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594A -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6594A KR20190026594A KR1020180103194A KR20180103194A KR20190026594A KR 20190026594 A KR20190026594 A KR 20190026594A KR 1020180103194 A KR1020180103194 A KR 1020180103194A KR 20180103194 A KR20180103194 A KR 20180103194A KR 20190026594 A KR20190026594 A KR 201900265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end portion
- layer
- face
- adhesive t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이차 전지용의 전극 어셈블리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제1 세퍼레이터가 중첩되어서 권회된 권회체와,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다. 접착 테이프는,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극 시트와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의 감기 종료 개소는,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된다. 특허문헌 1에는, 권회체의 감기 종료 개소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권회체에서는, 세퍼레이터의 종단부 부분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와 접착 테이프 사이에 공극이 존재한다. 접착 테이프에 의해 세퍼레이터의 기능층이 인장되어, 기능층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권회체의 최외층이 전극 시트인 경우, 동일한 이유에 의해 전극 시트의 활물질층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세퍼레이터의 기능층 또는 전극 시트의 활물질층의 파손을 억제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는,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겹쳐져,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와, 상기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활물질층의 외측면 또는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겹쳐져,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세퍼레이터를 중첩하여 권회하는 권회 공정과, 접착 테이프가, 상기 활물질층의 외측면 또는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도록, 상기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부착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의 기능층 또는 전극 시트의 활물질층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일 실시 형태의 이차 전지용의 전극 어셈블리의 일부를 전개한 사시도이고, (b) (c)는, 이차 전지용의 전극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세퍼레이터의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접착 테이프를 권회체에 부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의 샘플 단면을 촬영한 화상이다.
도 15는, 도 6에 도시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의 샘플 단면을 촬영한 화상이다.
도 16은,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세퍼레이터의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접착 테이프를 권회체에 부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의 샘플 단면을 촬영한 화상이다.
도 15는, 도 6에 도시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의 샘플 단면을 촬영한 화상이다.
도 16은,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회체는, 적어도,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세퍼레이터가 중첩된 부분과,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다. 즉, 상기 권회체는,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세퍼레이터가 적층된 상태에서 함께 권회된 것이어도 되고, 또는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세퍼레이터가 적층된 적층체의 최외주를,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적어도 하나로 1주(周) 이상 권회한 것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의 (a)는, 일 실시 형태의 이차 전지용의 전극 어셈블리의 일부를 전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이차 전지용의 전극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차 전지용의 전극 어셈블리(1)는 권회체(2)와, 권회체(2)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접착 테이프(3)를 구비한다. 권회체(2)는 부극 시트(4), 정극 시트(5) 및 2개의 세퍼레이터(제1 세퍼레이터(6), 제2 세퍼레이터(7))를 포함한다. 2개의 전극 시트(부극 시트(4), 정극 시트(5))와 2개의 세퍼레이터(제1 세퍼레이터(6), 제2 세퍼레이터(7))는 교대로 겹쳐져, 권회되어 있다. 부극 시트(4)에는 부극 리드(4a)가 접속되어 있다. 정극 시트(5)에는 정극 리드(5a)가 접속되어 있다. 부극 리드(4a) 및 정극 리드(5a)는, 이차 전지의 부극 및 정극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접착 테이프(3)는, 권회체(2)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테이프이며, 권회된 권회체(2)의 최외층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접착 테이프(3)는, 권회체(2)의 둘레를 일주해도 되고, 일주하지 않고 권회체(2)의 외주 일부에 붙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3)는, 권회체(2)의 축 방향 중앙 부분에 붙여져 있어도 되고, 중앙 이외에 붙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3)는 1개여도 되고, 복수개여도 된다. 또한, 접착 테이프(3)의 폭(권회체(2)의 축 방향의 길이)도 임의이고, 권회체(2)의 축 방향의 폭의 대부분 모두를 덮는 길이여도 되고, 권회체(2)의 축 방향의 폭의 일부를 덮는 길이여도 된다. 전극 어셈블리(1)는, 이차 전지를 구성하기 위해서, 전지 캔에 수용된다. 또한, 도 1의 (a)에 나타내는 부극 시트(4), 정극 시트(5), 제1 세퍼레이터(6) 및 제2 세퍼레이터(7)의 길이 및 폭은,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정확한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하는 권회체(2)는, 원통형의 전지 캔에 수용되기 위하여 원기둥상이어도 되고, 직육면체상 또는 주머니상의 전지 용기에 수용되기 위하여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평한 원기둥상이어도 된다. 권회체(2)가 수용되는 용기는, 금속제의 캔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와 금속박이 적층된 필름을 주머니상 또는 상자상으로 성형한 것이어도 된다.
