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24B1 -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 Google Patents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24B1
KR102180324B1 KR1020190029881A KR20190029881A KR102180324B1 KR 102180324 B1 KR102180324 B1 KR 102180324B1 KR 1020190029881 A KR1020190029881 A KR 1020190029881A KR 20190029881 A KR20190029881 A KR 20190029881A KR 102180324 B1 KR102180324 B1 KR 10218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gas
prefilter
filter
collec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970A (ko
Inventor
남상환
김남훈
김종우
맹진수
박건수
육세진
임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르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기체를 전 방향에서 흡입할 수 있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거르개 장치에 사용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로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외부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의 거르개본체(700)와;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분리된 미세입자를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 후 저장하는 집진부(800)를 포함하며, 거르개본체(700)는, 평면 상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710)에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형성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Cyclone type forward directional filte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르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기체를 전 방향에서 흡입할 수 있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에는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 먼지 등과 같은 미세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물질은 질병을 일으키거나 다른 사람에 질병을 옮길 수 있어 연구의 대상이 되며, 사람이 붐비는 실내 공간에서는 미세물질을 걸러내야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 또는 환기 장치에 사이클론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대기 중 미세물질을 걸러내는 형태를 취했으나, 필터의 경우 먼지가 대량으로 쌓이게 되면 압력 부하가 증가하거나 흡입유량이 변하는 등의 성능 변화를 초래하며, 사이클론의 경우 먼지통이 가득차면 먼지통을 비워주는 형태의 주기적인 유지 보수행위가 동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이클론 내부로 기체를 유입하는 일 형태로서 사이클론 내부 직경의 접선방향으로 기체를 유입하는 접선 유입식 사이클론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접선방향으로의 기체 유입을 위하여 유입구의 방향이 특정방향으로 고정되어 전 방향에서의 유동 흡입이 불가능하고, 흡입위치에서 높은 압력 부하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외부기체가 유입되는 흡입부분이 돌출되어 관 중간에 설치되는 접선 유입식 사이클론의 특성상 시스템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 방향에서 기체의 흡입이 가능하며, 간소화된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거르개 장치에 사용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로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외부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의 거르개본체(700)와; 상기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분리된 상기 미세입자를 포집용액을 통해 흡착 후 저장하는 집진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평면 상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710)에 상기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형성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를 개시한다.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상기 외부기체의 전 방향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기체흡입구(720)들이 측면(710)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상기 기체흡입구(720)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기체가 내부 직경에 접선방향으로 흡입되어 회전기류를 형성하도록, 측면(7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712, 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8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집진챔버(810)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을 따라서 상기 미세입자가 집진되는 집진공간(S1)과, 상기 거르개본체(700)를 통해 상기 미세입자가 원심 분리된 기체의 유로공간(S2)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820)는, 상기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분(821)과, 상기 돌출부분(821)으로부터 상기 집진챔버(810)의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분리부분(8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공간(S1)은, 흡착된 상기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포집용액(ℓ)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거르개본체(700) 및 상기 집진부(800)는, 서로 연결되는 결합부분이 플랜지(10)이며, 상기 플랜지(10)에 설치되는 클램프(600)를 통해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600)는, 접촉한 양 플랜지(10)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플랜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몸체(610)와, 상기 클램프몸체(610) 양단의 나사홈에 볼트결합되어 클램프몸체(610)를 플랜지(10)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클램프나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와; 상기 전치거르개에 공급되는 상기 포집용액(ℓ)을 저장하는 포집용액저장부(300)와; 상기 전치거르개 내부로 외부 기체를 흡입하며,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상기 포집용액(ℓ)이 저장되는 저장챔버(310)와, 상기 저장챔버(310)와 상기 집진부(800) 사이에서 상기 포집용액(ℓ)을 교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결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320)는, 상기 집진부(800)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포집용액(ℓ)을 공급하는 공급유로(321)와, 상기 집진부(8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미세입자가 흡착된 포집용액(ℓ)을 배출하는 배출유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용액(ℓ)은, 상기 공급유로(321)와 상기 배출유로(322)를 통해 상기 저장챔버(310)와 상기 집진부(800) 사이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순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는, 액상 포집을 적용한 사이클론으로서 크기 선별적 미세입자 거르개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는, 액상 포집을 위해 사용되는 포집 용액을 재순환 또는 교환할 수 있는 형태로 운용 가능함으로써 주기적인 유지, 보수행위 없이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는, 최상단에 전 방향 전치 거르개가 설치됨으로써,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를 전 방향에서 유입할 수 있어 대용량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는, 전 방향에서 기체를 고르게 흡입할 수 있어 일 방향에서의 기체 흡입 시와 비교할 때 낮은 압력 