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129A -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129A
KR20190036129A KR1020170124989A KR20170124989A KR20190036129A KR 20190036129 A KR20190036129 A KR 20190036129A KR 1020170124989 A KR1020170124989 A KR 1020170124989A KR 20170124989 A KR20170124989 A KR 20170124989A KR 20190036129 A KR20190036129 A KR 2019003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department terminal
tasks
service
inqui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완
Original Assignee
정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완 filed Critical 정시완
Priority to KR102017012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129A/ko
Publication of KR2019003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회사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은 발주장 검토, 입고/출고, 재고관리의 업무를 수행하는 제1 부서단말; 배송문의, 교환반품 문의 및 게시글 문의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제2 부서단말; 물품의 구입부터 배송처리까지의 사입업무를 관리하는 제3 부서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서단말 내지 제3 부서단말은 업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UNIFIED MANAGEMENTING SYSTEM FOR PHYSICAL DISTRIBUTION}
본 발명은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통합물류시스템은 물류 선진화 정책의 추구, 제3자 물류중심의 물류전문화 요구, 통합된 물류시스템 공유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서비스 주체에 의한 무분별 물류서비스 제공으로 국내 물류업체의 경쟁력이 취약하고, 물류업체의 고객 서비스 질도 떨어지는 수준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10060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류 회사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은 발주장 검토, 입고/출고, 재고관리의 업무를 수행하는 제1 부서단말; 배송문의, 교환반품 문의 및 게시글 문의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제2 부서단말; 물품의 구입부터 배송처리까지의 사입업무를 관리하는 제3 부서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서단말 내지 제3 부서단말은 업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회사 통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물류 회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자원관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회사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부서단말의 업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부서단말의 업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 부서단말의 업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회사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회사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제1 부서단말(110), 제2 부서단말(120) 및 제3 부서단말(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서단말(110), 제2 부서단말(120) 및 제3 부서단말(130)은 전용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부서단말(110)은 발주장 검토, 입고/출고, 재고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발주장 검토는 제3 부서단말(130)로부터 주문에 대한 발주장을 직접 전달받고, 입고지연 또는 품절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는 절차이고, 상기 입고/출고는 제3 부서단말로부터 인계받은 상품의 재고관리 운영, 당일 출고가능한 주문에 한애서 출고에 대한 절차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서단말(110)은 입고/출고 재고관리 및 물류 전반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서단말(110)은 제1 카테고리(대분류), 제2 카테고리(중분류), 제3 카테고리(소분류)에 따른 업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카테고리는 1) 발주장 검토, 2) 품검수 및 포장, 3) 입고, 4) 주문서 수집, 5) 상품 매칭, 6) 재고할당, 7) 운송장출력, 8) 출고, 9) 주문취소건 재확인, 파트너사 어드민 배송완료 처리 및 자료마감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발주장 검토업무는 담당 그룹별 발주장 확인, 거래처 반품 현황 확인, 상품 바코드 출력에 관한 업무(제2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당 그룹별 발주장 확인업무는 거래처 정보 확인, 누락건 및 미입고 상품 확인, 품절 상품 관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거래처 반품 현황 확인은 교환 및 반품 체크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바코드 출력은 사입 리스트 바코드 출력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품 검수 및 포장업무는 상품 확인, 포장 및 불량 출력 등과 관련된 중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 확인은 파트너별 상품 분류, 영수증 수량 및 금액 확인, 특이사항 거래처 소통 등과 관련된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은 불량 체크, 상품 바코드 부착, 파트너별 상품 적재 등과 관련된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 출고는 불량 상품 거래처 출고 관리 등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입고는 전산 입고 작업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산 입고 작업은 입고 파일 업로드, 입고예정일 및 품절 체크 등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주문서 수집은 그룹별 수집 업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룹별 수집 업무는 어드민 주문건 엑셀파일 다운로드, 셀메이트에 주문입력 등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상품 매칭은 셀메이트 매칭 작업을 포함하고, 셀메이트 매칭 작업은 수집한 주문건에 상품 정보 등록 등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재고 할당은 출고 가능 주문건의 재고 할당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운송장 출력은 준비 작업, 단건 송장 출력, 복수건 송장 출력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고, 준비 작업은 중복값 체크, 부분 배송 가능 상품 분류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단건 송장 출력은 동선 최소화를 위한 상품명순 정렬 출력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복수건 송장 출력은 복수 주문건 개별 출력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출력는 송장 및 상품 스캔, 패킹, 최종 출고 처리 출고량 체크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고, 송장 및 상품 스캔은 오배송 최소화를 위한 스캔작업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패킹은 스캔 작업 완료된 상품 패킹, 복수건 개별 패킹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최종 출고 처리는 택배사 전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출고량 체트는 택배사 전산 수량 확인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주무취소건 재확인은 최소주문 체크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배송 전 체크 및 배송업무중의 취소주문 체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파트너사 어드민 배송완료 처리는 발송파일 다운로드 및 발송 오류 체크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어드민 배송준비 및 최종 배송 오류 체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자료마감업무는 KPI 입력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입고량, 출고량 체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제2 부서단말(120)의 업무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부서단말(120)은 배송문의, 교환반품 문의 및 게시글 문의 등의 전반에 걸친 서비스 제공업무를 수행한다.
가령, 배송문의 및 게시글 문의는 제1 부서단말(110)과 업무를 공유한다.
상기 제2 부서단말(120)은 배송문의, 교환 및 반품문의 등의 고객 응대 서비스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서단말(120)은 제1 카테고리(대분류), 제2 카테고리(중분류), 제3 카테고리(소분류)에 따른 업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카테고리는 고객 전화 응대, 고객 게시판 응대, 품절안내, 교환/반품 안내, KPI 자료마감업무 등의 대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의 고객 전화응대는 고객센터 번호 유입 문의 상당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배송문의 인바운드, 교환 및 반품 문의 인바운드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의 고객 게시판응대는 질의 답변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질의 답변은 미처리 문의건 게시글 답변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의 품절안내는 품절된 상품에 대한 아웃바운드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의 교환/반품은 반품확인 등의 중분류 업무, 회수된 상품에 대한 유형별 처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의 KPI 자료마감은 KPI 자료 입력 등의 중분류 업무, 유형별 응대율 체크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제3 부서단말(130)의 업무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3 부서단말(130)은 발주장 확인 및 업무분배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발주장 확인은 제1 부서단말로부터 인계받은 발주장을 토대로 거래처의 구매에서부터 배송까지의 업부를 의미하며, 발주 및 픽업은 해당거래처에서 발생하는 입고지연, 품절 그외 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1 부서단말(110) 및 제2 부서단말과 고유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상기 제3 부서단말(130)은 물품의 구입부터 배송처리까지의 사입업무를 관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3 부서단말(120)은 제1 카테고리(대분류), 제2 카테고리(중분류), 제3 3카테고리(소분류)에 따른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카테고리는 발주장 확인, 거래처 분류, 발주상품 픽업, 미입고상품 확인, 픽업상품 취합, 배송처리, 상품분류, 발주 주문서 인수인계 등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의 발주장 확인은 그룹별 주문서 확인, 불량반품 확인 등의 중분류 업무 등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별 확인은 그룹별 사입 세분화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반품 확인은 불량상품 당일 반품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거래처 분류는 거래처별 선발주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하고, 유선 또는 SNS 이용 발주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발주상품 픽업은 발주상품 확인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고, 발주 상품의 대한 재확인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미입고 상품 확인은 수량 일자 확인 등의 중분류, 미입고 상품 입고일차 체크 등의 소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픽업 상품 취합은 거래처별 취합 등의 중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배송처리는 상품 적재 등의 중분류, 적재한 상품을 분류센터로 배송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상품분류는 그룹별 분류 등의 중분류, 분류 인수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의 발주 주문서 인수인계는 물류 담당자와 발주관련 정보공유 등의 소분류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물류 회사 통합 관리 시스템
110: 제1 부서단말
120: 제2 부서단말
130: 제3 부서단말

