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590A - Rf 태그 - Google Patents

Rf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590A
KR20190030590A KR1020180094456A KR20180094456A KR20190030590A KR 20190030590 A KR20190030590 A KR 20190030590A KR 1020180094456 A KR1020180094456 A KR 1020180094456A KR 20180094456 A KR20180094456 A KR 20180094456A KR 20190030590 A KR20190030590 A KR 2019003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mpedance
tag
circuit
rectify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822B1 (ko
Inventor
사토시 야세
데츠야 노사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triggering distinct operating modes or functions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an energy or interrogation field in the proximity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means to regulate power transfer to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6K19/070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 G06K19/0709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the source being an interrogation fie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리미터를 구비한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보다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는 RF 태그를 제공한다.
RF 태그는 전력 소비량을 변경 가능한 가변 부하; 및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최대가 되도록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로서,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리미터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RF 태그 {RF TAG}
본 발명은 RF 태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RF 태그의 발전은 눈부시고, 본래의 개체 식별 용도 이외에도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응용하여 무선 전자 부품의 실장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에 대해 무선 전자 부품에는 CPU나 센서 등의 전기적 부하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부하의 동작에는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RF 태그에서 받는 전력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과를 실현하는 RF 태그로서 임피던스가 가변인 정합 회로(가변 임피던스 회로)를 정류 회로의 전단에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RF 태그는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의 최적치로부터의 편차가 크면, 환경 변동에 의해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하, 전원 전압으로도 표기)이 RF 태그 내의 각 회로의 동작 하한 전압 이하가 되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적치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7dB의 급전 마진이 있는 RF 태그를 생각한다. 또한 급전 마진이란, 전원 전압(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동작 하한 전압까지 하강하는 입력 전력의 dB 단위에서의 저하량을 말한다.
상기 RF 태그로의 입력 전력이 환경 변동(안테나로의 전파의 전파(傳播)를 저해하는 장애물의 출현, 안테나로의 물부착 등)에 의해, 6dB 저하된 경우,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은 저하되나, 동작 하한 전압까지는 내려가지 않는다. 따라서, RF 태그는 계속 동작한다.
한편,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적치로 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RF 태그의 급전 마진이 4dB 밖에 없었던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전력이 6dB 저하되면 전원 전압이 동작 하한 전압 이하가 된다. 그 결과, RF 태그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의 최적치로부터의 편차가 크면 환경 변동에 의해, 전원 전압이 RF 태그 내의 각 회로의 동작 하한 전압 이하가 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RF 태그 내의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런데, RF 태그 내의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는, 통상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최대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그대로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정 처리에 의해,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최적치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회로로의 과전압의 인가 방지 등을 위한 리미터를 구비한 RF 태그에서는 전원 전압이 리미터에 의해 제한된다. 그 때문에, 상기 조정 처리에서는 이 RF 태그의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최적치로 조정할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정합 회로로서 통상 2개의 인덕터와 가변 커패시터를 조합한 회로(도 5A 참조)가 채용되었다. 또한, 조정 처리로서 통상 정합 회로 내의 가변 커패시터의 용량 C를, 어떤 값 C0까지 내린 후, 전원 전압이 변화하지 않게 될 때까지 용량 C를 증가시키는 처리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리미터를 구비한 RF 태그의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당해 조정 처리에서 조정한 경우, 도 3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이 포화 전압(리미터 전압)까지 상승한 단계에서,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가변 커패시터의 용량 C)의 조정이 종료되어 버리기 때문에,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최적치로 조정할 수 없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1995-11147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미터를 구비한 RF 태그로서,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보다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는 RF 태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리더/라이터로부터 무선 급전되는 RF 태그는 안테나로부터의 교류 신호를 정류하고, 상기 RF 태그 내의 각 부에 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 회로;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소정 전압 이하로 제한하는 리미터;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정류 회로 사이에 배치된 임피던스가 가변인 정합 회로; 상기 정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 소비량을 변경 가능한 가변 부하부; 및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로서,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는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리미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전압까지 저하시켜 수행하면, 임피던스의 보다 양호한 조정이 가능해지는 처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RF 태그는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미터를 구비한 RF 태그로서,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보다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는 RF 태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 태그의 가변 부하부는, 임피던스 조정용(전력 소비량 조정용) 가변 부하와, RF 태그의 본래의 용도용 부하(IC, 센서 등)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임피던스 조정용(전력 소비량 조정용) 가변 부하로만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소정 조건”은 어떠한 조건이라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소정 조건”은, 예컨대, “전회에 임피던스 조정을 수행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이라는 조건일 수도 있고, “다른 장치(리더/라이터 등)로부터 소정의 지시가 입력된”이라는 조건일 수도 있으며, “전원 전압이 리미터 전압 미만이 된”이라는 조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RF 태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당해 처리 이후의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이 될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 태그에, “상기 가변 부하부는 저항값이 가변인 유닛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당해 처리 이후의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저항값이 소정치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이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소정 회수,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는 RF 태그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미터를 구비한 RF 태그로서,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보다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는 RF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적치로 조정되어 있는 RF 태그의 전원 전압의 환경 변동시의 시간 변화 패턴의 설명도이다.
