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515A -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4515A KR20190024515A KR1020170156190A KR20170156190A KR20190024515A KR 20190024515 A KR20190024515 A KR 20190024515A KR 1020170156190 A KR1020170156190 A KR 1020170156190A KR 20170156190 A KR20170156190 A KR 20170156190A KR 20190024515 A KR20190024515 A KR 201900245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door
- trigger
- door
- disposed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로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오븐 등과 같은 가전제품은 내부의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를 갖는 가전제품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식기세척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전면(前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바스켓에 로딩하는 과정에서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이 식기세척기의 설치 면에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상면(上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상부공간과 도어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을 가지는 식기의 로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와, 탑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타입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기대가 크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부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별도의 핸들 없이 상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는 상기 트리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 부분을 지지하거나 상기 리프트 장치와 결합되는 래치-라커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라커 모듈과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라커 모듈은 라커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라커와 결합되는 리프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트리거의 일 부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가까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트리거의 일 부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 부재; 및 가압됨에 따라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 부재;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버튼 부재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센서를 갖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닫힌 때,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가 닫힌 때,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암 부재(arm member); 및 상기 암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는 캠;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의 외주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하도록 상기 일 단이 상기 서포트와 접하며,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상부 도어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는 푸시 핀 및 상기 푸시 핀에 스크류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샤프트가 상기 푸시 핀에 스크류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캠의 회전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는 저면에 배치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 부재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리 부재;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고리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갖는 케이스; 일 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일 부분에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며, 구동원;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푸시 부재; 상기 서포트와 상기 푸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 및 상기 연결 샤프트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 및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및 상기 터브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구동원; 상기 상부 도어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부재;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푸시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는 캠; 및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의 외주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푸시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는 저면에 배치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걸림 부재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 모듈; 상기 래치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갖는 케이스; 일 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래치 모듈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 모듈을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 모듈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 모듈에 힘을 가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상기 상부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 및 상기 트리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 부분을 지지하거나 상기 리프트 장치와 결합되는 래치-라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라커 모듈은 라커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라커와 결합되는 리프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구현함에 따라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은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는 트리거 및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상부 도어를 사용자가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개방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므로, 상부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별도의 핸들 없이 상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은 상부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별도의 핸들 없이 상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카운터 상에서 사용자가 핸들과 같이 돌출된 구조물에 의해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커버 프레임 및 상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리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래치 모듈 및 라커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H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가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소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부 도어를 사용자가 완전히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도어를 갖는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상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푸시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6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0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 및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도 47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은 도 4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갖는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커버 프레임 및 상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리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래치 모듈 및 라커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H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가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소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부 도어를 사용자가 완전히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도어를 갖는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상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푸시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6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0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 및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도 47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은 도 4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갖는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X”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Y”는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각각 식기세척기(1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1')은 수납공간(22)을 가지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운터(10)는 “조리대”로 명명될 수 있다. 카운터(10)에는 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에는 각종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22)은 캐비닛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 도어(21)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은 수납공간(22)을 구획하도록 캐비닛(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은 수납공간(22)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식재료 등을 손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싱크(sink)(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30)는 카운터(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식기나 식재료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카운터(10)에 설치되는 싱크볼(sink bowl)(31)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볼(31)에는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싱크볼(31)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볼(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도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도관(33)의 일 단부에는 수도꼭지(34)가 결합될 수 있다. 수도꼭지(34)로부터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은, 배수구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시스템 키친(1')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1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부 도어(1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되고, 상부 도어(1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다른 하나는 회동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120)는 커버 프레임(11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카운터(10)의 개구(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1)는 프론트 도어(130)의 전면(前面)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조작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132)는 식기세척기(100')의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2)는 디스플레이부(13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에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조작부(13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tub)(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도 3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도어(1120)는 터브(110)의 상면 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frame)(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은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커버 프레임(115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은, 커버 프레임(1150)의 일부가 개구(11) 주변의 카운터(10)에 걸쳐진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150)은 카운터(10) 상에 얹혀지도록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115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의 절곡부(1156)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커버 프레임(1150)의 너비(w1)는 카운터(10)에 형성된 개구(11)의 너비(w2)보다 클 수 있다. (도 3 참고) 이 때, 커버 프레임(1150)의 너비(w1) 및 개구(11)의 너비(w2)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을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1150)은, 커버 프레임(1150)의 절곡부(1156)가 카운터(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캐비닛 도어(21)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지는 깔끔한 이미지의 시스템 키친(1')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의 하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하단부 역시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즉, 기준선(R')은 기준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12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120)는 카운터(10)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도록 마련될 경우, 즉, 상부 도어(1120)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경우, 사용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된 상부 도어(1120)에 부딪힐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4에서 프론트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190)에 의해 터브(11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63)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는, 상부 바스켓(161) 및 하부 바스켓(16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분사장치(210)와, 하부 바스켓(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장치(210) 및 제 2분사장치(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1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에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180)는 터브(1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18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181)와, 세척펌프(18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181)는 제 1공급관(260)을 통해 제 1분사장치(21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세척펌프(181)는 제 2공급관(27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18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1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은, 프레임 바디(1158)와, 카운터(10) 상에 지지되도록 프레임 바디(1158)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156)는, 식기세척기(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프레임 바디(1158)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158)는 상부 도어(1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바디(1158)의 안착부(1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레임 실링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150) 및 카운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150) 및 카운터(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외부의 유체가 커버 프레임(1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커버 프레임(1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120)의 하부 프레임(1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150) 및 상부 도어(11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하우징 패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110)의 양 측벽, 즉,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 바디(113)와, 터브 바디(113)에 장착되는 터브 탑(tub top)(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터브 바디(113) 및 터브 탑(114)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 탑(11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브 바디(11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TS)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집수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터브 탑(1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후술할 연결부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터브 탑(1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불완전한 결합, 마모 등을 이유로 세척수가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터브(110)의 외측벽을 따라 흐를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 등과 위험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터브 바디(113)의 최상단, 즉, 터브 탑(114)에 형성되어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세척수를 모아 터브(1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터브 탑(114)에는 패널 고정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110)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 바디(113)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 탑(114)의 패널 고정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70)은 스크루(screw)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패널 고정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150)과 터브(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1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310)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 탑(114)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상부 도어(1120)의 개폐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술할 “하부 모듈”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부 도어(1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상부 도어(1120)의 제어부는 상부 도어(1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1120)의 제어부는 하부 모듈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커버 프레임(1150)에 결합시키는 와이어(wire)(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00)는 매듭부(510)(도4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식기세척기(100')를 빌트 인 방식으로 시스템 키친(1')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150) 및 상부 도어(1120)를 “상부 모듈”이라 명명하고,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150), 상부 도어('120) 및 연결부재(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부 모듈”이라 명명한다. 