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802A - 먹이 급여기 - Google Patents

먹이 급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802A
KR20190023802A KR1020170110086A KR20170110086A KR20190023802A KR 20190023802 A KR20190023802 A KR 20190023802A KR 1020170110086 A KR1020170110086 A KR 1020170110086A KR 20170110086 A KR20170110086 A KR 20170110086A KR 20190023802 A KR20190023802 A KR 2019002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food
discharge port
cylinder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475B1 (ko
Inventor
박용찬
박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콘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콘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콘비즈
Priority to KR102017011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먹이 급여기에 관한 것으로서, 먹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토출구와 연통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며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먹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저장조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먹이를 수납하는 먹이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먹이 수납부로 상기 저장조의 먹이가 수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먹이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먹이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실린더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먹이 급여기{FEED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먹이 급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의 어류, 페트류 등과 같은 동물에게 사용자가 직접 먹이를 주는 불편을 해소하고, 일정량씩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먹이 급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가정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 등의 페트류, 수조의 어류 등 다양한 애완용 동물의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용 동물에게 있어서, 가장 많은 노력과 경비를 소요하면서도 적절한 조절이 어려운 것이 먹이 공급이다.
특히, 먹이 공급량이 불규칙할 경우 예컨대, 애완용 동물에게 1회 제공되는 먹이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애완용 동물들이 한꺼번에 너무 많은 먹이를 섭취하여 배탈이 나거나, 또는 과다한 영양 공급으로 인해 애완용 동물이 비만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용 동물에게 1회 제공되는 먹이가 지나치게 적을 경우, 애완용 동물들은 배고픔으로 인해 고생하게 되거나, 애완용 동물의 생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일에 몰두하거나 또는 외출시, 애완용 동물들에게 정하여진 시간에 맞추어 일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장기간의 외출시 애완용 동물을 위탁소에 위탁하기도 하지만, 애완용 동물의 위탁시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선행기술로서, 자동 먹이 공급기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993-00210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먹이 공급기는 물고기 먹이를 주는 시간과 분량을 임의로 정할 수 없으며, 물고기 밥의 종류 예컨대, 알약형, 부스러기형, 가루형 등의 종류에도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993-0021059호(발명의 명칭: 스스로 물고기 밥을 주는 장치, 공개일: 1993.11.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먹이를 주는 불편을 해소하고, 일정량씩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먹이 급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먹이 공급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시간에 맞추어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먹이 급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먹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토출구와 연통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며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먹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저장조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먹이를 수납하는 먹이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먹이 수납부로 상기 저장조의 먹이가 수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먹이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먹이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실린더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구동부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이동체와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축; 및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먹이 수납부와, 상기 리니어 구동부에 접하는 상기 이동체의 단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간격 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먹이 수납부는 상기 이동체의 외주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리니어 구동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먹이의 공급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에 의해 상기 리니어 구동부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제1이동체; 및 외주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된 상기 먹이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먹이 수납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이동체와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제1이동체에 결합되는 제2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제1이동체; 상기 제1이동체와의 사이에 상기 먹이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이동체와 이격 배치되는 제2이동체; 및 상기 제1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를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먹이를 상기 먹이 수납부로 일정량씩 배출하는 로터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구동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직선 왕복 이동하며,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에 직선 왕복 이동하게 마련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먹이를 주는 불편을 해소하고, 일정량씩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먹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먹이 공급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시간에 맞추어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동체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이동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이동체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먹이 급여기가 일 실시예로서, 수조에 장착되어 수조의 어류에 먹이를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페트류의 먹이 급여기, 축사의 가축류의 먹이 급여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a)는 저장조(11)와, 실린더(21)와, 이동체(31a)와, 리니어 구동부(51)를 포함한다.
저장조(11)는 속이 빈 밀폐된 통 형상을 가지며, 수조(1)에 있는 어류를 위한 먹이(5)를 저장한다.
저장조(11)의 상단부에는 저장조(11)로 먹이(5)를 공급하기 위한 먹이 공급구(13)가 마련되어 있다. 먹이 공급구(13)는 캡(15)에 의해 개폐된다.
저장조(11)의 하단부에는 저장조(11)에 저장된 먹이(5)가 토출되는 토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7)에는 실린더(21)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저장조(11)의 하단부의 일 영역은, 저장조(11)에 저장된 먹이(5)가 병목 현상없이 토출구(17)를 통해 토출되도록, 저장조(11)의 상단부에 대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저장조(11)는, 저장조(11)에 저장된 먹이(5)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21)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속이 빈 밀폐된 통 형상을 가진다. 실린더(21)는 저장조(1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실린더(21)는 토출구(17)와 연통하는 수용부(23)와, 수용부(23)와 연통하며 수용부(23)로 유입되는 먹이(5)를 배출하는 배출구(25)를 포함한다.
