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106A -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106A
KR20190031106A KR1020180018624A KR20180018624A KR20190031106A KR 20190031106 A KR20190031106 A KR 20190031106A KR 1020180018624 A KR1020180018624 A KR 1020180018624A KR 20180018624 A KR20180018624 A KR 20180018624A KR 20190031106 A KR20190031106 A KR 2019003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locking part
lock ring
lock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244B1 (ko
Inventor
이효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드림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드림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드림정보
Priority to KR102018001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B62H2700/005Stands or support attached to bicycle pedals, stands or supports in combination with locking devices, stands to be used as luggag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를 무인으로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본 발명은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무인으로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량의 증가로 인한 만성적인 교통체증과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도심지에서 친환경적이고 교통상황에 따른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자전거 타기가 장려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정부나 지역 관할 관공서는 자전거의 이용을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자전거 도로망의 정비 및 확대 작업과 병행하여 버스 터미널, 기차역, 백화점, 공공시설, 대규모 주택단지 등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물 주변에 자전거를 대여,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전거의 이용을 증대하는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통상 자전거 거치장치는 교통수단을 바꾸어 이동하기 위한 아파트나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주로 마련되므로 이용자가 많을 경우 자전거를 대여 또는 반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전거 거치장치가 혼잡하고, 이에 따라 이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자전거 잠금장치로서 바퀴를 묶거나 바퀴 사이로 걸쇠를 통과시켜 잠금하는 장치가 제안되기도 했으나 자전거를 빼거나 집어 넣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바퀴가 손상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자전거를 수리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측방향에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구속하되, 자전거의 보관 및 대여를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전거 거치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88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자전거 바퀴를 진입시키는 거치부에 바퀴의 일정한 측면거리유지와 정지를 위한 스토퍼를 마련하여 자전거의 위치를 정 위치시키고,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신속하게 구속해제 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자전거가 진입하는 일측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가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가 측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홈과, 상기 진입홈에 진입한 상기 헤드스페이스를 구속하도록 상기 진입홈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고리가 내장되는 락킹부를 구비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잠금고리의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스페이서를 락킹부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분리수단이 내장되어 상기 자전거를 락킹부에서 간섭없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락킹부는 헤드스페이서가 삽입되는 진입홈(221)을 중심으로 분기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 중 어느 하나는 잠금고리가 내장되어 헤드스페이서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분리수단은 밀판과, 상기 밀판을 가동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되, 상기 밀판의 표면에는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에 의해 진입홈에 진입된 자전거를 감지하여 잠금고리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제 1지지대는 자전거의 바구니와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을 피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대는 상기 제 1지지대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게 구성되되, 내부에는 잠금고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은 지면과 맞닿고 타측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전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자전거 바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안착부는 자전거의 바퀴가 정지부에 밀착되면, 위치 이동방지를 위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스토퍼를 갖되, 상기 스토퍼는 진행방향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진방향으로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잠금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관절부를 갖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락킹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에는 제어부와, 무선 또는 자전거에 형성된 접촉패널과의 밀착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충전모듈이 통합된 통합패널이 다수의 탄력봉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통합패널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자전거 관제센터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락킹부에는 표면에는 QR코드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RFID 정회원카드로 자전거를 직접 대여할 수 있도록 RFID 카드리더기가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제 2지지대는 잠금고리와 함께 진입홈의 안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락킹부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0발명에서, 상기 제 2지지대는 단부에 제 1래크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락킹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래크기어와 치형 결합되는 제 1피니언기어가 모터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잠금고리는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연결부가 형성되고, 자유단에는 걸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대의 내부에는 잠금고리의 걸쇠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를 갖는 걸림바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발명은, 