먼저 하부 모듈을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캐비닛(2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모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0)에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수납되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그 후, 상부 모듈이 카운터(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10)의 개구(11)에 커버 프레임(1150)이 장착되고, 커버 프레임(1150)에 상부 도어(1120)가 설치된다.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은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모듈의 커버 프레임(1150) 및 하부 모듈의 터브(110)는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커버 프레임 및 상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리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래치 모듈 및 라커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도어(1120)는 힌지축(291)을 갖는 상부 도어 힌지(290)에 의해 커버 프레임(1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00')는 상부 도어(1120)를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개방시키거나, 자동으로 닫기 위한 트리거(1410)와, 래치-라커 모듈(1420)과, 리프트 장치(14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1410)는 커버 프레임(1150)에 장착될 수 있다. 래치-라커 모듈(1420)과, 리프트 장치(1430)는 상부 도어(1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래치-라커 모듈(1420)과, 리프트 장치(1430)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1122)과, 하부 프레임(1122)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프레임(1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2)은 래치-라커 모듈(1420)이 수용되는 래치-라커 수용 공간(1123, 1124)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라커 수용 공간(1123, 1124)은 래치(1423)가 배치되는 래치 수용 공간(1123)과, 라커(1427)가 수용되는 라커 수용 공간(11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2)은 리프트 장치(1430)가 수용되는 리프트 수용 공간(112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2)은 댐퍼장치(1437)가 수용되는 댐퍼 수용 공간(112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2)은 힌지축(291)이 수용되는 힌지축 수용 공간(1128)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2)은 상부 도어 힌지(290)가 배치되는 힌지 수용 공간(112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2)은 래치(14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래치 개구(1127)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개구(1127)는 래치(142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개구(1127)는 트리거(1410)가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1122)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치 개구(1127)를 통해 래치(1423)의 래치 헤드(1424)는 트리거(14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리거(1410)는 커버 프레임(1150)의 상부 도어 힌지(290)가 배치된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1410)는 절곡부(115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은 트리거(1410)가 장착되는 트리거 장착부(1157)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장착부(1157)는 트리거(1410)의 푸시 부재(1417)의 일 부분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푸시 개구(1159a)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장착부(1157)는 제1 래치(1423)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래치 수용구(1159b)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개구(1159a) 및 래치 수용구(1159b)는 프레임 바디(1158)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은 트리거(1410)의 버튼(1415)의 상면(1415b)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 개구(1156a)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개구(1156a)은 트리거(1410)가 배치된 절곡부(1156)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1410)는 래치-라커 모듈(1420)과 함께 상부 도어(1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1410)는 하부 케이스(1411)와, 상부 케이스(1413)와, 버튼(1415)과, 푸시 부재(1417)와, 버튼 탄성부재(1418)와, 푸시 탄성부재(141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11)는 푸시 부재(1417), 버튼 부재(1415), 버튼 탄성부재(1418) 및 푸시 탄성부재(1419)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411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11)는 푸시 부재(1417)의 푸시부(1417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개구(141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411b)는 푸시 부재(1417)의 크기 및/또는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411b)는 상부 도어(120)를 향하는 하부 케이스(1411)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11)는 버튼(1415)의 레그(1415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튼 가이드부(141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버튼(1415)이 2 개의 레그(1415b)를 포함하므로, 버튼 가이드부(1411c)도 레그(1415b)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버튼 가이드부(1411c)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버튼(1415)의 레그(1415b)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11)는 커버 프레임(1150)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 케이스 고정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 고정부(1412)는 상부 케이스(1413)의 상부 케이스 고정부(1414)와 함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커버 프레임(1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13)는 하부 케이스(1411)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13)는 수용 공간(1411a)을 커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13)는 하부 케이스(1411)와 함께 커버 프레임(1150)에 고정되기 위한 상부 케이스 고정부(1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고정부(1414)는 하부 케이스 고정부(1412)와 함께 고정부재를 통해 커버 프레임(1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413)는 버튼(1415)의 상면(1415a)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구(1413a)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구(1413a)는 버튼(1415)의 상면(1415a)과 대략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1413a)는 커버 프레임(1150)의 버튼 개구(1156a)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출구(1413a)는 상부 케이스(1413)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1415)은 사용자가 상부 도어(1120)를 개방하기 위해 가압하는 부분이다. 버튼(1415)은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15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1415a)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415)은 하부 케이스(1411)에 의해 지지되는 레그(141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버튼(1415)이 두 개의 레그(1415b)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레그(1415b)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레그(1415b)는 하부 케이스(1411)의 버튼 가이드부(1411c)에 삽입된 상태로 버튼(1415)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418)는 레그(1415b)에 결합된 상태로 버튼(1415)을 하부 케이스(14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418)는 일 단이 버튼(1415)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 단이 버튼 가이드부(1411c)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418)는 버튼(1415)의 상면(1415a)이 노출구(1413a)를 통해 노출되도록 버튼(1415)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418)는 버튼(1415)을 하부 케이스(1411)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1418)는 스프링일 수 있다.
버튼(1415)은 가압 돌기(141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돌기(1416)는 푸시 부재(1417)의 푸시 경사면(1417a)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돌기(1416)는 버튼(1415)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가압 돌기(1416)는 버튼(1415)이 가압되는 경우, 하강하며 푸시 경사면(1417a)을 가압할 수 있다.
푸시 부재(1417)는 하부 케이스(1411)의 수용 공간(1411a)에 수용될 수 있다. 푸시 부재(1417)는 푸시 탄성부재(1419)에 의해 상부 도어(1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푸시 부재(1417)는 푸시 경사면(1417a)이 버튼(1415)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푸시 탄성부재(1419)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푸시 탄성부재(1419)는 일 단이 푸시 부재(1417)에 고정되고, 타 단이 하부 케이스(1411)의 내면(inner surface)에 고정될 수 있다. 푸시 탄성부재(1419)의 일 단은 푸시 부재(1417)의 탄성부재 고정부(1417c)에 고정될 수 있다. 푸시 탄성부재(1419)의 타 단은 하부 케이스(1411)의 상부 도어(1120)에 가까운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푸시 탄성부재(1419)는 스프링일 수 있다.
푸시 부재(1417)는 버튼(1415)의 가압 돌기(1416)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푸시 부재(1417)가 상부 도어(1120)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푸시 경사면(1417a)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경사면(1417a)은 전방 하측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시 탄성부재(1419)가 푸시 부재(1417)를 상부 도어(1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푸시 부재(1417)에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푸시 경사면(1417a)은 버튼(1415)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 가압 돌기(1416)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푸시 경사면(1417a)이 가압 돌기(1416)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푸시 부재(1417)가 상부 도어(112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푸시 경사면(1417a)의 푸시부(1417b)는 래치 지지부재(1425)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푸시부(1417b)는 푸시 경사면(1417a)으로부터 상부 도어(1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푸시부(1417b)는 가이드 개구(1411b) 및 푸시 개구(1159a)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래치 지지부재(1425)를 가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래치-라커 모듈(1420)은 트리거(1410)와 함께 상부 도어(1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라커 모듈(1420)은 상부 커버(1421)와, 하부 커버(1422)와, 래치(1423)와, 래치 지지부재(1425)와, 라커(14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421)는 하부 커버(1422)와 함께 래치(1423) 및 래치 지지부재(1425)를 수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1421)는 하부 커버(1422)와 함께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되기 위한 상부 커버 고정부(14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 고정부(1421a)는 하부 커버(1422)의 하부 커버 고정부(1422a)와 함께 고정부재에 의해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커버(1421)는 래치 지지부재(1425)의 일 부분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 개구(1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 개구(1421b)는 상부 커버(1421)의 라커(1427)를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1422)는 상부 커버(1421)와 함께 래치(1423) 및 래치 지지부재(1425)를 수용할 수 있다. 하부 커버(1422)는 상부 커버(1421)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하부 커버(1422)는 상부 커버(1421)와 함께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 커버 고정부(1422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 고정부(1422a)는 상부 커버(1421)의 상부 커버 고정부(1421a)와 함께 고정부재에 의해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1423)는 커버 프레임(1150)의 래치 수용구(1159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부 도어(1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래치(1423)는 래치 지지부재(14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래치(1425)는 래치 지지부재(1425)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래치(1423)는 래치 탄성부재(1429a)에 의해 상부 도어(1122)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래치 탄성부재(1429a)는 일 단이 래치(1423)의 탄성부재 지지부(1423a)에 고정되고, 타 단이 상부 커버(1421)의 내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래치(1423)는 상부 커버(1421)에 대해 트리거(141)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래치(1423)는 래치 지지부재(1425)의 래치 가이드홈(1425b)에 삽입되는 래치 돌기(1423b)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돌기(1423b)는 래치(1423)의 저면으로부터 래치 지지부재(142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래치 돌기(1423b)는 래치 가이드홈(1425b)에 삽입된 상태로 래치(142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래치(142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래치(1423)에 홈이 형성되고, 래치 지지부재(1425)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래치(1423)는 전단에 배치되는 래치 헤드(142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헤드(1424)는 상부 도어(1120)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상부 도어(1120)로부터 돌출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부 도어(1120)가 닫히는 동작을 할 때에는 커버 프레임(1150)에 의해 가압되며 상부 도어(1120)로 인입될 수 있도록 래치(142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면(1424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1424a)은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래치 헤드(1424)는 래치 개구(1127)를 통해 상부 도어(11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래치 수용구(1159b)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트리거(1410)의 푸시 부재(1417)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래치 개구(1127)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푸시 부재(1417)에 의해 가압되는 지지 헤드(1425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헤드(1425a)는 래치 개구(1127)를 통해 상부 도어(11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지지 탄성부재(1429b)에 의해 상부 도어(1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지지 탄성부재(1429b)는 일 단이 래치 지지부재(1425)의 탄성부재 고정부(1425c)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 단이 상부 커버(142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탄성부재(1429b)는 상부 도어(1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래치 지지부재(1425)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래치(1423)를 지지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래치(1423)의 래치 돌기(1423b)가 삽입되는 래치 가이드홈(1425b)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가이드홈(1425b)은 래치(142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래치 가이드 홈(1425b)은 상부 도어(1120)가 닫힐 때, 래치(1423)가 커버 프레임(1150)에 의해 가압되며 상부 도어(1120)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1423)를 가이드할 수 있다. 래치 가이드홈(1425b)에 래치 돌치(1423b)가 삽입됨에 따라, 래치 지지부재(1425)가 푸시 부재(1417)에 의해 가압될 때, 래치(1423)는 래치 지지부재(1425)와 함께 상부 도어(1120)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라커(1427)는 래치 지지부재(1425)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라커(1427)는 래치 지지부재(1425)의 지지 헤드(1425a)가 마련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와 접할 수 있다. 라커(1427)는 래치 지지부재(1425)와 접하는 라커 헤드(1427a)를 포함할 수 있다.