도 2는,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권회체의 최외층에는, 제1 세퍼레이터(6)가 위치한다. 제1 세퍼레이터(6)는, 다공질의 필름 기재(11)와, 기능층(12)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기능층(12)은, 다공질의 필름 기재(11)의 편측 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양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층(12)은, 유연한 다공질의 필름 기재(11)보다도 무른 재질이다.
제1 세퍼레이터(6)는 기능층(12)으로서, 예를 들어 내열층을 구비한다. 제1 세퍼레이터(6)에 있어서의 다공질의 필름 기재(11)는, 제1 세퍼레이터(6)가 고온이 되었을 때 융해함으로써, 다공질의 필름 기재(11) 자신에 형성되어 있었던 구멍을 폐색한다. 이에 의해, 필름 기재(11)는, 리튬 이온의 이동을 정지시켜, 이차 전지의 과방전 또는 과충전을 방지한다. 한편, 내열층은, 제1 세퍼레이터(6)가 고온이 되었을 때에도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즉, 내열층은, 다공질의 필름 기재(11)가 융해했을 때에도 형상이 변화하지 않고, 제1 세퍼레이터(6)의 막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접착 테이프(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인 테이프 기재(13)와, 접착을 위한 점착층(14)을 구비한다. 점착층(14)은, 주로 점착제(또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테이프 기재(13)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세퍼레이터(6)는, 접착 테이프(3)보다(특히 테이프 기재보다), 얇고 또한 유연하다. 또한, 점착층(14)은 테이프 기재(13)보다 유연하다. 그로 인해,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 주변에 있어서, 점착층(14)이 크게 변형되고,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접착 테이프(3)의 부착 공정에 있어서, 권회체의 감기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3)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도 2에 있어서 상측)에 부착된 후, 둘레 방향(화살표 I의 방향)으로 인장되면서,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도 2에 있어서 하측)에 부착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와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를 구별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의 단부보다 높은 측을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라고 칭하고, 세퍼레이터의 단부보다 낮은 측을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라고 칭한다. 접착 테이프(3)는,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있어서, 기능층(12)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접착 테이프(3)가 부착된 후,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의 근처에는, 보이드(15)(공극)가 형성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3)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을 둘레 방향(화살표 I의 방향)으로 인장한다. 그로 인해, 종단부 부분에 있어서, 최외층의 기능층(12)이 필름 기재(11)로부터 박리되거나, 파손되거나 해서, 기능층(12)의 조각이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으로부터 탈락할 수 있다.
도 3의 (a) (b)는,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원래, 변형된(신장된) 점착층(14)에는, 수축하는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그로 인해, 변형된 점착층(14)은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을 테이프 기재(13)측으로 인장하고 있다. 이차 전지의 충전을 행하면, 권회체를 포함하는 전극 어셈블리는 외측을 향하여 팽창한다. 부분적으로 보면, 전극 어셈블리의 팽창에 의해,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는 화살표 K의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고,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는 역방향인 화살표 K'의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한다(도 3의 (a)). 이 응력에 의한 제1 세퍼레이터(6)의 변형량과 접착 테이프(3)의 변형량이 상이하면, 접착 테이프(3)가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을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인장한다. 그로 인해, 변형한 점착층(14)이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을 테이프 기재(13)측으로 인장하는 힘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이 필름 기재(11)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도 3의 (b)).
