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814A - 피커링 에멀션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커링 에멀션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814A
KR20190026814A KR1020197003183A KR20197003183A KR20190026814A KR 20190026814 A KR20190026814 A KR 20190026814A KR 1020197003183 A KR1020197003183 A KR 1020197003183A KR 20197003183 A KR20197003183 A KR 20197003183A KR 20190026814 A KR20190026814 A KR 20190026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obic
composition
weight
monom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488B1 (ko
Inventor
후이친 첸
샤오민 웡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19002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8Zirco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분산된 지방 상, 및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수성 상을 포함하고,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a) 덱스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겔화제;
b) 적어도 하나의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c)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머(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로 산 기능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1), 및 식 (III)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3) 폴리옥세틸렌화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
Figure pct00010

상기 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8-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고; 및
d) 소수성 실리카, 소수성 셀룰로오스, 전분, 탈크, 실리콘 수지 분말, 중공성 반구형 실리콘 입자, 폴리아미드 분말, 소수성 안료,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입자.

Description

피커링 에멀션의 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 특히 수성 상에 현탁되는 가시적 유적(visible oil droplets)의 형태의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심미적 성질로 인해 소비자에게 관심을 끄는 2-상(two-phase)의 조성물이 현재 시판중이다. 이런 조성물들은 2개의 상호 비혼화성 상으로 구성되며, 둘 중 어느 하나는 유적 형태의 수성 상에 분산된 지방 상으로 구성되거나, 사용 전에 흔들어줌으로써 즉석에서 함께 혼합된다.
피커링 에멀션(pickering emulsion)은, 그것의 심미적 성질 및 계면활성제-유리 특성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큰 관심을 받고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 피커링 에멀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입자들이 오일과 균질한 혼합물 사이의 계면에 흡착되어 유적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에멀션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시 탈안정화되는 경향을 가진다. 고체 입자의 침강 또는 심지어 상 분리가 관찰되고, 소비자가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외관으로 이어진다.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FR1160798은 비극성 탄화수소계 오일, C1-C4 모노알코올, 및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 입자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션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피커링 에멀션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알코올의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존재로 인해, 피커링 에멀션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며, 에멀션의 적용 후 불편이 소비자들에 의해 관찰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이고, 알코올의 양이 적은 피커링 에멀션을 제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안정성은 여전히 공정의 규모를 확장하는 중에 개선되어야 하고, 그 동안 제품은 적어도 1회 전단력을 받는다. 특히, 안정성은 규모확장 중에, 예를 들어 대량으로, 예컨대 40 kg 이상의 규모확장 중에 개선되어야 한다.
발명자들은 단순히 지방 상 및/또는 수성 상의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된 규모확장 안정성을 가지는 피커링 에멀션을 제형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부 경우에, 가시적 유적은 형성되지 않으며; 다른 경우에, 유적은 점도 변화로 인해, 예상처럼 원형 형상인 것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더욱이, 유적은 공정의 규모확장 중에 및 직후에 합체되고, 이것은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피커링 에멀션 유형의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고, 이때 유적은 가시적이며, 개선된 규모확장 안정성을 가진다.
한편, 그러한 조성물은 2개월 동안 상이한 온도 하에서의 안정성과 같은 양호한 안정성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언급된 특성을 가지며, 양호한 심미적 성질을 가지는, 특히 유적이 작은 방울 또는 원형 형상의 형태인 조성물을 제형화할 필요성이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조성물은 또한 소비자들에 의한 일상적인 사용 중에 양호한 안정성을 가진다. 상호 비혼화성 상들의 외관은 흔들어준 후에 기대했던 것과 같이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언급된 특성들을 가지는 한편 적용 후에 양호한 감각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형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된 지방 상 및 연속적인 수성 상을 포함하고, 소수성 겔화제(들),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중합체(들), 음이온성 3원 중합체(들), 및 소수성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발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된 지방 상, 및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수성 상을 포함하고,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 덱스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겔화제;
b) 적어도 하나의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c)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머(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로 산 기능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1), 및 식 (III)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3) 폴리옥세틸렌화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
Figure pct00001
상기 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2-C8 라디칼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고; 및
d) 소수성 실리카, 소수성 셀룰로오스, 전분, 탈크, 실리콘 수지 분말, 중공성 반구형 실리콘 입자, 폴리아미드 분말, 소수성 안료,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입자.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케라틴 물질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케라틴 물질, 예를 들어 피부, 특히 얼굴 및 입술을 화장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화장 방법이다.
용어 "피커링 에멀션"은 두 개의 상 사이의 계면위로 흡착되는 고체 입자(예를 들어 콜로이드질 실리카)에 의해 안정화된 에멀션을 나타낸다.
용어 "케라틴 물질"은 피부(신체, 얼굴 및 눈 주변의 피부), 모발, 속눈썹, 눈썹, 체모, 손톱, 입술 또는 점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가시적 유적"은 0.01 mm 내지 10 mm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유적을 나타낸다. 유적은 그것을 맨눈을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적의 평균 직경은 MEDIA사에서 시판되는 64-비트 "Image-Pro Premier 9.1"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증발 접시에 놓이고, 매크로 렌즈 카메라에 의해 조성물의 이미지가 포착된다. 그런 후 이미지는 "Image-Pro Premier 9.1" 분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유적의 평균 직경이 소프트웨어로부터 얻어진 화소 데이터에 따라 계산된다.
용어 "규모확장 안정성"은 적어도 40 kg의 제조시에 합체 업이 가시적 원형 유적을 형성하고, 대용량, 예컨대 40 kg 이상으로 그것의 제조 후 적어도 1개월 동안, 특히 그것의 제조 후 적어도 2개월 동안 그것의 구조 또는 특성에서 어떠한 유의미한 변화도 나타내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용어 "규모확장"은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조성물의 충전이 완료되기까지의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히, 공정 중에, 조성물이 전단력을 받게 되는 적어도 2개의 단계가 있다.