라커(1427)는 라커 탄성부재(1429c)에 의해 래치 지지부재(1425)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라커 탄성부재(1429c)는 일 단부가 라커(1427)의 탄성부재 지지부(1427b)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 단부가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다. 라커 탄성부재(1429c)는 하부 프레임(1122)에 대해 전방으로 라커(1427)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라커(1427)는 라커(1427)는 하부 프레임(112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돌출되는 제한 돌기(1427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커(1427)는 라커 헤드(1427a)가 배치된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형성되는 리프터 지지부(1427c)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1427c)는 리프트 장치(1430)의 리프터(143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1427c) 사이에는 리프터(1433)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리프터 삽입공간(1427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라커(1427)의 후단부에는 리프터 지지부(1427c)에 의해 리프터(1433)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프터 삽입공간(1427d)이 마련될 수 있다.
라커(1427)는 하부 프레임(1122)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저면에 배치되는 롤러(1428)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428)는 라커(142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 프레임(1122) 상에서 구름운동하며 라커(1427)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8을 참조하면, 리프트 장치(1430)는 상부 도어(1120)가 개방될 때,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1430)는 라커(1427)와 함께 상부 도어(1120)가 닫힐 때,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1430)는 리프트 브라켓(1431)과, 리프터(1433)와, 제1 캠(1434)과, 리프터 지지부재(1435)와, 제2 캠(1436)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은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에는 리프터(1433)와 리프터 지지부재(1435)가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은 고정부재에 의해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31a)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의 고정부(1431a)에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됨에 따라 리프트 브라켓(1431)은 상부 도어(1120)의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은 리프터(14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터 결합부(1431b)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결합부(1431b) 및 리프터(1433)의 브라켓 결합부(1433c)에 결합 샤프트(1432)가 결합됨에 따라 리프터(1433)는 리프트 브라켓(14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은 힌지축(291)이 결합되는 힌지축 결합구(1431c)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291)은 리프트 브라켓(14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축(291)이 리프트 브라켓(1431)의 힌지축 결합구(1431c)에 결합됨에 따라, 상부 도어(1120)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고정된 커버 프레임(11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리프트 브라켓(1431)은 리프터 통과구(1431d)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통과구(1431d)는 리프터(1433)의 전단부의 형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리프터 통과구(1431d)는 상부 도어(120)가 개폐 동작을 할 때, 리프터(1433)가 리프터 브라켓(143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리프터(1433)는 리프트 브라켓(14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프터(1433)가 리프트 브라켓(1431)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1433)의 리프터 헤드(1433a)는 리프터 삽입공간(1427d)에 삽입되는 위치 및 리프터 지지부(1427c)를 가압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프터(1433)의 리프터 헤더(1433a)는 리프터 삽입공간(1427d)과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리프터(1433)는 리프터 탄성부재(1439a)에 의해 상부 도어(1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리프터 탄성부재(1439a)는 일 단부가 리프터(1433)의 탄성부재 삽입구(1433b)에 삽입되고, 타 단부가 리프터 브라켓(1431)에 고정되어, 리프터(1433)를 리프터 브라켓(1431)에 대해 상부 도어(1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 8에서 리프터 탄성부재(1439a)는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리프터(1433)는 결합 샤프트(14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 결합구(1433c)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결합구(1433c)가 리프터 결합부(1431b)에 대응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 샤프트(1432)는 리프트 결합부(1431b) 및 샤프트 결합구(1433c)에 삽입될 수 있다.
리프터(1433)는 리프터 레그(1433d)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레그(1433d)는 리프터 헤드(1433a)가 배치된 리프터(1433)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 레그(1433d)는 상부 도어(1120)가 개방될 때, 제2 캠(1436)에 의해 가압되며 리프터(1433)를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리프터(1433)가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 헤드(1433a)는 라커(1427)의 리프터 삽입공간(1427d)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리프터(1433)는 리프터 지지부재(1435)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돌기(1433e)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돌기(1433e)는 리프터 지지부재(1435)의 지지 연장부(1435b)와 접촉될 수 있다. 지지 돌기(1433e)는 리프터(1433)가 회전하더라도 지지 연장부(1435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상부 도어(1120)의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하부 프레임(1122)에 고정되기 위한 지지부재 고정부(1435a)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리프터(1433)의 지지 돌기(1433e)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연장부(1435b)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지지 돌기(1433e)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힌지축 삽입구(1435c)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 삽입구(1435c)는에 힌지축(29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힌지축(291)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리프터 지지부재(1435)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홈(1435d)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 홈(1435d)은 제2 캠(1436)의 제한 돌출부(1436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한 홈(1435d)은 상부 도어(1120)가 폐쇄된 위치에서 상부 도어(11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리프터 지지부재(1435)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일 단부가 리프트 브라켓(1431)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제2 캠(1436)에 고정되는 힌지 탄성부재(143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캠(1436)은 힌지축(291)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 탄성부재(14390b)는 제2 캠(1436)에 대해 상부 도어(11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리프트 브라켓(143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캠(1434)은 상부 도어(11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리프터(1433)가 회전할 때, 리프터 레그(1433d)를 가압하여 리프터(14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터(1433)의 리프터 헤드(1433a)는 라커(1427)의 삽입공간(1427d)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2 캠(1436)은 회전축(291)에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캠(1436)은 리프터 지지부재(1435)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리프터 지지부재(1435)는 힌지 축(291)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1436a)를 포함할 수 있다. 축 결합부(1436a)는 원형이 아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1430)는 댐퍼(1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1437)는 하부 프레임(1122)에 수용되며, 힌지축(291)과 연결될 수 있다. 댐퍼(1437)는 상부 도어(1120)의 개폐 동작이 급작스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댐퍼(1437)는 상부 도어(1120)가 천천히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H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가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소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부 도어를 사용자가 완전히 개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부 도어(1120)의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도어(1120)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1415)은 푸시 부재(1417)를 가압하지 않은 채 버튼 탄성부재(1418)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다. 푸시 부재(1417)는 푸시 탄성부재(1419)에 의해 래치 지지부재(1425)를 가압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지지 탄성부재(1429b)에 의해 래치 개구(1127)를 통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래치(1423) 역시 래치 탄성부재(1429a)에 의해 래치 개구(1127)를 통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라커(1427)는 라커 탄성부재(1429c)에 의해 래치 지지부래(1425)를 향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라커(1427)의 리프터 지지부(1427c)는 리프터 헤드(1433a)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리프터 헤드(1433a)를 지지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버튼(1415)을 푸시하는 경우, 버튼(1415)은 하강하며 푸시 부재(1417)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된 푸시 부재(1417)는 상부 도어(1120)를 향해 돌출되며 래치 지지부재(1425)를 가압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는 상부 도어(112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이때, 래치 돌기(1423b) 및 래치 가이드홈(1425b)의 구성에 의해 래치(1423)도 함께 상부 도어(112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래치 지지부재(1425)가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라커(1427)도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라커(1427)가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리프터 헤드(1433a)를 지지하던 리프터 지지부(1427c)는 리프터 헤드(1433a)를 지지하지 않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프터(1433)는 리프터 탄성부재(1439a)에 의해 상부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이므로, 리프터 지지부(1427c)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리프터(1433)가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 헤드(1433a)는 리프터 삽입공간(1427d)에 수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리프터 탄성부재(1439a)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터(1433)는 지지 돌기(1433e)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결합 샤프트(1432)가 배치된 부분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도어(1120)가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후 사용자가 상부 도어(1120)를 들어올리며 완전히 개방시키는 경우, 리프터(1433)의 리프터 레그(1433d)는 제1 캠(1434)의 가압 돌출부(1434a)에 의해 가압되며 결합 샤프트(143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삽입공간(1427d)에 수용되어 있던 리프터 헤드(1433a)는 삽입공간(1427d)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때, 라커(1427)는 라커 탄성부재(1429c)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리프터 지지부(1427c)는 리프터 헤드(1433a)를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 도어(1120)를 폐쇄하는 경우, 상부 도어(1120)는 상부 도어(1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리프터(1433)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프터 탄성부재(1439a)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히 닫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100')는 상부 도어(1120)를 자동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도어를 갖는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X”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Y”는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각각 식기세척기(1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1)은 수납공간(22)을 가지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운터(10)는 “조리대”로 명명될 수 있다. 카운터(10)에는 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에는 각종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22)은 캐비닛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 도어(21)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은 수납공간(22)을 구획하도록 캐비닛(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은 수납공간(22)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식재료 등을 손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싱크(sink)(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30)는 카운터(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식기나 식재료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카운터(10)에 설치되는 싱크볼(sink bowl)(31)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볼(31)에는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싱크볼(31)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볼(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도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도관(33)의 일 단부에는 수도꼭지(34)가 결합될 수 있다. 