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437A -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437A
KR20190031437A KR1020187035007A KR20187035007A KR20190031437A KR 20190031437 A KR20190031437 A KR 20190031437A KR 1020187035007 A KR1020187035007 A KR 1020187035007A KR 20187035007 A KR20187035007 A KR 20187035007A KR 20190031437 A KR20190031437 A KR 20190031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base station
communication protocol
activation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249B1 (ko
Inventor
다비드 카스탈디니
파올로 롬바르도
로베르토 브루니
Original Assignee
마포스 쏘시에타 페르 아지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포스 쏘시에타 페르 아지오니 filed Critical 마포스 쏘시에타 페르 아지오니
Priority to KR102023700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814A/ko
Publication of KR2019003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21/047Accessories, e.g. for positioning, for tool-setting, for measu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기지국(7)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의 프로브에 의한 자가 인식 방법이 개시되며, 프로브(4)는 각각의 활성화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에뮬레이트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활성화 절차는 기지국이 프로브를 활성화시켜 검사 사이클을 수행하게 한다. 방법에 따르면, 프로브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5, 15, 16)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커맨드의 결과로, 프로브는 모든 활성화 절차가 시도되고 어떤 활성화 절차가 긍정적으로 완료되는지가 식별되는 검색 상태(100-105)로 설정된다. 그 다음, 프로브는 식별된 활성화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작동 상태(201-205)로 스위칭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절차는 미리 결정된 수(N)의 긍정적 결론이 발생한 후에 식별된다.

Description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base station)과 통신하는데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의 프로브에 의한 식별 또는 자가 인식(self-recognition)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계 부속(mechanical piece)의 위치 및/또는 치수를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접촉 프로브(touch probe)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설명은 일반성을 잃지 않고 명시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접촉 프로브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기계 부속의 위치 및/또는 치수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각의 프로브는 기계 부품과 접촉시 편향되도록 적응된 가동 아암과,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아암을 편향시킴으로써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 및 이러한 전기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기 수단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정보를 처리하여 기계 부속에 대해 원하는 검사를 수행한다.
본질적으로 비용상의 이유로, 현장에서 가능한 전형적인 사용 시나리오는 서로 같은 곳에 있으면서 동일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상이한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유형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실제로, 기지국은 검사 대상의 기계 부속이 놓여있는 기계에 고정되어 있고, 교체하는 것이 더 비싼 반면에, 프로브는 이동성이고 더 빈번하게 교체된다. 이를 위해, 일부 프로브는 특정 기술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에뮬레이트(emulate)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처음 사용하기 전에 특정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각각의 프로브의 초기 구성에는, 예를 들어, 적합한 기계 커맨드 또는 딥-스위치(dip switch)에 따라 작동시킴으로써, 또는 특정 프로그래밍 사이클에 따라 아암을 적절히 편향시킴으로써, 또는 최신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전용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사용자의 특정 개입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개입은, 예를 들어, 최신 기지국의 특정 사용에 관한 특화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흔히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결점이 없으며, 동시에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저렴한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프로브에 의한, 기지국과 통신하는데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의 식별 또는 자가 인식을 위한 방법, 및 기계 부속의 위치 및/또는 치수를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용 프로브를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은 제한적이지 않는 예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 도 1은 기계 부속의 위치 및/또는 치수를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식적인 방식으로 도시하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프로브를 포함한다.