제 12발명에서, 상기 걸림바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피니언기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제 2래크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의 후크와 잠금고리의 걸쇠홈과의 결합에 의해 잠금고리를 진입홈의 안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발명은, 제 10발명 또는 제 13발명에서, 상기 제 1지지대는 잠금고리의 이동방향 또는 회동방향을 따라 키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따르면,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를 구속해제와 더불어 밀판을 통해 거치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킹부의 진입홈에 구속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유동없이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헤드스페이서의 유동으로 인해 잠금고리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는 결국 충돌로 인한 잠금고리의 파손과 헤드스페이서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의 구속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대여를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보관을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에 따른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의 구속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를 무인으로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3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거치부(100) 및 잠금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00)는 자전거(400)가 진입하는 일측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가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00)는 파이프를 "U" 형태로 성형하여 자전거 바퀴(410)가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진입부(110)를 형성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120)를 마련하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00)는 자전거의 바퀴(410)를 잠금부(200)의 측방향으로 정(正) 위치시켜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20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200)는 상기 거치부(100)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400)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가 측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홈(221)과, 상기 진입홈(221)에 진입한 상기 헤드스페이스(420)를 구속하도록 상기 진입홈(221)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는 락킹부(220)를 구비하는 잠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22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대(210)는 잠금부(200)를 지면에 고정시켜 자전거의 높이에 따라 관절부(211)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된 락킹부(220)는 헤드스페이서(420)가 삽입되는 진입홈(221)을 중심으로 분기된 2개의 제 1지지대(230)와, 제 2지지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지대(230)는 자전거의 바구니와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을 피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게 구성되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가 진입홈(221)에 원활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 2지지대(240)에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고, 진입홈(221)의 내부로 헤드스페이서(420)가 진입되면 잠금고리(241)가 인출되어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진입홈(221)의 안쪽면에는 분리수단이 내장되어 잠금고리(241)의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스페이서(420)를 진입홈(221)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자전거(400)를 락킹부(220)의 간섭없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리수단은 밀판(221a)과, 상기 밀판(221a)을 가동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A)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밀판(221a)의 표면에는 접촉센서(221b)가 구비되며, 이는 헤드스페이서(420)가 접촉되면 진입홈(221)에 진입된 자전거(400)를 감지하여 잠금고리(241)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제 2지지대(240)는 락킹부(220)의 내부로 인출입되게 구성된다. 이는 제 2지지대(240)가 잠금고리(241)와 함께 진입홈(221)의 안쪽방향으로 인입되어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폭이 좁은 일측에 형성된 제 1지지대(230)에는 잠금고리(241)의 이동방향을 따라 키홀(231)이 형성되어 잠금고리(241)가 진입홈(221)의 안쪽방향으로 이동시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제 2지지대(240)는 단부에 제 1래크기어(240a)가 결합되고, 상기 락킹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래크기어(240a)와 치형 결합되는 제 1피니언기어(240b)가 모터(M)와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판(221a)에 형성된 접촉센서(221b)가 헤드스페이서(420)의 진입홈(221) 진입을 감지하면 먼저 잠금고리(241)를 인출시켜 진입홈(221)을 Close시키고, 순차적으로 모터(M)가 제 1피니언기어(240b)를 회전시켜 제 1래크기어(240a)가 연결된 제 2지지대(240)를 락킹부(220)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상기 잠금고리(241)가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조는 진입홈(221)에 구속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를 안정적으로 구속하여 헤드스페이서(420)의 유동으로 인해 잠금고리(241)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는 결국 충돌로 인한 잠금고리(241)의 파손과 헤드스페이서(420)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지주대(210)에는 제어부(212)와, 무선 또는 자전거에 형성된 접촉패널(430)과의 밀착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충전모듈이 통합된 통합패널(213)이 다수의 탄력봉(214)을 매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통합패널(213)은 탄력봉(214)의 탄성력에 의해 자전거의 접촉패널(430)과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때 통합패널(213)은 사용자의 단말기(500)와, 자전거 관제센터(600)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통합패널(213)은 LTE, 블루투스, NB IoT(협대역 사물인터넷) 등 무선통신방신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자전거 대여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전거의 접촉패널(430)에는 2차전지(431)와, 자전거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432)가 탑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락킹부(220)에는 표면에는 QR코드(222)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를 사용하지 않고 RFID 정회원카드로 자전거(400)를 직접 대여할 수 있도록 RFID 카드리더기(223)가 내장되어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대여를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보관을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이다.
