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118A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118A
KR20190034118A KR1020180113669A KR20180113669A KR20190034118A KR 20190034118 A KR20190034118 A KR 20190034118A KR 1020180113669 A KR1020180113669 A KR 1020180113669A KR 20180113669 A KR20180113669 A KR 20180113669A KR 20190034118 A KR20190034118 A KR 2019003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lats
throttling
seal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레크 페스타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공기 안내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공기 안내 슬랫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로틀링 슬랫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로틀링 슬랫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링 슬랫 각각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해 있는 슬랫면으로서 스로틀링 슬랫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의 슬랫 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슬랫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로틀링 슬랫은 그 슬랫면(28)에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의 형상 요소들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공기 안내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공기 안내 슬랫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로틀링 슬랫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로틀링 슬랫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링 슬랫 각각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해 있는 슬랫면으로서 스로틀링 슬랫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의 슬랫 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슬랫면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 벤트는 공기 유동을 예를 들어 승용차 또는 트럭 등의 차량의 내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에어 벤트의 하우징은 공기에 대한 유동 경로를 획정한다. 하우징에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공기 안내 슬랫은, 공기 유동을 차량 내부에 소기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차량 내부로 안내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폐쇄 위치에서는 공기를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스로틀링 슬랫이 또한 마련된다.
에어 벤트는 예를 들어 DE 298 14 953 U1을 통해 알려져 있다. 폐쇄 위치에서 공기의 통과에 대항하는 밀봉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 플랩의 본체보다 연질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밀봉 립을 구비하는 제어 플랩이 에어 벤트에 마련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재료의 두 구성요소로 형성된 상기한 제어 플랩을 생산하는 것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다른 에어 벤트가 DE 10 2012 022 364 A1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차량 내부에 직접 면하는 전방 슬랫은, 공기의 양을 제어하고, 그리고 특히 폐쇄 위치에서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 유동에 대항하는 밀봉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이웃하는 슬랫들의 윤곽 끝 부분들이 폐쇄 위치에서 폼-피팅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랫 팁을 형성하는 슬랫의 윤곽 끝 부분들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어 벤트의 경우에는, 그 중에서도 슬랫의, 특히 얇은 슬랫 팁의, 생산 및 장착 공차를 피할 수 없고, 그 결과 폐쇄 위치에서 이웃하는 슬랫들의 밀봉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공기 유동의 유효한 밀봉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알려진 에어 벤트의 경우에, 실제로 슬랫과 하우징 사이의 계면에서, 만족스러운 밀봉이 구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개략 기술된 종래 기술에서 비롯되어, 본 발명은 도입부에 언급된 타입의 에어 벤트로서, 스로틀링 슬랫의 폐쇄 위치에서 공기 유동에 대항하는 밀봉 작용의 향상이, 생산에 관하여 그리고 불가피한 생산 및 장착 공차를 고려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되는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청구 대상에 의해 상기한 과제를 달성한다. 