지방 상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된 지방 상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지방 상은 액적(droplet)의 형태로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적은 0.01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5 mm의 평균 직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제공되는 지방 상을 포함한다.
오일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포함하는 분산된 지방 상을 포함한다.
오일은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실리콘 오일"은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원자, 특히 Si-O 기를 포함하는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탄화수소계 오일"(또는 "탄화수소화된 오일", 또는 "탄화수소 오일")은 본질적으로 탄소 및 수소 원자, 및 선택적으로 산소 및 질소 원자로부터 형성된, 또는 심지어 그것들에 의해 구성되고, 임의의 규소 또는 플루오르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을 의미한다. 그것은 알코올, 에스테르, 에테르, 카르복실산, 아민 및/또는 아미드 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오일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다.
용어 "휘발성"은 상온(25℃) 및 상압(760 mmHg)에서, 1시간보다 적은 시간 안에 케라틴 물질과 접촉시 증발할 수 있는 오일을 의미한다. 휘발성 오일은 휘발성 화장용 오일로, 그것은 상온에서 액체이고, 특히 상온 및 상압에서 0이 아닌 증기압을 가지며, 특히 0.13 Pa 내지 40 000 Pa(10-3 내지 300 mmH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3 Pa 내지 13 000 Pa(0.01 내지 100 mmHg)의 범위, 우선적으로는 1.3 Pa 내지 1300 Pa(0.1 내지 10 mmHg)의 범위의 증기압을 가진다.
용어 "비휘발성"은 상온 및 상압에서의 증기압이 0이 아니며 0.02 mmHg(2.66 Pa) 미만이고 더 양호하게는 10-3 mmHg(0.13 Pa) 미만인 오일을 의미한다.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탄화수소화된 식물 오일을 포함한다.
4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산의 액체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예를 들어 헵탄산 또는 옥탄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호호바 오일, 또는 카프릴산 및/또는 카프르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비휘발성 탄화수소화된 식물 오일, 예를 들어 Cognis사(BASF)에 의해 상표명 Myritol® 318로 시판되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포함한다.
수성 상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연속적인 수성 상을 포함한다.
연속적인 수성 상은 물을 포함한다.
연속적인 수성 상은 또한 수혼화성 유기 용매(20 내지 25℃의 상온에서), 예를 들어 특히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우선적으로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이에틸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특히 3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 예컨대 모노-, 다이- 또는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C1-C4)알킬 에테르, 모노-, 다이- 또는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C1-C4)알킬 에테르,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수성 상은 또한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컨대 안정화제, pH 조정제,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5 중량% 내지 99.9 중량%, 특히 60 중량% 내지 90% 및 보다 구체적으로 65 중량% 내지 8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수성 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겔화제(들)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덱스트린 및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24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겔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덱스트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과 C14-C18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덱스트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예를 들어 CHIBA FLOUR사에 의해 Rheopearl MKL2® 라는 언급 하에 상업화된 것들이다.
바람직하게,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5 중량%의 범위의 덱스트린 에스테르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불포화 올레핀 카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0-C30)알킬 에스테르의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단위를 포함한다.
특히, 불포화 올레핀 카르복실산 단위는 친수성 단위이다.
특히,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0-C30)알킬 에스테르 단위는 소수성 단위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올레핀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형의 (C10-C30)알킬 에스테르의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하나의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10-C30)알킬은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언급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적어도 50 kD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언급된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 식 (I)의 올레핀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들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H, CH3, 및 C2H5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에타크릴산 단위에 상응함), 및
- 식 (II)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C10-C30)알킬 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R2는 H, CH3, 및 C2H5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각각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타크릴레이트 단위에 상응함), R3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분지 또는 비분지형 (C10-C30)알킬 기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 (I)의 올레핀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들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는 상기 단위가 식 (I)의 모노머로부터, 예를 들어 식 (I)의 모노머의 중합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예를 들어, R2는 H(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CH3(메타크릴레이트 단위)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C12-C22)알킬 기로부터 선택된다.
발명에 따르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0-C30)알킬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런 유형의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3,915,921호 및 4,509,949로에 기술되고 그것에 따라 제조되며, 상기 특허들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모노머들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 (a) 아크릴산,
· (b) R2가 H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이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기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기술된 식 (II)의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및
· (c) 공중합성 폴리에틸렌 불포화 모노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 예컨대 다이알릴 프탈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비닐벤젠,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한 구체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발명의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한다(%는 각각의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제시됨):
- 95 중량% 내지 60 중량%의 아크릴산(친수성 단위), 4 중량% 내지 40 중량%의 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소수성 단위), 및 0 중량% 내지 6 중량%의 가교결합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 98 중량% 내지 96 중량%의 아크릴산(친수성 단위), 1 중량% 내지 4 중량%의 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소수성 단위) 및 0.1 중량% 내지 0.6 중량%의 가교결합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예컨대 상기 기술된 것들.
상기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중에서, Lubrizol사에 의해 상표명 PEMULEN TR1®, PEMULEN TR2®, 및 CARBOPOL 1382® 하에 시판되는 제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된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PEMULEN TR2®로, 그것은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crosspolymer)이다.
바람직하게는,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2 중량%의 범위로 존재한다.
음이온성 3원 중합체(들)
본 발명의 조성물은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머(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로 산 기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1), 및 식 (III)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3) 폴리옥세틸렌화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8-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머(1)의 산 기능은 설폰산 기능, 또는 포스폰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기능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이다.
모노머(1)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의 스티렌 설폰산, 에틸설폰산 또는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설폰산(또한 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로도 알려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것은 발명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몰%,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90 몰%의 몰 비율로 존재한다.
모노머(1)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의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설폰산일 것이다.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염화된 산 형태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암모늄 염, 모노에탄올아민 염으로서의 아미노 알코올 또는 리신 염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이다.
모노머(2)는 바람직하게는 발명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에 4.9 내지 90 몰%,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내지 85 몰%, 보다 구체적으로는 19.5 내지 75 몰%의 몰 비율로 존재한다.
