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271A -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 Google Patents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271A
KR20190022271A KR1020180003195A KR20180003195A KR20190022271A KR 20190022271 A KR20190022271 A KR 20190022271A KR 1020180003195 A KR1020180003195 A KR 1020180003195A KR 20180003195 A KR20180003195 A KR 20180003195A KR 20190022271 A KR20190022271 A KR 2019002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gent
foam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726B1 (ko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람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람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람매트
Publication of KR2019002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52Organo-metal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단열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장치물 내벽에 설치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PE), 염화폴리에틸렌고무(Chlorinated polyethylene rubber; CM), 데카브롬(DBDPO), 수산화알루미늄(Al(OH)3), 아연화, 보강제, 촉진제, 발포제, 항균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발포성형하여 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Foam for interior metirial of device}
본 발명은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연성, 단열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장치물 내벽에 설치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에 관한 것이다.
EVA소재를 발포 성형기에서 패널,보드 등의 형태로 발포 성형한 성형체(이하, EVA패널이라 함.)는 그 특성이 무독성이면서 경량성, 보온성, 단열성 및 방음성이 매우 우수하고 생산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장점을 갖추고 있어 보온, 단열, 방음 등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점을 갖춘 EVA패널은 발포수지체로 내화성이 매우 불량하여 화재발생시 유해가스와 화염 발생, 화염의 전이(傳移)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EVA소재는 무독성으로서 유연성이 뛰어나며, 충격에 강하여 충격 방지 및 충격 흡수기능이 뛰어나다.
특히 단열성, 보온성, 진동방지 사용에 매우 적합한 데, 이러한 특징으로 제작된 제품으로는 신발 밑창, 케이블, 태양광 쉬트, 핫멜트 접착제, 코팅, 그리고 단순 스펀지 등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EVA소재의 많은 제품 중 EVA패널은 단열성, 흡음성 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일반 스티로폼 단열재보다 무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제조 시에 첨가되는 많은 휘발성 또는 유기성 첨가물로 인해 화염과 고온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1827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0972호 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6994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에 폴리에틸렌(PE), 염화폴리에틸렌고무(Chlorinated polyethylene rubber; CM), 데카브롬(DBDPO), 수산화알루미늄(Al(OH)3), 아연화, 보강제, 촉진제, 항균제, 발포제, 기타 첨가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일정조건에서 발포, 성형하는 방법으로 우수한 단열성, 난연성 및 항균성을 부여한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PE), 염화폴리에틸렌고무(Chlorinated polyethylene rubber; CM), 데카브롬(DBDPO), 수산화알루미늄(Al(OH)3), 아연화, 보강제, 촉진제, 발포제, 항균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발포성형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0~25중량부, 폴리에틸렌(PE) 20~25중량부, 염화폴리에틸렌고무 12~1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1~13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12중량부, 아연화 0.5~0.6중량부, 보강제 4~5중량부, 촉진제 0.5~1.0중량부, 발포제 5.0~6.0중량부, 항균제 4.5~5.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3중량부, 폴리에틸렌(PE) 23중량부, 염화폴에틸렌고무 13.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2.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7중량부, 아연화 0.58중량부, 보강제 4.8중량부, 촉진제 0.8중량부, 발포제 5.52중량부, 항균제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제는 백클레이, 딕스클레이, 황클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촉진제는 트리아릴시누레이트(Triallylcynurate; TAC),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에 조개가루를 더 포함하도록 혼합하며, 그 혼합량은 0.5~0.6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VA 발포폼의 취약한 내화성을 극복하여 난연성을 부여함으로써 화염의 열로 인한 파괴는 물론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자기소화성이 없어 주변 화재 열로 인해 쉽게 화염이 인가되는 취약성을 해결하고, 외부열의 영향을 차단하여 내부열의 상승을 억제하는 우수한 단열성과 항균성을 확보한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의 일성형품과 그 성형품이 부착되는 장치물의 외장재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성형된 발포폼의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우수한 무독성, 경량성, 보온성, 단열성, 방음성 및 경제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발포수지체인 EVA의 단점인 내열성을 발포성형시 난연성물질을 적정량 혼합하여 내화성 및 난연성을 확보하고, 항균제를 첨가하여 항균성을 확보하고, 장치물 내장재로 적합한 강도, 압축강도 등 물리적 성질을 만족하는 장치물 내벽에 설치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의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PE), 염화폴리에틸렌고무(Chlorinated polyethylene rubber; CM), 데카브롬(DBDPO), 수산화알루미늄(Al(OH)3), 아연화, 보강제, 촉진제, 발포제, 항균제를 일정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발포성형하여 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0~25중량부, 폴리에틸렌(PE) 20~25중량부, 염화폴리에틸렌고무 12~1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1~13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12중량부, 아연화 0.5~0.6중량부, 보강제 4~5중량부, 촉진제 0.5~1.0중량부, 발포제 5.0~6.0중량부, 항균제 4.5~5.