수도꼭지(34)로부터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은, 배수구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시스템 키친(1)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되고,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다른 하나는 회동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카운터(10)의 개구(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1)는 프론트 도어(130)의 전면(前面)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조작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132)는 식기세척기(100)의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2)는 디스플레이부(13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에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조작부(13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tub)(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도 16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도어(120)는 터브(110)의 상면 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frame)(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일부가 개구(11) 주변의 카운터(10)에 걸쳐진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 상에 얹혀지도록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는 카운터(10)에 형성된 개구(11)의 너비(w2)보다 클 수 있다. (도 16 참고) 이 때,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 및 개구(11)의 너비(w2)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을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가 카운터(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100)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캐비닛 도어(21)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지는 깔끔한 이미지의 시스템 키친(1)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의 하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하단부 역시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즉, 기준선(R')은 기준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카운터(10)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도록 마련될 경우, 즉,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경우, 사용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된 상부 도어(120)에 부딪힐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는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7에서 프론트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190)에 의해 터브(11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63)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는, 상부 바스켓(161) 및 하부 바스켓(16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분사장치(210)와, 하부 바스켓(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장치(210) 및 제 2분사장치(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1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에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180)는 터브(1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18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181)와, 세척펌프(18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181)는 제 1공급관(260)을 통해 제 1분사장치(21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세척펌프(181)는 제 2공급관(27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18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프레임 바디(158)와, 카운터(10) 상에 지지되도록 프레임 바디(158)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56)는, 식기세척기(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프레임 바디(158)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58)는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바디(158)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레임 실링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외부의 유체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의 하부 프레임(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하우징 패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110)의 양 측벽, 즉,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 바디(113)와, 터브 바디(113)에 장착되는 터브 탑(tub top)(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터브 바디(113) 및 터브 탑(114)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 탑(11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브 바디(11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TS)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집수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터브 탑(1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후술할 연결부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터브 탑(1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불완전한 결합, 마모 등을 이유로 세척수가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터브(110)의 외측벽을 따라 흐를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 등과 위험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터브 바디(113)의 최상단, 즉, 터브 탑(114)에 형성되어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세척수를 모아 터브(1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터브 탑(114)에는 패널 고정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110)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170)은 터브 바디(113)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 탑(114)의 패널 고정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170)은 스크루(screw)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패널 고정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과 터브(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310)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 탑(114)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술할 “하부 모듈”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상부 도어(120)의 제어부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120)의 제어부는 하부 모듈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시키는 와이어(wire)(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00)는 매듭부(510)(도4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식기세척기(100)를 빌트 인 방식으로 시스템 키친(1)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를 “상부 모듈”이라 명명하고,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상부 도어(120) 및 연결부재(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부 모듈”이라 명명한다. 먼저 하부 모듈을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캐비닛(2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모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0)에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수납되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그 후, 상부 모듈이 카운터(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10)의 개구(11)에 커버 프레임(150)이 장착되고, 커버 프레임(150)에 상부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은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모듈의 커버 프레임(150) 및 하부 모듈의 터브(110)는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 키친의 상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8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120)는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과, 트리거(410)와, 리프트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1)은 하부 프레임(122)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1)은 하부 프레임(122)에 장착된 트리거(410) 및 리프트 장치(420)를 커버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1)은 트리거(410)의 버튼 부재(417)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 개구(121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2)은 트리거(410)가 장착되는 트리거 장착부(122a)와,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되는 힌지 장착부(122b)와, 리프트 장치(420)가 장착되는 리프트 장치 장착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서 리프트 장치(420)는 2개가 마련되므로, 리프트 장치 장착부(122c) 역시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리프트 장치(420) 및 리프트 장치 장착부(122c)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대응되는 개수만큼 마련된다면 1 또는 3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프레임(122)은 트리거(410)의 잠금 부재(416)가 상부 도어(1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외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16)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관통구(124)의 크기는 잠금 부재(416)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관통구(124)는 커버 프레임(150)의 잠금 개구(157)가 마련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2)은 리프트 장치(420)의 암 부재(422)의 푸시부(422a)와 커버 프레임(150)의 가압부(154)가 접하도록 관통되는 리프트 개구(125)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개구(125)는 리프트 장치(420)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트리거(410)는 상부 도어(120)의 상부 도어 힌지(290)가 배치된 후단부와 반대되는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트리거(410)는 상부 케이스(411)와, 하부 케이스(412)와, 잠금 부재(416)와, 버튼 부재(417)와, 탄성 부재(4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2)와 함께 내부에 잠금 부재(416), 버튼 부재(417) 및 탄성 부재(418)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1)의 상면에는 버튼 부재(417)의 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 노출구(4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2)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2)는 상부 케이스(411)와 함께 내부에 잠금 부재(416), 버튼 부재(417) 및 탄성 부재(418)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2)는 잠금 부재(416)가 외부로 돌출되는 잠금 부재 노출구(412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2)는 잠금 부재(4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잠금 부재 수용부(412c)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 노출구(412a) 및 잠금 부재 수용부(412c) 상에서 잠금 부재(416)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2)는 버튼 부재(417)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부재 가이드(412b)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 가이드(412b)에는 버튼 부재(417)의 레그(417b, leg)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2)는 탄성 부재(418)가 고정되는 탄성 부재 고정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16)는 하부 케이스(412)의 잠금 부재 수용부(412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잠금 부재(416)는 트리거(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 도어(120)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 및 트리거(4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부 도어(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잠금 부재(416)는 헤드(416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416a)는 잠금 부재 노출구(412a)를 통해 트리거(4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헤드(416a)는 잠금 부재(416)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커버 프레임(150)의 잠금 개구(157)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헤드(416a)는 상부 도어(120)가 닫힐 때, 커버 프레임(150)과 접촉하며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음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면(416a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416aa)은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부재(416)는 버튼 부재(417)가 가압될 때, 버튼 부재(417)의 가압 돌기(417c)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 수용부(416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수용부(416b)는 가압 돌기(417)가 수용되며 잠금 부재(416)에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잠금 부재(416)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 돌기(417)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면(41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416c)은 전방 하측에서 후방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부재(416)는 탄성 부재(418)의 일 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고정부(416d)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417)는 상부 케이스(411)의 버튼 노출구(411a)에 의해 일부가 트리거(4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 부재(417)는 사용자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잠금 부재(416)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부재(417)는 버튼 노출구(411a)를 통해 트리거(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417a)과, 잠금 부재(416)의 돌기 수용부(416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 돌기(417c)와, 버튼 부재 가이드(412b)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그(417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18)는 후단부가 하부 케이스(412)의 탄성 부재 고정부(413)에 고정되고, 전단부가 잠금 부재(416)의 탄성 부재 고정부(416d)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418)는 잠금 부재(416)를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즉, 탄성 부재(418)는 잠금 부재(416)의 헤드(416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120)가 닫힌 경우, 잠금 부재(416)의 헤드(416a)는 잠금 개구(157)에 삽입된다. 즉, 잠금 부재(416)는 탄성 부재(418)에 의해 힘을 받아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 버튼(417a)을 가압하는 경우, 버튼(417a)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가압 돌기(417c)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 돌기(417c)는 제2 가이드면(416c)을 따라 하강하며 돌기 수용부(416b)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잠금 부재(416)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잠금 부재(416)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416a)는 잠금 개구(157)로부터 이탈되며, 상부 도어(120)는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버튼(417a)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탄성 부재(418)에 의해 잠금 부재(416)는 다시 잠금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버튼 부재(417)의 가압 돌기(417c)는 제2 가이드면(416c)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420)는 상부 도어(120)의 상부 도어 힌지(290)가 배치된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리프트 장치(420)는 리프트 커버(421)와, 암 부재(422)와, 리프트 샤프트(423)와, 탄성 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커버(421)는 암 부재(422), 리프트 샤프트(423) 및 탄성 부재(424)를 지지 및 수용할 수 있다. 리프트 커버(421)는 하부 케이스(122)에 장착될 수 있다. 리프트 커버(421)는 리프트 샤프트(42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 홀(421a)을 포함할 수 있다.
