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89A -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89A
KR20190029189A KR1020170116446A KR20170116446A KR20190029189A KR 20190029189 A KR20190029189 A KR 20190029189A KR 1020170116446 A KR1020170116446 A KR 1020170116446A KR 20170116446 A KR20170116446 A KR 20170116446A KR 20190029189 A KR20190029189 A KR 2019002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nductor
fastening
power cable
slee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823B1 (ko
Inventor
이덕규
정근영
이웅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로서 다단 파단볼트의 체결저항에 따라 파단되는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슬리브 부재 외부로 다단 파단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접속작업의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MULTI STEP FRACTURE BOLT, POWER CAB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DEVICE OF POWER CABLE'S CONDUCTOR}
본 발명은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로서 다단 파단볼트의 체결저항에 따라 파단되는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슬리브 부재 외부로 다단 파단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접속작업의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는 통상 도체로서 구리(Cu) 도체 또는 알루미늄(Au) 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굴곡 특성 등을 위하여 복수 개의 소선을 연합하여 도체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류의 통전시 금속의 표피 효과 등을 이유로 구리 도체의 경우 복수 개의 소선이 각각 절연된 소선절연 도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접속되는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를 슬리브에 삽입한 후 압착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압착의 방법으로 양 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하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고 상당한 작업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의 양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면서도 전계 집중 또는 실드 간섭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아직 소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로서 다단 파단볼트의 체결저항에 따라 파단되는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슬리브 부재 외부로 다단 파단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접속작업의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직경이 감소되어 토크 인가시 파단이 가능한 제1 넥부; 상기 제1 넥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넥부의 최소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렌지부;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직경이 감소되어 토크 인가시 파단이 가능한 제2 넥부; 및, 상기 제2 넥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넥부보다 큰 폭을 가지며,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에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넥부 또는 상기 제2 넥부에서 파단이 발생되는 다단 파단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넥부의 최소 폭이 상기 제2 넥부의 최소 폭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의 하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넥부가 파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렌지부의 하면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2 넥부가 파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의 폭은 체결 대상물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의 폭보다 상기 플렌지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넥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파단볼트는 황동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넥부는 상기 플렌지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넥부 하부의 최소 폭이 상기 제2 넥부 하부의 최소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접속구조는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부,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 투입되어,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도체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파단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입자는 상기 슬리브 부재의 양단으로 삽입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체부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 입자는 금속 재질의 입자이며,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도체 입자 사이의 공극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의 단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1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지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2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부는 복수의 절연 소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 한 쌍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이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슬리브 부재;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파단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의 단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1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지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2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로서 다단 파단볼트의 체결저항에 따라 파단되는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슬리브 부재 외부로 다단 파단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계 집중을 방지하고, 슬리브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코로나 실드 등과의 접촉 또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도체부의 소선 절연층 제거작업 및 압착작업을 파단볼트 체결작업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접속작업의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가 장착되는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가 체결되어 파단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다단 파단볼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시한다.
도 10은 접속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코로나 실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100)은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는 구리,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진 단선 또는 복수의 도선이 연합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체부(10)의 직경,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11)의 직경 등을 포함하는 규격은 이를 포함하는 직류 전력 케이블(100)의 송전압,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11)은 각각 절연되어 표피효과로 인한 도체 저항을 줄임으로써 전력 전송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소선 절연 전력 케이블(100)을 접속하는 경우, 소선의 절연을 제거하고 양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압착의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200) 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그 중심부에 도체 입자를 주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양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력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내부 반도전층(20)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들뜸을 유발하는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은 상기 절연층(30)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 국부적인 전계집중 완화 및 외부로부터 케이블 절연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반도전층(20, 40)과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30)은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고압 케이블의 경우에는 기존의 OF케이블이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 케이블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최외부에 구비되는 외피(60)는 상기 자켓층(20)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200),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에 투입되어,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mp),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200)로 삽입된 도체부(10)를 고정하는 고정용 볼트(330)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후술하는 다단 파단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 한 쌍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이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230)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210)을 구비하는 슬리브 부재(200), 상기 통전용 체결홀(230)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 상기 고정용 체결홀(230)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 접속구조는 접속되는 케이블의 양 도체부(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슬리브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200)는 양단이 개방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210, 230)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부재이다. 그 예로는 상기 슬리브 부재(200)는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는 복수 개의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슬리브 부재(200)의 양단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양 도체부(10) 사이 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양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기 위한 통전용 체결홀(210)이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통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도체 입자(mp)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체 입자(mp)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금속 와이어를 잘게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 입자(mp)는 구리, 은, 구리합금, 은합금, 은도금구리, 은합금도금구리, 은도금구리합금, 은합금도금구리합금, 구리도금은, 구리합금도금은, 구리도금은합금, 구리합금도금은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들의 재질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이라면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 이외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슬리브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홀(230)이다.