유익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입부에 언급된 타입의 에어 벤트의 경우, 본 발명은, 스로틀링 슬랫이 그 슬랫면에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의 상기 형상 요소들이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것인 에어 벤트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는, 맑은 공기를 예를 들어 승용차 또는 트럭 등의 차량의 내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공기 안내 슬랫은 예를 들어 하우징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슬랫은, 예를 들어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그 배향에 좌우되는 소기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을 차량 내부에 보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에 마련되는 스로틀링 슬랫은, 공기 유동의 양을, 특히 폐쇄 위치에서 공기 유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정도까지,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로틀링 슬랫도 또한, 공기의 방향을 상기 소기의 방향으로 전환하는 데 관여하게 될 수 있다. 스로틀링 슬랫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최대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공기 유동을 최대로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다. 폐쇄 위치에서, 스로틀링 슬랫은 특히 기와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놓일 수 있고,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상기 유동 경로를 밀봉할 수 있다.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스로틀링 슬랫은, 예를 들어 하우징에 또는 하우징의 프레임에 있는 대응하는 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피벗 핀을 구비할 수 있다. 원론적으로는 공기 안내 슬랫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에서는, 스로틀링 슬랫이 공기 안내 슬랫의 상류측에, 즉 차량 내부에서부터 보았을 때, 공기 안내 슬랫의 뒤에 위치해 있다. 스로틀링 슬랫은 양측(상측 및 하측) 슬랫면을 구비하고, 개방 위치에서 상기 양측 슬랫면의 위와 아래로 각각 공기 유동이 유동한다. 상기 양측 슬랫면은 슬랫 팁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슬랫 팁은 뾰족한 방식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예를 들어 원형이거나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랫 팁은, 양측 슬랫면에 대하여 단면이 감소되는 것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 스로틀링 슬랫의 길이방향 양측 그리고 이에 따라 슬랫 팁은, 예를 들어 스로틀링 슬랫의 피벗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스로틀링 슬랫의 구조는 또한 공기 안내 슬랫에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링 슬랫은 그 슬랫면 상에 형상 요소를 구비한다.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의 형상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특히 폼-피팅 방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형상 요소는 폼-피팅 요소일 수 있다. 그 결과, 스로틀링 슬랫의 폐쇄 위치에서 밀봉이 향상된다. 불가피한 생산 및 장착 공차로 인해, 스로틀링 슬랫이 일반적으로 얇은 슬랫 팁의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신뢰 가능하게 지지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라 슬랫 팁이 아니라 슬랫면 상에 형상 요소가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밀봉 작용이 향상된다. 따라서, 도입부에서 개략 설명된 종래 기술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곳에 배치되는 형상 요소들은 실제로 신뢰 가능한 밀봉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는, 형상 요소들이 슬랫면들의 영역에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회피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에는 또한 형상 요소들이 슬랫 팁에 바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슬랫면의 부분들도 또한 형상 요소들과 슬랫 팁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 요소들은 공기 유동에 대해 래버린스(labyrinth)를 형성하여, 밀봉 작용을 더 향상시킨다.
도입부에서 개략 설명된 종래 기술에서 형상 요소들이 슬랫 팁에 형성되는 이유 중 하나는 겉모습이다. 따라서, 밀봉 작용에 필요한 형상 요소들은 슬랫 팁의 영역에서 덜 눈에 띄고 덜 거슬린다. 그러나, 도입부에서 개략 설명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경우에는, 밀봉 작용을 보장하는 스로틀링 슬랫들이 공기 안내 슬랫들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스로틀링 슬랫들이 그 전방에 위치해 있는 공기 안내 슬랫에 의해 은폐되므로 차량의 내부에서부터는 알아볼 수 없거나 또는 눈에 덜 띄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경우, 폐쇄 위치에서 공기 유동에 대항하는 밀봉 작용이 공지의 에어 벤트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공지의 에어 벤트는 폐쇄 위치에서, 예를 들어 200 Pa의 압력 부하에서, 6 kg/h 초과의 공기 누출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경우, 훨씬 나은 누출값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는 간단한 생산 및 장착에 의해 구별된다. 특히, 향상된 밀봉 작용을 위해서는, 여러 재료 요소들로 제조되는 복잡한 스로틀링 슬랫이 없는 것이 요구된다.
