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877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877A
KR20190029877A KR1020170116897A KR20170116897A KR20190029877A KR 20190029877 A KR20190029877 A KR 20190029877A KR 1020170116897 A KR1020170116897 A KR 1020170116897A KR 20170116897 A KR20170116897 A KR 20170116897A KR 20190029877 A KR20190029877 A KR 2019002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lever
sensing
ic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460B1 (ko
Inventor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460B1/ko
Priority to DE102018215591.7A priority patent/DE102018215591A1/de
Priority to US16/130,306 priority patent/US11313602B2/en
Publication of KR2019002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877A/ko
Priority to US17/701,413 priority patent/US119768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급수하는 급수장치;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회전을 위한 레버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의 동일한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회전축보다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 refrigerator and ice ma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진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디스펜서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아이스메이커(제빙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는 저장된 얼음의 양을 감지하여 급수와 제빙 및 이빙을 수행하는 자동 아이스메이커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 아이스메이커에 의해 저장된 얼음은 디스펜서를 통해서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는 얼음의 저장량을 감지하여 항상 얼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얼음이 가득차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1-0051251호에는 저장된 얼음의 양을 회전하는 검빙암에 의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빙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빙접시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의 전면에 연결되어 설정된 주기에 상기 검빙암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레버 형상의 검빙암이 자동제빙기의 전면 즉, 상기 제빙 접시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검빙암의 장착 공간 및 동작 공간 만큼의 전후 방향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자동 제빙장치가 배치되는 제빙실이 냉장고의 도어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 협소한 제빙실 내부의 공간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자동 제빙장치의 설치를 위해 상기 제빙실 공간을 늘리게 될 경우 도어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 지거나 고내의 저장공간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검빙암의 동작시 얼음이 제빙접시에서 이빙될 때 검빙암과 제빙접시의 사이에 이빙되는 얼음이 끼게 될 경우 감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빙장치가 슬림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부피 증가를 방지하고 고내 저장공간의 손실을 방지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빙시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빙 감지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 배면에 구비되며,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장치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장치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급수하는 급수장치;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회전을 위한 레버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의 동일한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회전축보다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트레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이스 뱅크의 전면 상단은 상기 제빙장치의 일부를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단부와 대응하는 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빙장치와 아이스 뱅크의 사이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며, 제빙을 위해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 내측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얼음의 감지를 위한 일 단이 상기 아이스 뱅크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를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다수의 얼음을 형성하기 위해 구획된 다수의 셀로 구성되되, 상기 셀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셀의 외측면과 상기 제빙실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는, 도어에 구비되며,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급수하는 급수장치;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회전을 위한 레버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의 동일한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회전축보다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일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절곡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설정된 높이의 얼음과 접하여 만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감지부의 일단까지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면에서 상기 감지부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 상단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의 폭은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대기 및 만빙감지를 위해 회전될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는 내 외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얼음과 접촉되는 상기 감지부의 일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내측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리브의 반대편 일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내측면 단부에서 상기 보강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절곡 또는 벤딩되는 보조 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최초 정지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측방에 상기 감지부의 상단이 위치될 때까지 회전되고, 만빙 감지를 위해 상기 만빙 감지레버가 회전되는 만빙 감지 모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의 하단이 최저높이가 될 때까지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방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방을 감싸 물 튐을 방지하며, 냉기 유입구를 통해 냉각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트레이 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감지부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진 레버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과; 상기 셀 상방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셀과 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프레임부와 접촉되는 결빙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며, 상기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결빙해제부재와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빙해제부재의 양측면에는 해제부재 회전축이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의 배면에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빙해제부재의 무개 중심은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보다 더 하방 및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결빙해제부재가 상기 테두리부와 접촉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는 만빙 감지를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측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측을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까지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이 회전축과 레버 회전축이 돌출되는 구동 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 내부의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 회전축이 형성되는 트레이 회전기어; 상기 레버 회전축이 형성되는 레버 회전기어; 및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상기 레버 회전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이너 파트와, 상기 이너 파트와 이격된 외측에서 상기 전달기어와 결합되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아우터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 회전기어의 일측을 수용하여 상기 레버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수용부와; 상기 이너 파트와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레버 회전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 케이스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레버 회전기어 및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파트는, 상기 이너 파트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재와 접하는 상기 트레이 안내부와; 상기 트레이 안내부의 양단 사이에서 함몰되며,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는 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재가 수용되는 레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 안내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가 되기 전의 상기 이너 파트 구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 안내부와 레버 안내부의 사이에는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재의 통과시 상기 만빙감지레버를 순간적으로 역회전 후 정회전시키는 기동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 안내부의 양단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 안내부의 중앙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이너 파트와 떨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빙장치는 구동부의 동일한 면에 아이스 트레이와 만빙감지레버와 결합되는 트레이 회전축과 레버 회전축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레버 회전축 및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트레이 회전축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만빙감지레버의 대기 상태 또는 만빙 감지를 위한 회전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배치를 위한 추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전후방향에 만빙감지를 위한 수단이 돌출되는 구조에 비해서 상기 제빙장치는 현저하게 슬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빙장치의 슬림한 구조로 인하여 도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냉장실 도어에 형성된 제빙실 내부에 상기 제빙장치가 구비된 경우에 제빙실 및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 용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빙장치가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냉동실 도어를 보다 슬림하게 하고, 냉동실 