- 도 2는 도 1의 프로브의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도 2의 프로브의 작동에 관련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 도 4는 도 3의 다이어그램의 상태 중 일부 상태에서 도 2의 프로브의 동작에 관련한 시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 도 5는 도 3의 다이어그램의 상태 중 일부 상태에서 도 2의 프로브의 작동에 관련한 의사 결정 트리 다이어그램(decision tree diagram)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은 기계 부속(2)을 기계 가공하기 위한 기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참조 번호 3은 기계(1) 상에 설치되어 기계(1)에 놓인 기계 부속(2)의 위치 및/또는 치수를 검사하는 검사 시스템을 나타낸다. 검사 시스템(3)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프로브(4)를 포함하고, 접촉 프로브(4)는 필러(5')를 운반하는 가동 아암(5) 및 필러(5')와 기계 부속(2) 간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도 2에서 참조 번호 14로 표시된, 트랜스듀서 또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프로브(5)는 기계 부품(2)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슬라이드(6)에 의해 기계(1) 상에 장착된다. 검사 시스템(3)은 기계(1)에 고정되는, 특히, 기계(1)의 베이스에 고정되는 기지국(7)을 또한 포함하고, 기계(1)의 수치 제어 유닛(8)과 인터페이스되며, 특히 광학 신호의 송신 및 수신, 바람직하게는 특정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진폭 변조된 적외선의 송신 및 수신에 기초하는 미리 설정된 원격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7)과 프로브(4) 간의 통신은 전형적으로 무선 통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브(4)는 수백 kHz에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에 의해 변조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9), 고주파 변조된 적외선 신호, 즉, 350 내지 570 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된 제 1 수신기(10) 및 저주파 변조된 적외선 신호, 즉, 7 내지 15 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된 제 2 수신기(11)를 포함하는 광학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두 개의 별개의 수신기의 존재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적합하게 구성 가능한 단일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브(4)는, 예를 들어, 서로 협동하는 그리고 프로브(4)가 본래 공지된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에뮬레이트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송신기(9) 및 수신기(10 및 1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컨트롤러(12) 및 FPGA 디바이스(13)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및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러한 프로토콜은 프로브(4)에 선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기지국(7)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 각각은 기지국(7)이 프로브(4)를 활성화시켜 기계 부속(2)의 검사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활성화 절차를 갖고 있다.
프로브(4)에 의해 에뮬레이트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본래 공지된 두 개의 상이한 유형의 활성화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카테고리로 분리된다. 제 1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의 활성화 절차 또는 제 1 활성화 절차는 다음과 같다: 프로브(4)는 주기적으로 각각의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상이한 물리적 및 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하고, 기지국(7)은, 프로브(4)를 활성화시켜 검사 사이클을 수행하고자 할 때, 활성화 신호로 특정 채널상의 비콘 신호에 응답한다. 제 2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의 활성화 절차 또는 제 2 활성화 절차는 다음과 같다: 기지국(7)은, 프로브를 활성화시켜 검사 사이클을 수행하고자 할 때, 각각의 활성화 신호를 직접 송신한다. 활성화 신호는 하나 이상의 변조된 적외선 신호 버스트로 구성되고, 변조 주파수 및 신호의 신호 버스트(들)의 길이는 미리 결정된다. 제 2 카테고리의 프로토콜은 몇몇 프로토콜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각 그룹은 신호의 특정 변조 주파수로 특징 지어지며 신호 버스트의 특정 시퀀스에 대해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시퀀스는 또한 하나의 버스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 1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다수의 물리 및 논리 채널을 통한 고주파 변조 신호, 즉, 350 내지 570 kHz를 갖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으로 특징 지어지는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계속하여, 예를 들면, 제 2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베이스밴드 신호, 즉 실질적으로 변조되지 않은 특정 길이의 펄스로 구성된 신호인 베이스밴드 신호의 송신 및 저주파 변조 신호, 즉, 10 내지 11.9 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수신으로 특징 지어지는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스위치(14)는 아암(5)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도 2에 도시된 위치인 휴지 위치(rest position)를 기준으로 아암(5)의 편향을 검출하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12)와 인터페이스된다. 아암(5)이 편향될 때, 프로브(4)의 하우징에 대해 도 2에서 DF로 표시된 변위가 일어난다. 프로브(4)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 배터리(16) 및 프로브(4)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LED(17)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격실(15)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프로브(4)의 구조는 먼지 및 액체의 침투에 대비하여 높은 보호 정도를 보장하는 그런 구조이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브(4)와 사용자 사이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는 최소화된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프로브(4)는 어떤 전원 버튼도 갖고 있지 않다: 프로브는 - 일반적으로는 낮추어진 전력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 있다가 - 배터리(16)가 격실(15)에 삽입되자마자 턴 온된다. 따라서, 사용자와 프로브(4) 사이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격실(15), 아암(5) 및 LED(17)를 포함한다.
