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007A - 유리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007A
KR20190030007A KR1020170117190A KR20170117190A KR20190030007A KR 20190030007 A KR20190030007 A KR 20190030007A KR 1020170117190 A KR1020170117190 A KR 1020170117190A KR 20170117190 A KR20170117190 A KR 20170117190A KR 20190030007 A KR20190030007 A KR 2019003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wheel
teeth
wheel
shap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to KR102017011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007A/ko
Publication of KR2019003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 C03B33/107Wheel design, e.g. materials, construction,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4Cutting or splitting in curves, especially for making spectacle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휠 홀더 및 상기 휠 홀더에 축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커터 휠을 포함하는 유리절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에서, 상기 커터 휠은 외주연에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톱니 및 홈이 번갈아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중심부에 결합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톱니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홈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는 150~210 ㎛의 범위이고, 상기 톱니의 각도는 102~110도의 범위이며, 상기 홈의 바닥부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휠 홀더의 측면은 제1 수직변, 상기 제1 수직변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하변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수직변과 상기 경사 하변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상기 커터 휠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직변에 대하여 상기 경사 하변이 이루는 경사 각도는 40~45도 범위이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는 커터 휠이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까지도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추종하고 유리기판에 깊게 크랙을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유리기판에 불규칙하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절단면이 양호하다. 즉, 절단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유리절단장치{Glass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리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성능이 우수한 유리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판의 절단은 먼저 유리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라이빙 작업을 수행한 후, 즉 유리절단장치에 의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 라인에 힘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허공개 제10-2016-0009507호(2016. 01. 26. 공개)는 유리 절단 공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공구는 유리 커터 휠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저감시켜 스크라이브, 브레이크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유리 커터 휠의 측면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휠 홀더의 부분이 자기 윤활성을 갖는 자기 윤활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허공개 제10-2014-0073149호(2014. 06. 16. 공개)는 유리판의 절단 장치 및 유리판의 절단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방법은 유리판에 대하여 커터 블레이드가 기울어지게 배치함으로써 스크라이브 홈이 바닥으로 갈수록 전체가 스크라이브 라인 내부 영역쪽으로 또는 바깥 영역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급냉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면도 기울어져서 형성되게 하고 그래서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407897호(2014. 06. 09. 등록)는 유리 절단기용 커터 헤드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절선 가공 속도를 높였을 때에 발생하는 절선의 만곡, 누락, 깊이의 편차라는 절선 가공 불량을 해소함과 함께 커터 휠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등록 제10-0880809호(2009. 01. 21. 등록)는 유리기판 절단용 휠 홀더를 개시하고, 특허공개 제10-2005-0103319호(2005. 10. 31. 공개)는 유리 절단용 스크라이빙 휠을 개시하며, 특허등록 제10-0381713호(2003. 04. 11. 등록)는 디스플레이 유리 컷팅용 휠커터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지금까지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유리절단장치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개선할 여지가 남아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커터 휠이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까지도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추종하고 유리기판에 깊게 크랙을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유리기판에 불규칙하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절단면이 양호한 즉, 절단성능이 우수한 유리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후공정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유리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절단장치는 휠 홀더 및 상기 휠 홀더에 축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커터 휠을 포함한다.
상기 커터 휠은 외주연에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톱니 및 홈이 번갈아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중심부에 결합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톱니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홈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는 150~210 ㎛의 범위이고, 상기 톱니의 각도는 102~110도의 범위이다.
상기 홈의 바닥부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휠 홀더는 상기 커터 휠의 진행방향에 대한 정면에서 아래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커터 휠을 수용하는 커터 휠 수용 홈부 및 상기 홈부에서 상기 커터 휠의 상기 축관통공을 관통하는 축이 통과하여 걸리는 축관통홈 및 축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휠 홀더의 측면은 제1 수직변, 상기 제1 수직변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하변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수직변과 상기 경사 하변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상기 커터 휠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직변에 대하여 상기 경사 하변이 이루는 경사 각도는 40~45도 범위이다.
