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512A - 온감 시트 - Google Patents

온감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512A
KR20190022512A KR1020187035433A KR20187035433A KR20190022512A KR 20190022512 A KR20190022512 A KR 20190022512A KR 1020187035433 A KR1020187035433 A KR 1020187035433A KR 20187035433 A KR20187035433 A KR 20187035433A KR 20190022512 A KR20190022512 A KR 2019002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rm
warming
feel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311B1 (ko
Inventor
다카히로 우에다
유키 노다
도시히사 하야시
아유미 구라사코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2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49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layer having low heat transfer cap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한 온감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액체 홀딩성 또 액체 투과성의 피부 맞닿음 시트(7)와,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11)를 포함하고, 두께 방향(T)을 갖는 온감 시트(1)로서, 온감 시트(1)가, 포유류의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의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감층(17)을 갖고, 그리고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온감 시트(1)가, 온감층(17)과, 두께 방향(T)으로 중복하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4.0 이하의,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강연도(剛軟度) 변화율을 갖고, 상기 강연도 변화율이 0h 강연도에 대한 3h 강연도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시트(1)이다.

Description

온감 시트
본 개시는 온감(溫感)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착용자의 신체에 온열을 부여하는 온열 시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한쪽 면이 부직포와 다공질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얻어지는 통기성 복층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다른쪽의 면이 첩부(貼付) 수단을 갖는 첩부면인, 수분을 함유하고 공기의 존재하에서 발열하는 발열 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주머니로서, 상기 통기성 복층 구조물이, 20℃에서의 치수에 대한 50℃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치수 변화율이 플러스의 값인 것, 및 0.15gfcm/㎠ 이상의 압축 에너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조성물 수용용 주머니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23901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열 조성물 수용용 주머니에서는, 착용자에게 온열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 분말, 구체적으로는, 철분의 산화 반응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발열 조성물 수용용 주머니의 사용 전 시점에 있어서, 발열 조성물 수용용 주머니 그 자체가 딱딱하고, 그리고 발열 조성물 수용용 주머니의 사용 시 및 사용 후에는, 발열 조성물 수용용 주머니 그 자체가 보다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어, 착용감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한 온감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액체 홀딩성 또 액체 투과성의 피부 맞닿음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着衣) 맞닿음 시트를 포함하며, 두께 방향을 갖는 온감 시트로서, 상기 온감 시트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의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감층을 갖고, 그리고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온감 시트가, 상기 온감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하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4.0 이하의,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강연도(剛軟度) 변화율을 갖고, 상기 강연도 변화율이, 사용 개시 시의 상기 온감 시트의 강연도인 0h 강연도에 대한, 상기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상기 온감 시트의 강연도인 3h 강연도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시트를 발견했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온감 시트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가 개별 포장된 개별 포장체(3)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온감 시트(1)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압입력(押入力)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의]
·착용감에 관한 「초기」 및 「사용 시」
본 명세서에서는, 온감 시트의 착용감에 관련된 용어인 「초기」는, 온감 시트를(포장체, 예를 들면,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내, 착의에 고정하고, 온감 시트를 사용하기 시작한 직후의 착용감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온감 시트의 착용감에 관련된 용어인 「사용 시」는, 온감 시트를(포장체, 예를 들면,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내, 착의에 고정하고, 온감 시트를 사용하기 시작한 후, 잠시 동안 경과하고 나서, 구체적으로는 약 3시간 경과 후의 착용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액체 홀딩성 또 액체 투과성의 피부 맞닿음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를 포함하고, 두께 방향을 갖는 온감 시트로서,
상기 온감 시트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의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감층을 갖고, 그리고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온감 시트가, 상기 온감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하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4.0 이하의,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강연도 변화율을 갖고,
상기 강연도 변화율이, 사용 개시 시의 상기 온감 시트의 강연도인 0h 강연도에 대한, 상기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상기 온감 시트의 강연도인 3h 강연도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소정의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감층을 갖는 동시에, 그리고 온감 시트가,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 내의 강연도 변화율을 가지므로, 착용자가, 온감 시트의 착용 시, 그리고 온감 시트의 사용 중에 있어서, 몸을 움직인 경우 등에 온감 시트에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상기 온감 시트가,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양태 2]
상기 온감제가,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인, 양태 1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에서는, 온감제가 TRPV1 리셉터를 자극하는 온감제이기 때문에, 온감 시트의 사용 시에, 착용자가 TRPV1 리셉터의 활성화 온도 역치(threshold)라고 일컬어지는 43℃ 초과의 온도를 느낄 수 있어, 착용자가 보다 온감을 느끼기 쉽다. 또, 상기 온감제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의, 온감제에 접하고 있었던 온감제 접촉 부분의 TRPV1 리셉터가 활성화되는 결과, 교감 신경계를 통하여 온감제 접촉 부분이 열을 발생하여, 착용자의 온감제 접촉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양태 3]
상기 온감 시트가 10mN 이하의 상기 0h 강연도를 갖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소정의 0h 강연도를 가지므로, 착용자가, 착용 시에, 몸을 움직인 경우 등에 온감 시트에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초기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양태 4]
상기 온감 시트가, 상기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4.0 이하의 압입력 변화율을 갖고, 상기 압입력 변화율이, 사용 개시 시의 상기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압입력인 0h 압입력에 대한, 상기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상기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압입력인 3h 압입력의 비인,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압입력 변화율을 가지므로, 착용자가, 온감 시트의 착용 시, 그리고 온감 시트의 사용 중에 있어서, 몸을 움직인 경우 등에,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초기 및 사용 시에 착용감이 우수하다.
