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395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395A
KR20190032395A KR1020197002761A KR20197002761A KR20190032395A KR 20190032395 A KR20190032395 A KR 20190032395A KR 1020197002761 A KR1020197002761 A KR 1020197002761A KR 20197002761 A KR20197002761 A KR 20197002761A KR 20190032395 A KR20190032395 A KR 2019003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hair
less
width dir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341B1 (ko
Inventor
준 타카하시
유스케 하카마타
테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46D1/05Splitting; Po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 상부에서의 제제의 유지성과 분산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거품 발생을 실현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단에 헤드부(4)가 형성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헤드부의 식모면(5)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 구멍에 용모의 모다발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식모면은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병설되어 축선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복수의 중앙 모다발(12)이 식모된 중앙 식모 영역과, 폭 방향에서 중앙 모다발을 끼워서 복수의 외측 모다발(22)이 식모된 외측 식모 영역을 갖는다. 중앙 모다발은 몸통부의 선단에 선단 분기부를 갖는 선단 분기모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모다발에 있어서의 선단 분기부(12B)의 최대 지름 폭/중앙 모다발의 베이스부(12A)에 있어서 몸통부에서 형성되는 모다발 지름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이다. 선단 분기부를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식모 밀도는 1000개/㎠ 이상, 5000개/㎠ 이하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8월 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152499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면, 치주병의 예방·개선에는 구강 내에 충분량의 구강용 제제를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양치 시에 있어서의 제제의 분산성을 높여 양호한 거품 발생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는 중앙부의 모다발을 짧게 해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치마제를 유지할 수 있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거품 발생이 우수한 칫솔로서는 1개의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개수를 제한하는 기술(특허문헌 2 참조), 식모면 중심부에 고밀도 식모 영역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 저밀도 식모 영역을 배치하는 기술(특허문헌 3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1-49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25063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4277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통상 칫솔에 사용되어 있는 라운드모나 테이퍼모로 구성되어 있는 칫솔의 경우 모다발과 모다발 사이에 제제가 쌓임으로써 분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다발에 제제가 쌓임으로써 브러시 상에 압출한 제제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고, 거품 발생에 대해서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브러시 상부에서의 제제의 유지성과 분산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거품 발생을 실현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단에 헤드부가 형성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 구멍에 용모의 모다발이 식설(植設)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은 상기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병설되어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복수의 중앙 모다발이 식모된 중앙 식모 영역과,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중앙 모다발을 끼워서 복수의 외측 모다발이 식모된 외측 식모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모다발은 몸통부의 선단에 선단 분기부를 갖는 선단 분기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모다발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분기부의 최대 지름 폭/상기 중앙 모다발의 베이스부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서 형성되는 모다발 지름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이며, 상기 분기부를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식모 밀도는 1000개/㎠ 이상, 50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측 모다발의 최대 수는 4 이상, 8 이하이며,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중앙 모다발의 수는 2 이상, 5 이하이며, 상기 외측 모다발이 식모된 식모 구멍의 직경은 1.4㎜ 이상, 2.0㎜ 이하이며, 상기 중앙 모다발이 식모된 식모 구멍의 직경은 1.0㎜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은 상기 식모면 상의 길이가 상기 중앙 모다발의 상기 식모면 상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에는 모끝을 향해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중앙 모다발 및 상기 복수의 외측 모다발이 식모된 전체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는 9.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브러시 상부에서의 제제의 유지성과 분산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거품 발생을 실현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칫솔(1)의 헤드부에 있어서의 A-A선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중앙 용모(13)에 있어서의 몸통부(13A)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중앙 모다발의 선단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 대해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1)의 헤드부(1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칫솔(1)의 헤드부(11)에 있어서의 A-A선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칫솔(1)은 핸들체(2)를 구비하는 것이며, 핸들체(2)는 장척형상의 파지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4)로 개략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중 부호 O는 핸들체(2)의 축선, 즉 핸들체(2)의 길이 방향이며, 또한 핸들체(2)의 중심을 지나는 선이다.
