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63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33A
KR20240051633A KR1020220131535A KR20220131535A KR20240051633A KR 20240051633 A KR20240051633 A KR 20240051633A KR 1020220131535 A KR1020220131535 A KR 1020220131535A KR 20220131535 A KR20220131535 A KR 20220131535A KR 20240051633 A KR20240051633 A KR 20240051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row
area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서창호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633A/ko
Priority to PCT/KR2023/012552 priority patent/WO2024080537A1/ko
Publication of KR2024005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하는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연결부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샤프트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의 형태는 상기 제 2 영역에서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의 형태와 다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0207호에는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제빙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제빙 장치는, 얼음이 제조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트레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걸리게 되어 트레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이러한, 비틀림 과정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얼음이 분리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로 낙하된다.
상기 트레이는, 소정 크기와 깊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아이스 큐브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복수의 개의 아이스 큐브에 균일하게 물이 분배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지 못하고, 트레이가 비틀려 얼음을 분리할 때에 전체적인 아이스 큐브에서 얼음이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지 못한다.
본 실시 예는, 트레이 내의 복수의 제빙셀로 물이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제빙셀로 물이 분배되도록 하면서도 온도 센서의 설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빙 과정에서 트레이의 복수의 제빙셀 각각에서 얼음이 원활히 분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스펜서가 슬림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하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연결부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샤프트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의 형태는 상기 제 2 영역에서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셀 벽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은 상기 제 2 영역의 셀 벽과 상기 수직선이 이루는 각 보다 클 수 있다.
물은 상기 제 2 영역의 일 제빙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빙셀 간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2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빙셀 간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물골의 깊이는 상기 제 2 영역의 물골의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물골에는 제 1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물골에는 제 2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블레이드의 폭은 상기 제 2 블레이드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물골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물골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제빙셀의 개수는 상기 제 2 영역의 제빙셀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셀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각 열은 2이상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에 제 2 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열과 제 2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1 물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2 열과 제 3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2 물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3 물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3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이 이동을 위한 제 4 물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이 미존재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열의 제빙셀은 상기 제 1 물골 또는 제 2 물골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미존재하여 상기 제 1 영역의 제 2 열의 제빙셀은 상기 제 1 물골 또는 제 2 물골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이 구비될 수 있다.
물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열의 일 제빙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형성하는 두 셀 벽 사이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온도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센서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3개 이상의 설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프레임은 3개 이상의 설치 리브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설치 리브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경우, 복수의 제빙셀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각 열은 2이상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에 제 2 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열과 제 2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1 물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2 열과 제 3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2 물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3 물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3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이 이동을 위한 제 4 물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이 미존재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열의 제빙셀은 상기 제 1 물골 또는 제 2 물골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두 셀 벽 사이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아이스 트레이 내의 복수의 제빙셀로 물이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제빙셀로 물이 원활히 분배되도록 하면서도, 온도 센서가 설치된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궤적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에서 구동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이빙력이 증가될 수 있어, 전체적인 아이스 트레이에서의 이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제빙기와 제 1 아이스 빈의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평면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측면도.
