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977A -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 Google Patents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977A
KR20190035977A KR1020170123139A KR20170123139A KR20190035977A KR 20190035977 A KR20190035977 A KR 20190035977A KR 1020170123139 A KR1020170123139 A KR 1020170123139A KR 20170123139 A KR20170123139 A KR 20170123139A KR 20190035977 A KR20190035977 A KR 20190035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larva
drying
extra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필
강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Priority to KR102017012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977A/ko
Publication of KR2019003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출액에 관한 것으로, 유충의 배양 및 선별, 이물질제거, 세척, 건조, 추출액 추출, 여과 과정을 포함하는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의 추출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EXTRACTION METHOD FROM LARVA AND EXTRACT USING THIS METHOD}
본 발명은 추출액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충으로부터 추출되는 액의 추출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고, 가축 및 관상어 등에 대한 인식도 변해감에 따라 가축 및 관상어 등을 키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사료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사료는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젖, 고기, 알, 털가죽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유기(有機) 또는 무기(無機)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각종 가축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광물질 등의 영양소뿐만 아니라 성장 촉진제와 질병 예방제 등을 고루 섞어 만든 것이다.
사료는 가축의 섭취에 의해 생존 및 축산물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축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며, 축사환경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가축의 생산성 증가는 축사환경을 개선하거나 사료 효율을 개선하여 이루어지는데, 사료효율의 개선은 기존 사료 조성에 새로운 조성을 첨가하거나 배합 비율을 달리하거나 급이 방식에 변화를 주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방은 가축의 필수 영양소 중 하나로, 다른 영양소에 비해 에너지가가 높으며 단위 중량당 가장 비싼 에너지원이다.
한편, 양어 및 가축의 사료가 대부분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물고기를 살찌울 수 있는 사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6686호(이하 ‘선행문헌 1’)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사료”에서는,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배합한 사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하였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및 가축분뇨의 처리에 이용되는 동애등에 유충을 가축 사료에 다시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축산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분말형태로 형성되어 동애등에에 포함된 단백질의 흡수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448호(이하 ‘선행문헌 2’)의 “곤충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에서는, 갈색거저리, 귀뚜라미, 메뚜기, 동애등에 유충, 번데기, 장구벌레 및 파리 유충을 이용하여 사료를 제조하여 애완동물에게 급이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영양 상태를 개선시키고,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곤충뿐만 아니라 가수분해효소를 더 포함하여 사료로서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소화율을 개선시켜 동물성 단백질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알레르기(allergy)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공정을 더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중국특허공보 제106036246호(이하 ‘선행문헌 3’)의 “음식쓰레기 전환 동애등에 유충을 바탕으로 제조된 참새우 배합사료”에서는, 사료 어분으로부터, 콩깻묵, 동애등에 유충 분말, 새우껍질분, 땅콩 깻묵, 오징어, 알긴산나트륨, 소맥분을 포함한 배합 사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동애등에 유충 분말로부터 양질의 단백질을 제공하고, 어분의 사용량을 낮춤으로써 사육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지만, 분말형태로 형성되어 동애등에에 포함된 단백질의 흡수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6688호(이하 ‘선행문헌 4’)의 “밀웜과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관상어 사료”에서는, 밀웜 및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관상어사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관상어의 수입대체 효과, 치어 치사율 억제, 백점병에 대한 예방, 어항수질개선 및 배설물감소 등 기능성 사료로서의 효능은 물론 분양과 더불어 치어류 생존율을 높여 양어장 수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밀웜과 동애등에 가루를 이용함으로서 밀웜과 동애등애를 분쇄하는 공정이 더 필요하게 되어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66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448호
