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045A -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045A
KR20190032045A KR1020170120494A KR20170120494A KR20190032045A KR 20190032045 A KR20190032045 A KR 20190032045A KR 1020170120494 A KR1020170120494 A KR 1020170120494A KR 20170120494 A KR20170120494 A KR 20170120494A KR 20190032045 A KR20190032045 A KR 2019003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member
filter unit
deodorizing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234B1 (ko
Inventor
한동기
이상훈
정용미
고영철
서응렬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34B1/ko
Priority to PCT/KR2018/009774 priority patent/WO2019059542A2/ko
Publication of KR2019003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로 배출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까지의 공기유로 상에 위치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통 형상의 필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유닛의 통기 가능한 측벽 전체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FILTER UNIT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 내에 배치된 필터의 일 부분으로만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의 전체 면적을 이용해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필터링 성능 및 집진 성능을 증가시키는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황사 및 오존 등으로 인해 외부 공기의 오염이 심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기청정기 주위의 공기를 모든 방향에서 필터링 하기 위해 통 형상의 공기청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송풍팬에 의해 통 형상의 필터 유닛의 하단을 통해 필터 유닛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유닛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 유닛의 벽체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된다.
그런데 필터 유닛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의 위치와 가까운 필터 유닛의 상단부로 쏠려서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의 일정 영역(상단부)에 대해서만 빠른 유속으로 통과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따라 공기가 필터 유닛의 전체 영역을 고르게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필터 유닛의 필터링 성능은 크게 저하된다.
특히, 필터 유닛이 전기 집진기를 포함할 경우, 공기는 전기 집진기의 일정 영역(상단부)을 빠르게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필터 유닛의 일정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 속도는 전기 집진기에서 필터링을 위해 요구되는 공기의 이동 속도보다 훨씬 빠를 뿐만 아니라, 전기 집진기의 전체 영역을 고르게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전기 집진기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 형상의 필터 유닛의 측면 전체 영역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른 유속 분포를 갖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로 배출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까지의 공기유로 상에 위치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통 형상의 필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유닛의 통기 가능한 측벽 전체를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통 형상이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측면 내면을 따라 접촉하여 상기 측벽을 통해 배출되는 필터 영역을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의 맞은편에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유닛의 측벽으로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가이드부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보조가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부재는 하단이 막혀있으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하나를 2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는 통 형상이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보조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는 상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측벽 내면을 따라 접촉하여 상기 측벽의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 중 하나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의 하단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측벽에 활성탄이 채워지는 다수의 셀로 구성되는 탈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의 측벽은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필터링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링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취부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에 각각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탈취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탈취 영역은 상기 활성탄이 상기 셀에 채워지는 비율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탈취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탈취 영역 보다 활성탄이 상기 셀에 채워지는 비율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탈취 영역은 상기 셀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탈취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탈취 영역 보다 상기 셀의 크기가 더 작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Ⅱ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유로와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3 내지 제5 유로와 제3 내지 제5 필터링 영역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제6 내지 제9 유로와 제6 내지 제8 필터링 영역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탈취 부재의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탈취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부재의 제4 내지 제5 탈취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조와, 필터 유닛에 대한 상세한 구조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Ⅱ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내부에 송풍팬(500)을 구비한 본체(100)와, 송풍팬(500)에 의해 본체(100) 내부로 강제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0)는 송풍팬(500)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되며, 공기청정기(1)의 온/오프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을 위한 조작 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대략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는 상면에 공기토출구(20)가 형성되고, 내측에 송풍팬(500)이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풍팬(500)은 하측으로 필터 유닛(300)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링 형상의 제1 유동 공간(600)을 가진다. 제1 유동 공간(600)은 제1 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20)와 연통된다.
제2 케이스(120)는 내측에 필터 유닛(300), 가이드 부재(400), 제1 및 제2 고정부재(210, 220)가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할 때, 필터 유닛(300)의 외주면과 제2 케이스(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필터 유닛(300)을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유동 공간(700)이 마련된다. 제2 유동 공간(700)은 제1 케이스(110)의 제1 유동 공간(600)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는 제2 유동 공간(700) 및 제1 유동 공간(600)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본체(100) 외부의 공기는 송풍팬(500)에 의해 흡입력에 의해 제2 케이스(120)의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 유닛(300)의 하단을 통해 필터 유닛(300)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어서 공기는 필터 유닛(300) 측면을 통과하여 제2 유동 공간(700)으로 이동되면서 먼지와 분리된다. 제2 유동 공간(700)으로 이동된 필터링된 공기는 제1 케이스(110)의 제1 유동 공간(600)으로 이동되며, 제1 케이스(110)의 공기 토출구(20)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필터 유닛(300)은 대략 통 형상이며, 전기 집진기(310) 및 탈취 부재(320)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터 유닛(300)은 공기유입구(10)로부터 공기토출구(20)까지의 공기 유로 상에 위치하며 공기를 필터링한다.