저장공간 용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만빙레버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주로 쌓이게 되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일영역을 상기 만빙레버가 회전하면서 지나게 되어 만빙 위치의 얼음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만빙레버는 라운드진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만빙레버를 지나치거나 타고 넘어가게 되지 못하게 되어 와이어 타입으로 구성된 만빙감지 구조에 비해서 만빙감지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만빙레버가 대기 또는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떨어지는 얼음이 걸리지 않고 상기 만빙레버의 라운드진 내측면을 따라 효과적으로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만빙레버는 라운드진 내측면 형상을 가지게 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떨어지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의 일지점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하게 되며, 또한, 상기 만빙레버는 상기 아이스 뱅크를 내측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회전되면서 얼음을 안내할 수 있어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에 국부적으로 얼음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의 얼음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재정렬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레버는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특히 대기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뱅크 상단의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어 아이스 트레이를 지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아이스 뱅크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빙레버의 내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이스 뱅크 내측으로의 냉기 유입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레버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만빙레버 내측면에 결빙 해제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만빙레버가 결빙된 경우에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하면서 상기 결빙 해제부재를 눌러 상기 만빙레버의 결빙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결빙해제부재의 배치가 용이한 판상의 상기 만빙레버 구조에 의해 가능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만빙레버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에 의해 구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만빙레버는 결빙 상황에서도 신뢰성 있는 만빙감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레버는 서로 절곡되는 연결부와 감지부로 구성되며, 연결부위에 보강부가 형성되고, 감지부에는 보강 리브와 보조 리브가 형성되어 판상으로 구성되는 만빙레버가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변함없는 감지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의 내측에 복수의 전달기어 및 트레이 회전기어, 연결부재, 레버 회전기어를 조합하여,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만빙감지레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컴팩트한 제빙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제빙실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제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제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제빙장치의 만빙감지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대기 모드일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감지 모드일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대기 상태일 때의아이스 트레이와 만빙감지레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결빙 구속시 해지를 위한 결빙 해제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동작시 구동부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제빙장치에서 얼음이 만들어지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제빙장치에서 만빙이 감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제빙장치에서 얼음이 이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빙장치의 만빙감지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만빙감지레버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빙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금속소재의 아웃 케이스(102)와, 상기 아웃 케이스(102)와 결합되며 상기 냉장고(1) 내부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수지재의 이너 케이스(10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상기 아웃 케이스(102)와 이너 케이스(101)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고내의 공간을 단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11)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의 냉장실(12)과 하부의 냉동실(1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은 좌우측으로 더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모두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모두 힌지장치(23)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양측에서 한쌍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 중 어느 일측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디스펜서(24)와 제빙실(2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4)와 제빙실(25)은 아이스 슈트에 의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4)는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4) 상방에는 상기 제빙실(25)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25)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단열 공간으로 내부에 상기 제빙장치(30)가 수용되며 별도의 제빙실 도어(25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빙실(25)은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 덕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냉동실(13)과 연통되어 제빙에 필요한 냉기를 냉동실 증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251)의 배면과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배면 하부에는 수납을 위한 도어 바스켓(252)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제빙실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전면 및 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1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211)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는 고내 공간과 고외 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5)은 상기 도어 라이너(211)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25)의 둘레는 상기 도어 라이너(211)가 돌출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211)의 돌출된 공간의 내측에 제빙장치(30)와, 상기 제빙장치(30)에서 저장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27)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5)은 제빙실 도어(25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실(25) 및 제빙실 도어(251)는 단열되어 상기 냉장실(21) 내부의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빙실(25)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5)의 양측 벽면중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2)의 내측 벽면과 접하는 일측에는 상기 냉기 덕트와 연통되어 냉기가 출입되는 냉기 입구(253) 및 냉기 출구(2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253)는 상기 제빙실(25)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냉기 출구(254)는 상기 제빙실(25)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입구(253)는 상기 제빙장치(30)의 측방에 위치되어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제빙장치(3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254)는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측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장치(30)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측을 거친 후 상기 냉기 출구(254)를 통해 상기 제빙실(25)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5)의 상단에는 상기 제빙장치(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30)는 자동으로 급수와 제빙 및 이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오토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30)는 상기 제빙장치(30)의 장착을 위한 마운팅 브라켓(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은 상기 제빙장치(30)의 내측 벽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에 상기 제빙장치(30)의 구동부(32)와 컨트롤박스(33) 등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5)의 상단에는 급수장치(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26)는 상기 제빙장치(30)로 제빙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 급수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27)는 상기 제빙장치(30)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장치(30) 하방의 상기 제빙실(25) 나머지 영역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27)는 상기 제빙장치(30)에서 이빙되어 낙하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2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4)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4)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27)는 상기 제빙실(25)의 내측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내측 하부에는 저장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24)로 공급하기 위한 오거(Auge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에 의해 얼음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서로 결빙되지 않도록 섞어 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공급되는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크러셔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5)의 개방시 노출되는 아이스 뱅크(27)의 전면 상단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이 제빙장치(30)의 적어도 일부를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빙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제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빙장치(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빙장치(30)는, 상기 제빙장치(30)의 장착을 위한 마운팅 브라켓(31)과, 상기 제빙장치(3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2), 상기 구동부(32)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아이스 트레이(34),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내측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트레이 커버(35), 상기 구동부(32)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36), 그리고 상기 구동부(32)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박스(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은 