중국특허공보 제1060362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668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의 수증기(스팀) 또는 뜨거운 액체 등을 이용하여 유충으로부터 추출액을 추출함으로써, 유충에 포함된 지방 및 단백질을 사료 등에 첨가하여 가축의 지방 및 단백질의 흡수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콩잎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활용도가 낮았던 콩잎을 이용한 기능성소재 개발을 통해 콩잎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조 공정의 규격화를 통하여 제품의 품질 안정성 강화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원료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5 내지 2.0cm 크기의 유충을 선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유충을 메시망에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유충을 세척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유충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거친 유충을 추출기에 의해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액을 여과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5 내지 2.0cm 크기의 유충을 선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유충을 메시망에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유충을 세척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유충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거친 유충의 오일을 착유하는 제4-1단계; 상기 제4-1단계를 거친 유충의 오일과 유충박을 혼합하는 제4-2단계; 상기 제4-2단계를 거친 유충의 오일과 유충박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기에 의해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액을 여과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충은 갈색거저리(밀웜), 동애등에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사슴벌레 유충, 굼벵이, 누에번데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또는 귀뚜라미 유충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자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적외선건조, 중외선건조, 고주파건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에서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추출기의 추출온도는 60 내지 2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의 추출방법은, 알코올 추출, 미셀화 추출, 초임계 추출, 열수 추출 또는 혼합용액 추출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추출방법으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충을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 상기 제1단계 대신 유충을 대량으로 키우는 제1-1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제1-1단계는, 복수의 산란장치가 포함된 산란배지를 포함하고, 온도 25 내지 29℃, 높이 1m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 산란준비; 상기 산란준비를 거친 공간에 포함된 산란장치에서 산란이 이루어지고, 알로부터 유충이 용이하게 부화할 수 있도록 온도 25 내지 29℃, 습도 50 내지 70%를 유지하며, 산란 후 3 내지 4일 후 부화 여부를 확인하는 산란 및 부화; 및 상기 산란 및 부화가 완료된 유충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축분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급이하며 10~20일 동안 성장시킨 후 건조한 곳으로 이동한 유충을 선별하는 유충선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활용하여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가축 및 어류의 단백질 흡수율을 높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콩잎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활용도가 낮았던 콩잎을 이용한 기능성소재 개발을 통해 콩잎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조공정의 규격화를 통하여 제품의 안정성 강화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원료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부호의 설명>
S110: 제1단계, S115: 제1-1단계, S116: 산란준비, S117: 산란 및 부화, S118: 유충선별
S120: 제2단계
S130: 제3단계
S140: 제4단계, S141: 제4-1단계
S150: 제5단계, S151: 제5-1단계, S152: 제5-2단계, S153: 제5-3단계, S154: 제5-4단계, S155: 제5-5단계
S160: 제6단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준비 공정>
1) 유충을 선별하고 키우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는 유충을 선별하는 단계로서, 알에서 부화 후 성장하여 자란 1.5~2.0cm 크기의 유충을 선별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유충의 크기가 1.5cm 미만일 경우, 유충의 크기가 작아 후술될 제5단계(S150)에서 추출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2.0cm 이상의 유충은 번데기가 되어 추출액의 추출량이 유충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유충은 갈색거저리(밀웜), 동애등에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사슴벌레 유충, 굼벵이, 누에번데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또는 귀뚜라미 유충 등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유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애등에 유충이 이용될 수 있다.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절지동물 곤충강 파리목 동애등에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길이는 1.3~2.0cm이며 전체적인 색상은 흑색이다. 서식지는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 한국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애등에는 유기성 폐기물인 동물사체, 가축의 분, 식물 잔재물 또는 음식 쓰레기를 먹이로 하여 서식하며, 특히 동애등에를 사육하는 경우 대부분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사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애등에는 알에서 3일 유충단계 15일, 번데기 14일, 성충 10일 총 42일 여간의 생명주기(life cycle)를 가지고 있으며, 유충단계에서 번데기 단계로 전환될 때 높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습성을 이용하여 먹이와 동애등에를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영양상태가 가장 우수한 번데기가 되기 전 상태인 노숙 유충이 이용될 수 있다.
동애등에는 조단백질 및 조지방이 각각 45.36중량%, 32.36중량%를 함유하고 있고, 중쇄 지방산인 라우르산(Lauric acid)과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Oleic acid) 및 리놀산(Linoleic acid) 등 유용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유충을 대량으로 키우는 제1-1단계(S11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단계는 유충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 제1단계(S110)를 대신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산란준비(S116), 부화준비(S117) 및 유충먹이준비(S118)를 포함할 수 있다.
1-1-1) 산란준비(S116)
산란준비(S116)는 복수의 산란장치를 포함하는 산란배지가 포함된 온도 25~29℃, 높이 1m 이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2m 이상이 적절할 수 있다.