상기 커터 휠의 직경은 3~4 mm이고, 상기 커터 휠의 상기 톱니의 갯수는 60개이며, 상기 휠 홀더의 측면에서 형성되는 상기 경사 각도는 43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 메움부의 높이는 상기 톱니 높이의 1/3 이상이고, 상기 톱니의 노출된 높이는 20~5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톱니의 저점 두께는 0.5~2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를 절단하는 커터 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터 휠은 외주연에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톱니 및 홈이 번갈아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중심부에 결합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톱니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홈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는 150~210 ㎛의 범위이고, 상기 톱니의 각도는 102~110도의 범위이며, 상기 홈의 바닥부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 메움부의 높이는 상기 톱니 높이의 1/3 이상이고, 상기 톱니의 노출된 높이는 20~50㎛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는 커터 휠이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까지도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추종하고 유리기판에 깊게 크랙을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유리기판에 불규칙하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절단면이 양호하다. 즉, 절단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는 후공정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절단장치에 적용되는 커터 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터 휠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에 적용되는 커터 휠과 비교하여 홈 메움부가 없는 커터 휠(제1 비교 커터 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의 내구성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과 제2 비교 커터 휠을 사용하여 유리에 금긋기를 하여 홈이 형성된 유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홀더(100) 및 휠 홀더(100)에 축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커터 휠(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는 이외에도 모터, 모터축, 모터축에 연결되는 헤드 등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성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휠 홀더(100)와 커터 휠(100)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에서, 휠 홀더(100)는 커터 휠(200)의 진행방향에 대한 정면부(110)에서 아래 부분에 커터 휠(200)을 수용하는 커터 휠 수용 홈부(12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휠 홀더(100)에는 커터 휠 수용 홈부(120)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팔부(112 및 114)가 형성되어 있다. 휠 홀더(100)는 또한 커터 휠 수용 홈부(120)에서 축관통홈(122) 및 축관통홀(124)을 포함한다. 즉, 팔부(112)에는 축관통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팔부(114)에는 축관통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축(300)이 축관통홀(124), 커터 휠(200)의 축관통공(220) 및 축관통홈(122)을 차례로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커터 휠(200)이 커터 휠 수용 홈부(120)에서 휠 홀더(100)와 축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휠 홀더(100)는 그것의 측면부(130)에서 제1 수직변(132) 및 제1 수직변(132)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하변(134)을 가진다. 휠 홀더(100)는 또한 경사 하변(134)의 말단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변(136)을 가지며, 제1 수직변(132) 및 제2 수직변(136)의 말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변(138)을 가진다. 즉, 휠 홀더(100)의 측면부(130)는 하변이 상부로 경사진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 휠 홀더(100)의 이러한 측면부(130) 형상에서, 제1 수직변(132)과 경사 하변(134)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커터 휠(200)이 장착된다.
이때, 제1 수직변(132)에 대하여 경사 하변(134)이 이루는 각도는 40~45도 정도의 범위이고, 특히 43도이다. 경사 하변(134)의 이러한 경사 각도는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유리를 금긋기(스크라이빙)할 때, 커터 휠(200)이 지정된 직선뿐만 아니라 지정된 곡선을 따라 정확하게 추종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경사각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곡선의 곡률보다 과도하게 변하는 경로로 커터 휠(200)이 지나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경사각도가 너무 큰 경우에는 곡선의 곡률을 충분히 추종하지 못하는 경로로 커터 휠(200)이 지나게 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지금까지, 휠 홀더(100)의 측면부에서 제1 수직변(132)을 수직으로 설정하고 또한 경사 하변(134)을 특정 각도로 설정하여 커터 휠(200)이 지정된 직선 및 곡선을 따라 정확하게 추종하게 한다는 개념은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본 발명자는 이해한다.
휠 홀더(100)는 상부에 헤드 결합부(140)를 가진다. 헤드 결합부(140)는 모터축에 결합되는 헤드에 휠 홀더(100)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에서, 커터 휠(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휠 몸체(210)를 가진다. 커터 휠 몸체(210)는 일반적인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초경금속의 예는 크롬, 텅스텐, 티타늄 등이 포함된다. 커터 휠 몸체(2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것의 두께는 대략 0.5~2 mm의 범위일 수 있으며, 그것의 직경은 대략 2 내지 10 mm일 수 있다. 특히 커터 휠 몸체(210)의 직경은 3 내지 4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 휠(200)의 중심부에는 축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있다. 축관통공(2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300)이 관통하는 것이다. 그것의 직경은 0.7 내지 2 mm 정도일 수 있다.