배출구(25)는 실린더(21)의 하부 영역에 수용부(23)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저장조(11)의 토출구(17)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배출구(25)와 인접하는 실린더(21)의 일단부 내측에는 이동체(31a)가 실린더(21)의 일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27)가 마련되어 있다.
이동체(31a)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실린더(21)의 수용부(23)에 수용된다. 이동체(31a)는 실린더(21)의 내측과 정합(整合)하도록 실린더(21)의 내측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동체(31a)는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되는 먹이(5)를 수납하는 먹이 수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먹이 수납부(37)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동체(31a)의 외주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먹이 수납부(37)는 알약형, 부스러기형, 가루형 등 다양한 형태의 먹이(5)를 수납할 수 있도록 다각형, 반구형, 반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체(31a)는 먹이 수납부(37)로 저장조(11)의 먹이(5)가 수납되는 제1위치와, 먹이 수납부(37)에 수납된 먹이(5)를 배출구(25)를 통해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한다.
여기서, 이동체(31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31a)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31a)의 먹이 수납부(37)와, 리니어 구동부(51)에 접하는 이동체(31a)의 단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저장조(11)의 토출구(17)와 실린더(21)의 배출구(25) 사이의 간격 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동체(31a)가 제2위치로 이동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1)의 토출구(17)는 이동체(31a)에 의해 차단되어, 저장조(11)에 저장된 먹이(5)는 실린더(21)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동체(31a)의 중앙에는 이동체(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며, 이 암나사는 후술할 나사축(55)이 관통하며 나사 결합된다.
또한, 이동체(31a)의 일측에는, 나사축(55)과 평행하게 후술할 가이드부(57)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리니어 구동부(51)는 실린더(21)에 마련되어, 이동체(31a)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리니어 구동부(51)는 구동 액추에이터(53)와, 나사축(55)과, 가이드부(57)를 포함한다.
구동 액추에이터(53)는 이동체(31a)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액추에이터(53)로서 구동 모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액추에이터(53)는, 구동 모터와 직결되어 감속하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로 구성되거나, 또는 스텝 모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사축(55)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55)의 일단부는 구동 액추에이터(53)에 직결되어,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에 직결되고, 나사축(55)의 타단부는 실린더(21)에 마련된 스토퍼(2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축(55)은 구동 액추에이터(53)의 회전력에 의해 정역 회전한다.
가이드부(57)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나사축(55)과 나란하게 실린더(21)에 마련된다. 가이드부(57)는 이동체(31a)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가이드부(57)의 일단부는 지지 블록(59)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부(57)의 타단부는 실린더(21)에 마련된 스토퍼(27)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지지 블록(59)은 실린더(21) 내측에 마련되며, 이동체(31a)와 구동 모터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블록(59)의 중앙에는 나사축(55)이 관통한다.
이로써, 이동체(31a)는 나사축(55)의 정역 회전에 의해 나사축(55)과 나사 운동시, 나사축(55)과 함께 회전을 하지 않고, 가이드부(57)에 의해 나사축(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a)는 제어부(61)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61)는 실린더(21)의 일측에 마련되어, 리니어 구동부(51)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1)는 먹이(5)의 공급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63)에 의해 리니어 구동부(51)의 구동시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63)를 마련함에 따라, 타이머(63)의 설정된 시간에 의거하여 리니어 구동부(51)를 구동시킴으로써, 먹이 공급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시간에 맞추어 먹이(5)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a)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의 편리상, 이동체(31a)가 도 1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진 이동이라 하고, 이동체(31a)가 도 1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후진 이동이라고 한다.
먼저, 이동체(31a)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체(31a)가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부(61)를 통해 리니어 구동부(51)의 구동 액추에이터(53)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 액추에이터(53)는 일방향으로 정회전하고, 구동 액추에이터(53)가 일방향으로 정회전함에 따라 나사축(55)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나사축(55)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1a)는 나사축(55)과 나사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동체(31a)는 가이드부(57)에 의해 안내되며 나사축(55)을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된다.