산란배지는 트레이(tray) 등과 같은 것에 가축사료 불린 것, 음식물쓰레기 및 톱밥의 비율이 1:1:1의 부피비로 섞은 혼합물을 평평하게 붓고, 혼합물이 잠길 정도로 물을 포함시킨다.
다음으로, 그 위에 톱밥을 혼합물에 포함된 톱밥과 같은 부피로 한 번 더 깔아줌으로써 산란배지가 제조될 수 있다.
산란장치의 크기는 직경이 3~5mm, 깊이가 7mm 이하의 구멍을 포함하는 나무, 플로랄폼 등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산란배지 위에 포함될 수 있다.
1-1-2) 산란 및 부화(S117)
산란 및 부화(S117)는 성충이 산란장치에서 산란한 알로부터 유충이 용이하게 부화할 수 있도록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산란장치에서 성충들이 산란장치에 산란을 하고, 온도는 25~29℃, 습도는 50~70%를 유지하며 산란 3~4일 후 부화여부를 확인한 뒤 산란장치에 있는 유충을 산란배지에 털어낼 수 있다.
1-1-3) 유충선별(S118)
유충선별(S118)에서는 유충이 먹을 수 있는 먹이를 음식물쓰레기 또는 축 분 등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급이(給餌)할 수 있다.
이때, 부화 후 유충기간은 10~20일이며, 성장함에 따라 흰색-미색-흑갈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특히, 번데기 전 단계에 이르면 먹이활동을 중단하고 건조한 곳으로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유충을 수거함으로써 유충을 선별할 수 있다.
2) 이물질을 털어내는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단계로서, 제1단계(S110,S115)를 거친 유충을 메시망에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메시망의 크기는 2~400메시(mesh)의 메시망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10메시망이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메시망의 크기가 2메시 미만일 경우, 메시가 작게 형성되어 메시망을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과정에서 유충이 이탈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400메시 이상일 경우, 큰 크기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충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되는 유충의 변, 먹이 및 이물질 등이 엉켜 덩어리지게 된다. 이를 털어내고 유충만 선별하기 위해 매시망의 크기가 크게(mesh 수치가 작게) 형성되어도 문제가 없고, 오히려 유충선별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3) 유충을 세척하는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는 유충을 세척하는 단계로서, 제2단계(S120)를 거친 유충을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단계(S120)를 거친 유충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살균수 또는 정제수와 같은 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3단계(S130)의 수행 방법은 선택적으로, 깨끗한 물을 유충을 포함하고 있는 메시망에 물을 흘림으로써, 물이 유충을 거쳐 메시망을 통과하도록 하여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수압에 의해 큰 입자의 이물질이 분쇄되어 메시망을 통과하고, 유충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메시망이 잠길 수 있는 정도로 채워진 물통에 제2단계(S120)를 거친 유충을 포함하는 메시망을 넣고 흔듦으로써 유충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척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제3단계(S13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유충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S140)
제4단계(S140)는 유충을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제3단계(S130)를 거친 유충을 건조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4단계(S140)를 수행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적외선건조, 중외선건조, 고주파건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방식은 건조 대상물의 내부로부터 가열(volumetric heating)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건조 대상물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여 유충의 속과 겉을 포함한 전체에 고르고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파가 유전체 속으로 들어가면 유전체 손실에 의해서 흡수되어 강도가 약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의 건조 주파수는 25℃ 이상의 조건에서 915~3,000MHz의 범위로 건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의 조건에서, 2,450±10MHz의 범위에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25℃보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가 수행된다면, 건조시간이 오래 걸려 최종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915MHz 미만의 범위로 건조가 수행된다면, 유충의 건조가 과하게 되어 바스러지는 단점이 있고, 3,000MHz 이상의 범위로 건조가 수행된다면, 유충의 건조가 고르게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4단계(S140)의 건조시간은 5~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분 동안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제4단계(S140)의 건조시간이 5분 미만으로 수행되면, 제3단계(S130)를 거친 유충이 고르게 건조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20분 이상으로 수행되면, 건조가 과하게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사료 조성물의 향미가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4-1) 유충의 오일을 착유하는 제4-1단계(S141)
제4-1단계(S141)는 유충의 오일을 착유하는 단계로서, 제4단계(S140)를 거친 유충을 오일 추출기에 의해 오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 4-1단계(S141)는 마이크로파 이용법, 열수처리법, 효소처리법, 착유기에 의한 압착법 또는 용매에 의한 용매추출법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압착하여 착유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이용법은 마이크로파가 유충의 껍질을 파괴함으로써 세포 내용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이 중에서 오일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열수처리법은 유충이 분사되어 있는 수용액의 온도를 물의 끓는점 이상으로 올려 고온, 고압상태가 되어 껍질이 깨지고 세포 내용물이 밖으로 나오게 함으로써 오일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효소처리법은 효소를 사용하여 유충의 껍질을 분해함으로써 오일을 얻는 방법이다.
