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031A - 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031A
KR20190026031A KR1020197004718A KR20197004718A KR20190026031A KR 20190026031 A KR20190026031 A KR 20190026031A KR 1020197004718 A KR1020197004718 A KR 1020197004718A KR 20197004718 A KR20197004718 A KR 20197004718A KR 20190026031 A KR20190026031 A KR 20190026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head
bearing
pocket
circumferential direction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1619B1 (en
Inventor
나오히코 아사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0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5/00Crossheads; Constructions of connecting-rod heads or piston-rod connections rigid with cross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핀 (52) 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71) 을 형성하고,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면 (71a)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의 양측의 내면에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냉각유 포켓 (72) 과, 외면으로부터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용 연통공 (74)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내면에서 축 방향에 있어서의 냉각유 포켓 (72) 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과, 외면으로부터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에 연통되는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형성되고, 크로스헤드 핀 (52) 은,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공급 유로 (81) 가 형성된다.In a crosshead and furniture and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crosshead pin (52) and a bearing metal (71) which form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bearing metal 71 has a support surface 7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oling surface 7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7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ooling fluid communication hole 74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from the outer surface and a cooling fluid communication hole 74 communicating with both sides of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rosshead pins 52 are formed in the coolant pockets 72. The coolant pockets 72 are formed in the coolant pockets 72. The coolant pockets 72 are formed in the coolant pockets 72, Cooling oil supply oil Thereby forming a channel 81.

Description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이나 가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구성하는 크로스헤드, 이 크로스헤드가 적용된 가구 (架構), 이 가구를 구비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head constitu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 diesel engine or a gas engine, a furniture (frame) to which the crosshead is applied, and a crosshead-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the furniture.

일반적으로, 실린더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스 엔진이나 가솔린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은, 복수의 실린더의 하방에 실린더 배열 방향을 따라 크랭크 샤프트가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는, 피스톤에 접속되어 있고, 베어링을 개재하여 크랭크 케이스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보어 스트로크비가 큰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피스톤과 크랭크 샤프트 사이에 크로스헤드가 형성된다.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은, 크랭크 샤프트가 수용되는 받침판 (臺板) 의 상부에 가구가 배치되고, 이 가구의 상부에 실린더 재킷이 배치되고, 복수의 타이볼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 gas engine or a gasoline engine that generates power by burning fuel in a cylinder, a crankshaft is disposed along a cylinder arrangement direction below a plurality of cylinders. The crankshaft is connected to the piston, and is freely rotatably supported by the crankcase via a bearing. On the other hand,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large bore stroke ratio mounted on a large ship, a crosshead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crankshaft. In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rniture is arranged on an upper part of a base plate in which a crankshaft is accommodated, a cylinder jacket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furniture, and is integr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bolts.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가구는, 크로스헤드를 피스톤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 크로스헤드는, 피스톤 봉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핀과 크랭크 샤프트에 연접되는 연접봉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크로스헤드 핀의 하반부에 있어서 각각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연결된다. 그 때문에, 피스톤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과 함께 피스톤 봉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크로스헤드가 가구의 가이드판을 따라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크로스헤드의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접봉에 회전 구동력을 가한다. 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접봉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랭크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킨다.The furnitur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crosshead type has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crosshead to freely mov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ston. The crosshead is connected so that the crosshead pi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and the crosshead bear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can freely rotate in the lower half of the crosshead pin . Therefore, when the piston reciprocates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the piston rod reciprocates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iston, whereby the crosshead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axis of the furniture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crosshead pin of the crosshead applies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connecting rod via the crosshead bearing. By this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crank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performs crank motion, thereby rotating the crankshaft.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헤드에는, 냉각, 윤활을 목적으로 하여 오일 (이하, 냉각 기능을 갖는 경우도 「윤활유」로서 표기한다) 이 공급된다. 윤활유는, 크로스헤드의 외부로부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과 연접봉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공급된다. 윤활유는, 그 공간으로부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과 베어링의 내면 사이에 공급된다. 그 후에,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핀 및 피스톤 봉에 형성된 유로 (油路) 를 통해서 피스톤에 공급됨으로써, 피스톤을 냉각시킨다. 종래,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내면에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과, 피스톤 냉각용 포켓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로스헤드 베어링과 연접봉 사이의 공간에 공급된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과 피스톤 냉각용 포켓에 각각 공급된다.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에 공급된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핀과 연결봉의 상대 회동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내면에 골고루 퍼지고, 피스톤 냉각용 포켓에 공급된 윤활유는, 피스톤 봉의 이동시에 유로를 통해서 피스톤에 공급되어, 피스톤을 냉각시킨다.The crosshead thus configured is supplied with oi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lubricating oil " if it has a cooling function) for the purpose of cooling and lubrication. The lubricant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from the outside of the crosshead. Lubricating oil is supplied from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rosshead bearing. Thereafter, the lubricating oil is supplied to the piston through the oil passage formed in the crosshead pin and the piston rod, thereby cooling the piston. Conventionally, in a crosshead bearing, a crosshead pin lubricating pocket and a piston cooling pocket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crosshead bearing and the connecting rod is supplied to the crosshead pin lubricating pocket and the piston cooling pocket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rosshead bearing, respectively.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to the crosshead pin lubricating pocket spreads even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lative to the crosshead pin and the connecting rod.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to the piston cooling pocket is supplied to the piston through the oil passage when the piston rod is moved , And the piston is cooled.

이와 같은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Such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3205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032055

