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313B1 - 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Google Patents

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313B1
KR102231313B1 KR1020197024758A KR20197024758A KR102231313B1 KR 102231313 B1 KR102231313 B1 KR 102231313B1 KR 1020197024758 A KR1020197024758 A KR 1020197024758A KR 20197024758 A KR20197024758 A KR 20197024758A KR 102231313 B1 KR102231313 B1 KR 10223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rosshead
circumferential
axial direc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4627A (en
Inventor
다카히로 나가시마
고지 에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4Connecting-rod bearings; Attach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32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ma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02Cylinder arrangements
    • F02F7/0004Crankcases of one-cylinde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7Grooves for generat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로스헤드 베어링 및 크로스헤드 그리고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있어서, 반원통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면 (72) 과, 베어링 본체 (71)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부로서의 연통공 (75) 과,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부로서의 경사 홈 (76) 을 형성한다.In a crosshead bearing, a crosshead, furniture, and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bearing body 71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the bearing surface 7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and the bearing body 71 ), and an inclined groove 76 as an inclined portion whose depth increases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as a communication portion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

Description

크로스헤드 베어링 및 크로스헤드 그리고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이나 가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구성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사용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는 크로스헤드,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가구 (架構), 이 가구를 구비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head bearing used in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stitu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 diesel engine or a gas engine, a crosshead having a crosshead bearing, a furniture having a crosshead, and the furniture. It relates to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예를 들어, 선박 추진용의 주기 (主機) 로서 2 스트로크 1 사이클의 유니플로 소기 방식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이 있다. 이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크로스헤드 베어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크로스헤드 베어링 장치는, 연접봉과 베어링 메탈을 구비하고 있다. 연접봉은, 하단부가 크랭크에 연결되고, 상단부에 반원 형상을 이루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베어링 메탈은,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피스톤봉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면이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as a main machine for propulsion of a ship, there is a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uniflow scavenging system of 2 strokes and 1 cycle. This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provided with a crosshead bearing device for converting a reciprocating motion of a piston into a rotational motion of a crankshaft. This crosshead bea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od and a bearing metal. The connecting rod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crank, a semicircular support surf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bearing metal ha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is connected so that it can slide freely. The bearing surface is formed.

그리고, 연접봉은, 지지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 오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은, 베어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 오일 홈이 형성됨과 함께, 둘레 방향 오일 홈에 연통되는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이 형성되고, 지지면의 둘레 방향 오일 홈과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 오일 홈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핀 내에 형성된 공급 유로 (油路) 로부터 베어링면의 둘레 방향 오일 홈 및 축 방향 오일 홈에 공급되고, 크로스헤드 핀과 베어링 메탈 (연접봉) 의 상대 이동시에,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과 베어링면 사이로 널리 퍼져 윤활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Further, the connecting rod has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formed on the support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earing metal,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earing surface, and a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communicated with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are formed, an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of the support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aring surfac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 communicating the oil groove are formed. Therefore, the lubricating oil is su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and the axial oil groove of the bearing surface from a supply flow path formed in the crosshead pin, and when the crosshead pin and the bearing metal (connecting rod)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 crosshead It spreads widely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 and the bearing surface to perform lubrication. As such a crosshead bearing, there exists what was described in following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일본 특허공보 제491204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912046

상기 서술한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이면측이 연접봉의 지지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표면측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운전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중을 받게 된다. 이 때,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에 발생하는 크로스헤드 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유막 (油膜) 압력은, 베어링면의 변형에 의해 축 방향의 단부에서 가장 낮고, 이 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유막 압력이 최대가 되는 축 방향의 중심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rosshead bearing, the rear side is support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bearing surface on the front side is support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can slide freely. Therefore, when th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operated,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a loa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At this time, the oil film pressur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generated on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is lowest at the end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bearing surface, and moves from the end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center. It is rising towards. Therefore, in the crosshead bear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t which the oil film pressure is maximized is damaged.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베어링 하중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 가능하게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크로스헤드,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sshead bearing, a crosshead, furniture, and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pable of satisfactorily supporting a crosshead pin by suppressing damage due to a bearing load 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d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은, 연접봉의 지지면에 지지되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있어서, 반원통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본체와, 상기 베어링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면과, 상기 베어링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부와, 상기 베어링 본체의 내면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rosshead bearing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of a connecting rod so as to freely slid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osshead pin, comprising: a bearing body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A bearing surfac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a communication portion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and an inclined portion increasing in depth toward the center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It is characterized by.

따라서, 베어링 본체의 내면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크로스헤드의 작동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부에 의해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inclined portions that increase in depth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when the crosshead is operated,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The inclined portion can suppress an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and a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s a result, damage due to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연접봉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increases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따라서, 경사부가 연접봉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짐으로써, 충분한 영역의 경사부를 확보할 수 있어,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by increasing the depth of the inclined portion from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a sufficient area inclined portion can be secured, and the local oil film pressure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is reduced. It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rise.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from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entral portion from an end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따라서, 경사부가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로부터 형성됨으로써, 베어링 본체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의 영역에 항상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베어링면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from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ends of the bear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so that a bearing surface that always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can be secured i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bearing body. As a result, the crosshead pin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바닥면이 평탄한 경사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a flat inclined plane.

따라서, 경사부를 바닥면이 평탄한 경사 평면으로 함으로써,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여 가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making the inclined portion an inclined plane with a flat bottom surfac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workability and reduce processing cost.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바닥면에 상기 크로스헤드 핀측으로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이 되는 경사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or concave toward the crosshead pi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경사부를 크로스헤드 핀측으로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이 되는 경사 곡면으로 함으로써, 둘레 방향 오일 홈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by making the inclined portion a convex or concave inclined curved surface toward the crosshead pin side, an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어링면이 상기 크로스헤드 핀으로부터 최대 하중의 수압 (受壓) 시에 유막을 통하여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receives a load through an oil film when the bearing surface receives a maximum load from the crosshead pin.

따라서,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으로부터 최대 하중의 수압시에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이 경사 평면이나 경사 곡면이 유막을 통하여 하중을 받음으로써, 경사부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한편으로, 크로스헤드 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earing surface receives the maximum load from the crosshead p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is subjected to the load through the oil film in the inclined plane or the inclined curved surface. While the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e crosshead pin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의 상기 베어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 오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둘레 방향 오일 홈을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earing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bear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from both ends of the bear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increases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부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by the inclined portion.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연통부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연통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ortion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and the inclined portion has a depth from both ends of the bear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ommunica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arger.

따라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부에 의해 연통부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or a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by the inclined portion.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에서는, 상기 베어링면에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축 방향을 따른 축 방향 오일 홈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복수의 상기 축 방향 오일 홈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xial oil gro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are formed on the bearing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따라서, 베어링면에 축 방향 오일 홈을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하고, 경사부를 각 축 방향 오일 홈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축 방향 오일 홈에 의해 안정적인 윤활유의 공급이 가능해지고, 축 방향 오일 홈의 폭 방향의 양측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둘레 방향 오일 홈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a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earing surface, and forming incline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each axial oil groove, stable supply of lubricating oil is possible by the axial oil groove, and the axial oil By forming incline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an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또,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는, 크로스헤드 핀과,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 지지면이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의 지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기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ross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sshead pin, a bearing portion having a support surface curved to form a semicircular shape, and a support surface of the bearing portion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can slide fre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rosshead bearing.

따라서, 크로스헤드의 작동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부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rosshead is operated, when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inclined portion is suppressed. can do. As a result, damage to the crosshead bearing caused by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또, 본 발명의 가구는,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판에 접속됨과 함께 타탄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속되는 측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상기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disposed on a top, a bottom plate disposed on a bottom, a side plate disposed on a sid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a side plate to which a tarta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nd a partition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s are partitioned by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a guide plate fixed to each of the partition walls, and the crosshead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movable on each of the guide plates. will be.