도 12는 도 9의 A-A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B-B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제 1 영역의 물골과 제 2 영역의 물골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9의 C-C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가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적어도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저장 공간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공간(124)이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공간(124)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2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유동을 위한 냉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도시되지 않은 냉기 덕트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일례로 도어 라이너(10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기 제 2 공간(124) 중 하나 이상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1 냉기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는 상기 캐비닛(2)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제 1 공간(1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서 냉기는 상승하여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1 제빙기(20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2 냉기 유로(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부의 냉기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서 냉기는 하강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2 제빙기(5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3 냉기 유로(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하측부의 냉기가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급수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트위스트)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하 길이 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가이드하고 얼음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는 물 탱크(3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탱크(3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5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스켓(1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340)의 위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두께 증가가 최소화되는 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후측에 상기 제 2 공간(124)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이 슬림해진 것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슬림화를 위해서 아이스 트레이의 형태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형태 개선에 의해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얼음의 크기를 줄이면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나 아이스 슈트(700)의 유로 폭을 줄일 수 있어 디스펜서의 슬림화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제빙기와 제 1 아이스 빈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258)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물이 공급될 때,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커버하는 트레이 커버(2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물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00)로 안내하는 급수부(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부(256)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지지되는 지지벽(254)이 구비되는 지지 브라켓(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70)은, 제 1 지지부(272)와, 상기 제 1 지지부(272)와 결합거나 상기 제 1 지지부(272)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지지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270)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지지부(272)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72)에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개구(2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213)는 상기 지지벽(2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54)은 일례로 상기 제 2 지지부(27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70)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 어셈블리의 동력을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2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70)에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만빙감지기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기구(26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부(27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기구(26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기구(260)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61)와, 상기 송신부(261)와 이격되며 상기 송신부(261)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61)에서 송신된 광이 상기 수신부(262)로 도달하면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송신부(261)에서 송신된 광을 상기 수신부(262)가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수신부(262)에서 수신한 광량이 기준 광량 미만이면, 만빙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만빙감지기구(260)는 회전 동작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대기 위치에서 만빙 감지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회전 가능한 경우에는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레버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만빙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기구(26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A-A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B-B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 1 영역의 물골과 제 2 영역의 물골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9의 C-C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아이스 트레이(210)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빙셀(230)을 정의하는 트레이 바디(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일측에는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2)에는 동력전달부(25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타측에는 상기 샤프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빙셀(230)은 제 1 방향(도 9에서 X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회전 중심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상기 샤프트(213)는 상기 제 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빙셀들을 "열" (또는 그룹)이라 이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빙셀(230)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제 1 열 내지 제 3 열(222, 224, 2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222)은 복수의 제 1 제빙셀(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열(224)은 복수의 제 2 제빙셀(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열(226)은 복수의 제 3 제빙셀(2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222)과 제 3 열(226) 사이에 제 2 열(224)이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제빙셀(232)은 제 1 셀 벽(232b)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234)은 제 2 셀 벽(234b)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셀(236)은 제 3 셀 벽(236b)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10)의 제한된 폭(도 9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의 폭) 범위 내에서 복수의 제빙셀이 3열로 배치되면, 제빙량이 감소되지 않으면서 각 제빙셀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2)(또는 구동부(480)의 동력이 전달되는 지점)과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 바디(211)를 제 1 영역(227)과 제 2 영역(228)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227)이 상기 제 2 영역(228) 보다 상기 연결부(212)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28) 내의 제빙셀의 개수는 상기 제 1 영역(228) 내의 제빙셀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급수부(256)를 통해서 물은 상기 제 2 영역(228)의 일 제빙셀(234a)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 제빙셀(234a)은 상기 제 2 열(224)에 구비되는 제빙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일 제빙셀(234a)을 급수 제빙셀(water supplied ice making cell)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제빙셀(234a)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1 열(222)의 제 1 제빙셀(232)과 상기 제 3 열(226)의 제 3 제빙셀(236)로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급수 제빙셀(234a)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열(224)의 제 2 제빙셀(234)로 직접 분배되지는 않는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1)는 상기 제 1 열(222)의 제 1 제빙셀(232)과 상기 제 2 열(224)의 제 2 제빙셀(234) 간에 물이 이동하기 위한 제 1 물골(241)(물 통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1)는 상기 제 2 열(224)의 