부하로 기체 흡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는, 부가적인 유입구 구성 또는 부재의 설치없이, 관의 외벽에 기체 유입구를 형성함으로써 관 외측으로 부재의 돌출이 없어 작은 부피로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의 관 형태에 쉽게 설치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가 포함된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의 내부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의 지지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 중 가이드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의 미세입자 크기 선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로서, 도 6a는, 단층구조의 미세입자 크기에 따른 선별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b는, 도 1에 따른 다층구조의 미세입자 크기에 따른 선별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의 내부모습을 보여주는 Ⅱ-Ⅱ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의 거르개본체 모습을 보여주는 Ⅲ-Ⅲ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의 원심분리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1는, 도 7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의 미세입자 크기범위에 따른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거르개 장치에 사용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로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외부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의 거르개본체(700)와; 상기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분리된 상기 미세입자를 포집용액을 통해 흡착 후 저장하는 집진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평면 상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710)에 상기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가 사용되는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제1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하는 전치거르개(100)와; 상기 전치거르개(1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전치거르개(100)를 통해 상기 제1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분리된 기체로부터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추가로 원심 분리하여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하는 사이클론유닛(200)과; 상기 전치거르개(100) 및 상기 사이클론유닛(200)에 공급되는 상기 포집용액(ℓ)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집용액저장부(300)와; 상기 전치거르개(100) 및 상기 사이클론유닛(200) 내부로 외부 기체를 흡입하며,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유닛(200) 하단에 설치되어, 사이클론유닛(200)을 통과한 기체에 포함되는 미세입자를 추가로 걸러내는 필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유닛(200)과 구동제어부(400)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지지본체(930)와, 일단이 지지본체(9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다리(920)들을 포함하는 지지부(90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입자는, 기체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미세먼지, 바이러스 또는 부유 세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등 특정 크기를 가지고 기체에 포함된 입자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미세입자는 최근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크기에 따라 분리되어 연구될 수 있다.
상기 전치거르개(100)는,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제1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전치거르개(100)는, 원통형으로서, 흡입되는 외부 기체가 내부 직경에 접선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크기범위는, 대체로 10㎛ 이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전치거르개(100)는, 외부 기체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치거르개(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사이클론유닛(200)은, 전치거르개(1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전치거르개(100)를 통해 제1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분리된 기체로부터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추가로 원심 분리하여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사이클론유닛(200)은, 전술한 제1크기범위와는 다른 범위인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분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 ~10㎛ 수준의 미세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사이클론유닛(200)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전치거르개(100)와 함께 단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특정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만을 따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이클론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거르개(10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사이클론(210)과, 사이클론(210) 하단에 배치되어 사이클론(210)을 통해 원심 분리된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하는 흡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210)은, 유입되는 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사이클론(210)은, 상단에 기체유입구(211) 및 하단에 기체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사이클론챔버(213)와, 사이클론챔버(213)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가이드 베인(214)들이 형성되어 기체유입구(211)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가이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클론챔버(213)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챔버로서, 상단에 전치거르개(100)를 통해 제1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제거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211)가 형성되고, 하단에 원심 분리된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5)는, 사이클론챔버(2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이크론챔버(213)의 내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215)는, 사이클론챔버(213)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이클론챔버(213)의 가상의 축을 동축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가이드베인(2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클론챔버(213)의 상단에 형성되는 기체유입구(211)를 통해 수직으로 유입되는 기체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베인(214)들을 통과함으로써 회전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215)는, 기체유입구(211)를 통해 사이클론챔버(2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가 가장자리로 퍼져 가이드베인(214)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이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원뿔형상일 수 있다.