따라서, 크로스헤드의 작동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부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rosshead is operated, when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inclined portion is suppressed. can do. As a result, damage to the crosshead bearing caused by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또,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은, 대판 (臺板) 과, 상기 대판 상에 형성되는 상기 가구와, 상기 가구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과, 상기 대판과 상기 가구와 상기 실린더 재킷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base plate, the furniture formed on the base, a cylinder jacket formed on the furniture, the base plate, the furniture, and the cylinder jack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따라서, 크로스헤드의 작동시에,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부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크로스헤드 베어링의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어, 연비의 향상 그리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rosshead is operated, when the bearing surface of the crosshead bearing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inclined portion is suppressed. can do. As a result, damage to the crosshead bearing caused by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the crosshead pin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and the fuel economy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크로스헤드,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의하면, 베어링 하중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rosshead bearing, crosshead, furnitur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due to a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크로스헤드 핀을 생략한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V-V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 은, 베어링 메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크로스헤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베어링 메탈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베어링 메탈의 제 1 변형예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베어링 메탈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크로스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베어링 메탈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크로스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베어링 메탈에 최대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유막 압력 및 베어링면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XV-XV 단면도이다.
도 16 은, 제 3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도 18 은, 베어링 메탈의 제 1 변형예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는, 베어링 메탈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크로스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베어링 메탈에 최대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유막 압력 및 베어링면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iesel eng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rniture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head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from which a crosshead pin is omitted.
5 is a VV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I-VI in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ring metal.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rosshea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hape of a bearing metal.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hape of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bearing metal.
11 is a plan view of a crosshead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bearing metal.
12 is a plan view of a crosshead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bearing metal.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il film pressure and bearing surface shape when a maximum load is applied to the bearing metal.
14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15 is an XV-XV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16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XVII in FIG. 16.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hape of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bearing metal.
19 is a plan view of a crosshead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bearing metal.
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il film pressure and a bearing surface shape when a maximum load is applied to the bearing metal.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크로스헤드 베어링, 크로스헤드, 가구,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rosshead bearing, crosshead, furniture,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mbodiments, a combination of each embodiment is also included.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esel eng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 (10) 은, 예를 들어, 선박 추진용의 주기로서 사용되고, 2 스트로크 1 사이클의 유니플로 소기 방식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이다. 이 디젤 엔진 (10) 은, 하방에 위치하는 대판 (11) 과, 대판 (11) 상에 형성되는 가구 (12) 와, 가구 (12)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 (13)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대판 (11) 과 가구 (12) 와 실린더 재킷 (13)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타이 볼트 (연결 부재) (14) 및 너트 (15) 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diesel engine 10 is used as a cycle for propulsion of a ship, for example, and is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uniflow scavenging system of two strokes and one cycle. This diesel engine 10 is provided with the base plate 11 located below, the furniture 12 formed on the base 11, and the cylinder jacket 13 formed on the furniture 12. The base plate 11, the furniture 12, and the cylinder jacket 13 are integrally fastened and fixed by a plurality of tie bolts (connection members) 14 and nuts 1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실린더 라이너 (16) 는, 실린더 재킷 (13) 내에 배치되고, 상부에 실린더 커버 (17) 가 고정되어 공간부를 구획하고 있고, 이 공간부 내에 피스톤 (18) 이 상하로 자유롭게 왕복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실린더 커버 (17) 는, 배기 밸브 (20) 가 형성되어 있고, 배기 밸브 (20) 는, 동변 (動弁) 장치 (21) 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기 밸브 (20) 는, 실린더 라이너 (16), 실린더 커버 (17), 및 피스톤 (18) 과 함께 연소실 (19) 을 형성한다. 배기 밸브 (20) 는, 연소실 (19) 과 배기관 (22) 을 개폐하는 것이다.The cylinder liner 16 is disposed in the cylinder jacket 13, and the cylinder cover 17 is fixed at the upper part to partition the space, and the piston 18 is formed so that the piston 18 can freely reciprocate up and down in this space. . In addition, the cylinder cover 17 is provided with an exhaust valve 20, and the exhaust valve 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moving device 21. The exhaust valve 20 forms the combustion chamber 19 together with the cylinder liner 16, the cylinder cover 17, and the piston 18. The exhaust valve 20 opens and closes the combustion chamber 19 and the exhaust pipe 22.

그 때문에, 연소실 (19) 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사 펌프로부터 공급된 연료 (예를 들어, 저질유, 천연 가스, 또는, 그 혼합 연료 등) 와,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연소용 가스 (예를 들어, 공기, EGR 가스, 또는, 그 혼합 가스 등) 가 공급됨으로써, 연소실 (19) 에서 연료와 연소용 가스가 연소된다. 그리고, 이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에 의해 피스톤 (18) 이 피스톤 축 방향으로 왕복동한다. 이 때, 동변 장치 (21) 에 의해 배기 밸브 (20) 가 작동하여 연소실 (19) 이 개방되면,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가 배기관 (22) 으로 압출되는 한편, 도시되지 않은 소기 포트로부터 연소용 가스가 연소실 (19) 에 도입된다.Therefore, for the combustion chamber 19, a fuel supplied from a fuel injection pump (not shown, for example, low quality oil, natural gas, or a mixed fuel thereof), and for combustion compressed by a compressor (not shown) When a gas (for example, air, EGR gas, or a mixture thereof) is supplied, fuel and combustion gas are 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9. Then, the piston 18 reciprocates in the piston axial direction by the energy generated by this combustion. At this time, when the exhaust valve 20 is operated by the moving device 21 to open the combustion chamber 19, the exhaust gas generated by combustion is extruded into the exhaust pipe 22, while combustion from an unillustrated scavenging port. The solvent gas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9.

피스톤 (18) 은, 하단부에 피스톤봉 (23) 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대판 (11) 은, 크랭크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고, 크랭크 샤프트 (24) 가 베어링 (25)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크랭크 샤프트 (24) 는, 크랭크 (26) 를 개재하여 연접봉 (27) 의 하단부가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가구 (12) 는,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판 (28) 이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29) 는, 후술하지만, 피스톤봉 (23) 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로스헤드 핀과, 크랭크 샤프트 (24) 에 연접되는 연접봉 (27) 의 베어링부와, 크로스헤드 핀과 베어링부 사이에 형성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으로 구성되고, 크로스헤드 핀이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개재하여 베어링부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 크로스헤드 (29) 는, 1 쌍의 가이드판 (28) 사이에 배치되고, 이 가이드판 (28) 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As for the piston 18, the upper end of the piston rod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 base plate 11 constitutes a crankcase, and is supported so that the crankshaft 24 can rotate freely by a bearing 25. The crankshaft 24 is connec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can freely rotate through the crank 26. The furniture 12 is arranged so that guide plates 28 formed along the piston axis direction form a pai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crosshead 2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between the crosshead pi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23, the bear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connected to the crankshaft 24, and the crosshead pin and the bearing portion. It is composed of a formed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and a crosshead pin is connected to the bearing part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through the crosshead bearing. This crosshead 29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guide plates 28 and is supported so as to move freely along the guide plates 28.

그 때문에, 피스톤 (18) 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 (18) 과 함께 피스톤봉 (23) 이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크로스헤드 (29) 가 가이드판 (28) 을 따라 피스톤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크로스헤드 (29) 의 크로스헤드 핀은,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통하여 연접봉 (27) 에 회전 구동력을 가한다. 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접봉 (27) 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크랭크 (26) 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 (24) 를 회전시킨다.Therefore, when the piston 18 reciprocates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the piston rod 23 together with the piston 18 reciprocates along the piston axial direction, so that the crosshead 29 moves the guide plate 28 back and forth. It reciprocates along the direction of the piston axis along the way. Thereby, the crosshead pin of the crosshead 29 appli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connecting rod 27 via the crosshead bearing. By this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crank 26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cranks and rotates the crankshaft 24.

여기서, 디젤 엔진 (10) 을 구성하는 가구 (12)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둘레 방향 C 란, 크로스헤드 핀의 둘레 방향이고, 축 방향 A 란, 크로스헤드 핀의 축심 방향이며, 직경 방향 R 이란, 크로스헤드 핀의 직경 방향이다.Here, the furniture 12 constituting the diesel engin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rni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osshead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the axial direction A is the axial center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and the radial direction R i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구 (12) 는,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과, 복수의 격벽 (3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판 (31) 은, 정상부에 배치되어 실린더 재킷 (13)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바닥판 (32) 은, 바닥부에 배치되어 대판 (11)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측판 (33) 은, 좌우의 측부에 배치되어 피스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하단부) 가 바닥판 (32) 에 접속되고, 타탄부 (상단부) 가 천판 (31) 에 접속된다. 복수의 격벽 (34) 은, 크랭크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furniture 12 is composed of a top plate 31, a floor plate 32, a side plate 33,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4. The top plate 31 is disposed at the top and connected to the cylinder jacket 13 (see Fig. 1). The bottom plate 32 is disposed on the bottom and connected to the base plate 11 (see Fig. 1). The side plate 33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one end (lower end) in the piston axi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32, and the tartan portion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31.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4 are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rankshaft direction.