[양태 5]
상기 온감 시트가 3.0N 이하의 상기 0h 압입력을 갖는, 양태 4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소정의 0h 압입력을 가지므로, 착용자가, 착용 시에, 몸을 움직인 경우 등에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초기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양태 6]
상기 온감 시트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양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엠보스부를 갖지 않으므로, 착용자가, 온감 시트의 착용 시, 그리고 온감 시트의 사용 중에 있어서,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양태 7]
상기 온감 시트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온감층을 포함하는, 양태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온감 시트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온감 시트의 피부 맞닿음 면의 면적에 대한 온감층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온감 시트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양태 8]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가 직물(布帛)로 구성되어 있는, 양태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에서는, 피부 맞닿음 시트가 직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맞닿음 시트가 촉감이 우수한 동시에, 온감 조성물을 홀딩 및 투과시키기 쉬워, 온감 조성물을 착용자의 피부에 계속 접촉시킬 수 있다.
[양태 9]
상기 온감층이,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와,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태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에서는, 온감층이, 적어도 피부 맞닿음 시트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감 시트가, 착용 후 조기에 착용자에게 온감을 부여할 수 있다.
[양태 10]
상기 용매가, 물, 알코올 및 유지,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태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에서는, 용매가 소정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기 때문에, 온감제가 착용자의 피부에 신속하게 온감을 부여할 수 있다.
[양태 11]
개별 포장된, 양태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온감 시트.
상기 온감 시트는, 개별 포장되어 있으므로, 상술의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에 대해,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이하, 「제 1 실시형태」라고 칭한다)에 따르는 온감 시트(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온감 시트(1)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온감 시트(1)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온감 시트(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온감 시트(1)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1)는, 액체 홀딩성 또 액체 투과성의 피부 맞닿음 시트(7)와, 중간층(9)과,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11)와, 온감 시트(1)를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와, 고정부(13)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박리 시트(15)를 그 순서로 구비하고,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는다. 피부 맞닿음 시트(7)는, 그 전면(全面)에 온감 조성물(도시하지 않음)이 도공(塗工)되어 있어, 피부 맞닿음 시트(7)의 전면이 온감층(17)을 구성하고 있다. 또, 온감 시트(1)에서는, 평면 방향(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전체가, 온감층(17)과, 두께 방향(T)으로 중복하는 온감층 중복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또, 피부 맞닿음 시트(7)는, 피부 맞닿음 면(31)과, 피부 비(非)맞닿음 면(33)을 갖는다.
온감 시트(1)에서는, 피부 맞닿음 시트(7)와, 중간층(9)과,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11)와, 박리 시트(15)의 각각은, 평면 방향(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형상이 동일하고, 피부 맞닿음 시트(7)와, 중간층(9)과,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11)와, 박리 시트(15)가, 그들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두께 방향(T)으로 일치하도록 겹쳐 쌓여 있다.
온감 시트(1)는, 길이 방향(L)의 중심에, 폭 방향(W)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힘 축(折軸)(F)을 구비한다. 또한, 개별 포장체(3)에서는, 온감 시트(1)는, 접힘 축(F)을 기준으로 하여, 피부 맞닿음 시트(7)의 피부 맞닿음 면(31)을 내측으로 하여 개켜져, 포장 시트(5)에 포장되어 있다.