정상적으로, 프로브(4)는 제조자에 의해 선택된 디폴트 프로토콜(모든 프로브는 기본 구성으로 생성된다 - 전형적으로, 프로브(4)는 제 1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프로그램되었거나 현장에서 구성된 프로토콜일 수 있는 특정의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턴 온될 때, 프로브(4)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대기 상태로부터 완전한 작동 상태로 이동시키는 신호인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기지국(7)은 프로브(4)에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3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커맨드, 특히 도 3에서 (TRIG)로 표시된 특정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프로브(4)를 초기 검색 상태(100)로 설정하며, 초기 검색 상태에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활성화 절차가 시도되고 활성화 절차 중 어떤 절차가 긍정적으로 완료되었는지가 식별된다. 검출되는 특정 이벤트(TRIG)는, 예를 들어, 아암(5)의 편향과 동시에 배터리(16)를 격실(15)에 삽입할 때로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 절차 중 어느 하나라도 긍정적으로 종료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프로브(4)(도 3의 (111, 112, 113, 114, 115로 표시된 전이)를, 긍정적으로 종료된 활성화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101, 102, 103, 104, 105로 표시된 상급 검색 상태로 스위칭한다. 상급 검색 상태(101-105)의 수는 실제로 프로브(4)에 의해 에뮬레이트된 통신 프로토콜의 수와 동일하며, 도 3의 예에서는 5이다.
더욱이, 각각의 상급 검색 상태(101-105)에서, 프로브(4)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모든 활성화 절차 중 어느 것이 긍정적으로 종료하는지 및 이들 중 긍정적으로 종료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브(4)에 의해 모든 활성화 절차가 시도된다. 각각의 상급 검색 상태(101-105)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그 특정 활성화 절차의 긍정적 결론을 카운트하고 카운트가 미리 결정된 수(N)에 도달하자마자,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프로브(4)(전이 또는 전환(211, 212, 213, 241, 251))를, 그러한 활성화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각각의 작동 상태(201, 202, 203, 204, 205)로 스위칭한다. 작동 상태(201-205) 각각에서, 프로브(4)는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자체 검사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환(211-215)은 상대 활성화 절차(relative activation procedure)의 긍정적 결론의 수(N)가 연속적일 때 발생한다. 각각의 상급 검색 상태(101-105)에서, 다른 상급 검색 상태(101-105)와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 있는 활성화 절차의 성공적 결론이 발생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현재 상급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절차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중지하고 프로브(4)를 다른 상급 검색 상태로 스위칭한다(도 3에서 아무런 참조 번호로도 표시되지 않고 점선으로 표시된 전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수(N)는 3이다. 다른 미리 설정된 수(N)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활성화 절차의 긍정적 결론은 연속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절차 이후의 상대 활성화 절차의 긍정적 결론의 각각이 이전의 활성화 절차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T) 이내에 발생하면, 전환(211-215)의 각각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시간 간격(T)은 1 시간과 같다. 이전의 긍정적 결론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T)이 만료될 때, 긍정적 결론을 갖는 어떠한 새로운 활성화 절차도 발생하지 않으면, 프로브(4)는 디폴트 상태(300)로 스위칭된다. 특히, N이 3과 동일한 경우, 활성화 절차의 제 1의 성공적 결론으로부터 또는 제 2의 성공적인 결론으로부터 시간 간격(T)의 만료 시, 어떠한 새로운 활성화 절차도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다면,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프로브(4)로 하여금 그 시간에 있는 모든 검색 상태(100-105)에서 빠져 나오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프로브(4)(전이(301, 302, 303, 304, 305, 306)를 디폴트 상태(300)로 스위칭한다. 디폴트 상태(300)는, 예를 들어, 프로브(4)의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작동 상태 또는 프로브(4)가 초기 검색 상태(100)로 진입하기 이전에 설정된 작동 상태에 대응한다.