필터 유닛(300)은 하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 유닛(300)의 일정 부분즉, 송풍팬(500)과 인접한 필터 유닛(300)의 측벽 상단부로 쏠려서 배출되지 않고, 필터 유닛(300)의 측벽 전체를 통해 비교적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필터 유닛(300)의 측벽 전체를 이용하여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필터링 성능 및 집진 성능이 극대화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 서술한다.
필터 유닛(300)은 통 형상으로 공기가 측 벽 전체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며, 필요에 따라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의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유닛(300)은 원통 형상의 전기 집진기(310)와 전기 집진기(3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탈취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할 때, 전기 집진기(310)는 외부 전원(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며, 정전 응집 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다수의 대전부(311)와, 다수의 대전부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전부(311)와 집진부(312)는 상호 번갈아가면서 통 형상으로 배치된다. 전기 집진기(31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대전부(311)에 의해 일정한 극성(+극 또는 -극)으로 대전되며, 대전된 먼지가 띄는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을 띄는 집진부(312)의 표면에 집진된다.
탈취 부재(320, 도 13 참조)는 전기 집진기(31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탈취한다. 탈취 부재(320)는 다수의 셀(321a, 322a, 323a, 324a, 325a, 도 14a 내지 14c 및 도 17 참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셀에 공기의 냄새 성분을 탈취하는 활성탄이 채워진다. 탈취 부재(320)의 외경은 제2 케이스(120)와 함께 제2 유동공간(700)을 마련하기 위해 제2 케이스(120)의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제1 고정부재(210)는 제2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에 배치된다. 제1 고정부재(210)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4 부분(210a, 210b, 210c, 21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10a)은 전기 집진부(310)의 중앙 공간(310c)의 상단을 폐쇄한다. 제2 부분(210b)은 제1 부분(210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전기 집진부(310)의 상단(310a)을 지지하기 위해 대전부(311) 및 집진부(312)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다. 제3 부분(210c)은 제2 부분(210b)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며 탈취 부재(320)의 상단(320a)을 지지한다. 제4 부분(210d)은 제3 부분(210c)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제2 유동공간(700)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재(210)의 제1 부분(210a)은 막혀 있는 원 형상이므로 필터 유닛(3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 부분(210a)에 의해 필터 유닛(300)의 중앙 공간(310c)의 상단으로 유동할 수 없으며 필터 유닛(300)의 측면을 통해 공기가 이동된다.
제2 고정부재(220)는 제2 케이스(120) 하단 개구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할 때, 제2 고정부재(220)는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기 집진기(310)의 중앙 공간(310c)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 형상의 그릴부(221)가 배치된다.
그릴부(221)는 후술하는 다수의 결합돌기(460)와 대응하는 개수로 다수의 결합부(221a 내지 221d)가 형성된다. 그릴부(221)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전기 집진기(310)의 대전부(311) 및 집진부(312)의 하단들(310b, 도 2a 참조)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5 부분(222a, 222b)이 형성되며, 제5 부분(222a, 222b)의 외주면에는 제5 부분(222a, 222b)을 둘러싸며 외주면이 제2 케이스(12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6 부분(2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부재(220)의 제5 부분(222a, 222b)은 전기 집진부(310)의 하단(310b)이 고정된다. 즉, 제5 부분(222a, 222b)은 전기 집진부(310)의 대전부(311) 및 집진부(312)가 각각 결합하는 요홈으로 이루어질 있다. 제6 부분(223)은 제2 케이스(12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제2 고정부재(220)를 제2 케이스(120)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한다.