상기 제빙장치(30)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빙실(25)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은 상기 제빙실(25)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빙실(25)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의 장착시 상기 제빙장치(30)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커넥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의 전면에는 상기 구동부(32)와 상기 컨트롤박스(33)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35)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35)의 내측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의 좌우 양측 중 일측단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2)의 일측면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단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만빙감지레버(36)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구동부 케이스(321)의 내부에 모터(41)와 다수의 기어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어 등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상기 모터(41)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과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 내부의 모터(41) 및 기어(42,43,45) 등의 배치 구조는 아래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박스(33)는 상기 구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박스 케이스(331)의 내부에 피시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33)는 상기 구동부(32)의 동작 제어는 물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 물을 급수되는 급수장치(26)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장치(26)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3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345)와 연결되어 상기 제빙장치(30)에 의한 제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30) 동작시의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체에 구비되는 메인 컨트롤러(미도시) 또는 디스펜서(24) 상의 디스플레이로 정보를 전송하여 냉장고(1)의 전체 동작에 참조되거나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33)에는 스위치(332)가 구비되어 상기 제빙장치(30)의 선택적인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의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낙하하여 이빙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상이 아이스 트레이(34)는 상기 셀(341)의 개구된 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후 비틀림이 발생되어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빙 방식으로 인해 상기 제빙장치(30)는 트위스팅 타입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32)에 축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는 다수의 셀(341)들이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2열로 동일한 크기의 셀(341)들이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셀(341)들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으며, 각 셀(341)들을 구획하는 격벽(342)의 사이에는 통로(343)가 절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일측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전체 셀(341)에 균일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상단에는 테두리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44)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상단 둘레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35)의 하단과 접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44)는 상기 트레이 커버(35)의 하단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물넘침을 방지하고 냉기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측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에 제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344)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구비되는 결빙 해제부재(37)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35)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35)는 상기 제빙실(25)로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를 향하여 집중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동시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의 급수시 물이 튀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외부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35)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를 상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35)의 중앙에는 냉기 유입구(353)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유입구(35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35)는 상기 냉기 유입구(353)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커버(35)는 커버 상부(351)와 커버 하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상부(351)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상단이 상기 냉기 유입구(35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상부(35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내측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부(352)는 상기 커버 상부(351)의 하단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외측 상단까지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하부(352)의 곡률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시 외측단의 궤적과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트레이 커버(35) 내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모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 향하여 제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아이스 트레이(34)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부(352)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 커버(35)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부(352) 중 상기 마운팅 브라켓(31)과 인접한 상기 커버 하부(352)에는 레버 배치부(3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배치부(354)는 상기 커버 하부(35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배치부(354)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상기 셀(341)의 형상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외측면 형상 또한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 동작시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간섭되지 않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상부 일부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외측면과 상기 레버 배치부(354)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구동부(32)에 축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축의 위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축의 위치보다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축의 위치보다 더 제빙실(25)의 내측면(도 5에서 우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대기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빙장치(30)의 상기 전후 방향(도 5에서는 좌우측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며, 동작 상태에서는 아이스 트레이(34) 하부의 만빙 위치에서 얼음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장치(30)의 전후방향 폭 크기에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폭에 따라 슬림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시 간섭되거나 얼음이 끼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하방 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이빙을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본 실시 예에서의 구조에서는 상기 만빙감지레버(36) 및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중앙을 기준으로 다소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를 기준으로 우측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동작상태에서는 만빙 위치의 얼음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의 간섭을 방지하되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마운팅 브라켓(31)의 사이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만빙의 감지 전의 초기 상태인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얼음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되는 감지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후측(도 5에서 우측)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측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의 얼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만빙 상태의 감지를 위해서 회전되며,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사이 거리(D2)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폭 즉, 상기 셀의 개구된 상면의 폭(D1)과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얼음이 이빙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얼음 또는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 과정 중에 접촉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사이에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대기 상태를 기준으로 만빙 감지시까지 설정각도(α)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설정각도는 대략 65˚로 설정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단부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하방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상단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감지 모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하단이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의 회전되는 각도가 대략 6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하단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부터 얼음 하나의 높이 정도 즉, D2 만큼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의해 감지되는 얼음의 저장 높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이빙을 위해 회전되었을때 이빙되는 얼음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간섭되지 않는 높이가 될 수 있으며, 사실상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동작을 보장하면서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저장 가능한 최대 높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구조와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제빙장치의 만빙감지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대기 