고정용 체결홀(230)에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면, 상기 도체부(10)는 체결부위가 소성 변형 또는 관통되어 슬리브 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도체부(10)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통전용 체결홀(210)은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의 도체 입자(mp)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210)은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용 체결홀(230) 역시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슬리브 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위치에서 각각의 위치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체결홀들은 슬리브 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고정 효과를 도체부(10)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고, 통전용 볼트(310)에 의한 도체 입자(mp)의 압축 효과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볼트 체결홀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전용 볼트(310)와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 깊이에 따른 체결력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헤드부가 파단되는 파단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가 통전용 볼트는 체결력에 따른 도체 입자의 체결 저항의 크기에 따라 파단 높이가 달라질 수 있는 다단 파단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파단 볼트, 더 나아가 통전용 볼트(310)의 경우 다단 파단볼트로 구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는 접속함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접속구조 외측에 코로나 실드 등이 장착되어야 하며, 전계집중 방지 등의 이유로 볼트 헤드 등이 전력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구조여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황동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에는 복수 개의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210, 230)에 각각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 및 고정용 볼트(330)는 각각 파단 볼트로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다단 파단볼트롤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다단 파단볼트에 대하여 검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는 헤드부(311); 상기 헤드부(3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직경이 감소되어 토크 인가시 파단이 가능한 제1 넥부(313), 상기 제1 넥부(313)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넥부의 최소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렌지부(315), 상기 플렌지부(315)의 하부에 구비되며, 직경이 감소되어 토크 인가시 파단이 가능한 제2 넥부(317), 상기 제2 넥부(317)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넥부(317)보다 큰 폭을 가지며,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319)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311)에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넥부(313) 또는 상기 제2 넥부(317)에서 파단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11)는 공구 등을 통해 체결 토크가 인가되는 부분으로 체결 완료시 파단되어 제거되는 구성이며, 상기 헤드부(311) 하부에 제1 넥부(313), 플렌지부(315), 제2 넥부(317) 및 체결부(319)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19)는 체결 대상물인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외주면에 체결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319)의 폭은 체결 대상물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319)의 폭보다 상기 플렌지부(315)의 폭이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부(315)는 체결 깊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파단 높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파단볼트(310')는 황동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는 상기 제1 넥부(313)의 최소 폭이 상기 제2 넥부(317)의 최소 폭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넥부의 최소 폭을 이원화하여 2가지 크기로 구성하는 이유는 후술한다.
다단 파단볼트(3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넥부는 직경 또는 폭이 인접한 부분보다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면 헤드부(311)에서 공구에 의하여 체결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직경 또는 폭이 작은 부분에 전단응력이 인가되어 파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넥부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단 파단볼트(310')의 넥부는 각각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넥부(313)는 상기 헤드부(31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제1의 파단면은 제1 넥부(313)의 하단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넥부(317)는 상기 플렌지부(315)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제2의 파단면은 제2 넥부(315)의 하단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넥부(313)의 하단의 최소 폭이 상기 제2 넥부(315)의 하단의 최소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311)에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체결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폭이 가장 작은 제2 넥부(315)의 하단이 먼저 파단될 것으로 예상되나,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는 플렌지부(315)를 이용하여 체결 압력에 따라 제1 넥부(313)의 하단을 파단시키거나 제2 넥부(315)의 하단이 파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가 장착되는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에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가 체결되어 파단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는 슬리브 부재(200)에 체결 후 헤드부(311)가 파단되어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 상부로 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계 집중 또는 코로나 실드 등의 접촉 또는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는 플렌지부(315)가 구비되어 체결깊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파단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210)은 체결구(215)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부(315) 등이 삽입됨과 동시에 플렌지부(315)의 하면이 지지되기 위한 단차(2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213)는 상기 체결홀의 입구(211)의 내주면에서 직경이 축소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이다.
