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838A -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838A
KR20190032838A KR1020170121183A KR20170121183A KR20190032838A KR 20190032838 A KR20190032838 A KR 20190032838A KR 1020170121183 A KR1020170121183 A KR 1020170121183A KR 20170121183 A KR20170121183 A KR 20170121183A KR 20190032838 A KR20190032838 A KR 2019003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hread
winding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097B1 (ko
Inventor
조명환
유인호
류희룡
최경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2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0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02P60/1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제1 파이프(100);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파이프(200); 및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파이프(100) 및 상기 제2 파이프(200)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는, 몸체부(330); 상기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0)와 결합되는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파이프(200)와 결합되는 제2 삽입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100)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상기 이격된 사이와 상기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상기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인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Winding pipe of greenhouse}
본 발명은 권취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닐하우스의 권취를 위해 사용되는 권취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권취용 파이프를 설명한다.
권취용 파이프는 비닐하우스의 환기 또는 보온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 양 측면에 설치된 비닐을 말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권취용 파이프는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기 때문에, 일정 길이 이상을 맞추기 위해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채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권취용 파이프를 만들기 위한 방법인,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발명들이 개시되었고, 이러한 연결구들은 다수의 파이프의 체결을 위해 나사 또는 리뱃 등의 체결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 장치들로 인해 권취용 파이프에는 체결장치로 인한 요철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요철에 의해 권취 장치가 작동되며 비닐이 권취용 파이프에 말릴 때, 요철에 비닐이 걸려 찢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권취용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비닐 걸림 문제가 발생해 비닐 걸림으로 인해 권취 장치의 작동이 방해되기도 하였다.
또한, 체결 장치들로 연결한 권취용 파이프를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에 연결할 때 클립 등으로 집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권취용 파이프가 클립에 의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권취용 파이프가 권취될 때 비닐이 밀리는 문제가 발생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912호는 비닐하우스 개폐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중간 유격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개폐파이프의 단위 파이프와 동일한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내측 연결 파이프 및 외측 연결 파이프가 같은 중심축 상에 길이가 서로 다르게 체결됨으로써, 단위 파이프의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개폐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연결구 체결을 위한 리벳 등이 사용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여전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8006호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각 지지파이프와 연결파이프 내부로 밀착·삽입되는 삽입부가 양끝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부의 끝단부로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을 따라 ‘L’형태로 홈이 파인 체결홈이 각각 형성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연결구 체결을 위한 체결핀이 개시되기에, 언급한 문제를 해결할 순 없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91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8006호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2012-0000096호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2012-00001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권취용 파이프의 요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걸림으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비닐 찢어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또한, 권취용 파이프의 연결 부분에 비닐이 걸림으로써 발생하는 권취 장치의 고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요철이 없는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파이프(100);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파이프(200); 및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파이프(100) 및 상기 제2 파이프(200)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는, 몸체부(330); 상기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0)와 결합되는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파이프(200)와 결합되는 제2 삽입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100)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상기 이격된 사이와 상기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상기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202a)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 돌기(311a)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돌기(322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 돌기(311a)는 상기 제1 결합홈(101a)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 돌기(322a)는 상기 제2 결합홈(202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01); 및 상기 나사산(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 및 상기 나사산(2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202a)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삽입 나사산(311); 및 상기 삽입 나사산(3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 돌기(311a)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상기 나사산(202)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22); 및 상기 삽입 나사산(3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돌기(322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 돌기(311a)는 상기 제1 결합홈(101a)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 돌기(322a)는 상기 제2 결합홈(202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삽입 돌기(311a) 및 상기 제2 삽입 돌기(322a)는 탄성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10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02b)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311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32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311b)은 상기 제1 결합 돌기(101b)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제2 삽입홈(322b)은 상기 제2 결합 돌기(202b)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01); 및 상기 나사산(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10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 및 상기 나사산(2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02b)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상기 나사산(101)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11); 및 상기 삽입 나사산(311)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311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상기 나사산(202)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22); 및 상기 나사산(3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32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311b)은 상기 제1 결합 돌기(101b)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제2 삽입홈(322b)은 상기 제2 결합 돌기(202b)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돌기(101b)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202b)는 탄성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속적인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상기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C자형 슬릿 홈(H)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홈(H)에 비닐하우스의 권취부(1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로 인해 권취용 파이프에 비닐이 걸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찢어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위가 없기에 비닐 걸림으로 인한 권취 장치 고장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강조하자면, 요철이 없는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하여 요철에 걸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비닐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부위가 없기에 걸림으로 인한 권취 장치의 고장이 방지되어 권취 장치의 수명 및 비닐 하우스의 수명이 증가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권취식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제조 방법이 도시된다.