식 (III)의 선형 C8-C16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옥틸 라디칼, 데실 라디칼, 운데실 라디칼, 트라이데실 라디칼, 테트라데실 라디칼, 펜타데실 라디칼, 또는 헥사데실 라디칼을 들 수 있다.
식 (III)의 분지형 C8-C16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2-에틸헥실, 2-프로필헵틸, 2-부틸옥틸, 2-펜틸노닐, 2-헥실데실, 4-메틸펜틸, 5-메틸헥실, 6-메틸헵틸, 15-메틸펜타데실, 16-메틸헵타데실, 또는 2-헥실옥틸 라디칼을 언급할 수 있다.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식 (III)에서,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2-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식 (III)에서, n은 3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 (III)에서 사용된 모노머는 테트라에톡실화된 라우릴 아크릴레이트이다.
식 (III)의 모노머(3)은 바람직하게는 발명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에 0.1 내지 10 몰%,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5 몰%의 몰 비율로 존재한다.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사용된 모노머들의 총량에 비해 표시된, 0.005 내지 1 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몰%,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0.25 몰%의 비율로 다이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화합물에 의해 가교결합되거나 및/또는 연결된다.
가교제 및/또는 분지화제(branching agent)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다이알릴옥소아세트산 또는 그것의 염, 예컨대 다이알릴옥시아세트산 나트륨, 테트라알릴옥시에탄, 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우레 다이알릴 아민, 트라이알릴 트라이메틸롤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착화제(complexing agent), 이동제(transfer agent), 연쇄 반응 제한제(chain-limiting agent)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N, 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라우릴 아크릴레이트의, 암모늄 염 형태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되고, INCI 명칭: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6, 예컨대 Seppic사에 의해 상표명 SEPIMAX ZEN® 하에 시판되는 제품 하에, 트라이메틸롤 테트라에톡실화된 프로판트라이아크릴레이트와 가교결합된,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설폰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3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소수성 입자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입자를 포함한다.
발명의 목적에 대해, 이러한 입자들은 지방 상과 수성 상 사이의 계면 위로 흡착되어, 에멀션을 안정화시킨다.
더욱이, 이러한 입자는 가시적인 본 발명의 유적이 장기간에, 예를 들어 1개월, 또는 예를 들어 2개월 동안 수성 상에 분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입자들은 미네랄 또는 유기물일 수 있고, 구형 입자, 또는 라멜라(lamellar)입자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에서, 용어 "구형 입자"는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매질에서, 심지어 매질의 융점(약 100℃)에서도 불용성인 구형 형태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 형태의 입자를 의미한다.
용어 "라멜라 입자"는 본원에서 길이, 폭 및 높이의 3차원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육면체 모양(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표면), 원반 모양(원형 표면) 또는 타원체 모양(타원형 표면)의 입자를 의미하고, 이런 입자들은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매질에서, 심지어 매질의 융점(약 100℃)에서도 불용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수성 입자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 소수성 실리카,
용어 "소수성 실리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순수한 소수성 실리카 및 소수성 실리카로 코팅된 입자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소수성 실리카는 비정형이고 훈증된 기원의 것이다. 그것들은 바람직하게는 미분(pulverulent) 형태로 제공된다.
훈증된 기원의 비정형 소수성 실리카는 친수성 실리카로부터 얻어진다. 후자는 1000℃에서 수소 및 산소의 존재하에 연속적인 플레임에서 사염화규소(SiCl4)의 열분해에 의해 얻어진다. 그것들은 계속해서 할로겐화된 실란, 알콕시실란 또는 실라잔으로의 처리에 의해 소수성이 된다. 소수성 실리카는, 무엇보다도, 실란올 기의 저밀도 및 수증기의 더 적은 흡착에 있어 출발 친수성 실리카와 상이하다.
이 구체예에 따르면, 소수성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2/g의 비표면 및 3 내지 50 nm의 범위의 수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실리카로부터 선택된다. 이것들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에 기술된 소수성 실리카, 및 그것들의 혼합물이다.
상업적 명칭 Aerosil R202
(Evonik Degussa)
Aerosil R805
(Evonik Degussa)
Aerosil R812
(Evonik Degussa)
Aerosil R972
(Evonik Degussa)
Aerosil R974
(Evonik Degussa)
BET 표면(m2/g) 90 + 20 150 + 25 260 + 30 110 + 20 170 + 20
평균 입자 크기(nm) 14 12 7 1 12
이 구체예에 따르면,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소수성 실리카는 또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실리카로 덮인 입자, 특히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소수성 실리카로 덮인 무기 입자, 예컨대 소수성 실리카로 덮인 안료 및 금속 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입자들은 또한 제품에서 및 피부에서 광학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그것들은 유분이 적어보이거나 약간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실리카로서, 표면에서 다이메틸실록산으로 처리된 소수성 훈증 실리카, 예컨대 Evonik Degussa사에 의해 Aerosil R972(INCI 명칭: 실리카 다이메틸 실릴레이트)라는 이름으로 시판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소수성 실리카는 500 내지 1500 m2/g 범위의 중량 단위당 비표면(SW) 및 1 내지 1500 μm의 범위의, 부피-평균 직경(D[0.5], 또한 부피 Dv50에 의한 중간 입자 크기로도 알려짐)으로서 표시된 크기를 나타내는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이다.
실리카 에어로겔은 실리카 겔의 액체 구성요소를 공기로 교체함으로써(건조에 의해) 얻어진 다공성 물질이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액체 매질에서 졸-겔 공정을 통해 합성된 후, 보통 초임계 유체의 추출에 의해 건조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초임계 CO2이다. 이런 유형의 건조는 기공 및 물질의 수축을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졸-겔 공정 및 다양한 건조 작동은 Brinker C.J. and Scherer G.W., Sol-Gel Science: New York: Academic Press, 1990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는 500 내지 1500 m2/g,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 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800 m2/g 범위의 중량 단위당 비표면(SW), 및 1 내지 1500 μm, 더 양호하게는 1 내지 1000 μ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μm, 특히 1 내지 3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μm, 더 양호하게는 5 내지 20 μm, 더욱 더 양호하게는 5 내지 15 μm의 범위의, 부피-평균 직경(D[0.5], 또한 부피 Dv50에 의한 중간 입자 크기로도 알려짐)으로서 표시된 크기를 나타낸다.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된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는 1 내지 30 μ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μm, 더 양호하게는 5 내지 20 μm, 더욱 더 양호하게는 5 내지 15 μm의 범위의, 부피-평균 직경(D[0.5], 또한 부피 Dv50에 의한 중간 입자 크기로도 알려짐)으로서 표시된 크기를 나타낸다.