어느 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로틀링 슬랫 각각은, 슬랫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홈과, 반대편의 슬랫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돌출부를 형상 요소로서 구비할 수 있고,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의 상기 밀봉 돌출부와 밀봉 홈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밀봉 홈과 밀봉 돌출부는 서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서로 최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밀봉 홈과 밀봉 돌출부가 스로틀링 슬랫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면, 완전한 밀봉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각 스로틀링 슬랫은 그 슬랫면들 중의 어느 하나에는 정확히 1개의 밀봉 홈을 구비할 수 있고 그 반대편 슬랫면에는 정확히 1개의 밀봉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스로틀링 슬랫들은 생산에 관하여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돌출부는 각각 사다리꼴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밀봉 홈은 각각 사다리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효과가 더 향상된다. 사다리꼴의 각각의 직선형 면은 곡선형 면, 즉 반경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그 결과 불가피한 생산 및 장착 공차를 고려하여도, 서로 맞물리는 것과 이에 따른 밀봉 효과가 보장된다. 특히, 이러한 공차는 상기한 구성에 의해 최적으로 보상된다. 그러나, 다른 형상 요소 기하구조도 또한 물론 가능하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폐쇄 위치에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은 그 형상 요소의 영역에서만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따라서, 형상 요소의 경계를 이루는 슬랫면 부분으로서,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이 폐쇄 위치에서 특히 기와 방식으로 중첩될 수 있는 슬랫면 부분이, 폐쇄 위치에서 접촉하지 않는다. 오히려, 밀봉 접촉은 형상 요소의 영역에서만 일어난다. 그 결과, 밀봉 작용이 더 향상된다. 특히, 형상 요소의 영역에서만 접촉이 보장될 필요가 있으므로, 생산 및 장착 공차의 보상이 더 향상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삽입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지지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은 또한 별개의 구성요소로 생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래칭에 의해 상기 하우징 본체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일체형 프레임은, 종래 기술에서 흔히 제공되는 멀티파트 구성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폐쇄 위치에서 밀봉되어야 할 구성요소 계면들의 수를 줄인다. 따라서, 일체형 프레임의 경우에, 스로틀링 슬랫들 사이에 그리고 스로틀링 슬랫과 프레임 사이에 단 하나의 계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밀봉 작용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파트로 구성되는 멀티파트 프레임도 또한 고려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스로틀링 슬랫에 대한 피벗 베어링을 형성하는 측이, 밀봉 작용을 위한 대응하는 포메이션을 갖는 베어링 스트립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상에 형성된 형상 요소도 마찬가지로 개별 파트일 수 있다. 또한, 형상 요소들이 하우징의 일부분이 되는 경우에, 베어링 스트립을 갖는 실시형태도 고려 가능하다. 함께 끼워지는 2부품 또는 멀티파트 프레임도 또한 고려 가능할 것이다.
프레임은 스로틀링 슬랫과 다른 재료 및/또는 하우징 본체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 및/또는 스로틀링 슬랫의 재료보다 연질의 재료가, 예를 들어 변형 가능한 밀봉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대해 고려 가능할 것이다. 이는, 스로틀링 슬랫과 프레임 사이 그리고 프레임과 하우징 본체 사이의 공차 보상에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마찰하는 경질 플라스틱 구성요소들에 의해 야기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발생에 관하여, 또는 그 감소에 관하여 유익할 것이다.
폐쇄 위치에서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는 스로틀링 슬랫의 형상 요소에 밀봉 방식으로 맞물리는 형상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밀봉 홈 및/또는 밀봉 돌출부가, 마찬가지로 프레임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스로틀링 슬랫과 프레임 사이의 밀봉 작용이 향상된다. 이 경우 프레임 상의 형상 요소는,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는 스로틀링 슬랫의 형상 요소에 대응한다. 상기 형상 요소는,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밀봉 홈 및/또는 밀봉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밀봉 홈 및/또는 사다리꼴 밀봉 돌출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요소는 스로틀링 슬랫으로부터, 예를 들어 스로틀링 슬랫의 횡방향 양측 상의 밀봉 홈 또는 밀봉 돌출부로부터, 프레임에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프레임의 형상 요소는 스로틀링 슬랫의 형상 요소의 측방 연장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바로 옆의 스로틀링 슬랫은, 각각의 형상 요소를 통하여, 일측에서는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의 형상 요소 상에서 그리고 타측에서는 프레임의 대응하는 형상 요소 상에서 지지된다. 이를 위해, 스로틀링 슬랫은 비대칭 슬랫면, 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슬랫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형상 요소는 특히 프레임의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이 프레임의 단부측의 형상 요소 상에 스로틀링 슬랫이, 예를 들어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피벗 핀을 통하여,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대응하는 핀 리셉터클이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로틀링 슬랫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는 프레임의 단부측에도, 대응하는 형상 요소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형상 요소는 전체 프레임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고, 프레임에 바로 이웃해 있는 각 스로틀링 슬랫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로틀링 슬랫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형상 요소를 통해,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텝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래버린스를 구성하는 추가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스텝은 공기를 예를 들어 2회 90° 편향되게 강제하고, 그 결과 밀봉이 더 향상된다. 