압착법은 제4단계(S140)를 거친 유충을 착유기에 의해 압력을 가하여 착유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냉압착(cold pressed)방식과 고온압착(hot pressed)방식이 있는데, 산패의 위험이 낮고, 트랜스지방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9℃ 미만에서 압착이 수행되는 냉압착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용매추출법이란 용매에 의해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용매를 이용하여 유충으로부터 오일을 용매 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용매는 헥산, 석유에테르, 메탄올, 클로로포름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용매추출법에 사용되는 용매는 오일을 용해시키는 성질을 가진 유기용매로써, 헥산(C6H14), 메탄올(CH3OH), 클로로포름(CHCl3), 석유에테르(원유를 분류할 때 끓는점 범위가 가장 낮은 40~70℃에서 유출되는 액체, 주성분은 C5H12와 C6H14)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유기에 의한 압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착유기의 압력은 120∼700㎏f/㎠의 압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210㎏f/㎠의 압력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착유기의 압력이 120㎏f/㎠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낮은 압력으로 수행되어 유충에 포함된 오일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700㎏f/㎠ 이상으로 수행될 경우, 고압으로 수행되어 오일과 유충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4-2) 유충의 오일과 유충박을 혼합하는 제4-2단계(S142)
제4-2단계(S142)는 제4-1단계(S141)를 거친 오일과 오일을 추출한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유충박을 혼합할 수 있다.
오일 및 유충박을 제조하고, 혼합하여 추출함으로써 생산설비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오일과 유충박의 혼합비는 유충 및 유충박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오일 20~40중량% 및 유충박 60~8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오일이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최종 추출물의 오일 양이 적게 포함되어 지방의 함량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40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오일 양에 의해 추출물의 향미 및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유충박이 6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최종 제조되는 추출물의 단백질함량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80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최종 제조되는 추출물의 단백질함량이 높아지게 되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등의 소화율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5) 유충의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5단계(S150)
제5단계(S150)는 도 1~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충의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제3단계(S130), 제4단계(S140) 제4-1단계(S141) 또는 제4-2단계(S142) 중 한 가지 단계를 거친 유충을 추출기에 의해 추출액을 추출할 수 있다.
최종 제조되는 추출액의 향미, 관능, 사료 섭취량 등이 우수하도록 제4단계(S140)를 거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5단계(S150)는 용매 추출, 미셀화 추출, 초임계 추출, 열수 추출 또는 혼합용액 추출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또는 혼합용액 추출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열수에 의한 추출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데,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고온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이용한 열수에 의한 추출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유충과 물의 중량비는 1:0.7~3 중량비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7 중량비로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유충과 물의 중량비가 1:0.7 미만일 경우, 물의 양이 적어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1:3 중량비 이상이면, 최종 추출액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어 농축공정이 더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제4-2단계(S142) 수행 후 제5단계(S150)가 수행될 경우, 오일 및 유충박 혼합물과 물은 5:0.5~1.5 중량비로 혼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오일 및 유충박 혼합물의 중량비가 5:0.5 미만일 경우, 물의 양이 적어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5:1.5 이상이면, 물의 양에 의해 최종 추출액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어 농축공정이 더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추출기의 온도는 60~2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12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추출기의 온도가 60℃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낮은 온도로 추출이 수행되어 유충에 포함된 단백질 및 오일 등이 추출되는데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200℃ 이상으로 수행될 경우, 고온에서 수행되어 유충이 분해되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제5단계(S150)의 건조시간은 3~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4~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약, 건조시간이 3시간 미만일 경우, 유충의 건조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추출물의 향미, 관능 등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6시간 이상으로 수행될 경우, 유충들이 바스러지거나 후술될 제6단계(S160)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아 추출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5단계(S150)는 1차 및 2차에 걸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1차 및 2차로 제5단계(S150)가 수행될 경우, 1차에서는 유충을 1차 추출기에 의해 60~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2차에서는 1차 추출이 수행된 후 생성된 추출 부산물을 2차 추출기에 넣고 70~120℃로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5단계(S150)를 거쳐 추출된 액에 콩잎추출액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콩잎에는 비타민A, 비타민B군, 비타민C, 비타민E, 칼륨 및 칼슘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콩잎 농축액의 첨가량은 제5단계(S150)를 거쳐 만들어진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수 있다.