상기 흡착부(220)는, 사이클론(210) 하단에 배치되어 사이클론(210)을 통해 원심 분리된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흡착부(220)는, 사이클론챔버(213)의 하단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흡착챔버(221)와, 흡착챔버(221)의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내부에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제거된 기체를 배출하는 기체배출유로(S3)와, 외벽과 흡착챔버(221)의 내벽 사이에 분리된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흡착되는 흡착공간(S4)을 각각 형성하는 배출파이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챔버(221)는, 사이클론챔버(213)의 하단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챔버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착챔버(221)는, 내부공간이 원뿔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부(221a)와, 상기 경사부(221a)의 끝단에서 내경이 증가하여 흡착공간(S4)이 형성되도록 하는 확장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착챔버(22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포집용액(ℓ)에 흡착된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들이 경사부(221a)를 타고 흘러내려 흡착공간(S4)으로 일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21b)는, 경사부(221a)의 끝단에서 흡착챔버(221)의 내경이 증가하는 부분으로서, 이를 통해 배출파이프(222)의 외벽과의 사이에서 흡착공간(S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파이프(222)는, 기체배출유로(S3)와 흡착공간(S4)이 각각 형성되도록 흡착챔버(221)의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파이프(222)는, 내부에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제거된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유로(S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흡착챔버(221)의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제거된 기체가 기체배출유로(S3)를 통해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배출파이프(222)는, 흡착챔버(221)의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외벽과 흡착챔버(221)의 내벽 사이에 분리된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흡착되며,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흡착공간(S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이클론(210)을 통해 회전기류가 형성되는 기체는 원심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는 흡착챔버(221)의 내부공간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기체는 흡착챔버(221)의 내부공간 중심부에 위치하므로, 미세입자가 제거된 기체는 배출파이프(222) 내부의 기체배출유로(S3)를 통해 전달되며, 제2크기범위의 미세입자는 흡착공간(S4)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파이프(222)의 내경의 크기를 통해 분리되는 미세입자의 크기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배출파이프(222)의 내경의 크기를 작게하여, 흡착챔버(221)의 내벽과 배출파이프(222)의 외벽 사이의 거리를 크게할수록 분리되는 미세입자의 크기범위가 넓어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입자까지 분리할 수 있으며, 배출파이프(222)의 내경의 크기를 크게하여, 흡착챔버(221)의 내벽과 배출파이프(222)의 외벽 사이의 거리를 작게할수록 분리되는 미세입자의 크기범위는 좁아져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는, 사이클론유닛(200)이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사이클론유닛(200)들이 직렬로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각각 다른 크기범위의 미세입자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분리하는 복수개의 사이클론유닛(200)들이 직렬로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기체가 복수개의 연속하여 직렬연결된 사이클론유닛(200)들을 통과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들이 순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클론유닛(200)들 내부의 배출파이프(222)들의 내경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각 단에서 분리하는 미세입자의 크기범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내경(D1)의 배출파이프(222)를 가지는 사이클론유닛(200) 하단에 제2내경(D2)의 배출파이프(222)를 가지는 사이클론유닛(200)을 설치함으로써, 다단구조를 이루고, 서로다른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전치거르개(100) 및 사이클론유닛(200)에 공급되는 포집용액(ℓ)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미세입자의 포집을 위해 사용되는 포집용액(ℓ)을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사용된 포집용액(ℓ)을 외부로 배출하며, 전치거르개(100) 및 사이클론유닛(200)과 포집용액(ℓ)을 주고받음으로써 포집용액(ℓ)이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포집용액(ℓ)이 저장되는 저장챔버(310)와, 저장챔버(310)와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 사이에서 포집용액(ℓ)을 교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결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저장챔버(31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포집용액(ℓ)을 공급 받거나, 사용된 포집용액(ℓ)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유로(3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챔버(31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포집용액(ℓ)이 저장되거나,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으로부터 사용된 포집용액(ℓ)이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챔버(310)는, 연결유로(320)를 통해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과 연통할 수 있으며, 장치 측면에 연결유로(320)를 통해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챔버(31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에 공급되기 전의 사용 전 포집용액(ℓ)이 저장되는 제1저장챔버(311)와,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 내에 공급되어 미세입자의 포집에 사용됨으로써 미세입자가 포집된 포집용액(ℓ)이 저장되는 제2저장챔버(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챔버(310)는,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 내에 공급되어 미세입자가 포집된 포집용액(ℓ)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제1저장챔버(311) 및 제2저장챔버(312) 사이에 포집용액(ℓ)의 순환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320)는, 저장챔버(310)와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 사이에서 포집용액(ℓ)을 교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유로(320)는,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 내부공간으로 포집용액(ℓ)을 공급하는 공급유로(321)와, 전치거르개(100) 또는 사이클론유닛(200) 내부공간으로부터 미세입자가 흡착된 포집용액(ℓ)을 배출하는 배출유로(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로(320)는, 사이클론유닛(200)과 포집용액(ℓ)을 주고 받기 위하여, 흡착챔버(221)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급유로(321)는, 사이클론(210)을 통해 흡착챔버(221)의 내부공간 중 가장자리에서 회전하는 미세입자에 포집용액(ℓ)이 분사되도록 흡착챔버(221)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322)는, 