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345A -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345A
KR20190028345A KR1020180107249A KR20180107249A KR20190028345A KR 20190028345 A KR20190028345 A KR 20190028345A KR 1020180107249 A KR1020180107249 A KR 1020180107249A KR 20180107249 A KR20180107249 A KR 20180107249A KR 20190028345 A KR20190028345 A KR 2019002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ocado oil
fraction
hearing loss
isopropan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363B1 (ko
Inventor
홍빛나
정우재
이계완
이정숙
박유화
김도훈
Original Assignee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약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2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Y10S514/95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오일 분획은, 특히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제브라피쉬 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난청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MPRISING AVOCADO OIL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귀는 귓바퀴와 외이도까지를 외이로 분류하고, 고막과 이소골은 중이, 그리고 달팽이관과 청신경을 내이로 분류한다.
소리는 음향학적 에너지로서 귓바퀴와 외이도를 통해 전달되어 고막을 진동시키고, 고막의 진동은 기계적인 에너지를 발생시켜 이소골로 전달된다. 이소골의 마지막 뼈인 등골은 달팽이관에 연결되어, 전달된 에너지를 달팽이관 내의 림프액으로 전달한다. 림프액으로 전달된 에너지는 림프액에 파동을 일으키고, 이러한 파동에 의해 달팽이관 내에 있는 유모세포가 자극을 받는다. 유모세포의 움직임으로 이온변화가 일어나면서 유모세포에 붙어있는 청신경으로 신경전달물질이 전달되고, 소리에너지는 청신경에서 전기적인 에너지 형태로 뇌까지 전달된다.
외이와 중이는 소리를 전달하는 기관으로서 염증 같은 질병에 감염되었을 때, 대부분 치료 또는 수술로 회복될 수 있고, 그로 인한 청력 손실 역시 치료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난청을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이라 한다. 한편,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인 달팽이관과 전기적 에너지로 소리를 전달하는 청신경, 및 소리의 변별, 이해 등 종합적인 역할을 하는 뇌에 문제가 생겨 발생되는 난청을 감각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이라 한다.
신체의 감각 기관 중 청각 기관은 의사소통에 가장 기초적인 감각으로 언어나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생활을 하며 인간적 삶을 사는데 가장 중요한 감각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청력손실은 현재까지 예방 외에 치료방법이 없는 감각신경성 난청에 해당하며, 일단 난청이 발생하면 보청기 등의 보조수단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장치를 체내에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감각신경성 난청은 발병의 원인과 시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시기에 따라서는 선천적 난청 및 후천적 난청으로 분류된다. 선천적 난청은 태생전에 손상에 의해 난청이 발생한 것으로서, 유전, 태내에서의 문제 또는 태생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선천적 난청은 대부분 그 정도가 매우 심하고 언어를 습득하는 것도 별도의 훈련이나 교육없이는 불가능하다. 선천적인 난청은 대부분 고출력의 보청기나 인공와우(cochlear implant)를 이식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조장치는 난청의 정도가 심할수록 그 효과도 떨어지고 정상적인 청취능력과는 차이가 커 일상생활이 여전히 불편하다. 한편, 후천적 난청은 태생 이후, 질병, 소음, 약물 또는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난청으로, 원인 인자로는 소음, 약물, 노화, 외상, 바이러스 등이 있다. 최근에는 소음 및 노화로 인한 난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성 난청 역시 감각신경성 난청이 대부분으로, 예방과 관리외에 치료나 개선을 위한 약물이나 치료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사회의 산업화로 인해 소음으로 인한 난청인구 역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소음환경에서 일하는 근로자나 군인과 같은 직업적 소음성 난청뿐만 아니라, 문화 및 여가생활에 의해 소음성 난청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에서는 85 dBA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소음환경에 대해서는 소음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청각기관은 75 dBA 이상의 소음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75 dBA의 소음은 도로변의 소음정도이므로, 현대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청각기관에 해로운 정도의 소음 속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MP3 사용과 같은 여가생활에서도 큰 소리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소음성 난청은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한다.