필터 유닛(300)의 내측에는 필터 유닛(300) 내의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를 구획하는 가이드 부재(410)가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 유닛(400, 도 5 참조)은 가이드 부재(410),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 부재(430, 도 5 참조) 및 보조 가이드 부재(420, 도 5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 부재(430, 도 5 참조) 및 보조 가이드 부재(420, 도 5 참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부재(410)가 구비된 공기청정기(1) 내부의 공기 유동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유로와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가이드 부재(410)는 대략 통 형상이며 하단(410b)에서 상단(410a)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410)는 하단부의 면적에 의해 가이드 부재(410) 내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이 넓을수록, 필터 유닛(300)의 측면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필터링 영역(200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게 되고 필터 유닛(300)의 측면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필터링 영역(210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적어지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이 좁을수록, 필터 유닛(300)의 측면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필터링 영역(200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적어지게 되고 필터 유닛(300)의 측면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필터링 영역(210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많아지게 된다.
만약 필터 유닛(300)의 측면 하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빠르 게하고 필터 유닛(300)의 측면 상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려면,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을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에서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 유로(1000,1100)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10)는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가이드 부재(410)간의 마찰에 의해 유동 속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줄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다만, 필터 유닛(300) 내의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410)의 측면은 일부분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410)는 하단(410b)이 제2 고정부재(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410a)은 필터 유닛(300)의 측면 내면을 따라 접촉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410)는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1 유로(1000) 및 제2 유로(1100)로 구획할 수 있으며, 필터 유닛(300)의 측벽을 통해 배출되는 필터 영역을 가이드 부재(410)의 상단(410a)을 기준으로 제1 필터링 영역(2000) 및 제2 필터링 영역(2100)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필터링 영역(2000)은 제1 유로(1000)와 연통되며, 제2 필터링 영역(2100)은 제2 유로(1100)와 연통된다.
다만,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은(2000, 2100)은 단일의 필터 유닛(300)에서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는 제1 및 제2 유로(1000, 1100)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영역이다. 따라서 제2 유로(1100)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2 필터링 영역(2100)의 상단부를 거쳐 제1 필터링 영역(2000)의 하단부를 통과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을 통해 가이드 부재(4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1000) 및 제1 필터링 영역(2000)을 거쳐 필터 유닛(300) 외측으로 배출되며, 가이드 부재(410)의 외측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유로(1100) 및 제2 필터링 영역(2100)을 거쳐 필터 유닛(300) 외측으로 배출된다.
필터 유닛(300)의 내부는 가이드 부재(410)에 의해 구획된 제1 유로(1000) 및 제2 유로(1100)가 마련된다.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은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에서 가이드 부재(410) 하단(41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구성되므로, 제1 유로(1000)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작아지게 되고, 제2 유로(1100)을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더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 내의 공기는 필터 유닛(300)의 제1 필터링 영역(2000) 및 제2 필터링 영역(2100) 전체면을 고른 유속분포를 가지고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필터링되는 필터 유닛(300)의 실질적인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공기청정기(1)의 집진성능 및 필터링 성능은 증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가이드 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할 때, 다수의 가이드 부재(400)는 가이드 부재(410)에 더하여 보조 가이드 부재(42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할 때, 보조 가이드 부재(420)는 공기가 유입되는 필터 유닛(300)의 일단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가이드 부재(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 유닛(300)의 측벽으로 가이드 한다. 또한, 보조 가이드 부재(420)는 하단(420b)이 막혀있으며 하단(420b)에서 상단(420a)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조 가이드 부재(420)의 하단(420b)은 가이드 베인(410) 내측의 상단(410a) 내지 하단(41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부재(420)의 상단(420a)의 직경은 제1 고정부재(210)의 제1 부분(210a)의 직경과 일치한다. 또한 보조 가이드 부재(410)의 상단(420a)은 제1 고정부재(210)의 제1 부분(210a)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에 유입된 공기가 필터 유닛(300)의 상단에 위치한 제1 고정부재(210)의 제1 부분(210a)과 충돌하여 유속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 부재(420)의 측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보조 가이드 부재(420)간의 마찰에 의해 유동 속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줄여 공기 청정기(1)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다만, 필터 유닛(300) 내의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해 보조 가이드 부재(420)의 측면은 일부분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추가 가이드 부재(430)는 가이드 부재(410)의 외측 하단부에 배치되며, 하단(430b)에서 상단(430a)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할 때, 추가 가이드 부재(430)는 하단(430b)이 제2 고정부재(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430a)은 필터 유닛(300)의 측면 내면을 따라 접촉한다. 아울러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은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추가 가이드 부재(430)은 제1 유로(1000) 및 제2 유로(1100) 중 하나를 2개의 유로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하여 필터링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할 때, 연결 부재(440, 450)는 작은 링(441, 451), 큰 링(442, 452) 및 작은 링(441, 451)과 큰 링(442, 452)을 이어주는 연결부(443, 45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440, 450)는 각각 가이드 부재(410)와 보조 가이드 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10)와 추가 가이드 부재(43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큰 링(442, 452)은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 내주면에 각각 접촉하여 배치된다.