암 부재(422)는 암 헤드(422a, arm head)와, 샤프트 고정부(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422b)는 리프트 샤프트(423)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암 부재(422)와 리프트 샤프트(423)는 상호 고정되어 있으며, 함께 리프트 커버(42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암 헤드(422a)는 커버 프레임(150)의 가압부(154)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프트 샤프트(423)는 리프트 커버(4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리프트 샤프트(423)는 암 부재(4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424)는 일 측이 리프트 커버(421)에 고정되고, 타 측이 암 부재(42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고하면, 좌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탄성 부재(424)는 암 부재(422)가 리프트 커버(42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암 부재(422)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탄성 부재(424)는 리프트 커버(421)가 암 부재(42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리프트 커버(42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트리거(410)가 잠금 위치에 있으며 상부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암 부재(422)의 암 헤드(422a)는 가압부(154)와 접촉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424)는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상태에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트리거(410)가 잠금 헤제 위치에 있으며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기 시작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암 부재(422)의 암 헤드(422a)는 가압부(154)에 접촉된 상태에 있으며, 탄성 부재(424)는 탄성력을 리프트 커버(421)에 가하여 리프트 커버(4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리프트 커버(421)는 암 부재(422)가 가압부(154)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424)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 커버(421)가 고정된 상부 도어(120)는 소정 각도만큼 개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를 닫을 때, 사용자는 탄성 부재(424)의 탄성력 이상의 크기의 힘을 상부 도어(120)에 가하게 되며, 암 부재(422)의 암 헤드(422a)가 가압부(154)와 접촉할 때, 암 부재(422)는 고정된 상태로 리프트 커버(421) 및 상부 도어(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트리거(410)의 버튼(417a)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상부 도어(120)를 자동으로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상부 도어(120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버튼(417a)은 상부 도어(120)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 상부 도어(120)로부터 별도로 돌출되는 구조물이 없어 사용자가 카운터(10) 상에서 요리 등을 수행할 때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트리거(430)는 커버 프레임(2150)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430)는 커버 프레임(2150)의 절곡부(215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430)는 상부 케이스(431)와, 하부 케이스(432)와, 잠금 부재(436)와, 버튼 부재(437)와, 탄성 부재(4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2120)는 상부 프레임(2121)과, 하부 프레임(2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31)의 상면에는 버튼 부재(437)의 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 노출구(431a)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 노출구(431a)는 커버 프레임(2150)에 형성된 버튼 개구(2156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32)는 잠금 부재(436)가 외부로 돌출되는 잠금 부재 노출구(432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32)는 탄성 부재(438)가 고정되는 탄성 부재 고정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36)는 트리거(4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 도어(2120)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 및 트리거(43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부 도어(2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잠금 부재(436)는 헤드(436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436a)는 잠금 부재 노출구(432a)를 통해 트리거(4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헤드(436a)는 잠금 개구(2154)를 통해 상부 도어(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헤드(436a)는 잠금 부재(436)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부 도어(2120)의 잠금 개구(2127)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잠금 부재(436)는 버튼 부재(437)가 가압될 때, 버튼 부재(437)의 가압 돌기(437c)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 수용부(436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수용부(436b)는 가압 돌기(437)가 수용되며 잠금 부재(436)에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잠금 부재(436)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 돌기(437)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면(436c)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436c)은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부재(436)는 탄성 부재(438)의 일 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고정부(436d)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437)는 상부 케이스(431)의 버튼 노출구(431a)에 의해 일부가 트리거(4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 부재(437)는 사용자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잠금 부재(436)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도어(2120)를 닫을 때, 사용자는 버튼 부재(437)의 버튼(437a)을 가압하여 잠금 부재(436)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부 도어(2120)를 닫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부재(437)는 버튼 노출구(431a)를 통해 트리거(4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437a)과, 잠금 부재(436)의 돌기 수용부(436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 돌기(437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38)는 후단부가 잠금 부재(436)의 탄성 부재 고정부(436d)에 고정될 수 있고, 전단부가 하부 케이스(432)의 탄성 부재 고정부(433)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438)는 잠금 부재(436)를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즉, 탄성 부재(438)는 잠금 부재(436)의 헤드(436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부 도어(2120)가 닫힌 경우, 잠금 부재(436)의 헤드(436a)는 잠금 개구(2127)에 삽입된다. 즉, 잠금 부재(436)는 탄성 부재(438)에 의해 힘을 받아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부 도어(2120)를 개방하기 위해 버튼(437a)을 가압하는 경우, 버튼(437a)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가압 돌기(437c)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 돌기(437c)는 가이드면(436c)을 따라 하강하며 돌기 수용부(436b)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잠금 부재(436)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잠금 부재(436)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436a)는 잠금 개구(2127)로부터 이탈되며, 상부 도어(2120)는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버튼(437a)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탄성 부재(438)에 의해 잠금 부재(436)는 다시 잠금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버튼 부재(437)의 가압 돌기(437c)는 가이드면(436c)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 도어(2120)를 다시 닫고자 할 때에는, 버튼(437a)을 눌러서 잠금 부재(436)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부 도어(2120)를 닫아야 한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트리거(440)는 상부 도어(120)의 상부 도어 힌지(290)가 배치된 후단부와 반대되는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440)는 상부 케이스(441)와, 하부 케이스(442)와, 잠금 부재(446)와, 버튼 부재(447)와, 구동 장치(448)와, 제어모듈(449)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41)의 상면에는 버튼 부재(447)의 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 노출구(441a)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 노출구(441a)는 버튼 개구(12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42)는 잠금 부재(446)가 외부로 돌출되는 잠금 부재 노출구(442a)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46)는 트리거(44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 도어(120)를 잠금하는 잠금 위치 및 트리거(44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부 도어(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잠금 부재(446)는 헤드(446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446a)는 잠금 부재 노출구(442a)를 통해 트리거(4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헤드(446a)는 잠금 부재(446)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커버 프레임(150)의 잠금 개구(157)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헤드(446a)는 상부 도어(120)가 닫힐 때, 커버 프레임(150)과 접촉하며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음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면(446a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446aa)은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447)는 상부 케이스(441)의 버튼 노출구(441a)에 의해 일부가 트리거(4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 부재(447)는 사용자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잠금 부재(446)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부재(447)는 버튼 노출구(441a)를 통해 트리거(4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447a)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448)는 잠금 부재(446)의 후방에 배치되며, 잠금 부재(446)를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448)는 모터 및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449)는 버튼 부재(447)의 가압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 장치(448)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모듈(449)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120)가 닫힌 경우, 잠금 부재(446)의 헤드(446a)는 잠금 개구(157)에 삽입된다. 