고정부(13)는, 복수의 고정부 부분(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부 부분(14)의 각각은,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고, 온감 시트(1)의 폭 방향(W)의 양단부까지 도달하고 있다. 복수의 고정부 부분(14)은, 길이 방향(L)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박리 시트(15)는, 착의 맞닿음 시트(11)와 바깥쪽 가장자리의 형상이 동일하고, 고정부(13)(복수의 고정부 부분(14))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온감 시트(1)는 둘로 접힌 상태에서, 포장 시트(5)에 포장되어, 개별 포장체(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별 포장체(3)는, 접힘 축(F)을 기준으로 하여, 피부 맞닿음 시트(7)의 피부 맞닿음 면(31)을 내측으로 하여 둘로 접힌 온감 시트(1)를, 2장의 포장 시트(5)로 끼우고, 2장의 포장 시트(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시일(seal)부(101)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착용자는, 개별 포장체(3)의 절결부(103)로부터 개별 포장체(3)를 개봉하고, 개별 포장체(3)로부터 온감 시트(1)를 꺼내, 온감 시트(1)로부터 박리 시트(15)를 박리한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착용자는, 온감 시트(1)의 고정부(13)를, 착의(21), 구체적으로는 쇼츠의 내면에 고정하고, 온감 시트(1)의 피부 맞닿음 면(31)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한 상태에서, 온감 시트(1)를 사용한다.
온감 시트(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온감 시트(1)의 바깥쪽 둘레 가장자리(23)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영역인 둘레 가장자리부(25)를 갖는다. 온감 시트(1)는, 둘레 가장자리부(25)에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온감 시트(1)의 착용 시, 그리고 온감 시트(1)의 사용 중에 있어서, 온감 시트(1)의 둘레 가장자리부(25)에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1)가,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온감 시트(1)의 피부 맞닿음 시트(7)의, 둘레 가장자리부(25)를 포함하는 전면에는, 온감 조성물(도시하지 않음)이 도공되어 있다. 환언하면, 온감 시트(1)는 둘레 가장자리부(25)에 온감 조성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 시트(7), 즉, 온감층(17)을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조성물이, 착용자의 피부의 온감제가 접촉하고 있는 온감제 접촉 부분의 TRP 채널을 효율 좋게 활성화하여, 착용자에게 온감을 효율 좋게 부여할 수 있다.
온감 시트(1)는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발열제를 포함하는 온열 시트에서는, 발열제를 착용자의 피부에 계속 접촉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고정부가, 발열제와, 온열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열제의 영향을 받아, 고정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고정부가 연화되기 쉽다. 따라서, 온열 시트의 사용을 끝내고, 온열 시트를 착의로부터 떼어낼 때에, 연화한 고정부가 착의에 남기 쉬워진다.
한편, 온감 시트(1)에서는, 온감 시트(1) 자체가 발열하지 않으므로, 온감 시트(1)의 고정부(13)가 연화되기 어려워, 온감 시트(1)의 사용을 끝내고, 온감 시트(1)를 착의(21)로부터 떼어낼 때에, 온감 시트(1)의 고정부(13)가 착의(21)에 남기 어렵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온감층과, 온감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하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강연도 변화율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가,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강연도 변화율의 하한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5, 1.0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시트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술의 강연도 변화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술의 강연도 변화율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에 있어서, 상술의 강연도 변화율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감 시트의 초기 및 사용 시의 착용감의 관점에서이다.
상기 강연도 변화율은 사용 개시 시의 온감 시트의 강연도, 즉, 0h 강연도에 대한,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온감 시트의 강연도, 즉, 3h 강연도의 비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의 「사용 개시」는, 상기 온감 시트를, 포장체(예를 들면,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내고 나서 0∼10분 동안을 의미한다. 상술의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는, 상기 온감 시트를, 포장체(예를 들면,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내고 나서 3시간∼3시간 10분 동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온감 시트의 강연도(0h 강연도 및 3h 강연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되고, 기재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JIS L 1913:2010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의 「6.7.4 걸리법」에 따른다.
(1) 항온 항습실(온도: 25±5℃, 상대습도: 65±5%)에, 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No. 311 걸리식 유연도 시험기를 준비한다.
(2) 상기 항온 항습실에, 온감 시트의 포장체를 개봉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24시간 정치(靜置)한다.
(3) 포장체로부터 온감 시트를 꺼내, 온감 시트의 온감층 중복 영역으로부터 38mm×25mm(샘플 길이 방향×샘플 폭 방향)의 사이즈로 커트한 샘플을 준비한다.
(4) 샘플을, 샘플 길이 방향(38mm)의 한쪽의 단부(端部)(6.3mm)가 척에 고정되도록, 그리고 다른쪽의 단부(6.3mm)가 진자(B)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세트한다. 즉, 상기 샘플은, 강연도의 계산식에 있어서, L=38mm, d=25mm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척에 세트된다.
