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682A -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682A
KR20190032682A KR1020170119676A KR20170119676A KR20190032682A KR 20190032682 A KR20190032682 A KR 20190032682A KR 1020170119676 A KR1020170119676 A KR 1020170119676A KR 20170119676 A KR20170119676 A KR 20170119676A KR 20190032682 A KR20190032682 A KR 20190032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battery
control value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377B1 (ko
Inventor
손기봉
이호중
우동균
최원경
성현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377B1/ko
Priority to US15/831,125 priority patent/US10513199B2/en
Priority to CN201711275210.1A priority patent/CN109521827B/zh
Publication of KR2019003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1Voltage to curren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H02J7/006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6Operat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02M2001/00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은,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지령에,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보상한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 사이의 오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OLTAGE DROP COMPENSATION CONTROL OF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과 배터리 전압의 오차를 비례 제어하여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보상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압은 배터리가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을 의미한다.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에는 라인 저항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압강하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단자에는 배터리가 최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직류-직류 변환기는 배터리가 최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강하보상이 반영된 전압을 출력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전압을 생성할 경우, 배터리전류제한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류제한과 같은 디레이팅이 발생되면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정상적으로 전압강하보상이 반영된 전압을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471236(2005.02.01)
본 발명은 전압강하보상을 통해 배터리가 최적의 상태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압을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출력하도록 하고, 배터리전류제한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류제한과 같은 디레이팅이 발생하여도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정상적으로 전압강하보상이 반영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지령에,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보상한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 사이의 오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값에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보상한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제어값은,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제한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류 제한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결정하는 전압지령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의 오차를 비례 제어하는 비례 제어기; 및 상기 비례 제어기의 출력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비례 제어기의 비례 이득이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배터리 전압의 변화 보다 상기 제1 제어값을 기반으로 한 전압 강하 보상의 응답성이 떨어지도록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지령을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피드백 받은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지령에 상기 제1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제한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류 제한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전압지령과 상기 제1 제어값을 적용한 값에 상기 제2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의 오차에 비례이득을 적용하여 비례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비례이득을 적용한 값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비례 이득이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배터리 전압의 변화 보다 상기 제1 제어값을 기반으로 한 전압 강하 보상의 응답성이 떨어지도록 대역이 결정된 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과 배터리 전압의 오차를 비례 제어하여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보상함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상태로 운용될 수 있는 전압을 직류-직류 변환기가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류 제한 및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류 제한과 같은 디레이팅이 발생하여도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정상적으로 전압강하보상이 반영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여 기존 제어 기법 대비 디레이팅 응답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부하가 급변되거나 모드가 급변되어도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고장 발생 횟수 및 과전류 고장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직류-직류 변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서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전압, 전류, 전압지령, 전류지령, 전압강하보상분 및 보상전압지령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10)은 직류-직류 변환기(11), 배터리(12) 및 컨트롤러(13)를 포함한다.
직류-직류 변환기(11)는 입력된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직류-직류 변환기(11)는 고전압 배터리(미도시)와 저전압 배터리(12) 사이에 구비되어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입력받은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저전압 배터리(12)에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12)는 직류-직류 변환기(11)와 연결되어 직류-직류 변환기(12)로부터 직류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류-직류 변환기(11)와 배터리(12)는 케이블 등의 연결매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케이블은 자체의 저항(Rline)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자체의 저항(Rline)으로 인해 직류-직류 변환기(11)와 배터리(12) 사이에는 저항(Rline) * 배터리 전류(Ibat) 만큼의 전압강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배터리(12) 양단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컨트롤러(13)를 이용하여 직류-직류 변환기(11)와 배터리(12)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압강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한다.
컨트롤러(13)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Vvrv *)에, 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VC1)과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VC21, VC22)을 적용하여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Vvrv *)을 보상한 보상전압지령(Vo *)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3)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보상전압지령(Vo *)과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과 배터리(12) 전압(Vbat)의 오차에 기반하여 제1 제어값(VC1)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제1 제어값(VC1)은 이후에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Vvrv *)에 반영하기 위한 값이다.