상기 서술한 크로스헤드는, 피스톤 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크로스헤드 핀이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접봉의 상단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크로스헤드 핀의 하반부를 지지하는 반할 (半割) 형상을 이루고, 크로스헤드 핀의 중심 위치의 하방에 대응하는 내면에 크로스헤드 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소정 면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크로스헤드 핀 윤활용 포켓과 피스톤 냉각용 포켓은, 지지면을 피해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핀과 연결봉이 상대 이동해도, 유로의 단부가 항상 피스톤 냉각용 포켓에 연통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 크로스헤드는 크로스헤드 핀의 상반부를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면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크로스헤드 핀은, 소정의 외경을 확보해야 하여, 크로스헤드의 대형화를 초래한다.In the crosshead described above, the crosshead pin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freely rotatably via the crosshead bearing. The crosshead bearing has a semi-split shape for supporting the lower half of the crosshead pin and has a suppor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crosshead pin on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position of the crosshead pi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rosshead pin lubricating pocket and the piston cooling pocket are formed on the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crosshead pin and the connecting rod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hat the end portion of the flow path always communicates with the piston cooling pocket. In addition, the crosshead needs to secure a fixing surface for closely contacting the upper half of the crosshead pin. Therefore, the crosshead pin needs to have a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size of the crosshead.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osshead, a furniture, and a crosshead-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are compact and lightwe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는, 크로스헤드 핀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지지면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제 1 포켓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 2 포켓과, 상기 제 1 포켓에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연통공과, 상기 제 2 포켓에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핀에는,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osshead including a crosshead pin, a crosshead bearing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and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freely rotatably, A first pock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pock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econd pocket form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pocket in the axial directi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cket, a first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the first pock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Wherein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head bear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ead bearing, and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cket is formed in the crosshead p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x.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측에 공급된 냉각유는, 제 1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1 포켓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제 1 포켓으로부터 크로스헤드 핀의 유로를 통과하여 피스톤에 공급되어 냉각시킨다. 한편,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측에 공급된 윤활유는, 제 2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2 포켓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제 2 포켓으로부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내면과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 사이에 공급되어 윤활시킨다. 이 때, 제 2 포켓은,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포켓을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과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상대 회동해도, 제 1 포켓과 유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의 고정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oling oil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rosshead bearing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first pocke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passes through the passage of the crosshead pin from the first pocket, and is supplied to the piston to cool . On the other hand,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rosshead bearing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pocke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is suppli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from this second pocket Lubricate.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pockets are independently form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cket, the first pocket can be formed b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nd even if the crosshead pin and the crosshead bearing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first pocket and the flow path while securing the fixing surface of the piston rod on the crosshead pin and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제 1 포켓과 상기 제 2 포켓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측의 단부 위치가 동일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cket and the second pocket are set such that the end positions on the support surfac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re set at the same position.

따라서, 제 1 포켓과 제 2 포켓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측의 단부 위치를 동일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각 포켓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양의 냉각유와 윤활유를 저류할 수 있다.Therefore, by setting the end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ocke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at the same position, the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pocket can be made longer, Lubricating oil can be stor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크로스헤드 핀은,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과, 피스톤 봉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일단부가 상기 원호 형상면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평탄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head pin is formed with an arc-shaped surface supported by the crosshead bearing and a flat surface fixedly fixed to the piston rod, the flow path having one end opened on the arc- And the other end is opened on the flat surface.

따라서, 유로의 일단부를 크로스헤드 핀의 원호 형상면에 개구하고, 타단부를 크로스헤드 핀의 평탄면에 개구함으로써, 제 1 포켓에 저류된 냉각유를 유로로부터 피스톤에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olant stored in the first pocket can be appropriately supplied to the piston from the oil passage by opening one end of the oil passage on the arc-shaped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and opening the other end on the flat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이 형성된 연접봉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1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1 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2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rod having a bearing supporting surface formed in an arc shape fo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is formed, and a first connecting hole A groove is formed and a second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the bearing support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을 지지하는 연접봉의 베어링 지지면에, 제 1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1 홈과, 제 2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2 홈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유를 제 1 홈으로부터 제 1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1 포켓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윤활유를 제 2 홈으로부터 제 2 연통공을 통과하여 제 2 포켓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first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on the bearing supporting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The lubricant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first pocke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lubricant can be smoothly supplied from the second groov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o the second pocket.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에서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외면이 상기 연접봉에 있어서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지지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단부가 상기 연접봉에 고정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 지지 부재에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head bearing is supported by a crosshead bearing supporting member whose outer surface is supported by the bearing supporting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whos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And an auxiliary pock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cket is formed on the head bearing supporting member.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 지지 부재에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보조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유를 저류하는 영역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크로스헤드 핀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auxiliary pock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cket on the crosshead bearing supporting member, the region for storing the cooling oil can be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rosshead pin can be supported smoothly.

또, 본 발명의 가구는,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판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속되는 측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되는 격벽과, 상기 공간부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상기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p plate disposed on the top portion, a bottom plate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a side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a crosshead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to partition the plurality of spaces, a guide plate fixed to the space, and a crosshead supported so as to freely move on each of the guide plates. .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을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 제 1 포켓을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과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상대 회동해도, 제 1 포켓과 유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의 고정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가구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rosshead bearing supporting the crosshead pin, the first pocket can be formed b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nd even if the crosshead pin and the crosshead bearing are relatively rota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crosshead pin and secure the fixing surface of the piston rod on the crosshead pin. By reduc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crosshead. As a result, .

또,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은,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에 형성되는 상기 가구와, 상기 가구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구와 상기 실린더 재킷을 관통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support plate, the furnitur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 cylinder jacket formed on the furniture,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furniture to the cylinder jacket And a control unit.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을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 제 1 포켓을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과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상대 회동해도, 제 1 포켓과 유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의 고정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rosshead bearing supporting the crosshead pin, the first pocket can be formed b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nd even if the crosshead pin and the crosshead bearing are relatively rota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crosshead pin and secure the fixing surface of the piston rod on the crosshead pin. By reduc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crosshead. As a result, The size and weight of the engin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의하면, 크로스헤드 핀을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 지지면의 양측에 제 1 포켓을 형성함과 함께,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제 2 포켓을 독립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크로스헤드 핀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rosshead and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e crosshead bearing supporting the crosshead pins, the first pocke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pockets are not connected to the first pockets, Since the pockets are independently formed,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can be made smaller, thereby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냉각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縱斷面) (도 4 의 V-V 단면) 도이다.
도 6 은,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윤활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도 4 의 VI-VI 단면) 도이다.
도 7 은,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크로스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iesel eng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rni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VV cross section in Fig. 4) taken at the position of the cooling use pocket in the crosshea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4) taken along the position of the pocket for lubricating oil in the crosshea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rin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rosshead.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크로스헤드 및 가구 그리고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a crosshead and a furniture and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bodiments,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esel eng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 (10) 은, 예를 들어, 선박 추진용의 주기로서 사용되고, 2 스트로크 1 사이클의 유니플로 소기 방식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이다. 이 디젤 엔진 (10) 은,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판 (11) 과, 받침판 (11) 상에 형성되는 가구 (12) 와, 가구 (12)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 (13)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판 (11) 과 가구 (12) 와 실린더 재킷 (13)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타이볼트 (연결 부재) (14) 및 너트 (15) 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diesel engine 10 is, for example,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ed as a cycle for propelling a ship, and a two-stroke, one cycle, This diesel engine 10 is provided with a foot plate 11 located on the lower side, a furniture 12 formed on the foot plate 11 and a cylinder jacket 13 formed on the furniture 12. The base plate 11, the furniture 12 and the cylinder jacket 13 are integrally fastened and fixed by a plurality of tie bolts (connecting members) 14 and nuts 1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실린더 라이너 (16) 는, 실린더 재킷 (13) 내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린더 커버 (17) 가 고정되어 공간부를 구획하고 있고, 이 공간부 내에 피스톤 (18) 이 상하로 자유롭게 왕복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 실린더 커버 (17) 는, 배기 밸브 (20) 가 형성되어 있고, 배기 밸브 (20) 는, 동(動) 밸브 장치 (21) 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기 밸브 (20) 는, 실린더 라이너 (16), 실린더 커버 (17) 및 피스톤 (18) 과 함께 연소실 (19) 을 형성한다. 배기 밸브 (20) 는, 연소실 (19) 과 배기관 (22) 을 개폐하는 것이다.The cylinder liner 16 is disposed in the cylinder jacket 13 and the cylinder cover 17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to define the space portion and the piston 18 is formed so as to freely reciprocate upward and downward in the space portion . An exhaust valve 20 is formed in the cylinder cover 17 so that the exhaust valve 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valve device 21. The exhaust valve 20 forms the combustion chamber 19 together with the cylinder liner 16, the cylinder cover 17 and the piston 18. [ The exhaust valve 20 opens and closes the combustion chamber 19 and the exhaust pipe 22.