도 5에,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개시된 권취용 파이프의 실 사용예이다.
본 발명에서 권취부(10)는 권취가 가능한 종래의 비닐하우스에서 권취되는 비닐부분의 말단 부분을 의미하며,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에 삽입 가능한 파이프로 도시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제1 파이프(100), 제2 파이프(200) 및 연결 파이프(300)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는 서로 연결되어 권취용 파이프로 사용된다.
제2 파이프(200)는 제1 파이프(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파이프(100)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는 권취용 파이프를 위한 연결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파이프들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비닐하우스의 길이에 따라 상이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파이프(300)는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를 연결한다. 이 때, 연결 파이프(300)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연결 파이프(300)는 제1 삽입부(310), 제2 삽입부(320) 및 몸체부(330)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310)는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제1 파이프(100)와 결합된다.
제2 삽입부(320)는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제2 파이프(200)와 결합된다.
즉,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 파이프(3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부로, 몸체부(330)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의 이격된 사이와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걸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1 파이프(100), 제2 파이프(200) 및 연결 파이프(300)에 위치하는 돌기 또는 홈의 종류에 따라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 실시되며, 이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겠다.
제1실시예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에 결합홈(101a, 202a)을 포함하고, 연결 파이프(300)에 삽입 돌기(311a, 322a)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제1 파이프(100)는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1a)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200)는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202a)을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1 삽입부(31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 돌기(311a)를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2 삽입부(32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돌기(322a)를 포함한다.
제1 삽입 돌기(311a)는 제1 결합홈(101a)에 결합되고, 제2 삽입 돌기(322a)는 제2 결합홈(202a)에 결합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가 연결 파이프(30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의 이격된 사이와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걸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식에서, 제1 파이프(100)는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01) 및 나사산(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1a)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200)는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 및 나사산(2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202a)을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1 삽입부(310)는 나사산과 맞물리는 삽입 나사산(311) 및 삽입 나사산(3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 돌기(311a)를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2 삽입부(320)는 나사산(202)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22) 및 삽입 나사산(3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돌기(322a)를 포함한다.
제1 삽입 돌기(311a)는 제1 결합홈(101a)에 결합되고, 제2 삽입 돌기(322a)는 제2 결합홈(202a)에 결합 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와 연결 파이프(3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의 이격된 사이와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걸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1 삽입 돌기(311a) 및 제2 삽입 돌기(322a)는 탄성재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부에 위치하는 돌기가 홈에 상응하게 될 때까지 삽입되는 데 있어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2 실시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에 결합 돌기(101b, 202b)를 포함하고, 연결 파이프(300)에 삽입홈(311b, 322b)을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제1 파이프(100)는,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101b)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200)는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02b)를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1 삽입부(31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311b)를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2 삽입부(32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322b)을 포함한다.
제1 삽입홈(311b)은 제1 결합 돌기(101b)에 결합되고, 제2 삽입홈(322b)은 제2 결합 돌기(202b)에 결합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와 연결 파이프(3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의 이격된 사이와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걸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식에서, 제1 파이프(100)는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01) 및 나사산(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101b)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200)는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 및 나사산(2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02b)를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1 삽입부(310)는 나사산(101)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11) 및 삽입 나사산(311)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311b)을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2 삽입부(320)는 나사산(202)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22) 및 나사산(3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322b)을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300)의 제1 삽입홈(311b) 및 제2 삽입홈(322b)는 몸체부(330)를 중심으로 봤을 때 외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삽입홈(311b)은 제1 결합 돌기(101b)에 결합되고, 제2 삽입홈(322b)은 제2 결합 돌기(202b)에 결합 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와 연결 파이프(3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의 이격된 사이와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걸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결합 돌기(101b) 및 제2 결합 돌기(202b)는 탄성재인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단부에 위치하는 돌기가 홈에 상응하게 될 때까지 삽입되는 데 있어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별도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홈(H)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슬릿 홈(H)을 통해 비닐하우스의 권취부(10)에 결합된다.