(5) 가동 아암을 정속 회전시켜, 샘플이 진자(B)로부터 멀어질 때의 눈금(RG1)을 읽는다(1회째). 이어서, 샘플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샘플을 걸리식 유연도 시험기에 세트하고, 샘플이 진자(B)로부터 멀어질 때의 눈금(RG2)을 읽는다(2회째).
(6) 이하의 식으로부터 강연도(mN)를 계산한다.
강연도(mN)
[수학식 1]
Figure pct00001
(7) 다른 샘플로 상술의 측정을 총 5회 반복하여, 상기 강연도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또한, 0h 강연도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나서 10분 이내에 강연도의 측정을 끝내고, 3h 강연도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나서 3시간∼3시간 10분 동안에 강연도의 측정을 끝낸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0m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m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mN 이하,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mN 이하의 0h 강연도를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가, 초기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상기 온감 시트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술의 0h 강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술의 0h 강연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에 있어서, 상술의 0h 강연도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감 시트의, 초기의 착용감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0m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m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mN 이하,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mN 이하의 3h 강연도를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가, 사용 시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상기 온감 시트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술의 3h 강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술의 3h 강연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에 있어서, 상술의 3h 강연도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감 시트의, 사용 시의 착용감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의 압입력 변화율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져, 온감 시트가 착용감이 우수하다.
상기 온감 시트는,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술의 압입력 변화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술의 압입력 변화율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술의 압입력 변화율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감 시트의 초기 및 사용 시의 착용감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상기 압입력 변화율은 사용 개시 시의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압입력, 즉, 0h 압입력에 대한, 상기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압입력, 즉, 3h 압입력의 비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의 「사용 개시」는, 상기 온감 시트를, 포장체(예를 들면,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내고 나서 0∼10분 동안을 의미한다. 상술의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는, 상기 온감 시트를, 포장체(예를 들면,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내고 나서 3시간∼3시간 10분 동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온감 시트의 압입력(0h 압입력 및 3h 압입력)은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또한, 압입력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적절히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항온 항습실(온도: 25±5℃, 상대습도: 65±5%)에, 니혼 덴산 심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디지털 포스 게이지(201)(FGP-5 50N)와, 전동 시험 스탠드(203)를 준비한다.
(2) 상기 항온 항습실에, 온감 시트의 포장체를 개봉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24시간 정치한다.
(3) 포장체로부터 온감 시트를 꺼내, 측정해야 하는 둘레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샘플(205)을 25mm×25mm의 사이즈로 잘라낸다.
(4) 포장체로부터 온감 시트를 꺼내, 전동 시험 스탠드의 위에 배치된, 2개의 직방체형의 금속 지지체(207)로, 샘플(205)을 끼워 넣고, 나사로 고정한다. 또한, 샘플(205)은, 그 둘레 가장자리부의 측정해야 하는 부분을 연직 방향의 위쪽을 향해, 샘플(205)이 금속 지지체(207)로부터 10mm 돌출하도록 고정된다. 또, 샘플(205)은, 디지털 포스 게이지(201)의 측정 단자(209)의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그리고 연직 방향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측정 단자(209)가, 샘플(205)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측정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접선과 직교하여 접촉하도록 세트한다.
(5) 디지털 포스 게이지(201)의 측정 단자(209)를, 30mm/분의 속도로 연직 방향의 아래쪽으로, 샘플(205)을 1mm 밀어 넣을 때까지 이동시켜, 측정 단자가 계측한 최대 하중(N)을 기록한다. 또한, 측정 단자(209)는, 직경 11mm의 환형(丸型) 단자를 이용한다.
(6) 다른 10개의 샘플로 (1)∼(5)의 측정을 반복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압입력으로서 채용한다.
또한, 0h 압입력은 포장체를 개봉하고 나서 10분 이내에 압입력의 측정을 끝내고, 3h 압입력은 포장체를 개봉하고 나서 3시간∼3시간 10분 동안에 압입력의 측정을 끝낸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3.0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 이하,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5N 이하의, 상술의 0h 압입력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착용 시에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초기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상기 온감 시트는,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술의 0h 압입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술의 0h 압입력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술의 0h 압입력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감 시트의 초기의 착용감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3.0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 이하,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5N 이하의, 상술의 3h 압입력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사용 중에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사용 시의 착용감이 우수하다.