흡착공간(S4)과 연통되어 흡착공간(S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미세입자가 포집된 포집용액(ℓ)이 저장챔버(31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유로(322)는 흡착챔버(221)와 저장챔버(3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흡착공간(S4)과 배출유로(322) 사이에 연장유로(32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공급유로(321) 및 상기 배출유로(322) 모두 흡착공간(S4)과 연통되어, 흡착공간(S4)에 일정량의 포집용액(ℓ)이 저장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이클론(210)을 통해 원심 분리된 미세입자들이 흡착공간(S4)에서 포집용액(ℓ)에 의해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유로(330)는, 저장챔버(310)에 연결되어, 사용한 포집용액(ℓ)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새로운 포집용액(ℓ)을 공급받는 유로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효과적인 포집용액(ℓ)의 공급과, 특정 크기범위의 미세입자가 포집된 포집용액(ℓ)만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입자를 분리하여 흡착하는 각 단에 각각 한개씩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전치거르개(100) 및 사이클론유닛(200)에 각각 한개씩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사이클론유닛(200)들이 직렬로 배치되어 설치된 경우, 각 사이클론유닛(200)들에 대응되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1개의 저장챔버(310)에 복수개의 연결유로(320)를 통해 포집용액(ℓ)을 공급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구동제어부(400)는, 전치거르개(100) 및 사이클론유닛(200) 내부로 외부 기체를 흡입하며,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제어부(400)는, 사이클론유닛(200)의 하단에 배치되는 챔버(430)와, 챔버(43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도록 전치거르개(100) 및 사이클론유닛(200) 내부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구동모터(440)와, 구동모터(440)의 제어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흡입되는 외부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420)와, 챔버(430) 측면에서 작동을 조작하거나, 작동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조작디스플레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430)는, 사이클론유닛(200)의 하단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챔버(430)는, 사이클론유닛(20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구성일 수 있으며, 사이클론유닛(200)과 접촉결합되는 상단이 용이한 고정결합을 위하여 플랜지(10)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40)는, 챔버(43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모터(440)는, 내부공간의 압력조절을 통해, 외부 기체의 흡입 뿐만아니라, 흡입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40)는, 외부 기체를 내부공간으로 흡입하며, 그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20)는, 구동모터(440)를 제어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흡입되는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20)는, 조작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값을 전달받아, 구동모터(4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포집용액(ℓ)의 저장챔버(310) 내부 및 흡착공간(S4)에서의 잔량을 토대로 포집용액저장부(300)를 제어함으로써, 포집용액(ℓ)이 순환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흡착공간(S4) 및 저장챔버(310) 내부에 포집용액(ℓ)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레벨센서, 압력센서 등 잔량수집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포집용액(ℓ)의 자동순환 시스템이 적용되어, 포집용액(ℓ)의 잔량을 사용자가 파악하여 주기적으로 보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주기적인 유지 및 보수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작디스플레이부(410)는, 사용자가 제어부(420)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원하는 유량의 기체흡입을 조절하는 조작부(412)와, 챔버(4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장치의 현재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사이클론유닛(2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사이클론유닛(200)을 통과한 기체에 포함되는 미세입자를 추가로 걸러내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500)는, 사이클론유닛(200)과 구동제어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사이클론유닛(200)을 통과한 기체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미세입자를 추가로 걸러낼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미세입자를 걸러내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900)는, 전치거르개(100), 사이클론유닛(200) 및 구동제어부(400) 등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900)는, 사이클론유닛(200)과 구동제어부(400)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지지본체(930)와, 일단이 지지본체(9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다리(9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900)는, 지지다리(920)들이 지지본체(930)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본체(930)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3개의 힌지부(9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930)는, 사이클론유닛(200)과 구동제어부(400) 사이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지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다리(920)를 통해 장치가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920)들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각 지지다리(920)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910)는, 지지본체(93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지지다리(920)들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구비되어, 지지다리(920)와 지지본체(930)가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다리(920)들의 결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는, 전치거르개(100), 사이클론유닛(200) 및 구동제어부(400)가 서로 연결되는 결합부분이 플랜지(10)이며, 플랜지(10)에 설치되는 클램프(600)를 통해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치거르개(100)의 하단, 사이클론유닛(200)의 양단, 구동제어부(400)의 상단은 플랜지(10)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지지본체(930)의 양단이 플랜지(10)로 구성되어 서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다단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클램프(600)는, 서로 접촉하는 플랜지(10)를 고정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600)는, 접촉한 양 플랜지(10)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플랜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몸체(610)와, 상기 클램프몸체(610) 양단의 나사홈에 볼트결합되어 클램프몸체(610)를 