그 때문에, 연소실 (19) 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사 펌프로부터 공급된 연료 (예를 들어, 저질유, 천연 가스, 또는 그 혼합 연료 등) 와,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연소용 가스 (예를 들어, 공기, EGR 가스, 또는 그 혼합 가스 등) 가 공급됨으로써, 연소실 (19) 에서 연료와 연소용 가스가 연소된다. 그리고, 이 연소에서 발생한 에너지에 의해 피스톤 (18) 이 피스톤 축 방향으로 왕복동한다. 이 때, 동밸브 장치 (21) 에 의해 배기 밸브 (20) 가 작동하여 연소실 (19) 이 개방되면,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가 배기관 (22) 으로 밀려 나오는 한편, 도시되지 않은 소기 포트로부터 연소용 가스가 연소실 (19) 에 도입된다.Therefore, the fuel (for example, low quality oil, natural gas, or mixed fuel, etc.) supplied from the fuel injection pump (not shown) and the combustion gas (For example, air, EGR gas, or a mixed gas thereof) is supplied, so that the fuel and the combustion gas are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9. [ The piston 18 reciprocates in the piston axial direction by the energy generated in the combustion. At this time, when the exhaust valve 20 is operated by the valve device 21 to open the combustion chamber 19, the exhaust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is pushed out to the exhaust pipe 22, The gas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9.

피스톤 (18) 은, 하단부에 피스톤 봉 (23) 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받침판 (11) 은, 크랭크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고, 크랭크 샤프트 (24) 가 베어링 (25)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 크랭크 샤프트 (24) 는, 크랭크 (26) 를 개재하여 연접봉 (27) 의 하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가구 (12) 는,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판 (28) 이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 봉 (23) 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핀과 크랭크 샤프트 (24) 에 연접되는 연접봉 (27) 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이, 크로스헤드 핀의 하반부에 있어서 각각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이 크로스헤드 (29) 는, 1 쌍의 가이드판 (28) 사이에 배치되고, 이 가이드판 (28) 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The upper end of the piston rod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18). The support plate 11 constitutes a crankcase, and the crankshaft 24 is freely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25. As shown in Fig. The crankshaft 2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through a crank 26 so as to freely rotate. The furniture (12) is arranged such that guide plates (28)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ston form a pai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crosshead 29 has a crosshead pi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23 and a crosshead bear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connected to the crankshaft 24 at a lower half of the crosshead pin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freely rotate. The crosshead 29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lates 28 and is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movable along the guide plates 28.

그 때문에, 피스톤 (18) 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 (18) 과 함께 피스톤 봉 (23) 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가 가이드판 (28) 을 따라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접봉 (27) 에 회전 구동력을 가한다. 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접봉 (27) 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랭크 (26) 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 (24) 를 회전시킨다.Therefore, when the piston 18 reciprocates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the piston rod 23 reciprocates along with the piston 18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ston, so that the crosshead 29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28 And reciprocates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Thus, the crosshead pin of the crosshead 29 appli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connecting rod 27 via the crosshead bearing. By this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crank 26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performs cranking motion, thereby rotating the crankshaft 24.

여기서, 디젤 엔진 (10) 을 구성하는 가구 (12)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둘레 방향이란, 크로스헤드 핀의 둘레 방향이고, 축 방향이란, 크로스헤드 핀의 축심 방향이다.Here, the furniture 12 constituting the diesel engin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rni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and the axial direction is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구 (12) 는,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과, 복수의 격벽 (3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판 (31) 은, 정상부에 배치되어 실린더 재킷 (13)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바닥판 (32) 은, 바닥부에 배치되어 받침판 (11)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측판 (33) 은, 좌우의 측부에 배치되어 피스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하단부) 가 바닥판 (32) 에 접속되고, 타단부 (상단부) 가 천판 (31) 에 접속된다. 복수의 격벽 (34) 은, 크랭크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2, the furniture 12 includes a top plate 31, a bottom plate 32, a side plate 33,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4. As shown in Fig. The top plate 31 is arranged at the top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jacket 13 (see Fig. 1). The bottom plate 32 is disposed at the bottom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plate 11 (see Fig. 1). One end (lower end) in the piston axi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32 and the other end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31.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4)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rankshaft direction.

이 가구 (12) 는,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과 각 격벽 (34) 에 의해 공간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 (35) 는, 크로스헤드 (29) 가 가이드판 (28) 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이며, 크로스헤드 (29) 는, 이 공간부 (35) 에 수용되어, 피스톤 축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furniture 12 has a space portion 35 formed by the top plate 31, the bottom plate 32, the side plate 33 and the partition walls 34. [ The space portion 35 is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cross head 29 can be supported and moved by the guide plate 28. The cross head 29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35, It can reciprocate.