즉, 잠금 부재(446)는 구동 장치(448)가 잠금 부재(446)를 이동시킴에 따라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 버튼(447a)을 가압하는 경우, 버튼(447a)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른 버튼 부재(447)의 이동은 제어모듈(449)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모듈(449)은 구동 장치(448)를 구동시켜 잠금 부재(446)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구동 장치(448)는 잠금 부재(446)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446a)는 잠금 개구(157)로부터 이탈되며, 상부 도어(120)는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버튼 부재(447)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447a)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버튼 부재(447)는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에 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를 닫고 잠그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 부재(447)를 한번 더 가압할 수 있으며, 버튼 부재(447)의 이동을 감지한 제어모듈(449)은 구동 장치(448)를 구동시켜 잠금 부재(446)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장치(448)는 잠금 부재(446)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푸시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3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의 리프트 장치(450)는 터브 탑(114)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450)는 리프트 케이스(451)와, 캠(452)과, 구동원(453)과, 서포트(454)와, 푸시 부재(455)와, 스위치(45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3150)은 프레임 바디(3158)과 절곡부(3156)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스(451)는 캠(452) 및 구동원(453)을 수용하며, 서포트(454)의 제1 부분(454a)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안착부(451a)와, 서포트(454)의 제2 부분(454b)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관통부(451b)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454)는 제2 부분(454b)이 서포트 관통부(451b)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푸시 부재(455)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캠(452)은 리프트 케이스(451)에 수용될 수 있다. 캠(452)은 구동원(45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서포트(45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캠(452)은 구동원 연결부(452a)가 형성된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외주면(452b)과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 외주면(452c)을 포함할 수 있다. 캠(452)은 구동원 연결부(452a)를 통해 구동원(453)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동원(453)은 모터일 수 있다. 구동원(453)은 구동 샤프트(453a)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453a)는 캠(452)의 구동원 연결부(452a)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454)는 푸시 부재(455)에 힘을 전달하는 제1 부분(454a)과, 캠(452)으로부터 힘을 전달받는 제2 부분(45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454a)은 서포트 안착부(451a)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면이 푸시 부재(455)와 접할 수 있다. 제2 부분(454b)은 서포트 관통부(451b)를 관통하며 캠(452)의 외주면(452b, 452c)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분(454b)이 캠(452)의 제1 외주면(452b) 상에 위치하는 경우, 서포트(454)는 하강 위치에 있으며, 제2 부분(454b)이 캠(452)의 제2 외주면(452b) 상에 위치하는 경우, 서포트(454)는 승강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푸시부재(455)는 중공이 형성된 푸시 샤프트(455a)와, 푸시 샤프트(455a)의 중공에 삽입되는 푸시 핀(455b)과, 푸시 핀(455b)에 결합되는 조절 나사(455c)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핀(455b)의 외주면(455bb)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푸시 핀(455b)은 푸시 샤프트(455a)의 중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다. 푸시 핀(455b)은 서포트(454)의 제1 부분(454a)과 접하며 동력을 전달받는 푸시 헤더(455ba)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455)는 서포트(45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상부 도어(3120)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푸시 샤프트(455a)의 상단부는 상부 도어(3120)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다. 푸시 샤프트(455a)는 커버 프레임(3150)에 형성된 샤프트 개구(3154a)를 관통하여 상부 도어(3120)와 접촉할 수 있다.
스위치(456)는 캠(45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스위치(456)는 감지한 캠(452)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구동원(453)을 구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456)는 캠(452)의 외주면(452b, 452c) 상에서 롤링하는 롤러(456b)와, 롤러(456b)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456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3120)가 닫힌 경우, 즉,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트리거(440)가 상부 도어(3120)를 잠근 경우, 서포트(454)는 서포트 안착부(451a)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시 부재(455)도 하강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상부 도어(3120)가 개방되는 경우, 즉,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트리거(440)가 상부 도어(3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제어모듈(449)은 구동원(453)를 제어하여 캠(452)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어모듈(449)은 구동원(4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트리거(440)를 동작시키는 경우, 제어모듈(449)은 이를 감지하여, 트리거(4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리프트 장치(4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캠(452)이 회전함에 따라 서포트(454)의 제2 부분(454b)은 캠(452)의 제2 외주면(452c)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포트(454)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서포트(454)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푸시 부재(455)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푸시 부재(455)는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부 도어(3120)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들어올릴 수 있다.
스위치(456)는 서포트(454)가 캠(452)의 제2 외주면(452c)과 접한 상태, 즉, 승강된 상태에 있는 경우, 구동원(453)을 제어하여 캠(45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스위치(456)는 지지부재(456a)가 캠(452)에 의해 변형됨을 감지하여 구동원(453)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도 29에 개시된 커버 프레임(3150)과 터브 탑(140) 사이의 간격이 길어지는 경우, 푸시 부재(455)는 그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 샤프트(455a)에 나사 결합된 푸시 핀(455b)의 결합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푸시 부재(455)는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 나사(455c)는 푸시 샤프트(455a)에 결합된 푸시 핀(455b)의 결합 정도를 고정하도록 푸시 샤프트(455a)의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6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의 리프트 장치(460)는 커버 프레임(415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50)은 리프트 장치 결합부(4159)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 결합부(4159)는 리프트 장치(460)의 구동원(461)이 장착되는 구동원 장착부(4159a)와, 구동원(461)의 구동 축(461a)이 삽입되는 구동 축 공(4159b, hole)과, 푸시 부재(463)가 상부 도어(3120)의 저면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4150)에 관통 형성되는 푸시 부재 관통구(4159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3120)는 상부 프레임(3121)과, 하부 프레임(3122)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460)는 구동원(461)과, 구동원(461)에 연결되는 서포트(462)와, 서포트(462)와 연결되는 푸시 부재(463)와, 구동원(46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동원 삽입공(464a)을 갖는 구동원 고정부(464)와, 구동원(461)의 구동 축(461a)이 삽입되는 축 삽입구(465a)를 갖는 구동원 지지부재(465)와, 푸시 부재(46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연결 샤프트(469)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 슬릿(466a)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466)와, 연결 샤프트(469)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슬릿(467a) 형성되며 연결 샤프트(469)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 부재(468a, 468b)가 장착되는 제한 지지부재(46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461)은 모터일 수 있다. 구동원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구동원(461)의 구동 축(461a)은 구동원 지지부재(465)의 축 삽입구(465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서포트(462)는 구동원(461)의 구동 축(461a)에 연결되어 구동원(46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축 연결부(462a)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연결부(462a)가 형성된 서포트(462)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 즉, 푸시 부재(463)의 지지 홈(463d)에 삽입되는 서포트(462)의 일 부분에는 연결 샤프트(469)가 삽입되는 연결 샤프트 삽입공(462b)이 마련될 수 있다.
푸시 부재(463)는 서포트(462)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푸시 부재(463)는 연결 샤프트(469)에 연결되는 연결 구멍(463a)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463)는 서포트(462)의 연결 샤프트 삽입공(462b)이 형성된 일 부분이 삽입되는 지지 홈(463d)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460)는 푸시 부재(463)가 푸시 부재 관통구(4159c)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부재(46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463b)는 푸시 부재(463)가 삽입되는 푸시 부재 삽입공(463c)이 마련될 수 있다.