수 개의 스텝을 갖는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스로틀링 슬랫의 하나 이상의 스텝과, 폐쇄 위치에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이 지지되는 프레임 부분 상의 대응하는 스텝에 의해, 추가적인 스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스텝 구성의 결과, 상기 스텝들에 의해 형성된 래버린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경로가 연장되고, 더 향상된 밀봉 효과가 달성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로틀링 슬랫 중의 어느 하나는 나머지 스로틀링 슬랫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슬랫으로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작동 슬랫은 수동 또는 동력화된, 예를 들어 전동의, 작동을 위한 작동 기구와 다른 스로틀링 슬랫에 결합되는 결합 요소, 예를 들어 결합 로드, 양자 모두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작동 슬랫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 슬랫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상기 커버 슬랫과 상기 작동 슬랫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형상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특히 작동 슬랫과 커버 슬랫도 마찬가지로 스로틀링 슬랫을 형성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에 따라 작동 슬랫과 선택적으로 커버 슬랫이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이들에 인접한 스로틀링 슬랫이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맞물린다. 이에 따라, 상기한 형상 요소들은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슬랫 및 커버 슬랫 상의 형상 요소들도 또한 서로 대응한다. 상기 형상 요소들은,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형상 요소들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슬랫 및 커버 슬랫의 형상 요소는 또한 단일 또는 복수의 곡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래버린스 효과 그리고 이에 따른 밀봉 작용을 더 향상시킨다.
이미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슬랫과 선택적으로 커버 슬랫을 포함하는, 스로틀링 슬랫이 균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 스로틀링 슬랫은 특히 2-요소 파트를 형성하지 않는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별개의 밀봉 요소가 불필요하므로, 특히 생산이 간단해진다. 또한, 스로틀링 슬랫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균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일부의 스로틀링 슬랫의 재료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강성의 스로틀링 슬랫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의 본문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데, 상기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의 일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벤트의 스로틀링 슬랫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로틀링 슬랫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로틀링 슬랫의 다른 상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세부(細部) C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부 D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벤트의 프레임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0은 스로틀링 슬랫이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도 9의 프레임의 세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11은 다른 스로틀링 슬랫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도 10의 프레임의 세부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프레임의 도 9에 있어서의 우측 에지의 확대도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품목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는, 하우징 본체(10)와, 하우징 본체(10)에 삽입되는 일체형 프레임(12)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스로틀링 슬랫(14)이 프레임(12)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에서, 스로틀링 슬랫(14)의 피벗 축은 위에서 아래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은, 도 5의 단면도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로틀링 슬랫들이 기와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놓여 있는, 스로틀링 슬랫(14)의 폐쇄 위치를 보여준다. 도시된 예에서,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슬랫(16)이, 도 1에서는 은폐되어 있는 결합 로드를 통하여, 그 자체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나머지 스로틀링 슬랫(14)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슬랫(16)의 수동 작동의 결과, 스로틀링 슬랫(14)은, 도 1과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스로틀링 슬랫이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최대 규모로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작동 슬랫(16)을 작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공기 안내 슬랫들 중의 하나 상에서 안내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핸드 휠 또는 슬라이딩 노브가, 그 자체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차량 내부로 유도하는 공기 유동이 화살표 18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슬랫(16)은 또한 커버 슬랫(20)에 의해 덮여있는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작동 슬랫은 나머지 스로틀링 슬랫과 함께 공기 유동에 대하여 밀봉 작용을 보장한다.