이 가구 (12) 는,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과 각 격벽 (34) 에 의해 공간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 (35) 는, 크로스헤드 (29) 가 가이드판 (28) 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로, 크로스헤드 (29) 는, 이 공간부 (35) 에 수용되고, 피스톤 축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In this furniture 12, the space part 35 is formed by the top plate 31, the bottom plate 32, the side plate 33, and each partition wall 34. This space part 35 is a space part in which the crosshead 29 is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8 and is movable, and the crosshead 29 is accommodated in this space part 35 and reciprocates in the piston axial direction. You can move.

격벽 (34) 은, 중앙판 (41) 과, 중간판 (42) 과, 가이드판 (28) 을 갖고 있다. 중앙판 (41)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각 중간판 (42)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 폭 방향의 양단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판 (28) 은, 격벽 (34) 에 있어서의 중앙판 (41) 과 각 중간판 (42) 사이에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중앙판 (41) 은, 한 변에 절결부 (41a) 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는 평면판이고, 절결부 (41a) 가 격벽 (34) 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중앙판 (41) 은, 내연 기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가 가이드판 (28) 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The partition wall 34 has a central plate 41, an intermediate plate 42, and a guide plate 28. The central plate 41 forms a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ach intermediate plate 42 forms both end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3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guide plate 28 is disposed between the central plate 41 and each intermediate plate 42 in the partition wall 34 and is connected by welding. The central plate 41 is a flat plate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 cutout 41a is formed on one side, and is disposed so that the cutout 41a is located under the partition wall 34. In the center plate 41,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e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28 by welding.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봉 (23) 과, 연접봉 (27) 과, 1 쌍의 가이드 슈 (51) 와, 크로스헤드 핀 (52) 과,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53) 로 구성되어 있다.2 and 3, the crosshead 29 includes a piston rod 23, a connecting rod 27, a pair of guide shoes 51, a crosshead pin 52, and a bearing metal. (Crosshead bearing) (53).

연접봉 (27) 은, 연접봉 본체 (61) 와, 연접봉 본체 (61) 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베어링부 (62) 와, 하부 베어링부 (62) 의 상부에 복수의 체결 볼트 (63) 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는 상부 베어링부 (64) 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접봉 본체 (61) 는, 길이 방향으로 그 폭과 두께가 동일한 치수로 설정된 부분이다. 피스톤봉 (23) 은, 피스톤봉 본체 (65) 와, 피스톤봉 본체 (65) 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66) (도 5 참조) 로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슈 (51) 는, 사각형상을 이루고, 가이드 슈 본체 (67) 와, 가이드 슈 본체 (67) 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부 (68) 로 구성되고, 가이드 슈 본체 (67) 에 장착공 (69) 이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헤드 핀 (52) 은, 피스톤봉 (23) 의 하단부가 연결부 (66) 를 개재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53) 은, 후술하지만,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면과 외면에 윤활유가 공급된다.The connecting rod 27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main body 61, a lower bearing part 62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main body 61,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63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earing part 62. It consists of an upper bearing part 64 which is integrally fastened by. In this case, the connecting rod main body 61 is a portion whose width and thickness are set to be the same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iston rod 23 is constituted by a piston rod main body 65 and a connecting portion 66 (see Fig. 5)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main body 65. A pair of guide shoes 51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composed of a guide shoe body 67 and guide portions 6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shoe body 67, respectively, and the guide shoe body 67 Mounting holes 69 are formed in the. The crosshead pin 5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23 via a connecting portion 66. The bearing metal 53, as described later, ha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lubricating oil is supplied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베어링 메탈 (53) 은,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의 내면에 장착되고, 내측에 크로스헤드 핀 (52) 이 배치되고, 하부 베어링부 (62) 의 상부에 상부 베어링부 (64) 가 체결됨으로써, 크로스헤드 핀 (52) 이 베어링 메탈 (53) 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1 쌍의 가이드 슈 (51) 는, 피스톤봉 (23) 및 연접봉 (27) 의 양측에서, 장착공 (69) 에 크로스헤드 핀 (52) 의 단부가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The bearing metal 53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earing part 62 of the connecting rod 27, the crosshead pin 52 is disposed inside, and the upper bearing part 64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earing part 62. ) Is fastened, so that the crosshead pin 52 can be freely rotated by the bearing metal 53. The pair of guide shoes 51 is fixed by fitting the end of the crosshead pin 52 to the mounting hole 69 on both sides of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그 때문에, 피스톤봉 (23) 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핀 (52) 과, 연접봉 (27) 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각 베어링부 (62, 64) 가 베어링 메탈 (53) 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즉, 피스톤 (18) (도 1 참조) 이 왕복 이동하면, 피스톤 (18) 과 일체인 피스톤봉 (23) 이 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이 때, 1 쌍의 가이드 슈 (51) 가 1 쌍의 가이드판 (28) 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연접봉 (27) 은, 피스톤봉 (23) 과 연동하여 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함께, 크로스헤드 핀 (52) 을 지지점으로 하여 피스톤봉 (23) 에 대해 상대적으로 왕복 회동한다. 그리고, 연접봉 (27) 과 크랭크 (26) (도 1 참조) 가 크랭크 운동하여, 크랭크 샤프트 (24) (도 1 참조) 를 회전한다.Therefore, the crosshead pin 52 connected to the piston rod 23 and the bearing portions 62 and 64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7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rotate freely through the bearing metal 53 do. That is, when the piston 18 (see Fig. 1) reciprocates, the piston rod 23 integral with the piston 18 reciprocat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at this time, a pair of guide shoes 51 is 1 It reciprocates along the pair of guide plates 28. The connecting rod 27 reciprocates along the sam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iston rod 23, and rotates relatively reciprocally with respect to the piston rod 23 using the crosshead pin 52 as a support point. And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crank 26 (refer FIG. 1) crank movement, and the crankshaft 24 (refer FIG. 1) rotates.

이하, 크로스헤드 (29)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크로스헤드 핀을 생략한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V-V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VI-VI 단면도, 도 7 은, 베어링 메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crosshead 2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from which a crosshead pin is omitted, Fig. 5 is a V-V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Fig. 6 is a VI-VI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ring metal.

도 4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 (29) 는, 피스톤봉 (23) 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핀 (52) 이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및 상부 베어링부 (64) 에 베어링 메탈 (53) 을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베어링 메탈 (53) 은,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면 (72) 과, 둘레 방향 오일 홈 (73) 과, 축 방향 오일 홈 (74) 과, 연통공 (연통부) (75) 과, 경사 홈 (경사부) (76) 을 구비하고 있다.4 to 7, in the crosshead 29, the crosshead pin 52 connected to the piston rod 23 is attached to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the upper bearing portion 64 of the connecting rod 27. It is connected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through the bearing metal 53. This bearing metal 53 is a bearing body 71, a bearing surface 72,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n axial oil groove 74,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on part) 75, and , An inclined groove (inclined portion) 76 is provided.

베어링 본체 (71) 는,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에 형성된 반원 형상을 이루는 지지면 (62a) 에 지지되고, 내면에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을 둘레 방향 C 를 따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면 (72) 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53) 은, 베어링면 (72) 에 있어서의 폭 방향 (축 방향 A)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O1 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이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은, 베어링 메탈 (53) 의 내면에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고, 둘레 방향의 각 단부가 베어링 본체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의 바로 앞까지 연장 돌출되어 있다.The bearing body 71 ha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surface is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62a having a semicircular shape formed on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A bearing surface 72 is formed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can freely rot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The bearing metal 53 has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at the center position O1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of the bearing surface 72. This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a concave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53, and each en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 the bearing body 71. It extends to the immediate front of each end and protrudes.

베어링 메탈 (53) 은, 베어링면 (72) 에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8 개) 의 축 방향 오일 홈 (74) 이 축 방향 A 를 따라 둘레 방향 C 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 방향 오일 홈 (74) 은, 베어링 메탈 (53) 의 내면에 소정의 폭으로 축 방향 A 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고,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은, 일단부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에 연통되어 있다.In the bearing metal 53, a plurality of (in this embodiment, eight) axial oil grooves 74 are formed on the bearing surface 7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This axial oil groove 74 is a concave portion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53,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Is formed. That is, each axial direction oil groove 74 has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은, 폭이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깊이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폭을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과 동일하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해도 되고, 또, 깊이를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깊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each axial oil groove 74, and the depth is formed larger than the depth of each axial oil groove 74.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width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may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each axial oil groove 74, and the depth may be reduced in each axial oil groove ( 74) You may make it the same as the depth, or you may make it small.

