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374B1 -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374B1
KR102547374B1 KR1020180028152A KR20180028152A KR102547374B1 KR 102547374 B1 KR102547374 B1 KR 102547374B1 KR 1020180028152 A KR1020180028152 A KR 1020180028152A KR 20180028152 A KR20180028152 A KR 20180028152A KR 102547374 B1 KR102547374 B1 KR 10254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leeve
sleeve member
power c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531A (ko
Inventor
이덕규
정근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3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슬리브 부재와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와 안정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접속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도체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슬리브 부재와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와 안정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접속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는 통상 도체로서 구리(Cu) 도체 또는 알루미늄(Al) 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굴곡 특성 등을 위하여 복수 개의 소선을 연합하여 도체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류의 통전시 금속의 표피 효과 등을 이유로 구리 도체의 경우 복수 개의 소선이 각각 절연된 소선절연 도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접속되는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를 맞닿게 한 후 압착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압착의 방법으로 양 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하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고, 절연층의 탈피과정에서 도전성 물질의 비산으로 잠재적 품질리스크를 가지며, 상당한 작업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체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슬리브 부재와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와 안정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접속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의 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의 단부 사이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에 삽입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 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통전용 볼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는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의 파단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의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의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는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암형 체결부와 수형 체결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리브와 상기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길이는 접속되는 어느 하나의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 한 쌍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도체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입자와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 한 쌍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의 단부 사이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 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통전용 볼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는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의 파단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는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암형 체결부와 수형 체결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리브와 상기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길이는 접속되는 어느 하나의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소선절연도체를 탈피 후 압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접속작업의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함에 있어서, 파단 볼트를 사용하므로 작업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작업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양 케이블의 도체부의 절단면 사이의 슬리브 중심부 수용공간에 도체 입자를 투입하고, 체결 수단으로 통전 볼트를 사용하여 투입된 도체 입자 내부의 공극을 감소시켜 양 도체부의 절단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소선의 절연부를 탈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전성 물질의 비산이 발생하지 않아 품질적으로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슬리브 부재 사이에 삽입된 도체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통전용 볼트를 도체부의 측면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 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의 길이가 어느 하나의 도체부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도 분할된 슬리브를 사용하여 각각의 도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의 접속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분할된 슬리브 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 도체부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의 분리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한 쌍의 도체부에 각각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슬리브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한 쌍의 도체부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의 접속과정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의 접속과정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접속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코로나 실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력 케이블은 전력 공급을 위하여 포설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을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의 접속이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접속되는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를 맞닿게 한 후 압착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도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압착의 방법으로 양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접속하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고, 절연층의 탈피과정에서 도전성 물질의 비산으로 잠재적 품질리스크를 가지며, 상당한 작업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400)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100)은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는 구리,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진 단선 또는 복수의 도선이 연합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체부(10)의 직경,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11)의 직경 등을 포함하는 규격은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100)의 송전압,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11)은 각각 절연되어 표피효과로 인한 도체 저항을 줄임으로써 전력 전송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200) 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그 중심부에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도체 입자(mp)를 주입하거나, 비어있는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양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전력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내부 반도전층(20)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들뜸을 유발하는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은 상기 절연층(30)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 국부적인 전계집중 완화 및 외부로부터 케이블 절연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반도전층(20, 40)과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30)은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고압 케이블의 경우에는 기존의 OF케이블이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 케이블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최외부에 구비되는 외피(60)는 상기 자켓층(20)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접속구조는 접속되는 케이블의 양 도체부(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슬리브 부재(200)를 