나사축(55)을 따라 전진 이동하던 이동체(31a)는 스토퍼(27)에 의해 전진 이동이 저지되며, 이 때 이동체(31a)의 먹이 수납부(3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1)의 배출구(25)와 연통하는 위치 예컨대,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체(31a)의 먹이 수납부(37)에 수납된 먹이(5)는 배출구(25)를 통해 수조(1)의 수면에 낙하하여, 수조(1)에 먹이(5)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먹이 수납부(37)를 통해 먹이(5)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61)는 이동체(31a)가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 액추에이터(53)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 액추에이터(53)는 타방향으로 역회전하고, 구동 액추에이터(53)가 타방향으로 역회전함에 따라 나사축(55) 또한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나사축(55)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1a)는 나사축(55)과 나사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동체(31a)는 가이드부(57)에 의해 안내되며 나사축(55)을 따라 후진 이동하게 된다.
나사축(55)을 따라 후진 이동하던 이동체(31a)의 먹이 수납부(37)는 저장조(11)의 토출구(17)와 연통하는 위치 예컨대,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체(31a)의 먹이 수납부(37)에는 토출구(17)를 통해 토출되는 먹이(5)가 다시 수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먹이(5)를 주는 불편을 해소하고, 일정량씩 먹이(5)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먹이(5)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머(63)를 마련함에 따라, 타이머(63)의 설정된 시간에 의거하여 리니어 구동부(51)를 구동시킴으로써, 먹이 공급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시간에 맞추어 먹이(5)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반구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먹이 수납부(37)를 갖는 이동체(31b)가 리니어 구동부(51)의 나사축(5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다양한 형태의 이동체를 선택적으로 리니어 구동부(51)의 나사축(55)에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먹이(5) 및 먹이 공급량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c)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이동체(31c)가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로 구성된다.
제1이동체(33)는 리니어 구동부(51)의 나사축(55)과 나사 결합된다.
제2이동체(35)는 실린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이동체(33)와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제1이동체(3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이동체(35)는 제1이동체(33)와 나사 결합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이동체(35)는 제1이동체(33)와 다양한 형태로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이동체(35)의 외주 일 영역에는 먹이 수납부(37)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제2이동체(35)의 중앙에는 나사축(55)이 관통한다.
또한,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에는, 나사축(55)과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부(57)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도 4에는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가 가장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고, 도 5에는 제2이동체(35)가 제1이동체(33)로부터 이격하며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의 결합에 따라 형성된 먹이 수납부(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의 결합에 따라 형성된 먹이 수납부(37)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체적을 갖게 된다. 즉, 이동체(31c)에 형성되는 먹이 수납부(37)의 위치 조절뿐만 아니라, 먹이 수납부(37)의 체적도 조절 예컨대, 먹이 수납부(37)의 먹이 수납량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d)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달리, 이동체(31d)를 구성하는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제1이동체(33)는 리니어 구동부(51)의 나사축(55)과 나사 결합된다.
제2이동체(35)는 제1이동체(33)와 연결부재(41)에 의해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41)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재(41)의 내측에는 나사축(55)이 관통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d)는 로터리 밸브(19)를 더 포함한다.
로터리 밸브(19)는 저장조(11)의 토출구(17)에 마련되어, 저장조(11)에 저장된 먹이(5)를 먹이 수납부(37)로 일정량씩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가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 액추에이터(53)에 전원을 인가하면, 나사축(55)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이동체(33)는 나사축(55)과 나사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는 가이드부(57)에 의해 안내되며 나사축(55)을 따라 전진 이동하여, 이동체(31d)의 먹이 수납부(3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체(31d)의 먹이 수납부(37)에 수납된 먹이(5)는 배출구(25)를 통해 수조(1)의 수면에 낙하하여, 수조(1)에 먹이(5)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먹이 수납부(37)를 통해 먹이(5)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가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 액추에이터(53)에 전원을 인가하면, 나사축(55)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이동체(33)는 나사축(55)과 나사 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는 가이드부(57)에 의해 안내되며 나사축(55)을 따라 후진 이동하게 된다.
나사축(55)을 따라 후진 이동하던 제1이동체(33)와 제2이동체(35)의 먹이 수납부(37)는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체(31d)의 먹이 수납부(37)에는 토출구(17)를 통해 토출되는 먹이(5)가 다시 수납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e)는 전술한 제1실예와는 달리, 이동체(31a)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151)가 피니언(155)과 랙(157)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구동 액추에이터(153)에는 구동 액추에이터(153)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피니언(155)이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155)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기어 이빨이 형성되어 있다.