베어링 메탈 (53) 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바닥면으로부터 베어링 본체 (71) 의 두께 방향으로 외면까지 관통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의 연통공 (75)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통공 (75) 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내에 둘레 방향 C 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In the bearing metal 53, a plurality of (five in this embodiment) communication holes 75 penetrat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o the out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are formed. have. Each communication hole 75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또, 베어링 메탈 (53) 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양측의 베어링면 (72) 에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외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경사 홈 (7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 홈 (76)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에서, 또한,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졌다. 이 각 경사 홈 (76) 은, 축 방향 A 의 각 단부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가 베어링 본체 (71) 의 둘레 방향 C 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경사 홈 (76) 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게 된다.Moreover, the bearing metal 53 is circumferentially from the out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of the bearing main body 71 to the bearing surfaces 72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A plurality of (two in this embodiment) inclined grooves 76 that have a larger depth toward the directional oil groove 73 are formed. Each inclined groove 76 is at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and from a position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he depth has increased. In each of these inclined grooves 76, each end in the axial direction A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axial oil groove 74, and each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of the bearing body 71. It is located at the end. Therefore, each inclined groove 76 is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axial direction oil groove 74 in the width direction.

베어링 메탈 (53) 은,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베어링면 (72) 이 형성되지만, 축 방향 A 의 중심부측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과 각 경사 홈 (76) 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 방향 A 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영역 A1 이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부터의 하중을 항상 받는 제 1 수압면이 된다. 또, 각 경사 홈 (76) 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그 깊이가 깊어져, 크로스헤드 (29) 의 정지시에,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과 각 경사 홈 (76) 의 바닥면 사이에 미소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베어링 메탈 (53) 은, 크로스헤드 (29) 의 구동시에,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부터 최대 하중을 수압하면, 베어링 본체 (71) 가 변형되어 각 경사 홈 (76) 이 유막을 통하여 하중을 받는다. 그 때문에, 각 경사 홈 (76) 이 형성된 영역 A2 가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제 2 수압면이 된다.In the bearing metal 53, the bearing surface 7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but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nd each inclined groove 76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axial direction A. Therefore, the region A1 located on the end side of the axial direction A becomes the first pressure receiving surface that always receives the load from the crosshead pin 52. Moreover, each inclined groove 76 becomes deeper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nd when the crosshead 29 is stopp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and each inclined groove 76 A minute gap is secure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loor. However, when the bearing metal 53 is driven by the crosshead 29, when the bearing surface 72 receives the maximum load from the crosshead pin 52, the bearing body 71 is deformed and each inclined groove 76 ) The load is received through this oil film. Therefore, the region A2 in which each inclined groove 76 is formed becomes a second pressure receiving surface that receives a load from the crosshead pin 52.

여기서, 베어링 메탈 (53)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및 경사 홈 (76)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은, 크로스헤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는, 베어링 메탈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nd the inclined groove 76 in the bearing metal 5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rosshead,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hape of a bearing metal.

베어링 메탈 (53) 은,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본체 (71) 의 베어링면 (72) 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이 형성됨과 함께, 그 양측에 경사 홈 (76)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은, 축 방향 A 의 중심 위치 O1 에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고, 바닥면 (73a) 의 양측에 직교하는 측면 (73b) 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경사 홈 (76)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됨과 함께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 P 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져,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측면 (73b) 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 (둔각) 를 가지고 접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포함시킨 경사 홈 (76)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2 는, 연접봉 (27)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1 보다 큰 치수가 된다. 이 경사 홈 (76) 은, 바닥면이 베어링면 (72) 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평탄한 경사 평면이고,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에 연통되는 위치에서의 최대 깊이가, 경사 홈 (76) 이 연통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깊이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As for the bearing metal 53, as shown in FIG. 8 and FIG. 9, while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is formed i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ain body 71, the inclined groove 76 i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Each is forme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at the center position O1 in the axial direction A, and side surfaces 73b orthogonal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73a are formed. The inclined groove 76 shifts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reases in depth from the outer position 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73b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at a predetermined angle (obtuse angle). Therefore,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2 of the inclined groove 76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becomes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1 of the connecting rod 27. This inclined groove 76 is a flat inclined plan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earing surface 72, and the maximum depth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the inclined groove 76 It has a dimension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at this communication position.

또한, 경사 홈 (76) 의 형상은,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은, 베어링 메탈의 제 1 변형예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clined groove 76 is not limited to the thing mentioned abov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hape of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bearing metal.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53A) 은, 베어링 본체 (71) 의 베어링면 (72) 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이 형성됨과 함께, 그 양측에 경사 홈 (77)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경사 홈 (77)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됨과 함께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 P 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진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포함시킨 경사 홈 (77)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2 는, 연접봉 (27)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1 보다 큰 치수가 된다. 이 경사 홈 (77) 은, 바닥면이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경사 곡면이고, 베어링면 (72) 의 위치 P 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바닥면까지 단차 없이 연속된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 홈 (77) 은, 경사 홈 (76) 과 같이, 위치 P 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만곡면으로서,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측면 (73b) 의 상단에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10, in the bearing metal 53A,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formed i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ain body 71, and inclined grooves 77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have. The inclined groove 77 shifts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reases in depth from the outer position P of the connecting rod 27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herefore,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2 of the inclined groove 77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becomes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1 of the connecting rod 27. This inclined groove 77 is an inclined curved surface curv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crosshead pin 52 in the radial direction R, and from the position P of the bearing surface 72 to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t i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without a step to the bottom. In addition, the inclined groove 77 is a curved surface that increases in depth from the position P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like the inclined groove 76, and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73b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You may be connected to.

또, 경사 홈 (76) 의 위치는,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은, 베어링 메탈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크로스헤드의 평면도, 도 12 는, 베어링 메탈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크로스헤드의 평면도이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groove 76 is not limited to the one described above. Fig. 11 is a plan view of a crosshead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bearing metal, and Fig. 12 is a plan view of a crosshead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bearing metal.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53) 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양측의 베어링면 (72) 에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외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91)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홈 (91)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에서, 또한,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졌다. 이 각 경사 홈 (91) 은, 축 방향 A 의 각 단부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가 베어링 본체 (71) 의 둘레 방향 C 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어,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경사 홈 (91) 은, 주위가 평탄한 베어링면 (72) 에 둘러싸인 것이 되어, 외측으로의 윤활유의 누설이 억제된다.As shown in FIG. 11, the bearing metal 53 is applied to the bearing surfaces 72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of the bearing body 71. ), an inclined groove 91 that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oil groove 7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The inclined groove 91 is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further from the oute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Has grown. In each of these inclined grooves 91, each end in the axial direction A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axial oil groove 74, and each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of the bearing body 71. It is located right in front of the 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refore, the inclined groove 91 is surrounded by the bearing surface 72 having a flat circumference, and leakage of the lubricating oil to the outside is suppressed.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53) 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양측의 베어링면 (72) 에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외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92)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홈 (92)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에서, 또한,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가 커졌다. 이 각 경사 홈 (92) 은, 축 방향 A 의 각 단부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가 가장 외측에 위치한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어,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경사 홈 (92) 은, 주위가 평탄한 베어링면 (72) 에 둘러싸인 것이 되어, 외측으로의 윤활유의 누설이 억제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bearing metal 53 is formed on the bearing surfaces 72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An inclined groove 92 that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from the outside of the direction A) is formed. The inclined groove 92 is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further from a position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Has grown. In each of these inclined grooves 92, each end of the axial direction A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axial oil groove 74, and each end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s located at the outermost axial oil groove 74. ), so it is elliptical when viewed from the top. Therefore, the inclined groove 92 is surrounded by the bearing surface 72 having a flat circumference, and leakage of the lubricating oil to the outside is suppressed.

연접봉 (27)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지지면 (62a) 에 있어서의 폭 방향 (축 방향 A)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O1 에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이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은, 하부 베어링부 (62) 의 지지면 (62a) 에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고, 둘레 방향의 각 단부가 베어링 본체 (71)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까지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하부 베어링부 (62) 의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은, 베어링 메탈 (53) 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과 직경 방향 R 에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 오일 홈 (73) 과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은, 연통공 (75)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 연접봉 (27) 은, 축 방향 A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O1 과 둘레 방향 C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O2 가 교차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급 유로 (8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급 유로 (82) 는 상단부가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에 연통되고, 타탄부가 크랭크 (26) (도 1 참조) 까지 연장 돌출되어 있다.The connecting rod 27 has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8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at the center position O1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in the support surface 62a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have.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81 is a concave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with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support surface 62a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each en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n the bearing body 71 It extends to each end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and protrudes.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81 of the lower bearing part 62 is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of the bearing metal 53 and the radial direction R, an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il groove 81 is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cation hole 75. Moreover, as for the connecting rod 27, the supply flow path 8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center position O1 in the axial direction A and the center position O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tersect. In this supply flow path 82, the upper end part communicates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81, and the tartan part protrudes to the crank 26 (refer FIG. 1).