각각의 검색 상태(100-105)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도 4에 도시된 시분할 다중화 방식(time division multiplexing scheme)에 따라 송신기(9) 및 수신기(10, 11)를 제어하여, 프로브(4)에 의해 에뮬레이트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활성화 절차를 시도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제 1 쌍의 상태(101, 201)에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은 이전에 열거한 제 1 카테고리의 프로토콜에 속하고 A, B, C, D, E, F로 표시된 여섯 개의 통신 채널을 제공하며, 반면에 다른 네 쌍의 상태(102 및 202, 103 및 203, 104 및 204, 105 및 205)와 연관된 통신 프로토콜은 제 2 카테고리의 프로토콜에 속한다. 통신 채널(A-F)은, 예를 들어, 세 개의 물리 채널 및 각각의 물리 채널마다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색 상태(100-105)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 그러한 종류의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 한 번에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제 1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의 상이한 통신 채널(A-F) 상에서 송신기(9) 및 수신기(10)를 - 예를 들어, 이들을 활성화함으로써 - 선택하며, 송신 직후, 상대 활성화 절차의 성공적인 결론을 결정하는 가능한 활성화 신호(possible activation signal)를 응답으로 수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채널을 청취한다. 다시 말해서, 시분할 다중화는 제 1 카테고리의 프로토콜에 할당되고 기간(T2)이 반복되는 타임 슬롯(T1)을 제공하며, 타임 슬롯 내에서 송신기(9) 및 수신기(10)가 순차적이고 상보적인 방식으로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TX9)로 표시된 각각의 슬롯(T1)의 제 1 부분에서, 수신기(10)가 선택 해제되면서 송신기(9)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특정 채널상에서 선택되며, RX10으로 표시된 각각의 T1 슬롯의 제 2 부분에서, 송신기(9)가 선택 해제되면서, 특히 비활성화되면서, 수신기(10)가 특정 통신 채널상에서 선택된다.
시분할 다중화의 전체 길이(T3)는 기간(T2)과 통신 채널(A-F)의 수의 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시간 슬롯(T1)의 길이는 2 및 3 ms 이내이고, 기간(T2)은 실질적으로 100 ms과 동일하며, 따라서 길이(T3)는 실질적으로 600 ms와 동일하다.
비콘 신호의 두 번의 연속적인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에서, 즉 RX11로 표시되고 기간(T2)과 슬롯(T1) 간의 차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시간 간격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전술한 제 2 카테고리의 프로토콜에 속하는 다른 네 개의 통신 프로토콜 중 임의의 것에 관련된 가능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저주파 대역에서 청취하는 제 2 수신기(11)를 선택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수신기(1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활성화 신호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데, 즉 수신된 활성화 신호의 신호 버스트의 주파수 및 순서에 기초하여, 수신된 활성화 신호가 (수신기(11)에 의해 수신 가능한) 네 개의 프로토콜 중 어느 프로토콜에 속하는지를 식별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먼저 검출한 다음 모든 신호 버스트의 길이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수신기(11)와 협력하여 신호 버스트의 순서를 결정한다.
도 5는 활성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12)에 의해 구현된 트리 다이어그램을 간략화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기(11)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F)가 상기 네 개의 통신 프로토콜의 두 개의 가능한 주파수(F1, F2)와 비교된다(노드(400)). 주파수(F) 각각의 값에 대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버스트의 시퀀스(S)가 그 주파수상의 모든 신호 버스트의 시퀀스와 비교된다(노드(401, 402)). 주파수(F1) 상의 가능한 시퀀스는 S1a, S1b 및 S2로 표시되고, 주파수(F2) 상의 시퀀스는 S3 및 S4로 표시된다. 특히, 신호 버스트의 시퀀스들 간의 상기 비교는 시퀀스(S)의 신호 버스트의 길이와 가능한 시퀀스(S1a, S1b, S2, S3, S4)의 신호 버스트의 길이 간의 비교로 이루어진다.
도 5의 의사 결정 트리는 제거 프로세스에 의해 활성화 신호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활성화 신호를 식별하는 것은 상대 활성화 절차가 긍정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이며, 이에 따라 프로브(4)에 의해 에뮬레이트된 제 2 카테고리의 프로토콜에 속하는 프로토콜(P1-P4) 중에서 기지국(7)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한다.