제한 부재(468a, 468b)는 연결 샤프트(469)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제한 부재(468a) 및 제2 제한 부재(468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3120)가 닫힌 경우, 즉,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트리거(440)가 상부 도어(3120)의 잠금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푸시 부재(463)는 하강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연결 샤프트(469)는 제2 제한 부재(468b)의 제한부(468ba)와 접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3120)가 개방되는 경우, 즉,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트리거(440)가 상부 도어(3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제어모듈(449)은 구동원(461)을 구동시켜 서포트(46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449)은 구동원(4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46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푸시 부재(463)는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부 도어(3120)를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 샤프트(469)는 제1 가이드 슬릿(466a) 및 제2 가이드 슬릿(467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제한 부재(468a)의 제한부(468aa)와 만날 때 상측으로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트리거(440)를 작동시키면, 구동원(461)은 서포트(46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시 부재(463)가 하강하여 원위치에 이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샤프트(469)는 제1 가이드 슬릿(466a) 및 제2 가이드 슬릿(467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제한 부재(468b)의 제한부(468ba)과 만날 때 하측으로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도 3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0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 내지 도 41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4120)는 저면에 배치되는 걸림 부재(4129)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4129)는 후출할 고리 부재(476)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관통 공(4129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4120)는 상부 프레임(4121) 및 하부 프레임(412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5150)에는 리프트 장치(47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리프트 장치(470)는 리프트 케이스(471)와, 구동 유닛(472)과, 서포트(473)와, 연결 부재(474)와, 연결 샤프트(475)와, 고리 부재(476)과, 탄성 부재(478)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스(471)는 구동 유닛(472), 서포트(473), 연결 부재(474), 연결 샤프트(475), 고리 부재(476) 및 탄성 부재(478)를 내부에 수용한다. 리프트 케이스(471)는 구동 유닛(472)이 장착되는 구동 유닛 장착부(471a)와, 연결 샤프트(475) 및 고리 샤프트(476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슬릿(471b) 및 제2 가이드 슬릿(471d)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스(471)는 고리 부재(476)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기 위한 공간(471e)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스(471)는 걸림 부재(129)가 삽입되는 공간(471c)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472)은 구동원(472a)과, 구동 샤프트(472b)와, 서포트 연결부(472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472b)는 구동원(472a)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 연결부(472c)에는 서포트(473)가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473)는 구동 샤프트 고정부(473a)와 연결 가이드 슬릿(473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 고정부(473a)에는 서포트 연결부(472c)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 슬릿(473b)에는 연결 부재(474)의 연결 축(474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부재(474)는 연결 가이드 슬릿(473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연결 축(474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474)는 연결 샤프트(475)가 삽입되는 제1 연결 샤프트 삽입공(474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475)는 제1 연결 샤프트 삽입공(474b) 및 제1 연결 샤프트 삽입공(474b)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 샤프트 삽입공(47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리 부재(476)는 연결 샤프트(475)가 삽입되는 제2 연결 샤프트 삽입공(476a)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부재(476)는 제1 가이드 슬릿(471b) 및 제2 가이드 슬릿(471d)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고리 샤프트(476b)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부재(476)는 걸림 부재(129)의 관통 공(129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리부(476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78)는 일 단이 연결 부재(474)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 단이 리프트 케이스(471)에 고정되어, 연결 부재(474)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120)가 닫힌 경우, 연결 부재(474)는 탄성 부재(478)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이러한 탄성 부재(478)의 힘 보다 더 큰 힘으로 구동 유닛(472)은 연결 부재(474)를 하측으로 당기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축(474a)은 연결 가이드 슬릿(473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고리(476c)는 관통 공(129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도어(12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는 경우, 구동 유닛(472)은 연결 부재(474)를 당기는 힘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478)는 연결 부재(474)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연결 샤프트(475) 및 고리 샤프트(476b)는 제1 가이드 슬릿(471b) 및 제2 가이드 슬릿(471d)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472b)와 서포트(473)는 연결 축(474a)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리 샤프트(476b)가 제1 가이드 슬릿(471b) 및 제2 가이드 슬릿(471d)의 절곡된 부분, 즉, 대각선으로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으로 진입함에 따라, 고리(476c)는 관통 공(129a)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계속해서, 연결 부재(474)는 탄성 부재(478)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걸림 부재(129)를 들어올려 상부 도어(120)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 및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트리거가 상부 도어를 잠금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트리거가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였을 때, 리프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커버 프레임(6150)에는 리프트 장치(4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5120)는 상부 프레임(5121)과, 하부 프레임(5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리프트 장치(480)는 상부 케이스(481)와, 하부 케이스(482)와, 구동원(483)과, 동력 전달 부재(484,485)와, 푸시 부재(4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81)는 푸시 부재(486)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돌 푸시 부재(486)를 가이드하는 푸시 부재 가이드(481a)와, 푸시 부재(486)의 돌기(486a)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돌기 가이드(481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가이드(481b)는 하부 케이스(482)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82)는 상부 케이스(48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동력 전달 부재(484)가 배치되는 공간(482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82)는 구동원(483)의 구동 축(483a)이 관통되는 축 관통구(482b)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483)은 모터일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484, 485)는 제1 동력 전달 부재(484)와 제2 동력 전달 부재(4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력 전달 부재(485)는 구동원(48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는 전달 받은 동력으로 푸시 부재(486)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는 상단부(484a)가 기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는 회전 축(48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는 푸시 부재(486)의 가이드 홈(486b)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출부(484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484b)는 제1 동력 전달 부재(484)의 회전 축(484c)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제1 동력 전달 부재(484)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동력 전달 부재(485)는 축 관통구에 삽입되는 동력 전달 축(48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력 전달 부재(485)의 외주면은 제1 동력 전달 부재(484)의 상단부(484a)에 대응되도록 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푸시 부재(486)는 상부 도어(5120)의 저면과 접촉하며 상부 도어(5120)를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리는 푸시부(486c)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486)는 돌기 가이드(481b)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기(486a)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486)는 가이드 돌출부(484b)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486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상부 도어(5120)가 닫힌 경우, 가이드 홈(486b)에 삽입된 가이드 돌출부(484b)는 제1 동력 전달 부재(484)의 하측에 배치되며, 따라서, 돌기(486a)도 돌기 가이드(481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상부 도어(5120)가 개방되는 경우, 구동원(483)은 제2 동력 전달 부재(485)를 회전시키고, 제2 동력 전달 부재(485)는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출부(484b)의 위치가 변경되며, 푸시 부재(486)는 가이드 돌출부(484b)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동력 전달 부재(485)의 동력 전달 축(485a)은 상부 케이스(481)의 내측 돌기(481c)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동원(483)의 구동 축(483a)는 제2 동력 전달 부재(485)의 축 공(485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동력 전달 부재(484)는 하부 케이스(482)의 내측 돌기(482c)와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배치되는 회전 축(484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486a)도 돌기 가이드(481b)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 부재(486)의 푸시부(486c)는 상부 도어(120)의 저면과 접하며 상부 도어(5120)를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식기세척기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주방에 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프리 스탠딩 타입(free standing type)의 식기세척기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프리 스탠딩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도 47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7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빌트 인 타입(built-in type)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9에서 프론트 도어(130)를 생략한다.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a)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50)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하우징(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커버 프레임(40)에 형성되는 개구(4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커버 프레임(40)에 형성되는 개구(4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a)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cover frame)(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40)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식기세척기(100a)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하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a)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좌우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도어(120) 및 커버 프레임(4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터브(110)와 커버 프레임(4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60)은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40) 및 터브(11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 프레임(40)과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a)는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대한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식기세척기(100a)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의 프론트 도어(130)는 식기세척기(100a)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부 도어(120)는 식기세척기(100a)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a)의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과 함께 식기세척기(100a)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100a)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상부 도어(1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트리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식기세척기(100a)는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트리거(430, 4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식기세척기(100a)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식기세척기(100a)는 도 29 내지 도 46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450, 460, 470, 4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0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갖는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을 참조하면, 세탁기(2)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010)과, 캐비닛(20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미도시)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미도시)과, 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10)의 상부에는 드럼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0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011)는 상부 도어(1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의 상부 프레임(1121)은 상부 도어(1120)가 개구(2011)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개구(2011)에 장착된 커버 프레임(1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1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 도어(1120)의 버튼(1415)을 가압함에 따라, 상부 도어(1120)를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도어(1120)를 닫을 때, 일정 각도만큼만 닫히도록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상부 도어(1120)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도 51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냉장고(3)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3011)의 내부에 음식물을 숙성시키거나 저온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저장실(3013)과, 저장실(3013)의 온도를 낮추어 저온에서 음식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냉각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한다. 