제 2 제빙셀(234)과 상기 제 3 열(226)의 제 2 제빙셀(236) 간에 물이 이동하기 위한 제 2 물골(242)(물 통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물골(241)과 상기 제 2 물골(242)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1)는, 상기 제 1 열(222)의 복수의 제 1 제빙셀(232) 간에 물이 이동하기 위한 제 3 물골(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1)는, 상기 제 3 열(226)의 복수의 제 3 제빙셀(236) 간에 물이 이동하기 위한 제 4 물골(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1)에는 상기 제 2 열(224)의 복수의 제 2 제빙셀(234) 간에 물이 이동하기 위한 통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제빙셀(234a)에 물이 공급되면, 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물골(241)을 통해 상기 제 1 열(222)에서 상기 급수 제빙셀(234a)과 인접한 제빙셀(232a)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222)의 제빙셀(232a)로 분배된 물은 상기 제 3 물골(243)을 통해서 상기 제 1 열(222)의 다른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제빙셀(234a)로 공급된 물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물골(242)을 통해 상기 제 3 열(226)에서 상기 급수 제빙셀(234a)과 인접한 제빙셀(236a)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열(226)의 제빙셀(236a)로 분배된 물은 상기 제 4 물골(244)을 통해서 상기 제 3 열(226)의 다른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222)의 복수의 제 1 제빙셀(232) 간에 물이 분배되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물골(241)을 통해서 상기 제 2 열(224)의 제 2 제빙셀(234)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열(226)의 복수의 제 3 제빙셀(236) 간에 물이 분배되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2 물골(242)을 통해서 상기 제 2 열(224)의 제 2 제빙셀(234)로 분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열(224)에서 상기 급수 제빙셀(234a)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제빙셀(234)은 제 1 열(222) 또는 제 3 열(226)로부터 물을 분배받을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하측에는 센서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온도 센서(292)와, 상기 온도 센서(292)를 지지하는 센서 프레임(2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프레임(294)이 상기 트레이 바디(21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물골(241 내지 244)은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골(241 내지 244)을 형성하는 벽은 인접하는 두 셀 벽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294)는 인접하는 두 셀 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두 셀 벽 사이에 물골을 형성하는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온도 센서(294)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어 온도 센서의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물론, 상기 온도 센서(294)를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센서 모듈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면, 센서 모듈이 설치된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회전 궤적이 커져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회전 궤적 만큼 나머지 부분의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와 같이 물골이 형성되지 않는 제 2 열을 형성하는 제 2 셀 벽(234b)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면 상기 트레이 바디(211)의 회전 궤적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셀 벽(234b)에는 상기 센서 프레임(294)이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설치 리브(2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프레임(294)은 이격되는 두 개의 설치 리브(238)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설치 리브(238)는 적어도 3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설치 리브(238)의 개수가 증가되면 상기 센서 모듈의 설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설치되는 위치나 냉장고 종류에 따라서 동일한 형태의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상기 센서 모듈의 위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아이스 트레이(210)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센서 모듈의 위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은 상기 제 2 영역(228)의 급수 제빙셀(234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제빙셀(234a)은 복수의 제빙셀(230)의 정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급수 제빙셀(234a)로 공급된 물이 나머지 제빙셀로 원활히 분배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상기 급수 제빙셀(234a)에서 멀리 위치되는 제빙셀로도 물이 원활히 공급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영역(227)에서의 물골의 형태는 상기 제 2 영역(228)에서의 물골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영역(228)에서 일부 물골의 형태는 상기 제 1 영역(227)에서의 물골의 형태와 동일하고, 상기 제 2 영역(228)에서 다른 일부의 물골의 형태는 상기 제 1 영역(227)에서의 물골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영역(228)에는 형태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물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228)의 물골의 형태는 상기 제 1 영역(227)이 물골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도 12에는 제 1 영역의 물골이 도시되고, 도 13에는 제 2 영역의 물골이 도시된다.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영역(227)에서 각 물골(241a, 242a, 243a, 244a)의 깊이는 상기 제 2 영역(227)에서의 각 물골(241b, 242b, 243b, 244b)의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영역(227)의 제 3 물골(243a)과, 제 2 영역(228)의 제 3 물골(243b)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영역 별 제 3 물골 간의 형태 차이는 영역 별 제 1 물골, 제 2 물골 및 제 4 물골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227)의 제 3 물골(243a)에는 제 1 블레이드(24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영역(228)의 제 3 물골(243b)에는 제 2 블레이드(246)가 구비될 수 있다.
제빙 완료 후에 인접하는 두 제빙셀에 형성된 얼음이 서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블레이드(245, 246)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비트림력이 제공될 때, 연결된 두 얼음이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영역(227)에서 물이 원활히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영역(227)의 제 3 물골(243a)의 깊이(bh1)는, 상기 제 2 영역(228)의 제 3 물골(243b)의 깊이(bh2) 보다 클 수 있다.
제빙셀 간의 이빙력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영역(227)에서의 제 1 블레이드(245)의 폭(bw1)(일례로 최대폭)은 상기 제 2 영역(228)에서의 제 2 블레이드(246)의 폭(bw2)(일례로 최대폭) 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영역(227)에서의 제 3 물골(243a)의 폭(rw1)(일례로 최대폭)은 상기 제 2 영역(228)에서의 제 3 물골(243b))의 폭(rw2)(일례로 최대폭)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이빙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될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비틀림에 의해서 얼음의 이빙을 위한 힘(이빙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상기 연결부(212)에서 가까운 부분 보다 먼 부분에서의 이빙력이 크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이빙력이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이빙력이 낮은 부분에서 이빙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빙셀(230)을 형성하는 셀 벽과 수직선(v1)이 이루는 각을 테이퍼라 이름할 수 있다. 이때, 테이퍼가 크면 이빙력이 클 수 있다. 