격벽 (34) 은, 중앙판 (41) 과, 중간판 (42) 과, 가이드판 (28) 을 갖고 있다. 중앙판 (41)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각 중간판 (42)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 폭 방향의 양단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판 (28)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중앙판 (41) 과 각 중간판 (42) 사이에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중앙판 (41) 은, 한 변에 절결부 (41a) 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는 평면판이며, 절결부 (41a) 가 격벽 (34) 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중앙판 (41) 은, 내연 기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가이드판 (28) 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The partition wall 34 has a center plate 41, an intermediate plate 42, and a guide plate 28. The center plate 41 forms a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ach of the intermediate plates 42 forms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e partition wall 34. The guide plate 28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plate 41 and each intermediate plate 42 in the partition 34 and is connected by welding. The center plate 41 is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cutout 41a at one side and is arranged so that the notch 41a is located below the partition 34. [ Both ends of the center plate 4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e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28 by welding.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 봉 (23) 과, 연접봉 (27) 과, 1 쌍의 가이드 슈 (51) 와,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접봉 (27) 은, 연접봉 본체 (61) 의 상단부에 하부 베어링부 (6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봉 (23) 은, 피스톤 봉 본체 (63) 의 하단부에 연결부 (6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슈 (51) 는, 사각형상을 이루고, 본체 (65) 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부 (6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핀 (52) 은, 피스톤 봉 (23) 의 연결부 (64) 가 연결 볼트 (67) 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베어링 지지 부재) (68) 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슈 (51) 는, 피스톤 봉 (23) 및 연접봉 (27) 의 양측에 배치되고, 크로스헤드 핀 (52) 의 각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2 and 3, the crosshead 29 is composed of a piston rod 23, a connecting rod 27, a pair of guide shoes 51, and a crosshead pin 52 . The connecting rod 27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body 61. The piston rod 23 has a connecting portion 64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body 63. The pair of guide shoe 51 has a rectangular shape and guide portions 66 are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65. The crosshead pin 5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64 of the piston rod 23 by the connecting bolt 67 and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upper bearing portion Member) 68 so as to be rotatable freely. The pair of guide shoe 51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crosshead pin 52.

그 때문에, 피스톤 봉 (23) 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핀 (52) 과 연접봉 (27) 의 상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즉, 피스톤 (18) (도 1 참조) 이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 (18) 과 일체인 피스톤 봉 (23) 이 동일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이 때, 1 쌍의 가이드 슈 (51) 가 1 쌍의 가이드판 (28) 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연접봉 (27) 은, 피스톤 봉 (23) 과 연동하여 동일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함께, 크로스헤드 핀 (52) 을 지점 (支點) 으로 하여 피스톤 봉 (23) 에 대해 상대적으로 왕복 회동한다. 그리고, 연접봉 (27) 과 크랭크 (26) (도 1 참조) 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 (24) (도 1 참조) 를 회전시킨다.Therefore, the crosshead pin 52 connected to the piston rod 23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are freely rotatably connected. 1) reciprocates, the piston rod 23 integral with the piston 18 is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pair of guide shoe 5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1 And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plates 28 of the pair. The connecting rod 27 reciprocally moves in the same direction while interlocking with the piston rod 23 and rotates reciprocally relative to the piston rod 23 with the crosshead pin 52 serving as a fulcrum. Then,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crank 26 (see FIG. 1) perform cranking motion, thereby rotating the crankshaft 24 (see FIG. 1).

이하, 크로스헤드 (29) 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냉각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도 4 의 V-V 단면) 도, 도 6 은, 크로스헤드에 있어서의 윤활유용 포켓의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 (도 4 의 VI-VI 단면) 도, 도 7 은,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크로스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crosshead 29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rosshead,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VV cross section in Fig. 4) cut at the position of the cooling use pocket in the crosshea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ring, and FIG.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rosshead.

도 4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 봉 (23) 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핀 (52) 이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68) 에 베어링 메탈 (베어링) (71) 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71) 은,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형성된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 (62a) 에 지지되고, 내면의 지지면 (71a) 에 의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4 to 7, the crosshead 29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head pin 52 connected to the piston rod 23 is engaged with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the upper bearing portion 68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is rotatably connected via a bearing metal (bearing) 71. The bearing metal (crosshead bearing) 71 ha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is supported by a bearing supporting surface 62a whos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n arc shape formed in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freely rotatably by the support surface 71a.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측이고, 또한 축 방향의 중간부에 냉각유 포켓 (제 1 포켓) (7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측이고, 또한 축 방향의 각 단부측에 윤활유 포켓 (제 2 포켓) (73)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포켓 (72) 은,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에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다. 윤활유 포켓 (73) 은,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에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며, 냉각유 포켓 (72) 에 있어서의 양측에 냉각유 포켓 (72) 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earing metal 71 is on each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oling oil pocket (first pocket) 72 is form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bearing metal 71 is on each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ubricant oil pocket (second pocket) 73 is formed on each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oling oil pocket 72 is a reces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The lubricant pockets 73 are recesse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coolant pockets 72 are not connected to the coolant pockets 72 on both sides, Respectively.

냉각유 포켓 (72)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단면 (端面) 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각 윤활유 포켓 (73)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단면의 앞까지 형성되고, 타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소정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포켓 (72) 과 각 윤활유 포켓 (73)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단부 위치가 동일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 메탈 (71) 은, 지지면 (71a)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포켓 (72, 73) 사이에 크로스헤드 핀 (52) 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 영역 (A) 이 확보되어 있다.One end of the bearing metal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opened in the end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nd the other end is in the middle of the bearing metal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negative side. Each of the lubricant pockets 73 is formed such that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is formed to the front of the end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earing metal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end positions of the cooling oil pockets 72 and the respective lubricant pockets 7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set at the same positions. The bearing metal 71 is secured between the pockets 72 and 7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71a by the load supporting area A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crosshead pin 52 have.

또, 냉각유 포켓 (72) 은, 둘레 방향의 길이가 각 윤활유 포켓 (73) 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축 방향의 폭이 각 윤활유 포켓 (73) 의 축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유 포켓 (72) 은, 두께 방향의 깊이가 각 윤활유 포켓 (73) 의 두께 방향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The cooling oil pocket 72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each lubricant oil pocket 73 and the width in the axial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in the axial direction of each lubricant oil pocket 73 . The depth of the cooling oil pocket 72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set to be deeper than the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lubricant oil pocket 73.

