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93A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3493A KR20190033493A KR1020190027750A KR20190027750A KR20190033493A KR 20190033493 A KR20190033493 A KR 20190033493A KR 1020190027750 A KR1020190027750 A KR 1020190027750A KR 20190027750 A KR20190027750 A KR 20190027750A KR 20190033493 A KR20190033493 A KR 201900334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 pin
- guide
- protecto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패널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차체패널에 고정되고 적어도 브라켓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을 보호하는 프로텍터, 및 프로텍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동체의 이동에 연동되어 유동되는 와이어링에 따라 변형되며 와이어링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링이 차량용 시트의 이동 궤적에 간섭을 받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링의 설계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링이 차량용 시트의 이동 궤적에 간섭을 받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링의 설계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변형되며 움직이는 와이어링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정렬부를 통해, 와이어링이 차량용 시트의 이동 궤적에 간섭을 받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링의 설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백, 시트쿠션, 헤드레스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트는 시트트랙을 따라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 즉 시트트랙은 통상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시트쿠션과 결합되는 이동레일 및, 고정레일에 대해 이동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로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로크기구의 해제시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시트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시트 착석자는 편안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시트가 시트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기구를 작동시켜 주기 위한 부품이 필요한데, 이에 해당하는 것이 시트트랙 레버이다.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4842호(등록일 : 2005.09.07.)인 "배선 고정클립"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슬라이드 시트측의 여유길이를 활용한 와이어 결선방식의 경우 시트 이동량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 시트의 하단부 카패트 컷팅홀을 통하여 와이어가 배선되기 때문에 시트의 이동거리가 길어질 경우 와이어 인출부 노출 및 사용자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 작동시, 시트하단의 와이어는 주변부와 간섭, 끼임, 소음발생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체 변형되며 움직이는 와이어링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정렬부를 통해, 와이어링이 차량용 시트의 이동 궤적에 간섭을 받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링의 설계 작업이 용이한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는: 차체패널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차체패널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기 브라켓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을 보호하는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차량에 구비되는 이동체의 이동에 연동되어 유동되는 와이어링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와이어링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정렬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내부에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정렬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로텍터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형정렬부를 연결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끼리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정렬부는, 마주하는 상기 가로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허용되고, 복수 개 구비되어 물결 파형을 따라 상기 와이어링을 배치 안내하는 가이드핀; 상기 가이드핀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 또는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핀; 이웃한 상기 연장핀끼리를 교차되어 겹쳐지게 한 상태로 연결하는 힌지핀; 및 상기 와이어링의 움직임에 따라 이웃한 상기 가이드핀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핀에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이웃한 연장핀끼리를 구속하도록 연결되어, 정렬된 상기 와이어링을 지지하는 커넥팅핀을 포함한다.
상기 가로대는 상기 프로텍터에 구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자체 변형되며 움직이는 와이어링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정렬부를 통해, 와이어링이 차량용 시트의 이동 궤적에 간섭을 받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링의 설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프레임과 프로텍터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프레임과 프로텍터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프레임과 프로텍터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100)는 브라켓(200), 프레임(300), 변형정렬부(400) 및 프로텍터(500)를 포함한다.
브라켓(200)은 차체패널(10)에 설치되는 이동체(30)에 연결되거나 배선되는 와이어링(20)을 프레임(30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브라켓(200)은 이동체(3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브라켓(200)은 와이어링(20)을 정렬하여 프레임(300)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와이어링(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정렬안내구(21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브라켓(2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체(30)는 차량용 시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차체패널(10)은 차량의 플로어패널인 것으로 한다.
프레임(300)은 변형정렬부(400)를 연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레임(300)은 가로대(310) 및 세로대(320)를 포함한다.
가로대(310)는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세로대(320)는 가로대(310)끼리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가로대(310)는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세로대(320)는 가로대(310)의 축 방향으로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프로텍터(500)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변형정렬부(400)를 보호하기 위해 변형정렬부(4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프레임(300) 특히 가로대(310)를 직접적으로 내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측 최외측의 세로대(320) 또는 가이드핀(410)이 가로대(310)에 위치 고정됨에 따라, 나란한 한 쌍의 가로대(310)는 프로텍터(500)의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가로대(310)는 형상을 유지한 채 고정된다.
아울러, 세로대(320)는, 후술할, 가이드핀(410)에 포함될 수 있다.
프레임(300) 중 가로대(310)는 차체패널(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변형정렬부(400)는 이동체(30)의 이동시 움직이거나 변형되는 와이어링(20)에 의해 자체 변형되며 와이어링(20)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변형정렬부(400)는 가이드핀(410), 연장핀(420), 힌지핀(430) 및 커넥팅핀(440)을 포함한다.