도 5의 예에서, 프로토콜(P1)은 신호 버스트(S1a, S1b)의 두 개의 상이한 시퀀스에 의해 식별되는 두 개의 논리 채널(ch1A, ch1b)을 포함한다. 프로토콜(P4)은 송신기(9)에 의해 송신된 각각의 신호 버스트 시퀀스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사용될 논리 채널은 기지국(7)으로부터의 확인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마이크로컨트롤러(12)는 논리 채널(chx)을 식별하기 위해 송신기(9)가 시분할 방식에 따라 신호 버스트의 모든 가능한 시퀀스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블록(403)), 수신기(11)가 기지국(7)으로부터 확인 신호(R)를 대기하고 수신하도록 제어 한다(블록(404)).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절차는 프로브(4)가 통신 프로토콜의 예비 질의 및 선택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율적이며 자동적인 방식으로 기지국(7)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은 본래 공지된 하드웨어를 갖는 프로브(4)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맨드를 제공함으로써 프로브(4)를 검색 모드로 설정하는 가능성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한 명시적이고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한 커맨드는 아암(5)의 편향과 동시에 그의 격실(15)에 배터리(16)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한다. 그러나 이것은 검색 모드를 활성화하는 가능한 방법일 뿐이다. 검색 모드는 실제로, 예를 들어, 격실(15)에 배치된 특정 버튼 상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역극성을 갖는 배터리의 삽입 또는 아암의 편향의 적절한 시퀀스와 같은 단순한 이벤트를 동등하게 감지함으로써 상이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정지 시간을 피하기 위해, 프로브(4)는 프로브가 완전히 작동하는, 즉 활성화 절차 중 - 첫 절차를 비롯한 - 어느 절차라도 완료된 이후에 기계 부속(2)의 검사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프로브(4)는, 상급 검색 상태(101-105) 중 하나의 상태에 있을 때, 검사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다이어그램에 따라 정확하고 최종의 프로토콜을 검색하는 자가 인식의 방법은 - 상급 검색 상태(101-105)에 계속 머물고 있는 - 프로브(4)가 대기 상태로 복귀하자마자 계속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4)를 상급 검색 상태(101-105)로부터 작동 상태(201-205)로 이동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카운트된 미리 결정된 수(N)의 긍정적 활성화 결론은, 예를 들어, 3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자가 인식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해, 프로브(4)는 제 1 긍정적 결론이 검출되자마자 초기 검색 상태(100)로부터 작동 상태(201-205)로 바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브(4)는 특정 활성화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긍정적 결론의 검출 시 작동 상태(201-205)로 직접 스위칭될 수 있다.
새로운 특정 이벤트(TRIG)가 검출될 때 자가 인식 방법이 다시 시작된다.
전형적으로, 프로브(4)는 위에서 설명한 두 카테고리의 통신 프로토콜을 에뮬레이트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통신 프로토콜의 카테고리 중 하나, 즉 제 1 또는 제 2 카테고리만을 에뮬레이트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3)

  1.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base station)(7)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 상기 프로브(4)는 각각의 활성화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에뮬레이트(emulate)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및 프로세싱 디바이스(12, 13)를 포함하고, 각각의 활성화 절차는 상기 기지국(7)이 프로브(4)를 활성화시켜 검사 사이클을 수행하게 함 - 으로서,
    - 상기 프로브(4)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5, 15, 16)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커맨드(command)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프로브(4)를 검색 상태(100-105) - 상기 검색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절차가 시도됨 - 로 설정하는 단계,
    - 상기 활성화 절차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긍정적 결론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활성화 절차 중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로서 식별하는 단계, 및
    - 상기 프로브(4)를 상기 식별된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작동 상태(201-205)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절차 중 하나의 검출된 긍정적 결론의 미리 결정된 수(N)가 설정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긍정적 결론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N)는 3과 동일한,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N)의 상기 긍정적 결론은 서로 연속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는 상기 작동 상태(201-205)로 스위칭되고, 상기 작동 상태에서 제 1 활성화 절차 이후 상기 긍정적 결론의 각각이 이전의 긍정적 결론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T) 이내에 발생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T)이 상기 이전의 긍정적 결론으로부터 만료될 때, 긍정적 결론을 갖는 어떠한 새로운 활성화 절차도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브(4)를 디폴트 상태(300)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절차는 상기 프로브(4)가 상이한 통신 채널을 통해 각각의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7)이 활성화 신호로 상기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활성화 절차 및 상기 기지국(7)이 각각의 활성화 신호를 직접 송신하는 제 2 활성화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4)는 송신기(9), 제 1 수신기(10) 및 제 2 수신기(11)를 포함하고;