또한, 컨트롤러(13)는 사전 설정된 배터리 전류 제한 및/또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류 제한을 고려한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VC21, VC22)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제어값(VC21, VC22)은 차량 디레이팅 시의 배터리 및/또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전류를 제한하는 경우 적용되는 제어값이다.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운행 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Vvrv *)에 제1 및 제2 제어값을 적용하여 보상전압지령(Vo *)를 생성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3)의 더욱 상세한 구성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서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전압, 전류, 전압지령, 전류지령, 전압강하보상분 및 보상전압지령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3)는 전압지령결정부(131), 비례 제어기(132), 저역 통과 필터(133) 및 드레이팅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지령결정부(131)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운전 조건은 메인 릴레이의 동작상태, 냉각수량, 지능형 배터리 센서 상태에 따른 가변전압제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운전 조건을 의미한다.
비례 제어기(132)는 보상전압지령(Vo *)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과 배터리(12) 전압(Vbat)의 오차를 비례 제어할 수 있다. 즉, 비례 제어기(132)는 보상전압지령(Vo *)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과 배터리(12)의 전압(Vbat)을 입력받아 그 오차를 연산하고, 이 오차에 대해 비례이득을 적용하는 비례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비례 제어기(132)에 의해 연산된 오차는 직류-직류 변환기(11)와 배터리(12) 사이 저항(Rline)에 발생하는 전압강하분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비례 제어기(132)는 보상전압지령(Vo *)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과 배터리(12) 전압(Vbat)의 오차에 대한 비례 제어를 적용하기 때문에 비례 제어기(132)의 비례 이득(게인)의 크기는 1이 될 수 있다.
비례 제어기(132)에 입력되는 것으로 기술된 보상전압지령(Vo *)은 출력전압지령(Vvrv *)에 제1 제어값(VC1)과 제2 제어값(VC21, VC22)을 반영하여 실제로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지령값으로 이하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133)는 비례 제어기(132)의 출력을 필터링하여 제1 제어값(VC1)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값(VC1)은 직류-직류 변환기(11)와 배터리(12) 사이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값으로 도 3에 도시된 전압강하보상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저역 통과 필터(133)는 배터리(12) 전압의 변화 보다 제1 제어값(VC1)을 기반으로 한 전압강하보상의 응답성이 떨어지도록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12)의 전압 상승 기울기는 배터리의 특성으로 인해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상승 기울기 보다 작게 변화된다. 이로 인해,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이 순간적으로 변동되는 경우, 두 입력값 즉, 보상전압지령(Vo *)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과 배터리(12) 전압(Vbat)의 오차가 커지게 되어 전압강하보상이 필요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13)는 배터리의 전압 상승 기울기 보다 전압강하보상의 응답성이 떨어지도록 저역 통과 필터(133)의 대역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저역 통과 필터의 대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 통과 필터(133)에 의해 전압강하보상이 지연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디레이팅 제어부(134)는 차량 디레이팅(derating)을 위한 제2 제어값(VC21, VC22)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전류제한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류제한과 같은 디레이팅이 발생하면 컨트롤러(13)는 정상적으로 전압강하보상을 반영한 보상전압지령(Vo *)을 생성하기가 어렵다.
즉, 디레이팅이 발생하면, 보상전압지령(Vo *)이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Vvrv *) 보다 작아지고,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이 작아지며, 배터리(12)의 전압(Vbat)도 작아지며, 비례 제어기(132)에 입력되는 두 값의 오차가 증가하여 전압강하분이 증가되고 디레이팅에 의해 결정되는 제어값이 재설정됨에 따라 디레이팅의 성능 및 응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디레이팅 제어부(134)는 비례적분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디레이팅 제어부는 배터리(12)의 전류지령(Ibat *)과 배터리의 전류(Ibat)가 입력되고, 두 값의 오차에 대해 비례적분 제어를 적용하여 이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2 제어값(VC21)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레이팅 제어부(134)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전류지령(Io *)과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류 검출값(Io)이 입력되고, 두 값의 오차에 대해 비례적분 제어를 적용하여 이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2 제어값(VC22)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제2 제어값(VC21, VC22)으로 인해 보상전압지령(Vo *)은 작아지고,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의 검출값(Vo)은 작아지며, 이로 인해 배터리의 전압(Vbat)도 작아지고, 비례 제어기(132)에 입력되는 두 값의 오차는 유지되며, 이에 따라 디레이팅 응답성은 기존 대비 향상될 수 있다.