크로스헤드 핀 (52) 은, 중심 위치 O3 을 따라 오일공 (83) 이 형성되어 있고, 오일공 (83) 에 대해 제 1 공급 유로 (84) 와 제 2 공급 유로 (85) 가 직경 방향 R 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1 공급 유로 (84) 는, 일단부가 피스톤봉 (23) 내를 지나 피스톤 (18) (도 1 참조) 까지 연장 돌출되고, 타탄부가 오일공 (83) 에 연통되어 있다. 제 2 공급 유로 (85) 는, 일단부가 오일공 (83) 에 연통되고, 타탄부가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에 연통되어 있다.The crosshead pin 52 has an oil hole 83 formed along the center position O3, and the first supply flow passage 84 and the second supply flow passage 85 cross the radial direction R with respect to the oil hole 83. It is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supply flow passage 84 has one end extending through the piston rod 23 and extending to the piston 18 (see FIG. 1 ), and the tartan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hole 83. In the second supply flow passage 85,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hole 83, and the tartan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베어링 메탈 (53) 은, 연접봉 (27) 에 있어서의 하부 베어링부 (62) 의 지지면 (62a) 에 재치 (載置) 되고, 베어링면 (72) 에 크로스헤드 핀 (52) 이 장착되고, 하부 베어링부 (62) 와 상부 베어링부 (64) 가 고정됨으로써 위치 결정되고, 피스톤봉 (23) 의 크로스헤드 핀 (52) 이 베어링 메탈 (53) 을 개재하여 연접봉 (27)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The bearing metal 53 is mounted on the support surface 62a of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in the connecting rod 27, and the crosshead pin 52 is attached to the bearing surface 72,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and the upper bearing portion 64 are positioned by being fixed, and the crosshead pin 52 of the piston rod 23 can freely rotate on the connecting rod 27 through the bearing metal 53. So that it is connected.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메탈 (53) 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축 방향 오일 홈 (74), 연통공 (75), 경사 홈 (76) 은, 각각 중심 위치 O1 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he axial oil groove 74, the communication hole 75, and the inclined groove 76 of the bearing metal 53 ar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ition O1, respectively. It is formed symmetrically, but it does not have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이하, 윤활유의 공급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유 (냉각유) 는, 연접봉 (27)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공급 유로로부터 베어링 메탈 (53) 의 외면측의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에 공급된다. 그러면, 윤활유는, 복수의 연통공 (75) 을 통해 베어링 메탈 (53) 의 내면측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에 공급되고,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으로부터 축 방향 오일 홈 (74) 에 공급되고, 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과 축 방향 오일 홈 (74) 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그리고, 피스톤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과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윤활유는, 베어링 메탈 (53) 의 베어링면 (72) 이나 경사 홈 (76) 과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 널리 퍼져 윤활된다.Hereinafter, the supply of lubricating oil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4 to 6, the lubricating oil (cooling oil) is su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81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53 from a supply passage (not shown)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27. Then, the lubricating oil is su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earing metal 53 through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75, and from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o the axial oil groove 74. It is supplied,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and the axial direction oil groove 74.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the lubricating oil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nd the axial oil groove 74 is the bearing surface 72 or the inclined groove of the bearing metal 53 It spreads widely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76 and the crosshead pin 52, and is lubricated.

또, 피스톤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윤활유는, 크로스헤드 핀 (52) 의 내부에 형성된 제 2 공급 유로 (85), 오일공 (83), 제 1 공급 유로 (84) 로부터 피스톤봉 (23) 의 내부를 지나 피스톤 (18) (도 1 참조) 에 공급되어 윤활 및 냉각된다. 또한, 둘레 방향 오일 홈 (81) 의 윤활유는, 연접봉 (27) 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 (82) 를 지나 크랭크 샤프트 (24) (도 1 참조) 에 공급되어 윤활 및 냉각된다.In addi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the lubricating oil in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formed in the second supply flow path 85 and the oil hole 83 formed inside the crosshead pin 52. ), is supplied to the piston 18 (see Fig. 1) through the inside of the piston rod 23 from the first supply flow path 84 to be lubricated and cooled. Further, the lubricating oil in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81 is supplied to the crankshaft 24 (see Fig. 1) through the supply passage 82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rod 27 to be lubricated and cooled.

여기서, 베어링 메탈 (53) 의 유막 압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은, 베어링 메탈에 최대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유막 압력 및 베어링면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Here, the oil film pressure of the bearing metal 53 is demonstrated.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il film pressure and bearing surface shape when a maximum load is applied to the bearing metal.

피스톤봉 (23) 및 연접봉 (27) 의 작동시, 베어링 메탈 (53) 은, 내면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중을 받고 면압을 받아, 유막 압력이 상승한다. 이 때, 내면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이 형성되고, 경사 홈 (76)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베어링 메탈은, 도 13 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면이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볼록한 변형이 되기 때문에, 유막 압력이 폭 방향 (축 방향 A) 의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져,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 최대가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베어링 메탈은, 높은 유막 압력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 손상될 리스크가 있다.When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are operated, the bearing metal 53 receives a loa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etal 53 and receives surface pressure, so that the oil film pressure increases. 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clined groove 76 is not formed, the bearing surface is the crosshead pin 52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Since the deformation is convex toward the side, the oil film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toward the center, and becomes maximum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is damaged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due to a high oil film pressure.

한편, 내면에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이 형성됨과 함께 그 양측에 경사 홈 (76) 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의 베어링 메탈 (53) 은, 도 13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막 압력이 폭 방향 (축 방향 A) 의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져,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 최대가 되지만, 경사 홈 (76)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베어링 메탈에 비해 경사 홈 (76) 이 있는 만큼, 베어링면의 볼록 형상이 완만해져, 유막 압력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베어링 메탈 (53) 은, 경사 홈 (76) 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가 억제되어, 손상될 리스크가 저하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clined grooves 76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I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toward the center, and becomes maximum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but is inclin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in which the inclined groove 76 is not formed. As there are grooves 76, the convex shape of the bearing surface becomes smooth, and the oil film pressure decreases. Therefore, in the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crease in the local oil film pressure and decrease in the oil film thickness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are suppressed by the inclined groove 76, and are damaged. The risk of becoming is lowered.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 있어서는, 반원통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면 (72) 과, 베어링 본체 (71)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 (연통부) (75) 과,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축 방향 A 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경사부) (76) 을 형성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earing body 71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the bearing surface 7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and the bearing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on portions) 75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71, and inclined grooves (inclined portions) that increase in depth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A toward the cen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ain body 71 (76) are formed.

따라서, 크로스헤드 (29) 의 작동시에, 베어링 메탈 (53)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76) 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 (52) 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rosshead 29,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53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inclined groove 76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s a result, damage due to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서는, 베어링 본체 (71)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의 베어링면 (72) 에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형성하고, 경사 홈 (76) 을 베어링 본체 (71) 의 축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를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베어링 메탈 (53)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76) 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earing surface 72 at the center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axial direction. The depth of the inclined groove 76 is increased from both ends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herefore,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53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local oil film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by the inclined groove 76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pressure or a de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oil film.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서는, 경사 홈 (76) 은, 연접봉 (27) 의 연접봉 본체 (61) 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을 향하여 깊이를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충분한 영역의 경사 홈 (76) 을 확보할 수 있어, 중심부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clined groove 76 has a depth from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main body 61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s making it bigger. Therefore, the inclined groove 76 of a sufficient area can be ensured, and the local oil film pressure increase in the center part or the edge peripheral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il groove 73 can be suppressed effectively.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서는, 경사 홈 (76) 은, 베어링 본체 (71) 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 P 로부터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본체 (71) 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의 영역에 항상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베어링면 (72) 을 확보할 수 있어, 크로스헤드 핀 (52) 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clined groove 76 is formed with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from a position P shifted from the end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bearing surface 72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i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bearing body 71, an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tably supported. have.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서는, 바닥면이 평탄한 경사 평면을 갖는 경사 홈 (76), 또는,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는 경사 곡면을 갖는 경사 홈 (77) 으로 하고 있다. 경사 홈 (76) 에 의해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여 가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경사 홈 (77) 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an inclined groove 76 having a flat inclined plane with a flat bottom surface, or an inclined groove having an inclined curved surface convex toward the crosshead pin 52 (77). The inclined groove 76 facilitates workability,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cost, and the inclined groove 77 effectively suppresses an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서는, 경사 홈 (76) 의 경사 평면 및 경사 홈 (77) 의 경사 곡면은,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부터 최대 하중의 수압시에 크로스헤드 핀 (52) 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경사 홈 (76, 77) 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한편으로, 크로스헤드 핀 (52) 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clined plane of the inclined groove 76 and the inclined curved surface of the inclined groove 77 are the maximum bearing surface 72 from the crosshead pin 52. When receiving the load, the load is received from the crosshead pin 52. Therefore, the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by the inclined grooves 76 and 77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while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tably supported. have.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53)) 에서는, 베어링면 (72)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폭 방향의 양측에 크로스헤드 핀 (52) 의 축 방향 A 를 따른 축 방향 오일 홈 (74) 을 둘레 방향 C 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경사 홈 (76) 을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 (74) 에 의해 안정적인 윤활유의 공급이 가능해져, 경사 홈 (76) 에 의해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53) of the first embodim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A of the crosshead pin 52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in the bearing surface 72 The axial oil grooves 7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and inclined grooves 7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spective axial oil grooves 74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stable supply of lubricating oil is possible by the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74, and the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by the inclined groove 76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I can.

