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685A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685A
KR20090059685A KR1020070126678A KR20070126678A KR20090059685A KR 20090059685 A KR20090059685 A KR 20090059685A KR 1020070126678 A KR1020070126678 A KR 1020070126678A KR 20070126678 A KR20070126678 A KR 20070126678A KR 20090059685 A KR20090059685 A KR 20090059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tube
face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화
Original Assignee
기림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림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림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685A/ko
Publication of KR2009005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말단에 돌출턱이 형성된 관과 그렇지 않은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200)는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로서 대면연결관(210)과 삽입연결관(220)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대면연결관(210)의 단부에는 몸체 외주면을 따라 돌출턱(21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관 연결구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두 개의 관, 즉, 돌출턱이 형성된 관과 그렇지 않은 관을 손쉽고 간편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관, 연결, 연결구, 나선관.

Description

관 연결구{A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두 개의 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용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할 때에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보호관이 사용된다. 특히 주름이 형성된 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주름이 형성됨에 따라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횡단면 형태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72471호 "사각 주름관"이 제안된바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호관은 일정 길이로 되어 있음에 따라 다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연결 수단으로서 디자인 등록 제30-431273호 "주름관 이음구"가 제안된바 있다.
이하,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기 주름이 형성된 관이 연결되는 상태를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호관(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서 말단에는 외주 면을 따라 돌출턱(102)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돌출턱(102)은 보호관(100)의 형태와 시공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필요한 개수만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서 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보호관(10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바, 시공과정에서 길이를 연결하기 위해 두 개의 보호관(100)을 연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이때, 두 보호관(100)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이음구(300)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즉, 두 보호관(100)을 맞대어준 상태에서 상기 이음구(300)를 맞닿는 지점에 너트를 체결하듯이 체결하게 되면 보호관(100)의 말단에 형성된 돌출턱(102)이 이음구(300)에 수용되면서 두 보호관(100)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음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것은 돌출턱이 형성된 관을 연결하는 데는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었으나, 돌출턱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형태의 관을 연결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이음구를 이용하여 연결할 때에는 관의 말단에 돌출턱이 반드시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시공과정에서는 통상의 주름관을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관에 연결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관의 연결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돌출턱이 형성된 관과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관을 간편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 연결구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형태가 다른 두 개의 관, 즉, 돌출턱이 형성된 관과 그렇지 않은 관을 손쉽고 간편하게 연결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말단에 돌출턱이 형성된 관과 그렇지 않은 관을 간편하게 연결하는 관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는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로서 대면연결관과 삽입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대면연결관의 단부에는 몸체 외주면을 따라 돌출턱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c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200)는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를 가지며, 대면연결관(210)과 삽입연결 관(2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면연결관(210)의 단부에는 몸체 외주면을 따라 돌출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면연결관(210)과 삽입연결관(220)은 그 지름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하여 연결 지점에는 단턱(230)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삽입연결관(22)에 끼워지는 관의 말단이 상기 단턱(230)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 도이다. 이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를 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상세히 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맨홀의 벽면에는 맨홀 내부에서 외부로 전력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고정관(30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관(300)은 단순한 원통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것으로서, 말단에 상기 관 연결구(200)의 삽입연결관(220)에 끼워져 고정된다. 끼워질 때에는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접착제를 바르거나 테이핑을 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게 된다[도 2 a].
상기에 따라 고정관(300)과 관 연결구(200)가 연결되면 상기 관 연결구(200)의 대면연결관(210) 말단에 보호관(100)을 연결하여 주게 된다. 상기 대면연결관(210)고 보호관(100)을 맞대어 주게 되면 대면연결관(210)의 말단에 형성된 걸림턱(210)과 보호관(100)의 말단에 형성된 걸림턱(102)이 맞닿게 되고, 이 부분에 이음구(300)를 체결하여서 서로 연결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고 정관(300)과 보호관(100)이 관 연결구(200)를 통해 연결되게 된다[도 2b, 2c].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시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200)에는 삽입연결관(220)의 말단에 나선부(240)를 더 형성하여 줄 수 있다. 관을 나선형태로 형성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나선관(500)을 끼워 연결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관 연결구(200)로는 보호관(100)과 나선관(500)을 연결하여 줄 수 있다.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보호관(100)의 말단과 상기 관 연결구(200)의 대면연결관(210)을 맞대어준 상태에서 이음구(300)를 체결하여 보호관(100)과 관 연결구(200)를 연결하여 준다. 이렇게 이음구(30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대면연결관(210)의 말단에 형성된 걸림턱(210)과 보호관(100)의 말단에 형성된 걸림턱(102)이 맞닿은 상태에서 이음구(300)에 수용되어 연결되는 것이다[도 4a].
이후, 상기 관 연결구(200)의 삽입연결관(220) 말단에 형성된 나선부(240)에 나선관(500)을 끼워주게 된다. 나사 홈을 따라서 끼워질 수 있도록 천천히 회전시켜주면서 끼워준다. 이와 같이 나선관(500)이 끼워지게 되면 보호관(100)과 나선관(500)이 관 연결구(200)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도 4b, 4c].
여기서 상기 과정은 일 실시 예일 뿐 나선관(500)을 먼저 관 연결구(200)에 결합한 다음 보호관(100)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보호관(100)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든 원형이든 관계없이 말단에 걸림턱(102)이 형성된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가능한 것임은 당 업자의 기술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의 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
도 5는 종래 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호관, 102 : 돌출턱,
200 : 관 연결구, 210 : 대면연결관,
212 : 돌출턱, 220 : 삽입연결관,
230 : 단턱, 240 : 나선부,
300 : 이음구, 400 : 고정관,
500 : 나선관.

Claims (3)

  1. 말단에 돌출턱이 형성된 관과 그렇지 않은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200)는 내부가 빈 통형의 몸체로서 대면연결관(210)과 삽입연결관(220)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대면연결관(210)의 단부에는 몸체 외주면을 따라 돌출턱(21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관(220)의 말단에는 나선부(240)가 더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면연결관(210)과 삽입연결관(220)의 연결 지점에는 단턱(230)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1020070126678A 2007-12-07 2007-12-07 관 연결구 KR20090059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78A KR20090059685A (ko) 2007-12-07 2007-12-07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78A KR20090059685A (ko) 2007-12-07 2007-12-07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85A true KR20090059685A (ko) 2009-06-11

Family

ID=4098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78A KR20090059685A (ko) 2007-12-07 2007-12-07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96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6769T3 (es) Accesorio de manguera y método para sujetar el accesorio de manguera a una manguera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AU743185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MXPA06000511A (es) Remate de union para tubo anillado y tubo equipado con tal remate.
RU2001131592A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ES2335117T3 (es) Acoplamiento de tuberia.
EP1103752A1 (en) Flexible corrugated tube with end fittings for hydraulic systems
US9145989B1 (en) Sprinkler system coupler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ES2685096T3 (es) Conector para taza de inodoro
KR20090059685A (ko) 관 연결구
KR100765851B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용 연결장치
KR20090129956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0387795Y1 (ko) 수도꼭지 연결관
KR20080006247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배관용 커플러
JP4254376B2 (ja) 接続用継手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20140025214A (ko) 양변기배수구 연결장치
KR20150033232A (ko) 관연결구
KR0177851B1 (ko) 파형관의 관이음구
KR101972097B1 (ko)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JP2001177965A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JP6845196B2 (ja) コネクタおよび配管の接続構造
CN211738353U (zh) 一种密封圈防割结构及快接头
KR20130121267A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