도 4는,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1)의, 권회체(2)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극 어셈블리(1)는,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이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참고예의 전극 어셈블리와 같다. 권회체(2)의 최외층에는, 제1 세퍼레이터(6)가 위치한다. 제1 세퍼레이터(6)에 있어서, 필름 기재(11)의 외측면에 기능층(12)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은, 기능층(12)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그리고,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에도 접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단부면 및 필름 기재(11)의 일부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3)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하고 있으면 된다.
권회체(2)가 감기는 방향(화살표 I의 방향)으로 인장되면서 붙여진 접착 테이프(3)는, 최외층의 필름 기재(11)의 일부 단부면에도 접착하고 있으므로, 기능층(12)뿐만 아니라 필름 기재(11)를 화살표 I의 방향으로 인장한다. 그로 인해, 최외층의 기능층(12)이 필름 기재(11)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하고, 기능층(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단부면(16)으로부터 기능층(12)의 조각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3)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기능층(12)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음으로써, 단부면(16)으로부터 기능층(12)의 조각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능층(12)과 필름 기재(11) 사이의 계면 박리가 진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3)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에 의한 전극 어셈블리(1)의 팽창이 발생해도, 점착층(14)이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을 테이프 기재(13)측으로 인장하는 힘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이 필름 기재(11)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필름 기재(11)의 편면에 기능층(12)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필름 기재(11)의 양면에 기능층(12)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1)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권회 공정에서는, 2개의 전극 시트(부극 시트(4), 정극 시트(5))와 2개의 세퍼레이터(제1 세퍼레이터(6), 제2 세퍼레이터(7))를 교대로 중첩하여 권회함으로써, 권회체(2)를 얻는다. 부착 공정에서는, 접착 테이프(3)를,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도 4에 있어서 상측)에 부착한 후, 접착 테이프(3)를, 권회체(2)가 감기는 방향(화살표 I의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1개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도 4에 있어서 하측)에 부착한다. 접착 테이프(3)는,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있어서, 기능층(12)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그 후, 접착 테이프(3)의 위로부터,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도 4에 있어서 단부면(16)보다 우측)을 압박 부재로 누른다. 압박 부재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을 따르도록, 접착 테이프(3)를 압박 부재로 누르면서, 압박 부재를 단부면(16)의 근처까지 가까이 댄다. 이때, 압박 부재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도 4에 있어서 단부면(16)보다 좌측)을 누르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단부면(16)의 가로에 형성된 보이드를 찌부러뜨리고, 유연한 점착층(14)을 단부면(16)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변형예 1)
도 5는,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1의, 권회체(2)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변형예 1의 전극 어셈블리의 구성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이 경사면이 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도 4에 도시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같다.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외측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은, 권회체(2)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3)측(외측)의 각의 내각 P가 둔각이 되고 있다. 이에 의해, 점착층(14)을 경사진 경사 면을 따르도록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착층(14)을 단부면(16)에 접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단부면(16)의 면적이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 비하여 보다 커지기 때문에, 점착층(14)과 단부면(16)의 접착 면적도 보다 커진다. 그로 인해, 기능층(12)의 파손 및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6은,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2의, 권회체(2)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변형예 2의 전극 어셈블리의 구성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이 경사면이 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도 4에 도시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같다. 변형예 2의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단부면(16)의 기울기가 변형예 1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외측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은, 권회체(2)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3)측(외측)의 각의 내각 P가 예각이 되고 있다. 점착층(14)은, 단부면(16)의 하측에 잠입하고 있다. 단부면(16)의 면적이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 비하여 보다 커지기 때문에, 점착층(14)과 단부면(16)의 접착 면적도 보다 커진다. 그로 인해,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이 필름 기재(11)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세퍼레이터의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제조된 긴 세퍼레이터(8)를, 전극 어셈블리(1)에 사용되는 소정의 길이로 커트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 또는 제2 세퍼레이터가 얻어진다. 도 7에 있어서, 절단날(21)은, 세퍼레이터(8)의 표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삽입된다. 그 결과, 커트된 세퍼레이터(8)의 단부면은, 경사면이 된다. 또한, 필름 기재(11)측으로부터 절단날(21)을 넣으면, 커트된 세퍼레이터(8)의 단부면은, 역방향의 경사면이 된다. 커트된 후의 세퍼레이터(8)의 단부면 각도 Q는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도 Q는, 커트된 후의 세퍼레이터(8)의 종단부 부분의 2개의 각 중, 예각인 쪽의 각의 각도이다. 예각인 각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 기재(11)측이어도, 기능층(12)측이어도 된다. 또한, 절단날(21)의 날끝의 각도는, 도 7과 같이 양쪽 날인 경우, 약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쪽 날일 경우, 약 1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3)를 권회체에 부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롤러(22)를 사용하여 접착 테이프(3)를 권회체에 부착한다. 여기에서는, 롤러(22)는, 그 표면에 둘레 방향에 대하여 기운 복수의 홈을 갖는 주름 잡기 롤러이다. 복수의 홈은, 롤러(2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과 타방측으로 기울기가 반대로 되어 있다. 또한, 롤러(22)는, 홈을 갖지 않아도 된다. 롤러(22)는, 회전함으로써 접착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면서, 접착 테이프(3)를 누름으로써, 접착 테이프(3)를 부착한다. 롤러(22)의 표면 속도는, 접착 테이프(3)가 붙여지는 속도보다 빠르다.