중량 단위당 비표면은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60, page 309, February 1938에 기술되고, 국제 표준 ISO 5794/1 (부록 D)에 상응하는, BET(Brunauer-Emmett-Teller) 방법으로서 알려진, 질소 흡수 방법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BET 비표면은 고려되는 입자의 총 비표면에 상응한다. 에어로겔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Malvern사로부터의 MasterSizer 2000 타입의 상업용 입자 크기 분석기를 사용하여 정적 광 산란(static light scattering)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데이터는 Mie 산란 이론을 기반으로 처리된다. 등방성 입자에 대해 정확한 이러한 이론은, 비구형 입자의 경우에, "유효한" 입자 직경을 규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이론은 특히 Van de Hulst, H.C.에 의한 공개물, "Light Scattering by Small Particle", Chapters 9 and 10, Wiley, New York, 1957에 기술되어 있다.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된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는 600 내지 800 m2/g의 범위의 중량 단위당 비표면(SW) 및 5 내지 20 μm, 더욱 더 양호하게는 5 내지 15 μm의 범위의, 부피-평균 직경(D[0.5], 또한 부피 Dv50에 의한 중간 입자 크기로도 알려짐)으로서 표시된 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에어로겔 실리카 입자는 유리하게도 0.04 g/cm3 내지 0.10 g/cm3, 바람직하게는 from 0.05 g/cm3 내지 0.08 g/cm3 범위의 충진 밀도(ρ)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충진 밀도로서 알려진 이러한 밀도는, 다음의 프로토콜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40 g의 분말이 눈금이 새겨진 측정용 실린더에 부어진다; 그런 후 측정용 실린더는 Stampf Volumeter사로부터의 Stav 2003 장치에 넣어진다; 측정용 실린더는 계속해서 일련의 2500 충진 작용을 받는다(이 작업은 두 개의 연속적인 테스트 사이의 부피의 차이가 2%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된다); 충진된 분말의 최종 부피 Vf가 그런 후 직접 측정용 실린더 상에서 측정된다. 충진 밀도는 포인트 40/Vf (Vf는 cm3 및 w로 g으로 표시됨)의 경우에, 비율 w/Vf에 의해 정의된다.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된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는 5 내지 60 m2/cm3,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2/cm3, 더 양호하게는 15 내지 40 m2/cm3의 범위의, 부피 단위당 비표면 SV를 나타낸다.
부피 단위당 비표면은 다음 관계식으로 제시된다: SV = SW x ρ, 여기서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ρ는 g/cm3으로 표시된 충진 밀도이고, SW는 m2/g으로 표시된 중량 단위당 비표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발명에 따르는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는, 습식 포인트(wet point)에서 측정될 때, 5 내지 18 ml/g,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ml/g, 더욱 더 양호하게는 8 내지 12 ml/g의 오일 흡수 용량을 가진다.
흡수 용량은 습식 포인트에서 측정되고, Wp로 표시되며, 균일한 페이스트를 얻기 위해 100 g의 입자에 첨가될 필요가 있는 오일의 양에 상응한다.
그것은 "습식 포인트" 방법 또는 표준 NF T 30-022에 기술된 분말의 오일 흡수를 규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그것은 하기 기술된 것과 같이, 습식 포인트의 측정에 의해 분말의 이용 가능한 표면 위에 흡수된 및/또는 분말에 의해 흡수된 오일의 양에 상응한다.
분말의 w = 2 g의 양이 유리 플레이트에 놓이고, 오일(아이소노닐 아이소노나노에이트)이 다음에 적하방식으로 첨가된다. 4 내지 5 방울의 오일이 분말에 첨가된 후, 약수저를 사용하여 혼합이 수행되고, 오일과 분말의 집합체가 형성될 때까지 오일의 첨가가 계속된다. 이 지점으로부터, 오일은 한 번에 한 방울의 속도로 첨가되고 혼합물은 계속해서 약수저로 잘게 부숴진다. 오일의 첨가는 단단하고 매끄러운 페이스트가 얻어질 때 중단된다. 이러한 페이스트는 균열되거나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유리판 위에 펼쳐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런 후 사용된 오일의 부피 Vs(ml로 표시)가 기록된다.
오일 흡수는 Vs/w 비율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에어로겔은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 바람직하게는 실릴화된 실리카(INCI 명칭: 실리카 실릴레이트)의 에어로겔이다.
용어 "소수성 실리카"는 실릴 기 Si-Rn, 예를 들어 트라이메틸실릴 기로 OH 기를 기능화하기 위하여, 표면이 실릴화제, 예를 들어 할로겐화된 실란, 예컨대 알킬 클로로실란, 실록산, 특히 다이메틸실록산, 예컨대 헥사메틸 다이실록산 또는 실라잔으로 처리된 임의의 실리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된다.
실릴화에 의해 표면에서 변형된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의 제조에 관해서는, 문서 US 7 470 725가 언급될 수 있다.
특히 표면에서 트라이메틸실릴 기로 변형된 소수성 실리카(트라이메틸실록실화된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가 사용될 것이다.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로서, 예를 들어 Dow Corning사에 의해 VM-2260(INCI 명칭: 실리카 실릴레이트)이란 이름하에 시판되는 에어로겔이 언급될 수 있는데, 그것의 입자들은 대략 1000 마이크론의 평균 크기 및 600 내지 800 m2/g의 범위의 중량 단위당 비표면을 나타낸다.