젊은 시절에 발생한 소음성 난청은 결국 40대부터 보청기를 사용할 정도로 청력을 손상시키고, 여기에 신체적 노화가 병행되면 점점 더 난청의 정도가 심해진다. 보조기구도 난청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고심도의 청각손상은 결국 의사소통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44810호에는 황금 추출물이 소음성 난청 동물모델에서 유의적인 청각손상 예방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로서, 항산화제, NMDA(N-methyle-D-aspartate) 길항제, 세포사멸 억제제, 성장인자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물질들은 임상시험까지 진행되는데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난청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던 중, 아보카도의 오일을 이용하여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용리된 이소프로판올 분획이 제브라피쉬 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448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포함하는 난청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오일 분획은, 특히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제브라피쉬 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난청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하여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물,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의 분획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HP-20)이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한 제브라피쉬의 유모세포를 증가시킨 것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HP-20)이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한 제브라피쉬의 유모세포를 증가시킨 것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아보카도 오일의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분획(HP-20)을 각각 처리 시, 이소프로판올 분획이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한 제브라피쉬의 유모세포를 증가시킨 것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아보카도 오일의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분획(HP-20)을 각각 처리 시, 이소프로판올 분획이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한 제브라피쉬의 유모세포를 증가시킨 것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a는 아보카도 오일(AGO) 및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AGL)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6b는 아보카도 오일(AGO) 및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AGL) 내 주요 성분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7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 내 리놀레산(linoleic acid),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이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한 제브라피쉬의 유모세포를 증가시킨 것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 내 리놀레산(linoleic acid),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이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한 제브라피쉬의 유모세포를 증가시킨 것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은 아보카도로부터 압착, 침출 및 증류 등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방향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아보카도 에센스, 향유, 에센셜 오일 및 정유 등과 같은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아보카도의 껍질, 과육 및 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착즙된 오일일 수 있고, 이는 압착법, 용매 추출법,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또는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분획"은 시료를 특정 레진이 충진된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킨 뒤, 용출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액체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아보카도 오일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용 레진이 충진된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킨 뒤, 용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순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출 용매는 45 내지 85℃, 구체적으로 50 내지 80℃, 더욱 구체적으로 55 내지 75℃의 온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용 레진은 실리카겔 또는 합성흡착제일 수 있다. 상기 합성흡착제는 공중합체로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공중합체는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DVB)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난청은 전음성 난청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일 수 있다. 상기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음, 약물, 노화, 외상 및 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하는 난청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독성 난청일 수 있다. 상기 이독성 난청은 이독성 약물인 젠타마이신(gentami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카나마이신(kanamycin), 네오마이신(neomycin), 아미카신(amikacin),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네틸마이신(netilmicin), 디베카신(dibekacin), 시소마이신(sisomycin), 리보도마이신(livodomycin),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물의 투여로 인한 난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독성 난청은 네오마이신의 투여로 인한 난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하여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보카도 오일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킨 뒤, 용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순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아보카도 오일의 물 분획, 에탄올 분획 및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각각 제조하였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아보카도 오일보다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2 및 3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물 및 에탄올 분획보다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4 및 5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아보카도 오일과 다른 성분 구성을 나타내며, 특히 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 및 스테아린산의 함량이 높았다 (도 6a 및 도 6b 참조).
또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의 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 및 스테아린산은 각각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7 및 도 8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난청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아보카도의 껍질, 과육 및 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착즙된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은 아보카도 오일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용 레진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킨 뒤, 용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순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난청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례로, 상기 난청은 전음성 난청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감각신경성 난청일 수 있다. 상기 감각신경성 난청은 이독성 난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하여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보카도 오일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킨 뒤, 용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순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아보카도 오일의 물 분획, 에탄올 분획 및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각각 제조하였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아보카도 오일보다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2 및 3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물 및 에탄올 분획보다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4 및 5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아보카도 오일과 다른 성분 구성을 나타내며, 특히 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 및 스테아린산의 함량이 높았다 (도 6a 및 도 6b 참조).