도 9는, 접착 테이프(3)가 부착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접착 테이프(3)를,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에 부착한다(도 9의 (a)). 롤러(22)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를 초과할 때에, 종단부 부분의 선단부가 조금 찌부러진다(도 9의 (b)). 롤러(22)가 단부를 초과한 후, 접착 테이프(3)의 표면을 미끄럼 이동하는 롤러(22)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을 차올림으로써,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이 일어나고, 또한 점착층(14)이 단부면(16)의 하측에 잠입하여, 점착층(14)이 단부면(16)에 접착한다(도 9의 (c)). 접착 테이프(3)가 부착된 후에는, 접착 테이프(3)의 테이프 기재(13)는, 제1 세퍼레이터(6)에 의한 단차에 추종하지 않고, 점착층(14)만이 제1 세퍼레이터(6)에 의한 단차를 따라서 변형된다(도 9의 (d)). 이와 같이, 하향(내측 방향)의 단부면(16)에도 점착층(14)을 접착할 수 있다.
(변형예 3)
도 10 내지 도 13은, 기능층(12)에 대하여 방향이 다른 전극 어셈블리의 변형예,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있어서, 점선의 프레임으로 둘러싼 개소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효과에 의해, 기능층(12)의 파손이 방지되는 개소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의 각각은, 상술한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단부면이 경사면인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과, 1개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모두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양쪽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과, 1개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1개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1개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1개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개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은, 별도의 개소에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유지하게 되어 있다.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1개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개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은, 별도의 개소에서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유지하게 되어 있다.
도 11의 (a) (b)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 및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7)이 동일 위치에 정렬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과 낮은 측의 양쪽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적어도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에 접착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과,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과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모두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과 낮은 측의 양쪽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적어도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에 접착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과,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보다,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7)이 조금 앞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착 테이프(3)를 붙이기 전의 권회체에 있어서는 제2 세퍼레이터(7)의 외측면의 일부가 노출하고 있다.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여,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 또한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2 세퍼레이터(7)의 필름 기재(11)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14)은,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7)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과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모두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 또한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과,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14)은,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7)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의 파손과,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필름 기재(11)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 또한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필름 기재(11)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14)은,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7)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의 (a) (b)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보다, 제2 세퍼레이터(7)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7)이 조금 안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착 테이프(3)를 붙이기 전의 권회체에 있어서는, 제2 세퍼레이터(7)의 외측면은 노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은 노출하고 있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과,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과 내측의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은, 모두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점착층(14)이 접착하고 있는 개소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다. 이 구성에서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게,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과,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 또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외층의 제1 세퍼레이터(6)의 필름 기재(11)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접착 테이프(3)는, 제1 세퍼레이터(6)의 필름 기재(11)에 접착한다. 그 때문에, 접착 테이프(3)에 의해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이 파손되는 것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의 방향과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의 방향이 반대로 된다. 그 때문에,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작업원이, 재료인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축에 세팅하는 방향을 틀리기 쉬워진다.