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3중량부, 폴리에틸렌(PE) 23중량부, 염화폴에틸렌고무 13.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2.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7중량부, 아연화 0.58중량부, 보강제 4.8중량부, 촉진제 0.8중량부, 발포제 5.52중량부, 항균제 5.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는 본 발명의 발포폼의 기본 물질로 단열 및 흡음성이 매우 우수하여 건물내장재등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수지이다. 그러나, 상기 EVA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재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장치물 내장재로서 확보하여야 하는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난연성 물질을 추가 혼합하여 발포성형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바람직하게 상기 EVA는 20~2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되는 것이 좋다. 만일, 그 혼합량이 2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탄성이 부족하여 너무 딱딱해지고, 강도가 너무 강해져 내장재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연성이 너무 심해져서 최종제품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은 내장재로서의 적정 경도를 유지하기 위해 혼합되는 것으로, 그 혼합량이 2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경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고,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가 너무 높아지고, 항균성 및 난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을 구성하는 상기 EVA와 폴리에틸렌은 바람직하게 1:1의 중량비를 가지도록 혼합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염화폴리에틸렌고무는 폴리에틸렌 고무에 염소를 반응시켜 생기는 고무유도체로서, 내유성, 내화학성, 난연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주로 적용되는 소재이다.
상기 염화폴리에틸렌 고무는 높은 내오존성, 내후성, 많은 수의 부식 및 산화유발 화학 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매우 양호한 색 안정성과 건조열에 대한 저항성(연속적으로 125도의 온도까지 가능, 150도의 온도 이상에서는 일정기간동안만 가능)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난연성이 우수하고, 난연제를 첨가할 경우 그 난연성은 더욱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고온에서 낮은 압축출음율과 양호한 저온유연성의 물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염화폴리에틸렌고무의 혼합으로 자체에 가지고 있는 우수한 난연성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난연성확보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는 데카브롬의 사용량을 줄일 수가 있으며, 접착성이 올라가 포장내장제에 사용이 용이해 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력과 질김정도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을 혼합했을 때보다 좋아지고, 열에 강해서 환경적 내구성이 우수해지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화폴리에틸렌고무는 12~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은데, 만일 그 혼합량이 12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다. (여기에, 상기 염화폴리에틸렌고무를 혼합하는 주된 목적을 기재하여 주시고, 그 목적에 따라 상기 염화폴리에틸렌고무의 혼합량이 임계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괄호안에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화폴리에틸렌 고무는 염소의 함량이 25~42%의 범위내의 염소함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좋게는 그 염소의 함량이 30~40%이내의 함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사용예로, 염화 폴리에틸렌 (제품명: Tyrin CM0136, 염소 함량: 36%, Dupont Dow Elastmer 에서 제조됨), 염화 폴리 에틸렌 (제품명: Elaslen 3O1AE, 염소 함량: 32%, Showa Denko K.K.에서 제조됨), 염화 폴리에틸렌 (제품명: Weipren CM6235, 염소 함량: 35%, Yaxing Chemical 에서 제조됨),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제품명: Hypalon4OS, 염소 함량: 35%, Dupont 에서 제조됨), 및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제품명: TOSO-CSM CN-530, 염소 함량: 35%, Tosoh 에서 제조됨)과 같은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염소의 함량이 증가하면 내유성과 난연성이 증가하지만 저온유연성과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카브롬(DBDPO)은 데카브로모 디페닐 옥사이드(decabromo diphenyl ocide)의 화학명을 가지는 것으로, 백색 분말상의 브롬계 난연제이다. 상기 데카브롬은 본 발명의 발포폼에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그 혼합량은 11~1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다. 만일, 그 혼합량이 1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효과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1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 불량률이 높아지고, 다른 물성에 요구되지 않는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알루미늄(Al(OH)3)은 난연제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혼합량은 11~12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혼합량이 1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제의 혼합이 균질하게 이루어지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난연제의 혼합이 잘 이루지나 내장재의 요구되는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아연화는 ( )한 반응 촉진을 활성화 시키는 촉진보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만일 그 혼합량이 0.