또한 에어로겔 TLD 201, 에어로겔 OGD 201 및 에어로겔 TLD 203이란 언급 하에 Cabot사에 의해 시판되는 에어로겔들이 언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ow Corning사에 의해 VM-2270(INCI 명칭: 실리카 실릴레이트)이란 이름하에 시판되는 에어로겔이 사용될 것이고, 그것의 입자들은 대략 5 내지 15 마이크론 범위의 평균 크기 및 600 내지 800 m2/g의 범위의 중량 단위당 비표면을 나타낸다.
- 소수성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알킬 셀룰로오스; Dow Chemicals사로부터 상표명 EthocelTM 표준 200 산업용 에트닐셀룰로오스 하에 시판되는 제품 에틸 셀룰로오스가 언급될 수 있다,
- 전분,
모든 전분 및 밀가루가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임의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수성 또는 소수성이 되도록 변형된 전분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것은 이종 교배, 전좌(transl℃ation), 전도(inversion), 형질전환 또는 그것들의 변이를 포함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유전자 또는 염색체 엔지니어링 방법을 포함한 표준 교배 기법들에 의해 얻어진 식물로부터 유래된 전분 및 밀가루이다. 이에 더불어, 돌연변이 교배의 공지된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상기 유전자 조성물의 인공 돌연변이 및 변이로부터 성장된 식물로부터 유래된 전분 또는 밀가루가 또한 본원에 적합하다. 전분 또는 밀가루의 전형적인 공급원은 곡류, 괴경, 뿌리, 협과 및 과일이다. 천연 공급원은 옥수수, 완두콩, 감자, 고구마, 바나나, 보리, 밀, 쌀, 사고(sago), 아마란스, 타피오카, 애로루트, 칸나, 수수, 및 그것들의 왁스성 및 고아밀라아제 변종들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소수성이 되도록 변형된 전분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전분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석시네이트를 들 수 있다.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석시네이트는 통상 Akzo Nobel사에 의해 상표명 DRY-FLO PURE로 시판된다.
전분은 먼저 시스템과, 특히 용매와 부합하는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를 사용하여 비이온성으로 유도체화될 수 있다. 비이온성 유도체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Starch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Edited by Whistler, et al., Academic Press, Inc., Orlando (1984) or Modified Starches: Properties and Uses. Wurzburg, O. B., CRC Press, Inc., Florida, (1986)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이온성 시약으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킬렌 산화물, 예컨대 산화 에틸렌, 산화 프로필렌, 및 산화 부틸렌, 아세트산 무수물, 및 부틸 케텐 다이머를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한 비이온성 시약은 알킬렌 산화물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프로필렌이다.
전형적으로, 변형된 전분은 상온 및 상압에서 분말이다. 변형된 전분 분말은 미세한 과립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변형된 전분은 5 내지 30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 및 15 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더욱이, 변형된 전분의 굴절률은 25℃에서 1.50 내지 1.60, 바람직하게 1.52인 것으로 측정된다.
- 탈크
소수성 입자는 탈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탈크는 마이크로-탈크, 예를 들어 Nippon Talc사의 Micro Ace P3이다.
마이크로-탈크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μm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μm 범위이다. 탈크 입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및 규소와 조합된 탈크(예를 들어 Presperse LLC사의 Coverleaf AR80), 산화 알루미늄 및 이산화 규소와 조합된 탈크(예를 들어 Coverleaf AR10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고려되는 다른 하이브리드 분말로는 운모-바륨 설페이트 상의 산화 아연(예를 들어 Merck사의 Shadeleaf A), 운모 상의 이산화 티타늄(예를 들어 Merck사의 Blancsealer), 실리카 상의 이산화 티타늄(예를 들어 Nippon Sheet Glass사의 NL T30H2WA), 및 운모-바륨 설페이트 상의 이산화 티타늄(예를 들어 Merck사의 Naturaleaf)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탈크가 바람직하다.
- 실리콘 수지 분말,
바람직한 실리콘 수지 분말은, 예를 들어 GE Silicone사에 의해 상표명 Tospearl 145A로 시판되는 INCI 명칭 폴리메틸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을 포함하고, 평균 크기가 4.5 마이크론인 실리콘 수지이다.
- 중공성 반구형 실리콘 입자, 예를 들어 Takemoto Oil and Fat사에 의해 상표명 NLK 500, NLK 506 및 NLK 510으로 시판되는 메틸실란올/실리케이트 크로스중합체,
- 폴리아미드 (Nylon®) 분말, 예를 들어 Toray Industries사로부터의 SP-500의 나일론 12 입자,
- 소수성 안료,
본 발명의 소수성 안료는 소수성이거나 소수성 코팅된 안료일 수 있다. 발명에 따르는 에멀션에 존재하는 소수성 코팅된 안료는 소수성 작용제로 표면 처리된 안료가다. 이렇게 처리된 안료는 지방 상에 잘 분산된다.
소수성 안료로서, 철 산화물(특히, 색이 황색, 적색, 갈색 또는 흑색인 것들), 티타늄 이산화물, 산화 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크롬과 같은 금속 산화물;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 블루, 프러시안 블루, 페릭 블루(ferric blue), 옥시염화 비스무스, 펄, 이산화 티타늄으로 또는 옥시염화 비스무스로 코팅된 운모, 착색된 진주광택의 안료, 예컨대 철 산화물을 가진 운모-티타늄, 특히 페릭 블루 또는 산화 크롬을 가진 운모-티타늄, 상기 언급된 유형의 유기 안료를 가진 운모-티타늄 및 옥시염화 비스무스를 기반으로 한 진주광택의 안료,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철 산화물 또는 이산화 티타늄의 소수성 안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소수성 처리제는 메티콘, 다이메티콘, 퍼플루오로알킬실란과 같은 실리콘; 스테아르산과 같은 지방산; 알루미늄 다이미리스테이트와 같은 금속 비누(metal soap), 수소화된 탈로우 글루타메이트의 알루미늄 염, 퍼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퍼플루오로알킬실란, 퍼플루오로알킬실라잔,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산화물, 퍼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를 포함하는 폴리유기실록산, 아미노 산; N-아실화된 아미노산 또는 그것들의 염; 레시틴, 아이소프로필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릴 티타네이트,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과 같은 지방산이 소수성 처리제로서 사용된다.