상기 온감 시트는,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술의 3h 압입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술의 3h 압입력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술의 3h 압입력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감 시트의 사용 시의 착용감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에서는, 온감 조성물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물이다. 상기 온감제로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TRPV3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등을 들 수 있으며, TRPV1에 대한 아고니스트가 바람직하다. TRPV1 리셉터는 활성화 온도 역치가 43℃ 초과로 높아, 착용자에게 높은 온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온감제가 활성화해야 하는 TRP 채널로는, 인간의 TRP 채널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제로는, 예를 들면, 캡시코시드, 캡사이신,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바닐아미드(N-acylvanillamide),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 바닐릴에테르, 바닐릴알코올 알킬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알코올 알킬에테르, 에틸바닐릴알코올 알킬에테르, 베라트릴알코올(veratryl alcohol)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알킬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진저론,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제는, 착용자의 안도감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감 조성물은, 상기 온감제를, 바람직하게는 0.000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0.7 질량% 포함한다. 온감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상기 용매로는, 물, 알코올 및 유지,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조성물은, 상기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50.0∼9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99.9 질량%의 비율로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의 사용 시에, 착용자가 착용 후의 초기 단계부터, 그리고 장시간에 걸쳐 온감을 느끼기 쉽다.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저급 알코올, 카프릴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로는,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아마인유 등의 천연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조성물은, 상술의 온감제 및 용매 이외에, 착용자에게 온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실리콘, 실리콘계 레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예를 들면 BHT(2,6-디-t-부틸-p-크레졸), BHA(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예를 들면 천연 비타민 또는 합성 비타민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면 수용성 비타민, 예를 들면 비타민 B군, 예를 들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7, 비타민 B9, 비타민 B12 등, 비타민 C를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면 지용성 비타민, 예를 들면 비타민 A군, 비타민 D군, 비타민 E군, 및 비타민 K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에는 또, 그들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등, 그리고 펩티드를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예를 들면 천연 제올라이트, 예를 들면 방비석, 능비석, 휘비석, 나트롤라이트, 속비석, 및 톰소나이트, 그리고 합성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 레시틴, 세라미드, 플라센타, 콜라겐, 엘라스틴, 스쿠알란, 바셀린, 트레할로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약제, 예를 들면 피부 수렴제, 항여드름제, 항주름제, 항셀룰라이트제, 미백제, 항균제, 항곰팡이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부 수렴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아연, 황산알루미늄, 탄닌산 등, 유용성(油溶性) 피부 수렴제, 예를 들면 유용성 폴리페놀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용성 폴리페놀로는, 천연의 유용성 폴리페놀, 예를 들면, 대맥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캐모마일 엑기스, 우엉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참피나무 엑기스, 서양보리수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수타호두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비파 잎 엑기스, 보리수 엑기스, 홉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의이인(薏苡仁)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여드름제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 과산화 벤조일, 레조르시놀, 황, 에리트로마이신,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주름제로는, 예를 들면, 유산,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글리콜 산, 피트산, 리포산, 리소포스파티드산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셀룰라이트제로는, 예를 들면 크산틴 화합물, 예를 들면 아미노필린, 카페인, 테오필린, 테오브로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백제로는, 예를 들면, 나이아신아미드, 코지산, 알부틴, 글루코사민 및 유도체, 피토스테롤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그리고 뽕나무 추출물 및 태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항염증 성분, pH 조정제, 항균제, 보습제, 향료, 색소, 염료, 안료, 식물 추출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천연 유래의 항염증제, 예를 들면 모란, 황금(黃芩), 고추나물, 캐모마일, 감초, 도엽, 쑥, 차조기 엑기스 등, 합성 항염증제, 예를 들면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는, 피부를 약 산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 예를 들면 사과산, 숙신산, 구연산, 주석(酒石)산, 유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 티탄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조성물, 그리고 온감 시트는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가 딱딱해지기 어려워,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 온감 시트가 고정부를 갖는 경우에는, 온감 시트 자체가 발열하지 않으므로, 온감 시트의 고정부가 연화되기 어려워, 온감 시트의 사용을 끝내고, 온감 시트를 착의로부터 떼어낼 때에, 온감 시트의 고정부가 착의에 남기 어렵다.
