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167A -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167A
KR20190033167A KR1020170121616A KR20170121616A KR20190033167A KR 20190033167 A KR20190033167 A KR 20190033167A KR 1020170121616 A KR1020170121616 A KR 1020170121616A KR 20170121616 A KR20170121616 A KR 20170121616A KR 20190033167 A KR20190033167 A KR 2019003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camera module
resolution
ch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2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167A/ko
Priority to CN201810325380.4A priority patent/CN109547774A/zh
Publication of KR2019003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05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 G06F11/2221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to test input/output devices or peripher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동종 또는 이종 카메라 모듈에 대한 다양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동종 또는 이종 카메라 모듈에 대한 다양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태블릿 및 PC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단말기 본래의 기능 외에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이 추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의 카메라 모듈은 고해상도의 화질을 구현하고 있으며,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광학 줌(optical zoom)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통상,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CCD 또는 CMOS와 같은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는데, 이미지센서는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휴대용 단말기 내의 메모리부에 데이터로 저장시키고,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생산 후 출하 전에 이상 유무에 대한 일련의 검사 예를 들면, 초점 조정 검사, 해상도 검사, 이미지 검사 등이 행해진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완성품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데 있어, 검사 시간을 줄이고 정밀한 검사를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9363호를 통해 개시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테이블(table), 상기 테이블에 연동하고, 복수의 테스트 항목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테스터부, 그리고 상기 테이블에 연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테스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테스터부와 상기 테스트부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안착부는 복수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블이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동안 항시 전기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축 방향 틀어짐 또는 기울어짐 등과 같은 개체차 등을 검사할 때, 안착부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광원을 배치하고,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해상도 검사 차트를 배치시켜, 해상도 검사 차트를 통과하는 광을 촬영하여 개체차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 때, 광원과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해상도 검사 차트는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여야 하며, 해상도 검사 차트와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검사 결과의 신뢰가 현격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이 정위치에 안착되는 것 뿐만 아니라 해상도 검사 차트가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검사 장치 내에서 다양한 항목에 대한 검사가 가능함으로써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영역 간 피검체인 카메라 모듈의 이송 및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동종 카메라 모듈뿐만 아니라 복수의 이종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안착 위치 또는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 테이블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여 배선의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복수의 검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검사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부는 고정 테이블, 상기 고정 테이블 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영역이 구비된 안착부, 상기 고정 테이블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시 상기 안착부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검사 유닛을 포함한다.
이 때, 안착부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안착됨으로써 검사 유닛의 회전 구동 이외의 별도 구동 없이 안착부에 안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에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소켓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 소켓은 복수의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 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검사부는 복수의 검사 유닛 중 임의의 하나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검사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해상도 검사 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는 상기 검사 유닛과 독립적으로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도 검사 차트는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의 일 측에 일 단이 연결된 연동 캠, 상기 연동 캠의 타단에 연결된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된 회전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기어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된 상기 랙 기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가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의 일 측에 구비된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된 회전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된 상기 랙 기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가 상기 안착부 상에서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검사 장치 내에서 다양한 항목에 대한 검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항목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유닛이 회전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피검체인 카메라 모듈의 이송 및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동종 카메라 모듈뿐만 아니라 복수의 이종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위치 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해상도 검사 차트를 독립적으로 회전 또는 틸팅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검사 유닛의 동작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테이블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여 배선의 꼬임을 최소화함에 따라 검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배선의 꼬임을 풀기 위해 배선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 검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검사부에서 복수의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검사부에 사용된 안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검사부에 사용된 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검사 차트가 적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검사 차트가 적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검사 차트가 적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검사부(120), 조작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검사부(120), 조작부(130) 및 표시부(140)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PC 및 전원부 등이 내장될 수 있다.
검사부(120)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공간으로서, 검사부(120)에서는 개체차 검사, 해상도 검사, 초점 조정 검사 및 이미지 검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검사 항목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검사부(120)에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검사를 진행 또는 중단하거나 후술한 회전 테이블의 회전 방향 등을 지정하는 등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검사부(120)에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의 검사 결과가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검사부(120)에서 수행되는 각 검사 항목에 대한 양부 판정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불량의 카메라 모듈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
도 2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검사부(120)에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복수의 검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검사부(120)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검사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로는 하나의 초점 거리로 고정된 FF형(Fixed Focus Type) 카메라 모듈과 기본적인 초점 거리가 정해져 있으나, 액츄에이터에 의해 초점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AF형(Auto Focus Type) 카메라 모듈이 있다.