또,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 있어서는, 크로스헤드 핀 (52) 과,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 지지면 (62a) 이 형성되는 연접봉 (27) 의 하부 베어링부 (62) 와, 하부 베어링부 (62) 의 지지면 (62a) 에 지지되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메탈 (53)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29) 의 작동시에, 베어링 메탈 (53)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76) 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베어링 메탈 (53) 의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 (52) 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rosshead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rosshead pin 52, the lower bearing portion 62 of the connecting rod 27 on which the support surface 62a curved to form a semicircular shape is formed, and the lower bearing portion A bearing metal 53 is formed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62a of 62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so that it can slide freely. 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rosshead 29,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53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inclined groove 76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s a result, damage to the bearing metal 53 due to a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또, 제 1 실시형태의 가구에 있어서는,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 (31) 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 (32) 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천판 (31) 에 접속됨과 함께 타탄부가 바닥판 (32) 에 접속되는 측판 (33) 과, 천판 (31) 과 바닥판 (32) 과 측판 (33) 에 접속됨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공간부 (35) 가 구획되는 복수의 격벽 (34) 과, 복수의 공간부 (35) 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판 (28) 과, 복수의 가이드판 (28) 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크로스헤드 (29)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헤드 (29) 의 작동시에, 베어링 메탈 (53)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76) 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베어링 메탈 (53) 의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 (52) 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urni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op plate 31 disposed at the top, the bottom plate 32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tartan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top plate 31 at one end disposed at the si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 which a side plate 33 connected to the plate 32 and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35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top plate 31 and the bottom plate 32 and the side plate 33 are partitioned ( 34) and, a plurality of guide plates 28 fixed to the plurality of spaces 35,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crossheads 29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movabl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28, and have. 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rosshead 29,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53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inclined groove 76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s a result, damage to the bearing metal 53 due to a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또, 제 1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대판 (11) 과, 대판 (11) 상에 형성되는 가구 (12) 와, 가구 (12)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 (13) 과, 대판 (11) 과 가구 (12) 와 실린더 재킷 (13) 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타이 볼트 (14)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운전시에, 베어링 메탈 (53)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76) 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베어링 메탈 (53) 의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 (52) 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어, 연비의 향상 그리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ase plate 11, the furniture 12 formed on the base 11, the cylinder jacket 13 formed on the furniture 12, A plurality of tie bolts 14 connected through the base 11, the furniture 12, and the cylinder jacket 13 are formed. Therefore, whe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operated,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53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inclined groove 76 causes a local area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a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s a result, damage to the bearing metal 53 due to a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and the fuel economy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 는, 도 14 의 XV-XV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V-XV in Fig. 14. In addi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제 2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101) 은,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면 (72) 과, 축 방향 오일 홈 (74) 과, 슬릿 개구 (연통부) (102) 와, 경사 홈 (경사부) (103) 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bearing metal (crosshead bearing) 101 is a bearing body 71, a bearing surface 72, and an axial oil groove. 74, a slit opening (communication part) 102, and an inclined groove (inclined part) 103 are provided.

베어링 메탈 (101) 은, 베어링면 (72) 에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 (74) 이 축 방향 A 를 따라 둘레 방향 C 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101) 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 개구 (102) 가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 (74) 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이 슬릿 개구 (102) 에 연통되어 있다. 슬릿 개구 (102) 는, 베어링 본체 (71) 의 축 방향 A 의 중심부에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폭이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과 동일하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해도 된다.In the bearing metal 101, a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74 are formed in the bearing surface 7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 the bearing metal 101, a slit opening 102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74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slit openings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t opening 10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axial direction A, and has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axial oil groove 74, but the axial oil groove (74) You may make it the same as the width of, or you may make it small.

또, 베어링 메탈 (101) 은, 슬릿 개구 (102)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양측의 베어링면 (72) 에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외측으로부터 슬릿 개구 (102) 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경사 홈 (103) 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 홈 (103)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에서, 또한,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로부터 슬릿 개구 (102) 를 향하여 깊이가 커졌다. 이 각 경사 홈 (103) 은, 축 방향 A 의 각 단부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가 베어링 본체 (71) 의 둘레 방향 C 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경사 홈 (103) 은, 각 축 방향 오일 홈 (74) 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bearing metal 101 has a slit opening (from the outside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on the bearing surfaces 72 on both sides of the slit opening 102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A plurality of (two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ined grooves 103 that increase in depth toward 102) are formed. Each inclined groove 103 has a depth at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portion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and from a position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slit opening 102 Got bigger. In each of these inclined grooves 103, each end of the axial direction A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axial oil groove 74, and each end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of the bearing body 71. It is located at the end. Therefore, each inclined groove 103 is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axial direction oil groove 74 in the width direction.

베어링 메탈 (101) 은, 베어링 본체 (71) 의 베어링면 (72) 에 슬릿 개구 (102)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양측에 경사 홈 (103)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릿 개구 (102) 는, 축 방향 A 의 중심 위치 O1 에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고, 베어링 본체 (71) 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경사 홈 (103)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됨과 함께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 P 로부터 슬릿 개구 (102) 를 향하여 깊이가 커져, 단부가 슬릿 개구 (102) 에 연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릿 개구 (102) 를 포함시킨 경사 홈 (103)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2 는, 연접봉 (27)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1 보다 큰 치수가 된다.In the bearing metal 101, the slit opening 102 is formed i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ain body 71, and inclined grooves 103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The slit opening 10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at the center position O1 of the axial direction A, and penetrates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The inclined groove 103 shifts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slit opening 102 from the outer position 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It communicates with the slit opening 102. Therefore,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2 of the inclined groove 103 including the slit opening 102 is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1 of the connecting rod 27.

그 때문에, 피스톤봉 (23) 및 연접봉 (27) (모두 도 1 참조) 의 작동시, 베어링 메탈 (101) 은, 내면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중을 받고 면압을 받아, 유막 압력이 상승한다. 이 때, 내면에 슬릿 개구 (102)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양측에 경사 홈 (103) 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메탈 (101) 은, 유막 압력이 폭 방향 (축 방향 A) 의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져, 슬릿 개구 (102) 의 에지 주변부에서 최대가 되지만, 경사 홈 (103)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베어링 메탈에 비해 경사 홈이 있는 만큼, 베어링면의 볼록 형상이 완만해져, 유막 압력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 메탈 (101) 은, 경사 홈 (103) 에 의해 베어링면 형상의 변형이 작아져, 슬릿 개구 (102) 의 에지 주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가 억제되어, 손상될 리스크가 저하된다.Therefore, when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both see Fig. 1) are operated, the bearing metal 101 receives a loa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and receives a surface pressure, and the oil film pressure It rises. At this time, the bearing metal 101 having the slit opening 10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clined grooves 103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has an oil film pressure from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toward the center. It gradually increases and becomes maximum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slit opening 102, but the convex shape of the bearing surface becomes gentl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in which the inclined groove 103 is not formed, and the oil film pressure is reduced. It is said to be low. Therefore, in the bearing metal 101, the deformation of the bearing surface shape is reduced by the inclined groove 103, and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and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edge periphery of the slit opening 102 are suppressed. , The risk of damage is reduced.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101)) 에 있어서는, 반원통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면 (72) 과, 베어링 본체 (71)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둘레 방향 C 를 따름과 함께 베어링 본체 (71)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 개구 (102) 와,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슬릿 개구 (102) 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경사부) (103) 을 형성하고 있다.In this way, 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101)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bearing body 71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the bearing surface 7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and the bearing A slit opening 102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71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axial direction. An inclined groove (inclined portion) 103 that increases in depth from both ends toward the slit opening 102 is formed.