상기 발열제로는, 발열제 자체가 발열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 분말(예를 들면, 철분)의 산화열, 산 및 알칼리의 중화열, 무기염의 수화열 등의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조성물, 그리고 온감 시트는, 소위 냉감제(冷感劑), 예를 들면 TRPM8 리셉터 또는 TRPA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를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온감 조성물을, 온감제의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0.001∼10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5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5g/㎡,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05∼1.5g/㎡가 되는 것과 같은 평량으로 포함한다. 착용자에게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에서는, 온감층은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온감층은, 예를 들면, 피부 맞닿음 시트와, 피부 맞닿음 시트에 포함되는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고, 그리고 온감 시트가, 피부 맞닿음 시트 및 착의 맞닿음 시트의 사이에 중간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온감층은 중간층과, 당해 중간층에 포함되는 온감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온감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예를 들면, 피부 맞닿음 시트 및/또는 착의 맞닿음 시트를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된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의 착용 시, 그리고 온감 시트의 사용 중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자가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 온감 시트가, 초기 및 사용 시의 양쪽에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둘레 가장자리부는, 온감 시트의 바깥쪽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온감 시트의 길이 방향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의 거리에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온감 시트가, 150mm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경우에는, 둘레 가장자리부는, 온감 시트의 바깥쪽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mm 이하,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5mm 이하의 거리에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온감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감 시트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온감 시트의 피부 맞닿음 면의 면적에 대한, 온감층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온감 시트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에서는, 피부 맞닿음 시트의 소재로는, 액체 홀딩성 및 액체 투과성, 바람직하게는 온감 조성물에 대한 액체 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물,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제법의 관점에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로는, 예를 들면, 에어레이드 펄프(air laid pulp), 에어스루(air-through) 부직포,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포인트본드(point bonded) 부직포,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포, 니들펀치(needle punching) 부직포,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SMS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예를 들면,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펄프 섬유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레이온 섬유, 예를 들면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및 모달, 셀룰로오스의 동(銅)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동암모니아 레이온 섬유(「큐프라(cupra)」라고도 칭해진다); 유기 화합물 및 물의 혼합 용액인 유기용제를 이용한 유기용제 방사법에 의해 얻어지고,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거치지 않는 리오셀 및 텐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합성 섬유로는,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섬유, 예를 들면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및 디아세테이트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면 열 융착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예를 들면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펜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예를 들면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또는 그들의 변성물, 또는 그들의 조합 등으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10∼100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g/㎡의 평량을 갖는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에서는, 착의 맞닿음 시트의 소재는, 온감 조성물이 착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액체 불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필름,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접합한 것, SMS 등의 복층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의 맞닿음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10∼50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g/㎡의 평량을 갖는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피부 맞닿음 시트와 착의 맞닿음 시트의 사이에 중간층을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상기 중간층은, 시트, 또는 위생재료 분야에 있어서의 흡수체일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이 시트, 즉, 중간 시트인 경우에는, 중간 시트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직물,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의 소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온감 조성물을 홀딩하는 관점에서는, 펄프 섬유로 구성되는 티슈, 에어레이드 펄프 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시트는,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이 흡수체인 경우에는, 상기 흡수체로는, 코어 랩(core wrap)이 펄프 섬유 및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덮고 있는 것, 코어 랩이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 또는 고분자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흡수 코어를 덮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어 랩으로는 상술의 중간 시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10∼200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50g/㎡의 평량을 갖는다.
상기 중간층이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흡수제가 온감 조성물의 온감제와, 용매, 특히 물을 흡수하여, 온감 조성물이 한 번에 피부에 작용하는 것을 막아, 장시간, 안정적으로, 온감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가,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에,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로는 핫멜트 접착제,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등의 고무계를 주체로 한,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를 주체로 한 감압(pressure-sensitive)형 접착제 또는 감열(heat-sensitive)형 접착제; 수용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water-swelling)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등)로 이루어지는 감수성(water-sensitive)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피부 맞닿음 시트(7)와, 중간층(9)과,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11)와, 박리 시트(15)의 각각은, 평면 방향(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형상이 동일했지만, 본 개시의 온감 시트에서는, 피부 맞닿음 시트와, 중간층과,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와, 박리 시트(15)의 각각은, 다른 바깥쪽 가장자리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포장 시트로 포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온감 시트는, 1 또는 복수의 온감 시트가 포장 시트로 포장된 포장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1개의 온감 시트가 포장 시트로 포장된 개별 포장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시트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포장체의 기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기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당해 기밀층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비닐알코올 코폴리머, 염화 비닐리덴계 폴리머, 예를 들면 염화 비닐리덴 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 예를 들면 나일론6, 알루미늄박, 기재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상에 알루미나, 실리카 등이 증착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따르는 온감 시트는,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의 착의 맞닿음 면에,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고정부를 착의의 내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착의 고정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착의로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분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착용자에게 피트하여 이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의로는, 예를 들면 속옷(예를 들면, 쇼츠, 셔츠, 브래지어 등), 겉옷(예를 들면, 상의, 하의), 양말, 장갑, 머플러, 페이스 마스크, 아이 마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온감 시트가 착의 고정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는, 그 피부 맞닿음 면에 점착성을 갖지 않는, 예를 들면, 점착제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는, 피부 맞닿음 시트의 피부 맞닿음 면에 점착성을 갖고, 그리고 피부 맞닿음 시트의, 점착성을 갖는 피부 맞닿음 면을, 착용자의 피부에 첩부시켜서 사용하는 피부 고정 타입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는,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를 구비하고, 그리고 장착구에 의해, 온감 시트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신체 장착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장착구로는, 예를 들면 띠상(帶狀)물, 예를 들면 끈, 예를 들면 귀걸이 끈을 들 수 있다.