여기서, 검사부(120)는 고정 테이블(121), 고정 테이블(121) 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영역, 즉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소켓(122a, 122b)이 구비된 안착부(122), 고정 테이블(121)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123) 및 회전 테이블(123)의 회전시 안착부(122)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회전 테이블(123)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검사 유닛(124; 124a, 124b, 124c)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 테이블(123)은 회전 축 위치에 마련되는 구동 유닛(123a)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안착부(122)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안착(로딩)시키거나 탈착(언로딩)시키는 영역으로서, 카메라 모듈은 안착부(122)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안착부(122)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22)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 소켓으로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공급될 경우, 카메라 모듈 소켓은 카메라 모듈의 정상적인 안착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며, 이후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완료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자동 개폐형 카메라 모듈 소켓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22)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회전 테이블(123)의 정"??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안착부(122)의 상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검사 유닛(124; 124a, 124b, 124c)의 회전 반경을 따라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 유닛(124)의 회전 구동 이외의 별도 구동(예를 들어, x축, y축, z축 직선 이동) 없이 안착부(122)에 안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검사 유닛(124)이 안착부(122)에 안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에 정확히 위치한다는 것의 의미는 본 명세서 상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검사 유닛(124)이 포커싱하는 검사 영역이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검사부에 사용된 안착부(122)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안착부(122)를 참조하면, 안착부(122)에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소켓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22) 상에는 제1 카메라 모듈(CM1)이 안착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소켓(122a)과 제2 카메라 모듈(CM2)이 안착되는 제2 카메라 모듈 소켓(122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도 14에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 소켓(122a, 122b)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의해 카메라 모듈 소켓의 수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모듈(CM1)과 제2 카메라 모듈(CM2)은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안착부(122)를 참조하면, 안착부(122)에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 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22) 상에는 제1 카메라 모듈(CM1)과 제2 카메라 모듈(CM2)이 카메라 모듈 소켓(122c)이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도 15에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CM1, CM2)이 안착된 예시만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수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모듈(CM1)과 제2 카메라 모듈(CM2)은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검사 장치 내에서 다양한 항목에 대한 검사가 연속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카메라 모듈(CM1)과 제2 카메라 모듈(CM2)이 서로 이종의 카메라 모듈일 경우에도 두 카메라 모듈에 대한 동시 검사가 가능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때, 복수의 검사 유닛(124)이 회전 구동 이외의 별도의 구동 없이도 카메라 모듈의 정확한 광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 소켓(122a, 122b)은 복수의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r)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검사부(120)는 총 6가지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편의상 검사 유닛(124)에 대한 도면 부호는 124a, 124b, 124c까지 나타내기로 한다.
여기서, 제1 검사 유닛(124a)은 해상도 및 초점 검사, 제2 검사 유닛(124b)은 개체차 검사, 제3 검사 유닛(124c)는 이미지 검사가 수행되는 유닛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검사 항목 및 이에 따른 검사 유닛의 수 및 각 검사 유닛의 검사 항목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은 안착부(122) 상의 제1 카메라 모듈 소켓(122a)에 안착된 제1 카메라 모듈에 대한 6개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8 내지 도 13은 안착부(122) 상의 제2 카메라 모듈 소켓(122b)에 안착된 제2 카메라 모듈에 대한 6개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은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 소켓(122a)에 안착된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1 검사 유닛(122a)이 위치하여 제1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2 참조)하고 회전 테이블(123)이 60° 회전한 후,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2 검사 유닛(122b)이 위치하여 제2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3 참조)되며, 이어서 회전 테이블(123)이 60° 회전한 후,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3 검사 유닛(122c)이 위치하여 제3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4 참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카메라 모듈 소켓(122b)에 안착된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1 검사 유닛(122a)이 위치하여 제1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8 참조)하고 회전 테이블(123)이 60° 회전한 후,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2 검사 유닛(122b)이 위치하여 제2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9 참조)되며, 이어서 회전 테이블(123)이 60° 회전한 후,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3 검사 유닛(122c)이 위치하여 제3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10 참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7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제1 카메라 모듈에 대한 일련의 검사 동작이 도 8 내지 도 