연결 부재(440)가 가이드 부재(410)와 보조 가이드 부재(420)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440)의 작은 링(441)의 내주는 보조 가이드 부재(420)의 외주와 동일하며, 큰 링(442)의 외주는 가이드 부재(410)의 내주와 동일하다.
또한, 연결 부재(450)가 가이드 부재(410)와 추가 가이드 부재(430)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450)의 작은 링(451)의 내주는 가이드 부재(410)의 외주와 동일하며, 큰 링(442)의 외주는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내주와 동일하다.
연결부(443, 453)는 작은 링(441, 451)과 큰 링(442, 452)를 연결한다. 작은 링(441, 451)의 외주면 및 큰 링(442, 45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연결부(443, 453)는 이동하는 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공기 이동방향에 대한 수직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410), 보조 가이드 부재(42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는 상호 연결부재(440, 45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부재(410)와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은 외주면을 따라 고정부재(220)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46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결합돌기(460)는 제2 고정부재(220) 그릴부(221)의 결합부(221a 내지 221d)와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는 필터 유닛(30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제3 내지 제5 유로와 제3 내지 제5 필터링 영역을 표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할 때, 공기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을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에 의해 제3 유로(3000), 제4 유로(3100) 및 제5 유로(3200)로 구획된다. 또한 필터 유닛(300)의 측면은 가이드 부재(410)의 상단(410a)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상단(430a)을 기준으로 각각 제3 필터링 영역(4000), 제4 필터링 영역(4100) 및 제5 필터링 영역(4200)으로 구획된다.
제3 유로(3000)는 제3 필터링 영역(4000)과 연통되며, 제4 유로(3100)는 제4 필터링 영역(4100)과 연통되며, 제5 유로(3200)는 제5 필터링 영역(4200)과 연통된다.
다만, 제3 내지 제5 필터링 영역(4000, 4100, 4200)은 단일의 필터 유닛(300)에서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는 제3 내지 제5 유로(3000, 3100, 3200)로부터의 공기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영역이이다. 따라서 제3 유로(300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제4 필터링 영역(4100)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으며, 제4 유로(310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제3 또는 제5 필터링 영역(4000, 4200)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5 유로(320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제4 필터링 영역(4100)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에 의해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은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의 면적에서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 및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에서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으로 구획된다.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의 면적에서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 및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에서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은 각각 동일하거나, 가이드 부재(410), 추가 가이드 부재(430) 및 전기 집진기(310)의 하단(410b, 430b, 310b)의 반경이 각각 1:2:3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3 유로(3000) 및 제3 필터링 영역(4000)과 연통되며,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의 면적에서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4 유로(3100) 및 제4 필터링 영역(4100)과 연통된다. 또한 전기 집진기(310)의 내측 하단(310b)의 면적에서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5 유로(3200) 및 제5 필터링 영역(4200)과 연통된다.
필터 유닛(300)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에 의해 별개의 제3 유로(3000), 제4 유로(3100) 및 제5 유로(3200)로 구획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필터 유닛(300)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에 의해 구획되고 조절된다. 이에 따라 제3 유로(3000)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감소하게 되고, 제4 내지 제5 유로(3100, 3200)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더 증가하게 된다.