베어링 메탈 (71) 은, 외면으로부터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용 연통공 (제 1 연통공) (74) 이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3 개)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 메탈 (71) 은, 외면으로부터 각 윤활유 포켓 (73) 에 연통되는 윤활유용 연통공 (제 2 연통공) (75) 이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2 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유용 연통공 (74) 과 윤활유용 연통공 (75) 은, 각 포켓 (72, 73) 에 있어서의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The bearing metal 7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oling-use communication holes (first communication holes) 74 (three in this embodimen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oil pockets 72 from the outer surface. The bearing metal 7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wo in this embodiment) communicating holes (second communicating holes) 75 for lubricating oil communicating with the respective lubricating oil pockets 73 from the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 cooling-use communicating hole 74 and the lubricant communication hole 75 are formed on the end of the bearing metal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of the pockets 72 and 73, .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냉각유용 연통공 (74) 이 연통되는 냉각유 홈 (제 1 홈) (76) 이 형성됨과 함께, 복수의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연통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윤활유 홈 (제 2 홈) (77)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용 연통공 (74) 은,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의 단부에 개구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윤활유 홈 (77) 은,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축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각 단부측에서 냉각유 홈 (76) 의 양측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의 단부에 개구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유 홈 (76) 과 윤활유 홈 (77) 은 길이 및 폭이 거의 동일하지만, 냉각유 홈 (76) 은, 깊이가 각 윤활유 홈 (77) 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rod 27 is formed with a cooling oil groove (first groove) 76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support surface 62a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fluid communication hole 74 A plurality of (two in this embodiment) lubricant oil grooves (second grooves) 77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75 for lubricant oil are formed. The cooling-use communicating hole 74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is formed as a recess that opens at th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lubricant oil grooves 7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oling oil groove 76 at each end side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oling oil groove 76 and the lubricant oil groove 77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length and width, but the depth of the cooling oil groove 76 i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each lubricant oil groove 77.

그리고,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측부에 냉각유 홈 (76) 에 냉각유를 공급하는 냉각유 공급공 (78) 이 형성됨과 함께, 윤활유 홈 (77) 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공 (79) 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rod 27 is provided with a cooling oil supply hole 78 for supplying cooling oil to the cooling oil groove 76 at the side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also supplies lubricant oil to the lubricant oil groove 77 A lubricating oil supply hole 79 is formed.

또, 크로스헤드 핀 (52) 은,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냉각유 공급 유로 (流路) (유로) (81) 가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핀 (52)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 (52a) 과, 피스톤 봉 (23) 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 (52b)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일단부가 원호 형상면 (52a) 에 개구되는 제 1 냉각유 공급 유로 (82) 와, 일단부가 평탄면 (52b) 에 개구되는 제 2 냉각유 공급 유로 (83) 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냉각유 공급 유로 (82) 와 제 2 냉각유 공급 유로 (83) 는, 타단부끼리가 연통되어 있다. 이 각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피스톤 봉 (23) 내를 통과하여 피스톤 (18) (도 1 참조) 까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하부에 냉각유 홈 (76) 에 연통되는 냉각유 공급 유로 (8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유 공급 유로 (84) 는, 크랭크 (26) (도 1 참조) 까지 연통되어 있다.The crosshead pin 5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wo in this embodiment) cooling oil supply flow passages (flow passages) 81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The crosshead pin 52 has an arc surface 52a supported by the bearing metal 71 and a flat surface 52b fixed to the piston rod 23 in close contact therewith.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includes a first cooling oil supply passage 82 whose one end opens on the arc surface 52a and a second cooling oil supply passage 83 whose one end opens on the flat surface 52b,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oling oil supply passage 82 and the second cooling oil supply passage 83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each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passes through the piston rod 23 and communicates with the piston 18 (see FIG. 1). The connecting rod 27 is formed with a cooling oil supply passage 84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oil groove 76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4 is connected to the crank 26 (see Fig. 1).

베어링 메탈 (71) 은, 연접봉 (27) 에 있어서의 하부 베어링부 (62) 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재치 (載置) 되고, 지지면 (71a) 에 크로스헤드 핀 (52) 이 장착되어,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68) 가 고정됨으로써 위치 결정되고, 피스톤 봉 (23) 의 크로스헤드 핀 (52) 이 베어링 메탈 (71) 을 개재하여 연접봉 (27)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상부 베어링부 (68) 는, 베어링 메탈 (71) 의 단면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있고, 내면에 각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보조 포켓 (85) 이 형성되어 있다.The bearing metal 71 is mounted on the bearing support surface 62a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crosshead pin 52 is mounted on the support surface 71a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the upper bearing portion 68 are fixed and the crosshead pin 52 of the piston rod 23 is freely pivoted to the connecting rod 27 via the bearing metal 71 . The upper bearing portion 68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nd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 cooling oil auxiliary pocket 85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oil pockets 7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냉각유 포켓 (72), 윤활유 포켓 (73), 냉각유용 연통공 (74), 윤활유용 연통공 (75), 냉각유 홈 (76), 윤활유 홈 (77), 냉각유 공급 유로 (81), 냉각유 보조 포켓 (85) 은, 각각 크로스헤드 핀 (52) 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the lubricant pockets 73, the cooling fluid communication holes 74, the communication holes 75 for the lubricant oil, the cooling oil grooves 76, the lubricant oil grooves 77, The oil supply passage 81 and the cooling oil auxiliary pockets 85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head pin 52, but may not be bilaterally symmetrical.

그 때문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유가 냉각유 공급공 (78) 으로부터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의 냉각유 홈 (76) 에 공급되면, 복수의 냉각유용 연통공 (74) 을 통과하여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측의 냉각유 포켓 (72) 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그리고, 피스톤 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에, 냉각유 포켓 (72) 의 냉각유가 냉각유 공급 유로 (81) 로부터 피스톤 봉 (23) 의 내부를 통과하여 피스톤 (18) 에 공급되어 냉각된다.5, when the cooling oil is supplied from the cooling oil supply hole 78 to the cooling oil groove 76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71, a plurality of cooling use communication holes 74 are passed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cooling oil pocket 72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71. When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are operated, the cooling fluid in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piston rod 23 from the cooling oil supply flow passage 81 and is supplied to the piston 18 And cooled.