모드일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감지 모드일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구동부(32)의 구동부 케이스(321)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일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장착되는 트레이 회전축(431)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장착되는 레버 회전축(453)이 동일면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만빙감지레버(36)는 각각 트레이 회전축(431)과 레버 회전축(453)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2)의 동작시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상면에는 상기 컨트롤박스(33)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스 지지부(322)가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고정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전체적으로 상기 레버 회전축(453)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연결부(361)와 감지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1)는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일단을 형성하며, 상기 레버 회전축(45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1)는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364)와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1)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회전축(453)과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부(362)가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362)를 관통하는 결합부재(362a)에 의해 상기 연결부(361)가 상기 레버 회전축(45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회전축(453)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361)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1)는 아이스 트레이(34)와 수직한 방향 즉,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인접한 일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61)는 상기 감지부(364)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빙장치(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설정된 높이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361)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하단에서 상기 감지부(364)까지의 거리(D2)와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61)의 내측면에는 보강부(3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363)는 상기 연결부(361) 일측에서 상기 감지부(364)의 단부와 접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상기 축 결합부(362)가 위치된 상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361)의 내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만빙감지시 얼음이 접촉되는 전단(도 6에서 하단)에서 후단(도 6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361)의 영역 중 아이스 뱅크(27)를 향하는 부분은 높이가 높고 두께는 얇은 반면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는 낮아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시 얼음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감지부(364)에 충격 또는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61)는 상기 축결합부(362)가 형성된 상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61)의 하단에는 상기 감지부(364)의 일단과 접하게 된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연결부(361)의 연장된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감지부(36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364)는 상기 연결부(361)의 하단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61)의 일단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연장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364)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배치되는 영역에서의 만빙 여부를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64)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장치(30)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상단 사이를 차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빙장치(30)와 상기 아이스 뱅크(27)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64)는 내측면 및 외측면의 형상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64)의 라운드진 형상으로 인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낙하되는 얼음이 상기 만빙감지레버(36)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364)에서 걸리지 않고 상기 감지부(36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빙 감지시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저장된 얼음과의 접촉시에도 회전시 걸림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만빙의 감지 및 대기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364)의 라운드진 형상의 곡률은 상기 감지부(364)를 따라 이동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내부 전방측에 낙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64)의 일단(도 6에서 하단)에는 보강 리브(3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65)는 상기 감지부(364)의 일단에서 수직 또는 수직에 준하는 각도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65)는 상기 감지부(364)가 만빙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하는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65)는 상기 감지부(364)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빙의 감지를 위해서 회전되는 만빙감지레버(36)와 얼음의 접촉시 상기 감지부(364)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얼음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얼음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부(364)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361)측에 고정되는 구조에서 상기 감지부(364)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65)가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상기 감지부(364)의 다른 일단(도 6에서 상단)에는 보조 리브(3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리브(366)는 상기 감지부(364)의 후단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감지부(364)의 후단이 경사 또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리브(366)의 높이는 상기 보강 리브(365)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강도는 보강하되, 대기상태로 복귀하여 회전하는 동안에 얼음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 일측에는 결빙 해제부재(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빙해제 부재는 만빙감지레버(36)의 축이 결빙에 의해 동작되지 않을 때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결빙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장착부(367)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부(367)의 개구(367a)를 관통하는 해제부재 회전축(373)이 형성될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기 장착부(367)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부(371)에서 하부(372)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폭이 좁은 상부(371)가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373)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접하고, 넓은 하부(372)가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37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무게 중심은 해제부재 회전축(37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37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대기 상태일 때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상부(371)는 회전된 상태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의 접촉을 준비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부(371)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테두리부(344)와 접촉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상부(371)에는 경사 또는 라운드진 접촉부(3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74)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테두리부(344)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테두리부(344)가 상기 접촉부(374)에 걸려 구속되지 않고 상기 접촉부(374)를 누르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동작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대기 상태일 때의아이스 트레이와 만빙감지레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결빙 구속시 해지를 위한 결빙 해제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이빙을 위해 회전되지 않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만빙 감지를 위해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만빙감지레버(36)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기 감지부(364)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외측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배치 위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하면의 셀(341)과 셀(341)사이의 함몰된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9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단부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셀(341)과 셀(34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외측면과 접촉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373)을 기준으로 우측 하방에 무게중심이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는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37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의 접촉부(374)가 상기 셀(341)과 셀(341)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셀(341)의 외측면과는 접촉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설정각도만큼 회전된 후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테두리부(344)와 접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결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정상적인 만빙감지를 위한 회전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25) 내부의 습기가 결착되거나 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급수 중의 물이 튀는 등 여러 상황에 의해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레버 회전축(453) 또는 상기 레버 회전축(453)과 인접한 부위가 결빙되어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정상적인 회전이 불가능 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결빙되어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부(3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되어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테두리부(344)가 상기 접촉부(374)와 접촉된다.