소수성 코팅된 안료, 예컨대 Tayca사에 의해 상표명 마이크로 이산화 티타늄(Micro Titanium Dioxide) MT-100 T V으로 시판되는, 지방산으로 코팅된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으로 코팅된 이산화 티타늄 및 수산화 알루미늄이 언급될 수 있다.
-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수성 입자는 소수성 실리카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면에서 다이메틸실록산으로 처리된 소수성 훈증된 실리카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입자, 500 내지 1500 m2/g 범위의 중량 단위당 비표면(SW) 및 1 내지 1500 μm 범위의, 부피-평균 직경(D[0.5], 또한 부피 Dv50에 의한 중간 입자 크기로서 알려짐)으로서 표시된 크기를 나타내는 소수성 실리카의 에어로겔 입자,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카 다이메틸 실릴레이트, 실리카 실릴레이트,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소성 입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2 중량%의 소수성 입자를 포함한다.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추가로 친수성 용매, 친유성 용매, 추가적인 오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충전제 또는 점증제, 겔화제, 추가적인 검, 수지, 추가적인 증점제, 왁스와 같은 구조화제, 분산제, 항산화제, 정유, 보존제, 향, 중화제, 방부제, 추가적인 UV-차단제, 화장품용 활성제, 예컨대 비타민, 보습제, 유화제 또는 콜라겐-보호제,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고려 중에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화장품 특성 및 그것의 안정성 특성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첨가제의 성질 및 양을 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일상적인 작업이다.
갈레노스식 형태(Galenic form)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수-중-유 에멀션의 형태로 있다.
특히,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 피커링 에멀션의 형태로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1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5 m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액적, 특히 가시적 유적의 형태로 지방 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유적의 평균 직경은 MEDIA사에 의해 시판된 64-비트 "Image-Pro Premier 9.1"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조성물은 증발 접시에 놓이고, 조성물의 이미지가 매크로 렌즈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다. 그런 후 이미지는 "Image-Pro Premier 9.1" 분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유적의 평균 직경이 소프트웨어로부터 얻어진 화소 데이터에 따라 계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적의 평균 직경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5 내지 20 g의 조성물이, 바닥에 길이 1 cm의 막대가 표시되어 있는 증발 접시 위에 놓인다. 1 cm 막대는 유적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조성물을 함유한 접시의 사진은 매크로 렌즈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되고 64-비트 Image-Pro Premier 9.1 분석 소프트웨어에 유입되며, 거기에 유적의 사이클을 계수하기 위하여 "사이클" 모듈이 적용된다.
소프트웨어는 유적의 평균 직경뿐만 아니라 1 cm 막대 기준을 측정하여, 두 데이터를 화소로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평균 직경은 기준 1 cm 막대와 비교하여 화소를 cm로 변형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림, 겔, 특히 겔, 연고, 밀크, 로션, 세럼, 페이스트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이고, 이때 분산된 지방 상은 가시적 유적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소구체 또는 원형 모양으로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된 지방 상, 및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수성 상을 포함하며,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련된다:
a) 덱스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0.05 중량% 내지 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겔화제;
b) 0.0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c)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머(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로 산 기능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1), 및 식 (III)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3) 폴리옥세틸렌화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0.001 중량% 내지 3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
Figure pct00005
상기 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8-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고; 및
d) 실리카 실릴레이트.
방법 및 사용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치료 과정, 예컨대 피부, 특히 얼굴 및 입술에 적용됨으로써 케라틴 물질, 예컨대 피부, 특히 얼굴 및 입술을 관리하기 위한 화장 과정 또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특히 얼굴 및 입술을 관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그 자체로서 또는 화장품으로서의 사용에 관련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제형 예
다음의 예비상(pre-phase)들을 제조하였다:
INCI 명칭 본 발명에 따르는 예비상 A(활성의 중량%) 발명과 무관한 예비상 B(활성의 중량%) 발명과 무관한 예비상 C(활성의 중량%)
A SILICA SILYLATE (DOW CORNING사의 VM-2270 에어로겔 미세 입자) 0.15 0.15 0.15
프로필렌 글리콜 3 3 3
B 젤란 검(CP KELCO사의 KELCOGEL CG LA) 0 0.06 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LUBRIZOL사의 PEMULEN TR2®) 0.06 0 0.06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6(SEPPIC사의 EPIMAX ZEN®) 0.015 0.015 0
수산화 나트륨 0.001 0 0.001
염화 칼슘 0 0.006 0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C 카프릴/카프르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COGNIS (BASF)사의 MYRITOL® 318) 15 15 15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CHIBA FLOUR MILLING사의 RHEOPEARL MKL2 ) 2 2 2
착색제 0.0001 0.0001 0.0001
pH 조정 5.2로 조정 5.6으로 조정 5.2로 조정
주: 예비상 B는 청구된 것과 같은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b) 대신 젤란 검을 함유하고; 예비상 C는 청구된 것과 같은 음이온성 3원 중합체 c)를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열거한 예비상들을 다음 단계들을 따라 제조하였다:
상 B를 물에 팽창시키고 pH를 5.2, 또는 5.6으로 조정한 후, 혼합물을 70℃로 가열하였다;
상 A를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5분 동안 분산시켰다;
상 C를 85℃에서 용융시킨 후,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가시적 및 원형 유적이 관찰될 때까지 2분 동안 유입시켰다;
상기에서 얻어진 유적을 냉각수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온도를 30℃로 냉각하였다.
염기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0.5 중량%의 카보머(3V사의 SYNTHALEN K)를 물에 팽창시킨 후, 0.15%의 수산화 나트륨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pH를 30℃에서 6.0으로 조정하였다.