도 1B는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적치로 조정되지 않은 RF 태그의 전원 전압의 환경 변동시의 시간 변화 패턴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리미터를 구비한 RF 태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정 처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RF 태그의 구성 및 사용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RF 태그가 구비하는 정합 회로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5B는 정합 회로 내의 가변 커패시터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6은 RF 태그가 구비하는 정류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RF 태그가 구비하는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은 RF 태그 내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 중에서 실행되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에 의해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최적치로 조정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RF 태그(10)의 구성 및 사용 형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 태그(10)는 정합 회로(11), 복조 회로(12), 정류 회로(13), 변조 회로(14),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15), 리미터(16), ADC(17), 제어부(18), 가변 부하(21) 및 부하(25)를 구비한다.
정합 회로(11)는 안테나(20)와 RF 태그(10) 내의 회로와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가변 임피던스 회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RF 태그(10)가 구비하는 정합 회로(11)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인덕터(51, 52)와,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용량을 변경 가능한 가변 커패시터(53)로 구성된 회로이다. 또한, 정합 회로(11)는 가변 커패시터(53)로서 서로 용량이 다른 커패시터(C1~C5)와 스위치 (SC1~SC5)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한 회로를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정합 회로(11)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임피던스 가변인 회로이기만 하다면,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 회로(예컨대, 인덕터의 용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회로)여도 무방하다.
복조 회로(12)(도 4)는 정합 회로(11)를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20)의 출력을 복조함으로써, 안테나(20)가 수신한 전파로부터 리더/라이터(R/W)(85)(상위 장치(90))가 송신한 커맨드를 취출하는 회로이다. 변조 회로(14)는 리더/라이터(85)의 안테나(80)로부터 송신되는 반송파의 반사파에 리더/라이터(85)로 통지해야 할 정보에 따른 변조를 실시함으로써, 리더/라이터(85)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이다.
정류 회로(13)는 전파를 수신한 안테나(20)가 출력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함으로써, RF 태그(10) 내의 각 부(복조 회로(12), 변조 회로(14), 부하(25) 등)를 동작시키기 위한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이 정류 회로(13)로는,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회로, 즉, 2개의 다이오드 D(D1와 D2 등)와 커패시터 C(C1와 C2 등)에 의해 구성된 단위 정류 회로(551 ~ 55N)를 N단 접속한 다이오드 차지 펌프가 사용된다. 또한 정류 회로(13)는 부하(25)용 전압과, 부하(25) 이외의 회로용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회로일 수도 있다.
부하(25)는 리더/라이터(R/W)(85)를 통해 상위 장치(90)에 의해 이용되는 전자 회로(센서, LED, IC, 마이크로 컴퓨터 등)이다. 이 부하(25)에는, 제어부(18)가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노멀리 온형 제1 스위치(22)를 통해 전원 전압(VOUT)이 공급되고 있다.
가변 부하(21)는 전력 소비량을 변경 가능한 회로이다. 가변 부하(21)에는 제어부(18)가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노멀리 오프형 제2 스위치(23)를 통해 전원 전압(VOUT)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가변 부하(21)로는, 예컨대, 제어 신호에 의해 저항값을 변경(지정) 가능한 가변 저항 회로가 사용된다.