명료한 도시를 목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에 마찬가지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기 안내 슬랫이 또한 에어 벤트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기 안내 슬랫을 이용하여 공기 유동이 소기의 방식으로 차량 내부로 방향 전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 작동 슬랫(16) 및 커버 슬랫(20)을 포함하는 스로틀링 슬랫들(14)은, 공기의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공기 안내 슬랫의 상류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서부터 보았을 때, 스로틀링 슬랫들(14)과 작동 슬랫(16) 및 커버 슬랫(20)은 공기 안내 슬랫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공기 안내 슬랫의 상기한 구성, 특히 공기 안내 슬랫을 하우징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은, 그 자체가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특히, 도 3과 도 4의 도해에서는,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12)의 대응하는 핀 리셉터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로틀링 슬랫(14)의 피벗 핀(22)이 분명하게 보인다. 작동 슬랫(16) 및 커버 슬랫(20)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 도 3과 도 4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로틀링 슬랫(14)의 서로 다른 세부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 도시된 스로틀링 슬랫(14)[나머지 스로틀링 슬랫(14)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밀봉 홈(24)과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밀봉 돌출부(26)를 구비하는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 폐쇄 위치에서,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의 밀봉 돌출부(26)와 밀봉 홈(26)은, 특히 도 5와 도 6에서 분명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밀봉 방식으로, 특히 폼-피팅 방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이 경우에,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은 그 밀봉 홈(24)과 밀봉 돌출부(26)의 영역에서만 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스로틀링 슬랫(14) 각각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슬랫면(28)으로서 스로틀링 슬랫(14)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슬랫 팁(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슬랫면(28)을 구비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히 도 6에서 슬랫 팁은 예시를 이유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원형 방식이 아니라, 사다리꼴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모든 스로틀링 슬랫(14)의 슬랫 팁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밀봉 홈(24)과 밀봉 돌출부(26)는 슬랫면(28)의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슬랫 팁(3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 따라서, 도 6에서 참조 부호 32와 34로 나타내어진 슬랫면(28)의 상호 중첩부(32, 34)가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상호 중첩부(32, 34)의 영역에서,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 사이에는 접촉이 없고, 오히려 이러한 접촉은 밀봉 홈(24)과 밀봉 돌출부(26)의 영역에서만 일어난다. 또한, 밀봉 홈(24)과 밀봉 돌출부(26)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직선형 면은, 도 2에서 화살표 3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각각 곡선 영역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7에서는, 서로 다른 스로틀링 슬랫(14)을 작동 슬랫(16)에 결합하는 결합 로드(38)가 또한 도면 부호 38에서 분명하게 보여진다. 그 외에도, 작동 슬랫(16)과 커버 슬랫(20)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밀봉 홈(24)과 밀봉 돌출부(26)를 구비하고, 도 5에서 분명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밀봉 홈과 밀봉 돌출부를 통해 작동 슬랫과 커버 슬랫은 서로에 대해 지지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에 대해서도 지지된다.
또한, 프레임(12)은 각각 대향하는 측에, 도 7에서는 상단과 하단에, 스텝(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텝은 스로틀링 슬랫(14)에 가능한 가까워지게 되며, 그 결과 스로틀링 슬랫(14)의 아래와 위를 지나 유동하는 공기가 더 필요한 곳으로 방향 전환되고, 이에 따라 스로틀링 슬랫(14)과 프레임(12) 사이의 계면에서 밀봉이 더 개선된다는 것이, 도 8에 분명하게 보여진다.