사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전력 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에 있어서,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부(10);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210, 230)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200), 상기 슬리브 부재(200)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mp);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로 삽입된 도체부(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330);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는 상기 도체부(10) 사이에 도체 입자(mp)가 삽입되지 않고, 수용 공간을 이격공간으로 비워둔 상태로 형성되며,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접속구조(400)는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직접 접촉시켜 통전시키지 않고, 도체 입자(mp) 또는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통전 경로를 확보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 사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시켜 통전용 볼트(310)로 가압하는 방법으로 수용 공간 내의 도체 입자(mp)의 공극을 최소화하고 내부압을 상승시켜 양 도체부(10)의 단부가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도체 입자 없이 통전용 볼트(310)와 슬리브 부재(200)를 매개로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체부(10)를 그 구성으로 포함하나, 본 발명은 다양한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접속하기 위한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를 포함하는 슬리브 부재(200), 통전용 볼트(310) 및 고정용 볼트(33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슬리브 부재(200) 내부에서 이격된 도체부(10) 사이에 투입되어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줄어든 상태로 양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 입자(mp)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의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의 분리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의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는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10)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210, 230)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는 각각 복수 개의 체결홀(210, 230)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는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는 복수 개의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용 체결홀과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가 체결된 상태의 중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용 체결홀(230)은 상기 제1 슬리브(200a) 및 상기 제2 슬리브(200b)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통전용 체결홀(210)은 제2 슬리브(200b)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도체부(10) 사이의 간격, 즉 수용공간 또는 이격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기 통전용 체결홀이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에 2줄 이상 구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슬리브(200b)에만 2줄 이상의 통전용 체결홀(210) 구비되거나 상기 제1 슬리브(200a) 및 상기 제2 슬리브(200b)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체결홀(210)이 구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가 체결되어 구성된 슬리브 부재(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210, 230) 중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 또는 이격공간에 체결되어,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거나 양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기 위한 통전용 체결홀(210)이며,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210, 230) 중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부 이외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슬리브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홀(230)이라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와 제2 슬리브(200b)는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1 슬리브(200a)와 제2 슬리브(200b)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암형 체결부(220a)와 수형 체결부(220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느 하나의 슬리브에 수형 체결부(220b) 또는 암형 체결부(220a)를 구비하고, 각각의 체결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나, 수형 체결부(220b) 및 암형 체결부(220a)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되고, 상기 제1 슬리브(200a)와 제2 슬리브(200b)를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를 채용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에 의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슬리브 부재(20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전력 케이블의 외장을 제거하고 도체부(10)를 외부로 노출시켜야 한다.
전력 케이블은 포설시 운반 등의 이유로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접속이되며, 그 무게 등에 의하여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며,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 단부 사이의 거리는 통전용 볼트(310) 체결시 양 도체부(10)의 단부 측면이 함께 접촉될 정도의 거리(b-2a)로 제한되어야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도체부(10)를 배치한 상태에서 도체 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슬리브(200a) 및 상기 제2 슬리브(200b)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슬리브 부재(200)의 전체 길이가 접속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부(10)의 길이(a)보다 작은 경우에는 슬리브 부재(200)를 제1 슬리브(200a)와 제2 슬리브(200b)로 분할 구성할 필요가 없다.
즉, 도 5에 배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도체부(10)를 들어 올려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하고, 슬리브 부재(200)를 중앙으로 옮겨 도체부(10) 접속을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슬리브 부재(200)가 도체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슬리브 부재(200)의 길이가 어느 하나의 전력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부(10)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는 경우에는 전력 케이블을 배치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도체부(10)를 들어올려 장착한 뒤 다른 하나의 도체부(10)를 슬리브 부재(200)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를 제1 슬리브(200a)와 제2 슬리브(200b)로 분할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슬리브 부재(200)가 도체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는 요구되는 슬리브 부재(200)의 길이가 접속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의 길이보다 긴 경우, 슬리브 부재(200)를 2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가 한 쌍의 도체부(10)에 각각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7은 슬리브 부재(200)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가 한 쌍의 도체부(10)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는 제1 슬리브(200a)와 제2 슬리브(200b)로 분할되어 구성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의 슬리브를 각각의 도체부(10)에 장착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체부(10)에 장착된 제1 슬리브(200a) 및 제2 슬리브(200b)를 체결하여 슬리브 부재(200)를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된 슬리브 부재(200)의 통전용 체결홀의 위치를 도체부(10)의 단부 사이의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과 일치되도록 슬리브 부재(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통전용 볼트(310)와 고정용 볼트(330)를 사용하여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접속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의 접속과정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서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 또는 고정용 볼트(330)는 미리 결정된 크기의 토크가 가해지는 경우 헤드부가 파단되는 파단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황동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슬리브 부재(200)에 양 도체부(1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체 입자(mp) 투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체결홀을 제외한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310)및 고정용 볼트(330)를 각각의 체결홀에 임시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임시 체결이라 함은 볼트 헤드가 파단되지 않은 약한 체결 상태를 임시 체결 상태로 가정한다.