리미터(16)(도 4)는 정류 회로(13)의 출력 전압을 소정 전압(이하, 리미터 전압(VLIM), 포화 전압으로도 표기) 이하로 제한하는 회로이다. ADC(17)는 정류 회로(13)의 출력 전압을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이다.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15)는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변 커패시터(53)(도 5B)의 용량을 지정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RF 태그(10)에는, 도 6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15)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15)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업 카운터(61)는 Reset 펄스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값을 “0”클리어하고, UP 펄스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 업하는 카운터이다. 이 업 카운터(61)의 카운터값은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변 커패시터(53)(도 4B)의 용량)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로서 사용되고 있다.
비교기(62)는 전원 전압(정류 회로(13)의 출력 전압)(VOUT)과 커패시터(63)의 전압과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비교기(62)의 출력은 CMP_OUT 신호선에 의해 제어부(18)에 입력되고 있다. 스위치(64)는 Ctrl 신호선을 통해 제어부(18)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스위치이다.
제어부(18)는 프로세서(CPU 등)로 구성된 복조 회로(12)에 의해 취출된 커맨드에 대해 변조 회로(14) 등을 제어함으로써 응답하는 유닛이다.
이 제어부(18)는, 도 8에 도시한 순서의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또한 이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실행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전원 전압이 문턱값 이하가 되었을 때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부(18)를 구성하더라도, 리더/라이터(85)로부터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실행을 지시받았을 때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부(18)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개시한 경우, 제어부(18)는 우선 제1 스위치(22)를 OFF하고, 제2 스위치(23)를 ON 하는 처리(단계 S101)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8)는 부하(25)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가변 부하(21)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8)는 ADC(17)를 제어함으로써, 전원 전압(VOUT)을 측정한다(단계 S102). 그 후, 제어부(18)는 전원 전압(VOUT)이 전압(VREF)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여기서, 전압(VREF)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의 전압이다.
전원 전압(VOUT)이 전압(VREF)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 S103;NO), 제어부(18)는 전원 전압(VOUT)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을 변경하는 처리(단계 S107)를 수행한다. 또한 정류 회로(13)의 후단에는 리미터(1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단계 S107의 처리가 행해지더라도, 전원 전압(VOUT)이 감소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단계 S107을 종료한 제어부(18)는 단계 S102 이후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단계 S102, S103 및 S107의 처리를 반복한 결과로서, 전원 전압(VOUT)이 전압(VREF) 이하가 된 경우(단계 S103;YES)에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단계 S104)를 실행한다.
임피던스 조정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순서의 처리이다.
즉,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개시한 제어부(18)는 우선 Reset 펄스를 출력한다(단계 S201). 이에 따라,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15)(도 7 참조) 내의 업 카운터(61)의 카운트값이 “0”으로 리셋되고, 정합 회로(11) 내의 가변 커패시터(53)(도 5A)의 용량이 최저 용량(Co)으로 조정된다.
이어서, 제어부(18)는 Ctrl 펄스를 출력한다(단계 S202). 환언하면, 제어부(18)는 스위치(64)를 ON으로 함으로써, 커패시터(63)의 전압(비교기(62)의 일 단자로의 입력 전압)을, 그 시점에서의 전원 전압(VOUT)과 일치시킨 후, 스위치(64)를 OFF로 함으로써, 커패시터(63)의 전압을 홀드한다.
그 후, 제어부(18)은 UP 펄스를 출력(단계 S203)한 후, 비교기(62)의 출력(CMP_OUT)이 로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4).
UP 펄스가 입력되면, 업 카운터(61)의 카운트값이 카운트 업되기 때문에, 정합 회로(11) 내의 가변 커패시터(53)의 용량이 증가한다. 가변 커패시터(53)의 용량이 증가하면,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 적정값이 되지 않고, 또한 리미터(16)에 의해 전원 전압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 전압이 상승한다. 한편,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 적정값이 되지 않은 경우, 및 리미터(16)에 의해 전원 전압이 제한된 경우에는, 가변 커패시터(53)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전원 전압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CMP_OUT이 로우인 경우에는,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의 조정이 완료되고, CMP_OUT이 하이인 경우에는,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의 조정이 완료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어부(18)는 비교기(62)의 출력(CMP_OUT)이 하이인 경우(단계 S204;NO)에는, 단계 S203으로 돌아와 다시 UP 펄스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비교기(62)의 출력(CMP_OUT)이 로우가 되었을 때(단계 S204;YES), 이 임피던스 조정 처리(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8로 돌아와,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설명을 계속한다.
