접 에어백(173)으로 유입되고, 상방의 에어백(173)에 공기의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가 그 상방의 인접 에어백(173)에 유입된다. 이렇게 하여 제1단의 에어백(173)에서부터 최상방의 에어백(173)까지 순차적으로 팽창하며, 이러한 팽창에 의해 에어 튜브 벨트(170)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높이 확장된다. 상술한 에어백(173)에 의한 순차적인 높이 상승 구조에 따르면 높이 고정 능력이 우수하여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환자의 목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 주입 장치(190)의 펌핑량을 조절함으로써 에어 튜브 벨트(170)의 팽창 높이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개별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맞춤 사용이 가능하다.
환자의 목에 경추 보호대(100)를 씌워 착용시킨 이후, 둘레 조절 장치(115)를 조작하여 목 둘레에 맞도록 앞목 보호부(113)와 경추 지지대(130) 사이의 내경을 조절 가능하고, 이어서, 에어 펌핑으로 에어 튜브 벨트(170)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면 전술한 에어백(173)의 수직 확장 메커니즘에 의해 환자의 목의 높이에 맞도록 경추 보호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호대의 정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추 보호대(100)에는, 에어 튜브 벨트(170)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홀(181)이 타공되고, 상측의 홀과 하측의 홀에 교차하도록 와이어(183)가 걸린다. 에어 튜브 벨트(170)의 양측에는 각각 와이어(183)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체결 피스(160)를 통해 만곡 조절 장치(117)에 체결된다. 만곡 조절 장치는 전술한 둘레 조절 장치(115)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래크부(160)가 만곡 조절 장치(117)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만곡 조절 장치(117)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피니언 결합부에 래크부가 기어 결합되며, 만곡 조절 장치(117)의 외부에서 피니언 결합부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양측의 와이어(183)가 만곡 조절 장치(117)에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와이어(183)가 감기면서 잡아당겨지면 에어 튜브 벨트(170)가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형태 변형될 수 있다. 에어 튜브 벨트(170)를 팽창 상태에서 내측으로 만곡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에어 튜브 벨트(170)가 환자의 후두부에 보다 타이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 튜브 벨트(170)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에는 홀(181) 대신, 복수의 풀리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와이어(183)가 S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게 경추 보호대(100)를 착용시킨 상태에서도 환자에게 2차 손상이나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더욱 정밀하게 경추를 지지하도록 하는 큰 장점이 있다. 그 구체적 기능을 살펴보면, 에어 튜브 벨트(170)를 구비하여 응급처치시 경추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목의 길이에 따른 상하조절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경추 보호대(100)의 크기를 환자의 신체 치수에 적합하도록 대, 중, 소의 크기로 나누고 눈대중으로 환자목에 착용시킨 후 사이즈가 부적절하면 다른 사이즈의 보호대로 재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의 경추 보호대(100)로 여러 사이즈이 경추에 대한 보호대 역할을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 방식을 채용하여 신속하고 정밀한 목 둘레 맞춤이 가능하여 응급처치의 신속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추 보호대(100)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 튜브 벨트(170)는 경추 손상 환자가 딱딱한 소재의 경추 보호대(100)와의 마찰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소함과 동시에, 목과 경추 지지대(130) 사이의 공간을 채움으로써 환자의 목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만곡 조절 장치(117)를 회전 조작하여 에어 튜브 벨트(170)의 만곡도를 조절함으로써, 에어 튜브 벨트(170)가 환자의 후두부에 보다 타이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110: 전방 보호대
111: 턱 보호부 113: 앞목 보호부
115: 둘레 조절 장치 116: 피니언 결합부
117: 만곡 조절 장치 130: 경추 지지대 150: 체결 타이 151: 래크부
160: 체결 피스 161: 래크부
170: 에어 튜브 벨트 171: 신축성 커버 부재 173: 에어백 175: 종방향 공기 유로 181: 홀 183: 와이어

Claims (4)

  1. 환자의 목에 씌워 경추를 보호하기 위한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로서,
    환자의 턱밑에 위치하는 턱 보호부와, 상기 턱 보호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환자의 기도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U자형 앞목 보호부를 포함하는 전방 보호대;
    환자의 뒷목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지지대; 및
    일단이 각각 상기 경추 지지대의 양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전방 보호대의 상기 앞목 보호부에 고정된 둘레 조절 장치에 체결되어, 상기 경추 지지대와 상기 전방 보호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결 타이;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타이의 타단에는 래크부가 형성되고, 각 체결 타이의 타단은 상기 둘레 조절 장치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둘레 조절 장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피니언 결합부에 상기 래크부가 기어 결합되며,
    상기 둘레 조절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피니언 결합부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체결 타이가 상기 둘레 조절 장치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앞목 보호부와 상기 경추 지지대 사이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대의 내측에 구비되고, 공기 주입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는 에어 튜브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 벨트는 신축성 커버 부재 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에어백이 복수 개 구비되어 구성되고, 이웃하는 에어백끼리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공기 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최하방의 제1단의 에어백부터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에어백은 수축상태에서는 상기 신축성 커버 부재의 조임에 의해 연쇄적으로 중첩되어 서로 포개어지고,
    제1단의 에어백에 공기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종방향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상방의 에어백에 유입되면서 제2단의 에어백에서부터 최상방의 에어백까지 순차적으로 팽창하며,
    상기 팽창에 의해 상기 에어 튜브 벨트는 상방으로 높이 확장되는 것인,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 벨트에는 상측 및 하측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의 풀리와 하측의 풀리에 교차하도록 와이어가 걸리며,
    상기 에어 튜브 벨트의 양측에서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상기 에어 튜브 벨트가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KR1020170126326A 2017-09-28 2017-09-28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KR10207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326A KR102079505B1 (ko) 2017-09-28 2017-09-28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326A KR102079505B1 (ko) 2017-09-28 2017-09-28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883A true KR20190036883A (ko) 2019-04-05
KR102079505B1 KR102079505B1 (ko) 2020-04-07