헤드부(4)는 축선(O) 방향을 길이로 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임의의 면이 모다발을 식모하는 식모면(5)으로 된 것이다. 식모면(5)에는 축선(O) 상 및 축선(O)을 따라 도 1에서는 관통 구멍이 아니라 저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복수개(도 1에서는 일례로서 12개)의 중앙 식모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중앙 식모 구멍(10)은 축선(O)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중앙 식모 구멍(10)끼리의 위치가 축선(O)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헤드부(4)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중앙 식모 구멍(10)에는 복수의 중앙 용모(13)를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묶은 중앙 모다발(12)이 각각 식설되어 중앙 모다발군(14)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용모(13)는 기둥형상의 몸통부(13A)와, 몸통부의 선단에 선단 분기부(13B)를 갖는 선단 분기모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 분기부(13B)는 베이스부(13A)의 선단으로부터 복수개(예를 들면, 2~8개)로 분기되어 있다. 분기모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중공의 필라멘트의 선단에 재단 처리를 실시한 페더드 용모 또는 분기된 각각의 분기부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되는 테이퍼 분기모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페더드 용모가 바람직하다.
중앙 용모(13)가 페더드 용모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은 중앙 용모(13)에 있어서의 몸통부(13A)의 횡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13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도 3에서는 4개)의 중공부(13C)를 갖고 있다. 선단 분기부(13B)는 몸통부(13A)의 선단에 재단 처리를 행함으로써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페더드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5-131059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도 4는 상기 중앙 용모(13)를 갖는 중앙 모다발(12)의 선단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모다발(12)은 복수의 중앙 용모(13)의 베이스부(13A)로 형성되는 베이스부(12A)와, 복수의 중앙 용모(13)의 분기부(13B)가 넓어져서 형성되는 분기부(12B)를 포함한다. 분기부(12B)의 선단부 최대 지름 폭을 W1, 베이스부(12A)의 직경을 W2라고 하면 W1/W2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W1/W2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제제를 유지하는 분기부(12B)의 면적이 작은 점에서 중앙 모다발(12) 사이에 제제가 쌓이기 쉬워진다. 한편, W1/W2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2.0을 초과할 경우에는 분기부(12B)의 겹침이 많아져 겹친 부분에 제제가 쌓이기 쉬워진다. 따라서, W1/W2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임으로써 제제의 쌓임을 억제하여 제제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분기부(12B)의 길이(L1)로서는 1.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부(12B)의 길이(L1)는 중앙 모다발(12)의 모 길이(식모면(5)으로부터 분기부(12B)의 선단까지의 거리)(L2)의 12% 이상, 35% 이하가 바람직하다. 분기부(12B)의 길이(L1)가 12% 미만이면 상술한 W1/W2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을 초과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큰 강도의 베이스부(13A)의 비율이 큰 점에서 잇몸이나 치경부 등으로의 접촉이 지나치게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분기부(12B)의 길이(L1)가 35%를 초과하면 베이스부(12A)의 비율이 작아지는 점에서 중앙 모다발(12)로서의 모 허리가 지나치게 낮아져 치경부의 청소성이 낮아짐과 아울러, 헤드부(4)를 치경부에 진입시킬 때의 실감이 희박해지기 때문에 분기부(12B)의 길이(L1)는 중앙 용모(12)의 모 길이(L2)의 12%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모면(5)에는 그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중앙 식모 구멍(10)을 둘러싸고 축선(O)을 따라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복수개(도 1에서는 일례로서 31개)의 외측 식모 구멍(20)이 형성되고, 이 외측 식모 구멍(20)에 복수의 외측 용모(23)를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묶은 외측 모다발(22)이 식설되어 있다.