상기 도체부(10)를 슬리브 부재(200)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임시 체결하는 이유는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부가 파단되는 본 체결이 수행되면 고정용 볼트(330)에 의한 도체부(10)의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수용 공간(S)으로 도체 소선 들이 유입되어 도체 입자(mp)의 투입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체 입자(mp) 투입구를 제외한 통전용 체결홀(210)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 체결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통전용 볼트(310)로 가압하여 압축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전용 볼트(310)의 헤드부가 파단되는 방식의 본 체결은 뒤로 미룰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공간(S) 내에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mp) 투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체 입자(mp)의 최대폭은 투입 과정에서 간섭 또는 걸림 등이 방지되고, 수용 공간(S) 전체에 골고루 충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공간(S)의 폭의 5% 내지 20%의 크기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통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도체 입자(mp)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체 입자(mp)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금속 와이어를 잘게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체 입자(mp)는 구리, 은, 구리합금, 은합금, 은도금구리, 은합금도금구리, 은도금구리합금, 은합금도금구리합금, 구리도금은, 구리합금도금은, 구리도금은합금, 구리합금도금은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들의 재질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이라면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이 수행되기 전에 임시 체결되었던 고정용 볼트(330)의 본 체결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본 체결과정에서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슬리브 부재(200)와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10)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체 입자(mp)를 슬리브 부재(200)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230)에 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의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입자들 사이에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며 상기 도체 입자(mp)간 접촉면적 및 상기 도체 입자(mp)와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슬리브 부재(200)와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뒤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종래에는 절연 소선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 피복을 제거하여 이를 압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 접속구조의 경우, 도체 입자(mp)를 사용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100)의 단면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별도의 절연층 제거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고정용 볼트(330)의 본 체결이 수행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입자(mp)의 투입구로 사용된 통전용 체결홀(21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용 볼트(310)의 헤드부가 파단되도록 본 체결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가 슬리브 부재(200)에 체결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10) 고정단계에 의하여 슬리브 부재(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mp)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통해 상기 슬리브 부재(200)로 삽입된 한 쌍의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10) 통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 통전단계는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가 양 도체부(10)의 단부와 도체 입자(mp)에 함께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체부(10) 통전단계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동시에 상기 도체 단부 사이의 거리(수용공간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몸체부가 한 쌍의 상기 도체(10) 단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와 상기 도체 단부가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mp)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를 본 체결하면, 상기 한 쌍의 도체부(10)의 단부가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단부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공간(S)에 도체 입자(mp)가 충진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도체부(10)가 슬리브 부재(2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압축된 도체 입자(mp) 및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통전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의 접속과정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체부(10) 사이에 도체 입자(mp)가 주입되고,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체부(10) 사이가 이격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는 차이점은 있으나, 통전용 볼트(310)가 양 도체부(10)에 접촉하도록 체결된다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400) 및 접속장치는 접속되는 양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슬리브 부재(200)의 양단 개구부로 각각 삽입한 후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거나 인위적인 빈공간인 이격공간을 형성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양 도체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의 폭은 상기 볼트의 체결부의 직경, 구체적으로 통전용 볼트(310)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의 폭보다 작게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 또는 이격공간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양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사이로 압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체결과 동시에 양 도체부(10)의 단부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체결에 의하여 양 도체부(10)의 직접적인 통전 경로로 역할할 수 있다.