13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제2 카메라 모듈에 대한 일련의 검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 모듈에 대한 일련의 검사 동작과 제2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 소켓(122a)에 안착된 제1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1 검사 유닛(122a)이 위치하여 제1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2 참조)하고 회전 테이블(123)이 30° 회전한 후, 제2 카메라 모듈 소켓(122b)에 안착된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 상에 제1 검사 유닛(122a)이 위치하여 제1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도 8 참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검사부(120)는 총 6개의 검사 유닛(124)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동종 또는 이종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적어도 6개의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테이블(123)의 중심에는 배선이 관통하여 각각의 검사 유닛 (124)에 연결되며, 배선은 검사 유닛(124)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다른 부속, 예를 들어 표시부, 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회전 테이블(123)이 한쪽 방향으로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배선의 꼬임이 한계치를 넘어설 경우, 회전 테이블(123)의 회전 구동이 제한되거나 케이블과 접속 단자 간의 접속 불량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검사 유닛(124)이 N개(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회전 테이블(123)은 배선의 꼬임이 최대 360°* (N-1)/N 이하가 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검사 유닛(124)이 N개(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회전 테이블(123)은 배선의 꼬임이 최대 (360°* (N-1)/N) * M (여기서, M은 소정의 정수)이하가 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한다. 이 때, M은 배선의 꼬임이 한계치를 넘지 않을 정도로 회전 테이블(123)의 회전 구동이 가능한 횟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예의 경우, 복수의 검사 유닛(124)의 수가 총 6개이므로, 회전 테이블은 최대 300° 또는 300°* M까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동종 카메라 모듈뿐만 아니라 복수의 이종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회전 테이블(123)의 정"??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안착부(122)의 상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검사 유닛(124; 124a, 124b, 124c)의 회전 반경을 따라 안착됨으로써 검사 유닛(124)의 회전 구동 이외의 별도 구동(예를 들어, x축, y축, z축 직선 이동) 없이 안착부(122)에 안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 상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다만,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와 달리, 하나의 안착부(122)에 안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해상도 검사와 같이 별도의 검사용 차트가 필요한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위치 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검사 유닛과는 별개로 해상도 검사 차트를 독립적으로 회전 또는 틸팅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위치 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해상도 검사 차트를 독립적으로 회전 또는 틸팅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검사 유닛의 동작 간소화(예를 들어, x축, y축, z축 직선 이동이 불필요함)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검사 차트가 적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검사부(120)는 임의의 검사 유닛(124)과 안착부(122) 사이에 배치되는 해상도 검사 차트(131)를 포함하며, 해상도 검사 차트(131)는 검사 유닛(124)과 독립적으로 안착부(122) 상에서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131)는 해상도 검사 차트(131)의 일 측에 일 단이 연결된 연동 캠(132), 연동 캠(132)의 타단에 연결된 랙 기어(133) 및 랙 기어(133)에 치합된 회전 기어(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회전 기어(134)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회전 기어(134)에 치합된 랙 기어(133)가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랙 기어(133)의 직선 이동에 따라 랙 기어(133)와 해상도 검사 차트(131)를 연동하는 연동 캠(132)은 해상도 검사 차트(131)의 일 측(또는 모서리 부분)을 랙 기어(13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림으로써 해상도 검사 차트(131)가 안착부(122) 상에서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해상도 검사 차트(131)의 구동 방식은 검사 유닛(124)이 안착부(122) 상에 카메라 모듈 상에 위치하였을 때 해상도 검사 차트(131)의 포커싱 위치가 카메라 모듈의 광축 위치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경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해상도 검사 차트(131)는 검사 유닛(124)과 독립적으로 안착부(122) 상에서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 검사 차트(131)가 검사 유닛(124)에 부착된 경우와 달리 해상도 검사 차트(131)의 교체뿐만 아니라 해상도 검사 거리 등의 조절이 더욱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검사 차트가 적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검사부(120)는 임의의 검사 유닛(124)과 안착부(122) 사이에 배치되는 해상도 검사 차트(141)를 포함하며, 해상도 검사 차트(141)는 검사 유닛(124)과 독립적으로 안착부(122) 상에서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141)는 해상도 검사 차트(141)의 일 측에 구비된 랙 기어(142)와 랙 기어(142)에 치합된 회전 기어(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회전 기어(14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회전 기어(143)에 치합된 랙 기어(142)는 랙 기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랙 기어(142)는 해상도 검사 차트(141)의 바깥쪽을 향해 굽어진 원호 형태를 가짐에 따라 회전 기어(143)의 회전시 이에 치합된 랙 기어(142)는 랙 기어(142)의 곡률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상도 검사 차트(131)가 안착부(122) 상에서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게 된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검사 차트가 적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검사부(120)는 임의의 검사 유닛(124)과 안착부(122) 사이에 배치되는 해상도 검사 차트(151)를 포함하며, 해상도 검사 차트(151)는 검사 유닛(124)과 독립적으로 안착부(122) 상에서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해상도 검사 차트(151)는 해상도 검사 차트(151)의 일 측에 일 단이 연결된 제1 연동 캠(152)과 제1 연동 캠(152)의 타 단에 일 단이 연결된 제2 연동 캠(1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동 캠(152)의 타 단에는 제1 고정 기어(153)가 구비되며, 제2 연동 캠(154)의 일 단에는 제2 고정 기어(155)가 구비되며, 