가이드핀(410)은 마주하는 가로대(310)에 양측이 연결되어, 가로대(31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허용된다.
그리고, 가이드핀(410)은 가로대(31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고, 와이어링(20)은 가이드핀(410)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 즉, 물결 파형을 따라 배치된다. 이동체(30)가 움직일 경우에도, 와이어링(20)은 변형정렬부(40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변형정렬부(4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와이어링(20)은 프로텍터(500)의 내측면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물론, 가이드핀(410)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핀(410)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핀(410)은 프레임(300)의 세로대(320)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200)은 어느 하나의 가이드핀(410) 특히, 세로대(320) 역할을 하는 가이드핀(410)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200)에 구속되는 가이드핀(410)은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핀(410)은 가이드롤러(412)를 구비하고, 가로대(310)는 대응되는 가이드롤러(412)의 구름 이송을 허용하기 위해 가이드레일(3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412)가 가로대(310)의 축 방향에 대해 가이드레일(312)의 양측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가이드레일(312)은 가이드롤러(4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가이드롤러(412)와 가이드레일(3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로대(3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최외측의 세로대(320) 또는 가이드핀(410)은 브라켓(200)에 구속됨과 아울러, 타측 최외측의 세로대(320) 또는 가이드핀(410)은 가로대(310)에 위치 고정되도록 구속될 수 있다.
그래서, 가이드핀(410), 연장핀(420) 및 커넥팅핀(440)을 포함한 변형정렬부(400)는 와이어링(20)에 가해지는 당김력의 방향에 따라 브라켓(200)에 연동되어 가로대(310)의 타측 최외측에 고정된 세로대(320) 또는 가이드핀(410)을 기준으로 벌려지거나 모이게 된다.
아울러, 가로대(310)는 축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312)을 형성하여, 대응되는 가이드핀(410), 또는 가이드핀(410)과 세로대(3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레일(3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연장핀(420)은 가이드핀(410)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 또는 양측에서 연장된다. 편의상, 연장핀(420)은 가이드핀(410)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연장핀(420)은 가이드핀(41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힌지핀(430)은 이웃한 연장핀(420)끼리 즉, 이웃한 가이드핀(410) 각각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핀(420)끼리, 및 이웃한 가이드핀(410) 각각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핀(420)끼리를 서로 교차되어 겹쳐지게 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한다.
그래서, 가로대(310)의 축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이웃한 연장핀(420)은 힌지핀(430)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힌지(링크) 연결된다. 물론, 힌지핀(43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핀(440)은 연장핀(420)에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이웃한 연장핀(420)끼리를 구속하도록 연결된다. 특히, 커넥팅핀(440)은 가이드핀(410) 각각의 일측과 타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핀(420)의 단부끼리를 연결한다.
그리고, 커넥팅핀(440)은 교차되는 한 쌍씩의 연장핀(420)을 힌지 가능하도록 함께 링크 연결한다. 따라서, 연장핀(420)은 가이드핀(410)과 커넥팅핀(440)에 의해 구속되고, 가이드핀(410)이 가로대(310)를 따라 이동 가능함에 따라 힌지 부위가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즉, 힌지핀(430)에 의해 연결된 이웃한 연장핀(420)의 교차각은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핀(410)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따라 예각을 이룰 수도 있고, 둔각을 이룰 수도 잇다.
결과적으로, 커넥팅핀(440)은 와이어링(20)의 움직임에 따라 이웃한 가이드핀(410)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커넥팅핀(440)은 정렬된 와이어링(20)이 움직임에 따라 변형정렬부(4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링(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커넥팅핀(4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핀(440)은 정렬유도부재(442)를 구비하고, 와이어링(20)은 커넥팅핀(440)과 정렬유도부재(442) 사이로 삽입되어 정렬될 수 있다.
정확히, 정렬유도부재(442)는 커넥팅핀(440)의 둘레에 구비되고, 커넥팅핀(440)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커넥팅핀(440) 방향으로 구획벽(444)을 형성한다. 그래서, 와이어링(20)은 이웃한 구획벽(444) 사이로 삽입되어 정렬된다.
이로 인해, 와이어링(20)과 변형정렬부(400)의 구속력이 증가되어, 가이드핀(410)은 와이어링(20)에 발생되는 움직임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된다.