그로 인해, 필터 유닛(300) 내의 공기는 필터 유닛(300)의 제3 내지 제5 필터링 영역(4000, 4100, 4200) 전체 면을 고른 유속분포를 가지고 통과할 수 있다. 이는 공기가 필터링되는 필터 유닛(300)의 실질적인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공기청정기(1)의 집진성능 및 필터링 성능은 증가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할 때, 동일한 송풍팬(500)의 RPM하에서 필터 유닛(300)의 내부에 가이드 부재(410), 보조 가이드 부재(42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를 배치한 경우, 필터 유닛(300)의 제3 내지 제5 필터링 영역(4000, 4100, 4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의 최대 유속은 감소하며 유속 간의 표준편차 또한 크게 감소한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의 전체 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분포가 균일하게 되고 공기청정기(1)의 필터링 성능 및 집진 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3 내지 제5 필터링 영역(4000, 4100, 4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의 평균 값이 증가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유속으로 필터링 및 집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제6 내지 제9 유로와 제6 내지 제8 필터링 영역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할 때, 가이드 부재(410')의 하단(410b')은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하단(430b')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10')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 이외의 구성들에 대해서는 이전의 실시 예와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할 때, 공기는 필터 유닛(300)의 하단을 통해 유입된다. 필터 유닛(300) 내부의 공간은 추가 가이드 부재(430')에 의해 제6 유로(3000'), 제7 유로(3100')로 구획되며, 제6 유로(3000')는 다시 가이드 부재(410')에 의해 제8 유로(3010') 및 제9유로(3020')로 구획된다. 또한 필터 유닛(300)의 측면은 가이드 부재(410')의 상단(410a') 및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상단(430a')에 의해 각각 제6 필터링 영역(4100'), 제7 필터링 영역(4010') 및 제8 필터링 영역(4020')으로 구획된다.
제7 유로(3100')는 제6 필터링 영역(4100')과 연통되며, 제8 유로(3010')는 제7 필터링 영역(4010')과 연통되며, 제9 유로(3020')는 제8 필터링 영역(4020')과 연통된다.
다만, 제6 내지 제8 필터링 영역(4100', 4010', 4020')은 단일의 필터 유닛(300)에서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는 제7 내지 제9 유로(3100', 3010', 3020')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영역이다. 따라서 제7 유로(3100')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7 필터링 영역(4010')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으며, 제8 유로(3010')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6 또는 제8 필터링 영역(4100', 4020')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9 유로(3020')을 이동하는 공기는 제7 필터링 영역(4010')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필터 유닛(300)의 제6 내지 제8 필터링 영역(4100', 4010', 4020')으로 이루어진 전체면을 통과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 유닛(300)의 실질적인 면적은 증가하게 되고 공기청정기(1)의 집진성능 및 필터링 성능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410')은 상단(410a')과 하단(410b')이 짧게 구성되므로, 가이드 부재(410')의 생산비용이 감소되며 이동하는 공기와의 마찰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부재(410')과 추가 가이드 부재(430')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별도의 추가 가이드 부재(430')의 생산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비용이 감소된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필터 유닛(300) 내의 공기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탈취 부재의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트부재(미도시)와 활성탄을 생략하였으며, 도 14는 네트부재(미도시)를 생략하였다.
필터 유닛(300)의 측벽은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으로 구획되며,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링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은 제9 내지 제11 필터링 영역(5021, 5022, 5023 도 15 참조)으로 구획된다.
도 13 내지 도 14c를 참조 할 때, 탈취 부재(320)는 통 형상으로 활성탄(321b, 322b, 323b)이 채워지는 다수의 셀(321a, 322a, 323a)로 구성된다. 탈취 부재(320)는 적어도 2개의 탈취 영역으로 구획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2개의 탈취 영역은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321, 322, 323)으로 구획된다. 또한 제9 내지 제11 필터링 영역(5021, 5022, 5023 도 16 참조)은 각각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321, 322, 323)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321, 322, 323)은 활성탄(321b, 322b, 323b)이 셀(321a, 322a, 323a)에 채워지는 비율이 상이하다.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탈취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탈취 영역보다 활성탄이 상기 셀(321a, 322a, 323a)에 채워지는 비율이 더 크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고할 때, 다수의 셀(321a, 322a, 323a)에 채워지는 활성탄(321b, 322b, 323b)은 중력의 영향하에 다수의 셀(321a, 322a, 323a)의 하측에 채워진다. 채워진 활성탄은 각각 셀(321a, 322a, 323a)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A1, A2, A3의 높이를 가진다.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321, 322, 323)중에서 제1 탈취영역(321)이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으므로 활성탄(321b)이 가장 많이 채워진다. 제2 탈취영역(322)는 제1 탈취영역(321)보다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에 더 가까이 위치하므로 활성탄(322b)이 제1 탈취영역(321)의 활성탄(321b)보다는 적게 채워진다. 제3 탈취영역(323)은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활성탄(323b)이 가장 적게 채워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321, 322, 323)에 채워지는 활성탄(321b, 322b, 323b)의 높이는 A1>A2>A3의 순이다.