만약, 콩잎 농축액이 3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콩잎 농축액의 첨가량이 높아짐으로써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콩잎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활용도가 낮았던 콩잎을 이용한 기능성소재 개발을 통해 콩잎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콩잎농축액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잎세척 후 탈수공정(S151), 콩잎 덖는 공정(S152), 제1차 콩잎숙성공정(S153), 콩잎 살균공정(S154), 제2차 콩잎숙성공정(S155), 콩잎 농축액 추출공정(S156) 및 콩잎 농축액 여과공정(S157)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5-1) 콩잎세척 후 탈수하는 제5-1단계(S151)
제5-1단계(S151)는 콩잎을 선별하여 정제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콩잎은 강낭콩, 대두콩 또는 검은콩 등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콩잎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두콩을 파종하여 생육기간이 30일 이후에 15일 간격으로 수확한 콩잎이 사용될 수 있다.
5-2) 콩잎 덖는 제5-2단계(S152)
제5-2단계(S152)는 제5-1단계(S151)를 거친 콩잎을 덖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5-1단계(S151)를 거친 콩잎을 160℃ 이상의 가마솥에서 덖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5-3) 제1차 콩잎을 숙성시키는 제5-3단계(S153)
제5-3단계(S153)는 제5-2단계(S152)를 거친 콩잎을 숙성시키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5-2단계(S152)를 거친 콩잎과 물을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콩잎 혼합물을 만들고, 콩잎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효주정 3~4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3~6℃에서 100~130일 동안 제5-3단계(S153)가 수행될 수 있다.
발효주정이 3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면, 콩잎 혼합물의 숙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단점이 있고, 4중량부 이상으로 투입되면, 숙성이 과하게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5-3단계(S153)가 100일 미만으로 수행되면, 콩잎 혼합물의 숙성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130일 이상으로 숙성되면, 숙성이 과하게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5-3단계(S153)가 용이하게 수행되기 위해 발효주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발효주정은 80도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4) 콩잎을 살균하는 제5-4단계(S154)
제5-4단계(S154)는 제5-3단계(S153)를 거친 콩잎을 살균시키는 공정으로서, 110~130℃의 고압멸균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제5-4단계(S154)의 수행시간은 콩잎 혼합물에 포함된 잡균을 없애기 위해 20~4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5-5) 제2차 콩잎을 숙성시키는 제5-5단계(S155)
제5-4단계(S154)를 거친 콩잎 혼합물을 3~6℃에서 100~130일 동안 제5-5단계(S155)가 수행될 수 있다.
5-6) 콩잎 농축액 추출하는 제5-6단계(S156)
제5-6단계(S156)는 제5-5단계(S155)를 거친 콩잎 혼합물을 추출기에 의해 농축액을 추출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5-5단계(S155)를 거친 콩잎 혼합물과 물 5:1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기에 넣고 90~100℃에서 2~3시간 동안 추출액을 얻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콩잎에 포함된 영양분을 남기지 않고 추출하기 위해 제5-6단계(S156)가 한 번 더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추출 후 부산물과 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110℃에서 30분~1시간 동안 추출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5-7) 콩잎 농축액을 여과시키는 제5-7단계(S157)
제5-7단계(S157)는 제5-6단계(S156)를 거친 농축액을 40~100메시의 메시망으로 여과함으로써 콩잎 농축액 내의 불순물과 큰 입자를 걸러낸다.
