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293A -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 Google Patents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293A
KR20190036293A KR1020170125347A KR20170125347A KR20190036293A KR 20190036293 A KR20190036293 A KR 20190036293A KR 1020170125347 A KR1020170125347 A KR 1020170125347A KR 20170125347 A KR20170125347 A KR 20170125347A KR 20190036293 A KR20190036293 A KR 2019003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upporting
support frame
support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402B1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2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0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 B65H20/32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 B65H20/34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1Accumulators
    • B65H2408/217Accumulators of rollers type, e.g. with at least one fixed and one movabl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는 스트립 이송경로의 하부에 마련되어 스트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립 수용부;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스트립 수용공간으로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및 스트립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STRIP ACCUMULATOR FOR ANNEALING EQUIPMENT AND ANNEAL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립을 축적하거나 축적한 스트립을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간압연된 스트립(스테인리스 강판 등)은 압연과정에서 경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소둔(燒鈍)설비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여 경도를 저하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통상의 소둔설비는 소둔로를 통과하는 스트립의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소둔로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스트립을 일정량 축적할 수 있는 스트립 축적장치를 구비한다.
입측 스트립 축적장치는 소둔을 진행하다가 입측에서 용접 지연 등으로 스트립의 추가로 공급이 늦어질 경우 축적된 스트립을 소둔로로 공급해 소둔로 내 스트립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출측 스트립 축적장치는 출측에서 스트립의 권취가 지연될 경우 소둔로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을 축적해 역시 소둔로 내 스트립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입측 스트립 축적장치에 축적된 스트립이 모두 공급될 때까지 스트립 추가 공급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출측 스트립 축적장치에 스트립이 모두 채워질 때까지 출측 권취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조업 중단이 발생한다. 이처럼 소둔설비의 조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소둔설비 내 스트립을 대부분 폐기 처리 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트립을 축적하거나 축적한 스트립을 후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조업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트립 이송경로의 하부에 마련되어 스트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립 수용부;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으로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및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유도장치는 한쪽이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 및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은 회전지지부로부터 자유단 쪽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는 복수의 제1신축장치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을 진퇴시키는 진퇴장치; 복수의 제2신축장치에 의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트립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롤;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 감지를 토대로 상기 진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는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의 내측 하부 및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둔로; 상기 소둔로로 이동하는 스트립을 축적하는 입측 축적장치; 상기 소둔로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을 축적하는 출측 축적장치; 및 상기 입측 축적장치의 상류 또는 상기 출측 축적장치의 하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스트립을 축적하는 보조 축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축적장치는 스트립 이송경로의 하부에 마련되어 스트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립 수용부;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으로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및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소둔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는 스트립을 축적하거나 축적한 스트립을 후 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채용하면 소둔설비의 조업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는 입측 보조 축적장치가 입측 축적장치와 별도로 평소 스트립을 축적하였다가 소둔로로 공급할 수 있고, 출측 보조 축적장치가 평소 빈 상태를 유지하다 출측 권취에 문제가 생길 경우 출측 축적장치와 별도로 스트립을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소둔설비의 조업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의 보조 축적장치로, 스트립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의 보조 축적장치로, 스트립이 축적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에 적용된 보조 축적장치의 스트립 지지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에 적용된 보조 축적장치의 스트립 지지장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에 적용된 보조 축적장치의 스트립 지지장치 요부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둔설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둔설비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1)을 가열하여 소둔 열처리하는 소둔로(10)와, 소둔로(10) 쪽으로 공급되는 스트립(1)을 축적하는 입측 축적장치(20)와, 열처리 후 소둔로(10)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1)을 축적하는 출측 축적장치(30)를 구비한다.
소둔 열처리를 위한 스트립(1)은 페이오프롤(40)에서 풀려 교정장치(51), 세정장치(52) 등의 전처리설비(50)를 거친 후, 입측 축적장치(20)를 경유하여 소둔로(10)로 공급된다. 열처리 후 소둔로(10)에서 배출되는 스트립(1)은 출측 축적장치(30)를 경유한 후 권취롤(60) 쪽으로 공급된다.