셀에 채워지는 활성탄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탈취 영역의 압력저항도 증가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탈취영역(321, 322, 323)중에서 제1 탈취영역(321)이 활성탄이 가장 많이 채워지므로 압력저항이 가장 크다. 제3 탈취영역(323)은 활성탄이 가장 적게 채워지므로 압력저항이 가장 작다.
또한, 셀에 채워지는 활성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탈취 부재(320)의 각 측면에는 활성탄의 크기보다 작은 메쉬를 가진 네트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13 탈취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필터 유닛(300)의 하단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 유닛(300)의 측면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 이 때, 필터 유닛(300) 내부의 공기는 제1 내지 제3 탈취 영역(321, 322, 323)의 서로 다른 압력저항으로 인해 서로 다른 유속 및 유량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탈취영역(321)을 포함하는 제9 필터링 영역(502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감소하게 되고, 제2 탈취 영역(322)을 포함하는 제10 필터링 영역(5022) 및 제3 탈취 영역(323)을 포함하는 제11 필터링 영역(502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 내의 공기는 필터 유닛(300)의 제9 내지 제11필터링 영역(5021, 5022, 5023) 전체 면을 대체적으로 고른 유속분포 및 유량 분포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 이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 유닛(300)의 실질적인 필터링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공기청정기(1)의 집진성능 및 필터링 성능은 증가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할 때, 동일한 송풍팬(500)의 RPM하에서 탈취 부재(300)의 제1 내지 제3 탈취 영역(321, 322, 323)의 압력저항 분포를 다르게 하였을 경우, 필터 유닛(300)의 제9 내지 제11 필터링 영역(5021, 5022, 502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의 최대 유속은 감소하였으며 유속 간의 표준편차는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300)의 전체 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분포가 균일하게 되고 공기청정기(1)의 필터링 성능 및 집진 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부재의 제4 내지 제5 탈취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트부재 및 활성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7을 참조할 때, 제4 내지 제5 탈취 영역(324, 325)은 탈취 부재(320)의 각각이 가지는 셀(324a, 325a)의 크기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탈취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탈취 영역보다 셀의 크기가 더 작다. 또한,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셀의 개수도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4 내지 제5 탈취 영역(324, 325)의 활성탄이 채워지는 정도가 동일하더라도, 더 작은 셀(324a)을 가지는 제4 탈취 영역(324)은 동일한 면적에서 제5 탈취 영역(325)보다 더 많은 수의 셀(324a)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제5 탈취 영역(325)보다 압력저항이 더 크게 된다.
제4 내지 제5 탈취 영역(324, 325)은 압력저항 분포가 달라지게 되고, 필터 유닛(300) 내부의 유동하는 공기는 다른 압력저항 분포로 인해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조절된다.
또한, 필터 유닛(300) 내부의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하여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최대 유속은 감소시키고, 유속들 간의 표준 편차는 감소시켜 필터 유닛(300)의 전체면을 일정한 유속 및 유량으로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의 필터링 성능 및 집진 성능은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공기청정기 110, 120: 제1 및 제2 케이스
210,220: 제1 및 제2 고정부재 310: 전기집진기
320: 탈취부재 410: 가이드부재
420: 보조가이드부재 430: 추가가이드부재
700: 제2 유동공간 800: 제1 유동공간

Claims (21)

  1.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로 배출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까지의 공기유로 상에 위치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통 형상의 필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유닛의 통기 가능한 측벽 전체를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내부에 배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통 형상이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측면 내면을 따라 접촉하여 상기 측벽을 통해 배출되는 필터 영역을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으로 구획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의 맞은편에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유닛의 측벽으로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부재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가이드부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보조가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이드부재는 하단이 막혀있으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공기청정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하나를 2개의 유로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는 통 형상이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공기청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보조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는 상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측벽 내면을 따라 접촉하여 상기 측벽의 제1 및 제2 필터링 영역 중 하나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공기청정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은 상기 추가 가이드부재의 하단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 공기청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측벽에 활성탄이 채워지는 다수의 셀로 구성되는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의 측벽은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필터링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링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는 공기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필터링 영역에 각각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탈취 영역으로 구획되는 공기청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탈취 영역은 상기 활성탄이 상기 셀에 채워지는 비율이 상이한 공기청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탈취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탈취 영역 보다 활성탄이 상기 셀에 채워지는 비율이 더 큰 공기청정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탈취영역은 상기 셀의 크기가 상이한 공기청정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탈취 영역 중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단으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탈취 영역 보다 상기 셀의 크기가 더 작은 공기청정기.
