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266A -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266A
KR20190025266A KR1020170111706A KR20170111706A KR20190025266A KR 20190025266 A KR20190025266 A KR 20190025266A KR 1020170111706 A KR1020170111706 A KR 1020170111706A KR 20170111706 A KR20170111706 A KR 20170111706A KR 20190025266 A KR20190025266 A KR 2019002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t wire
soldered
ho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569B1 (ko
Inventor
김세영
김동우
Original Assignee
김세영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영, 김동우 filed Critical 김세영
Priority to KR102017011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5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및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이러한 극세선 다수 가닥을 병렬 합성시켜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과 전선을 접속 부위에서 발열되지 않도록 접속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한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은,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과 열선을 각각 탈피하는 단계; (b) 상기 열선의 탈피 부분을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과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으로 구분하여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전선의 탈피 부분을 겹쳐서 납땜하는 단계; (c) 상기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상기 (b)단계에서의 납땜 부분을 겹치게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과 열선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를 외측에서 끼운 후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및 접속구조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of hot wire and wire of superfine wire bundle}
본 발명은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및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이러한 극세선 다수 가닥을 병렬 합성시켜서 하나의 번들로 만든 열선과 전선을 접속 부위에서 발열되지 않도록 접속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한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설비나 전기제품 제조에 있어서 전선 연결방법은 납땜 연결방법, 슬리브 연결방법, 단자대를 이용한 연결방법, 직접 결속 후 테이프나 압착고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존 연결방법에 있어서 납땜 및 슬리브, 테이프나 압착고무 연결방법은 작업이 번거롭고 결속부위가 빠지거나 부러질 우려가 많으며, 단자대 이용방법은 안정적인 결속은 가능하나 부피가 커져서 채용범위가 한정적인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의한 탄소발열선과 전선의 연결구조를 도 1과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관 형상의 슬리브(30, sleeve)가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30)의 일측에 탄소발열선(10)의 종단부가 끼워지고, 상대측에는 전선(20)의 피복된 구리선(23)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30)는 압축되어 상기 탄소발열선(10)과 구리선(23)이 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소발열선(10)과 전선(20)의 연결 부분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탄소발열선(10)과 슬리브(30), 전선(20)에 걸쳐서 절연테이프(미도시)를 감아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30)는 전기의 도체로 형성되는데, 구리나 니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든지,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그외 다양한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가 상기 구리선, 슬리브(30), 탄소발열선(10)을 통해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탄소발열선(10)에서 저항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이러한 극세선 다수 가닥을 병렬 합성시켜서 하나의 번들로 만든 후 이러한 번들 자체가 1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 열선에 있어서, 이러한 열선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연결하게 되면 전선과 열선(번들) 내부 극세선들의 접촉부위에서 고열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의 번들 내부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들은 2그룹 이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각 그룹을 형성하고 있을 때, 이러한 그룹들 중 1개 이상의 그룹이 납땜이 잘 되지 않는 그룹이고, 1개 이상의 그룹은 납땜이 잘되는 그룹일 경우 종래와 같이 탄소발열선과 전선을 접속 연결방법으로 납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모두 도전성 슬리브나 단자를 끼워 압착 처리하는 방법(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압착된 도전성 슬리브나 단자 내부에서 압착 접속된 열선의 극세선들과 전선의 접속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저항 증가 등의 현상으로 이 부위에서 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20-2011-0000602호(공개일자 2011년01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 내부에서 압착된 열선의 극세선과 전선의 접속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촉저항 증가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이 접속부위에서 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및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은,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과 열선을 각각 탈피하는 단계;
(b) 상기 열선의 탈피 부분을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과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으로 구분하여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전선의 탈피 부분을 겹쳐서 납땜하는 단계;
(c) 상기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상기 (b)단계에서의 납땜 부분을 겹치게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과 열선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를 외측에서 끼운 후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납땜 부분을 나란히 하거나, 상기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이 납땜 부분을 감싸게 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은,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접속하고자 하는 열선을 적당한 길이로 탈피하는 단계;
(b')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상기 열선의 탈피된 길이보다 더 길게 탈피하는 단계;
(c') 상기 열선과 전선의 탈피된 시작점을 같게 하여 나란히 배치하거나, 전선과 열선의 탈피된 부분을 서로 꼬아 겹치게 하는 단계;
(d') 전선의 남은 탈피 부분으로 상기 (c')단계의 탈피된 전선과 열선의 겹쳐진 주위를 돌려 감는 단계;
(e') 열선과 전선이 겹쳐지게 감긴 부분을 납땜하는 단계;
(f')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탈피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과 열선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를 외측에서 끼운 후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선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이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전체가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선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이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중 1개 이상의 그룹이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이고, 나머지 1개 이상의 그룹은 납땜이 되는 그룹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납땜은 납땜 인두나 납 디핑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열선의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전선의 탈피 부분이 함께 납땜되어, 열선의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겹쳐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가 그 외부에 삽입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로 탈피된 전선과 열선의 탈피 부분이 겹쳐지게 배치되어 전선의 남는 탈피 부분으로 여러 번 돌려 감싸진 상태에서 납땜되고,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가 그 외부에 삽입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 내부에서 압착된 열선의 극세선과 전선의 접속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촉저항 증가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이 접속부위에서 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및 접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탄소발열선과 전선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탄소발열선과 전선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은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의한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를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3에 의한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4에 의한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극세선 번들의 열선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이러한 극세선 다수 가닥을 병렬 합성시켜서 하나의 번들로 만든 후 이러한 번들 자체가 1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은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중 1개 이상의 그룹이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이고, 나머지 1개 이상의 그룹은 납땜이 되는 그룹인 경우의 열선에 적합한 접속 방법이다.