물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용 볼트(330)가 도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고정용 볼트(330)와 상기 슬리브 부재(200)도 통전이 가능하므로 슬리브 부재(200)와 고정용 볼트(330)를 통한 전기적 접속도 가능하고 통전 경로 다각화에 기여를 하지만, 상기 고정용 볼트(330)에 의한 통전은 슬리브 부재(200)를 매개로 수행되는 것이나,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경우, 각각의 도체부(10)에 함께 직접 체결되므로,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경유하지 않고 통전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체 통전 경로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단부 사이의 거리(이격공간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부가 한 쌍의 상기 도체(10) 단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와 상기 도체 단부가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보다 직접적인 통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이 완료된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400)는 각각의 파단 볼트 형태의 고정용 볼트(330)와 통전용 볼트(310)의 헤드부가 모두 파단되어 슬리브 부재(2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속이 완료될 수 있음은 도 11을 참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16은 접속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4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400)에 코로나 실드(5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코로나 실드(500)가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둘러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200) 등에 의해 형성된 도체 접속부와 상기 코로나 쉴드는 금속선재(600) 등에 의해 서로 통전되어 등전위를 형성함으로써 코로나 방전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로나 실드(500)가 장착된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400)는 단차 등이 없이 매끈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100)을 접속하는 경우, 작업 시간 및 비용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기량차에 의한 접속부위의 접촉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슬리브 부재(200)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에도 슬리브 부재(200)를 분할 구성하여 케이블 접속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전력 케이블의 도체부
30 : 절연층
200 : 슬리브 부재
200a : 제1 슬리브
200b : 제2 슬리브
310 : 통전용 볼트
330 : 고정용 볼트
400 :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Claims (18)

  1.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도체 접속구조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한 쌍의 도체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의 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 입자 내부의 공극을 감소시키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해 압축된 상기 도체 입자를 매개로 상기 도체부 단부 사이의 통전 경로가 확보되며,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길이는 접속되는 어느 하나의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2.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도체 접속구조를 구비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한 쌍의 도체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 형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도체부가 각각 양단의 개구부으로 삽입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의 단부 사이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에 삽입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용 볼트를 매개로 상기 도체부 단부 사이의 통전 경로가 확보되며,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길이는 접속되는 어느 하나의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로 삽입된 한 쌍의 상기 도체부 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통전용 볼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의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의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는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암형 체결부와 수형 체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028152A 2018-03-09 2018-03-09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4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52A KR102547374B1 (ko) 2018-03-09 2018-03-09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52A KR102547374B1 (ko) 2018-03-09 2018-03-09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31A KR20190106531A (ko) 2019-09-18
KR102547374B1 true KR102547374B1 (ko) 2023-06-22

Family

ID=6807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52A KR102547374B1 (ko) 2018-03-09 2018-03-09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78Y1 (ko) * 2005-08-30 2005-11-15 김진규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100689983B1 (ko) * 2006-12-20 2007-03-08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JP2014128136A (ja) * 2012-12-27 2014-07-07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422B1 (ko) * 2015-10-08 2022-11-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78Y1 (ko) * 2005-08-30 2005-11-15 김진규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100689983B1 (ko) * 2006-12-20 2007-03-08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JP2014128136A (ja) * 2012-12-27 2014-07-07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31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1941B (zh) 机动车辆充电线缆
KR20150129612A (ko) 차폐형 와이어 케이블을 접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CN104518291B (zh) 用于接合混合电力传输电缆的装置
DE102018107324A1 (de) Abgesicherte T-gespleisste Verkabelung
RU2608754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эквипотенциа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ответвления и сеть обратного тока с эквипотенциаль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в непроводя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2419395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JP2020061371A (ja) 金属粒子を含む導電性の水遮断材料、光ケーブル及びそれを含む光ケーブルを構成する方法
KR102547374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00202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CA2561526C (en)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2565605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471823B1 (ko)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45397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KR20190108256A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KR102537538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FR2460056A1 (fr) Procede de fixation d'une piece de contact sur une ligne electrique
WO1986005311A1 (en) High performance flat cable
JP7256060B2 (ja) リッツ線の分岐接続部及び分岐接続方法
KR102614999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KR20190106532A (ko)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US6287145B1 (en) Internal shield splice
KR102544900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JP6628245B2 (ja) 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KR200176390Y1 (ko)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CN218958268U (zh) 一种配电柜的可定点拆卸的母线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