상기 체결홀(210)의 폭, 즉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의 폭(W)은 상기 다단 파단볼트(310')의 체결부(319)의 폭에 대응되고, 나사산도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홀(210)의 입구와 체결구(215) 사이에 단차(213), 즉 입구 근방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유는 공구의 접근성 확보 및 입구 내부의 여유 공간에 파단면이 배치되도록 하여 슬리브 부재의 표면 상부로는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 때문이다. 후자와 관련하여, 상기 단차없이 입구에서 플렌지가 지지되도록 하면 슬리브 부재 표면 외부로 파단면이 어느 정도 돌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체결홀 입구 내부에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파단볼트(310')는 도체 입자가 투입되는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에 체결되므로, 체결 순서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도체 입자의 공극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과정에서 체결작업이 수행된다. 도체 입자의 공극이 줄어드는 과정에서, 다단 파단볼트(310')를 체결홀에 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체결 토크는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마지막에 체결되는 다단 파단볼트(310')의 경우, 공극이 대부분 소멸된 상태에서 체결되므로, 충분한 체결 깊이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입자 내에 공극이 충분한 경우, 다단 파단볼트(310')를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하게 되면, 다단 파단볼트(310')는 상기 플렌지부(315)의 하면이 상기 체결홀의 단차(213)에 지지될 때까지 하강하고, 플렌지부(315)가 하강하면서 상기 단차(213)와의 마찰 또는 반력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311)를 통해 전달되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체결 토크(T)는 제2 넥부(317)의 하단에 전달되지 않고 제1 넥부(313)의 하단에 집중되어 플렌지부(315) 상부에서 파단면(fs1)을 형성하며 파단될 수 있다.
그러나, 도체 입자의 공극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렌지부(315)의 하면이 단차(213)에 접근하지 못하고, 상기 플렌지부(315)는 상기 단차(213)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311)에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체결 토크(T')가 인가되는 경우, 가장 폭이 작은 제2 넥부(317)의 하단에서 전단응력이 집중되어 파단면(fs2)이 형성되어, 슬리브 부재 외표면 상부로 파단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파단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상태에서, 넥부가 제1 넥부(313) 하나만 존재한다면, 파단면(fs1')이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 입구 상부로 돌출되어 전계 집중 또는 실드 간섭 등의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다단 파단볼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이 완료되면 도체 입자(mp)의 투입구로 사용된 통전용 체결홀(21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용 볼트(310)의 헤드부가 파단되도록 본 체결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체결이란 볼트의 헤드가 파단되도록 체결력을 인가하는 체결을 말하고, 임시 체결이란 도체 입자의 투입을 위하여 임시적으로 통전용 체결홀을 통전용 볼트로 막거나 도체부의 슬리브 삽입시 스토퍼 역할을 위한 체결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이 수행되기 전에 임시 체결되었던 고정용 볼트(330)의 본 체결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본 체결과정에서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슬리브 부재(200)와 도체부(1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도체 입자(mp)를 슬리브 부재(200)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통전용 체결홀(210)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230)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도체부(10)의 단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리브 부재(200)와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뒤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은 공구로 토크가 인가되는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체결 완료시 파단되는 영역이고 상기 체결부는 체결 완료시 슬리브 부재 내부로 진입하여 체결되는 구성이다.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양 도체부의 단부 측면 사이로 압입되어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와 상기 도체 단부가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절연 소선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 피복을 제거하여 이를 압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 접속구조의 경우, 도체 입자(mp)를 사용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100)의 단면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별도의 절연층 제거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부가 파단되도록 본 체결이 완료된 후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하부에 도시된 통전용 볼트(310)를 가장 먼저 체결하고, 도 9의 상부에 도시된 통전용 볼트를 가장 나중에 체결하는 경우, 도 9의 하부에 도시된 통전용 볼트는 그 플렌지부가 통전용 체결홀의 단차에 지지될 때까지 삽입되어 체결된 후 전단응력이 제1 넥부(313)의 하단에 집중되어 파단면이 플렌지부 상부에 형성되고, 도 9의 상부에 도시된 통전용 볼트는 슬리브 부재 내부에 수용된 도체 입자들 사이의 공극이 감소되어 체결 저항이 커지게 되어 그 플렌지부가 통전용 체결홀의 단차에 접근하지 못한 상태로 전단응력이 제2 넥부(317)의 하단에 집중되어 파단면이 체결부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단 파단볼트를 사용하여, 체결 저항의 크기와 무관하게 파단되는 위치를 변경시켜 통전용 볼트의 체결 상태에서 슬리브 부재 외측으로 고정용 볼트 또는 통전용 볼트의 파단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접속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코로나 실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이 완료된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는 각각의 고정용 볼트(330)와 통전용 볼트(310)의 헤드부가 모두 파단되어 슬리브 부재(2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속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200)와 별도의 코로나 실드가 접지되어 코로나 방전 등의 사고시 실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로나 실드가 장착된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는 단차 등이 없이 매끈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100)을 접속하는 경우,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로서 다단 파단볼트의 체결저항에 따라 파단되는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슬리브 부재 외부로 다단 파단볼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접속작업의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전력 케이블의 접속작업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 파단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전력 케이블
200 : 슬리브 부재
310 : 통전용 볼트
330 : 고정용 볼트
mp : 도체 입자

Claims (23)

  1.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직경이 감소되어 토크 인가시 파단이 가능한 제1 넥부;
    상기 제1 넥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넥부의 최소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렌지부;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직경이 감소되어 토크 인가시 파단이 가능한 제2 넥부; 및,