식모면(5)에는 31개의 외측 모다발(22) 중 폭 방향에서 헤드부(4)의 측부 가장자리(6)와 중앙 모다발(12) 사이에 배치된 12개의 외측 모다발(22)에 의해 제 1 외측 모다발군(24a)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모면(5)에는 31개의 외측 모다발(22) 중 폭 방향에서 헤드부(4)의 측부 가장자리(7)와 중앙 모다발(12) 사이에 배치된 12개의 외측 모다발(22)에 의해 제 2 외측 모다발군(24b)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외측 식모 구멍(20)은 축선(O)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외측 식모 구멍(20)끼리의 위치가 헤드부(4)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외측 모다발(22)은 축선(O)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외측 모다발(22)끼리의 위치가 헤드부(4)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 모다발(12)의 식모면(5) 상의 길이인 모 길이는 외측 모다발(22)의 식모면(5) 상의 길이인 모 길이보다 높이(D)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4)에는 외측 모다발(22)로 주위가 둘러싸인 깊이(D)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모다발(12)의 모 길이가 외측 모다발(22)의 모 길이보다 짧아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제의 유지성 및 거품 발생성이 향상한다.
식모면(5)에는 중앙 모다발군(14)이 형성된 영역을 나타내는 중앙 식모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식모 영역(11)은 중앙 모다발군(14)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중앙 모다발(12)이 식설된 중앙 식모 구멍(10)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순환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또한, 이 순환선은 인접하는 중앙 식모 구멍(10)끼리의 공통 접선을 구성한다.
식모면(5)에는 제 1 외측 모다발군(24a)이 형성된 영역을 나타내는 제 1 외측 식모 영역(2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식모 영역(21a)은 제 1 외측 모다발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모다발(22)이 식설된 외측 식모 구멍(20)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순환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또한, 이 순환선은 제 1 외측 모다발군(24a) 내에서 인접하는 외측 식모 구멍(20)끼리의 공통 접선을 구성한다.
또한, 식모면(5)에는 제 2 외측 모다발군(24b)이 형성된 영역을 나타내는 제 2 외측 식모 영역(21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식모 영역(21b)은 제 2 외측 모다발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모다발(22)이 식설된 외측 식모 구멍(20)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순환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또한, 이 순환선은 제 2 외측 모다발군(24b) 내에서 인접하는 외측 식모 구멍(20)끼리의 공통 접선을 구성한다. 제 1 외측 식모 영역(21a) 및 제 2 외측 식모 영역(21b)에 의해 헤드부(4)의 폭 방향에서 중앙 모다발(12)을 끼워서 복ㄴ수의 외측 모다발(22)이 식모된 외측 식모 영역(21)을 구성한다.
핸들체(2)의 재질은 칫솔(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굽힘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의 범위에 있는 고경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칫솔(1)에 필요하게 되는 기계 특성이 얻어진다. 이러한 고경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복수종 사용할 수 있다.
헤드부(4)의 크기는 헤드부(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식모 영역(11) 및 외측 식모 영역(21)의 최대 길이나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폭(최대 폭)(W)이 11㎜ 이상이 되고, 예를 들면 11~17㎜가 되고, 두께(T)가 4~8㎜가 된다.
중앙 식모 영역(11) 및 외측 식모 영역(21)을 포함하는 전체 식모 영역의 헤드부(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는 9.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L)가 9.0㎜ 미만이면 충분한 청소를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전체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L)가 15.0㎜ 초과이면 헤드부(4)를 구강 내에 진입시킬 때의 저항이 커져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최대 길이(L)가 9.0㎜ 이상, 15.0㎜ 이하임으로써 충분한 청소력과 조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헤드부(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식모 영역(21)의 최대 길이, 즉 헤드부(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외측 식모 영역(21a)의 최대 길이와, 제 2 외측 식모 영역(21b)의 최대 길이의 합을 헤드부(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식모 영역(11)의 최대 길이로 나눈 값은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값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상술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벽으로서의 외측 식모 영역(21)의 최대 길이가 적기 때문에 제제의 유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값이 5.0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술한 오목부의 폭이 짧기 때문에 제제의 분산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식모 영역(21)의 최대 길이를 중앙 식모 영역(11)의 최대 길이로 나눈 값이 1.0 이상, 5.0 이하이면 제제에 관해서 우수한 