더하여, 디레이팅 제어부(134)는 배터리전류제한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류제한과 같은 디레이팅이 발생하여도 기존 제어 기법 대비 디레이팅 응답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부하가 급변되거나 모드가 급변되어도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고장 발생 횟수 및 과전류 고장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직류-직류 변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 컨트롤러(13)는 가변 전압 제어부(131)에서 결정된 출력전압지령(Vvrv *)과 비례 제어기(132)에서 결정된 제1 제어값(VC1)과 디레이팅 제어부(134)에서 결정된 제2 제어값(VC21, VC22)을 모두 합하여 보상전압지령(Vo *)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10)의 컨트롤러(16)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미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을 그 흐름에 따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이나 예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먼저, 컨트롤러(13)가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지령(Vvrv *)을 결정하고, 배터리 전압(Vbat)을 입력 받는다(S10).
이후, 컨트롤러(13)가 피드백 받은 보상전압지령(Vo *)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11)의 출력전압 검출값(Vo)과 배터리 전압(Vbat)에 기반하여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VC1)을 결정한다(S20).
이후, 컨트롤러(13)가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VC21, VC22)을 결정한다(S30).
이후, 컨트롤러(13)가 출력전압지령(Vvrv *)에 제1 제어값(VC1)과 제2 제어값(VC21, VC22)을 적용하여 보상전압지령(Vo *)을 생성한다(S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과 배터리 전압 사이의 오차를 비례 제어하여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보상함으로써 배터리가 최적의 상태로 운용될 수 있는 전압을 직류-직류 변환기가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배터리의 전류 제한 및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류 제한과 같은 디레이팅이 발생하여도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정상적으로 전압강하보상이 반영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여 기존 제어 기법 대비 디레이팅 응답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부하가 급변되거나 모드가 급변되어도 직류-직류 변환기의 과전류 고장 발생 횟수 및 과전류 고장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직류-직류 변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11: 직류-직류 변환기
12: 배터리 13: 컨트롤러
131: 전압지령결정부 132: 비례 제어기
133: 저역 통과 필터 134: 디레이팅 제어부

Claims (14)

  1.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지령에,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보상한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 사이의 오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값에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보상한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값은,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제한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류 제한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지령을 결정하는 전압지령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의 오차를 비례 제어하는 비례 제어기; 및
    상기 비례 제어기의 출력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례 제어기의 비례 이득이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배터리 전압의 변화 보다 상기 제1 제어값을 기반으로 한 전압 강하 보상의 응답성이 떨어지도록 대역이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8. 직류-직류 변환기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지령을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피드백 받은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지령에 상기 제1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차량 디레이팅을 위한 제2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 제한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류 제한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제어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전압지령과 상기 제1 제어값을 적용한 값에 상기 제2 제어값을 적용하여 상기 보상전압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전압지령 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검출값과 상기 배터리 전압의 오차에 비례이득을 적용하여 비례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비례이득을 적용한 값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제어값을 결정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비례 이득이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배터리 전압의 변화 보다 상기 제1 제어값을 기반으로 한 전압 강하 보상의 응답성이 떨어지도록 대역이 결정된 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방법.