먼저,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200)과 열선(100)을 적당한 길이로 탈피한다(S30).
다음 열선(100)의 탈피 부분(110)을 납땜이 되는 재질의 그룹(110b)과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110a)으로 구분하여,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b)과 전선의 탈피 부분(210)을 겹치게 하여 납땜 인두나 납 디핑기를 이용하여 함께 납땜한다(S32).
이때 도 5와 같이 전선(200)과 열선(100)을 나란히 겹치게 배열하여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b)과 전선의 탈피 부분(210)을 함께 납땜할 수도 있고, 도 6a와 같이 전선(200)과 열선(10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하여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b)과 전선의 탈피 부분(210)을 함께 납땜할 수도 있다.
다음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a)과 상기 S32단계에서 납땜된 부분을 나란히 겹치게 배치한다(S34).
이때 상기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a)이 상기 S32단계에서 납땜된 부분을 감싸게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a)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200)과 열선(100)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300)를 외측에서 끼운 후 이들 전체를 압착기로 압착한다(S36).
도 5는 도 3에 의한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를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열선의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b)과 전선의 탈피 부분(210)을 함께 납땜하여 열선의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a)과 나란히 배치하여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300)를 외부에서 압착한 것을 보여준다.
도 6a와 도 6b는 도 3에 의한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도 6a는 열선의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b)과 전선의 탈피 부분(210)을 납땜한(이때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a)은 옆으로 제쳐 놓음) 것을 보여준다.
도 6b는 상기 옆으로 제쳐 놓은 납땜이 되지 않은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110a)으로 납땜된 부분을 감싼 후 도전성 단자(300)를 씌워서 압착하여 완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얀 열선(100)의 양단에 검은 전선(200)이 접속 연결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극세선 번들의 열선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을 극세선으로 만들어 이러한 극세선 다수 가닥을 병렬 합성시켜서 하나의 번들로 만든 후 이러한 번들 자체가 1가닥의 열선이 되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은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중 1개 이상의 그룹이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이고, 나머지 1개 이상의 그룹은 납땜이 되는 그룹일 경우에 적합한 접속 방법이다.
또는 상기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은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전체가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일 경우에 적합한 접속 방법이다.
먼저, 접속하고자 하는 열선(100)을 적당한 길이로 탈피한다(S40).
다음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200)을 상기 열선의 탈피 부분(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탈피한다(S41).
다음 상기의 열선(100)과 전선(200)의 탈피된 시작점을 같게 하여 나란히 배치하거나, 전선(200)과 열선(100)의 탈피 부분(210,110)을 새끼를 꼬듯이 서로 꼬아 겹쳐지게 한다(S42).
이때 전선(200)은 열선(100)보다 더 길게 탈피됨으로써 전선의 탈피된 일부분은 남게 된다.
이와 같은 전선의 남은 탈피 부분으로 상기 S42단계의 탈피된 전선과 열선의 겹쳐진 주위를 여러 번 돌려 감는다(S43).
다음 열선(100)과 전선(200)이 겹쳐지게 감긴 부분을 납땜 인두나 납 디핑기를 이용하여 함께 납땜한다(S44).
그리고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탈피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과 열선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300)를 외측으로 끼운 후 이들 전체를 압착기로 압착한다(S45).
도 7a와 도 7b는 도 4에 의한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으로서, 도 7a는 전선(200)과 열선(100)을 탈피하여 병렬로 나란히 배치하여 겹쳐지게 한 후, 전선의 남는 탈피 부위로 나란히 겹쳐지게 배치된 전선과 열선의 탈피 부분(210,110)을 여러 번 돌려 감아서 접촉을 더욱 심화시킨 모습을 보여준다.