도 9에서는, 스로틀링 슬랫(14)의 피벗 핀(22)을 위한 핀 리셉터클(42)이 분명하게 보여진다. 물론, 대응하는 피벗 핀을 위한 대응하는 핀 리셉터클(42)은 작동 슬랫(16)과 커버 슬랫(20)에 대해서도 또한 마련된다. 또한, 도면들에서는 작동 슬랫(16)과 커버 슬랫(20)이 별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결합된 일체형의 작동 및 커버 슬랫도 또한 고려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프레임(12)은 스로틀링 슬랫(14)을 지지하는 측에, 도 7에서는 상단측과 하단측에, 복수 개의 밀봉 돌출부(44)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밀봉 돌출부(44)는 그 단면에 관하여 스로틀링 슬랫(14)의 밀봉 돌출부(26)에 대응한다는 것이, 도 9와 도 10에 분명하게 보여진다. 도 10에 스로틀링 슬랫(14)에 대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밀봉 돌출부(44)는, 폐쇄 위치에 위치해 있는 스로틀링 슬랫(14)의 밀봉 돌출부(26)의 측방 연장부를 형성한다. 이를 예시하기 위해, 가시적인 핀 리셉터클(42)에 실제로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로틀링 슬랫(14)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11의 단면도에는 도시되어 있다. 스로틀링 슬랫(14)은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의 밀봉 돌출부(26) 상에 그리고 프레임(12)의 대응하는 밀봉 돌출부(44) 상에 각각 밀봉 방식으로 놓여 있다는 것이, 도 5 및 도 6과 함께 도 11에서 분명하게 보여진다. 이를 위해, 스로틀링 슬랫(14)은 비대칭 구성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12)은 핀 리셉터클(42)과 밀봉 돌출부(44) 사이에 경사면(48)을 구비하는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스로틀링 슬랫(14)은 각각 상기 경사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2)에 대한 계면에서도 최적의 밀봉이 달성된다. 또한, 스로틀링 슬랫(14)의 밀봉 돌출부에 대응하는 밀봉 홈도 물론 프레임(12) 상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프레임(12)은 또한, 스로틀링 슬랫(14)을 지지하지 않는 횡방향 양측에, 도 9에서의 좌측 및 우측에, 형상 요소를 구비한다. 횡방향 일측에, 도 9에서의 좌측에, 프레임(12)은, 밀봉 홈(24)에 대응하고 프레임(1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프레임(12)에 의해 은폐되는 밀봉 홈을 구비한다. 횡방향 타측에, 도 9에서의 우측에, 프레임(12)은, 스로틀링 슬랫(14)의 밀봉 돌출부(26)에 대응하는 밀봉 돌출부(46)를 구비한다. 이는 도 12의 부분 확대도에서도 쉽게 분명히 볼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대향하는 말단의 스로틀링 슬랫들(14)의 횡방향 측들은, 그 밀봉 홈(24) 또는 그 밀봉 돌출부(24)와 대응하는 방식으로, 프레임(12)의 대응하는 밀봉 돌출부(46) 또는 프레임(12)의 대응하는 밀봉 홈 상에 각각 놓이고, 그 결과 폐쇄 위치에서는 스로틀링 슬랫(14)과 프레임(12) 사이의 계면에서도 최적의 밀봉이 달성된다.