이 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핀 (52) 에 대해 연접봉 (27) 이 회동하면, 냉각유 공급 유로 (81) 와 냉각유 포켓 (72) 의 연통 위치가 변동되어, 일방 (도 8 의 우측) 의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측의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고, 타방 (도 8 의 좌측) 의 냉각유 공급 유로 (81) 는, 단부가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의 단부측의 냉각유 포켓 (72) 을 넘어 상부 베어링부 (68) 의 냉각유 보조 포켓 (85) 에 연통된다. 그리고, 피스톤 봉 (23) 은, 연결부 (64) 가 상부 베어링부 (68) 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냉각유 포켓 (72) 을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에, 하중 지지 영역 (A) 의 앞까지 형성함으로써,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해도, 냉각유 포켓 (72) 의 냉각유를 냉각유 공급 유로 (81) 로부터 피스톤 (18) 에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피스톤 봉 (23) 을 연결하기 위한 평탄면 (52b) 을 확보할 수 있다.8, when the connecting rod 27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rosshead pin 52, the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and the cooling oil pocket 72 is changed, 8) communicates with the cooling oil pockets 72 at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and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at the other end (the left side in FIG. 8) The end portion of the shaft 81 communicates with the cooling oil auxiliary pocket 85 of the upper bearing portion 68 beyond the cooling oil pockets 72 on the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The piston rod 23 does not contact the upper bearing portion 68 with the connecting portion 64. By forming the cooling oil pockets 7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nd in front of the load supporting area A in this way,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52 is reduced, the cooling oil pockets 72 are cooled The oil can be supplied from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to the piston 18 and the flat surface 52b for connecting the piston rod 23 can be secured.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유가 윤활유 공급공 (79) 으로부터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의 윤활유 홈 (77) 에 공급되면, 복수의 윤활유용 연통공 (75) 을 통과하여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측의 윤활유 포켓 (73) 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그리고, 피스톤 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에, 윤활유 포켓 (73) 의 윤활유가 베어링 메탈 (71) 의 지지면 (71a) 과 크로스헤드 핀 (52) 의 원호 형상면 (52a) 에 공급되어 윤활된다.6, when lubricating oil is supplied from the lubricating oil supply hole 79 to the lubricating oil groove 77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71, the lubricating oil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lubricating oil communication holes 75,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lubricant oil pocket 73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il pan 71. When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are operated, the lubricating oil of the lubricant oil pocket 73 is lubricated by the supporting surface 71a of the bearing metal 71 and the circular surface 52a of the crosshead pin 52, And is lubricat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 있어서는, 크로스헤드 핀 (52) 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71) 을 형성하고, 베어링 메탈 (7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면 (71a)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의 양측의 내면에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냉각유 포켓 (72)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의 양측에서 축 방향에 있어서 냉각유 포켓 (72) 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과, 냉각유 포켓 (72) 에 베어링 메탈 (71) 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각유용 연통공 (74) 과,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에 베어링 메탈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형성되고, 크로스헤드 핀 (52) 은,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공급 유로 (81) 가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ross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head pin 52 and the bearing metal 71, which ha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The metal 71 has a support surface 7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oling oil pocket 71c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7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lubrication oil pockets 73 independent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7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cooling liquid pockets 72 in the axial direction, ) Of the bearing metal (7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and a plurality of lubricant pockets (73) are formed with lubricant communication holes (75)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 The crosshead pin (52)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portion 81 communicates with the oil pocket 72 is formed.

따라서,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에 공급된 냉각유는, 냉각유용 연통공 (74) 을 통과하여 냉각유 포켓 (72) 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냉각유 포켓 (72) 으로부터 크로스헤드 핀 (52) 의 냉각유 공급 유로 (81) 를 통과하여 피스톤 (18) 에 공급되어 냉각시킨다. 한편,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측에 공급된 윤활유는, 윤활유용 연통공 (75) 을 통과하여 윤활유 포켓 (73) 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이 윤활유 포켓 (73) 으로부터 베어링 메탈 (71) 의 내면과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면 사이에 공급되어 윤활시킨다. 이 때,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은, 냉각유 포켓 (72) 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유 포켓 (72) 을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과 베어링 메탈 (71) 이 상대 회동해도, 냉각유 포켓 (72) 과 냉각유 공급 유로 (81) 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 (52) 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 (23) 의 고정면 (평탄면 (52b)) 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oling oil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71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ooling oil pocket 72 through the cooling use communication hole 74, and the cooling oil is supplied from the cooling oil pocket 72 to the cross- Through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of the piston 52 and supplied to the piston 18 to be cooled. On the other hand,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71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lubricating oil pocket 73 through the lubricating oil communication hole 75, and the lubricating oil discharged from the lubricating oil pocket 73 to the bearing metal 71 And is supplied and lubri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ubricant pockets 73 are independent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so that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can be formed b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The communicating state between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and the cooling oil supply flow path 81 can be maintained while the head pin 52 and the bearing metal 71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Flat surface 52b) of the crosshead pin 23 can be ensur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52 can be made small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냉각유 포켓 (72) 과 각 윤활유 포켓 (7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면 (71a) 측의 단부 위치를 동일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각 포켓 (72, 73)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각 포켓 (72, 73) 에 충분한 양의 냉각유와 윤활유를 저류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positions of the cooling oil pockets 72 and the lubricant pockets 73 on th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7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set to the same position. Therefore, the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of the pockets 72, 73 can be made longer, and a sufficient amount of cooling oil and lubricating oil can be stored in each of the pockets 72, 73.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크로스헤드 핀 (52) 에, 베어링 메탈 (71) 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 (52a) 과, 피스톤 봉 (23) 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 (52b) 을 형성하여, 냉각유 공급 유로 (81) 의 일단부를 원호 형상면 (52a) 에 개구하고, 타단부를 평탄면 (52b) 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유 포켓 (72) 에 저류된 냉각유를 냉각유 공급 유로 (81) 로부터 피스톤 (18) 에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An arc surface 52a supported by the bearing metal 71 and a flat surface 52b fixed to and fixed to the piston rod 23 are formed in the crosshead pin 52 , One end of the cooling oil supply passage 81 is opened in the arc-shaped surface 52a and the other end is opened in the flat surface 52b. Therefore, the cooling oil stored in the cooling oil pocket 72 can be appropriately supplied to the piston 18 from the cooling oil supply flow passage 81.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 (62a) 이 형성된 연접봉 (27) 을 형성하고, 베어링 지지면 (62a) 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냉각유용 연통공 (74) 이 연통되는 냉각유 홈 (76) 을 형성함과 함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복수의 윤활유용 연통공 (75) 이 연통되는 윤활유 홈 (77)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유를 냉각유 홈 (76) 으로부터 냉각유용 연통공 (74) 을 통과하여 냉각유 포켓 (72) 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윤활유를 윤활유 홈 (77) 으로부터 윤활유용 연통공 (75) 을 통과하여 윤활유 포켓 (73) 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 cross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the connecting rod 27 formed with the bearing surface 62a having the circular arc shape for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and has the bearing surface 62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ooling oil groove 76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fluid communication hole 74 is formed and the bearing support surface 62a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ubricant oil communication holes 75, (77). Therefore, the cooling oil can be smoothly supplied from the cooling oil groove 76 to the cooling oil pocket 72 through the cooling oil communication hole 74 and the lubricant can be supplied from the lubricant oil groove 77 to the communication hole 75 to be smoothly supplied to the lubrication oil pocket 73.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서는, 베어링 메탈 (71) 의 외면을 연접봉 (27) 에 있어서의 베어링 지지면 (62a) 에 의해 지지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단부를 연접봉 (27) 에 고정되는 상부 베어링부 (68) 에 의해 지지하고, 상부 베어링부 (68) 에 냉각유 포켓 (72) 에 연통되는 냉각유 보조 포켓 (85)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유를 저류하는 영역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크로스헤드 핀 (52) 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71 is supported by the bearing surface 62a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en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upper bearing And a cooling oil auxiliary pocket 85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oil pocket 72 is formed in the upper bearing portion 68. [ Therefore, the region for storing the cooling oil can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upported smoothly.