임피던스 조정 처리(단계 S104)를 종료한 제어부(18)는 전원 전압(VOUT)을 측정(단계 S105)하고,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6).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이 아닌 경우(단계 S106;NO), 제어부(18)는 단계 S102 이후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이상과 같은 처리를 반복하는 동안에,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이 되었을 때(단계 S106;YES), 제2 스위치(23)를 OFF하고, 제1 스위치(22)를 ON 하는 처리(단계 S108)를 수행한 후, 이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도 8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흐름도(도 8)로의 표기는 생략되어 있지만,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이 아닌 경우, 제어부(18)는 그 시점에서의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이 상한량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이 상한량이 아닌 경우(즉,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을 늘리는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진행되고,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이 상한량인 경우, 제어부(18)는 단계 S108의 처리를 수행한 후, 이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부(18)는 상기 순서의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가 개시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부하(25)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가변 부하(21)로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가 형성되도록, 제1 스위치(22) 및 제2 스위치(23)가 제어된다. 이어서,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의 조정에 의해, 전원 전압(VOUT)이 전압(VREF)까지 저하된다. 그리고, 임피던스 조정 처리가 수행된 후, 임피던스 조정 처리 이후의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임피던스 조정 처리 이후의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은 아닌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의 조정에 의해, 전원 전압(VOUT)이 전압(VREF)까지 저하된다. 그 후, 임피던스 조정 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임피던스 조정 처리 이후의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인 경우에는, 가변 부하(21)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부하(25)로 전력이 공급되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도록, 제1 스위치(22) 및 제2 스위치(23)가 제어되어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가 종료된다.
임피던스 조정 처리 이후의 전원 전압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이 되었다는 것은,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 최적치가 되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미터(1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전원 전압·용량 커브(파선)는 가변 부하(21)의 전력 소비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정점 전압이 보다 낮은 것으로 변화되어 간다. 그리고, 임피던스 조정 처리(도 8)는 전원 전압이 최대가 되는 용량으로 가변 커패시터(53)의 용량을 조정하는 처리이다. 따라서, 임피던스 조정 처리 이후의 전원 전압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이 되면,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 최적치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RF 태그(10)는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를 최적치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RF 태그(10)를 이용하면, 환경 변동에 강한 무선 통신 시스템, 즉, 환경 변동에 의해 RF 태그(10)로의 입력 전력이 감소되더라도 리더/라이터(85) 사이의 통신에 장애가 잘 발생하지 않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변형 형태》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른 RF 태그(10)는 각종 변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RF 태그(10) 내의 전력 공급 대상(부하(25), 제어부(18), 복조 회로(12), 변조 회로(14),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15) 등) 중에, 전력 소비량을 비교적 세세하게 조정 가능한 유닛이 있는 경우에는, RF 태그(10)를, 가변 부하(21)를 구비하지 않고, 당해 유닛이 가변 부하(21)로서 이용되는 장치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RF 태그(10)를 제1 스위치(22) 및/또는 제2 스위치(23)를 구비하지 않는 장치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RF 태그(10)를, 제2 스위치(23)를 구비하지 않는 장치로 변형하는 경우, 가변 부하(21)의 소비 전력을 “0”(또는 최소 소비 전력)으로 조정하는 처리가 단계 S108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RF 태그(10)를 ADC(17) 대신에, 전원 전압(VOUT)과 전압(VREF)과의 비교 및 전원 전압(VOUT)과 리미터 전압(VLIM)이라는 비교를 수행하는 멀티 레벨 비교기로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RF 태그(10)를, ADC(17) 대신에, 전원 전압(VOUT)과 전압(VREF)과의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기와 전원 전압(VOUT)과 리미터 전압(VLIM)과의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기를 구비한 장치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RF 태그(10)에,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의 조정을 그 시점에 있어서의 임피던스로부터 개시하는 제2 임피던스 조정 처리(단계 S101의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부여함과 더불어,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2번째 이후의 단계 S105에서는 제2 임피던스 조정 처리가 수행되는 처리로 변형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도 8)를, 단계 S106의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처리, 즉, 전원 전압(VOUT)을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의 전압(VREF 이하의 전압)으로 저하시킨 후, 임피던스 조정 처리가 1회만 수행되는 처리로 변형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종료 조건을 “VOUT<VLIM”이외의 