반면, 테이퍼가 크면 제빙셀의 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이빙력 관점에서는 모든 셀 벽의 테이퍼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나, 이 경우 제빙셀의 체적이 감소하게 되어, 1회 제빙 완료 시의 제빙량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빙량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도 이빙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영역(227)에서의 셀 벽(227a)의 테이퍼가 상기 제 2 영역(228)의 셀 벽(228a)의 테이퍼 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227)의 셀 벽의 형태는 상기 제 2 영역(228)의 셀 벽과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212)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1 영역(227)에서의 이빙력이 증가되어 이빙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물 넘친 방지를 위한 차단벽(215, 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차단벽(215)은 상기 연결부(212) 주변에 위치되고, 타 차단벽(216)은 상기 샤프트(212)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아이스 트레이 내의 복수의 제빙셀로 물이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제빙셀로 물이 원활히 분배되도록 하면서도, 온도 센서가 설치된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궤적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에서 구동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이빙력이 증가될 수 있어, 전체적인 아이스 트레이에서의 이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열의 제 2 제빙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셀 벽 중 일부에 물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a)는 연결부(212)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1 영역(227)과 멀게 위치되는 제 2 영역(228)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28)의 일 제빙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 1 영역(227) 특히, 상기 제 1 영역(227)의 제 2 열(224)로 원활히 분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영역(227)의 제 2 제빙셀을 형성하는 제 2 셀 벽(234b)에 물골(245)(제 5 물골)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영역(228)의 제 2 제빙셀을 형성하는 제 2 셀 벽에는 물골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8)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하는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연결부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샤프트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의 형태는 상기 제 2 영역에서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의 형태와 다른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셀 벽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은 상기 제 2 영역의 셀 벽과 상기 수직선이 이루는 각 보다 큰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물은 상기 제 2 영역의 일 제빙셀로 공급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빙셀 간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인접하는 제빙셀 간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의 물골의 깊이는 상기 제 2 영역의 물골의 깊이 보다 큰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물골에는 제 1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물골에는 제 2 블레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블레이드의 폭은 상기 제 2 블레이드의 폭 보다 큰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물골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물골의 폭과 동일한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제빙셀의 개수는 상기 제 2 영역의 제빙셀의 개수 보다 적은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빙셀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각 열은 2이상의 제빙셀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에 제 2 열이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열과 제 2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1 물골과,
    상기 제 2 열과 제 3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2 물골과,
    상기 제 1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3 물골과,
    상기 제 3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이 이동을 위한 제 4 물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이 미존재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열의 제빙셀은 상기 제 1 물골 또는 제 2 물골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미존재하여 상기 제 1 영역의 제 2 열의 제빙셀은 상기 제 1 물골 또는 제 2 물골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이 구비되는 냉장고.
  12. 제 9 항에 있어서,
    물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열의 일 제빙셀로 공급되는 냉장고.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형성하는 두 셀 벽 사이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센서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3개 이상의 설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프레임은 3개 이상의 설치 리브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설치 리브에 설치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하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빙셀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각 열은 2이상의 제빙셀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에 제 2 열이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제 1 열과 제 2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1 물골과,
    상기 제 2 열과 제 3 열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2 물골과,
    상기 제 1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제 3 물골과,
    상기 제 3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이 이동을 위한 제 4 물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물골이 미존재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열의 제빙셀은 상기 제 1 물골 또는 제 2 물골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형성하는 셀 벽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제 2 열의 제빙셀을 두 셀 벽 사이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20131535A 2022-10-13 2022-10-13 냉장고 KR20240051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35A KR20240051633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CT/KR2023/012552 WO2024080537A1 (ko) 2022-10-13 2023-08-2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35A KR20240051633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33A true KR20240051633A (ko) 2024-04-22

Family

ID=9066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535A KR20240051633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33A (ko)
WO (1) WO20240805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930A (ja) * 1994-05-11 1995-11-21 Matsushita Refrig Co Ltd 製氷装置
JP4802642B2 (ja) * 2005-09-30 2011-10-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07120822A (ja) * 2005-10-26 2007-05-1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を備えた貯蔵庫
US9915458B2 (en) * 2014-10-23 2018-03-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ate of ice production in an automatic ice maker
KR20220049942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537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226B2 (en) Refrigerator
KR101631322B1 (ko) 냉장고
EP3062048B1 (en) Refrigerator
KR101718995B1 (ko) 냉장고
KR101713327B1 (ko) 냉장고
EP2474798A1 (en) Refrigerator with an ice-making device
EP2476977B1 (en) Ice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30305771A1 (en) Refrigerator
KR20130028324A (ko) 냉장고
US11585584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9443B1 (ko) 냉장고
KR20240051633A (ko) 냉장고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20220049942A (ko) 제빙기 및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2020003810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77658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symmetrical ice cubes
KR20240051634A (ko) 냉장고
KR2022004994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66452A (ko) 냉장고
KR20240051627A (ko) 냉장고
KR20240051646A (ko) 냉장고
AU2022433051A1 (en) Ice mak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20240052146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