또, 본 실시형태의 가구에 있어서는,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 (31) 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 (32) 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천판 (31) 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바닥판 (32) 에 접속되는 측판 (33) 과,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에 접속됨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공간부 (35) 가 구획되는 복수의 격벽 (34) 과, 복수의 공간부 (35) 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판 (28) 과, 복수의 가이드판 (28) 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복수의 크로스헤드 (29) 를 형성하고 있다.In the furni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plate 31 disposed at the top, the bottom plate 32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the side and connected to the top plate 31, A side plate 33 connected to the plate 32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5 connected to the top plate 31 and the bottom plate 32 and the side plate 33 to divide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35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guide plates 28 fixed to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35 and a plurality of crossheads 29 supported to be freely movabl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28 are formed have.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 (52) 을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71) 에서, 지지면 (71a) 의 양측에 냉각유 포켓 (72) 을 형성함과 함께, 냉각유 포켓 (72) 의 양측에 복수의 윤활유 포켓 (73) 을 독립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냉각유 포켓 (72) 을 베어링 메탈 (71) 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과 베어링 메탈 (71) 이 상대 회동해도, 냉각유 포켓 (72) 과 냉각유 공급 유로 (81) 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크로스헤드 핀 (52) 에 있어서의 피스톤 봉 (23) 의 고정면 (평탄면 (52b)) 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가구 (12)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bearing metal 71 for supporting the crosshead pin 52, the cooling oil pockets 7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71a, and a plurality of lubricating oil pockets 7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oling oil pockets 72,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by independently forming the pockets 73. Even if the crosshead pins 52 and the bearing metal 71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cooling fluid pockets 72 and the cooling oil supply flow path 81 while ensuring the fixing surface (flat surface 52b) of the piston rod 23 on the crosshead pin 52 By reduc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52, the crosshead 29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s a result, the size and weight of the furniture 12 can be reduced.

또, 본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받침판 (11) 과, 받침판 (11) 상에 형성되는 가구 (12) 와, 가구 (12)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 (13) 과, 받침판 (11) 과 가구 (12) 와 실린더 재킷 (13) 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타이볼트 (14)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디젤 엔진 (10) 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11, the furniture 12 formed on the support plate 11, the cylinder jacket 13 formed on the furniture 12, A plurality of tie bolts 14 are formed which penetrate the cylinder 11, the furniture 12, and the cylinder jacket 13 to connect therewith. Therefore, by reduc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head pin 52, the crosshead 29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as a result, the diesel engine 10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메탈 (71) 은,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냉각유 포켓 (72) 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 대칭으로 윤활유 포켓 (73) 을 형성하였지만, 냉각유 포켓 (72) 은, 베어링 메탈 (71) 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대해 일방측으로 어긋나 있어도 되고, 윤활유 포켓 (73) 도 냉각유 포켓 (72) 에 대해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earing metal 71 has the cooling oil pockets 72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ubricant pockets 73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ereof. However, The pocket 72 may be shift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metal 71 and the lubricant oil pocket 73 may not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oling oil pocket 72.

10 : 디젤 엔진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11 : 받침판
12 : 가구
13 : 실린더 재킷
14 : 타이볼트 (연결 부재)
15 : 너트
16 : 실린더 라이너
17 : 실린더 커버
18 : 피스톤
19 : 연소실
21 : 동밸브 장치
22 : 배기관
23 : 피스톤 봉
24 : 크랭크 샤프트
25 : 베어링
26 : 크랭크
27 : 연접봉
28 : 가이드판
29 : 크로스헤드
31 : 천판
32 : 바닥판
33 : 측판
34 : 격벽
35 : 공간부
51 : 가이드 슈
52 : 크로스헤드 핀
52a : 원호 형상면
52b : 평탄면
62 : 하부 베어링부
62a : 베어링 지지면
68 : 상부 베어링부 (베어링 지지 부재)
71 :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71a : 지지면
72 : 냉각유 포켓 (제 1 포켓)
73 : 윤활유 포켓 (제 2 포켓)
74 : 냉각유용 연통공 (제 1 연통공)
75 : 윤활유용 연통공 (제 2 연통공)
76 : 냉각유 홈 (제 1 홈)
77 : 윤활유 홈 (제 1 홈)
78 : 냉각유 공급공
81 : 냉각유 공급 유로 (유로)
82 : 제 1 냉각유 공급 유로
83 : 제 2 냉각유 공급 유로
85 : 냉각유 보조 포켓
A : 하중 지지 영역
10: Diesel engin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1:
12: Furniture
13: Cylinder jacket
14: Tie bolt (connecting member)
15: Nut
16: Cylinder liner
17: Cylinder cover
18: Piston
19: Combustion chamber
21: Valve unit
22: Exhaust pipe
23: Piston rod
24: Crankshaft
25: Bearings
26: Crank
27: connecting rod
28: guide plate
29: Crosshead
31: Top plate
32: bottom plate
33: shroud
34:
35:
51: guide shoe
52: Crosshead pin
52a: circular arc surface
52b: flat surface
62: Lower bearing portion
62a: bearing supporting surface
68: upper bearing portion (bearing supporting member)
71: Bearing metal (crosshead bearing)
71a: Support surface
72: Cooling oil pocket (first pocket)
73: Lubricant pocket (2nd pocket)
74: Cooling service communicating hole (first communicating hole)
75: Lubricant communication hole (second communication hole)
76: Cooling oil groove (first groove)
77: Lubricant oil groove (first groove)
78: cooling oil supply hole
81: Cooling oil supply flow path (flow path)
82: First cooling oil supply passage
83: Second cooling oil supply flow path
85: Cooling oil auxiliary pocket
A: Load bearing area