상기 테두리부(344)가 상기 접촉부(374)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더 회전되면, 테두리부(344)는 상기 접촉부(374)를 눌러 상기 결빙 해제부재(37)를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레버 회전축(453)의 결빙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결빙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함께 회전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결빙 해제부재(37) 사이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344)에 더 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결빙 해제부재(37)가 접촉되는 구간은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결빙되지 않은 상태로 정상동작 될 때에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이 개시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빙 해제부재(37)에 의해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결빙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즉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만빙의 감지 후 다시 도 9와 같은 대기 상태로 복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 및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을 위한 상기 구동부(32)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동작시 구동부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3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기어(42), 상기 전달기어(42)와 결합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기어(43), 상기 만빙감지레버(36)를 회전시키는 레버 회전기어(45), 상기 전달기어(42)와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동작을 위한 이들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41)는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 내부의 서포팅 플레이트(47)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47)는 상기 구동부(32)의 동작을 위한 피시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및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모터(41)의 회전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의해 결정되며, 이빙을 위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 각도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제빙 상태와 이빙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를 회전 및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41)의 구동을 위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 각도 또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상부에 일측에 배치되며, 모터 축(411)이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축(411)은 상기 모터(41)가 지지된 일측과 반대 측의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타단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축(411)에는 웜 기어(4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웜 기어(412)의 하방에는 다수의 전달기어(42)가 서로 맞물린 채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전달기어(42)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달기어(42)들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기어가 배치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전달기어(42)들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42)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제 1 전달기어(421)와 제 2 전달기어(422) 그리고 제 3 전달기어(423)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달기어(4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는 3개의 전달기어(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전달기어(421)는 상기 모터(41)의 웜 기어(412)와 연결되고, 제 3 전달기어(423)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 및 연결부재(44)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달기어(422)는 상기 제 1 전달기어(421)와 제 2 전달기어(4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전달기어(42)들의 크기 및 기어이의 형상은 상기 구동부(32)의 크기 및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 및 연결부재(44)의 배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는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 단면 구조를 도시하여 이너 파트(432)와 아우터 파트(433)로 분리된 것으로 보이나 전체 트레이 회전기어(43)는 이너 파트(432)와 아우터 파트(433)가 일측에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상기 아우터 파트(433)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기어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파트(432)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중앙부를 형성하며, 상기 아우터 파트(433)와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파트(432)의 중앙에는 상기 트레이 회전축(4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회전축(431)은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 중심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회전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된다.
상기 이너 파트(432)의 외측면 둘레는 트레이 안내부(432a)와 기동부(432b) 그리고 레버 안내부(432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파트(43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4)의 일측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가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이너 파트(432)의 외측면을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4)의 일측이 상기 기동부(432b)와 레버 안내부(432c) 그리고 트레이 안내부(432a)를 차례로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가 회전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44)의 일측이 상기 기동부(432b)와 레버 안내부(432c)를 지나는 과정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와 레버 회전기어(45)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와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의 일단에는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 결합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441)는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441)는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개구된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441)의 내측에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441)는 상기 제 3 전달기어(423)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4)의 타단에는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를 동작시키는 수용부(4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42)는 상기 연결부재(44)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442)의 내측에는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삽입부(451)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451)가 상기 수용부(4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레버 회전기어(45) 또한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4)에 상기 삽입부(45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에 수용부(44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4)의 일측에는 접촉부재(4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 내부의 외측면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기동부(432b)와 레버 안내부(432c) 그리고 트레이 안내부(432a)를 차례로 지나게 되며, 상기 이너 파트(432)의 외측면과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443)는 롤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4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이너 파트(432)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4)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는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 중심과 연결되는 레버 회전축(4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453)은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중앙에서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 회전축(453)은 상기 트레이 회전축(431)과 동일한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회전축(431)보다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44)의 수용부(442)에 삽입되는 삽입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51)는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회전 중심에서 떨어진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삽입부(451)가 상기 수용부(4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만큼 상기 연결부재(4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삽입부(451) 또한 함께 이동되어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다른 일측에는 탄성부재(46)가 장착되는 제 1 탄성부재 장착부(45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 장착부(452)에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6)는 인장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 회전기어(45) 및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6)의 일단은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탄성부재 장착부(452)에 결합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2 탄성부재 장착부(32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6)는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 인장상태를 유지하여 탄성 복원력이 