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771A -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 Google Patents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771A
KR20190034771A KR1020170123195A KR20170123195A KR20190034771A KR 20190034771 A KR20190034771 A KR 20190034771A KR 1020170123195 A KR1020170123195 A KR 1020170123195A KR 20170123195 A KR20170123195 A KR 20170123195A KR 20190034771 A KR20190034771 A KR 2019003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upport
electric scooter
type electric
protective film
carri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미란
임재윤
Original Assignee
송미란
임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미란, 임재윤 filed Critical 송미란
Priority to KR102017012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4771A/ko
Publication of KR2019003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는 배터리 박스와 전동 모터가 내장된 동력부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설치되는 의자부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바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수평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발 지지대와, 상기 발 지지대에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몸체의 후면에 수직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길이 가변형 손잡이대와, 상기 발 지지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막과, 상기 손잡이대에 고정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carrier type electric scooter}
본 발명은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서, 비사용시에도 캐리어 형태로 이동이 용이한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스쿠터는 모터, 배터리, 기어 장치 및 제어 장치 등을 장착하여 전기의 힘으로 구동되며, 최근에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를 위해 근거리 이용 및 이송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스쿠터의 본체 일측에는 사람이 운전을 하거나, 조정을 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의 하단에는 노면과 접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바퀴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 스쿠터는 비사용시 큰 부피로 인하여 수납과 이동 과정에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전동 스쿠터의 휴대 및 수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20-2001-0031408호(출원일:2001.10.15), 출원번호 제20-2002-0013997호(출원일:2002.05.07)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퀵보드 형태의 전동 스쿠터에 한정되는 기술이며, 휠체어 형태의 제품에는 이러한 기술의 제안이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휴대가 간편한 전동 스쿠터의 경우 사용자의 운전시 다소 불편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는 휠체어 형태의 전동 스쿠터를 미사용시에는 캐리어 형태로 운반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승차감이 향상된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는 배터리 박스와 전동 모터가 내장된 동력부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설치되는 의자부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바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수평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발 지지대와, 상기 발 지지대에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몸체의 후면에 수직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길이 가변형 손잡이대와, 상기 발 지지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막과, 상기 손잡이대에 고정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막과 차양막은 상기 구동 바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 후면에는 후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회동 수단을 통해서 등받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는 수평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발 지지대와, 수직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길이 가변형 손잡이대를 통하여 미 사용시에는 캐리어 형태로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막과 차양막을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뿐 아니라 상기 구동 바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제작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원통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미관상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변화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의 실사용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는 몸체(10), 의자부(20), 한 쌍의 구동 바퀴(30), 발 지지대(40), 전륜(42), 손잡이대(50), 보호막(42) 및 차양막(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10)는 배터리 박스와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가 내장되고, 주요 구성 요소가 설치되는 기본 프레임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의 양측에는 한 쌍의 구동 바퀴(30)가 설치되어 상기 동력부를 통해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몸체(10)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착설할 수 있는 의자부(20)가 설치되고, 구동부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2)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수평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발 지지대(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 슬라이딩 수단은 발 지지대(40)를 몸체(10)측으로 밀어서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며, 구체적으로는 몸체(10)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서 발 지지대(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발 지지대(40)는 단순히 사용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발판이 형성될뿐 아니라 조향 및 안정적 무게 지지를 위한 전륜(42)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륜(42)은 미운행시에도 한 쌍의 구동 바퀴(30)와 함께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 지지대(40)의 전면에는 보호막(44)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막(44)는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산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보호막(44)은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발 지지대(40)가 몸체(10)측으로 이동되면, 일체형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 바퀴(30)와 곡률이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제작된다.
다음으로, 손잡이대에 대해 살펴보면,
손잡이대(40)는 상기 몸체(10)의 후면에 수직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며, 일반적인 여행용 캐리어의 손잡이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여행용 캐리어의 손잡이는 길이 가변형 아테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가 스쿠터를 운반시에 손잡이대(40)를 이용하여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수납시에는 손잡이대(40)를 접어서 작은 공간에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손잡이대(40)에는 고정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고정 수단(54)을 통해서 설치되는 차양막(52)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양막(52)은 상기 보호막과 유사하게 일체형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 바퀴(30)와 곡률이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54)은 손잡이대(40)를 따라서,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고정 수단(54)은 손잡이대(40)를 따라서 이동되는 몸체를 상기 몸체와 손잡이대(40)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도 1에 도시된 차양막(52)은 단순히 사용자의 머리 부위만 보호할 수 있는 크기로 도시되었지만, 사용자의 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즉, 수납시 보호막과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는 후륜과 등받이부가 설치된다.
먼저, 후륜은 상기 몸체(10) 후면에 설치되며, 앞서 살펴본 조작부(12)에 의해서 조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후륜은 앞서 살펴본 전륜과 함께 구동 바퀴와 함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등받이부(60)는 상기 몸체(10)에 회동 수단(62)을 통해서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등받이부(60)는 회동 수단(62)을 통해서 의자부(20)의 상측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시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의 운반시 상태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도 2는 도 1의 변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52)과 보호막(44)는 운반 과정에서 몸체와 일체형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 바퀴(30)와 곡률이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제작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대(50)를 이용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즉, 차양막(52)의 하부에는 등받이부와 의자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보호막(44)의 내측에는 상기 보호막(44)과 연속된 형태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차양막(52)과 보호막(44)이 수납 형태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양막과 보호막을 서로 고정시키는 별도의 록킹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차양막(52)과 보호막(44) 일측이 타측을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크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의 사용태양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의 실사용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운반 과정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손잡이대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되고, 탑승할 경우에는 발 지지대(40)를 전면으로 돌출시키고, 손잡이대(50)를 상부로 돌출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등받이부(60)를 회동 수단을 통해서 회전시켜서 손잡이대(50)에 접하도록 회전시키고(이 과정에서 등받이부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양막(52)과 보호막(44)를 적절한 형태로 펼쳐서 운행 준비를 마치게 된다.
이러한 운행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의자부, 발 지지대, 등받이부에 각각 신체를 밀착한 상태에서 조작부를 통하여 운행하게 된다.
운행이 완료되면 앞서 살펴본 운행 준비의 역순으로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를 수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시 편리하고 미사용시 운반이 용이한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몸체
12: 조작부
14: 후륜
20: 의자부
30: 구동 바퀴
40: 발 지지대
42: 전륜
44: 보호막
50: 손잡이대
52: 차양막
54: 고정 수단
60: 등받이부