따라서, 크로스헤드 (29) 의 작동시에, 베어링 메탈 (101)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103) 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나 슬릿 개구 (102) 의 에지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 (52) 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rosshead 29 is operated,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101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inclined groove 103 caus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axial direction or An increase in local oil film pressure and a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edge portion of the slit opening 102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damage due to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52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16 은, 제 3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 은, 도 16 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he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VII-XVII in Fig. 16. In addi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제 3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에 있어서,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111) 은,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면 (72) 과, 축 방향 오일 홈 (74) 과, 연통공 (연통부) (112) 과, 경사 홈 (경사부) (113) 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crosshead of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bearing metal (crosshead bearing) 111 is a bearing body 71, a bearing surface 72, and an axial oil groove. (74),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on part) 112, and an inclined groove (inclined part) 113 are provided.

베어링 메탈 (111) 은, 베어링면 (72) 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측에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축 방향 오일 홈 (74) 이 축 방향 A 를 따라 둘레 방향 C 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111) 은,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측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 (112) 이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 (74) 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이 연통공 (112) 에 연통되어 있다. 연통공 (112) 은, 베어링 본체 (71) 의 축 방향 A 의 중심부에 둘레 방향 C 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The bearing metal 111 has a plurality of (four in this embodiment) axial oil grooves 74 on each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 the bearing surface 72 along the axial direction A along the axial direction C.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earing metal 111, communication holes 112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on each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74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s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mmunication hole 11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axial direction A.

또, 베어링 메탈 (111) 은, 각 연통공 (112) 사이의 베어링면 (72) 에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 (축 방향 A) 의 외측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113)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홈 (113)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에서, 또한,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졌다. 이 각 경사 홈 (113) 은, 둘레 방향 C 의 각 단부측에 형성된 축 방향 오일 홈 (74) 및 연통공 (연통부) (1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metal 111 is an inclined groove 113 whose depth increas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toward the center of the bearing surface 72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s 112. Is formed. The inclined groove 113 has a greater depth from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portion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and from a position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entral portion. Each of these inclined grooves 113 is located between the axial oil groove 74 and th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on part) 112 formed on each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베어링 메탈 (111) 은, 베어링 본체 (71) 의 베어링면 (72) 의 축 방향 A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1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홈 (113)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됨과 함께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 P 로부터 중심 위치를 향하여 깊이가 커졌다. 그 때문에, 경사 홈 (113)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2 는, 연접봉 (27) 의 폭 (축 방향 A 의 길이) W1 보다 큰 치수가 된다.The bearing metal 111 has an inclined groove 113 whose depth increases toward the center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of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body 71. The inclined groove 113 shifted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7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reased in depth from the outer position 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enter position. Therefore,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2 of the inclined groove 113 becomes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 W1 of the connecting rod 27.

또한, 경사 홈 (113) 의 형상은,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 은, 베어링 메탈의 제 1 변형예의 상세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 는, 베어링 메탈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크로스헤드의 평면도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clined groove 113 is not limited to the thing mentioned above.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hape of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bearing metal, and Fig. 19 is a plan view of a crosshead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bearing metal.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111A)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됨과 함께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 P 로부터 중심 위치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121)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홈 (121) 은, 바닥면이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경사 곡면이고, 베어링면 (72) 의 위치 P 로부터 축 방향 A 의 중심 위치까지 단차 없이 연속된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메탈 (111B) 은, 베어링 본체 (71) 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행됨과 함께 연접봉 (27) 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 P 로부터 중심 위치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122)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홈 (122) 은, 바닥면이 직경 방향 R 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오목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경사 곡면이고, 베어링면 (72) 의 위치 P 로부터 축 방향 A 의 중심 위치까지 단차 없이 연속된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 홈을,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제 1 경사 곡면과, 크로스헤드 핀 (52) 측으로 오목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제 2 경사 곡면을 단차 없이 연속하여 구성해도 된다.As shown in Fig. 18, the bearing metal 111A shifts from the end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depth from the outer position 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enter position. An inclined groove 121 that becomes larger is formed. The inclined groove 121 is an inclined curved surface curv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convex toward the crosshead pin 52 in the radial direction R, and there is no step from the position P of the bearing surface 72 to the center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It ha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the bearing metal 111B shifts from the end of the bearing body 71 in the width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oves from the outer position 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7 toward the center position. Inclined grooves 122 that increase in depth are formed. The inclined groove 122 is an inclined curved surface curv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becomes concave toward the crosshead pin 52 in the radial direction R, and there is no step from the position P of the bearing surface 72 to the center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It ha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In addition, a first inclined curved surface curved so as to be convex toward the crosshead pin 52 side and a second inclined curved surface curved so as to be concave toward the crosshead pin 52 may be formed in succession without a step difference. .

도 20 은, 베어링 메탈에 최대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유막 압력 및 베어링면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피스톤봉 (23) 및 연접봉 (27) (모두 도 1 참조) 의 작동시, 베어링 메탈 (111) 은, 내면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중을 받고 면압을 받아, 유막 압력이 상승한다. 이 때, 내면에 경사 홈 (113)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베어링 메탈은, 도 20 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막 압력이 폭 방향 (축 방향 A) 의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져, 이 중심부에서 최대가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베어링 메탈은, 유막 압력이 최대가 되는 축 방향의 중심부가 손상될 리스크가 있다.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il film pressure and a bearing surface shape when a maximum load is applied to the bearing metal. When the piston rod 23 and the connecting rod 27 (both refer to Fig. 1) are operated, the bearing metal 111 receives a loa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and receives a surface pressure, so that the oil film pressure rises. . 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in which the inclined groove 113 is n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oil film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toward the center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20, It becomes the maximum in this center.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there is a risk th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t which the oil film pressure is maximized is damaged.

한편, 내면에 경사 홈 (113) 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실시형태의 베어링 메탈 (111) 은, 도 20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막 압력이 폭 방향 (축 방향 A) 의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져, 이 중심부에서 최대가 되지만, 경사 홈 (113)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베어링 메탈의 유막 압력에 비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실시형태의 베어링 메탈 (111) 은, 경사 홈 (113) 에 의해 베어링면의 볼록 형상이 완만해져,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가 억제되어, 손상될 리스크가 저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bearing metal 111 of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inclined groove 11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20, the oil film pressure is from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A) to the center. It gradually rises toward the direction and becomes the maximum in this central part, but is lower than the oil film pressure of the conventional bearing metal in which the inclined groove 113 is not formed. Therefore, in the bearing metal 111 of the third embodiment, the convex shape of the bearing surface is smoothed by the inclined groove 113, and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and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t the center are suppressed, resulting in damage. The risk of becoming is lowered.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크로스헤드 베어링 (베어링 메탈 (111)) 에 있어서는, 반원통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본체 (71) 와,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면 (72) 과, 베어링 본체 (7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 (112) 과, 베어링 본체 (71) 의 내면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 홈 (경사부) (113) 을 형성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rosshead bearing (bearing metal 111) of the third embodiment, the bearing body 71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the bearing surface 7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71, and the bearing Communication holes 112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each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inclined groove extending in depth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main body 71 ( Inclined portion) 113 is formed.

따라서, 크로스헤드 (29) 의 작동시에, 베어링 메탈 (111) 의 베어링면 (72) 이 크로스헤드 핀 (52) 의 외주면으로부터 면압을 받을 때, 경사 홈 (113) 에 의해 축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국소적인 유막 압력의 상승이나 유막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하중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크로스헤드 핀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rosshead 29, when the bearing surface 72 of the bearing metal 111 receives surface press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52, the inclined groove 113 at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local increase in oil film pressure or decrease in oil film thickness. As a result, damage due to the bearing load can be suppressed and the crosshead pin can be satisfactorily supported.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둘레 방향 오일 홈 (73), 축 방향 오일 홈 (74), 연통공 (75), 경사 홈 (76, 77, 91, 92, 103, 113, 121, 122) 의 개수, 형상, 크기, 위치 등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73, the axial oil groove 74, the communication hole 75, the inclined groove 76, 77, 91, 92, 103, 113, 121, 122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number, shape, size, position, etc. of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으로서의 베어링 메탈 (53, 53A, 101, 111, 111A, 111B) 을 1 장의 판재로 구성했지만, 복수 장의 판재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축 방향 A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O1 로부터 2 분할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earing metals 53, 53A, 101, 111, 111A, and 111B as a crosshead bearing are constituted by one plate material, but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In this case,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two from the center position O1 in the axial direction A.