랙(157)은 일정 길이의 바아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피니언(155)과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 이빨이 형성되어 있다. 랙(157)의 일단부는 이동체(31a)에 연결되어 있고, 랙(157)은 피니언(155)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먹이 급여기(10e)는 구동 액추에이터(153)가 회전을 하면 피니언(155)이 회전을 하고, 피니언(155)의 회전에 의해 랙(157)은 실린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여, 이동체(31a)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이동체가 나사축의 나사 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니어 구동부로서 리니어 모터를 마련하고, 리니어 모터에 이동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체를 직선 왕복이동하여, 이동체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a,10b,10c,10d,10e : 먹이 급여기
11 : 저장조
17 : 토출구
19 : 로터리 밸브
21 : 실린더
23 : 수용부
25 : 배출구
27 : 스토퍼
31a,31b,31c,31d : 이동체
33 : 제1이동체
35 : 제2이동체
37 : 먹이 수납부
51 : 리니어 구동부
53 : 구동 액추에이터
55 : 나사축
57 : 가이드부
61 : 제어부

Claims (10)

  1. 먹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토출구와 연통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며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먹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저장조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먹이를 수납하는 먹이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먹이 수납부로 상기 저장조의 먹이가 수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먹이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먹이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상기 실린더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구동부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이동체와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축; 및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먹이 수납부와, 상기 리니어 구동부에 접하는 상기 이동체의 단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간격 보다 큰 치수를 갖는, 먹이 급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수납부는 상기 이동체의 외주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먹이 급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리니어 구동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먹이 급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의 공급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에 의해 상기 리니어 구동부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제1이동체; 및
    외주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된 상기 먹이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먹이 수납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이동체와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제1이동체에 결합되는 제2이동체를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제1이동체;
    상기 제1이동체와의 사이에 상기 먹이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이동체와 이격 배치되는 제2이동체; 및
    상기 제1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를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먹이를 상기 먹이 수납부로 일정량씩 배출하는 로터리 밸브를 더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구동부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직선 왕복 이동하며,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에 직선 왕복 이동하게 마련되는 랙을 포함하는, 먹이 급여기.
KR1020170110086A 2017-08-30 2017-08-30 먹이 급여기 KR10197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86A KR101970475B1 (ko) 2017-08-30 2017-08-30 먹이 급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86A KR101970475B1 (ko) 2017-08-30 2017-08-30 먹이 급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802A true KR20190023802A (ko) 2019-03-08
KR101970475B1 KR101970475B1 (ko) 2019-04-19

Family

ID=6580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86A KR101970475B1 (ko) 2017-08-30 2017-08-30 먹이 급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48A (ko) 2020-02-20 2021-08-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장의 무인 사료 공급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059A (ko) 1992-04-13 1993-11-22 이주희 스스로(무인) 물고기 밥을 주는 장치
JP2004208627A (ja) * 2003-01-06 2004-07-29 Dainichi Co Ltd 給餌装置
US20080144429A1 (en) * 2006-07-06 2008-06-19 Simmons David G Dry chemical feeder system
KR101457847B1 (ko) * 2014-05-29 2014-11-06 이용재 이동식 동물사료 자동 투입기
JP2015523527A (ja) * 2012-07-31 2015-08-13 フィッシャー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ロータリバルブ用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059A (ko) 1992-04-13 1993-11-22 이주희 스스로(무인) 물고기 밥을 주는 장치
JP2004208627A (ja) * 2003-01-06 2004-07-29 Dainichi Co Ltd 給餌装置
US20080144429A1 (en) * 2006-07-06 2008-06-19 Simmons David G Dry chemical feeder system
JP2015523527A (ja) * 2012-07-31 2015-08-13 フィッシャー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ロータリバルブ用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KR101457847B1 (ko) * 2014-05-29 2014-11-06 이용재 이동식 동물사료 자동 투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48A (ko) 2020-02-20 2021-08-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장의 무인 사료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475B1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56B1 (ko) 애완동물 급식기
US10609899B2 (en) Baffle for an animal feeding device
JP2003516722A (ja) 飼料自動供給装置
KR101970475B1 (ko) 먹이 급여기
KR101571266B1 (ko) 사료 자동공급장치
RU2687353C2 (ru) Кормовой контейнер
KR101739584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EP2277374B1 (en) Feeding trough for poultry breeding
KR100423928B1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923115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369892B1 (ko) 분산형 물고기 먹이 자동 공급장치
WO2012115762A1 (en) Sow lactation feeder
KR101818821B1 (ko)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CN111418540B (zh) 自动投料净水的水族箱
US11871729B2 (en) Feed dispenser
DE60202309T2 (de) Vorrichtung zum Füttern und/oder Tränken von Tieren
CN210143538U (zh) 一种宠物喂食器
KR200440806Y1 (ko) 사료 공급장치
CN208480454U (zh) 一种多功能料槽
CN109197622A (zh) 一种小猪喂食装置
CN111183910B (zh) 一种畜牧业猪舍自动喂食装置
KR200402962Y1 (ko)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CN212574098U (zh) 一种畜牧业饲料切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