플랜지(10)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클램프나사(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는,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를 포함하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외부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의 거르개본체(700)와; 상기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분리된 상기 미세입자를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 후 저장하는 집진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평면 상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측면(710)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회전기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관, 사이클론장치 등의 기체흡입구에 설치되어, 최초로 흡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큰 크기범위의 미세입자를 우선 분리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외부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의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배관, 파이프, 기타 기체 흡입장치 등에 결합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평면 상 돌출부분이 없어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장치의 변형없이 결합 설치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평면 상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7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되며 하단에 플랜지(1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집진부(800) 상단의 플랜지(10)와 고정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측면(710)에 구멍 또는 홈을 내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흡입구(720)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기체가 내부 직경에 접선방향으로 흡입되어 회전기류를 형성하도록, 측면(7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712, 7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원심 분리를 위하여, 측면(710)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기체가 내부 직경에 접선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측면(710)의 외벽부(711)로부터 내부 직경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는 가이드홈(712, 7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712, 713)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기체는 흡입경로로 인해 내부 직경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외부기체의 전 방향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기체흡입구(720)들이 측면(710)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체흡입구(720)들이 측면(710)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의 거르개본체(700)의 전 방향에서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710)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기체흡입구(720)들은, 각각의 가이드홈(712, 713)이 동일한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서 외부 기체가 회전기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800)는,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분리된 미세입자를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 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집진부(8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집진챔버(810)와; 내부공간을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을 따라서 미세입자가 집진되는 집진공간(S1)과, 거르개본체(700)를 통해 미세입자가 원심 분리된 기체의 유로공간(S2)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챔버(8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집진챔버(810)는, 양단에 플랜지(10)가 형성되며, 특히 상단 플랜지(10)의 경우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된 플랜지(10)와 접촉하여 클램프(600)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집진챔버(810)는,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집진부(800)와 거르개본체(700)는 하나의 몸체로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분리부(820)는, 미세입자가 집진되는 집진공간(S1)과, 미세입자가 원심 분리된 기체의 유로공간(S2)을 분리하기 위하여,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부(820)는,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분(821)과, 돌출부분(821)으로부터 집진챔버(810)의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분리부분(8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분(821)은, 집진챔버(8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집진챔버(810)의 내벽과 분리부(820)의 외벽 사이에 원심 분리된 미세입자가 집진되는 집진공간(S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분(822)은, 돌출부분(821)으로부터 집진챔버(810)의 축방향 상단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공간을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을 따라서 미세입자가 집진되는 집진공간(S1)과, 거르개본체(700)를 통해 미세입자가 원심 분리된 기체의 유로공간(S2)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리부분(822)은, 외경을 조절함으로써 분리되는 미세입자의 크기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집진공간(S1)은, 거르개본체(700)를 통해 원심 분리된 미세입자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집진공간(S1)은, 흡착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포집용액(ℓ)이 일시적으로 저장됨으로써, 미세입자가 포집용액(ℓ)에 포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전치거르개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급유로(321)가 거르개본체(7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배출유로(322)가 집진부(800) 집진공간(S1)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급유로(321)를 통해 거르개본체(700)에 분사되는 포집용액(ℓ)이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으며, 포집된 미세입자는 포집용액(ℓ)과 함께 집진공간(S1)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집진공간(S1)에 일정이상의 포집용액(ℓ)과 포집된 미세입자가 저장된 경우, 배출유로(322)를 개방함으로써 포집용액저장부(300)로 포집용액(ℓ)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거르개본체(700) 및 집진부(800)는 서로 연결되는 결합부분이 플랜지(10)이며, 플랜지(10)에 설치되는 클램프(600)를 통해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전치거르개 200: 사이클론유닛
300: 포집용액저장부 400: 구동제어부
500: 필터 600: 클램프
700: 거르개본체 800: 집진부
900: 지지부

Claims (12)

  1.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된 기체에 함유된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거르개 장치에 사용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로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외부기체에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의 거르개본체(700)와;