    상기 긍정적 결론을 갖는 상기 활성화 절차 중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는:
    - 시분할 방식에 따라, 주기적으로 순차적 및 상보적 방식으로 상기 송신기(9) 및 상기 제 1 수신기(10)를 상이한 통신 채널상에서 선택하여, 상기 제 1 절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한 다음 응답으로 상대 활성화 신호(relative activation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 및
    - 상기 비콘 신호의 두 번의 연속적인 송신 사이에서 경과하는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2 수신기(11)를 선택하여 상기 제 2 절차에 따라 상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차의 상기 활성화 신호는 미리 결정된 주파수 및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버스트를 포함하고;
    긍정적 결론을 갖는 상기 활성화 절차 중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는:
    - 상기 제 2 수신기(11)에 의해 수신된 상기 활성화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트의 주파수(F) 및 시퀀스(S)를 검출하는 단계; 및
    - 상기 검출된 주파수(F) 및 상기 검출된 시퀀스(S)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는 필러(5')를 운반하고 상기 필러(5')와 기계 부속(2) 사이의 접촉에 의해 편향되도록 적응된 가동 아암(5), 상기 아암(5)의 편향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위치(14)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 배터리(16)를 수용하기 위한 격실(15)을 포함하는 터치 프로브이며; 상기 아암(5)이, 상기 격실(15) 내에 상기 배터리(16)의 삽입 동안, 편향된 채로 유지될 때, 상기 프로브(4)는 초기 검색 상태(100)로 스위칭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7)과 상기 프로브(4) 간의 통신은 무선 통신인,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는 광학 신호에 의해 상기 기지국(7)과 통신하는 광학 송수신기(9-11)를 포함하는,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송수신기는 적외선 신호에 의해 상기 기지국(7)과 통신하는 적외선 송수신기(9-11)인,
    프로브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13. 기계 부속(2)의 위치 및/또는 치수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시스템(3)용 프로브로서,
    상기 프로브(4)는 상기 검사 시스템(3)의 기지국(7)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기(9-11)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및 제어 디바이스(12, 13)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용 프로브.
KR1020187035007A 2016-05-04 2017-05-03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KR10256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8367A KR20230038814A (ko) 2016-05-04 2017-05-03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45519 2016-05-04
ITUA2016A003123A ITUA20163123A1 (it) 2016-05-04 2016-05-04 Metodo per l’individuazione, da parte di una sonda, di un protocollo di comunicazione, e relativa sonda
PCT/EP2017/060578 WO2017191218A1 (en) 2016-05-04 2017-05-03 Method of identifying a communication protocol to use with a host device by a prob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367A Division KR20230038814A (ko) 2016-05-04 2017-05-03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437A true KR20190031437A (ko) 2019-03-26
KR102562249B1 KR102562249B1 (ko) 2023-08-01

Family

ID=56894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007A KR102562249B1 (ko) 2016-05-04 2017-05-03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KR1020237008367A KR20230038814A (ko) 2016-05-04 2017-05-03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367A KR20230038814A (ko) 2016-05-04 2017-05-03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28194B2 (ko)
EP (1) EP3452779B1 (ko)
JP (1) JP7034943B2 (ko)
KR (2) KR102562249B1 (ko)
CN (1) CN109073373B (ko)
ES (1) ES2875843T3 (ko)
IT (1) ITUA20163123A1 (ko)
TW (1) TWI757289B (ko)
WO (1) WO2017191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1448B (zh) * 2020-07-27 2021-10-22 延锋伟世通汽车电子有限公司 马达机械零位双穴测试装置及方法
CN116147569B (zh) * 2023-04-20 2023-06-30 中大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阵列式位移计的地址自动分配和排序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942B1 (ko) * 1993-02-23 2001-01-15 라브 시몬 3차원 좌표 측정장치
KR20020004946A (ko) * 1999-01-27 2002-01-1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배터리 식별 장치 및 방법