조건, 예컨대, “임피던스 조정 처리의 실행 회수<정해진 회수”로 변경할 수도 있고,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실행 시간(임피던스 최적화 처리 개시 이후의 경과 시간)<정해진 회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종료 조건으로서, VOUT가 이용되지 않는 조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ADC(17) 대신에, 전원 전압(VOUT)과 전압(VREF)과의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종료 조건을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변경하면,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 최적치로 조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의 종료 조건을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변형하더라도, 종래보다 양호하게(임피던스의 조정 결과가 종래보다 최적치에 가까워지는 형태로),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임피던스 조정 처리는, 가변 커패시터(53)(도 5A)의 용량을 단조 증가시키는 선형 탐색에 의해, 정합 회로(11)의 임피던스가 최적치가 되는 가변 커패시터(53)의 용량(이하, 최적 용량으로 표기)을 탐색하는 처리였지만, 임피던스 조정 처리는, 가변 커패시터(53)의 용량을 단조 감소시키는 선형 탐색으로 가변 커패시터(53)의 최적 용량을 탐색하는 처리일 수도 있다. 또한, 임피던스 조정 처리는, 2분 탐색, 트리 탐색 등의 다른 탐색 알고리즘으로 가변 커패시터(53)의 최적 용량을 탐색하는 처리일 수도 있다. 정합 회로(11)가 인덕터의 용량 변경에 의해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회로인 RF 태그(10)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조정 처리로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한 처리를 채용할 수 있다.
RF 태그(10)에 전원 전압(VOUT)이 리미터 전압(VLIM) 미만의 정해진 전압 이하가 되는 것을 감시하고, 전원 전압(VOUT)이 정해진 전압 이하가 되었을 때,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RF 태그(10)를, 당해 기능을 갖는 임피던스 최적화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장치로 변형할 수도 있다.
10   RF 태그
11   정합 회로
12   복조 회로
13   정류 회로
14   변조 회로
15   임피던스 조정 제어 회로
16   리미터
17   ADC
18   제어부
20, 80   안테나
21   가변 부하
25   부하
51, 52   인덕터
53   가변 커패시터
55   단위 정류 회로
61   업 카운터
62   비교기
63   커패시터
64   스위치
85   리더/라이터
90   상위 장치

Claims (4)

  1. 리더/라이터로부터 무선 급전되는 RF 태그로서,
    안테나로부터의 교류 신호를 정류하고, 상기 RF 태그 내의 각 부에 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 회로;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소정 전압 이하로 제한하는 리미터;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정류 회로 사이에 배치된 임피던스가 가변인 정합 회로;
    상기 정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 소비량을 변경 가능한 가변 부하부; 및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로서,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태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당해 처리 이후의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이 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태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하부가, 저항값이 가변인 유닛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당해 처리 이후의 상기 가변 부하부의 상기 저항값이 소정치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태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상기 가변 부하부의 전력 소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 미만의 전압까지 저하시킨 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소정 회수,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태그.
KR1020180094456A 2017-09-14 2018-08-13 Rf 태그 KR101999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7013A JP6844478B2 (ja) 2017-09-14 2017-09-14 Rfタグ
JPJP-P-2017-177013 2017-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90A true KR20190030590A (ko) 2019-03-22
KR101999822B1 KR101999822B1 (ko) 2019-07-12

Family

ID=6331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456A KR101999822B1 (ko) 2017-09-14 2018-08-13 Rf 태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2788B2 (ko)
EP (1) EP3457328B1 (ko)
JP (1) JP6844478B2 (ko)
KR (1) KR101999822B1 (ko)
CN (1) CN109508773B (ko)
TW (1) TWI668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0379A (zh) * 2019-04-11 2022-06-07 奈克赛特公司 无线双模识别标签
EP4275160A1 (en) 2021-01-11 2023-11-15 Nexite Ltd. Contactless and automatic operations of a retail stor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470A (ja) 1993-10-13 1995-04-25 Tokai Rika Co Ltd 受信機
KR100659272B1 (ko) * 2005-12-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 제어가 가능한 무선인증용 태그 및 그의 과전압제어 방법
KR20080053634A (ko) * 2006-12-11 2008-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송수신 시스템
US20080266729A1 (en) * 2005-12-15 2008-10-30 Nxp B.V. Radio Frequency Interface Circuit f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KR20110018145A (ko) * 2009-08-17 2011-02-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
US20140093016A1 (en) * 2012-09-28 2014-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Rectification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12319A (ko) * 2013-03-13 2014-09-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동 정합 회로를 근거로 한 rfid 리더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004890A1 (en) * 2014-07-02 2016-01-07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Voltage and power limiter for an electromagnetic transponder