-자전거 무인 대여-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단말기(500)의 인스톨된 앱을 실행하고, 잠금부(200)에 부착된 QR코드(222)를 스캔하여 자전거(400)를 선택한다.
사용자 단말기(500)와 통신하는 관제센터(600)는 사용자의 요금납부를 확인 후, 승인 명령을 잠금부(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관제센터(60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212)는 락킹부(220)의 잠금고리(241)를 OPEN시켜 자전거(400)를 대여할 수 있게 된다.
만약 RFID 정회원카드 있을 경우에는 RFID 정회원카드를 락킹부(220)의 내장된 RFID 카드리더기로 인식한 후, 금액 차감후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진입홈(221)의 OPEN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이, 잠금부(200)의 제어부(212)는 관제센터(600)의 명령에 따라 모터(M)를 가동하여 제 1피니언기어(240b)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제 1피니언기어(240b)가 회전되면 제 1피니언기어(240b)와 치형 결합된 제 1래크기어(240a)가 이동되고, 제 1래크기어(240a)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 2지지대(240)는 락킹부(22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그러면 제 2지지대(240)에 연결된 잠금고리(241) 역시 이동되어 잠금고리(241)가 가압하고 있던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는 가압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12)는 잠금고리(241)를 인입시켜 진입홈(221)을 OPEN하고, 이에 따라 헤드스페이서(420)는 구속이 해제된다.
이후,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제어부(212)는 액츄에이터(A)에 의해 밀판(221a)을 가동시켜 헤드스페이서(420)를 진입홈(221)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락킹부(220)에서 이탈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전거(400)를 손잡이로 잡고, 후진만으로 거치부(100)에서 자전거를 손쉽게 대여할 수 있게 된다.
-자전거 무인 보관-
사용자는 단말기(500)로 앱을 실행한 후, 자전거 반납을 클릭하고 잠금부(200)의 락킹부(220)에 부착된 QR코드(222)를 스캔함으로써, 해당 잠금부(200)에 자전거를 반납하기 위한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러면 관제센터(600)는 해당하는 잠금부(200)와 통신하고, 도 6의 (a)와 같이, 제어부(212)는 락킹부(220)의 잠금고리(241)를 인입시켜 진입홈(221)을 개방시킨다.
사용자는 자전거 바퀴(410)를 거치부(100)에 안착시킨 후, 자전거(400)를 기울려 헤드스페이서(420)를 진입홈(221)에 진입시킨다.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진입홈(221)에 헤드스페이서(420)가 진입되면, 밀판(221a)에 형성된 접촉센서(221b)가 자전거의 진입홈(221)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12)는 잠금고리(241)를 인출시킨 후, 도 6의 (c)와 같이, 모터(M)를 가동시켜 제 1피니언기어(240b)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1피니언기어(240b)와 맞물린 제 1래크기어(240a)의 이동에 의해 잠금고리(241)가 연결된 제 2지지대(240)는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 고정시킨 후, 자전거(400)의 보관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에 따른 작동도이다.
상기 제 2실시예의 거치부(100)는 진입부(110)에 이물질이 쌓여 있을 경우, 자전거의 높이가 변화되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가 락킹부(220)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과 같이, 상기 거치부(100)는 다른 실시예로 플레이트를 성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입부(110)의 일측은 지면과 맞닿고 타측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진입부(1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전거(400)의 바퀴(410)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정지부(130)는 상기 안착부(120)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시켜 자전거 바퀴(410)를 정 위치에 정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120)는 자전거의 바퀴(410)가 정지부(130)에 밀착되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 위치가 잠금부(200)의 락킹부(220)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전거(400)의 바퀴(410)가 안착부(120)에서 조금이라도 이동되면 락킹부(220)는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20)는 도 8과 같이, 자전거(400) 바퀴(410)의 위치 이동방지를 위해 탄성수단(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스토퍼(121)를 갖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토퍼(121)는 진행방향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경사면(121a)이 형성되어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부(120)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자전거의 바퀴의 후진방향으로는 수직면(121b)이 형성되어 자전거(400)를 힘으로 강제하지 않는 한 바퀴(4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는 결국, 상기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가 락킹부(220)의 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121)는 안착부(120)에 내장된 탄성수단(14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전거 바퀴(410)가 스토퍼(121)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제 2실시예의 잠금고리(241)는 도 9의 (a)와 같이,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연결부(241a)가 형성되고, 자유단에는 걸쇠홈(241b)이 형성된다.