Claims (7)

크로스헤드 핀과,
반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외면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는 크로스헤드로서,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지지면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제 1 포켓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서 또한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 2 포켓과,
상기 제 1 포켓에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연통공과,
상기 제 2 포켓에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핀에는,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A crosshead pin,
CLAIMS 1. A crosshead comprising a crosshead bearing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and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freely rotatably,
In the crosshead bearing,
A support surface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rst pocket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second pocket independent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the axial directi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cket,
A first communication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ock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pocket so as to penetrate the crosshead bear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Wherein the crosshead pin is formed with a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켓과 상기 제 2 포켓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측의 단부 위치가 동일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cket and the second pocket are set so that end positions of the support surfac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bearing are the sam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핀은,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지지되는 원호 형상면과, 피스톤 봉이 밀착하여 고정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일단부가 상기 원호 형상면에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평탄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rosshead pin is formed with an arc-shaped surface supported by the crosshead bearing and a flat surface fixedly fixed to the piston rod, the flow path having one end opened on the arcuate surf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lat surface Of the cross hea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외면을 지지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지지면이 형성된 연접봉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1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1 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름과 함께 상기 제 2 연통공이 연통되는 제 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bearing support surface having an arcuate bearing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is formed and a first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the bearing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the bearing supporting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외면이 상기 연접봉에 있어서의 상기 베어링 지지면에 지지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단부가 상기 연접봉에 고정되는 크로스헤드 핀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크로스헤드 핀 지지 부재에 상기 제 1 포켓에 연통되는 보조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osshead bearing is supported by a crosshead pin support member whose outer surface is supported by the bearing support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whos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And an auxiliary pocket communicating with one pocket is formed.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판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속되는 측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A top plate disposed at the top,
A bottom plate disposed at the bottom,
A side plate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 partition wall which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to divide a plurality of spaces,
A guide plate fixed to the partition wall,
The furni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ich is supported so as to freely move on each of the guide plates.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에 형성되는 제 6 항에 기재된 가구와,
상기 가구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구와 상기 실린더 재킷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A base plate,
A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6 formed on said base plate;
A cylinder jacket formed on the furniture,
And a connecting member for passing through said bed plate, said furniture, and said cylinder jacket.
KR1020197004718A 2016-08-24 2017-07-31 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1816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3740A JP6697822B2 (en) 2016-08-24 2016-08-24 Crosshead and frame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JP-P-2016-163740 2016-08-24
PCT/JP2017/027771 WO2018037845A1 (en) 2016-08-24 2017-07-31 Crosshead, fram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031A true KR20190026031A (en) 2019-03-12
KR102181619B1 KR102181619B1 (en) 2020-11-23

Family

ID=6124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18A KR102181619B1 (en) 2016-08-24 2017-07-31 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97822B2 (en)
KR (1) KR102181619B1 (en)
CN (1) CN109642479B (en)
WO (1) WO201803784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0589A (en) * 2019-12-29 2020-05-12 陕西航天动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Lubricating structure of crosshead assembly for diaphragm p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8404B2 (en) * 2018-10-01 2022-11-09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Crosshead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7403321B2 (en) * 2020-01-10 2023-12-22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frame
JP7414547B2 (en) * 2020-01-21 2024-01-16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base pl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055A (en) 2009-09-07 2010-02-12 Man Diesel Filial Af Man Diesel Se Tyskland Cross head bearing for large-sized two cycle diesel engine
JP2016070091A (en) * 2014-09-26 2016-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Guide plate, partition wall unit, fram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6130534A (en) * 2015-01-13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oss head bearing device and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1905A (en) * 1946-08-06 1953-03-17 Nat Lead Co Bearing surface
CH576082A5 (en) * 1974-03-21 1976-05-31 Sulzer Ag
JPS5833931B2 (en) * 1976-09-21 1983-07-23 真茅 和子 Bear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rosshead
CH666094A5 (en) * 1985-04-26 1988-06-30 Sulzer Ag CROSS HEAD PIN BEARINGS FOR PISTON MACHINES.
DK167075B1 (en) * 1991-03-26 1993-08-23 Man B & W Diesel Gmbh CROSS HEAD FOR A TOTACT STAMP ENGINE
JPH07208446A (en) * 1994-01-21 1995-08-11 Mitsubishi Heavy Ind Ltd Cross head pin bearing structure
JP4476006B2 (en) * 2004-04-20 2010-06-09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for preventing seizure of cross head bea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055A (en) 2009-09-07 2010-02-12 Man Diesel Filial Af Man Diesel Se Tyskland Cross head bearing for large-sized two cycle diesel engine
JP2016070091A (en) * 2014-09-26 2016-05-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Guide plate, partition wall unit, fram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6130534A (en) * 2015-01-13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oss head bearing device and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0589A (en) * 2019-12-29 2020-05-12 陕西航天动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Lubricating structure of crosshead assembly for diaphragm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2479B (en) 2021-02-12
JP2018031291A (en) 2018-03-01
JP6697822B2 (en) 2020-05-27
CN109642479A (en) 2019-04-16
KR102181619B1 (en) 2020-11-23
WO2018037845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031A (en) 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76061B1 (en) Handheld type four-cycle engine
JP5691511B2 (en) Oil supply device for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813715B2 (en) Vertical engine
JP4471229B2 (en) Crosshead bearing for large two-cycle diesel engines
KR102231313B1 (en) 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130220267A1 (en) Bearing connection, engine cylinder, and engine with the bearing connection
JP2021134892A (en) Two-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08649B2 (en) Oil supply syste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iston
US6652338B2 (en) Lubricant drain arrangement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701623B2 (en) Multi-link, adjustable-stroke type engine
JP2005140090A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331056A (en) Bearing lubricating structure of engine
KR102124752B1 (en) Coaxial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351261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455306B2 (en) Crosshead engine
US11225929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168404B2 (en) Crosshead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9148207A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mechanism
CN110410229B (en) Piston lubricating structure
JP2006104954A (en) Cooling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321635A1 (en) Oil drainage passag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23012837A (en) Lubrication device for engine
RU2260721C2 (en) System for lubricating crankshaft
JPS59690B2 (en) 2 cycle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