    상기 제2 넥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넥부보다 큰 폭을 가지며,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에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넥부 또는 상기 제2 넥부에서 파단이 발생되는 다단 파단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넥부의 최소 폭이 상기 제2 넥부의 최소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의 하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넥부가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의 하면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인가되면 상기 제2 넥부가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폭은 체결 대상물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의 폭보다 상기 플렌지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파단볼트는 황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넥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넥부는 상기 플렌지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넥부 하부의 최소 폭이 상기 제2 넥부 하부의 최소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단볼트.
  10.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접속구조는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부,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 투입되어,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도체부를 고정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파단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상기 슬리브 부재의 양단으로 삽입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체부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금속 재질의 입자이며,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도체 입자 사이의 공극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의 단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1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지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2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는 복수의 절연 소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20.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 한 쌍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이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슬리브 부재;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파단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의 단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1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통전용 볼트에 구비된 플렌지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의 입구에 지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는 제2 넥부의 하단에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0170116446A 2017-09-12 2017-09-12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471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46A KR102471823B1 (ko) 2017-09-12 2017-09-12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46A KR102471823B1 (ko) 2017-09-12 2017-09-12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89A true KR20190029189A (ko) 2019-03-20
KR102471823B1 KR102471823B1 (ko) 2022-11-28

Family

ID=6603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446A KR102471823B1 (ko) 2017-09-12 2017-09-12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474A (ko) * 2021-03-18 2022-09-27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 케이블의 접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505A (en) * 1993-06-16 1995-01-10 Lock-N-Stitch International Method for repairing cracks
JPH0732972Y2 (ja) * 1989-09-15 1995-07-31 住金精圧品工業株式会社 ボルト
JPH08232931A (ja) * 1995-01-17 1996-09-10 Etab Caillau 剪断可能な頭部を備えたネジ及びその締結工具
KR20170042167A (ko) * 2015-10-08 2017-04-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2Y2 (ja) * 1989-09-15 1995-07-31 住金精圧品工業株式会社 ボルト
US5379505A (en) * 1993-06-16 1995-01-10 Lock-N-Stitch International Method for repairing cracks
JPH08232931A (ja) * 1995-01-17 1996-09-10 Etab Caillau 剪断可能な頭部を備えたネジ及びその締結工具
KR20170042167A (ko) * 2015-10-08 2017-04-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474A (ko) * 2021-03-18 2022-09-27 한국전력공사 지중 저압 케이블의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823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4213B1 (en) Integral bonding attachment
US8747170B2 (en) Connector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disconnectable joint assemblies
US5630737A (en) Junction connector for permanently connecting electrical cables
US9905942B2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s of cables
AU724871B2 (en) Power line cable connector
US1132940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ails and stirrup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4511280A (en) Anchoring or connecting sleeve for multistrand cable conductor
US41231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nnector to electrical conductor strands
KR20190029189A (ko)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20190029188A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CA3135398A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on to a vehicle eletrical ground
CN114207302B (zh) 具有扭矩限制部段的断开螺栓
KR102500202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US4799899A (en) Connective structure for conductive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65605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20190108256A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US20040152370A1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EP3499646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ing the same
KR102547374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37538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035453B1 (ko)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RU180439U1 (ru) Изолированный болтовой наконечник
KR102545397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RU2232455C1 (ru) Натяжной прессуемый зажим
KR20190106532A (ko)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