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촉진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고, 0.6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잇다.(여기서, 상기 '촉진"은 무엇을 촉진시키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제는 불활성 무기 충진제로 클레이(Clay)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백클레이, 딕스클레이, 황클레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딕스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강제는 난연성을 높이고, 굳기정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그 혼합량은 4~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다. 만일, 그 혼합량이 4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목적하는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소재 자체의 특성에 의해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촉진제는 발포제의 분해온도와 속도를 조절하여 사용 공정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EVA발포폼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한다. 그 예로 트리아릴시누레이트(Triallylcynurate; TAC),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촉진제의 혼합량은 촉진제 0.5~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만일 그 혼합량이 0.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촉진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속도가 가속화되어 오픈셀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내장재의 강도, 경도 등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포제는 이소펜탄(isopentan), 이소부탄(isobutane), 사이클로펜탄(Cyslopentane)계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물, 카본디옥사이드(carbone dioxide), 니트로젠(Nitrizen), 에탄올(Eth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 그 혼합량은 5.0~6.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다. 만일, 그 혼합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6.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가 너무 잘 일어나 발포체에 형성되는 셀이 오픈셀의 형태를 띄게 되어 내장재로서의 강도와 경도 등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항균제는 발포폼의 항균성을 확보하기 위해 혼합되는 것으로, 친환경 항균제를 사용하며, EVA발포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친환경 항균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항균제의 혼합량은 4.5~5.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이며, 만일 그 혼합량이 4.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5.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항균성은 높일 수 있으나 항균제로 인한 다른 성분들의 혼화성이 저하될 수 있고,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포폼을 형성하는 혼합물에 조개가루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개가루는 0.5~0.6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첨가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조개가루를 혼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그 혼합량이 임계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물을 외관을 구성하는 일 외벽체의 내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되어 내측면에 부착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발포폼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 혼합물을 믹서에 순차적으로 투입한 다음 온도 100±5℃, 압력 110atm의 조건에서 20분간 배합하여 용융한 다음, 그 용융물을 반출시켜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일정하게 펴주는 작업을 한다. 상기 가압롤러에 의해 일정하게 펴진 용융물은 2차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더 얇게 눌러 펴주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컷팅기를 통과시켜 일정한 규격으로 컷팅한 후, 그 컷팅된 재료를 생산목적에 따라 정해진 중량으로 금형에 투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발포성형시킨다. 발포성형된 성평품은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스 작업을 실시하고, 목적물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여 발포폼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 작업자의 생산설계, 목적하는 최종 발포폼의 형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그 제조방법은 적의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3중량부, 폴리에틸렌(PE) 23중량부, 염화폴리에틸렌고무 13.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2.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7중량부, 아연화 0.58중량부, 보강제 4.8중량부, 촉진제 0.8중량부, 발포제 5.52중량부, 항균제 5.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을 발포폼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발포성형하여 가로×세로×높이 = 500㎜×500㎜×20㎜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시편을 방염성 시험을 테스트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염화폴리에틸렌고무는 염소함량 36%인 염화 폴리에틸렌 (제품명: Tyrin CM0136, 염소 함량: 36%, Dupont Dow Elastmer 에서 제조됨)을 사용하였고, 상기 촉진제는 트리아릴시누레이트(Triallylcynurate; TAC),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발포제는 펜탄계열의 발포제로 이소펜탄을 사용하였고, 보강제는 딕스클레이를 사용하였다.