최대인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최소 인장상태 또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 즉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회전을 위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41)의 구동시 상기 전달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달기어(42)에 의해 의해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 이너 파트(432)의 상기 트레이 안내부(432a)와 접촉되고 있는 상태로 상기 트레이 안내부(432a)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회전하게 되지만,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트레이 안내부(432a)와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4)는 최초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레버 회전기어(45) 및 만빙감지레버(36) 또한 회전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가 도 11의 상태에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기동부(432b)와 접촉되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기동부(432b)를 지나게 되며, 상기 기동부(432b)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44)는 순간적으로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기동부(432b)를 지나게 될 때, 상기 연결부재(44)는 순간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수용부(442)는 상기 삽입부(451)를 눌러서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순간적인 역방향 회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지속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가 더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기동부(432b)를 완전히 넘어서게 되며, 상기 레버 안내부(432c)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레버 안내부(432c)는 상기 기동부(432b) 및 트레이 안내부(432a)보다 더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만빙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되는 구간 동안 상기 접촉부재(443)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회전으로 도 13과 같이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기동부(432b)를 지나 레버 안내부(432c)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레버 안내부(432c)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44)는 정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기동부(432b)를 지나 레버 안내부(432c)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역회전한 뒤 정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 또한 순간적으로 정역회전하는 기동 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 레버 회전기어(45) 또는 연결부재(44)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순간적인 충격을 가해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각 구성들의 결빙 상태를 해소하거나 기어 결합을 재정렬 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레버 안내부(432c)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지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4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442)는 상기 삽입부(451)를 들어올려 상기 레버 회전기어(4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만빙감지레버(36)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회전되어 도 14에서와 같이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레버 안내부(432c)의 공간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너 파트(432)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6)는 수축되어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도 14와 같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의 얼음이 만빙 위치 이상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의해 간섭될 수 있으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회전되지 못하고 간섭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빙장치(30)에 제공된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이러한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빙장치(30)의 이빙 및 금수 작업을 중지하여 더 이상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로 얼음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한편, 만빙감지레버(36)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적으로 상기 만빙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내부의 얼음 저장상태는 만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이빙을 위해서 도 15와 같이 더 회전된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회전되는 과장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얼음은 하방으로 이빙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27)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만빙 감지 위치에서 도 11과 같은 대기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트레이 회전기어(43)가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재(443)는 내측으로 함몰된 레버 안내부(432c) 내측을 벗어나 다시 상기 트레이 안내부(432a)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 안내부(432c)의 내측은 함몰되고 상기 레버 안내부(432c)의 양단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의 지속적인 회전시 상기 접촉부재(443)는 상기 레버 안내부(432c)의 단부와 접하면서 상기 레버 안내부(432c)를 벗어나 상기 트레이 안내부(432a)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트레이 안내부(432a)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4)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44)의 수용부(442)가 상기 레버 회전기어(45)의 삽입부(451)를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레버 회전기어(4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대기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443)가 상기 레버 안내부(432c)를 벗어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4)가 회전되면서 상기 탄성부재(46)가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4)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면서 상기 접촉부재(443)와 상기 이너 파트(432)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되어서 이빙되는 과정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회전 동작 중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부터 이빙되는 얼음 중 일부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감지부(364)와 접하게 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측을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1)의 제빙장치(3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제빙장치에서 얼음이 만들어지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빙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장치(26)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5)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트레이 커버(35)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도 16에서와 같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테두리부(344)는 상기 트레이 커버(35)와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대기 상태가 되며, 상기 감지부(364)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회전 경로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회전을 개시하게 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대기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상기 트레이 커버(35)의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레버 배치부(354)가 형성하는 공간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감지부(364)는 상기 레버 배치부(354)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후벽 상단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기 아이스 뱅크(27)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364)에 의해 차폐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빙장치(30)에 제공되는 온도센서(345)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이빙을 위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제빙장치에서 만빙이 감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이빙을 위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동작은 도 11내지 도 1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는 경우 만빙감지레버(36)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완전히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 위치까지 도달한 후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의해 만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이빙을 위한 회전을 중단하고 역회전되어 원래의 제빙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얼음이 쌓이게 될 때 실질적으로 얼음이 쌓이게 되는 영역을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회전하면서 지날 수 있게 되어 오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판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의 얼음이 만빙 높이에 있을 경우 확실한 감지가 가능하며, 반복되는 얼음과의 접촉에도 파손이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인 만빙의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얼음이 만빙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회전되는 동안에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설정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얼음이 상기 아이스 뱅크(27)로 이빙될 수 있다.