이 때 제 1지지대(230)는 내부에는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232a)를 갖는 걸림바(232)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바(232)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피니언기어(232c)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제 2래크기어(232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잠금고리(241)가 CLOSE 한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제 2피니언기어(232c)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래크기어(232b)와 함께 걸림바(232)가 후진한다. 그러면 도 9의 (c)와 같이, 상기 걸림바(232)의 후크(232a)와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과의 결합에 의해 잠금고리(241)를 진입홈(221)의 안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잠금고리(241)는 링크연결부(241a)의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1지지대(230)에는 잠금고리(241)의 회동방향을 따라 키홀(231)이 형성되어 잠금고리(241)가 진입홈(221)의 안쪽방향으로 회동시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거치부 110: 진입부 120: 안착부
121: 스토퍼 121a: 경사면
121b: 수직면 130: 정지부
140: 탄성수단
200: 잠금부 210: 지주대 211: 관절부
212: 제어부 213: 통합패널
214: 탄력봉 220: 락킹부
221: 진입홈 221a: 밀판
221b: 접촉센서 222: QR코드
223: RFID 카드리더기 230: 제 1지지대
231: 키홀 232: 걸림바
232a: 후크 232b: 제 2래크기어
232c: 제 2피니언기어 240: 제 2지지대
240a: 제 1래크기어 240b: 제 1피니언기어
241: 잠금고리 241a: 링크연결부
241b: 걸쇠홈
300: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400: 자전거 410: 바퀴 420: 헤드스페이서
430: 접촉패널 431: 2차전지
432: GPS
500: 사용자 단말기 600: 관제센터
M: 모터 A:액츄에이터

Claims (14)

  1. 자전거(400)가 진입하는 일측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가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부(100); 및
    상기 거치부(100)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400)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가 측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홈(221)과, 상기 진입홈(221)에 진입한 상기 헤드스페이스(420)를 구속하도록 상기 진입홈(221)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는 락킹부(220)를 구비하는 잠금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220)는 상기 잠금고리(241)의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스페이서(420)를 락킹부(22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분리수단이 내장되어 상기 자전거(400)를 락킹부(220)에서 간섭없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220)는 헤드스페이서(420)가 삽입되는 진입홈(221)을 중심으로 분기된 제 1지지대(230)와, 제 2지지대(240)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230,240) 중 어느 하나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어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밀판(221a)과, 상기 밀판(221a)을 가동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A)로 구성되되,
    상기 밀판(221a)의 표면에는 접촉센서(221b)가 구비되어 접촉에 의해 진입홈(221)에 진입된 자전거(400)를 감지하여 잠금고리(241)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230)는 자전거(400)의 바구니와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을 피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대(240)는 상기 제 1지지대(230)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게 구성되되, 내부에는 잠금고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는 일측은 지면과 맞닿고 타측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진입부(110)와, 상기 진입부(1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전거 바퀴(41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자전거 바퀴(410)를 정지시키는 정지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20)는 자전거의 바퀴가 정지부(130)에 밀착되면, 위치 이동방지를 위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스토퍼(121)를 갖되,
    상기 스토퍼(121)는 자전거의 진행방향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경사면(121a)이 형성되고, 자전거의 후진방향으로는 수직면(121b)이 형성되어 바퀴(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0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관절부(211)를 갖는 지주대(210)와, 상기 지주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락킹부(220)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210)에는 제어부(212)와, 무선 또는 자전거에 형성된 접촉패널(430)과의 밀착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충전모듈이 통합된 통합패널(213)이 다수의 탄력봉(214)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패널(213)은 사용자의 단말기(500)와, 자전거 관제센터(600)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락킹부(220)에는 표면에는 QR코드(222)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기(500)를 사용하지 