커터 휠(200)에서, 커터 휠 몸체(210)의 외주연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톱니(230) 및 홈(240)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톱니(2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홈(240)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홈(240)의 바닥부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에서 홈(240)은 온전한 '∨'의 형상을 가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바닥은 평평하거나 원호의 곡률을 가지고 측면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홈 메움부(250)의 높이는 톱니(230) 높이의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정도가 적당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메움부(250)에 의하여 톱니(230)의 노출된 높이는 20~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은 '∨'의 형상의 홈(240)이 형성된 후 그것의 바닥부에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25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홈(240)의 결과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일 뿐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그러한 제조과정에 한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은 상기한 형상의 홈(240)을 가지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그러한 홈(240)의 형상이 톱니(230)와 함께 동시적으로 형성되든, 톱니(230)를 형성한 후 순차적으로 형성되든 그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톱니(230)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는 150~210㎛의 범위이고, 톱니(230)의 각도는 102~110도의 범위이다. 이때, 톱니는 좌우대칭 형상을 가진다. 즉, 톱니(230)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톱니(230)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에서 꼭지점까지의 길이, 즉 높이는 52~85㎛의 범위에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지는 톱니(230)의 갯수는 커터 휠(200)의 직경이 3~4mm인 경우에는 대략 60개 정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톱니(230)의 각도라 함은 톱니(230)의 바닥 측의 각도가 아니라 정점 꼭지점에서의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톱니(2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터 휠 몸체(210)가 원형 형상으로 보이는 측면 프로파일(이하, '원형 측면 프로파일'이라 함)에서, 측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지만, 완전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뿐만 아니라, 톱니(230)의 높이의 10% 이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내에서 정점 꼭지점 부분이 잘려서 결과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무런 한정없이 톱니(230)의 각도라고 언급하면, 그것은 원형 측면 프로파일에서의 톱니(230)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톱니(230)는 커터 휠 몸체(210)의 두께가 보이는 측면 프로파일(이하, '두께 측면 프로파일'이라 함)에서 볼 때에도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때, 톱니(230)의 하변은 상기에서 언급한 커터 휠 몸체(210)와 만나는 부분이므로 대략 0.5~2mm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톱니(230)의 두께 측면 프로파일은 완전한 형태의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톱니(230)가 그것의 높이의 10% 내지 5% 이내에서 잘려진다면 사다리골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톱니(230)의 원형 측면 프로파일은 완전한 형태의 삼각형 형상을 가지더라도, 톱니(230)의 두께 측면 프로파일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터 휠(200)에서 톱니(230)에 적용되는 각도, 즉 톱니(230)의 원형 측면 프로파일에서의 각도는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각도에 비하여 작다. 즉, 본 발명의 커터 휠(200)에서 톱니(230)의 각도가 더욱 예리하다. 이러한 예리한 각도로 인하여, 본 발명의 커터 휠(200)로 유리 기판에 금긋기를 하여 유리 기판 표면에 홈을 형성하면, 형성된 홈 아래쪽으로 생성되는 크랙이 더욱 깊게 형성되어 유리 기판의 절단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은 둔한 각도의 톱니를 가지는 커터 휠(200)에 비하여 유리 기판 표면에 동일한 깊이로 홈을 형성하더라도 예리한 각도로 금긋기할 때의 충격으로 인하여 크랙이 더욱 깊게 전파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에 적용되는 커터 휠과 비교하여 홈 메움부가 없는 커터 휠(제1 비교 커터 휠)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비교 커터 휠은 본 발명의 유리절단장치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과 비교할 때, 홈 메움부(250)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것과 일치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과 제1 비교 커터 휠 자체를 서로 비교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교 커터 휠은 계속적인 사용에 의하여 피로가 누적되고 그러면 홈(240)의 저점으로부터 커터 휠 몸체로 미세한 크랙(212)이 발생하고 확산된다. 