도 18은 상기 제빙장치에서 얼음이 이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제빙된 얼음의 이빙을 위해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부터 얼음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하방으로 얼음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일부의 얼음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부딪힐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 곡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일측에 쌓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도 18과 같이 완전히 뒤집히도록 회전되기 전부터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대기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회전이 진행 중인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낙하되는 얼음은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걸리지 않고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회전하면서 낙하하는 얼음을 고르게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에 얼음을 고르게 분산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만빙감지레버(36)가 완전히 대기상태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상기 감지부(364)의 내측면이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내측을 향하게 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낙하되는 얼음이 상기 감지부(364)측을 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측으로 안내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의 고른 영역에서의 만빙 감지는 물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완전히 뒤집히게 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얼음은 모두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측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며,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 모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정지된 상태로 상기 이빙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정지될 수 있으며, 이빙이 완전히 완료되도록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제빙을 위해 다시 도 11에서와 같이 급수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복귀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도 18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41)가 역회전하여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43)를 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동작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만빙감지레버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빙장치의 만빙감지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만빙감지레버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빙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실(2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30)는 상기 구동부(32)와, 컨트롤박스(33), 아이스 트레이(34) 그리고 만빙감지레버(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구동부 케이스(321)의 내부에 모터(41)와 다수의 기어들(42,43,44,45)을 포함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상기 만빙감지레버(3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 케이스(321)의 내측면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34)가 배치되는 면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결합되는 트레이 회전축(43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회전축(431)이 배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상기 만빙감지레버(36)와 결합되는 레버 회전축(45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454)은 상기 트레이 회전축(431)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며, 도 19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의 하방 좌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부에 저장되는 얼음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4)는 만빙감지레버(36)와 동일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와 만빙감지레버(3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낙하되는 얼음이 상기 만빙감지레버(36)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감지레버(36)는 만빙 감지를 위해서 상기 아이스 뱅크(27)를 가로지르도록 이동되며, 이와 같은 동작중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4)에서 낙하되는 얼음을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 내측에 얼음을 고르게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만빙감지레버(36)의 구조와 형상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장착 위치만 상기 구동부(32) 일면의 우측에서 좌측(도 19에서 볼 때)으로 변경될 것이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4) 및 만빙감지레버(36)의 회전 방향만 변경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맞추어 상기 구동부(32) 내부의 기어 배치들도 적절하게 변경 배치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제빙장치가 냉동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제빙장치가 장착되는 도어 및 그 배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제빙장치 자체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빙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2)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5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50)의 내부는 상기 저장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베리어(51)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52)과 냉동실(53)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61)는 상기 냉장실(52)과 냉동실(53)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61)와 냉동실 도어(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61)와 냉동실 도어(62)는 상기 캐비닛(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2)의 배면에는 제빙장치(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30) 및 아이스 뱅크(27)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냉동실 도어(62)의 배면에 직접 장착되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냉동실(53) 내부의 냉기가 상기 제빙장치(3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빙 케이스(6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케이스(621)의 상방에는 냉기의 유입을 위한 냉기 유입구(621a)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장치(30)는 상기 제빙 케이스(621)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냉동실(53) 또는 상기 냉동실(53)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동실(53) 후벽면에 구비되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냉기 유입구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빙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 케이스(621)는 단열을 위한 것이 아니라 냉기의 집중적인 공급 및 상기 제빙장치(30)의 커버를 위한 것으로, 상기 제빙장치(30) 및 아이스 뱅크(27)는 상기 냉동실(53) 내부의 냉기에 의해 실질적으로 냉각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케이스(621)의 하부에는 아이스 뱅크(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27)는 상기 제빙장치(3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장치(30)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27)의 내부에는 상기 제빙장치(30)의 만빙감지레버(36)에 의해 항상 얼음이 만빙상태를 유지하도록 얼음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27)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62)의 개방시 얼음의 저장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6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62)의 전면에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27)와 디스펜서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27)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로 취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34)

  1.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 배면에 구비되며,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
    상기 제빙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장치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장치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급수하는 급수장치;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회전을 위한 레버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의 동일한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회전축보다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트레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뱅크의 전면 상단은 상기 제빙장치의 일부를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단부와 대응하는 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빙장치와 아이스 뱅크의 사이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며,
    제빙을 위해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 내측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얼음의 감지를 위한 일 단이 상기 아이스 뱅크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를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다수의 얼음을 형성하기 위해 구획된 다수의 셀로 구성되되, 상기 셀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셀의 외측면과 상기 제빙실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도어에 구비되며,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급수하는 급수장치;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방에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트레이 회전축과, 상기 만빙감지레버의 회전을 위한 레버 회전축은 상기 구동부의 동일한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회전축보다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일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절곡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설정된 높이의 얼음과 접하여 만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감지부의 일단까지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면에서 상기 감지부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 상단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폭은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대기 및 만빙감지를 위해 회전될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내 외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과 접촉되는 상기 감지부의 일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내측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의 반대편 일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내측면 단부에서 상기 보강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절곡 또는 벤딩되는 보조 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냉장고용 제빙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최초 정지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측방에 상기 감지부의 상단이 위치될 때까지 회전되고,