또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의 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 및 스테아린산은 각각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도 7 및 도 8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난청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보카도 오일의 분획 제조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하여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아보카도 오일의 물,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g의 Diaion HP-20 수지를 150 ㎖의 50%(v/v) 에탄올에 첨가하고, 이를 컬럼에 충진시켜 준비하였다. 한편, 멕시코의 Avoplus사(Diricom)에서 구입한 10 g의 아보카도 오일을 50%(v/v)의 에탄올에 50%(w/v)가 되도록 희석하고, 이를 상기 준비된 컬럼에 로딩하였다. 아보카도 오일이 로딩된 컬럼에 100 ㎖의 물을 첨가하여 물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800 ㎖의 99%(v/v)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분획을 수득하고, 800 ㎖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이소프로판올 분획(HP-20)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수득할때, 각각의 용출 용매는 60 내지 70℃의 온도로 가온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아보카도 오일의 물 분획은 0.07%, 에탄올 분획은 5.4%, 이소프로판올 분획은 75.5%의 수율로 수득되었다.
실험예 1. 아보카도 오일 분획의 내이독성에 대한 효과 확인 -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의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에 대한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정 6일 후의 제브라피쉬 치어(larvae)를 24웰 플레이트에 넣고, 1 μM 농도의 네오마이신을 첨가하였다. 1시간 후, 네오마이신을 제거하고 1 ㎍/㎖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첨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아보카도 오일을, 미처리 대조군으로서 0.03%(w/v)의 해수염 용액을 사용하였다. 12시간 후, 0.1% YO-PRO(Life Technologies, 미국)를 첨가하여 치어의 유모세포를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염색된 유모세포를 형광현미경(Olympus 1x70, Olympus, 일본)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그 개수를 세어 도 2에나타내었다. 또한, 현미경으로 촬영한 유모세포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보카도 오일에 비해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첨가한 치어에서 유모세포의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2 및 도 3).
실험예 2. 아보카도 오일 분획의 내이독성에 대한 효과 확인 -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분획의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에 대한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제브라피쉬 치어에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첨가한 대신, 아보카도 오일의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각각 첨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된 유모세포의 수를 세어 나타내고(도 4),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유모세포의 사진을 나타내었다(도 5).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보카도 오일의 물 및 에탄올 분획에 비해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첨가한 치어에서 유모세포의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4 및 도 5).
실험예 3. 아보카도 오일 분획의 성분 비교
아보카도 오일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의 성분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정 성분은 아보카도 오일보다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에서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6a 및 도 6b). 아보카도 오일보다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에서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높은 물질 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상위 3가지 물질에 대해서는 내이 독성에 대한 효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4. 아보카도 이소프로판올 분획 내 단독 물질의 내이독성에 대한 효과 확인
실험예 3에서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프로판올 분획에서 함량이 높았던 리놀레산(linoleic acid),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n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의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에 대한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제브라피쉬 치어에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첨가한 대신, 1 ㎍/㎖의 리놀레산(linoleic acid),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n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을 각각 첨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된 유모세포의 수를 세어 나타내고(도 7),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유모세포의 사진을 나타내었다(도 8).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놀레산(linoleic acid),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nic acid) 및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을 각각 첨가한 치어에서 유모세포의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7 및 도 8).