KR20040075203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스위치 시그널링 경로에서 프로토콜의 선택적 운영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104081A (ja) * 2005-09-30 2007-04-19 Toshib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8304315A (ja) * 2007-06-07 2008-12-18 Hioki Ee Corp 測定装置、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操作装置
WO2013014168A1 (en) * 2011-07-28 2013-01-31 Marposs Societa' Per Azioni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position and/or dimensions of mechanical pieces
JP2014534718A (ja) * 2011-10-21 2014-12-18 アイト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プロトコル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794B1 (en) * 1993-02-23 2003-03-18 Faro Technologoies Inc. Method of generating an error map for calibration of a robot or multi-axis machining center
US6873652B1 (en) * 1998-04-01 2005-03-29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Activation of multiple xDSL modems with implicit channel probe
CN101005491A (zh) * 2006-01-18 2007-07-25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可在两种通讯协议间进行通讯的方法
US20110222414A1 (en) * 2010-03-12 2011-09-15 Tamas Borsos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robing of tunneled internet protocol (ip) transmission paths
CN102135581A (zh) * 2010-12-21 2011-07-27 上海华岭集成电路技术股份有限公司 实时监控探针测试利用率的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942B1 (ko) * 1993-02-23 2001-01-15 라브 시몬 3차원 좌표 측정장치
KR20020004946A (ko) * 1999-01-27 2002-01-1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배터리 식별 장치 및 방법
KR20040075203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스위치 시그널링 경로에서 프로토콜의 선택적 운영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104081A (ja) * 2005-09-30 2007-04-19 Toshib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8304315A (ja) * 2007-06-07 2008-12-18 Hioki Ee Corp 測定装置、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操作装置
WO2013014168A1 (en) * 2011-07-28 2013-01-31 Marposs Societa' Per Azioni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position and/or dimensions of mechanical pieces
JP2014534718A (ja) * 2011-10-21 2014-12-18 アイト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プロトコル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37268A1 (en) 2019-05-09
EP3452779B1 (en) 2021-03-31
ES2875843T3 (es) 2021-11-11
CN109073373A (zh) 2018-12-21
KR20230038814A (ko) 2023-03-21
TW201811072A (zh) 2018-03-16
JP7034943B2 (ja) 2022-03-14
US10928194B2 (en) 2021-02-23
WO2017191218A1 (en) 2017-11-09
JP2019524001A (ja) 2019-08-29
KR102562249B1 (ko) 2023-08-01
ITUA20163123A1 (it) 2017-11-04
EP3452779A1 (en) 2019-03-13
CN109073373B (zh) 2023-01-13
TWI757289B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405B1 (ko)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A2684986C (en) Mobile object position determination
US9054799B2 (en) Wireless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light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562249B1 (ko) 프로브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방법
CN101903835B (zh) 用于控制机床的方法
US5949352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measuring head and a remote receiver
US20120068055A1 (en) Light grid
KR101046352B1 (ko) 기계 피스들의 크기 체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262289A (zh) 对智能天线的多个收发信机进行在线检测的装置及方法
WO1996036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or checking probes
CN105721916A (zh) 主、从设备及其配对方法
US20080122651A1 (en) Wireless data exchange
JP201953396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用帯域モニタ
US20090126214A1 (en) Prob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robe system
KR101659351B1 (ko) 무선 충전 표준 감별 장치 및 방법
EP2188686B1 (en) Programmable system for checking mechanical component parts
CN106664225A (zh) 用于捕获并且使得能够分析来自射频数据包信号收发器的测试数据包的系统和方法
CN102197417B (zh) 火灾警报系统以及火灾警报装置
JPS5844992B2 (ja) デッカ航法受信機における信号検出装置
RU2131643C1 (ru) Датчик контрольных сигналов
CN115467062A (zh) 一种纺织机上可移动维护装置的定位方法及纺织机
JP5902545B2 (ja) 火災報知設備
JPH05534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5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309

Effective date: 2023062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