Claims (1)

  1. 발주장 검토와, 입고/출고, 재고관리의 업무를 수행하는 제1 부서단말;
    배송문의, 교환반품 문의 및 게시글 문의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제2 부서단말; 및
    물품의 구입부터 배송처리까지의 사입업무를 관리하는 제3 부서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서단말 내지 제3 부서단말은 전용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업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회사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0170124989A 2017-09-27 2017-09-27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KR20190036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89A KR20190036129A (ko) 2017-09-27 2017-09-27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89A KR20190036129A (ko) 2017-09-27 2017-09-27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29A true KR20190036129A (ko) 2019-04-04

Family

ID=6610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989A KR20190036129A (ko) 2017-09-27 2017-09-27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1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602A (ko) 2011-03-04 2012-09-1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스마트 물류네트워크의 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602A (ko) 2011-03-04 2012-09-1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스마트 물류네트워크의 모니터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28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oduct returns using return authorization numbers
WO20050836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oduct returns using decision codes
KR102526592B1 (ko) 재고 관리를 위해 풀필먼트 센터 내 아이템의 수량을 확인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354795B1 (ko) 자동화된 아웃바운드 프로파일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68134B1 (ko)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KR102192429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CN113657835A (zh) 智慧云仓管理系统
JP2004051374A (ja) シームレス商品物流情報システム
CN110751426A (zh) 一种仓库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40005657A (ko)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인 분배를 통해 제품 인벤토리를 최적화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11768277A (zh) 商务系统、管理服务器和计算机可读介质
JP3479881B2 (ja) 戦略的提携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205214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90000734A (ko) 인터넷 쇼핑몰 주문상품 묶음배송 방법
JP2004307095A (ja) 商品管理システム
KR20190036129A (ko) 물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KR20080009882A (ko) 의약품 업무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KR102242946B1 (ko) 반품 서비스 방법
KR1022543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개통, 판매 및 재고관리 시스템
JP3945235B2 (ja) 物流情報管理方法
CN112561360A (zh) 一种医疗耗材退货业务管理系统
KR20070037604A (ko) 전자상거래에서 데이터스캐너를 이용한 배송물품 출고인증시스템 및 방법
CH714906A9 (de) Verfahren, System, Computerprogramm und Vorrichtungen zur Warenbereitstellung.
TWM626129U (zh) 化妝品產品gmp溯源管理系統
KR20100081468A (ko) 물건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