Family

ID=6610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326A KR102079505B1 (ko) 2017-09-28 2017-09-28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1316A1 (en) * 2019-10-28 2021-04-29 Ki Yong Chang Devic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KR20210095314A (ko) * 2020-01-23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1408B1 (ko) 2021-06-22 2022-02-14 장기용 공기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허리 지지 장치
KR102361407B1 (ko) 2021-06-22 2022-02-14 장기용 착용 벨트
KR20220096506A (ko) * 2020-12-31 2022-07-0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경추굽힘근강화훈련기구
KR102454621B1 (ko) * 2021-09-07 2022-10-17 (주)바른지앤비 바른 목 자세에 도움을 주는 목 교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42U (ja) * 2001-08-31 2002-03-22 文敏 甲斐 頚部用簡易コルセット
CN204521095U (zh) * 2015-03-12 2015-08-05 李冰雷 颈托位置调节装置及其颈椎牵引器
CN204521094U (zh) * 2015-03-12 2015-08-05 李冰雷 颈椎牵引器
CN205286651U (zh) * 2015-12-29 2016-06-08 北京市津威康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颈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42U (ja) * 2001-08-31 2002-03-22 文敏 甲斐 頚部用簡易コルセット
CN204521095U (zh) * 2015-03-12 2015-08-05 李冰雷 颈托位置调节装置及其颈椎牵引器
CN204521094U (zh) * 2015-03-12 2015-08-05 李冰雷 颈椎牵引器
CN205286651U (zh) * 2015-12-29 2016-06-08 北京市津威康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颈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1316A1 (en) * 2019-10-28 2021-04-29 Ki Yong Chang Devic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CN112716675A (zh) * 2019-10-28 2021-04-30 张基用 头部前倾矫正装置
KR102246852B1 (ko) * 2019-10-28 2021-04-30 장기용 거북목 교정 장치
US11648144B2 (en) 2019-10-28 2023-05-16 Ki Yong Chang Devic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KR20210095314A (ko) * 2020-01-23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6506A (ko) * 2020-12-31 2022-07-0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경추굽힘근강화훈련기구
KR102361408B1 (ko) 2021-06-22 2022-02-14 장기용 공기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허리 지지 장치
KR102361407B1 (ko) 2021-06-22 2022-02-14 장기용 착용 벨트
KR102454621B1 (ko) * 2021-09-07 2022-10-17 (주)바른지앤비 바른 목 자세에 도움을 주는 목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05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883A (ko)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US4194501A (en) First aid splint for cervical spine injuries
US8256426B2 (en) Modular dent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flow through nasal-pharyngeal airway
US20090275871A1 (en) Back brace for spinal corre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829443A (en) Immo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6629942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bdominal support
JP2016526974A5 (ko)
US20060135898A1 (en) Pelvic brace
US5891069A (en) Cervical extraction collar and method of immobilizing a cervical injury
EP1680055B1 (en) Cervical collar
RU267574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поясничный корсет
KR102355286B1 (ko) 환자용 보호대
KR200216070Y1 (ko) 허리보호용 코르셋
JP6403275B2 (ja) 頸椎牽引装具及び頸椎牽引装具ユニット
JPS5917859Y2 (ja) 安全ヘルメツト
ES2895644T3 (es) Tobilleras
US11033419B2 (en) Medical device for performing ileostomies and/or jejunostomies
ES2682206T3 (es) Dispositivo para la fijación de un paciente sobre una base
KR100808838B1 (ko) 등허리 엉치뼈 보호용구
EP3592307B1 (en) Joint stabiliz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the patellofemoral joint
CN205515190U (zh) 神经外科用颅脑去骨保护帽
DE102005025996B3 (de)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r Larynxmaske am Kehlkopf eines Patienten
CN213430891U (zh) 一种神经外科用护理约束装置
AU2020103869A4 (en) A Protective Device Used after Head Decompression Surgery
CN218943621U (zh) 一种受伤部位隔空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