KR1020170120494A 2017-09-19 2017-09-19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248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94A KR102482234B1 (ko) 2017-09-19 2017-09-19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PCT/KR2018/009774 WO2019059542A2 (ko) 2017-09-19 2018-08-24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94A KR102482234B1 (ko) 2017-09-19 2017-09-19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45A true KR20190032045A (ko) 2019-03-27
KR102482234B1 KR102482234B1 (ko) 2022-12-28

Family

ID=6580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494A KR102482234B1 (ko) 2017-09-19 2017-09-19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2234B1 (ko)
WO (1) WO20190595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4156A (zh) * 2020-06-08 2021-12-24 中央牌家电有限公司 采用筒状滤材的新风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164A (ja) * 1998-01-27 1999-08-06 Techno Ryowa Ltd 空気清浄化用送風機ユニット
JP2000157816A (ja) * 1998-11-24 2000-06-13 Infinity Kenkyusho:Kk 濾過装置
JP2013071054A (ja) * 2011-09-28 2013-04-22 Jfe Engineering Corp 濾過体及びこれを有する濾過装置
KR20170020575A (ko) * 2015-08-12 2017-02-23 코웨이 주식회사 양흡입 구조의 공기청정기
KR101776913B1 (ko) * 2016-03-14 2017-09-08 (주)쓰리에이씨 3d 탈취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6775B1 (fr) * 1994-11-16 1997-07-18 Snecma Dispositif de separation et de filtration de particules dans un debit de fluide
US7998250B2 (en) * 2008-10-03 2011-08-16 B/E Aerospace, Inc. Multiple vortex waste separator apparatus
KR101560168B1 (ko) * 2008-12-03 2015-10-14 코웨이 주식회사 사류형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160001945A (ko) * 2014-06-30 2016-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KR101897353B1 (ko) * 2016-02-26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164A (ja) * 1998-01-27 1999-08-06 Techno Ryowa Ltd 空気清浄化用送風機ユニット
JP2000157816A (ja) * 1998-11-24 2000-06-13 Infinity Kenkyusho:Kk 濾過装置
JP2013071054A (ja) * 2011-09-28 2013-04-22 Jfe Engineering Corp 濾過体及びこれを有する濾過装置
KR20170020575A (ko) * 2015-08-12 2017-02-23 코웨이 주식회사 양흡입 구조의 공기청정기
KR101776913B1 (ko) * 2016-03-14 2017-09-08 (주)쓰리에이씨 3d 탈취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4156A (zh) * 2020-06-08 2021-12-24 中央牌家电有限公司 采用筒状滤材的新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234B1 (ko) 2022-12-28
WO2019059542A3 (ko) 2019-05-09
WO2019059542A2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9284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CN108291728B (zh) 空气净化器
KR20060068666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KR20070101056A (ko) 사이클론 및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KR102325490B1 (ko) 공기의 상향 이동 방식에 의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정화효율이 향상되며 가습과 플라즈마 살균 기능을 구비하여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살균 청정기
CN105455738A (zh) 吸尘器
AU2016380597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106091062A (zh) 吸油烟机
KR20190032045A (ko)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N105485784A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KR102032401B1 (ko) 공기청정기
KR20180056988A (ko) 공기청정기
KR102569244B1 (ko)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
KR20220115903A (ko) 공기청정기
CN111032189A (zh) 过滤器装配件和具有过滤器装配件的空气净化器
KR102546344B1 (ko) 공기청정기
CN209865587U (zh) 空气净化器
KR20210132893A (ko) 공기 청정기
CN112789098A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08193889U (zh) 一种气旋孔阵过滤装置
KR102180324B1 (ko)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CN211069325U (zh) 一种风沙环境使用的螺旋除尘设备
KR102430002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저
CN111437669A (zh) 空气净化器
KR102041303B1 (ko) 에어클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