만약, 콩잎 농축액이 40메시 미만에서 여과될 경우, 크기가 큰 입자가 메시망을 통과하여 여과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100메시 이상에서 여과될 경우, 메시망 내에 포함된 다수의 통공이 콩잎 농축액 내에 포함된 큰 입자들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어 여과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6) 여과하는 제6단계(S160)
제6단계(S160)는 여과하는 단계로서, 제5단계(S150)를 거쳐서 추출된 액을 여과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5단계(S150)를 거쳐 만들어진 추출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200~300메시의 메시망에서 제6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추출액이 200메시 미만으로 제6단계(S160)가 수행되면, 미세한 이물질이 통과하여 여과가 용이하게 이루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300메시 이상으로 수행될 경우, 메시망 내에 포함된 다수의 통공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어 여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제6단계(S160)를 거쳐 제조된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에 미강, 정제수, 대두박, 새우분말, 오징어 분말 및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15~25중량부, 정제수 20~30중량부, 대두박 27~37중량부, 오징어분말 2~7중량부, 첨가제 3~6중량부 및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 1~5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미강은 지방이 15~21중량%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헥산(hexane) 등으로 추출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강에는 비타민B1, B2, 나이아신 또는 조단백질, 인, 칼륨, 칼슘 등과 같은 무기질 및 섬유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미강이 1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인, 칼륨, 칼슘 등의 영양분이 최종 제조되는 사료 조성물에 충분히 함유되지 못하여 가축 또는 어류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2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미강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미강을 제외한 사료 조성물의 함량이 낮아지게 되어 가축 및 어류의 성장이 느려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정제수는 사료 조성물을 고르게 배합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제수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사료 조성물이 고르게 배합되지 않고 덩어리지는 단점이 있고, 3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사료 조성물의 물성이 질어지게 되어 어류를 위한 사료 제조 시 일정크기로 뭉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대두박(dehulled soybean powder)은 콩을 분쇄하여 헥산으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 평균 단백질 함량이 44중량%인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아미노산 조성이 좋고 양적으로 많이 생산되는 장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두박이 27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단백질 부족으로 가축 또는 어류의 사육 시 영양결핍이 발생될 수 있고, 37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오징어분말은 단백질을 공급하는 동시에 지방산 및 인지질을 공급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오징어분말이 2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최종 제조되는 사료조성물에 단백질의 양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고, 7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오징어분말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오징어분말을 제외한 사료 조성물의 함량이 낮아지게 되어 가축 또는 어류의 성장이 느려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첨가제는 사료의 섭취율을 높이고, 사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충족되지 않은 영양성분들을 보충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첨가제가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최종 제조되는 사료 조성물의 조성비에 의해 가축 및 어류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6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첨가제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최종 제조되는 사료 조성물의 지방 또는 단백질의 양이 충분히 포함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선택적으로, 사료 조성물에 어분이 더 포함하여 어분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어분은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어분이 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어분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실시예 1>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제조.
1) 1.5 내지 2.0cm 크기의 유충을 선별하는 제1단계(S110)를 수행하거나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 복수의 산란배지와 산란장치가 포함된 온도 27~30℃, 높이 1~2m 이상의 공간에서 산란이 이루어지고, 온도 27℃ 및 습도 65%를 유지하며, 3~4일 후 산란장치에 있는 유충을 털어내고, 15~20일간 사육하여 건조한 곳으로 이동한 유충을 선별하는 제1-1단계(S115)를 수행한다.
2) 제1단계(S110)를 거친 유충을 2~10메시의 망에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제2단계(S120)를 수행한다.
3) 제2단계(S120)를 거친 유충을 정제수에 의해 세척하는 제3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때, 정제수는 유충을 포함하는 메시망에 물을 흘림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4) 제3단계(S130)를 거친 유충을 마이크로파 건조기에서 11분 동안 건조시키는 제4단계(S140)를 수행한다.
5) 제4단계(S140)를 거친 유충을 100~120℃의 추출기에 넣고 4~5시간 동안 추출을 수행하는 제5단계(S150)를 수행한다.
6) 제5단계(S150)를 거쳐 추출된 액을 250메시의 망에서 여과하는 제6단계(S160)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제조한다.
7)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0중량부, 정제수 25중량부, 대두박 32중량부, 오징어분말 4.5중량부, 첨가제 4.5중량부 및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 3중량부로 배합한다.