따라서, 제1 비교 커터 휠은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은 홈 메움부(250)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홈(240)으로부터 커터 휠 몸체(210)로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은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터 휠(200)과 제1 비교 커터 휠에 의하여 금긋기되는 유리 기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제1 비교 커터 휠은 동일한 톱니 각도를 가지면서 톱니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유리 기판 표면에 더욱 깊은 홈을 형성할 수 있고 그래서 형성된 홈 아래쪽으로 크랙을 더욱 깊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제1 비교 커터 휠은 노출된 톱니의 높이가 크기 때문에 유리 기판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결과를 야기하고, 그러한 결과로 인하여 유리 기판의 부분적 파손 또는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크랙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유리절단공정에서 불량률을 높이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 말하면, 제1 비교 커터 휠은 유리 기판에 금긋기를 하는 공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즉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제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1 비교 커터 휠은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선행 연구에 의하면, 제1 비교 커터 휠의 상기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커터 휠(200)에 상기한 형상의 톱니(230)를 채용한다고 하더라도, 커터 휠의 직경이 3~4mm일 때 톱니의 갯수는 최대 43개 정도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렇게 설계된 커터 휠을 이제 제2 비교 커터 휠로 부르기로 한다. 이 경우, 톱니의 각도는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톱니의 각도보다 훨씬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단기능을 수행하는데 적합해진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수한 절단성능을 발휘하는데에는 미흡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제2 비교 커터 휠의 한계 및 제1 비교 커터 휠의 장점을 고려하고, 제1 비교 커터 휠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비교 커터 휠의 장점을 살리면서 제1 비교 커터 휠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은 유리 기판에 금긋기 작업을 할 때 톱니(230)의 예리한 각도에 의하여 유리 기판 표면에 동일한 깊이의 홈을 형성하더라도 예리한 각도의 톱니의 충격에 의하여 형성된 홈 아래쪽으로 크랙을 더욱 깊게 형성할 수 있어 유리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은 유리 기판 표면에 더욱 깊은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홈 아래쪽으로 크랙을 더욱 깊게 형성하여 유리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은 또한, 커터 휠(200) 자체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금긋기 작업 중 유리 기판의 파손 또는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크랙 발생 등과 같은 불량 발생가능성을 크게 줄이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터 휠(200)과 제2 비교 커터 휠을 사용하여 유리에 금긋기를 하여 홈이 형성된 유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비교 커터 휠에 의하여 유리 기판(400)에 형성된 홈(410)은 본 발명의 커터 휠(200)에 의하여 유리 기판(400)에 형성된 홈(410)에 비하여 그 폭(w1)이 상당히 넓다. 그래서, 형성된 홈(410)의 아래에 형성되는 크랙(420)은 유리 기판(400)의 충분한 깊이까지 연장되지 못하여 유리기판(400)의 절단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커터 휠(200)에 의하여 유리 기판(400)에 형성된 홈(410)은 제2 비교 커터 휠에 의하여 유리 기판(400)에 형성된 홈(410)에 비하여 그 폭(w2)이 상당히 좁다. 그래서, 형성된 홈(410)의 아래에 형성되는 크랙(420)은 유리 기판(400)의 충분한 깊이까지 연장되고 그래서 유리기판(400)의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의 이러한 효과는 톱니(230)의 노출된 높이가 제2 비교 커터 휠의 것보다 높아서 유리 기판에 형성된 홈의 깊이(d)가 더욱 깊을 때에는 더욱 증가한다. 다만, 톱니(230)의 노출된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제1 비교 커터 휠에 대하여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톱니(230)의 노출된 높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커터 휠(200)은 제2 비교 커터 휠에 비하여 유리기판에 동일한 깊이의 홈을 형성할 때 더욱 좁은 폭의 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단된 유리에 대하여 후가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을 가진다.