온감 시트가 장착되는 신체로는, 머리부, 귀부, 목부, 상완(上腕), 전완(前腕), 손, 대퇴, 무릎, 종아리, 다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온감 시트가 신체 장착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는, 그 피부 맞닿음 면에 점착성을 갖지 않는, 예를 들면, 점착제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온감 시트가 온감을 부여할 수 있는 부위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머리(예를 들면 얼굴부, 예를 들면 눈부), 목, 상지(上肢)(예를 들면, 흉부, 복부, 서혜부(鼠蹊部), 등부(背部), 요부(腰部), 상완부, 전완부, 수부(手部)), 하지(下肢)(예를 들면, 대퇴부, 종아리부, 족부)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온감 시트 No.1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맞닿음 시트로서의 에어스루 부직포(평량: 30g/㎡)와, 중간층으로서의 에어레이드 펄프(평량: 100g/㎡)와, 착의 맞닿음 시트로서의 폴리에틸렌 필름(평량: 24g/㎡)을, 핫멜트 접착제와 사이에 끼워 접합하고, 이어서, 온감 조성물로서, 바닐릴부틸에테르를 0.3 질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피부 맞닿음 시트의 전체에, 바닐릴부틸에테르의 평량이 1.0g/㎡가 되도록 도공함으로써, 온감 시트 No.1을 제조했다.
[실시예 1]
온감 시트 No.1의 강연도 변화율, 0h 강연도(mN), 3h 강연도(mN), 압입력 변화율, 0h 압입력(N) 및 3h 압입력(N)을, 본 명세서에 규정되는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온열 시트 No.1으로서 시판의 온열 시트를 준비했다. 온열 시트 No.1은, 착의의 내면에 고정하여 이용하는 타입의 온열 시트이고, 철분의 산화 열에 의해, 온열 시트 자체가 발열한다. 온열 시트 No.1의 강연도 변화율, 0h 강연도(mN), 3h 강연도(mN), 압입력 변화율, 0h 압입력(N) 및 3h 압입력(N)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2
온감 시트 No.1과, 온열 시트 No.1을 복수의 피험자에게 착용하게 한바, 온감 시트 No.1은 온열 시트 No.1과 비교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다는 회답이 있었다. 또, 온감 시트 No.1은 온감이 우수하다는 회답을 얻었다.
1: 온감 시트 3: 개별 포장체
5: 포장 시트 7: 피부 맞닿음 시트
9: 중간층 11: 착의 맞닿음 시트
13: 고정부 14: 고정부 부분
15: 박리 시트  17: 온감층
21: 착의  23: 바깥쪽 둘레 가장자리
25: 둘레 가장자리부 31: 피부 맞닿음 면
33: 피부 비맞닿음 면 101: 시일부
103: 절결부(切欠部) 201: 디지털 포스 게이지
203: 전동 시험 스탠드 205: 샘플
207: 금속 지지체 209: 측정 단자
L: 길이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F: 접힘 축

Claims (11)

  1. 액체 홀딩성 또 액체 투과성의 피부 맞닿음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착의 맞닿음 시트를 포함하고, 두께 방향을 갖는 온감 시트로서,
    상기 온감 시트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의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감층을 갖고, 그리고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온감 시트가, 상기 온감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하는 온감층 중복 영역에 있어서, 4.0 이하의,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의 강연도(剛軟度) 변화율을 갖고,
    상기 강연도 변화율이, 사용 개시 시의 상기 온감 시트의 강연도인 0h 강연도에 대한, 상기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상기 온감 시트의 강연도인 3h 강연도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온감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가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인 온감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시트가 10mN 이하의 상기 0h 강연도를 갖는 온감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시트가, 상기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4.0 이하의 압입력(押入力) 변화율을 갖고, 상기 압입력 변화율이, 사용 개시 시의 상기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압입력인 0h 압입력에 대한, 상기 사용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상기 온감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압입력인 3h 압입력의 비인 온감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시트가 3.0N 이하의 상기 0h 압입력을 갖는 온감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시트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온감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시트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온감층을 포함하는 온감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가 직물로 구성되어 있는 온감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층이,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와, 상기 피부 맞닿음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온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감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알코올 및 유지,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온감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포장된 온감 시트.
