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354A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354A
KR20190024354A KR1020170111269A KR20170111269A KR20190024354A KR 20190024354 A KR20190024354 A KR 20190024354A KR 1020170111269 A KR1020170111269 A KR 1020170111269A KR 20170111269 A KR20170111269 A KR 20170111269A KR 20190024354 A KR20190024354 A KR 2019002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ftener
main body
adhesive
wat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771B1 (ko
Inventor
박명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연수기 본체와, 상기 연수기 본체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연수기 본체의 하단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좁은 공간에 안착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연수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수기 본체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수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s}
본 발명은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그에 따른 환경오염원의 발생이 많아져 대기중의 공기 오염은 물론,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그리고, 환경 오염원에 의한 환경 오염 중, 사람들이 식수 및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함은 물론, 식수원의 오염으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정수장을 거쳐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철저하게 제거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된다. 한편,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칼슘이나 마그네슘, 염료 등이 혼합되어 있으면 목욕을 하거나 샤워를 할 때 비눗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피부질환을 유발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연수기를 설치하여 보다 편안하게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연수기의 설치를 위해서는 벽에 구멍을 뚫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연수기의 설치 공간이 넓어야 하는 제약이 따르므로, 연수기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10-2002-0039302호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연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연수기 본체와, 상기 연수기 본체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연수기 본체의 하단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좁은 공간에 안착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연수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수기 본체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연수가 본체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연수기 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에 접합되는 제1 접착제와, 상기 제1 접착제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2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실리콘 재질을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0)는 일예로서, 연수기 본체(120), 받침대(140) 및 고정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수기 본체(120)는 연수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는 받침대(14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는 받침대(1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연수기 본체(120)의 배면(즉, 뒷면)에는 고정부재(160)가 설치되는 결합구(122)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구(122)에는 고정부재(160)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에는 받침대(1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40)에는 연수기 본체(120)가 안착 설치되며,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즉, 연수기 본체(120)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지 않는 좁은 공간에도 받침대(14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받침대(140)에는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안착부(142)는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받침대(140)의 저면에는 물고임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14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돌기(144)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받침대(140)의 안착부(142)에는 상기 연수기 본체(120)의 결합홀에 삽입 배치되는 삽입부재(14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146)가 연수기 본체(120)의 결합홀에 삽입 배치되므로 연수기 본체(120)가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대(140)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60)는 연수기 본체(1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연수기 본체(120)를 벽면에 접착시킨다. 한편, 고정부재(160)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162)와, 플레이트(16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 접착제(164)와, 상기 제1 접착제(164)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2 접착제(16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제(164)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제2 접착제(166)는 실리콘 재질을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제(166)는 욕실과 같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리콘 재질을 함유하는 재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고정부재(160)는 연수기 본체(120)에 나사결합에 의해 연수기 본체(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접착제(164,166)를 통해 연수기 본체(120)가 벽면에 고정되므로 벽체의 타공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대(140)에 연수기 본체(120)가 안착된 후 제1,2 접착제(164,166)를 통해 연수기 본체(120)가 벽면에 고정되므로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수기(100)의 설치를 위한 오염 및 벽 타공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연수기
120 : 연수기 본체
140 : 받침대
160 : 고정부재

Claims (6)

  1. 연수기 본체;
    상기 연수기 본체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연수기 본체의 하단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좁은 공간에 안착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연수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수기 본체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연수가 본체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연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연수기 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구비되는 연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에 접합되는 제1 접착제와, 상기 제1 접착제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2 접착제가 구비되는 연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연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는 실리콘 재질을 함유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연수기.
KR1020170111269A 2017-08-31 2017-08-31 연수기 KR10247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69A KR102477771B1 (ko) 2017-08-31 2017-08-31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69A KR102477771B1 (ko) 2017-08-31 2017-08-31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54A true KR20190024354A (ko) 2019-03-08
KR102477771B1 KR102477771B1 (ko) 2022-12-15

Family

ID=6580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269A KR102477771B1 (ko) 2017-08-31 2017-08-31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7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856A (ja) * 2000-07-28 2002-02-12 Hitachi Chem Co Ltd 軟水化装置
KR20020039302A (ko) 2002-04-30 2002-05-25 주태숙 연수기 설치대
KR200427070Y1 (ko) * 2006-06-23 2006-09-2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연수기 설치용 브라켓
KR200433936Y1 (ko) * 2006-09-29 2006-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하는 연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856A (ja) * 2000-07-28 2002-02-12 Hitachi Chem Co Ltd 軟水化装置
KR20020039302A (ko) 2002-04-30 2002-05-25 주태숙 연수기 설치대
KR200427070Y1 (ko) * 2006-06-23 2006-09-2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연수기 설치용 브라켓
KR200433936Y1 (ko) * 2006-09-29 2006-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하는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771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09556A (es) Medio para cubrir la pestana de una coladera de aguas residuales.
US20120079654A1 (en) Device for Concealing a Plate Associated with Overflow Plumbing
ATE410558T1 (de) Befestigung einer sanitären waschtischarmatur an einem waschtisch
KR20190024354A (ko) 연수기
JP2007016520A (ja) 裏配管具の取付構造
JP2006219887A (ja) 蛇口取り付け用蛇腹シャワーヘッド
MXPA05007600A (es) Ensamble desviador para tina romana.
KR102334266B1 (ko) 상부 시공형 수전
JP4713910B2 (ja) 配管固定具
JPH08226560A (ja) 水栓の板状部材上面からの取付構造
EP1936046A2 (en) Overflow apparatus for sanitary fixtures
CN203769349U (zh) 带有浴缸的整体浴室
RU2428547C2 (ru) Дренажная выпускная труба со встроенным фиксатором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м оборудовании
KR102138658B1 (ko) 자화수 생성장치
JP2001280549A (ja) 管継手
JP2006275073A (ja) 配管固定具
CN210531681U (zh) 一种便于安装的卫浴用阀芯组
JP5427251B2 (ja) 配管固定構造
CN211973697U (zh) 水槽、脸盆和浴缸
CN206183115U (zh) 一种卫浴盆专用支撑件
KR200295974Y1 (ko) 정연수기 설치대
JPH0340932Y2 (ko)
KR200389662Y1 (ko) 수도받침 물통
US201400263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rporating wall-mount faucets to modular/furniture bath sink vanities
KR200243107Y1 (ko) 샤워기 고정수단이 형성된 대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