제1 고정 기어(153)와 제2 고정 기어(155)의 치합에 의해 제1 연동 캠(152)과 제2 연동 캠(153)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동 캠(154)의 타 단에는 직선 또는 원호 형상의 랙 기어가 구비되며, 랙 기어에는 회전 기어(156)가 치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 기어(156)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회전 기어(156)에 치합된 랙 기어가 직선 이동하거나 이의 곡률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함으로써 제2 연동 캠(154)의 타 단이 원호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제2 연동 캠(154)의 일 단의 제2 고정 기어(155)에 맞물린 제1 고정 기어(153)에 의해 제1 연동 캠(152)의 일 단 역시 원호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상도 검사 차트(151)가 검사 유닛(124)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또는 틸팅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복수의 검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검사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로서,
    상기 검사부는,
    고정 테이블;
    상기 고정 테이블 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영역이 구비된 안착부;
    상기 고정 테이블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시 상기 안착부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검사 유닛;
    를 포함하되,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소켓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 소켓은 상기 복수의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배치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 소켓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사 유닛 중 임의의 하나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검사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해상도 검사 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는 상기 검사 유닛과 독립적으로 상기 안착부 상에서 상기 검사 유닛의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는,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의 일 측에 일 단이 연결된 연동 캠;
    상기 연동 캠의 타단에 연결된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된 회전 기어;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된 상기 랙 기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가 상기 안착부 상에서 회전 또는 틸팅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는,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의 일 측에 구비된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된 회전 기어;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된 상기 랙 기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도 검사 차트가 상기 안착부 상에서 회전 또는 틸팅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20170121616A 2017-09-21 2017-09-21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190033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16A KR20190033167A (ko) 2017-09-21 2017-09-21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N201810325380.4A CN109547774A (zh) 2017-09-21 2018-04-12 用于检查相机模块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16A KR20190033167A (ko) 2017-09-21 2017-09-21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67A true KR20190033167A (ko) 2019-03-29

Family

ID=6583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616A KR20190033167A (ko) 2017-09-21 2017-09-21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33167A (ko)
CN (1) CN109547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30B1 (ko) * 2019-07-30 2020-04-08 주식회사 에스피텍 3d 디스플레이 영상출력 정상여부 판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0491A (zh) * 2019-12-16 2020-03-31 长光禹辰信息技术与装备(青岛)有限公司 一种多光谱相机的检测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30B1 (ko) * 2019-07-30 2020-04-08 주식회사 에스피텍 3d 디스플레이 영상출력 정상여부 판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47774A (zh)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648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유닛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US20140232850A1 (en) Vision testing device with enhanced image clarity
WO2005103658A1 (ja) 欠陥検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製造システム
CN108982070B (zh) 用于检测调制传递函数以及使光学系统对中的设备
KR100956230B1 (ko) 렌즈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80412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챠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101736458B1 (ko) 케이스용 미세 결점 검사 장비
KR20190033167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160031109A (ko) 인쇄회로기판 코팅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US62194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ortion of a visible pattern on a substrate by viewing predetermined portions thereof
JP2008286576A (ja) 外観検査装置
KR20170068361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검사 방법
CN109092701A (zh) 电池铝壳检测装置
KR100924116B1 (ko) 카메라 모듈 완성품의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885471B1 (ko)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US20120105576A1 (en) Arrangement of a Rotary Image Capture Unit for Imaging Objects on Circuit Boards at a Polar Viewing Angle 45º
KR102069744B1 (ko) 공정 유닛
CN219420872U (zh) 一种广角和长焦模组兼容的测试结构及测试装置
KR20080096064A (ko) 스캔형 듀얼 모아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20090279080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spection of defects on the edge region of a wafer
KR20100129846A (ko) 비전검사장치
CN116193107A (zh) 一种广角和长焦模组兼容的测试结构及测试装置
JP2002071587A (ja) X線検査装置
JP2006276433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カメラ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