KR1020187035433A 2016-06-27 2017-06-19 온감 시트 KR102221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6800 2016-06-27
JP2016126800A JP6635881B2 (ja) 2016-06-27 2016-06-27 温感シート
PCT/JP2017/022581 WO2018003583A1 (ja) 2016-06-27 2017-06-19 温感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12A true KR20190022512A (ko) 2019-03-06
KR102221311B1 KR102221311B1 (ko) 2021-02-26

Family

ID=6078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433A KR102221311B1 (ko) 2016-06-27 2017-06-19 온감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635881B2 (ko)
KR (1) KR102221311B1 (ko)
CN (1) CN109414341A (ko)
EA (1) EA036870B1 (ko)
MY (1) MY193267A (ko)
TW (1) TWI714786B (ko)
WO (1) WO2018003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2564B2 (ja) * 2019-07-24 2023-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体貼付用膜、生体貼付用シート、キット、及び美容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139U (ja) * 1993-12-10 1995-07-14 株式会社コンセプツ 肌着に貼付して用いる健康増進具
KR20020000180A (ko) * 1999-05-21 2002-01-04 베체르 베슬링 약제의 경피 투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3126137A (ja) * 2001-10-25 2003-05-07 Advance Co Ltd 温感材並びに冷感材
JP2006239015A (ja) 2005-03-01 2006-09-14 Shinwa Kk 発熱組成物収容用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熱用具
JP2007186626A (ja) * 2006-01-13 2007-07-26 Mycoal Products Corp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31964A (ja) * 2014-06-09 2015-12-24 花王株式会社 運動神経活性化用皮膚塗布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0501A1 (en) * 1998-08-25 2000-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ncreased wet breathability
EP1568365B1 (en) * 2002-11-27 2018-04-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Warm poultice
KR20070121666A (ko) * 2005-02-14 2007-12-27 노이로제스엑스, 인코포레이티드 Trpv1 작용제의 전달용 장치
EP1923447A4 (en) * 2005-08-09 2012-08-22 Kao Corp HEATING ELEMENT AND HEATING MEDIAT
JP4785693B2 (ja) * 2006-09-27 2011-10-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39674B2 (ja) * 2006-10-18 2013-11-13 花王株式会社 発熱抄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755856B2 (ja) * 2010-09-01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02699426U (zh) * 2012-08-17 2013-01-30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能传递暖感的卫生巾
AU2014324820B2 (en) * 2013-09-30 2018-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oplastic article with thermal active agent
HUE048868T2 (hu) * 2014-05-05 2020-09-28 Procter & Gamble Habot tartalmazó heterogén töme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139U (ja) * 1993-12-10 1995-07-14 株式会社コンセプツ 肌着に貼付して用いる健康増進具
KR20020000180A (ko) * 1999-05-21 2002-01-04 베체르 베슬링 약제의 경피 투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3126137A (ja) * 2001-10-25 2003-05-07 Advance Co Ltd 温感材並びに冷感材
JP2006239015A (ja) 2005-03-01 2006-09-14 Shinwa Kk 発熱組成物収容用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熱用具
JP2007186626A (ja) * 2006-01-13 2007-07-26 Mycoal Products Corp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31964A (ja) * 2014-06-09 2015-12-24 花王株式会社 運動神経活性化用皮膚塗布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3267A (en) 2022-09-29
TW201806567A (zh) 2018-03-01
KR102221311B1 (ko) 2021-02-26
TWI714786B (zh) 2021-01-01
CN109414341A (zh) 2019-03-01
JP6635881B2 (ja) 2020-01-29
WO2018003583A1 (ja) 2018-01-04
JP2018002599A (ja) 2018-01-11
EA201892571A1 (ru) 2019-08-30
EA036870B1 (ru)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93160B (zh) 功能性物品
CN109419586B (zh) 温感物品
CN111526847A (zh) 吸收性物品、吸收性物品用的温感构件以及温感构件粘贴于吸收性物品的使用
KR102518885B1 (ko) 흡수성 물품
CN110520085B (zh) 温感物品
JP6765356B2 (ja) 温感物品
KR20200050911A (ko)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20190022512A (ko) 온감 시트
KR102414416B1 (ko) 온감 시트
JP6637001B2 (ja) 温感物品
JP3229293U (ja) 温感物品の個包装体
TWI711436B (zh) 溫感物品
JP6692331B2 (ja) 温感物品
JP6635997B2 (ja) 温感物品
JP2020039965A (ja) 温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