스트립(1)을 축적하는 입측 축적장치(20)는 소둔공정을 진행하다가 페이오프릴(40) 측에서 용접 지연 등으로 스트립의 추가로 공급이 늦어질 경우 미리 축적해 둔 스트립을 소둔로(10)로 공급함으로써 소둔로(10) 내 스트립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출측 축적장치(30)는 권취롤(60)에서 스트립의 권취가 지연될 경우 소둔로(10)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을 축적해 역시 소둔로(10) 내 스트립 이송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실시 예의 소둔설비는 입측 축적장치(20)의 상류와 출측 축적장치(30)의 하류에서 각각 추가로 스트립을 축적할 수 있는 입측 및 출측 보조 축적장치(100,200)를 구비한다. 이는 입측 축적장치(100)에 축적된 스트립이 소둔로(1)로 모두 공급될 때까지 스트립 추가 공급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입측 보조 축적장치(100)에 축적된 스트립을 공급함으로써 조업중단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출측 축적장치(30)에 스트립이 모두 채워질 때까지 출측 권취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출측 보조 축적장치(200)에서 스트립을 추가로 축적해 역시 그 만큼 조업중단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1의 예는 보조 축적장치(100,200)가 소둔로(10)의 입측과 출측 모두에 마련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이러한 보조 축적장치(100,200)는 소둔로(10)의 입측과 출측 중 어느 한쪽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부호 71,72,73,74,75,76 등은 스트립의 이송을 안내하는 디플렉트롤이고, 부호 77,78,79,80은 스트립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롤이다.
입측 보조 축적장치(100)와 출측 보조 축적장치(200)는 설치 위치 차이에 따른 운용에서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입측 보조 축적장치(100)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입측 보조 축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스트립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 도 3은 스트립이 축적된 상태를 보여 준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입측 보조 축적장치(100)는 스트립이 이송되는 경로의 하부에 마련되며 스트립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는 스트립 수용부(110), 스트립 수용공간(111)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된 스트립 유도장치(120), 스트립 수용공간(111) 내에 마련된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 유도장치(120)는 스트립 수용공간(111)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스트립 수용공간(111)으로 하강하는 스트립(1)을 지지하거나 스트립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상승하는 스트립(1)을 지지해 스트립의 원활한 이송을 안내한다.
스트립 유도장치(120)는 한쪽이 스트립 수용공간(1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 쪽이 회전하여 승강하는 승강프레임(121)과, 스트립(1)의 표면을 지지하도록 승강프레임(121)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122)과, 승강프레임(12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12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에 의해 벤딩되는 스트립(1) 외면의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회전지지부(124)로부터 자유단 쪽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립 유도장치(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1)이 직선으로 이동할 때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1)의 축적을 위해 스트립(1)이 하강할 때 승강실린더(123)가 수축되면서 승강프레임(121)의 자유단 쪽이 하강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스트립 수용공간(111)으로 하강하는 스트립(1)이 급격하게 꺽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가이드롤(122)이 스트립(1)을 지지하므로 스트립(1)이 하강한 상태(축적 상태)에서도 스트립(1)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130)는 스트립 수용공간(111) 내에서 하강하는 스트립(1)을 지지한다.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 수용공간(111)의 하부 및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하강하는 스트립(1)의 하부와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부 및 양 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립 지지장치(130)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스트립 지지장치(13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스트립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스트립 지지장치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립 지지장치(130)는 복수의 제1신축장치(132)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프레임(131), 제1지지프레임(131)을 진퇴시키는 진퇴장치(133), 복수의 제2신축장치(134)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131)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프레임(135), 제2지지프레임(135)에 설치되며 스트립(1)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롤(136), 제2지지프레임(135)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137), 무게센서(137) 감지를 토대로 진퇴장치(133)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131)은 대략 직사각패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신축장치(132)는 일단이 제1지지프레임(131)의 각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트립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는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지지프레임(131)을 진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1신축장치(132)는 제1지지프레임(131)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실린더부(132a), 한 쪽이 스트립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는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부(132a)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부(132b), 로드부(132b)의 외면에 설치되어 실린더부(132a)를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스프링(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진퇴장치(133)는 유압실린더 형태로 마련되며 수축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131)을 스트립 수용공간(111)의 벽면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립(1)의 수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135)도 대략 직사각패널 형태로 마련되고, 스트립 지지롤(136)은 이러한 제2지지프레임(135)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제2신축장치(134)는 제2지지프레임(135)의 네 모서리부와 제1지지프레임(131)의 네 모서리부를 각각 완충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신축장치(13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135)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신축장치(132)의 실린더부(132a)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부(134a)와, 로드부(134a)의 외측에 설치되어 제2지지프레임(135)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스프링(134b)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센서(137)는 제1지지프레임(131) 상면에 고정된 센서몸체(137a)와, 제2지지프레임(135)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센서몸체(137a)를 가압할 수 있는 로드부(137b)를 포함한다. 무게센서(137)는 하강하는 스트립(1)이 제2지지프레임(135)에 결합된 스트립 지지롤(136)을 가압할 때 그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무게센서(137)의 무게 감지를 통해 스트립(1)의 하강을 판단하고, 진퇴장치(133)를 동작시켜 제1지지프레임(131)을 스트립 수용공간 벽면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립의 수용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 수용공간(111)의 하부 및 양 측면에서 스트립 수용공간(111)으로 하강하여 축적되는 스트립(1)을 지지하므로 스트립(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스트립(1)이 하강하면 진퇴장치(133)의 동작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131)이 벽면 쪽으로 이동하므로 스트립 수용공간(111)의 스트립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스트립(1)이 회전 가능한 스트립 지지롤(136)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스트립(1)을 지지한 상태에서 스트립(1)의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입측 및 출측 보조 축적장치(100,200)를 갖춘 소둔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측 보조 축적장치(100)가 입측 축적장치(20)와 별도로 평소 스트립(1)을 추가로 축적하였다가 소둔로(10)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출측 보조 축적장치(200)가 평소 빈 상태를 유지하다 출측 권취에 문제가 생길 경우 출측 축적장치(30)와 별도로 스트립(1)을 추가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만큼 소둔설비의 조업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 소둔로, 20: 입측 축적장치,
30: 출측 축적장치, 40: 페이오프롤,
60: 권취롤, 100: 입측 보조 축적장치,
111: 스트립 수용공간, 120: 스트립 유도장치,
121: 승강프레임, 122: 가이드롤,
123: 승강실린더, 130: 스트립 지지장치,
131: 제1지지프레임, 132: 제1신축장치,
133: 진퇴장치, 134: 제2신축장치,
135: 제2지지프레임, 136: 스트립 지지롤,
137: 무게센서, 200: 출측 보조 축적장치.