유지성 및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제의 유지성 및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외측 모다발(22)의 최대 수는 4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중앙 모다발(12)의 수는 2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식모 구멍(20)의 직경, 즉 외측 모다발(2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은 1.4㎜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 식모 구멍(10)의 직경, 즉 중앙 모다발(1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지름은 1.0㎜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22)의 모다발 지름이 1.4㎜ 미만이면 모다발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서 청소 효과가 저하된다. 외측 모다발(22)의 모다발 지름이 2.0㎜를 초과하면, 특히 헤드부(4)를 와이드화하면 외측 모다발(22)의 간섭이 커서 모가 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외측 모다발(22)의 모끝이 치간부나 치경부에 진입하기 어려워져 청소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외측 모다발(22)의 모다발 지름이 1.4㎜ 이상, 2.0㎜ 이하이면 모다발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지지 않고, 또한 모끝이 치간부나 치경부에 진입하기 쉬우므로 높은 청소 효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앙 모다발(12)의 모다발 지름이 1.0㎜ 미만이면 중앙 모다발(12)로서의 모 허리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제제의 유지성이 낮아진다. 중앙 모다발(12)의 모다발 지름이 1.5㎜를 초과하면 분기부끼리의 얽힘이 많아져 분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중앙 모다발(12)의 모다발 지름이 1.0㎜ 이상, 1.5㎜ 이하이면 제제의 유지성 및 분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앙 모다발군(14)에 있어서의 분기부(분기모)(12B)의 식모 밀도, 즉 중앙 모다발군(14)을 구성하는 중앙 모다발(12)에 있어서의 분기부(분기모)(12B)의 총 개수를 중앙 식모 영역(11)의 면적으로 나눈 값(중앙 식모 밀도)은 1000개/㎠ 이상, 500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부(분기모)(12B)의 식모 밀도가 1000개/㎠ 미만이면 분기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분산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있으며, 분기부(분기모)(12B)의 식모 밀도가 5000개/㎠를 초과하면 분기모가 지나치게 많아서 교반력이 결여되게 되어 거품 발생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분기부(분기모)(12B)의 식모 밀도가 1000개/㎠ 이상, 5000개/㎠ 이하이면 분산성이 우수하여 양호한 거품 발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분기부(분기모)(12B)의 식모 밀도가 상기 범위이어도 베이스부(12A)의 식모 밀도는 더 작아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치면(齒面) 등을 확실하게 닦을 수 있다.
외측 용모(23)는 모끝이 가늘게 된 ST모(슈퍼 테이퍼드모)이다. 외측 용모(23)의 용모 지름은 외측 용모(23)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9mil(1mil=1/1000inch=0.025㎜)이 된다. 6mil 이상이면 치경부를 양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모 허리가 확보되고, 9mil 이하이면 잇몸 등으로의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유연성이 확보된다. 또한, ST모에 있어서의 용모 지름은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직경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 모다발(12)이 분기부(12B)를 갖고 있으며, 분기부(12B)의 최대 지름 폭(W1)/베이스부(12A)의 직경(W2)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이기 때문에 제제의 쌓임을 억제하여 제제의 유효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분기부(12B)의 총 개수를 중앙 식모 영역(11)의 면적으로 나눈 식모 밀도가 1000개/㎠ 이상, 5000개/㎠ 이하이기 때문에 분산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식모 영역(21)의 최대 길이를 중앙 식모 영역(11)의 최대 길이로 나눈 값이 1.0 이상, 5.0 이하이기 때문에 제제에 대해서 우수한 유지성 및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측 모다발(22)의 모다발 지름이 1.4㎜ 이상, 2.0㎜ 이하이기 때문에 모다발이 지나치게 부드럽지 않고, 또한 치간부 치경부에 진입하기 쉽기 때문에 청소 효과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 모다발(12)의 모다발 지름이 1.0㎜ 이상, 1.5㎜ 이하이기 때문에 제제의 유지성 및 분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측 모다발(22)의 식모면(5) 상의 길이가 중앙 모다발(12)의 식모면(5) 상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중앙 모다발(12) 상에 외측 모다발(22)로 둘러싸인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제의 유지성 및 거품 발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측 용모(23)가 ST모(슈퍼 테이퍼드모)이기 때문에 치경부로의 청소 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모다발(12)이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평면으로부터 볼 때 타원형의 타원기둥형상이어도 좋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기둥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중앙 모다발(12)의 형상을 대략 원기둥형상 이외로 했을 경우 그 모다발 지름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에 외접하는 진원의 직경이 된다.