    만빙 감지를 위해 상기 만빙 감지레버가 회전되는 만빙 감지 모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의 하단이 최저높이가 될 때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방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방을 감싸 물 튐을 방지하며, 냉기 유입구를 통해 냉각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트레이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감지부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진 레버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과;
    상기 셀 상방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셀과 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프레임부와 접촉되는 결빙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며,
    상기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결빙해제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해제부재의 양측면에는 해제부재 회전축이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의 배면에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빙해제부재의 무개 중심은 상기 해제부재 회전축보다 더 하방 및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결빙해제부재가 상기 테두리부와 접촉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만빙 감지를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측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측을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레이 회전축과 레버 회전축이 돌출되는 구동 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 내부의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 회전축이 형성되는 트레이 회전기어;
    상기 레버 회전축이 형성되는 레버 회전기어; 및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상기 레버 회전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회전기어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이너 파트와;
    상기 이너 파트와 이격된 외측에서 상기 전달기어와 결합되는 기어 이가 형성되는 아우터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 회전기어의 일측을 수용하여 상기 레버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수용부와;
    상기 이너 파트와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레버 회전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 케이스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레버 회전기어 및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트는,
    상기 이너 파트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재와 접하는 상기 트레이 안내부와;
    상기 트레이 안내부의 양단 사이에서 함몰되며,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는 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재가 수용되는 레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안내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가 되기 전의 상기 이너 파트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안내부와 레버 안내부의 사이에는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재의 통과시 상기 만빙감지레버를 순간적으로 역회전 후 정회전시키는 기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안내부의 양단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 안내부의 중앙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이너 파트와 떨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20170116897A 2017-09-13 2017-09-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238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97A KR102382460B1 (ko) 2017-09-13 2017-09-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DE102018215591.7A DE102018215591A1 (de) 2017-09-13 2018-09-13 Kühlschrank und Eisherstellungvorrichtung des Kühlschranks
US16/130,306 US11313602B2 (en) 2017-09-13 2018-09-13 Refrigerator and ice-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US17/701,413 US11976865B2 (en) 2017-09-13 2022-03-22 Refrigerator and ice-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97A KR102382460B1 (ko) 2017-09-13 2017-09-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877A true KR20190029877A (ko) 2019-03-21
KR102382460B1 KR102382460B1 (ko) 2022-04-05

Family

ID=6544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897A KR102382460B1 (ko) 2017-09-13 2017-09-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313602B2 (ko)
KR (1) KR102382460B1 (ko)
DE (1) DE1020182155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371A1 (ko) * 2022-01-12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3665B2 (en) * 2017-08-31 2020-08-25 Nidec Sankyo Corporation Ice making device
KR102548279B1 (ko) 2018-09-28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제빙 어셈블리
EP3862671A4 (en) * 2018-10-02 2022-07-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653958B1 (en) * 2018-11-16 2023-09-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231217B2 (en) * 2019-08-06 2022-01-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417855B1 (ko) * 2020-09-14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어셈블리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8699A (en) * 1985-04-11 1986-12-16 White Consolidated, Inc. Ice maker
KR20000034275A (ko) * 1998-11-28 2000-06-15 구자홍 냉장고의 제빙기어셈블리 및 이빙방법
KR101344284B1 (ko) * 2012-03-09 2013-12-24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구동장치
JP2014081189A (ja) * 2012-09-28 2014-05-08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
US20140165602A1 (en) *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and method for forming clear 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624A (en) * 1998-12-28 2000-11-2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JP3582706B2 (ja) 1999-11-11 2004-10-27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および自動製氷機ならびに冷蔵庫
KR100671567B1 (ko) * 2004-05-18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0748971B1 (ko) * 2005-11-1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580448B1 (ko) * 2009-01-14 2015-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310115B2 (en) 2012-12-13 2016-04-12 Whirlpool Corporation Layering of low thermal conductive material on metal tr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8699A (en) * 1985-04-11 1986-12-16 White Consolidated, Inc. Ice maker
KR20000034275A (ko) * 1998-11-28 2000-06-15 구자홍 냉장고의 제빙기어셈블리 및 이빙방법
KR101344284B1 (ko) * 2012-03-09 2013-12-24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구동장치
JP2014081189A (ja) * 2012-09-28 2014-05-08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
US20140165602A1 (en) *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and method for forming clear 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371A1 (ko) * 2022-01-12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460B1 (ko) 2022-04-05
US11313602B2 (en) 2022-04-26
DE102018215591A1 (de) 2019-03-14
US11976865B2 (en) 2024-05-07
US20190078824A1 (en) 2019-03-14
US20220214092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987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CN109764588B (zh) 冰箱
KR101631322B1 (ko) 냉장고
EP2054680B1 (en) Ice maker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101622601B1 (ko) 냉장고 및 그의 만빙감지장치
KR20110072506A (ko) 냉장고
KR20140003207A (ko) 냉장고
MX2008014660A (es) Refrigerador.
KR101236771B1 (ko) 제빙기의 얼음 분리 저장 장치
US11209200B2 (en) Refrigerator and ice-making assembly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20110072393A (ko) 냉장고
KR20090132401A (ko) 제빙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200158404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1691226B1 (ko) 냉장고
US11566829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163522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00065969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40051633A (ko) 냉장고
KR20090109420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2021002664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100600726B1 (ko) 냉장고의 제빙기
KR2008002090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