8) 배합비로 배합된 사료 조성물을 직경 5mm의 크기로 성형하여 건조하여 사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어분을 더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어분 3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배합한 후 직경 5mm로 성형하여 사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콩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제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제5단계(S150)에서 콩잎 농축액 추출공정(S151~S157)을 거쳐 추출된 콩잎 농축액을 제5단계(S150)에서 추출된 액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콩잎 추출물 및 어분을 더 포함하는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의 제5단계(S150)에서 콩잎 농축액 추출공정(S151~S157)을 거쳐 추출된 콩잎 농축액을 제5단계(S150)에서 추출된 액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사료 조성물에 어분 3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포함하는 가축용 음용수 제조.
실시예 1의 제6단계(S160)에서 제조된 추출액과 정제수를 1:2 비율로 배합하여 가축용 음용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콩잎 추출물 및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을 포함하는 가축용 음용수 제조.
실시예 5의 제5단계(S150)에서 콩잎 농축액 추출공정(S151~S157)을 거쳐 추출된 콩잎 농축액을 제5단계(S150)에서 만들어진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 단계와 동일하게 가축용 음용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제1단계~제6단계(S110~S160)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사료 조성물에서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 대신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두박 3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제1단계~제6단계(S110~S160)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사료 조성물에서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 대신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두박 35중량부를 첨가하고, 대두박을 포함한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어분 3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제1단계~제6단계(S110~S160)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사료 조성물에서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 대신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콩잎 추출물 2중량부 및 대두박 33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제1단계~제6단계(S110~S160)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사료 조성물에서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 대신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콩잎 추출물 2중량부 및 대두박 33중량부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어분 3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가축 일당평균증체량 및 일당평균사료섭취량 측정.
가축으로서 비육돈(肥育豚) 이유자돈 50두를 사육하여 급이하였으며, 실시예 1, 3 및 비교예 1, 3을 각각 이유 후 28일간 급이하여 일당평균증체량 및 일당평균사료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시험예 2> 어류 일당평균증체량 측정.
어류로서 넙치를 사육하여 급이하였으며, 실시예 2, 4 및 비교예 2, 4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수조에 1일 2회 만복(滿腹) 공급하였으며, 1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기간동안 평균 수온은 16~24℃를 유지하였다.
넙치의 체중 측정은 4주 간격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일 전부터 24시간 절식시킨 후 MS-222(10ppm)로 마취시켜 전체무게를 측정하여 일당평균증체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3> 조류 계란 산란율, 계란무게, 난각두께 측정.
조류로서 닭을 사육하여 급이하였으며, 각 그룹당 10마리씩 사육하였다. 1그룹은 대조군으로서 식수를 공급하고, 2그룹과 3그룹은 실시예 5, 6을 각각 공급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처음 공급 후 18~27주 동안 측정하고, 다음으로 28~32주 동안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1>을 토대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비교예 1에 비해 비교예 3 및 실시예 1, 3의 일당평균증체량 및 일당평균사료섭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1의 일당평균증체량이 비교예 1, 3 및 실시예 3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충에 포함된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이 비육돈의 체내에 축적되었기 때문에 높게 측정된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실시예 3이 실시예 1에 비해 일당평균사료섭취량은 높게 측정되었으나, 일당평균증체량은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실시예 3에 첨가된 콩잎 추출물에 의해 지방의 일부가 분해되어 비돈육의 지방에 축적되지 않고 배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토대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비교예 2에 비해 비교예 4 및 실시예 2, 4의 일당평균증체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2의 일당평균증체량이 비교예 2, 4 및 실시예 4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충에 포함된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이 어류의 체내에 축적되어 일당평균증체량이 높게 측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시예 4가 실시예 2에 피해 일당평균증체량이 미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실시예 4에 포함된 콩잎추출물의 지방분해력에 의해 지방이 온전히 축적되지 않고 배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을 토대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대조군보다 실시예 5, 6의 계란 산란율, 계란 무게, 난각두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액체 형태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종래의 고체 형태인 사료로 공급하는 것 보다 체내에서 영양소 흡수가 용이하게 수행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특히, 실시예 6이 대조군 및 실시예 5에 비해 높게 측정 되었는데, 이는, 단백질 공급량이 높아짐으로써 각 항목이 높게 측정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유충으로부터 추출된 액의 추출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어분, 사료 제조업 등에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8)