또한, 외측 모다발(22)은 중앙 모다발(12)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부터 볼 때 타원형의 타원기둥형상이어도 좋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기둥형상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구멍(10)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중앙 식모 구멍(10)의 형상은 중앙 모다발(12)의 형상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중앙 식모 구멍(10)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 타원형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어도 좋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바닥이 있는 다각통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외측 식모 구멍(20)은 중앙 식모 구멍(10)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부터 볼 때 타원형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어도 좋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바닥이 있는 다각통형상 등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중앙 식모 구멍(10)의 직경이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중앙 식모 구멍(10)의 직경은 서로 상이해도 좋고, 일부의 중앙 식모 구멍(10)의 직경과 다른 중앙 식모 구멍(10)의 직경이 상이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외측 식모 구멍(20)의 직경이 대략 동등을 이루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외측 식모 구멍(20)의 직경은 서로 상이해도 좋고, 일부의 외측 식모 구멍(20)의 지름과 다른 외측 식모 구멍(20)의 지름이 상이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용모(23)가 ST모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외측 용모(23)는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한 직경의 것이어도 좋고, 선단이 반구면 또는 식모면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단, 치주 포켓 또는 치간부에 들어가기 쉽게 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외측 모다발(22)의 일부의 외측 용모(23)가 ST모 또는 테이퍼모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 모다발(22)의 모든 외측 용모(23)가 ST모 또는 테이퍼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모다발(12)의 모 길이가 외측 모다발(22)의 모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중앙 모다발(12)의 모 길이와 외측 모다발(22)의 모 길이가 동일, 즉 모 길이 차가 0㎜이어도 좋고, 중앙 모다발(12)의 모 길이가 외측 모다발(22)의 모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또한, 본 모다발의 선단을 늘어 놓은 형상이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산부와 곡부를 반복하는 요철면이 되도록 중앙 모다발(12) 및 외측 모다발(12)의 모 길이를 설정해도 좋다.
단, 제제의 유지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중앙 모다발(12)의 모 길이가 외측 모다발(22)의 모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모다발군(14)은 12개의 중앙 모다발(12)로 구성되지만, 중앙 모다발군(14)을 구성하는 중앙 모다발(12)의 수는 11개 이하이어도 좋고, 13개 이상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외측 모다발군(24a, 24b)은 12개의 외측 모다발(22)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제 1 또는 제 2 외측 모다발군(24a, 24b)을 구성하는 외측 모다발(22)은 11개 이하이어도 좋고, 1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외측 모다발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모다발(22)의 수와, 제 2 외측 모다발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모다발(22)의 수는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실시예
(평가 방법)
각 예의 칫솔에 대해서 하기의 방법으로 제제의 「제제의 분산성」, 「거품 발생」, 「제제의 유지성」, 「치경부 청소 실감」에 대해서 평가했다.
<제제의 분산성의 평가>
제제의 분산성은 전문가 패널 10인을 사용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시판된 치마제 1g을 각 실시예, 비교예에 나타내는 칫솔에 얹어 3분간 브러싱을 행한 후 칫솔에 남아있는 치마제의 양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전문가 패널 10인의 평균점이 3.5점 이상, 4.0점 이하를 「◎」, 평균점이 3.0점 이상, 3.5점 미만을 「○」, 평균점이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 평균점이 2.0점 미만을 「×」로 하고, ◎ 또는 ○의 분산성이 확보되는 것을 양호한 분산성이 얻어지는 칫솔이라고 판단했다.
≪평가 기준≫
4점: 칫솔의 모다발 사이에 치마제가 전혀 남아있지 않다.
3점: 칫솔의 모다발 사이에 치마제가 남아있지만, 1~2개의 모다발에 걸쳐 있는 정도.