US20160241234A1 (en) * 2015-02-18 2016-08-18 Reno Technologies, Inc. Switching circuit
KR20160122087A (ko) * 2015-04-13 2016-10-21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Rf 태그용 수신기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5518B2 (ja) * 2000-08-23 2005-11-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非接触応答装置
US7538673B2 (en) * 2005-08-26 2009-05-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oltage regulation circuit for RFID systems
DE602007013986D1 (de) * 2006-10-18 2011-06-01 Semiconductor Energy Lab ID-Funktransponder
JP5236243B2 (ja) * 2006-10-18 2013-07-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Rfタグ
CN102244502A (zh) * 2011-04-25 2011-11-16 胡建国 Q值自动调节限幅电路
US9130369B2 (en) * 2012-08-29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with reduced power dissipation
CN102840925B (zh) * 2012-09-20 2014-03-19 卓捷创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温度测量与校准电路及无源射频识别标签以及温度测量方法
US8622313B1 (en) * 2012-09-25 2014-01-07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s device
EP2963587B1 (en) * 2014-07-04 2017-03-15 Nxp B.V. Voltage converter
JP2016100922A (ja) * 2014-11-18 2016-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6485290B (zh) * 2015-08-24 2019-08-13 瑞章科技有限公司 增强标签反向散射能量的装置及方法
CN106599972B (zh) * 2015-10-16 2019-10-25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超高频rfid标签芯片阻抗自适应电路及其实现方法
KR20170081809A (ko) * 2016-01-04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태그 및 그 제어방법
JP6739190B2 (ja) * 2016-03-01 2020-08-12 ローム株式会社 非接触通信媒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470A (ja) 1993-10-13 1995-04-25 Tokai Rika Co Ltd 受信機
KR100659272B1 (ko) * 2005-12-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 제어가 가능한 무선인증용 태그 및 그의 과전압제어 방법
US20080266729A1 (en) * 2005-12-15 2008-10-30 Nxp B.V. Radio Frequency Interface Circuit f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KR20080053634A (ko) * 2006-12-11 2008-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송수신 시스템
KR20110018145A (ko) * 2009-08-17 2011-02-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
US20140093016A1 (en) * 2012-09-28 2014-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Rectification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12319A (ko) * 2013-03-13 2014-09-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동 정합 회로를 근거로 한 rfid 리더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004890A1 (en) * 2014-07-02 2016-01-07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Voltage and power limiter for an electromagnetic transponder
US20160241234A1 (en) * 2015-02-18 2016-08-18 Reno Technologies, Inc. Switching circuit
KR20160122087A (ko) * 2015-04-13 2016-10-21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Rf 태그용 수신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08773B (zh) 2022-04-15
TW201916463A (zh) 2019-04-16
TWI668911B (zh) 2019-08-11
CN109508773A (zh) 2019-03-22
US20190080214A1 (en) 2019-03-14
KR101999822B1 (ko) 2019-07-12
JP6844478B2 (ja) 2021-03-17
EP3457328B1 (en) 2021-01-13
US10572788B2 (en) 2020-02-25
EP3457328A1 (en) 2019-03-20
JP2019054392A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9514B2 (en) Electric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US7995965B2 (en) Adaptable power supply circuit
US10862339B2 (en)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70037411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US20150326143A1 (en) Synchronous Rectifier Design for Wireless Power Receiver
JP6266207B2 (ja) 受電装置
EP2490343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US20170025901A1 (en) Low power inductive power receiver
KR101999822B1 (ko) Rf 태그
US9178362B2 (en) Voltage adjusting circuit and contactless card and contactless card system which include the same
EP1306741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device
JP6332484B1 (ja) タグ回路
KR102593912B1 (ko) 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원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JP2015202030A (ja) 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EP2472437A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KR101984140B1 (ko) 전하 펌프 기반의 무선전력 수신기
JP68884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30176111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CN113708515B (zh) 一种具有自动调控二次谐波反馈无线功率传输系统
JP6247120B2 (ja) 無線電力伝送用受電装置
KR20180087793A (ko) 충전 장치의 스위치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47908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