10 : 하우징 본체 12 : 프레임
14 : 스로틀링 슬랫 16 : 작동 슬랫
18 : 공기 유동 20 : 커버 슬랫
22 : 피벗 핀 24 : 밀봉 홈
26 : 밀봉 돌출부 28 : 슬랫면
30 : 슬랫 팁 32 : 중첩부
34 : 중첩부 36 : 화살표
38 : 결합 로드 40 : 스텝
42 : 핀 리셉터클 44 : 밀봉 돌출부
46 : 밀봉 돌출부 48 : 경사면

Claims (11)

  1. 차량용 에어 벤트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공기 안내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공기 안내 슬랫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로틀링 슬랫(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로틀링 슬랫(14)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18)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18)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링 슬랫(14) 각각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해 있는 슬랫면(28)으로서 스로틀링 슬랫(14)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의 슬랫 팁(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슬랫면(28)을 구비하며, 상기 스로틀링 슬랫(14)은 그 슬랫면(28)에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의 형상 요소들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14) 각각은, 슬랫면(28)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홈(24)과, 반대편의 슬랫면(28)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돌출부(28)를 형상 요소로서 구비하고, 이웃하는 스로틀링 슬랫(14)의 상기 밀봉 돌출부(26)와 밀봉 홈(24)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26)는 각각 사다리꼴 단면을 갖고, 및/또는 상기 밀봉 홈(24)은 각각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14)은 그 형상 요소의 영역에서만 서로에 대해 지지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에 삽입되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14)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에도 마찬가지로 형상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밀봉 홈(44) 및/또는 밀봉 돌출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12)에 대해 지지되는 상기 스로틀링 슬랫(14)의 형상 요소는 밀봉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형상 요소에 맞물리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텝(40)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 중의 어느 하나는 나머지 스로틀링 슬랫(14)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슬랫(16)으로서 마련되고, 상기 작동 슬랫은 수동 또는 전동 작동을 위한 작동 기구와 다른 스로틀링 슬랫(14)에 결합되는 결합 요소 양자 모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작동 슬랫(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 슬랫(20)에 의해 덮여있고, 상기 커버 슬랫(20)과 상기 작동 슬랫(16)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형상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링 슬랫(14)은 균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180113669A 2017-09-22 2018-09-21 차량용 에어 벤트 KR20190034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2039.9A DE102017122039A1 (de) 2017-09-22 2017-09-22 Luft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DE102017122039.9 2017-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118A true KR20190034118A (ko) 2019-04-01

Family

ID=6563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69A KR20190034118A (ko) 2017-09-22 2018-09-21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92141A1 (ko)
KR (1) KR20190034118A (ko)
CN (1) CN109532413A (ko)
DE (1) DE102017122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5435A1 (de) 2021-03-05 2022-09-08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üftungseinrichtung zur Ablenkung eines Luftstro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559A (en) * 1972-04-10 1973-11-13 American Warming Ventilation Damper
DE29814953U1 (de) 1998-08-20 1998-11-12 Schneider Franz Kunststoffwerk Frischluftdüs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252207B1 (ko) * 2011-07-05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DE102012022364A1 (de) 2012-11-15 2014-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Luftausströmer und Belüftung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567690B1 (ko) * 2014-05-12 201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KR20160002036A (ko) * 2014-06-30 2016-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32413A (zh) 2019-03-29
US20190092141A1 (en) 2019-03-28
DE102017122039A1 (de)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5355B1 (en) Weather strip
US7118169B2 (en) Front pillar garnish
EP321953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CN102442185B (zh) 机动车用玻璃滑槽
JP2010521349A (ja) シーリングプロファイルおよびシーリングプロファイルを含む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473541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6700900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CA2639778A1 (en) Open roof construction
US6974183B2 (en) Openable motor vehicle roof
CN109895609B (zh) 用于车辆的敞开车顶构造和包括敞开车顶构造的车辆
KR20190034118A (ko) 차량용 에어 벤트
US4378130A (en) Roof side rail assembly
US6030031A (en) Vehicle comprising an open roof construction; and a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9248729B2 (en) Vehicle door structure
US4722565A (en) Tilt-slide type sunroof of motor vehicle
US5816647A (en) Louver arrangement for vehicle sun roofs, especially transparent ones
US6234567B1 (en) Vehicle roof with a roof cutout as well as a wind deflecting profile therefor
CN108608964A (zh) 用于车辆车门的可变带状装饰嵌条结构
US20210101459A1 (en) Cover for closing an opening in a vehicle body
JP4843591B2 (ja) 車両のドア構造
CN110682779B (zh) 用于车辆的开放式车顶构造
JP4281628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860349B2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CN211166379U (zh) 天窗装置
EP4129724A1 (en) Tilted panel touching roof rails for better aeroacou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