2점: 3~4개의 모다발 사이에 걸쳐서 치마제가 남아있다.
1점: 5개의 모다발 이상에 걸쳐서 치마제가 남아있다.
<거품 발생의 평가>
거품 발생은 전문가 패널 10인을 사용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시판된 치마제 1g을 각 실시예, 비교예에 나타내는 칫솔 상에 얹어 3분간 브러싱을 행했을 때의 구강 내에서의 거품 발생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전문가 패널 10인의 평균점이 3.5점 이상, 4.0점 이하를 「◎」, 평균점이 3.0점 이상, 3.5점 미만을 「○」, 평균점이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 평균점이 2.0점 미만을 「×」로 하고, ◎ 및 ○의 거품 발생이 확보되는 것을 양치 시에 양호한 거품 발생이 얻어지는 칫솔이라고 판단했다.
≪평가 기준≫
4점: 양호하게 거품 발생
3점: 거품 발생
2점: 약간 거품 발생
1점: 전혀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
칫솔의 식모부에 치마제 1g을 얹고, 치마제를 얹은 식모부에서 플라스틱판을 90초간 스크러빙했다(하중: 200g, 스피드: 160스트로크/분). 그 후 치마제 1g을 얹기 전의 칫솔의 질량을 분동으로 하여 스크러빙 후의 칫솔의 질량을 측정하고, 식모부에 잔존하고 있는 치마제의 질량(잔존량)을 구하여 하기 (i)식에 의해 잔존율을 구했다. 구한 잔존율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분류해서 제제의 유지성을 평가했다.
잔존율(질량%)=잔존량(g)÷1g×100···(i)
≪평가 기준≫
◎: 잔존율이 30% 이상
○: 잔존율이 20질량% 이상 30질량% 미만
△: 잔존율이 15질량% 이상 20질량% 미만
×: 잔존율이 15질량% 미만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
치경부 청소 실감은 전문가 패널 10인을 사용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 나타내는 칫솔의 치경부 청소 실감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전문가 패널 10인의 평균점이 3.5점 이상, 4.0점 이하를 「◎」, 평균점이 3.0점 이상, 3.5점 미만을 「○」, 평균점이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 평균점이 2.0점 미만을 「×」로 하고, ◎ 및 ○의 치경부 청소 실감이 확보되는 것을 양치 시에 양호한 치경부 청소 실감이 얻어지는 칫솔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치경부 청소 실감에 대해서는 외측 모다발(22)이 ST모인 경우만 평가를 행했다(실시예 10 및 비교예 5).
≪평가 기준≫
4점: 치아와 잇몸의 간극의 오염이 빠진 감촉을 매우 느낀다.
3점: 치아와 잇몸의 간극의 오염이 빠진 감촉을 느낀다.
2점: 치아와 잇몸의 간극의 오염이 빠진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1점: 치아와 잇몸의 간극의 오염이 빠진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실시예 1~10, 비교예 1~5)
표 1~표 3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 도 1의 칫솔(1)과 마찬가지로 중앙 식모 영역에 중앙 모다발(●로 나타낸다)을 식모하고, 외측 식모 영역에 외측 모다발(○로 나타낸다)을 식모한 칫솔을 제작했다. 표 중 「선단부 폭」이란 중앙 모다발(12)의 분기부(12B)의 선단부 최대 지름 폭(W1)이다.
「구멍 지름」이란 중앙 모다발(12)이 식설된 중앙 식모 구멍(10)의 직경, 즉 중앙 모다발(1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이며, 중앙 모다발(12)의 베이스부(12A)의 직경(W2)이다.
「선단부(세로 방향)/구멍 지름」이란 헤드부(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W1/W2의 측정값이다.
「선단부(가로 방향)/구멍 지름」이란 헤드부(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W1/W2의 측정값이다.
「선단부(경사 방향)/구멍 지름」이란 헤드부(4)의 축선(O) 방향과 평행이어도 수직이 아닌 방향에 존재하는 2개의 인접한 식모 구멍의 중심 사이를 연결한 방향에 있어서의 W1/W2의 측정값이다.