Claims (8)

  1.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판올 분획이 아보카도 오일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키고,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순차적으로 용출 용매로 사용하여 수득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크로마토그래피가 실리카겔 또는 합성흡착제를 레진으로 충진한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보카도가 아보카도의 껍질, 과육 및 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이 전음성 난청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아보카도 오일의 이소프로판올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판올 분획이 아보카도 오일을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키고,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순차적으로 용출 용매로 사용하여 수득되는, 난청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크로마토그래피가 실리카겔 또는 합성흡착제를 레진으로 충진한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난청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107249A 2017-09-08 2018-09-07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9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5414 2017-09-08
KR1020170115414 201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345A true KR20190028345A (ko) 2019-03-18
KR102099363B1 KR102099363B1 (ko) 2020-04-10

Family

ID=6563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49A KR102099363B1 (ko) 2017-09-08 2018-09-07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73194B2 (ko)
JP (1) JP6802946B2 (ko)
KR (1) KR102099363B1 (ko)
WO (1) WO201905034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55B1 (ko) * 2019-12-30 2020-09-03 동국제약 주식회사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152B1 (ko) * 2019-12-30 2020-09-03 동국제약 주식회사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810A (ko) 2008-04-28 2008-05-21 안기철 검색엔진링크프로그램을 이용한 검색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메체
JP2011037738A (ja) * 2009-08-08 2011-02-24 Chube Univ 難聴又は耳鳴りの予防・治療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8181B1 (fr) * 1998-04-29 2002-05-03 Pharmascience Lab Nouveaux composes extraits d'huile vegetale utilisables dans l'industrie pharmaceutique et cosmetique,notamment pour l'inhibition de la croissance cellulaire
SE514725C2 (sv) * 1998-06-02 2001-04-09 Karlshamns Ab Fraktioneringsförfarande
DK1608407T3 (da) * 2003-03-20 2006-12-04 Pharmacia Corp Dispergébar formulering af et antiinflammatorisk middel
US9089576B2 (en) 2004-04-30 2015-07-28 Laboratoires Expanscience Medicament comprising a peptide extract of avocado, which is intende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llnesses that are linked to an immune system deficiency or oxidative stress or skin ageing or dry skin
FR2869543B1 (fr) 2004-04-30 2006-07-28 Expanscience Laboratoires Sa Medicament comprenant un extrait peptidique d'avocat destine au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liees a une deficience du systeme immunitaire
KR100971374B1 (ko) 2008-05-15 2010-07-20 히어랩 (주)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810A (ko) 2008-04-28 2008-05-21 안기철 검색엔진링크프로그램을 이용한 검색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메체
JP2011037738A (ja) * 2009-08-08 2011-02-24 Chube Univ 難聴又は耳鳴りの予防・治療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55B1 (ko) * 2019-12-30 2020-09-03 동국제약 주식회사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152B1 (ko) * 2019-12-30 2020-09-03 동국제약 주식회사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340A2 (ko) 2019-03-14
KR102099363B1 (ko) 2020-04-10
JP2020528926A (ja) 2020-10-01
US20200215142A1 (en) 2020-07-09
WO2019050340A3 (ko) 2019-05-02
US11273194B2 (en) 2022-03-15
JP6802946B2 (ja)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207A (ko) 해조류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190028345A (ko) 아보카도 오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53447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ontaining Vitis vinifera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20054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7953B1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02366A (ko)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93604B1 (ko)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3880A (ko) 선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1374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152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15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39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unico et al. Investigation of local anesthetic and antimycobacterial activity of Ottonia martiana Miq.(Piperaceae)
DE102013013029A1 (de) Lobbyist-Zellschutz PNI (Psychoneuroimmunium)
CN104069237A (zh) 鱼腥草的新用途及其药物组合物
KR102007096B1 (ko) 비스쿰 오발리포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3099A (ko)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1044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gbuonu et al. Influence of Chrysophyllum albidum Seed Endosperm Extract on Hematologic, Hepatic, Nephrotic and Histologic Alterations in Monosodium Glutamate-Compromised Rats
Akpan et al. Histo-morphological effects of Carica papaya on cadmium induced prefrontal-cortex damage in adult wistar rats
KR102075694B1 (ko) 시지지움 큐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3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8383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563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617237A (zh) 黄柏酮在制备治疗或预防铂类或氨基糖苷类药物或噪声引起的听力损失的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