그런 후, 본 발명의 최종 제형 및 비교 제형을 제조하였다:
발명의 제형 A(활성의 중량%) 비교 제형 B (활성의 중량%) 비교 제형 C(활성의 중량%)
발명에 따르는 예비상 A 25.0 0 0
발명과 무관한 예비상 B 0 25.0 0
발명과 무관한 예비상 C 0 0 25.0
염기 75.0 75.0 75.0
예비상을 첨가 케틀(kettle)로부터 주(main) 케틀로 옮긴 후, 교반 하에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런 후 혼합물을 케틀로부터 저장소로 보냈다.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제조를 40 kg의 규모로 수행하였고, 이때 프리상의 이송, 및 최종 제형의 이동 중에, 전단력이 예비상 및 최종 제형에 적용되었다.
실시예 2: 평가예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명 및 비교 제형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발명 제형 및 비교 제형의 안정성 테스트를 40℃, 45℃, 및 65℃에서 2개월 동안 Binder 오븐(USA)을 사용하여, 발명 및 비교 제형을 오븐에 2개월 동안 놓아둠으로써 수행하였다.
4℃에서 2개월 동안의 안정성 테스트를 Zhongke Meiling 냉장고(YC-260L, China)를 사용하여, 발명 및 비교 제형을 냉장고에 2개월 동안 넣어둠으로써 수행하였다.
24시간 동안 광안정성 테스트를 ATLAC(AMETEK Measurement and Calibration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냉동-해동 안정성 테스트를 10 사이클 동안 Binder over(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사이클에서, 온도는 24시간 동안에 20℃로부터 -20℃로 점차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규모확장 안정성을 실시예 1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제형의 40 kg의 제조 과정 중에 제형들의 외관, 예컨대 비드의 가시성(visibility), 및 비드의 형상 및 크기를 조사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발명 및 비교 제형의 안정성의 결과를 아래에 열거한다.
테스트 발명의 제형 A 비교 제형 B 비교 제형 C
2개월 동안 상이한 온도에서의 안정성 테스트 4℃ OK / /
40℃ OK / /
45℃ OK / /
65℃ OK / /
광 안정성 테스트 OK / /
냉동-해동 안정성 테스트 OK / /
예비상 또는 제형의 규모확장 안정성 OK 예비상 B에서 유적 합체, 및 비교 제형 B에서 균일한 유적은 형성되지 않음. 예비상 C에서 오일 비드의 부분적인 합체, 비교 제형 C에서 매우 불균일한 액적을 포함한 겔
발명의 제형 A는 가시적 및 원형 유적을 함유한 조성물이고, 상이한 조건 하에서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한 반면, 비교 제형 B는 예비상 B의 제조 중에 유적이 합체됨에 따라 수성에 분산된 유적을 함유하지 않았고, 비교 제형 C는 예상한 바와 같이 원형 및 균일한 유적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된다. 예비상 C의 유적의 일부는 서로 합체하고, 그로써 불균일한 제형을 형성한다.
그 외에도, 소비자들에 의해, 발명의 제형 A가 적용 중에 양호한 느낌, 예컨대 수화, 보습의 느낌을 피부에 제공하는 것으로 또한 관찰된다.
또한 발명의 제형 A의 소비자들에 의한 2개월간의 일상적인 사용 중에, 여전히 양호한 외관, 즉, 가시적 및 원형 유적을 포함한 겔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주지된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분산된 지방 상, 및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수성 상을 포함하고,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a) 덱스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겔화제;
    b) 적어도 하나의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c)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머(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로 산 기능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1), 및 식 (III)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3) 폴리옥세틸렌화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3원 중합체:
    Figure pct00006

    상기 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8-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고; 및
    d) 소수성 실리카, 소수성 셀룰로오스, 전분, 탈크, 실리콘 수지 분말, 중공성 반구형 실리콘 입자, 폴리아미드 분말, 소수성 안료,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지방 상은 0.01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5 mm의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액적의 형태로 있는 것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지방 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겔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덱스트린과 C14-C18 지방산의 에스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인 것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겔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불포화 올레핀 카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0-C30)알킬 에스테르의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단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들로부터 선택되며:
    - 식 (I)의 올레핀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들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H, CH3, 및 C2H5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에타크릴산 단위에 상응함), 및
    - 식 (II)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C10-C30)알킬 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2는 H, CH3, 및 C2H5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각각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타크릴레이트 단위에 상응함), R3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분지 또는 비분지형 (C10-C30)알킬 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a) 아크릴산, (b) 식 (II)의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이때 R2는 H, CH3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기이고, 및 (c) 공중합성 폴리에틸렌 불포화 모노머, 에컨대 다이알릴 프탈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비닐벤젠,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모노머들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것들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인 것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2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머(2)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로 산 기능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1), 및 식 (III)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3) 폴리옥세틸렌화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또는 분지형이고:
    Figure pct00009

    상기 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8-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n은 1 내지 10 범위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노머(1)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의 설폰산 기능, 또는 포스폰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식 (III)에서:
    R은 옥틸 라디칼, 데실 라디칼, 운데실 라디칼, 트라이데실 라디칼, 테트라데실 라디칼, 펜타데실 라디칼, 헥사데실 라디칼, 2-에틸헥실, 2-프로필헵틸, 2-부틸옥틸, 2-펜틸노닐, 2-헥실데실, 4-메틸펜틸, 5-메틸헥실, 6-메틸헵틸, 15-메틸펜타데실, 16-메틸헵타데실, 또는 2-헥실옥틸 라디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노머(1)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된, 유리 형태의 스티렌 설폰산, 에틸설폰산 또는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설폰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식 (III)에서,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2-C16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n은 3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N, 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라우릴 아크릴레이트의 암모늄 염 형태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염화되고, 트라이메틸롤 테트라에톡실화된 프로판트라이아크릴레이트와 가교결합된, 2-메틸-2-[(1-옥소-2-프로페닐)아미노]-1-프로판설폰산인 것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3원 중합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3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입자는 실리카 다이메틸 실릴레이트, 실리카 실릴레이트, 소수성 알킬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석시네이트, 마이크로-탈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메틸실란올/실리케이트 크로스중합체, 나일론-12, 금속 산화물, 지방산으로 코팅된 금속 산화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입자는 실리카 다이메틸 실릴레이트, 실리카 실릴레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석시네이트, 이산화 티타늄, 철 산화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다이메틸 실릴레이트, 실리카 실릴레이트,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입자는 실리카 실릴레이트인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입자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2 중량%의 범위의 소수성 입자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함으로써, 케라틴 물질, 예를 들어 피부, 특히 얼굴 및 입술을 화장 및/또는 관리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케라틴 물질, 특히 피부, 보다 구체적으로 얼굴 및 입술의 관리 및/또는 화장에서의 사용.