도 7b는 도 7a와 같이 열선과 전선이 접촉되게 감긴 부분을 납땜 인두나 납 디핑기를 이용하여 납땜한 상태에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열선 110: 탈피 부분
110a: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
110b: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비 부분
200: 전선 210: 탈피 부분
300: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

Claims (8)

  1.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과 열선을 각각 탈피하는 단계;
    (b) 상기 열선의 탈피 부분을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과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으로 구분하여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전선의 탈피 부분을 겹쳐서 납땜하는 단계;
    (c) 상기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상기 (b)단계에서의 납땜 부분을 겹치게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과 열선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를 외측에서 끼운 후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납땜 부분을 나란히 하거나, 상기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이 납땜 부분을 감싸게 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3.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접속하고자 하는 열선을 적당한 길이로 탈피하는 단계;
    (b')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상기 열선의 탈피된 길이보다 더 길게 탈피하는 단계;
    (c') 상기 열선과 전선의 탈피된 시작점을 같게 하여 나란히 배치하거나, 전선과 열선의 탈피된 부분을 서로 꼬아 겹치게 하는 단계;
    (d') 전선의 남은 탈피 부분으로 상기 (c')단계의 탈피된 전선과 열선의 겹쳐진 주위를 돌려 감는 단계;
    (e') 열선과 전선이 겹쳐지게 감긴 부분을 납땜하는 단계; 및
    (f') 상기 납땜 부분과 납땜 되지 않는 탈피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전선과 열선의 탈피되지 않은 일부분이 감싸지게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를 외측에서 끼운 후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이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전체가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금속 또는 합금금속의 극세선 다수 가닥이 2 이상의 그룹을 이루고 있고, 각 그룹별 극세선 가닥수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 그룹별 극세선의 재질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2 이상의 그룹 중 1개 이상의 그룹이 납땜이 되지 않는 그룹이고, 나머지 1개 이상의 그룹은 납땜이 되는 그룹의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은 납땜 인두나 납 디핑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7.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열선의 납땜이 되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전선의 탈피 부분이 함께 납땜되어, 열선의 납땜이 되지 않는 재질 그룹의 탈피 부분과 겹쳐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가 그 외부에 삽입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
  8. 극세선 번들의 열선(이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로 탈피된 전선과 열선의 탈피 부분이 겹쳐지게 배치되어 전선의 남는 탈피 부분으로 여러 번 돌려 감싸진 상태에서 납땜되고, 도전성 슬리브나 도전성 단자가 그 외부에 삽입되어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구조.
KR1020170111706A 2017-09-01 2017-09-01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KR10198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06A KR101989569B1 (ko) 2017-09-01 2017-09-01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06A KR101989569B1 (ko) 2017-09-01 2017-09-01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66A true KR20190025266A (ko) 2019-03-11
KR101989569B1 KR101989569B1 (ko) 2019-06-14

Family

ID=6575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06A KR101989569B1 (ko) 2017-09-01 2017-09-01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94B1 (ko) * 2021-09-23 2022-04-08 이한용 열선을 전원단자에 접합하는 열선접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8790A (ja) * 2005-12-07 2009-05-07 ジーノ・トネッロ 電線相互接続方法
KR20110000602U (ko) 2009-07-13 2011-01-20 강병호 아크 방지가 가능한 탄소발열선과 전선의 연결구조
KR20130001675U (ko) * 2011-09-02 2013-03-12 채수량 전선 결선 장치
KR101658392B1 (ko) * 2015-08-13 2016-09-21 김세영 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 발열체
KR20170006213A (ko) * 2015-07-07 2017-01-17 김승환 내구성이 향상된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과 전선 케이블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파이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8790A (ja) * 2005-12-07 2009-05-07 ジーノ・トネッロ 電線相互接続方法
KR20110000602U (ko) 2009-07-13 2011-01-20 강병호 아크 방지가 가능한 탄소발열선과 전선의 연결구조
KR20130001675U (ko) * 2011-09-02 2013-03-12 채수량 전선 결선 장치
KR20170006213A (ko) * 2015-07-07 2017-01-17 김승환 내구성이 향상된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과 전선 케이블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파이프 장치
KR101658392B1 (ko) * 2015-08-13 2016-09-21 김세영 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 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569B1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3553B (zh) 同軸電纜線束之連接構造及連接方法
EP1796215B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electric cables
CN101834032A (zh) 一种具有引线的屏蔽线及其处理工艺
JP2012234761A (ja) 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ブル
JP2013214734A (ja) 基板付き多心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101989569B1 (ko)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US6734374B2 (en) Micro-coaxial cabl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7016411B2 (ja) 接続領域を備えた電気装置および接続領域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JP6941731B2 (ja) 電気デバイス用の撚り線コネクタ及び撚り線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03931563U (zh) 多芯线缆
US1645539A (en) Insulated-conductor terminal
KR20200124179A (ko) 플렉서블 절연 버스바 제조 공정
JPS6122429B2 (ko)
JP6266545B2 (ja) 誘導加熱用の加熱コイ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
JP6109011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CN113036573B (zh) 一种压接电线接头的方法及装置
JP2020170642A (ja) リッツ線の分岐接続部及び分岐接続方法
JPH05190247A (ja) 絶縁電線の接続方法
JP4144855B2 (ja) 電線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844797U (zh) 一种柔性扁平电缆
JP3333295B2 (ja) 撚線超電導導体の接合方法
JP5772710B2 (ja) 接続構造、接続方法及び多芯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
JP3450557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はんだ付け方法
JP6423464B2 (ja) リッツ線の端子接続部及び端子接続方法
CN116888826A (zh) 电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