    상기 거르개본체(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분리된 상기 미세입자를 포집용액(ℓ)을 통해 흡착 후 저장하는 집진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평면 상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710)에 상기 외부기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흡입구(720)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부(8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집진챔버(810)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을 따라서 상기 미세입자가 집진되는 집진공간(S1)과, 상기 거르개본체(700)를 통해 상기 미세입자가 원심 분리된 기체의 유로공간(S2)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부(820)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820)는,
    상기 집진챔버(810)의 내벽(8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분(821)과, 상기 돌출부분(821)으로부터 상기 집진챔버(810)의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분리부분(8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상기 외부기체의 전 방향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기체흡입구(720)들이 측면(710)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르개본체(700)는,
    상기 기체흡입구(720)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기체가 내부 직경에 접선방향으로 흡입되어 회전기류를 형성하도록, 측면(7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712, 7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공간(S1)은,
    흡착된 상기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포집용액(ℓ)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르개본체(700) 및 상기 집진부(800)는,
    서로 연결되는 결합부분이 플랜지(10)이며, 상기 플랜지(10)에 설치되는 클램프(600)를 통해 서로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600)는, 접촉한 양 플랜지(10)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플랜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몸체(610)와, 상기 클램프몸체(610) 양단의 나사홈에 볼트결합되어 클램프몸체(610)를 플랜지(10)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클램프나사(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와;
    상기 전치거르개에 공급되는 상기 포집용액(ℓ)을 저장하는 포집용액저장부(300)와;
    상기 전치거르개 내부로 외부 기체를 흡입하며,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르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액저장부(300)는,
    상기 포집용액(ℓ)이 저장되는 저장챔버(310)와, 상기 저장챔버(310)와 상기 집진부(800) 사이에서 상기 포집용액(ℓ)을 교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결유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르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320)는,
    상기 집진부(800)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포집용액(ℓ)을 공급하는 공급유로(321)와, 상기 집진부(8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미세입자가 흡착된 포집용액(ℓ)을 배출하는 배출유로(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르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액(ℓ)은,
    상기 공급유로(321)와 상기 배출유로(322)를 통해 상기 저장챔버(310)와 상기 집진부(800) 사이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르개장치.
KR1020190029881A 2019-03-15 2019-03-15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KR10218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81A KR102180324B1 (ko) 2019-03-15 2019-03-15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81A KR102180324B1 (ko) 2019-03-15 2019-03-15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70A KR20200109970A (ko) 2020-09-23
KR102180324B1 true KR102180324B1 (ko) 2020-11-18

Family

ID=7270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81A KR102180324B1 (ko) 2019-03-15 2019-03-15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91B1 (ko) * 2007-12-03 201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입자 포집 장치 및 방법
JP2016064350A (ja) * 2014-09-24 2016-04-2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濾過装置用ハウジング及び濾過装置
KR101699904B1 (ko) * 2016-05-25 2017-01-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848A (ko) * 2006-11-19 2007-01-04 윤장식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91B1 (ko) * 2007-12-03 201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입자 포집 장치 및 방법
JP2016064350A (ja) * 2014-09-24 2016-04-2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濾過装置用ハウジング及び濾過装置
KR101699904B1 (ko) * 2016-05-25 2017-01-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70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9120B2 (en) Vacuum cleaner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US20070234691A1 (en) Cyclone and cyclone air purifier and method of air purification thereof
CN101909501B (zh) 一种真空吸尘器的旋风式分离器
US20060230724A1 (en) 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20180242804A1 (en) Dust-removal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175695A (ja) 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
US20080155948A1 (en)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KR20060068666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GB2424606A (en) Cyclonic dust-separating apparatus
KR102180323B1 (ko)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
KR101286614B1 (ko) 다중 포집 타입의 멀티 사이클론 및 필터 혼합 일체형 집진기
KR20070069777A (ko)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CN101282674A (zh) 用于真空吸尘器的灰尘收集装置
CN105043052A (zh) 分离式气流干燥釜
IL271620B (en) Centrifugal gas separator
KR102180324B1 (ko) 사이클론형 전 방향 전치거르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거르개장치
KR102309309B1 (ko) 청소기
KR2007004279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100371085C (zh) 旋风分离装置
EP1676518A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4132441A1 (ja) 排気フィルタ
KR20210131296A (ko) 청소기
KR101774103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482234B1 (ko)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