상기 항균제는 시판되고 있는 친환경 항균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발포폼의 방염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시편의 항균성시험을 실시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첨부도면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Blank 실시예 1
균주 1

초기균수 3.2×105 3.2×105
24시간후 2.9×105 <10
항균활성치 - 4.5
균주 2

초기균수 1.7×105 1.7×105
24시간후 1.9×107 <10
항균활성치 - 6.3
- 항균력 시험방법: JIS Z 2801:2006, 필름밀착법 : 세균수/시편, 항균활성치(log)
- 표준필름: Stomacher® 400 POLY-BAG
- 시험조건: 시험균액을 (35±1)℃, RH 90%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후 균수 측정
- 사용공시균주: 균주1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균주2 - Escherichia coli ATCC 8739
- 항균효과: 항균활성치 2.0 log이상
위 표 2의 결과, 본 발명의 발포폼은 항균활성치가 2.0 log 이상을 나타내어 항균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PE), 염화폴리에틸렌고무(Chlorinated polyethylene rubber; CM), 데카브롬(DBDPO), 수산화알루미늄(Al(OH)3), 아연화, 보강제, 촉진제, 발포제, 항균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발포성형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0~25중량부, 폴리에틸렌(PE) 20~25중량부, 염화폴리에틸렌고무 12~1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1~13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12중량부, 아연화 0.5~0.6중량부, 보강제 4~5중량부, 촉진제 0.5~1.0중량부, 발포제 5.0~6.0중량부, 항균제 4.5~5.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3중량부, 폴리에틸렌(PE) 23중량부, 염화폴에틸렌고무 13.5중량부, 데카브롬(DBDPO) 12.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1.7중량부, 아연화 0.58중량부, 보강제 4.8중량부, 촉진제 0.8중량부, 발포제 5.52중량부, 항균제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4.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보강제는 백클레이, 딕스클레이, 황클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5.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촉진제는 트리아릴시누레이트(Triallylcynurate; TAC),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조개가루를 더 포함하도록 혼합하며, 그 혼합량은 0.5~0.6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KR1020180003195A 2017-08-25 2018-01-10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KR102123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8039 2017-08-25
KR1020170108039 2017-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71A true KR20190022271A (ko) 2019-03-06
KR102123726B1 KR102123726B1 (ko) 2020-06-26

Family

ID=6576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195A KR102123726B1 (ko) 2017-08-25 2018-01-10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7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2663A (zh) * 2019-12-05 2020-03-27 河南万恒塑胶有限公司 一种抗菌pe给水管及加工工艺
CN113773561A (zh) * 2021-07-29 2021-12-10 福建智铭鞋业有限公司 一种抗菌eva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1932A (ja) * 1986-04-14 1987-10-22 Shinagawa Nenryo Kk 抗菌ならびに防カビ機能を有する高分子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0972A (ko) 1999-05-17 2001-07-28 추후보정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020021827A (ko) 2000-09-18 2002-03-23 전영식 스폰지 스크랩과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포체 조성물 및그 발포체의 제조방법
JP2006068906A (ja) * 2004-08-31 2006-03-16 Kaneka Corp 合成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合成樹脂発泡体
KR20060026994A (ko) 2004-09-22 2006-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중량 충격 차음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JP2013194183A (ja) * 2012-03-21 2013-09-30 Nitto Denko Corp 発泡性封止材、発泡性封止部材、封止発泡体および空間の封止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1932A (ja) * 1986-04-14 1987-10-22 Shinagawa Nenryo Kk 抗菌ならびに防カビ機能を有する高分子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0972A (ko) 1999-05-17 2001-07-28 추후보정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020021827A (ko) 2000-09-18 2002-03-23 전영식 스폰지 스크랩과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포체 조성물 및그 발포체의 제조방법
JP2006068906A (ja) * 2004-08-31 2006-03-16 Kaneka Corp 合成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合成樹脂発泡体
KR20060026994A (ko) 2004-09-22 2006-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중량 충격 차음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JP2013194183A (ja) * 2012-03-21 2013-09-30 Nitto Denko Corp 発泡性封止材、発泡性封止部材、封止発泡体および空間の封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2663A (zh) * 2019-12-05 2020-03-27 河南万恒塑胶有限公司 一种抗菌pe给水管及加工工艺
CN113773561A (zh) * 2021-07-29 2021-12-10 福建智铭鞋业有限公司 一种抗菌eva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726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7216B (zh) 一种橡塑共混高阻燃绝热保温材料
US6809129B2 (en) Elastomeric intumescent material
KR101763744B1 (ko) 난연성 탄성 발포 물질
KR100361561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599504B1 (ko) 가요성 인슐레이션 폼을 위한 팽창 시스템
CN108570169B (zh) 具有改进的隔绝性能的柔性泡沫
KR100899112B1 (ko) 불연성 알루미늄 복합판넬 심재용 조성물
US20070129454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foaming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504573A (zh) 低烟雾、柔性隔绝泡沫
JPH0823181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発泡体および製造法
KR20190022271A (ko) 장치물 내장재용 발포폼
KR101075070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실리콘 고무가 함유된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JP5294129B2 (ja) メタロセン−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共重合体ゴム系連続気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7383B1 (ko) 고내열성 고무발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39975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발포체
EP1795552A1 (en) A thermoplastic elastomer foaming material and its processing
EP3165563B1 (en) Expandable and crosslinkable elastomeric formulation for the manufacture of insulation materials exhibiting high fire retardancy and low smoke creation properties
KR101083277B1 (ko) 금속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된 발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체 제조방법
KR20180046722A (ko)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KR20010009382A (ko) 발포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616935B1 (ko) 장기 항균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고무 발포체
CN115304844A (zh) 高密度聚乙烯防水片材、制备方法及高密度聚乙烯防水卷材
KR20140083360A (ko)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8038B1 (ko) 생분해성 발포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JP2016037551A (ja) 水架橋性発泡樹脂組成物並びに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