Claims (4)

  1. 배터리 박스와 전동 모터가 내장된 동력부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설치되는 의자부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바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수평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발 지지대와;
    상기 발 지지대에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몸체의 후면에 수직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길이 가변형 손잡이대와;
    상기 발 지지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호막과;
    상기 손잡이대에 고정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통해서 설치되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과 차양막은,
    상기 구동 바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후면에는 후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회동 수단을 통해서 등받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KR1020170123195A 2017-09-25 2017-09-25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KR20190034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95A KR20190034771A (ko) 2017-09-25 2017-09-25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95A KR20190034771A (ko) 2017-09-25 2017-09-25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771A true KR20190034771A (ko) 2019-04-03

Family

ID=6616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195A KR20190034771A (ko) 2017-09-25 2017-09-25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47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21B1 (ko) * 2021-12-06 2022-05-20 신민주 차양막이 설치된 휠체어
KR20220132972A (ko) 2021-03-24 2022-10-04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72A (ko) 2021-03-24 2022-10-04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KR102400521B1 (ko) * 2021-12-06 2022-05-20 신민주 차양막이 설치된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5112B1 (en) A foldable vehicle
US20130248573A1 (en) Backpack Type Bag With Self-Balancing Electric Vehicle Mounted Thereon
KR10114960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DE3766771D1 (de) Balancespezifisch einstellbarer leichtgewichtsrollstuhl.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101391403B1 (ko) 휠체어용 전동 카트
JP2014520021A (ja) 地面上に少なくとも3つの安定した支点を持つ車両
JP2008183228A (ja) 歩行車
CA2540169A1 (en) Inter-convertible single person type transporting aid
AU2013248199A1 (en) Portable multifunction scooter
KR20190034771A (ko) 캐리어형 전동 스쿠터
WO2016022218A1 (en)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US20160144708A1 (en) Luggage scooter
JP2009006107A (ja) 乗車可能な走行機付きカバン
CN113734333B (zh) 一种代步车
KR20120134256A (ko) 휠체어
CN203777184U (zh) 电动轮椅
KR101447550B1 (ko) 접철식 전동 휠체어
ITMI20100086U1 (it) Postazione di comando ripiegabile per un sistema di videogioco
CN210494424U (zh) 轻便可折叠自动化助残车
KR102023645B1 (ko) 4륜 실버캐리지
CN207000555U (zh) 带伸缩装置的折叠婴儿推车
WO1997010791A1 (fr) Accessoire pour fauteuil roulant destine a le maintenir en une position stable de relaxation
ITRM20140166U1 (it) Seduta ammortizzante a forma di v applicabile su carrozzina manuale per disabili quando essa e' munita di motoruota a locomozione elettrica
CN211067536U (zh) 一种手动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