100: 휠 홀더 110: 정면부
112,114: 팔부 120: 커터 휠 수용 홈부
122: 축관통홈 124: 축관통홀
130: 측면부 132: 제1 수직변
134: 경사 하변 136: 제2 수직변
138: 상변 140: 헤드 결합부
200: 커터 휠 210: 커터 휠 몸체
220: 축관통공 230: 톱니
240: 홈 250: 홈 메움부
300: 축

Claims (6)

  1. 휠 홀더 및 상기 휠 홀더에 축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커터 휠을 포함하는 유리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 휠은 외주연에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톱니 및 홈이 번갈아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중심부에 결합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톱니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홈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는 150~210 ㎛의 범위이고, 상기 톱니의 각도는 102~110도의 범위이며,
    상기 홈의 바닥부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휠 홀더는 상기 커터 휠의 진행방향에 대한 정면에서 아래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커터 휠을 수용하는 커터 휠 수용 홈부 및 상기 홈부에서 상기 커터 휠의 상기 축관통공을 관통하는 축이 통과하여 걸리는 축관통홈 및 축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휠 홀더의 측면은 제1 수직변, 상기 제1 수직변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하변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수직변과 상기 경사 하변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상기 커터 휠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직변에 대하여 상기 경사 하변이 이루는 경사 각도는 40~45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휠의 직경은 3~4 mm이고, 상기 커터 휠의 상기 톱니의 갯수는 60개이며, 상기 휠 홀더의 측면에서 형성되는 상기 경사 각도는 4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절단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메움부의 높이는 상기 톱니 높이의 1/3이상이고, 상기 톱니의 노출된 높이는 20~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절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의 저점 두께는 0.5~2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절단장치.
  5. 유리를 절단하는 커터 휠에 있어서,
    상기 커터 휠은 외주연에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톱니 및 홈이 번갈아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중심부에 결합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톱니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홈은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의 삼각형 형상에서 하변의 길이는 150~210 ㎛의 범위이고, 상기 톱니의 각도는 102~110도의 범위이며,
    상기 홈의 바닥부에는 초경금속 또는 초경합금이 메워져서 홈 메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메움부의 높이는 상기 톱니 높이의 1/3이상이고, 상기 톱니의 노출된 높이는 20~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휠.
KR1020170117190A 2017-09-13 2017-09-13 유리절단장치 KR2019003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190A KR20190030007A (ko) 2017-09-13 2017-09-13 유리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190A KR20190030007A (ko) 2017-09-13 2017-09-13 유리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07A true KR20190030007A (ko) 2019-03-21

Family

ID=6603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190A KR20190030007A (ko) 2017-09-13 2017-09-13 유리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0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50B1 (ko) 취성재료용 스크라이빙 휠, 및 이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방법,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공구
JPH0898Y2 (ja) 超硬チップを具備する丸鋸
KR101046050B1 (ko) 유리 절단 휠
JP2989602B1 (ja) ガラスカッタホィ―ル
KR101988414B1 (ko) 팁 드레싱용 절삭 커터 및 팁 드레서
EP3015236B1 (en) Method of scribing the surface of a thick glass plate, and scribing wheel for scribing the surface of a such a plate
JP5584046B2 (ja) 帯鋸刃の製造方法
JP5123996B2 (ja) 溝付きカッターホイール
JP2007031200A (ja) カッターホイール
EP2813304B1 (en) Edge tool
KR101347994B1 (ko) 스크라이빙 휠
KR20190030007A (ko) 유리절단장치
EP2644305B1 (en) Shaving tool
US20150075013A1 (en) Recip blade with ri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12443A (ko) 비철금속절단용 원형커터
US20180185938A1 (en) Circular saw blade with tips
JP7398099B2 (ja)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
KR20210077447A (ko) 고망간강 절단용 마찰톱
TW201920022A (zh) 刻劃輪及其製造方法、刻劃方法以及保持具單元
JP6344582B2 (ja)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スクライブ装置及び分断方法
JP3088953U (ja) 回転鋸
KR20200057617A (ko) 유리프릿막 부착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KR20170088093A (ko) 금속절삭용 원형톱
JP2023087193A (ja) カッター、カッティング装置およびカッティング方法
JPH11277341A (ja) 刃物体の製造方法および刃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