1.5 내지 2.0cm 크기의 유충을 선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유충을 메시망에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유충을 세척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유충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거친 유충을 추출기에 의해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액을 여과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1.5 내지 2.0cm 크기의 유충을 선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유충을 메시망에 흔들어 이물질을 털어내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유충을 세척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유충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거친 유충의 오일을 착유하는 제4-1단계;
상기 제4-1단계를 거친 유충의 오일과 유충박을 혼합하는 제4-2단계;
상기 제4-2단계를 거친 유충의 오일과 유충박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기에 의해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액을 여과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유충은 갈색거저리(밀웜), 동애등에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사슴벌레 유충, 굼벵이, 누에번데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또는 귀뚜라미 유충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자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적외선건조, 중외선건조, 고주파건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에서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의 추출온도는 60 내지 2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추출방법은, 알코올 추출, 미셀화 추출, 초임계 추출, 열수 추출 또는 혼합용액 추출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추출방법으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유충을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 상기 제1단계 대신 유충을 대량으로 키우는 제1-1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제1-1단계는,
복수의 산란장치가 포함된 산란배지를 포함하고, 온도 25 내지 29℃, 높이 2m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 산란준비;
상기 산란준비를 거친 공간에 포함된 산란장치에서 산란이 이루어지고, 알로부터 유충이 용이하게 부화할 수 있도록 온도 25 내지 29℃, 습도 50 내지 70%를 유지하며, 산란 후 3 내지 4일 후 부화 여부를 확인하는 산란 및 부화; 및
상기 산란 및 부화가 완료된 유충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축분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급이하며 10~20일 동안 성장 시킨 후 건조한 곳으로 이동한 유충을 선별하는 유충선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KR1020170123139A 2017-09-25 2017-09-25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KR20190035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39A KR20190035977A (ko) 2017-09-25 2017-09-25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39A KR20190035977A (ko) 2017-09-25 2017-09-25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77A true KR20190035977A (ko) 2019-04-04

Family

ID=6610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139A KR20190035977A (ko) 2017-09-25 2017-09-25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9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793A (ko) * 2018-11-28 2020-06-05 피준수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KR102159821B1 (ko) * 2020-02-05 2020-09-24 김윤영 반추동물용 발효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7554A (ko) * 2019-08-27 2021-03-11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도축 폐기물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793A (ko) * 2018-11-28 2020-06-05 피준수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KR20210027554A (ko) * 2019-08-27 2021-03-11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도축 폐기물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159821B1 (ko) * 2020-02-05 2020-09-24 김윤영 반추동물용 발효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47B1 (ko) 동애등에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9982B1 (ko) 약초 추출박을 급이하여 생육한 곤충의 유충을 이용한 애완동물사료 제조방법
CN103621821B (zh) 一种缓释多元复合鲫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37061A (ko) 곤충의 대량 사료화 방법
KR101090381B1 (ko) 고dha 및 저콜레스테롤 계란 생산용 양계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61699B (zh) 一种蚯蚓培养料及其制备方法
CN103315183B (zh) 一种瓜实蝇幼虫人工饲料
CN106213064A (zh) 一种大鲵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202398A (zh) 田螺饲料及配制方法
KR20190035977A (ko)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CN108552117B (zh) 一种基于生物技术的生态生产方法
CN105360734A (zh) 一种蝼蛄养殖饲料的制作方法
KR101195353B1 (ko) 황토 지장수와 지렁이 액기스 첨가제를 이용한 뱀장어 양식방법
CN102742550A (zh) 鲜松针养鸡方法
JP2003219761A (ja) 鱗翅目ヤガ科昆虫の幼虫を使用した植物性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並びに、その産物を使用した飼料
KR101633545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KR101717250B1 (ko) 담수어 양식용 사료, 담수어 집어용 사료 및 어류양식용 고단백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사료
TW20113041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nutritional substance containing housefly pupae
CN105309770A (zh) 一种琴鱼配方饲料
KR101358573B1 (ko) 지렁이 액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뱀장어 양식용 사료조성물
KR101938942B1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91823B1 (ko) 조류 사료와 그 제조방법
KR20210027554A (ko) 도축 폐기물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1195275B1 (ko) 황토 지장수와 지렁이 분말 첨가제를 이용한 뱀장어 양식방법
CN104431323A (zh) 动物饲养用脱水蔬菜、水果及其茎叶干粉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