얻어진 각 예의 칫솔에 대해서 「제제의 분산성」, 「거품 발생」, 「제제의 유지성」, 「치경부 청소 실감」을 평가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10은 모두 제제의 분산성, 거품 발생,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가 「◎」 또는 「○」이었다. 또한, 실시예 10에 대해서는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가 「◎」이었다.
한편,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식모 폭/중앙부 식모 폭의 값이 0.4이었던 비교예 1은 제제의 분산성의 평가가 「◎」이지만, 거품 발생의 평가가 「△」,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가 「×」이었다.
외측 식모 폭/중앙부 식모 폭의 값이 6.1이었던 비교예 2는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가 「○~◎」이지만, 거품 발생의 평가가 「△」, 제제의 분산성의 평가가 「×」이었다.
선단부 폭(경사 방향 또는 가로 방향)(W1)/베이스부 지름(중앙 식모 구멍 지름)(W2)의 값이 0.92, 선단부 폭(세로 방향)(W1)/베이스부 지름(중앙 식모 구멍 지름)(W2)의 값이 0.55이며, 선단부 식모 밀도가 792개/㎠이었던 비교예 3은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가 「○~◎」이지만, 거품 발생의 평가가 「×」, 제제의 분산성의 평가가 「×」이었다.
선단부 폭(경사 방향 또는 가로 방향)(W1)/베이스부 지름(중앙 식모 구멍 지름)(W2)의 값이 2.32, 선단부 폭(세로 방향)(W1)/베이스부 지름(중앙 식모 구멍 지름)(W2)의 값이 2.04이며, 선단부 식모 밀도가 9503개/㎠이었던 비교예 4는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가 「○~◎」이지만, 거품 발생의 평가가 「×」, 제제의 분산성의 평가가 「×」이었다.
중앙 모다발의 모 길이가 외측 모다발의 모 길이보다 긴 비교예 5는 제제의 분산성의 평가가 「◎」이지만, 거품 발생의 평가가 「△~○」, 제제의 유지성의 평가가 「×」,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가 「×」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제제의 유지성 및 분산성, 거품 발생, 및 치경부 청소 실감에 대해서 모두 만족하는 칫솔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
1: 칫솔 2: 핸들체
4: 헤드부 5: 식모면
10: 중앙 식모 구멍 11: 중앙 식모 영역
12: 중앙 모다발 12A: 베이스부
12B: 분기부 13: 중앙 용모
20: 외측 식모 구멍 21: 외측 식모 영역
22: 외측 모다발 23: 외측 용모

Claims (6)

  1. 선단에 헤드부가 형성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 구멍에 용모의 모다발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은 상기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병설되어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복수의 중앙 모다발이 식모된 중앙 식모 영역과,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중앙 모다발을 끼워서 복수의 외측 모다발이 식모된 외측 식모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모다발은 몸통부의 선단에 선단 분기부를 갖는 선단 분기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모다발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분기부의 최대 지름 폭/상기 중앙 모다발의 베이스부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서 형성되는 모다발 지름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이며,
    상기 분기부를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식모 밀도는 1000개/㎠ 이상, 50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측 모다발의 최대 수는 4 이상, 8 이하이며,
    상기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중앙 모다발의 수는 2 이상, 5 이하이며,
    상기 외측 모다발이 식모된 식모 구멍의 지름은 1.4㎜ 이상, 2.0㎜ 이하이며,
    상기 중앙 모다발이 식모된 식모 구멍의 지름은 1.0㎜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은 상기 식모면 상의 길이가 상기 중앙 모다발의 상기 식모면 상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에는 모끝을 향해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중앙 모다발 및 상기 복수의 외측 모다발이 식모된 전체 식모 영역의 최대 길이는 9.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97002761A 2016-08-03 2017-07-27 칫솔 KR102539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2499 2016-08-03
JP2016152499A JP7199139B2 (ja) 2016-08-03 2016-08-03 歯ブラシ
PCT/JP2017/027305 WO2018025751A1 (ja) 2016-08-03 2017-07-27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395A true KR20190032395A (ko) 2019-03-27
KR102539341B1 KR102539341B1 (ko) 2023-06-02

Family

ID=6107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761A KR102539341B1 (ko) 2016-08-03 2017-07-27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9139B2 (ko)
KR (1) KR102539341B1 (ko)
CN (1) CN109561758B (ko)