KR1020170119676A 2017-09-18 2017-09-18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7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76A KR102476377B1 (ko) 2017-09-18 2017-09-18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5/831,125 US10513199B2 (en) 2017-09-18 2017-12-04 Voltage drop compens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ower supply device
CN201711275210.1A CN109521827B (zh) 2017-09-18 2017-12-06 供电装置的电压降补偿控制系统与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76A KR102476377B1 (ko) 2017-09-18 2017-09-18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82A true KR20190032682A (ko) 2019-03-28
KR102476377B1 KR102476377B1 (ko) 2022-12-12

Family

ID=6571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76A KR102476377B1 (ko) 2017-09-18 2017-09-18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3199B2 (ko)
KR (1) KR102476377B1 (ko)
CN (1) CN1095218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794A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뷰파워 Dc 전원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1429B2 (en) * 2018-06-21 2020-08-11 Lam Research Corporation Model-based control of substrate processing systems
CN110673682B (zh) * 2019-11-13 2020-11-13 海光信息技术有限公司 数字低压差线性稳压器及其控制方法
CN116540113B (zh) * 2023-06-26 2023-10-24 深圳市好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航模电子调速器电池电压的预测方法和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34A (ko) * 1999-09-28 2001-04-06 이종수 인버터의 출력전압 오차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471236B1 (ko) 2002-06-29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전압 보상장치
KR20090053665A (ko) * 2007-11-23 200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터리 충전기
JP2012039778A (ja) * 2010-08-09 2012-02-23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Dcdcコンバータ
KR20120051463A (ko) * 2010-11-12 2012-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전류 제어 방법
KR20150041523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기주식회사 태양전지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075A (en) * 1993-01-27 1994-10-11 Hobart Brothers Company Rotating telecommunications power supply
JP5898589B2 (ja) * 2012-08-10 2016-04-06 株式会社東芝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およびdc−dcコンバータ
US9696350B2 (en) * 2013-03-15 2017-07-04 Intel Corporation Non-linear control for voltage regulator
CN204203826U (zh) * 2014-09-23 2015-03-11 深圳市炬神电子有限公司 一种输出电压可调的直流稳压电源电路
US9625925B2 (en) * 2014-11-24 2017-04-18 Silicon Laboratories Inc. Linear regulator having a closed loop frequency response based on a decoupling capacita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34A (ko) * 1999-09-28 2001-04-06 이종수 인버터의 출력전압 오차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471236B1 (ko) 2002-06-29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전압 보상장치
KR20090053665A (ko) * 2007-11-23 200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터리 충전기
JP2012039778A (ja) * 2010-08-09 2012-02-23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Dcdcコンバータ
KR20120051463A (ko) * 2010-11-12 2012-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전류 제어 방법
KR20150041523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기주식회사 태양전지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794A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뷰파워 Dc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1827B (zh) 2022-03-29
KR102476377B1 (ko) 2022-12-12
US10513199B2 (en) 2019-12-24
CN109521827A (zh) 2019-03-26
US20190084437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2682A (ko) 전력공급장치의 전압강하보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412B1 (ko) 벅 스위치 모드 파워 컨버터 큰 신호 천이 응답 최적화기
US9806520B2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TWI501063B (zh) 電源裝置以及使用該電源裝置的測試裝置
US20170229960A1 (en) Ringing Sup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s
JP6645356B2 (ja) 電圧変換装置
US9729043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while feedback current signal being abnormal
JP5217397B2 (ja) 電力変換装置の並列運転制御システム
US9231470B2 (en) Control circuit, time calculating unit, and operating method for control circuit
WO2011093500A1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CA3048024A1 (en) Neutral connection detection method for 3/4-wire active filters
JP635450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444453B2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804813B2 (en) Power inverter for reducing total harmonic distortion via duty cycle control
KR102369338B1 (ko) 배터리 연결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32333B1 (ko) 차량의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9103160A (ja) 電力変換システム
TWI569569B (zh) 切換式穩壓器
KR20230020269A (ko) Llc 공진 컨버터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59264B1 (ko) Dc-dc 전압 컨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JP2011158354A (ja) バッテリシミュレータ
CA2691936C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input voltage to a power delivery system having regeneration capability
KR20160081024A (ko) 배터리 방전 회로의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전압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전 시스템
KR101918300B1 (ko) Dc-dc컨버터의 전류제한 방법
JP7403111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