한편, 냉각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캐비닛(3011)은 상부 캐비닛(30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캐비닛(3012)에는 개구(30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3015)에는 커버 프레임(1150)이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50)에는 상부 도어(11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3013)은 상방이 개방된 구조이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캐비닛(3011)의 좌우측에 병렬로 배치된다. 저장실(3013)에는 복수의 저장용기(3016)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실(3013)은 상부 도어(1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캐비닛(3011)의 전면에는 조작부(3017)와 디스플레이부(3018)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18)는 저장온도와 저장시간 등을 표시하고, 조작부(3017)는 냉장고(3)의 작동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조작부(3017)와 디스플레이부(3018)는 터치스크린 등의 형태로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고, 각각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18)는 LCD, LED, PDP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에 제한이 없다. 조작부(3017) 역시 스위치, 버튼, 슬라이드바, 다이얼 등 제한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20)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도어(1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 도어(3020)의 버튼(3022)을 가압함에 따라, 래치 헤드(1424) 등의 구성에 의해 상부 도어(1120)를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도어(1120)를 닫을 때, 일정 각도만큼만 닫히도록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상부 도어(1120)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식기세척기
120, 1120, 2120, 3120, 4120, 5120; 상부 도어
150, 1150, 2150, 3150, 4150, 5150, 6150; 커버 프레임
410, 430, 440, 1410; 트리거
420, 450, 460, 470, 480, 1430; 리프트 장치
120, 1120, 2120, 3120, 4120, 5120; 상부 도어
150, 1150, 2150, 3150, 4150, 5150, 6150; 커버 프레임
410, 430, 440, 1410; 트리거
420, 450, 460, 470, 480, 1430; 리프트 장치
Claims (20)
-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 부분을 지지하거나 상기 리프트 장치와 결합되는 래치-라커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라커 모듈과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라커 모듈은 라커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라커와 결합되는 리프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트리거의 일 부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 개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가까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트리거의 일 부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 개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 부재; 및
가압됨에 따라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 부재;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버튼 부재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센서를 갖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상부 도어가 닫힌 때,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가 닫힌 때,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암 부재(arm member); 및
상기 암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는 캠;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의 외주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하도록 상기 일 단이 상기 서포트와 접하며,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상부 도어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는 푸시 핀 및 상기 푸시 핀에 스크류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샤프트가 상기 푸시 핀에 스크류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캠의 회전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저면에 배치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 부재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리 부재;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고리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갖는 케이스;
일 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에 힘을 가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일 부분에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전면 개구 및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상부 도어의 회전 축이 배치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및
상기 터브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구동원;
상기 상부 도어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 부재;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푸시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저면에 배치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걸림 부재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 모듈;
상기 래치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갖는 케이스;
일 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상기 래치 모듈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 모듈을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 모듈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 모듈에 힘을 가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트리거;
상기 상부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트리거가 상기 상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때,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각도만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장치; 및
상기 트리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 부분을 지지하거나 상기 리프트 장치와 결합되는 래치-라커 모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라커 모듈은 라커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라커와 결합되는 리프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라커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가전제품.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03651 WO2019045210A1 (ko) | 2017-08-31 | 2018-03-28 |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
EP18852402.9A EP3659487A4 (en) | 2017-08-31 | 2018-03-28 | DISHWASHER AND HOUSEHOLD APPLIANCES |
US16/643,686 US11089936B2 (en) | 2017-08-31 | 2018-03-28 | Dishwasher and home appliance |
CN201880056614.8A CN111065307B (zh) | 2017-08-31 | 2018-03-28 | 洗碗机和家用电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11481 | 2017-08-31 | ||
KR1020170111481 | 2017-08-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4515A true KR20190024515A (ko) | 2019-03-08 |
KR102491589B1 KR102491589B1 (ko) | 2023-01-26 |
Family
ID=658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190A KR102491589B1 (ko) | 2017-08-31 | 2017-11-22 |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089936B2 (ko) |
EP (1) | EP3659487A4 (ko) |
KR (1) | KR102491589B1 (ko) |
CN (1) | CN111065307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6224A (ko) * | 2022-02-21 | 2023-08-30 | 주식회사 소닉코리아 | 탑마운트 구조로 인덕션 레인지가 장착된 초음파 세척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6274B1 (ko) * | 2017-08-31 | 2023-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US10863881B2 (en) * | 2019-01-08 | 2020-12-15 | John Young | Stand-alone dishwasher |
KR102466442B1 (ko) * | 2021-08-20 | 2022-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CN113854918B (zh) * | 2021-09-26 | 2024-04-26 | 青岛鼎新电子科技有限公司 | 多功能超声波洗碗机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4303A (ko) * | 2007-01-04 | 2008-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20080071352A (ko) * | 2007-01-30 | 2008-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20110045741A (ko) * | 2009-10-27 | 2011-05-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식기세척기의 도어래치구조 |
US20160348919A1 (en) * | 2014-04-03 | 2016-12-01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Door opening system for a domestic appliance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95331A (en) * | 1932-01-16 | 1935-03-26 | Walker Dishwasher Corp | Washing apparatus |
US3001227A (en) * | 1959-07-16 | 1961-09-26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Dishwashing apparatus |
US3207167A (en) * | 1963-08-30 | 1965-09-21 | Gen Motors Corp | Top loading dishwashing apparatus |
DE6910220U (de) | 1968-03-16 | 1969-08-21 | Giovanni Borghi | Geschirrspuelmaschine |
US3727622A (en) * | 1971-11-12 | 1973-04-17 | Gen Motors Corp | Dishwasher with top loading utensil compartment |
US3997201A (en) * | 1975-07-09 | 1976-12-14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door latch |
IT1187638B (it) * | 1985-03-13 | 1987-12-23 | Top Srl | Macchina lavastoviglie compatta a carica dall'alto da inserimento in mobili |
KR960016831A (ko) | 1994-11-09 | 1996-06-17 | 배순훈 | 식기세척기의 도어 잠금안전장치 |
JPH11178661A (ja) * | 1997-12-18 | 1999-07-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
JP2001000377A (ja) * | 1999-06-22 | 2001-01-09 | Toshiba Corp | 食器洗浄機 |
JP4552282B2 (ja) | 2000-06-28 | 2010-09-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食器洗浄機 |
US7201175B2 (en) * | 2002-05-03 | 2007-04-10 | Whirlpool Corporation | User interface for an in-sink dishwasher |
US8905494B2 (en) * | 2010-05-14 | 2014-12-09 | Arcelik Anonim Sirketi | Dish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mechanism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190A patent/KR1024915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8 CN CN201880056614.8A patent/CN111065307B/zh active Active
- 2018-03-28 EP EP18852402.9A patent/EP3659487A4/en active Pending
- 2018-03-28 US US16/643,686 patent/US1108993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4303A (ko) * | 2007-01-04 | 2008-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20080071352A (ko) * | 2007-01-30 | 2008-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20110045741A (ko) * | 2009-10-27 | 2011-05-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식기세척기의 도어래치구조 |
US20160348919A1 (en) * | 2014-04-03 | 2016-12-01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Door opening system for a domestic applian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6224A (ko) * | 2022-02-21 | 2023-08-30 | 주식회사 소닉코리아 | 탑마운트 구조로 인덕션 레인지가 장착된 초음파 세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065307A (zh) | 2020-04-24 |
US11089936B2 (en) | 2021-08-17 |
EP3659487A1 (en) | 2020-06-03 |
KR102491589B1 (ko) | 2023-01-26 |
EP3659487A4 (en) | 2020-06-03 |
US20200221921A1 (en) | 2020-07-16 |
CN111065307B (zh) | 2023-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24515A (ko) |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 |
KR101567825B1 (ko) | 세탁기 | |
US9462926B2 (en) | Syste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of a dishwasher | |
US20070157378A1 (en) | Sink station with cover | |
US20130228202A1 (en) |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 |
KR20170068293A (ko) | 세탁기 | |
KR20140064119A (ko) | 식기세척기 | |
US8733133B2 (en) | Washing machine and drawer assembly thereof | |
KR20070059437A (ko) |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결합구조. | |
KR20140064121A (ko) | 식기세척기 | |
KR102486273B1 (ko) | 식기세척기 | |
US11006812B2 (en) | Status indic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 |
US11259682B2 (en) | Dishwasher | |
US20240099546A1 (en) |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0444122B1 (ko) | 식기 세정기 | |
JP4653349B2 (ja) | 食器洗浄機 | |
US11471022B2 (en) | Dish washer | |
US9101258B2 (en) | Multiple compartment dishwasher with interior and exterior closure elements | |
JP2001327452A (ja) | 食器洗浄機 | |
US20230295860A1 (en) | Detergent supply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JP2004000790A (ja) | 食器洗浄機 | |
US11134826B2 (en) | Status indic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 |
JP2000139800A (ja) | 食器洗浄乾燥機 | |
JP2004081889A (ja) | 食器洗浄機 | |
JP2000296088A (ja) | 食器洗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