한편, 도 10의 (a) 또는 도 12의 (b) 등에서는,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과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12)이 모두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이 경우,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재료인 세퍼레이터 권회체를 축에 세팅하는 방향은 공통이므로, 작업원이 틀리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상술한 예에서는, 접착 테이프(3)를,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 또는 제2 세퍼레이터(7)의 단부면(17)에 접착시킴으로써, 외측을 향한 기능층(12)의 파손을 억제하고 있다.
도 14는, 도 5에 도시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의 샘플 단면을 촬영한 화상이다. 보기 용이함을 위해, 점착층(14)과 테이프 기재(13)의 계면 및 점착층(14)과 세퍼레이터의 계면에, 선을 긋고 있다. 여기에서는, 접착 테이프(3)를 부착한 종단부 부분만을 취출하여, 레이저 현미경으로 종단부 부분의 촬영을 행하였다. 그 때문에, 단부면(16)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는, 제1 세퍼레이터(6)와 제2 세퍼레이터(7)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과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은, 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고, 단부면(16) 부근에는 보이드는 대부분 보이지 않는다.
도 15는,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대응하는 전극 어셈블리의 샘플 단면을 촬영한 화상이다. 보기 용이함을 위해, 점착층(14)과 테이프 기재(13)의 계면 및 점착층(14)과 세퍼레이터의 계면에, 선을 긋고 있다. 여기에서는, 접착 테이프(3)를 부착한 종단부 부분만을 취출하고, 레이저 현미경으로 종단부 부분의 촬영을 행하였다. 또한,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과 제2 세퍼레이터(7)의 기능층은, 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있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세퍼레이터(6)의 선단부는 조금 들어 올려져, 단부면(16)과 제2 세퍼레이터(7) 사이에, 변형된 점착층(14)이 잠입하고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권회체의 최외층이 세퍼레이터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회체의 최외층이 전극 시트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권회체의 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종단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 세퍼레이터, 정극 시트, 제1 세퍼레이터(6) 및 부극 시트(4)가 겹쳐져, 권회되어 있다. 그로 인해, 권회체의 최외층에는 부극 시트(4)가 위치한다. 부극 시트(4)는, 금속 도체박인 부극 집전체(23)와, 부극 집전체(23) 상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24)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부극 활물질층(24)은, 부극 집전체(23)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것이고, 부극 집전체(23)보다 무른 재질이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정극 시트는, 금속 도체박인 정극 집전체와, 정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을 구비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전극 어셈블리에서는, 최외층의 부극 시트(4)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8)보다,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16)이 조금 앞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착 테이프(3)를 붙이기 전의 권회체에 있어서는 제1 세퍼레이터(6)의 외측면의 일부가 노출하고 있다. 최외층의 부극 시트(4)의 부극 활물질층(24)은 외측(접착 테이프(3)측)을 향하고, 내측의 제1 세퍼레이터(6)의 기능층(12)은 내측(권회체의 축측)을 향하고 있다.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은, 부극 시트(4)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부극 시트(4)의 부극 활물질층(24)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부극 시트(4)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 또한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에서, 제1 세퍼레이터(6)의 필름 기재(11)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에서, 부극 시트(4)의 부극 활물질층(24)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은, 최외층의 부극 시트(4)의 부극 활물질층(24)의 단부면 및 부극 집전체(23)의 일부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3)는, 최외층의 부극 시트(4)의 단부면(18)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하고 있으면 된다. 이 구성에서는, 부극 시트(4)의 단부면(18)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부극 시트(4)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높은 측의 부극 시트(4)의 부극 활물질층(2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3)의 점착층(14)은,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접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세퍼레이터(6)의 단부면(16)에 점착층(14)이 접착함으로써, 제1 세퍼레이터(6)의 종단부 부분에 의한 단부보다 낮은 측의 부극 시트(4)의 부극 활물질층(2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극 시트(4) 또는 정극 시트(5)가 권회체의 외측에 노출하는 구성에서도, 접착 테이프(3)가 그것들의 단부면에 접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의 각 구성에 있어서, 제1 세퍼레이터(6) 또는 제2 세퍼레이터(7)와, 부극 시트(4) 또는 정극 시트(5)를 치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단, 부극 시트(4)와 정극 시트(5) 사이에는, 제1 세퍼레이터(6) 또는 제2 세퍼레이터(7)가 끼워져 있는 것처럼,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정극 및 부극의 전극 시트에 있어서 금속 도체박의 편면에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금속 도체박의 양면에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전극 어셈블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권회체(31)는, 제1 세퍼레이터(6), 복수의 부극 시트(4), 및 복수의 정극 시트(5)를 구비한다. 