않고 RFID 정회원카드로 자전거(400)를 직접 대여할 수 있도록 RFID 카드리더기(223)가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대(240)는 잠금고리(241)와 함께 진입홈(221)의 안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대(240)는 단부에 제 1래크기어(240a)가 결합되고, 상기 락킹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래크기어(240a)와 치형 결합되는 제 1피니언기어(240b)가 모터(M)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고리(241)는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연결부(241a)가 형성되고, 자유단에는 걸쇠홈(241b)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대(230)의 내부에는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232a)를 갖는 걸림바(232)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232)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피니언기어(232c)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제 2래크기어(232b)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232)의 후크(232a)와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과의 결합에 의해 잠금고리(241)를 진입홈(221)의 안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14. 제 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230)는 잠금고리(241)의 이동방향 또는 회동방향을 따라 키홀(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KR1020180018624A 2018-02-14 2018-02-14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KR10203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24A KR102031244B1 (ko) 2018-02-14 2018-02-14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24A KR102031244B1 (ko) 2018-02-14 2018-02-14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06A true KR20190031106A (ko) 2019-03-25
KR102031244B1 KR102031244B1 (ko) 2019-10-11

Family

ID=6590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24A KR102031244B1 (ko) 2018-02-14 2018-02-14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6B1 (ko) * 2019-08-22 2021-01-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킥보드 보관 시스템
KR20220022794A (ko) * 2020-08-19 2022-02-28 이재영 자전거 주차서비스 및 사고보상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077A (ja) * 2006-04-07 2007-10-25 Amano Corp 駐輪場管理システム
KR101078815B1 (ko) 2009-04-30 2011-11-01 주식회사 이고 자전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대여 시스템
KR101298901B1 (ko) * 2013-03-12 2013-08-21 장춘만 자전거용 주차대
KR20170012648A (ko) * 2015-07-21 2017-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077A (ja) * 2006-04-07 2007-10-25 Amano Corp 駐輪場管理システム
KR101078815B1 (ko) 2009-04-30 2011-11-01 주식회사 이고 자전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대여 시스템
KR101298901B1 (ko) * 2013-03-12 2013-08-21 장춘만 자전거용 주차대
KR20170012648A (ko) * 2015-07-21 2017-02-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6B1 (ko) * 2019-08-22 2021-01-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킥보드 보관 시스템
KR20220022794A (ko) * 2020-08-19 2022-02-28 이재영 자전거 주차서비스 및 사고보상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44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6600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방법
US9818151B2 (en) Remote vehicle rental systems and methods
CN103456184B (zh) 停车计费导航系统
US11366469B2 (en) Micro autonomous vehicle with exchangeable utility pods
KR20190031106A (ko)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CN205810135U (zh) 一种基于rfid技术的无线地磁车位锁管理系统
CN103632421A (zh) 车辆停放管理系统
CN203659220U (zh) 车辆停放管理系统
CN105513144A (zh) 一种高速公路发卡机用取卡装置
EP3458347B1 (en) Motorcycle with storage container
KR10089848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CN204143501U (zh) 一种高速公路发卡机用取卡装置
CN108755504A (zh) 一种共享车位管理方法及智能车位锁
US20230241986A1 (en)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 vehicles
US10640086B2 (en) Motorcycle with system of authorization control
CN206797529U (zh) 带无线锁的双层两轮车停放架
EP3458346B1 (en) Motorcycle with sensorized storage container
CN105721616A (zh) 一种电动交通工具控制系统
KR101124198B1 (ko) 수직거치식 자전거 주차장치
EP3081464B1 (en) Ground lock apparatus
CN206271056U (zh) 一种无线认证及安全计费管理装置
KR102381507B1 (ko) 자전거 주차장치
KR101362737B1 (ko) 자전거 거치대
CN102339486A (zh) 车库门开启系统及方法
JP5951842B1 (ja) グランド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