Claims (10)

  1. 스트립 이송경로의 하부에 마련되어 스트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립 수용부;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으로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및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유도장치는,
    한쪽이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 및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회전지지부로부터 자유단 쪽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는,
    복수의 제1신축장치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을 진퇴시키는 진퇴장치;
    복수의 제2신축장치에 의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트립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롤;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 감지를 토대로 상기 진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는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의 내측 하부 및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6. 소둔로;
    상기 소둔로로 이동하는 스트립을 축적하는 입측 축적장치;
    상기 소둔로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을 축적하는 출측 축적장치; 및
    상기 입측 축적장치의 상류 또는 상기 출측 축적장치의 하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스트립을 축적하는 보조 축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축적장치는,
    스트립 이송경로의 하부에 마련되어 스트립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립 수용부;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으로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및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며 하강하는 스트립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소둔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유도장치는.
    한쪽이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 및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소둔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회전지지부로부터 자유단 쪽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소둔설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는,
    복수의 제1신축장치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을 진퇴시키는 진퇴장치;
    복수의 제2신축장치에 의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트립 외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트립 지지롤;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 감지를 토대로 상기 진퇴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둔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립 지지장치는 상기 스트립 수용공간의 내측 하부 및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소둔설비.
KR1020170125347A 2017-09-27 2017-09-27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KR10204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347A KR102047402B1 (ko) 2017-09-27 2017-09-27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347A KR102047402B1 (ko) 2017-09-27 2017-09-27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93A true KR20190036293A (ko) 2019-04-04
KR102047402B1 KR102047402B1 (ko) 2019-11-22

Family

ID=6610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347A KR102047402B1 (ko) 2017-09-27 2017-09-27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4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109A (ko) * 2008-06-17 2009-12-28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스트립 루프 제어 장치
KR20150063805A (ko) * 2013-12-02 2015-06-10 (주)승보스틸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109A (ko) * 2008-06-17 2009-12-28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스트립 루프 제어 장치
KR20150063805A (ko) * 2013-12-02 2015-06-10 (주)승보스틸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402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610140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улонов металлической ленты на поддонах
US20030155212A1 (en) U-shaped accumulator device with endless belts
EP1016471A1 (en) Hot rolled material take-up equipment and take-up method
KR102030315B1 (ko) 철판 커팅 및 적재시스템
JP4735769B2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KR20190036293A (ko) 소둔설비용 스트립 축적장치 및 이를 갖춘 소둔설비
KR101551287B1 (ko) 스트립의 스크래치 방지장치
JP2006263779A (ja) 熱間圧延設備のサイドガイド制御方法
RU2353453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перемот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между черновым и чистовым прокатными станами
KR20200097056A (ko) 프레스용 제품 적재 자동화 장비
JP2019199312A (ja) 段ボールシート用スタッカ
CN111182978A (zh) 多用途轧制设备
KR20190067473A (ko) 선재 집적장치
CN207209465U (zh) 驼峰伸缩皮带输送机
JPH08157142A (ja) 線材搬送路におけるダンサーロール装置及び線材の張力制御装置
JP5618075B2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2011147997A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4718996B2 (ja) 金属ストリップ尾端の巻取り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金属ストリップ尾端の巻取り方法
US5788483A (en) Furnace for coils
EP1660251B1 (en) A reeling device for semi-finished rolled products
JPH0952605A (ja) ロール状製品の自動入出庫装置
CN212268587U (zh) 一种带有稳定装置的输送带
JP5027547B2 (ja) 縦型ルーパ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5532340B2 (ja) 物品搬送設備
JP3349425B2 (ja) 厚板圧延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