복수의 부극 시트(4)와 복수의 정극 시트(5)가 서로 교대로 겹쳐져, 각 전극 시트의 사이를 제1 세퍼레이터(6)가 통과하고 있다. 제1 세퍼레이터(6)는, 제1 세퍼레이터(6), 복수의 부극 시트(4), 및 복수의 정극 시트(5)가 겹쳐진 적층체의 최외주에 권회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도시없음)는, 권회체(31)의 최외층 종단부 부분(33)을 유지하기 위해서, 권회체(31)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정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는,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겹쳐져,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와, 상기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활물질층의 외측면 또는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접착 테이프가 권회체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활물질층 또는 기능층이 접착 테이프에 인장되어서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층의 단부면 및 상기 집전체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기능층의 단부면 및 상기 필름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은, 상기 종단부 부분의 외측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권회체의 최외층은, 상기 세퍼레이터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1 세퍼레이터이고,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는,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제2 세퍼레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또는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 및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겹쳐져,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세퍼레이터를 중첩하여 권회하는 권회 공정과, 접착 테이프가, 상기 활물질층의 외측면 또는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도록, 상기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부착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층의 단부면 및 상기 집전체의 단부면에 접착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능층의 단부면 및 상기 필름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은, 상기 종단부 부분의 외측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권회체의 최외층은, 상기 세퍼레이터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1 세퍼레이터이고, 상기 권회 공정에서는,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제2 세퍼레이터를 중첩하여 권회하고, 상기 부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또는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시키며, 또한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 및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시켜도 된다.
1: 전극 어셈블리
2, 31: 권회체
3: 접착 테이프
4: 부극 시트(전극 시트)
5: 정극 시트(전극 시트)
6: 제1 세퍼레이터
7: 제2 세퍼레이터
8: 세퍼레이터
11: 필름 기재
12: 기능층
13: 테이프 기재
14: 점착층
15: 보이드
16, 17, 18: 단부면
21: 절단날
23: 부극 집전체(집전체)
24: 부극 활물질층(활물질층)
2, 31: 권회체
3: 접착 테이프
4: 부극 시트(전극 시트)
5: 정극 시트(전극 시트)
6: 제1 세퍼레이터
7: 제2 세퍼레이터
8: 세퍼레이터
11: 필름 기재
12: 기능층
13: 테이프 기재
14: 점착층
15: 보이드
16, 17, 18: 단부면
21: 절단날
23: 부극 집전체(집전체)
24: 부극 활물질층(활물질층)
Claims (10)
-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겹쳐져,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와,
상기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활물질층의 외측면 또는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층의 단부면 및 상기 집전체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기능층의 단부면 및 상기 필름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은 상기 종단부 부분의 외측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회체의 최외층은 상기 세퍼레이터인,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1 세퍼레이터이고,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제2 세퍼레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또는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 및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고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 활물질층 및 집전체를 갖는 전극 시트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세퍼레이터가 겹쳐져, 상기 전극 시트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권회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세퍼레이터를 중첩하여 권회하는 권회 공정과,
접착 테이프가, 상기 활물질층의 외측면 또는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하고, 또한 상기 권회체의 외측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하도록, 상기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종단부 부분을 유지하는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층의 단부면 및 상기 집전체의 단부면에 접착시키는, 또는 상기 기능층의 단부면 및 상기 필름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시키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 부분의 상기 단부면은 상기 종단부 부분의 외측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회체의 최외층은 상기 세퍼레이터인,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1 세퍼레이터이고,