10 : 디젤 엔진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11 : 대판
12 : 가구
13 : 실린더 재킷
14 : 타이 볼트 (연결 부재)
15 : 너트
16 : 실린더 라이너
17 : 실린더 커버
18 : 피스톤
19 : 연소실
21 : 동변 장치
22 : 배기관
23 : 피스톤봉
24 : 크랭크 샤프트
25 : 베어링
26 : 크랭크
27 : 연접봉
28 : 가이드판
29 : 크로스헤드
31 : 천판
32 : 바닥판
33 : 측판
34 : 격벽
35 : 공간부
51 : 가이드 슈
52 : 크로스헤드 핀
53, 53A, 101, 111, 111A, 111B : 베어링 메탈 (크로스헤드 베어링)
61 : 연접봉 본체
62 : 하부 베어링부
62a : 지지면
64 : 상부 베어링부
71 : 베어링 본체
72 : 베어링면
73 : 둘레 방향 오일 홈
74 : 축 방향 오일 홈
75, 112 : 연통공 (연통부)
76, 77, 91, 92, 103, 113, 121, 122 : 경사 홈 (경사부)
102 : 슬릿 개구 (연통부)
10: Diesel engine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1: large plate
12: furniture
13: cylinder jacket
14: tie bolt (connection member)
15: nut
16: cylinder liner
17: cylinder cover
18: piston
19: combustion chamber
21: moving device
22: exhaust pipe
23: piston rod
24: crankshaft
25: bearing
26: crank
27: connecting rod
28: guide plate
29: crosshead
31: top plate
32: bottom plate
33: side plate
34: bulkhead
35: space part
51: guide shoe
52: crosshead pin
53, 53A, 101, 111, 111A, 111B: Bearing metal (crosshead bearing)
61: connecting rod body
62: lower bearing part
62a: support surface
64: upper bearing part
71: bearing body
72: bearing surface
73: circumferential oil groove
74: axial oil groove
75, 112: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on department)
76, 77, 91, 92, 103, 113, 121, 122: Inclined groove (inclined part)
102: slit opening (communication part)

Claims (12)

연접봉의 지지면에 지지되어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에 있어서,
반원통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 본체와,
상기 베어링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면과,
상기 베어링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부와,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의 상기 베어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둘레 방향 오일 홈과,
상기 베어링면에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축 방향을 따름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과,
상기 베어링 본체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축 방향 오일 홈의 폭 방향의 양측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로부터 중심부측에 소정 길이만큼 이행된 위치에서 상기 둘레 방향 오일 홈을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In the crosshead bearing that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so that it can slide freely,
A bearing body forming a semi-cylindrical shape,
A bearing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A communication part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A circumferential oil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earing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bear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head pin on the bearing surface;
An inclination that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circumferential oil groove at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center side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axial oil groov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aring body Crosshead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연접봉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crosshead bearing, wherein a depth of the inclined portion increases from an outer sid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toward a central portion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bear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바닥면이 평탄한 경사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crosshead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a flat inclined pl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바닥면에 상기 크로스헤드 핀측으로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이 되는 경사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crosshead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curved surface is formed in a convex shape or concave shape toward the crosshead pin on the bottom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어링면이 상기 크로스헤드 핀으로부터 최대 하중의 수압시에 유막을 통하여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crosshead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surface receives a load through an oil film when a maximum load is received from the crosshead p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축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연통부를 향하여 깊이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베어링.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portion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earing body in an axial direc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communication portion from both ends of the bear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
크로스헤드 핀과,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 지지면이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의 지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헤드 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크로스헤드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Crosshead pins,
A bearing portion on which a curved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form a semicircular shape,
A crosshead comprising the crosshead bear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ich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bearing unit and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head pin so that it can slide freely.
정상부에 배치되는 천판과,
바닥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측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판에 접속됨과 함께 타탄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속되는 측판과,
상기 천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각각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제 7 항에 기재된 크로스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With a top plate placed on the top,
A floor plate disposed on the floor,
A side plate disposed on a sid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a tartan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 partition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s are partition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A guide plate fixed to each of the partition walls,
A furniture comprising the crosshead according to claim 7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movable on each of the guide plates.
대판과,
상기 대판 상에 형성되는 제 8 항에 기재된 가구와,
상기 가구 상에 형성되는 실린더 재킷과,
상기 대판과 상기 가구와 상기 실린더 재킷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With the big plate,
The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8 formed on the base plate,
A cylinder jacket formed on the furniture,
A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the furniture, and the cylinder jack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24758A 2017-03-30 2018-02-13 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2313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8715A JP6391747B1 (en) 2017-03-30 2017-03-30 Crosshead bearing, crosshead, fram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JP-P-2017-068715 2017-03-30
PCT/JP2018/004908 WO2018179930A1 (en) 2017-03-30 2018-02-13 Crosshead bearing, crosshead, frame,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627A KR20190104627A (en) 2019-09-10
KR102231313B1 true KR102231313B1 (en) 2021-03-24

Family

ID=6357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758A KR102231313B1 (en) 2017-03-30 2018-02-13 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91747B1 (en)
KR (1) KR102231313B1 (en)
CN (1) CN110446864A (en)
WO (1) WO201817993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3321B2 (en) * 2020-01-10 2023-12-22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frame
JP7483492B2 (en) 2020-05-15 2024-05-15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Crankshafts and marine engi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0534A (en) * 2015-01-13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oss head bearing device and engine
JP2016161004A (en) * 2015-02-27 2016-09-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Journal bea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5973A1 (en) 1968-09-03 1970-03-12 Raffinage Cie Francaise Solid electrolyte fuel cell battery
JPH0463810U (en) * 1990-10-09 1992-05-29
JP2531331B2 (en) * 1992-12-18 1996-09-04 大豊工業株式会社 Plain bearing
JPH11230170A (en) * 1998-02-13 1999-08-27 Daido Metal Co Ltd Sliding bearing
JP2002155945A (en) * 2000-11-20 2002-05-31 Daido Metal Co Ltd Shaft support member
JP4912046B2 (en) * 2006-06-08 2012-04-04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Cross head bearings
US8608385B2 (en) * 2011-05-18 2013-12-17 Federal-Mogul Corporation Main bearing for engine with high belt load
JP6032552B2 (en) * 2012-12-26 2016-11-30 大豊工業株式会社 Half thrust bearing
US10330152B2 (en) * 2014-02-27 2019-06-2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gine & Turbocharger, Ltd. Floating bush bearing device and turbocharger provided with the bearing device
CN203856874U (en) * 2014-04-22 2014-10-01 安瑞科(蚌埠)压缩机有限公司 Compressor and connecting rod lining thereof
JP6275611B2 (en) * 2014-09-26 2018-0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Guide plate, bulkhead unit, frame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0534A (en) * 2015-01-13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oss head bearing device and engine
JP2016161004A (en) * 2015-02-27 2016-09-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Journal bea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69020A (en) 2018-11-01
KR20190104627A (en) 2019-09-10
CN110446864A (en) 2019-11-12
JP6391747B1 (en) 2018-09-19
WO2018179930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976B2 (en) Monobloc piston
KR102231313B1 (en) Crosshead bearings and crossheads and furniture,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181619B1 (en) Crosshead and furniture and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0538055C (en) Has the piston that asymmetric pin-and-hole groove is arranged
US20170314502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96843B2 (en) Multicylinder four-cycle combustion engine
JP7201668B2 (en) Piston assembly with opposed injection areas for opposed piston engine
US7866295B2 (en) Piston skirt oil reten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004041B2 (en) High-load thrust bearing
US7036479B2 (en) Cylinder block for engine
US9759156B2 (en) Asymmetric piston
US6463903B1 (en) Piston assembly for free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752523B2 (en) Piston assembly having offset bearing
US8763584B2 (en) Piston assembly having offset bearing
JP6398934B2 (en) Crankshaft support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200096678A (en) Desired rectification structure of marine diesel engine
US11225929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7160825A (en) Valve gear and crosshead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7223191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10141364A (en) Crankshaft and marine engine including the same
KR102202205B1 (en) Piston of engine
JP5549454B2 (en) Crankcase integrated cylinder block
JP2001303901A (en) Diesel engine
JPH0447148A (en) Reciproc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