권취 장치와 연결되는 비닐하우스의 측면 외측비닐의 말단에 위치하는 권취부(10)에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슬릿 홈(H)이 결합되어 비닐하우스와 권취 장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슬릿 홈(H)은 권취부(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권취부(10)의 부피와 상응하거나 큰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슬릿 홈(H)은 슬릿 홈(H)에 권취부(10)가 수용되었을 때 고정되어있도록 C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5 및 도 6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는 클립과 같은 별도의 연결 장치 없이도 권취부(10)와 결합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권취용 파이프의 슬릿 홈(H)이 권취부(10)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 권취부(10)를 보강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권취부(10)가 용이하게 권취장치와 연결되며, 권취용 파이프가 절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부(10)의 이음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권취부(10)에 고정시키는 졸대를 더 포함하여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졸대로 고정된 권취용 파이프는 요철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가 권취될 때 걸림 없이 권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권취부(종래 비닐하우스의)
100: 제1 파이프
101: 제1 나사산
101a: 제1 결합홈
101b: 제1 결합 돌기
200: 제2 파이프
202: 제1 나사산
202a: 제2 결합홈
202b: 제2 결합 돌기
300: 연결파이프
310: 제1 삽입부
311: 제1 삽입 나사산
311a: 제1 삽입 돌기
311b: 제1 삽입홈
320: 제2 삽입부
322: 제2 삽입 나사산
322a: 제2 삽입 돌기
322b: 제2 삽입홈
330: 몸체부
S: 충진재
H: 슬릿 홈

Claims (8)

  1. 제1 파이프(100);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파이프(200); 및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파이프(100) 및 상기 제2 파이프(200)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는,
    몸체부(330);
    상기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0)와 결합되는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몸체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파이프(200)와 결합되는 제2 삽입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100)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상기 이격된 사이와 상기 몸체부(330) 외측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상기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외면은 연속적인,
    권취용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202a)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 돌기(311a)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돌기(322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 돌기(311a)는 상기 제1 결합홈(101a)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 돌기(322a)는 상기 제2 결합홈(202a)에 결합되는,
    권취용 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01); 및 상기 나사산(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0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 및 상기 나사산(2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202a)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삽입 나사산(311); 및 상기 삽입 나사산(3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 돌기(311a)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상기 나사산(202)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22); 및 상기 삽입 나사산(3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돌기(322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 돌기(311a)는 상기 제1 결합홈(101a)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 돌기(322a)는 상기 제2 결합홈(202a)에 결합되는,
    권취용 파이프.
  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돌기(311a) 및 상기 제2 삽입 돌기(322a)는 탄성재인,
    권취용 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10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02b)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311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32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311b)은 상기 제1 결합 돌기(101b)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제2 삽입홈(322b)은 상기 제2 결합 돌기(202b)에 결합되는,
    권취용 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01); 및 상기 나사산(10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10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200)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02); 및 상기 나사산(2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02b)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는 상기 나사산(101)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11); 및 상기 삽입 나사산(311)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311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300)의 상기 제2 삽입부(320)는 상기 나사산(202)과 상응되는 삽입 나사산(322); 및 상기 나사산(32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32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311b)은 상기 제1 결합 돌기(101b)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제2 삽입홈(322b)은 상기 제2 결합 돌기(202b)에 결합되는,
    권취용 파이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기(101b)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202b)는 탄성재인,
    권취용 파이프.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면, 상기 충진된 충진재의 외면 및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C자형 슬릿 홈(H)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홈(H)에 비닐하우스의 권취부(10)가 결합되는,
    권취용 파이프.