상기 권회 공정에서는, 상기 전극 시트와, 상기 제1 세퍼레이터와, 기능층 및 필름 기재를 갖는 제2 세퍼레이터를 중첩하여 권회하고,
상기 부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제1 세퍼레이터 또는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상기 기능층의 외측면에 접착시키며, 또한 상기 제1 세퍼레이터의 상기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 및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종단부 부분의 단부면에 접착시키는,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70414 | 2017-09-05 | ||
JPJP-P-2017-170414 | 2017-09-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6594A true KR20190026594A (ko) | 2019-03-13 |
Family
ID=6551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3194A KR20190026594A (ko) | 2017-09-05 | 2018-08-31 |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074550A1 (ko) |
JP (1) | JP6665246B2 (ko) |
KR (1) | KR20190026594A (ko) |
CN (1) | CN10942810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12272B2 (ja) * | 2016-05-26 | 2021-08-04 | 住友化学株式会社 | 多孔質セパレータ捲回体の包装体、そ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セパレータ捲回体の保管方法 |
CN109980170B (zh) * | 2017-12-28 | 2022-08-05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极组件及电池 |
CN114976473B (zh) * | 2022-06-08 | 2024-05-07 | 派恩(中山)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高温锂离子电池隔膜的改性的纤维素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10980A (ja) | 2014-04-28 | 2015-11-24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二次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41098A (ja) * | 2000-11-06 | 2002-05-17 |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 円筒形電池 |
JP5790241B2 (ja) * | 2011-07-22 | 2015-10-07 | ソニー株式会社 | 非水電解質電池ならびに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蓄電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
JP2013064086A (ja) * | 2011-09-20 | 2013-04-11 | Nitto Denko Corp | 電池用粘着テープ |
JP6260608B2 (ja) * | 2015-12-02 | 2018-01-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渦状電極、渦状電極の製造方法 |
-
2018
- 2018-08-27 JP JP2018158657A patent/JP6665246B2/ja active Active
- 2018-08-30 US US16/118,397 patent/US2019007455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8-31 KR KR1020180103194A patent/KR201900265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09-04 CN CN201811028659.2A patent/CN10942810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10980A (ja) | 2014-04-28 | 2015-11-24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二次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074550A1 (en) | 2019-03-07 |
JP2019046797A (ja) | 2019-03-22 |
CN109428108A (zh) | 2019-03-05 |
JP6665246B2 (ja) | 2020-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26594A (ko) |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
JP5174841B2 (ja) | 二次電池 | |
JP5908142B1 (ja) | 捲回装置及び捲回素子の製造方法 | |
JP4025930B2 (ja) | 電池の製造方法 | |
JP2006324095A (ja) |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13031889A1 (ja) |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 |
JP2004241182A (ja) | 二次電池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電極板を用いた二次電池 | |
WO2014112395A1 (ja) | ラミネート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90026595A (ko) |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
JP6902731B2 (ja) | 電池の製造方法 | |
JP7426477B2 (ja) | 電池セパレータ、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30103953A (ko) |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 |
CN112930613B (zh) | 用于制造堆构造的方法 | |
JP6675627B2 (ja) | コア製造機構 | |
JP6198709B2 (ja) | 捲回装置 | |
EP3425717B1 (en) | Lamination device | |
KR101942334B1 (ko) | 이차전지 분리막 원단 및 이차전지 분리막 원단 연결 방법 | |
JP2003077450A (ja) | 薄型電池 | |
KR102239364B1 (ko) | 원통형 젤리롤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JP7031522B2 (ja) | 切断装置 | |
JP2019216115A (ja) | 巻回装置 | |
JP2015207682A (ja) |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220627848U (zh) | 正极片及卷绕式锂离子电池 | |
KR101757381B1 (ko) | 원통형 젤리롤 전극조립체 제조용 권심 | |
EP4024546A1 (en) |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