KR1020197003183A 2016-07-12 2016-07-12 피커링 에멀션의 조성물 KR102251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9788 WO2018010094A1 (en) 2016-07-12 2016-07-12 Composition of pickering emul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814A true KR20190026814A (ko) 2019-03-13
KR102251488B1 KR102251488B1 (ko) 2021-05-17

Family

ID=6095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183A KR102251488B1 (ko) 2016-07-12 2016-07-12 피커링 에멀션의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6851B2 (ko)
EP (1) EP3484444B1 (ko)
JP (1) JP6821781B2 (ko)
KR (1) KR102251488B1 (ko)
CN (1) CN109843260B (ko)
ES (1) ES2951675T3 (ko)
WO (1) WO2018010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2733A1 (fr) * 2018-06-25 2019-12-27 Imertech Emulsions de type pickering
KR102654763B1 (ko) 2018-11-07 2024-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지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실리카 복합체 기반 열경화형 도료 조성물, 내지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실리카 복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270373A (zh) * 2019-06-25 2019-09-24 华南协同创新研究院 一种pH响应型Pickering乳液界面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16370318A (zh) * 2023-05-09 2023-07-04 奥源新材料(广州)有限公司 一种无乳化剂的皮克林唇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1004A (ja) * 2011-05-24 2012-12-10 Kao Corp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20150121211A (ko) * 2013-02-25 2015-10-28 로레알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3354B2 (ja) 1993-11-22 2002-01-07 花王株式会社 乳化化粧料
JP3236926B2 (ja) * 1995-04-18 2001-12-10 千葉製粉株式会社 高級脂肪酸デキストリンからなる乳化剤、これ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および化粧料
DE19842788A1 (de) * 1998-09-18 2000-03-23 Beiersdorf Ag Emulgatorfreie feindisperse Systeme vom Typ Öl-in-Wasser und Wasser-in-Öl
JP4822089B2 (ja) 2000-12-27 2011-11-24 千葉製粉株式会社 O/w型乳化組成物
US20080311066A1 (en) 2004-07-02 2008-12-18 L'oréal Cosmetics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Surfactant and at Least One Novel Ethylene Copolymer with Polyethylene Glycol Grafts
ES2520045T3 (es) * 2007-04-26 2014-11-11 Shiseido Company, Ltd. Composición de emulsión aceite-agua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la misma
ATE544441T1 (de) * 2007-05-10 2012-02-15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Tensidfreie schaumformulierungen
FR2927252B1 (fr) * 2008-02-12 2010-04-23 Oreal 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polyere amphiphile
EP2740462B1 (en) 2011-08-02 2018-10-10 Shiseido Company, Ltd. Oil-in-water-type emulsion cosmetic
JP2013227444A (ja) 2012-04-26 2013-11-07 Kinki Univ 複合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細胞製剤
CN105050574B (zh) 2013-03-25 2019-05-31 莱雅公司 包含非聚合物型有机凝胶剂的透明组合物
CN103191027A (zh) * 2013-04-27 2013-07-10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固态的使用时具有温热感的卸妆膏
CN105828801A (zh) 2013-12-16 2016-08-03 莱雅公司 包含环糊精及其衍生物、阴离子表面活性剂和醇的聚亚烷基二醇醚的组合物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1004A (ja) * 2011-05-24 2012-12-10 Kao Corp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20150121211A (ko) * 2013-02-25 2015-10-28 로레알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3260A (zh) 2019-06-04
ES2951675T3 (es) 2023-10-24
JP6821781B2 (ja) 2021-01-27
JP2019520418A (ja) 2019-07-18
EP3484444A4 (en) 2020-03-18
EP3484444C0 (en) 2023-06-14
WO2018010094A1 (en) 2018-01-18
US20210169768A1 (en) 2021-06-10
CN109843260B (zh) 2022-09-06
KR102251488B1 (ko) 2021-05-17
US11576851B2 (en) 2023-02-14
EP3484444A1 (en) 2019-05-22
EP3484444B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2711B1 (en) Composition of pickering emulsion comprising low amount of alcohol
RU2667971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акияжа кожи
RU2591813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частицы аэрогелей диоксида кремния и масла на основе углеводородов
KR20230014728A (ko) 쉘-프리 안정한 분산액
CN104244914B (zh) 包含控油填料和硅烷的化妆品组合物
JP2017502953A (ja)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単位を有するポリマーおよび膨張ポリマー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10636827A (zh) 包含脂肪相和实心球形式的水相的组合物
KR101235399B1 (ko) 미립자 산화티탄 분산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251488B1 (ko) 피커링 에멀션의 조성물
US20140335136A1 (en)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CN111107904A (zh) 具有高颜料含量的分散脂肪相的分散体
WO2020090874A1 (ja) 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1857093A1 (en) Cosmetic skin preparation
JP2006219427A (ja) 皮膚化粧料
CN104394830A (zh) 化妆品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11766389B2 (en) Makeup composition
JP2023062630A (ja) 油性化粧料
WO2023189392A1 (en) Composition suitable for eyebrows
WO2022093642A1 (en) Makeup composition
JP2006219428A (ja) 皮膚化粧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