KR1020170121183A 2017-09-20 2017-09-20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KR10197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83A KR101972097B1 (ko) 2017-09-20 2017-09-20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83A KR101972097B1 (ko) 2017-09-20 2017-09-20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38A true KR20190032838A (ko) 2019-03-28
KR101972097B1 KR101972097B1 (ko) 2019-04-26

Family

ID=6590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83A KR101972097B1 (ko) 2017-09-20 2017-09-20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09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191U (ko) * 1991-11-27 1993-06-23 김기홍 파이프의 연결구조
KR970007855A (ko) * 1995-07-06 1997-02-21 김광호 디지탈 브이씨알의 트래킹 제어장치
KR970050553U (ko) * 1996-02-05 1997-09-08 백남수 비닐하우스 골조용 파이프
KR100898006B1 (ko) 2007-09-28 2009-05-18 이인덕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KR20100006056U (ko) * 2008-12-05 2010-06-15 김창진 비닐하우스 개폐용 연결 부재
KR20110051750A (ko) * 2009-11-11 2011-05-18 김경수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장치
KR20120000127A (ko) 2010-06-25 2012-01-02 이상원 자동차용 비상 램프
KR20120000096A (ko) 2009-03-25 2012-01-03 비르트겐 게엠베하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또는 이젝터 유닛
KR20120120624A (ko) * 2011-04-25 2012-11-02 김종길 파이프 고정장치
KR101546912B1 (ko) 2014-03-12 2015-08-25 정재현 비닐하우스 개폐파이프 연결구
KR20170027764A (ko) * 2017-03-02 2017-03-10 김명준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191U (ko) * 1991-11-27 1993-06-23 김기홍 파이프의 연결구조
KR970007855A (ko) * 1995-07-06 1997-02-21 김광호 디지탈 브이씨알의 트래킹 제어장치
KR970050553U (ko) * 1996-02-05 1997-09-08 백남수 비닐하우스 골조용 파이프
KR100898006B1 (ko) 2007-09-28 2009-05-18 이인덕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KR20100006056U (ko) * 2008-12-05 2010-06-15 김창진 비닐하우스 개폐용 연결 부재
KR20120000096A (ko) 2009-03-25 2012-01-03 비르트겐 게엠베하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또는 이젝터 유닛
KR20110051750A (ko) * 2009-11-11 2011-05-18 김경수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장치
KR20120000127A (ko) 2010-06-25 2012-01-02 이상원 자동차용 비상 램프
KR20120120624A (ko) * 2011-04-25 2012-11-02 김종길 파이프 고정장치
KR101546912B1 (ko) 2014-03-12 2015-08-25 정재현 비닐하우스 개폐파이프 연결구
KR20170027764A (ko) * 2017-03-02 2017-03-10 김명준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097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203B2 (en) Anti-removal ratchet clip
US20170030487A1 (en) Captivated clamp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JPH0510498Y2 (ko)
JP2009240115A (ja) 配線・配管材引出具
US9846290B1 (en) Tool system for routing an optical fiber or cable through walls at customer premises
JP3848968B1 (ja) 壁貫通孔用の壁連通管材とその壁連通管材を用いた壁構造
KR101972097B1 (ko)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US20100084621A1 (en) Wire Guiding Device
US10437002B2 (en) Universal cable installation tool
JP5131800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140146236A (ko) 배관용 플렉시블 덕트
KR200456526Y1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US20220195816A1 (en) Well pump wire clamp
KR20040021973A (ko) 슬리브 커버
KR200297045Y1 (ko) 슬리브 커버
US9863133B2 (en) Toilet installation guide
KR101396724B1 (ko) 벽붙이 수전 체결용 박스
JP6845196B2 (ja) コネクタおよび配管の接続構造
JP3204055U (ja) 接合バックル
KR20170114680A (ko) 난방용 파이프 연결장치
JP4203938B2 (ja) 分岐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管の接続構造
CN207442378U (zh) 防水软管接头
KR20090059685A (ko) 관 연결구
KR20030079846A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