WO (1) WO2018025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334B1 (en)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3B1 (en)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6A1 (en) 2017-12-20 2019-06-26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EP3501335B1 (en) 2017-12-20 2020-06-17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US11400627B2 (en) 2018-02-09 2022-08-02 The Gillette Company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US11388985B2 (en) 2018-02-09 2022-07-19 The Gillette Company Llc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EP3524093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EP3524091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Manual oral care implement
EP3524092A1 (en) 2018-02-09 2019-08-14 The Gillette Company LLC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US11659922B2 (en) 2018-09-03 2023-05-30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PL3616561T3 (pl) 2018-09-03 2022-11-21 The Gillette Company Llc Główka do narzędzia do higieny jamy ustnej i zestaw zawierający taką główkę
EP3714732A1 (en) 2019-03-29 2020-09-30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EP3818904A1 (en) 2019-11-06 2021-05-12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CN111642892A (zh) * 2020-07-06 2020-09-11 幸福草(上海)口腔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牙刷头部结构
JPWO2022137982A1 (ko) 2020-12-24 2022-06-30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32A (ja) 2002-02-28 2003-09-09 Lion Corp 歯ブラシ
JP2011004905A (ja) 2009-06-24 2011-01-13 Nippon Shiken Kogyo Kk 歯ブラシ
JP2013042776A (ja) 2011-08-22 2013-03-04 Lion Corp 歯ブラシ
KR20150136466A (ko) * 2013-04-01 2015-12-0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8801B2 (ja) * 1997-04-24 2007-08-15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割れた末端を有するモノフィラメント
JP2002065360A (ja) * 2000-08-29 2002-03-05 Pentel Corp 歯ブラシ
JP4547891B2 (ja) * 2003-10-29 2010-09-22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フェザードフィラメント歯ブラシ
JP5947480B2 (ja) * 2010-08-06 2016-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WO2012057157A1 (ja) * 2010-10-29 2012-05-0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5779383B2 (ja) * 2011-04-11 2015-09-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019111B2 (ja) * 2012-05-01 2016-11-0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KR102235228B1 (ko) * 2013-04-01 2021-04-0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CN203952774U (zh) * 2014-06-03 2014-11-26 济南优泽西康医药科技有限公司 兼具牙菌斑清洁作用及牙龈保护作用的牙刷
JP6472956B2 (ja) * 2014-07-01 2019-02-20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32A (ja) 2002-02-28 2003-09-09 Lion Corp 歯ブラシ
JP2011004905A (ja) 2009-06-24 2011-01-13 Nippon Shiken Kogyo Kk 歯ブラシ
JP2013042776A (ja) 2011-08-22 2013-03-04 Lion Corp 歯ブラシ
KR20150136466A (ko) * 2013-04-01 2015-12-0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341B1 (ko) 2023-06-02
JP7199139B2 (ja) 2023-01-05
WO2018025751A1 (ja) 2018-02-08
JP2018019876A (ja) 2018-02-08
CN109561758A (zh) 2019-04-02
CN109561758B (zh)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2395A (ko) 칫솔
US20230248139A1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101786155B1 (ko) 칫솔
AU2015349915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U2015349916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JP5160955B2 (ja) 歯ブラシ
KR102047148B1 (ko) 칫솔
KR20140009292A (ko) 칫솔
JP5909192B2 (ja) 歯ブラシ
KR20160103982A (ko) 칫솔 및 전동 칫솔
US1053716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20150136466A (ko) 칫솔
JP6621497B2 (ja) 歯ブラシ
KR20150014912A (ko) 칫솔
JP5851115B2 (ja) 歯ブラシ
JP7162409B2 (ja) 歯ブラシ
KR102553647B1 (ko) 칫솔
JP4544785B2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