물론, 정렬유도부재(442)와 구획벽(44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프로텍터(500)는 차체패널(10)에 고정되고, 적어도 브라켓(200)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20)과 변형정렬부(400)를 보호한다. 물론, 프로텍터(5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상세히, 프로텍터(500)는 제 1결속부재(510)에 의해 차체패널(10)에 고정된다. 아울러, 프로텍터(500)와 가로대(310)는 제 2결속부재(520)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여기서, 제 1결속부재(510)와 제 2결속부재(520)는 볼트나 스크류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정렬부(400)는 프레임(300)에 연결 지지되고, 프로텍터(500)에 연결 지지되어 와이어링(20)의 움직임에 의해 안정적으로 변형 안내될 수 있다.
예로서, 힌지핀(430) 또는 커넥팅핀(44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대응되는 프로텍터(5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패널 20: 와이어링
100: 배선 정렬장치 200: 브라켓
300: 프레임 312: 가이드레일
400: 변형정렬부 410: 가이드핀
412: 가이드롤러 420: 연장핀
430: 힌지핀 440: 커넥팅핀
442: 정렬유도부재 444: 구획벽
500: 프로텍터 510: 가이드홈부
100: 배선 정렬장치 200: 브라켓
300: 프레임 312: 가이드레일
400: 변형정렬부 410: 가이드핀
412: 가이드롤러 420: 연장핀
430: 힌지핀 440: 커넥팅핀
442: 정렬유도부재 444: 구획벽
500: 프로텍터 510: 가이드홈부
Claims (1)
- 차체패널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차체패널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기 브라켓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을 삽입하여 보호하도록 함체 형상의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연동되어 유동되는 와이어링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와이어링을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터는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정렬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로텍터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형정렬부를 연결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끼리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정렬부는, 마주하는 상기 가로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허용되고, 복수 개 구비되어 물결 파형을 따라 상기 와이어링을 배치 안내하는 가이드핀; 상기 가이드핀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 또는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핀; 이웃한 상기 연장핀끼리를 교차되어 겹쳐지게 한 상태로 연결하는 힌지핀; 및 상기 와이어링의 움직임에 따라 이웃한 상기 가이드핀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핀에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이웃한 연장핀끼리를 구속하도록 연결되어, 정렬된 상기 와이어링을 지지하는 커넥팅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최외측의 가이드핀을 힌지 가능하게 구속하며, 상기 커넥팅핀은 정렬유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대는 상기 프로텍터에 구속되고,
상기 정렬유도부재는 상기 와이어링을 삽입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커넥팅핀 방향으로 구획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7750A KR101969999B1 (ko) | 2019-03-11 | 2019-03-11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7750A KR101969999B1 (ko) | 2019-03-11 | 2019-03-11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2123A Division KR101969995B1 (ko) | 2017-09-21 | 2017-09-21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3493A true KR20190033493A (ko) | 2019-03-29 |
KR101969999B1 KR101969999B1 (ko) | 2019-04-18 |
Family
ID=6589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7750A KR101969999B1 (ko) | 2019-03-11 | 2019-03-11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999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0604A (ja) * | 2005-03-07 | 2006-09-14 | Fujikura Ltd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
JP2014187809A (ja) * | 2013-03-22 | 2014-10-0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材および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
-
2019
- 2019-03-11 KR KR1020190027750A patent/KR101969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0604A (ja) * | 2005-03-07 | 2006-09-14 | Fujikura Ltd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
JP2014187809A (ja) * | 2013-03-22 | 2014-10-0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材および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9999B1 (ko) | 2019-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70835B2 (ja) | 車両用シートの移動装置 | |
JP5654764B2 (ja) |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 |
EP2873552A1 (en) | Vehicle seat slide device | |
CN101722872B (zh) | 车辆座椅滑动装置 | |
EP2402208B1 (en) | Vehicle seat device | |
JPH06336131A (ja) |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CN108501775B (zh) | 具有横向折叠部分的车辆座椅 | |
US8205924B2 (en) |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 |
US8235443B2 (en) |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 |
KR101969999B1 (ko)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
KR101969997B1 (ko)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
KR101969998B1 (ko)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
CN101722871A (zh) | 车辆座椅滑动装置 | |
KR101969995B1 (ko)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
KR101959908B1 (ko) | 차량용 배선 정렬장치 | |
DE102018123005B4 (de) | Fahrzeugsitz | |
EP2527193B1 (en) | Seat slide locking apparatus | |
JP2000043621A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KR101423481B1 (ko) |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 |
PL1686032T3 (pl) | Składana rampa pasażersko-przeładunkowa | |
KR20210002186A (ko) | 시트의 보조 시트 수납 장치 | |
JP2017197075A (ja) | 車両用シート | |
DE9320377U1 (de) | Fahrgastsitz im Einstiegsbereich eines Fahrzeuges zur Personenbeförderung | |
JP2018027750A (ja) | 車両用シートの駆動装置 | |
JP6366446B2 (ja) | シートのハーネス支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